KR102142239B1 - 천장 조형물 시스템 - Google Patents

천장 조형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239B1
KR102142239B1 KR1020200029319A KR20200029319A KR102142239B1 KR 102142239 B1 KR102142239 B1 KR 102142239B1 KR 1020200029319 A KR1020200029319 A KR 1020200029319A KR 20200029319 A KR20200029319 A KR 20200029319A KR 102142239 B1 KR102142239 B1 KR 102142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odule
unit
ceil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구
김현희
Original Assignee
이민구
김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구, 김현희 filed Critical 이민구
Priority to KR1020200029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88Volumetric displays, i.e. systems where the image is built up from picture elements distributed through a volume
    • H04N13/393Volumetric displays, i.e. systems where the image is built up from picture elements distributed through a volume the volume being generated by a moving, e.g. vibrating or rotating,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21V25/02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coming into action when lighting device is disturbed, dismounted, or brok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digital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조형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지지부 양측으로 개별적인 회전 구동이 가능한 빔 형태의 회전부를 구비하도록 하고, 이러한 고정지지부가 일렬로 배치되어 천장에 다양한 3차원 조형물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회전빔의 안정적인 고정과 휨의 방지가 가능하도록 하고, 3차원 조형물의 다양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는 천장 조형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장 조형물 시스템{A Ceiling Structure System}
본 발명은 천장 조형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지지부 양측으로 개별적인 회전 구동이 가능한 빔 형태의 회전부를 구비하도록 하고, 이러한 고정지지부가 일렬로 배치되어 천장에 다양한 3차원 조형물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회전빔의 안정적인 고정과 휨의 방지가 가능하도록 하고, 3차원 조형물의 다양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는 천장 조형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천장 조형물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건축설비로 천장의 각종 배선 및 덕트 따위의 구조물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기류의 조절 또는 채광을 조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천장 조형물을 이러한 기능적 측면뿐만 아니라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심미감 및 입체갑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대형 쇼핑몰 등 대규모의 실내 공간이 늘어남에 따라 대규모 실내 공간의 천장에도 다양한 조형물을 설치하여 심미감을 높이고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하며, 광고효과까지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만, 아직까지 천장 조형물은 단순한 구조물을 천장에 고정시키는 방식으로만 설치되고 있어 다양한 활용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1954334호(2019.02.26. 등록)"반사부재를 이용한 천장조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지지부 양측으로 개별적인 회전 구동이 가능한 빔 형태의 회전부를 구비하도록 하고, 이러한 고정지지부가 일렬로 배치되어 천장에 다양한 3차원 조형물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천장 조형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고정지지부의 양측에 회전하는 빔의 안정적인 고정과 휨의 방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천장 조형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회전부의 개별적인 구동을 통한 3차원 조형물의 다양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는 천장 조형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회전부에 조명을 삽입하여 조명효과를 발생시키도록 하면서, 조명모듈의 설치와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천장 조형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조명모듈의 성능저하를 감지하고 그 위치를 특정하여 알리도록 함으로써 조명모듈에 대한 관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천장 조형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회전부의 회전에 대한 고장을 진단하고, 고장 위험 시점의 예측과 성능저하의 진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천장 조형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조형물 시스템은 천장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지지부와, 각각의 고정지지부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 각각에 형성되어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여,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3차원 조형물을 표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조형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고정지지부 일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하는 회전빔과; 상기 회전빔의 고정지지부측 끝단을 상측에서 눌러 고정시키는 상부고정부재와; 상기 회전빔 및 상부고정부재가 결합하여 고정되며, 상기 고정지지부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전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조형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회전빔 및 상부고정부재는 하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되는 호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조형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회전빔은 그 중앙측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보강절곡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고정부재는 상기 보강절곡판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측으로 함입되는 절곡홈을 포함하여, 보강절곡판이 형성된 회전빔을 눌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조형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회전몸체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구동부의 각 구성들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구동부지지부재와, 상기 구동부지지부재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빔 및 상부고정부재가 지지·결합되는 회전빔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조형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회전빔고정판은 그 중앙측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빔은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몸체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조형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회전몸체에 고정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몸체에 지지되며, 상기 회전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연결모듈과; 상기 연결모듈에 맞닿도록 형성되어 연결모듈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상기 고정지지부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중심이 되는 중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조형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터는 그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모터축과, 상기 모터축에 삽입되어 모터축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회전몸체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와; 상기 연결축에 삽입되어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회전연결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모듈은 상기 고정지지부에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연결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중심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모터의 작동에 따른 회전연결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몸체 및 이에 결합된 회전빔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조형물 시스템은 상기 회전구동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동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조절부는 상기 회전부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하는 위치정보입력모듈과, 각 위치의 회전부에 대한 회전각도 정보를 설정하는 회전각도설정모듈과, 각 회전부의 회전에 대한 시점정보를 설정하는 시간정보설정모듈과, 설정된 시점 및 회전각도에 따라 각 위치의 회전모터를 작동시키는 모터구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조형물 시스템은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구동조절부에 의한 회전부의 작동을 감시하는 구동감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감시부는 회전부의 작동에 대한 고장을 진단하여 알리는 고장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모듈은 상기 중심기어의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회전측정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고장진단부는 각 회전부에 대해 설정된 회전각도 및 시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설정정보수신모듈과, 상기 회전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중심기어의 회전정보를 수신하는 회전정보수신모듈과, 설정된 회전각도와 실제 회전각도를 비교하는 회전각비교모듈과, 회전각도의 오차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회전부 작동의 고장으로 판단하여 이를 알리는 고장알림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조형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동감시부는 상기 고장진단부에 의해 고장으로 진단되지는 않았으나 고장 위험 시점이 근접한 경우 고장 위험 시점을 예측하여 제공하는 고장예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장예측부는 설정된 회전각도와 실제 회전각도의 오차가 임계값 이하의 일정 범위에 존재하는 경우 그 오차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오차저장모듈과, 오차가 일정 범위에 존재하는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시간측정모듈과, 오차저장모듈에 의해 저장되는 오차값과 시간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되는 지속시간을 곱하여 이상 정도에 관한 이상지수를 산출하는 이상지수산출모듈과, 산출된 이상지수에 따라 고장 위험 시점을 예측하여 알리는 고장시기예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조형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동감시부는 고장으로 진단되거나 고장 위험 시점이 예측되지 않더라도 오차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에는 회전부의 작동에 대한 급격한 성능 저하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알리는 저하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하감지부는 설정된 회전각도와 실제 회전각도의 오차에 관한 시간에 따른 변화율을 산출하는 오차변화율산출모듈과, 산출된 오차 변화율을 설정된 값과 비교하는 설정값비교모듈과, 오차 변화율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그 지속시간을 계측하는 지속시간계측모듈과, 지속시간일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성능저하로 판단하여 알리는 성능저하판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조형물 시스템은 상기 회전빔 내에 설치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회전빔 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조명모듈과; 상기 조명모듈이 안착되며, 회전빔 내에 삽입되어 입출되는 조명설치판과; 상기 조명설치판이 지지되어 삽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삽입레일과, 상기 회전빔 상에 관통되어 조명설치판이 입출되는 입출공과, 상기 입출공을 개폐하는 마감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조형물 시스템은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조명부의 작동을 감시하는 조명감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모듈은 조명모듈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감시부는 상기 조명모듈의 작동정보를 수신하는 작동정보수신모듈과, 작동되는 조명모듈에 흐르는 전류에 관한 정보를 전류측정센서로 요청하는 전류정보요청모듈과, 상기 전류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전류정보를 수신하는 전류정보수신모듈과, 각 조명모듈의 초기 전류량과 측정된 전류량의 비율에 따라 작동지수를 산출하는 작동지수산출모듈과, 작동지수가 설정값 미만인 경우 조명모듈의 이상으로 판단하는 이상판단모듈과, 이상으로 판단된 조명모듈에 근접한 조명모듈을 점멸시키는 이상점멸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조형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빔의 강도를 보강하여 휨을 방지하는 보강결합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보강결합모듈은 상기 회전빔 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되며, 그 끝단에 회전빔과 떨어져 상부고정부재 상에 안착되는 연장부를 갖는 보강판과; 상기 상부고정부재 상에 형성되어 상기 보강판의 연장부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보강판을 삽입홈 내에 고정시키는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지지부 양측으로 개별적인 회전 구동이 가능한 빔 형태의 회전부를 구비하도록 하고, 이러한 고정지지부가 일렬로 배치되어 천장에 다양한 3차원 조형물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정지지부의 양측에 회전하는 빔의 안정적인 고정과 휨의 방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회전부의 개별적인 구동을 통한 3차원 조형물의 다양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회전부에 조명을 삽입하여 조명효과를 발생시키도록 하면서, 조명모듈의 설치와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조명모듈의 성능저하를 감지하고 그 위치를 특정하여 알리도록 함으로써 조명모듈에 대한 관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회전부의 회전에 대한 고장을 진단하고, 고장 위험 시점의 예측과 성능저하의 진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정 조형물 시스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정 조형물 시스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정 조형물 시스템의 측면도
도 4는 회전빔의 평면도(a), 정면도(b) 및 측면도(c)
도 5는 상부고정부재의 평면도(a), 정면도(b) 및 측면도(c)
도 6은 회전몸체의 평면도(a), 정면도(b) 및 측면도(c)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정 조형물 시스템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구동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정 조형물 시스템의 실제 설치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정 조형물 시스템의 정면도(a), 평면도(b) 및 측면도(c)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정 조형물 시스템의 평면도(a), 정면도(b) 및 측면도(c)
도 12는 모니터링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3은 도 12의 조명감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4는 도 12의 구동감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조형물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조형물 시스템을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천장 조형물 시스템은 천장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지지부(1)와, 각각의 고정지지부(1)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부(2)와, 상기 회전부(2) 각각에 형성되어 회전부(2)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3)와, 회전구동부(3)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동조절부(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조형물 시스템은 천장에 설치되어 3차원 조형물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중대형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인테리어 효과를 높이거나 광고 목적을 위해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천장 조형물 시스템은 고정지지부(1)의 양측으로 개별적인 회전 구동이 가능한 빔 형태의 회전부(2)를 형성하도록 하고 고정지지부(1)를 일렬로 배열하여 다양한 형태의 3차원 조형물을 표현할 수 있으며, 회전부(2)의 회전을 통해 다양한 움직임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지지부(1)는 천장에 고정되어 지지되는 구성으로, 별도의 고정수단(F)과 연결되어 천장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지지부(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일렬로 배열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각 고정지지부(1)에는 양측으로 회전부(2)가 연결되어 개별적인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지지부(1)는 한 쌍의 고정판(11)과 고정판(1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고정부재(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고정부재(1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판(11) 사이에는 회전부(2) 및 회전구동부(3)가 형성되어 상하 방향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고정판(11)에는 상기 회전구동부(3)의 후술할 회전축(331)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연결고정부재(12)는 고정판(11)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한 쌍의 고정판(11) 사이를 연결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고정부재(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형성되어 고정판(11)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하 충분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회전부(2)의 일정 정도 회전을 보장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회전부(2)와의 접촉을 통해 회전부(2)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2)는 상기 고정지지부(1)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성으로, 고정지지부(1)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구동부(3)에 의해 회전이 조절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부(2)는 회전빔(21), 상부고정부재(22), 회전몸체(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빔(21)은 고정지지부(1)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며, 각 고정지지부(1)에 형성되는 회전빔(21)이 연속 배열되어 3차원 조형물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빔(21)은 각 고정지지부(1) 마다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3차원 조형물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 회전구동부(3)에 의한 상하 방향 움직임에 의해 3차원 조형물의 다양한 움직임을 표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빔(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되도록 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 빔으로 형성될 수 있고, 회전빔(21) 하면에 다양한 무늬를 프린팅하여 복수의 회전빔(21) 사이에서 특정한 디자인을 연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회전빔(21)은 다양한 조형물의 연출을 위해 고정지지부(1)로부터 상당한 길이로 돌출될 수 있는바, 회전빔(21)의 휨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절곡판(211)을 형성하도록 하며,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몸체결합홀(212) 및 체결결합공(213)을 포함하여 회전몸체(23)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부를 상부고정부재(22)로 덮어 고정시키도록 한다.
상기 보강절곡판(211)은 상기 회전빔(21)의 강도를 보강하고 휨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회전빔(21)의 중앙측에 회전빔(21) 전체에 걸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측으로 돌출되어 절곡되는 형태로 회전빔(21) 상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몸체결합홀(212)은 상기 회전몸체(23) 상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몸체(23) 및 상부고정부재(22)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몸체(23)의 후술할 삽입돌기(232a)가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몸체결합홀(212)은 상기 회전몸체(23)의 회전빔고정판(232)과 맞닿는 면에 복수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회전몸체(23)에 대한 회전빔(21)의 더욱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결결합공(213)은 상기 상부고정부재(22) 및 회전몸체(23)와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되는 구성으로, 상부고정부재(22) 및 회전몸체(23)와 맞닿는 면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의 삽입을 통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결결합공(213)은 상부고정부재(22)의 후술할 체결공(222) 및 회전빔고정판(232)의 결합공(232b)과 연통되어 별도 고정수단(미도시)의 삽입·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고정부재(22)는 상기 회전빔(21)을 상측에서 덮어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회전빔의 안정적인 지지와 휨의 방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고정부재(22)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몸체(23)와 결합되는 고정지지부(1) 측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되어 회전빔(21)을 충분히 눌러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회전빔(21)과 같이 하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되는 호 형태를 갖도록 하고, 상기 보강절곡판(211)과 밀착되는 절곡홈(221)이 상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고정부재(22)는 회전빔(21)을 누른 상태에서 회전빔(21) 및 회전몸체(23)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체결공(222)이 관통 형성되도록 하며, 체결공(222)은 체결결합공(213) 및 결합공(232b)과 연통되어 고정수단(미도시)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몸체(23)는 상기 회전빔(21) 및 상부고정부재(22)가 지지되어 함께 회전하며, 상기 고정지지부(1)에 지지되어 회전빔(21) 및 상부고정부재(22)의 회전 중심이 되고, 상기 회전구동부(3)가 지지되어 그 작동에 따라 회전몸체(23) 및 이에 지지된 회전빔(21), 상부고정부재(22)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몸체(2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구동부(3)의 각 구성들이 지지되는 구동부지지부재(231)와, 구동부지지부재(231) 상에 형성되어 회전빔(21) 및 상부고정부재(22)가 지지·결합되는 회전빔고정판(2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지지부재(231)는 회전구동부(3)의 각 구성들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고정판(11) 사이에 삽입되며 상하 방향으로 일정 너비를 갖는 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지지부재(231)에는 모터고정공(231a)이 관통 형성되어 후술할 회전모터(31)가 고정되도록 하고, 연결모듈(32)삽입공(231b)이 관통 형성되어 회전모터(31)의 모터축(311)이 삽입되도록 하며, 그 일측에는 연결모듈고정공(231c)이 관통 형성되어 후술할 연결모듈(32)의 연결축(321)이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지지부재(231)에는 회전축결합공(231d)이 관통 형성되어 후술할 중심모듈(33)의 회전축(331)이 삽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지지부재(231)는 상기 연결모듈고정공(231c)에 삽입된 연결축(321)의 회전연결기어(323)가 중심모듈(33)의 중심기어(332)에 맞물려 회전하면서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회전빔(21)의 상하 방향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빔고정판(232)은 상기 구동부지지부재(231) 상단에 형성되어 회전빔(21) 및 상부고정부재(22)를 지지·결합하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빔(21)과의 밀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회전빔(21)과 동일한 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빔고정판(232) 상에 회전빔(21)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그 상부로 상부고정부재(22)를 위치시키고 서로 결합하여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빔고정판(232)은 회전빔(21)의 더욱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측으로 돌출되는 삽입돌기(232a)를 포함하도록 하며, 삽입돌기(232a)가 회전빔(21)의 몸체결합홀(212)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빔고정판(232) 상에는 복수개의 결합공(232b)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체결결합공(213) 및 체결공(222)과 연통되도록 하고,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이 체결되어 회전빔고정판(232), 회전빔(21), 상부고정부재(22)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회전구동부(3)는 회전부(2)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회전부(2) 각각에 형성되어 개별적인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회전몸체(23)에 지지된다. 상기 회전구동부(3)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모터(31), 회전모터(31)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며 회전몸체(23)에 지지되는 연결모듈(32), 상기 고정지지부(1)에 지지되어 회전하고 상기 연결모듈(32), 상기 연결모듈(32)에 맞닿도록 형성되어 연결모듈(32)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상기 고정지지부(1)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부(2)의 회전중심이 되는 중심모듈(33)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모터(31)는 상기 회전부(2)가 회전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구동부지지부재(231)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회전모터(31)는 회전모터(31)에 형성되어 회전모터(31)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모터축(311)과 모터축(311)에 삽입되어 모터축(311)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기어(3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터축(311)은 상기 모터축삽입공(231b)에 삽입된다. 그리고 구동기어(312)는 상기 연결모듈(32)의 후술할 종동기어(322)와 맞물리도록 하여 구동기어(312)의 회전에 따라 종동기어(322)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모듈(32)은 상기 회전모터(31)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중심모듈(33)에 맞물리도록 하여 중심모듈(33)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회전몸체(23)가 회전하여 회전빔(21) 및 상부고정부재(22)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모듈(32)은 연결축(321), 종동기어(322), 회전연결기어(3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축(321)은 연결모듈(32)의 회전중심이 되는 구성으로, 상기 연결모듈고정공(231c)에 삽입되어 회전몸체(23)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연결축(321) 사에는 종동기어(322) 및 회전연결기어(323)가 삽입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종동기어(322)는 연결축(321)에 삽입되어 연결축(321)과 함께 회전하는 구성으로, 상기 구동기어(312)와 맞물리도록 하여 회전모터(31)의 작동에 따른 구동기어(312)의 회전에 따라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연결기어(323)는 상기 연결축(321)에 삽입되어 연결축(321)과 함께 회전하며, 회전모터(31)의 작동에 따른 종동기어(322)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된다. 특히, 상기 회전연결기어(323)는 중심모듈(33)의 중심기어(332)와 맞물리며, 상기 중심기어(332)가 고정지지부(1)에 고정됨에 따라 중심기어(332)에 맞물리는 회전연결기어(323)는 중심기어(33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중심모듈(33)은 상기 회전부(2)의 회전 중심이 되는 구성으로, 고정지지부(1)에 고정되는 회전축(331)과, 회전축(331)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중심기어(3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31)은 상기 고정판(11)에 양단이 고정되어 중심기어(332)가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331)은 회전몸체(23)의 회전축결합공(231d)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중심기어(332)와 맞물려 회전하는 회전연결기어(323)에 의해 회전부(2)의 회전중심이 되도록 한다.
상기 중심기어(332)는 회전축(331)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축(331)을 중심으로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하며, 상기 회전연결기어(323)가 맞물리도록 하여 중심기어(332)를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조절부(4)는 상기 회전구동부(3)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원격에서 수동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설정된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동조절부(4)는 바람직하게는 회전모터(31)에 형성되도록 하여 원격에서의 유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원격에서의 조정 또는 설정을 통해 회전부(2)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구동조절부(4)는 복수개로 형성되는 고정지지부(1) 각각의 회전부(2)에 대해 그 위치를 설정하여 각 위치별로 회전부(2)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그 회전각도와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여 이에 따른 회전모터(31)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조절부(4)는 위치정보입력모듈(41), 회전각도설정모듈(42), 시간정보설정모듈(43), 모터구동모듈(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입력모듈(41)은 작동시킬 회전부(2)의 위치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각 위치에 대한 식별번호를 부여하여 원격지에서 이에 관한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입력된 정보가 해당 위치의 구동조절부(4)로 전달되어 설정된 정보에 따른 회전구동부(3)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각도설정모듈(42)은 회전부(2)의 회전각도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각 위치의 회전부(2)에 대한 회전각도 정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각도설정모듈(42)은 회전부(2)의 회전 각도 또는 회전모터(31)의 작동 정도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여 회전각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시간정보설정모듈(43)은 설정된 회전각도에 대한 작동시간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각 회전각도에 대한 개시시점, 유지시간, 종료시점 등의 정보를 입력하여 설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설정된 시간에 설정된 각도로 회전부(2)가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터구동모듈(44)은 설정된 회전각도와 시간에 따라 회전모터(31)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회전부(2)의 자동 회전을 통해 다양한 조형물의 형태와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지지부(1) 양측의 회전부를 개별적으로 상하 회전시킬 수 있으며,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각도로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3차원 조형물의 움직임을 표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장 조형물 시스템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천장 조형물 시스템은 상기 회전빔(21)의 보강을 위해 보강결합모듈(24)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결합모듈(24)은 상기 회전빔(21)의 강도를 더욱 보강하여 휨을 방지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회전빔(21)이 상부고정부재(22)에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하도록 하여 회전부(2)의 자유로운 회전에도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보강결합모듈(24)은 보강판(241), 삽입홈(242), 부착수단(2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판(241)은 상기 회전빔(21) 상에 형성되어 회전빔(21)의 강도를 보강하는 구성으로, 회전빔(21)의 휨 현상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강판(241)은 상기 회전빔(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얇은 두께의 철판이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판(241)은 상부고정부재(22) 측 끝단에 회전빔(21)과 이격되는 연장부(241a)를 형성하도록 하여, 상부고정부재(22) 상에 놓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연장부(241a)를 상부고정부재(22) 상의 삽입홈(242)에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회전빔(21)을 상부고정부재(22)에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회전빔(21)의 휨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42)은 상부고정부재(22) 상에 상기 보강판(241)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보강판(241)의 연장부(241a)가 삽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삽입홈(242)은 외측으로 개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여 연장부(241a)가 삽입되도록 하며, 삽입홈(242) 내에는 부착수단(243)이 형성되어 연장부(241a)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부착수단(243)은 삽입홈(242) 내에 형성되어 연장부(241a)를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일 예로 자성물질이 도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판(241)은 자성물질에 부착될 수 있는 금속제로 형성되거나 연장부(241a) 끝단이 자성체 또는 자성물질로 형성되도록 하여 삽입홈(242)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장 조형물 시스템을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천장 조형물 시스템은 상기 회전빔(21) 내에 설치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조명부(5)와, 천장 조형물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5)는 상기 회전빔(21) 상에 형성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빔(21)에 의해 표현되는 3차원 조형물에 조명 효과를 부여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조명부(5)는 좌우 방향으로 긴 형태를 갖는 회전빔(21) 상에 손쉬운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고, 그 교체도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조명부(5)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조명모듈(51), 상기 조명모듈(51)이 안착되어 회전빔(21) 내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조명설치판(52), 상기 조명설치판(52)이 입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삽입레일(53), , 상기 조명설치판(52)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회전빔(21) 상에 관통되는 입출공(54), 상기 입출공(54)을 개폐하는 마감덮개(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모듈(51)은 회전빔(21) 내에 형성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회전빔(21)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명모듈(51)은 상기 조명설치판(52) 상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조명모듈(51) 상의 배터리(미도시)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명모듈(51)은 led 등 다양한 조명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조명모듈(51) 내에는 조명모듈(51)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측정센서(511)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전류측정센서(511)에 의해 측정되는 전류에 따라 조명모듈(51)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도록 하며, 전류측정센서(511)는 후술할 전류정보요청모듈(612)에 의해 요청에 따라 각 조명모듈(51)의 전류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조명감시부(61)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명설치판(52)은 조명모듈(51)이 고정설치되는 구성으로, 일정 길이와 너비를 갖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빔(21) 상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명설치판(52) 상에는 복수의 조명모듈(51)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조명모듈(51)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와 전선들이 고정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명설치판(52)은 상기 회전빔(21) 상에 입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조명모듈(51)의 설치 및 교체시 조명설치판(52)을 삽입시키고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조명모듈(51)의 설치와 교체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삽입 및 인출의 편리를 위해 가요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빔(21)은 상당한 길이로 천장에 설치되는바 상기 조명설치판(52)을 인출시키는 방식으로 조명모듈(51)의 설치 및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안전을 도모하고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조명설치판(52)을 복수개로 형성하여 회전빔(21)의 일정 길이마다 조명설치판(52)의 입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설치판(52)은 회전빔(21) 상의 삽입레일(53)을 따라 입출되어 일정한 경로를 따른 삽입 및 인출과 안정적인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입출공(54)을 통해 입출된다.
상기 삽입레일(53)은 조명설치판(52)이 삽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조명설치판(52)의 양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레일(53)은 조명설치판(52)의 삽입 후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입출공(54)은 회전빔(21) 상에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회전빔(21) 내에 조명설치판(52)이 입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회전빔(21)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명설치판(52)은 입출공(54)을 통해 회전빔(21) 내로 삽입되거나 회전빔(21)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으며, 상기 마감덮개(55)에 의해 개폐되도록 한다.
상기 마감덮개(55)는 상기 입출공(54)을 개폐하는 구성으로, 조명설치판(52)의 입출시 개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감덮개(55) 상에는 차단돌기(551)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돌기(551)에 의해 상기 조명설치판(52)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차단돌기(551)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공(54)의 폐쇄시 상기 조명설치판(52)의 끝단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명설치판(52)이 회전빔(21) 내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모니터링부(6)는 천장 조명물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구성으로, 천장에 고정되는 시스템 내에 설치되거나 또는 원격지에서 정보를 전달받아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조명부(5)의 작동을 감시하는 조명감시부(61)와, 상기 회전부(2)의 작동을 감시하는 구동감시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감시부(61)는 상기 조명모듈(51) 각각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하는 구성으로, 각 조명모듈(51)의 잔여 수명 또는 이상 여부와 이에 따른 교체 시기를 판단하여 이를 알리도록 함으로써 조명모듈(51)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조명감시부(61)는 각 조명모듈(51)의 작동시 조명모듈(51)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도록 하며, 측정된 전류값을 초기 전류값과 비교하도록 함으로써 각 조명모듈(51)의 잔여 수명을 판단하고, 잔여 수명이 일정 정도 이하이거나 고장이 발생한 경우 이를 알려 조명모듈(51)에 대한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때 교체가 필요한 조명모듈(51)의 위치를 특정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조명감시부(61)는 작동정보수신모듈(611), 전류정보요청모듈(612), 전류정보수신모듈(613), 작동지수산출모듈(614), 이상판단모듈(615), 이상점멸모듈(6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정보수신모듈(611)은 각 조명모듈(51)의 작동이 개시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작동의 개시 후 각 조명모듈(51)에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도록 한다.
상기 전류정보요청모듈(612)은 각 조명모듈(51)의 작동이 개시되는 경우 각 조명모듈(51)에 대한 전류 정보를 요청하는 구성으로, 각 조명모듈(51)에 형성된 전류측정센서(511)에 대해 전류 정보를 요청하도록 한다.
상기 전류정보수신모듈(613)은 상기 전류측정센서(511)에 의해 측정되는 전류값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각 조명모듈(51)에 대한 전류값 정보를 식별하여 수신·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작동지수산출모듈(614)은 수신된 전류값 정보에 따라 각 조명모듈(51)의 작동지수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여기서 작동지수라 함은 작동이 가능한 정도, 즉 잔여 수명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작동지수산출모듈(614)은 각 조명모듈(51)의 측정된 전류값을 초기 전류값으로 나누어 작동지수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으며, 작동지수가 높을수록 잔여 수명이 많이 남아있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상기 작동지수산출모듈(614)은 산출된 작동지수를 별도의 단말기를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이상판단모듈(615)에 의한 이상 판단의 자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상판단모듈(615)은 상기 작동지수산출모듈(614)에 의해 산출된 작동지수를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작동지수가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조명모듈(51)의 이상으로 판단하는 구성으로, 각 조명모듈(51)의 잔여 수명이 일정 정도 미만인거나 고장이 발생한 경우 이상으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이상판단모듈(615)은 이상이 발생한 조명모듈(51)의 위치를 별도 사용자단말기 등을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상기 이상점멸모듈(616)에 의해 회전빔(21) 자체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이상점멸모듈(616)은 이상이 발생한 조명모듈(51)에 가장 인접한 조명모듈(51)을 점멸시키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이상이 발생한 조명모듈(51)의 위치를 작업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조명모듈(51)을 교체하고자 하는 작업자는 이상이 발생한 조명모듈(51)의 위치를 쉽게 식별하고, 해당 위치의 조명설치판(52)을 회전빔(21) 밖으로 인출하여 신속한 조명모듈(51)의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감시부(62)는 상기 회전부(2)의 작동을 감시하는 구성으로, 상기 구동조절부(4)에 의해 설정된 각도에 따라 회전부(2)가 정확하게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부(2)는 회전모터(31)의 작동에 따라 구동기어(312)에 맞물린 종동기어(322)가 회전하고, 종동기어(322)와 함께 연결축(321)에 연결된 회전연결기어(323)가 회전하며, 회전연결기어(323)가 일정 위치에 고정된 중심기어(332)에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회전연결기어(323)가 지지된 회전몸체(23) 및 이와 결합된 회전빔(21)이 회전하게 되는바, 구동기어(312), 종동기어(322), 회전연결기어(323), 중심기어(332) 중 어느 하나의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구동조절부(4)의 제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 설정된 각도에 따라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감시부(62)는 상기 회전부(2)의 회전각도를 측정하여 설정된 값과의 비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회전부(2)의 이상 작동을 감지해낼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구동감시부(62)는 회전부(2)의 고장뿐만 아니라 고장 위험 시점의 예측과 고장 발생 전이라도 회전부(2) 작동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감시부(62)는 고장진단부(621), 고장예측부(622), 저하감지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2)의 회전각도는 상기 중심모듈(33)에 형성되는 회전측정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일 예로 회전측정센서(미도시)는 상기 회전축(331) 상에 형성되어 중심기어(332)의 회전을 측정하거나 고정지지부(1) 상에 별도로 형성되어 중심기어(332)의 회전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장진단부(621)는 회전부(2) 작동의 고장을 진단하는 구성으로, 설정된 회전각도와 실제 회전각도의 정보를 비교하여 그 오차가 일정 정도를 초과하는 경우 고장으로 판단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장진단부(621)는 설정정보수신모듈(621a), 회전정보수신모듈(621b), 회전각비교모듈(621c), 고장알림모듈(621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정보수신모듈(621a)은 상기 구동조절부(4)에 의해 설정된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회전부(2)의 위치, 회전각도, 작동시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정보수신모듈(621b)은 각 회전부(2)의 회전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측정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되는 회전각도와 그 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각비교모듈(621c)은 상기 설정정보수신모듈(621a)에 의해 수신된 각 회전부(2)의 설정정보와 상기 회전정보수신모듈(621b)에 의해 수신되는 회전부(2)의 측정정보를 비교하여, 특정 시점에서의 설정된 회전각도와 실제 측정된 회전각도를 비교하도록 한다.
상기 고장알림모듈(621d)은 설정된 회전각도와 실제 회전각도의 차이가 일정 정도를 초과하는 경우 고장으로 판단하여 이를 알리도록 하는 구성으로, 회전부(2)의 위치와 함께 별도의 사용자단말기 등으로 고장 정보를 전달하도록 한다.
상기 고장예측부(622)는 상기 고장진단부(621)에 의해 고장으로 진단되지는 않으나 회전각도에 대한 일정 정도의 오차가 지속되는 경우 고장의 위험 시점을 예측하여 알리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고장에 대한 대비가 미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장예측부(622)는 오차저장모듈(622a), 시간측정모듈(622b), 이상지수산출모듈(622c), 고장시기예측모듈(622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차저장모듈(622a)은 설정된 회전각도와 실제 회전각도의 오차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오차가 일정 범위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오차값의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일정 범위라 함은 오차가 고장으로 진단되는 값 이하의 일정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고장으로 진단되지는 않으나 고장에 근접한 일정 범위의 오차값을 의미한다.
상기 시간측정모듈(622b)은 회전각도의 오차가 일정 범위에 지속적으로 존재하는 경우 그 지속시간을 측정하도록 한다.
상기 이상지수산출모듈(622c)은 오차저장모듈(622a)에 의해 저장되는 오차값과 각 오차값에 대한 지속시간을 곱하여 이상지수를 산출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일정시간 간격으로 오차값을 산출하도록 하고, 해당 오차값에 지속시간을 곱하여 이상지수를 산출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이상지수산출모듈(622c)에 의해 산출되는 이상지수는 오차값이 크고 지속시간이 길수록 높은값을 갖게 된다.
상기 고장시기예측모듈(622d)은 상기 이상지수산출모듈(622c)에 의해 산출되는 이상지수에 따라 고장 발생 위험이 높은 시점을 예측하여 알리는 구성으로, 이상지수에 따라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시점을 미리 설정하여 두고 이에 따른 고장 예측 시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지수에 따른 고장 위험 시점 정보는 실험적 또는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상지수를 10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가장 높은 1구간일 경우에는 1일 내, 2구간일 경우에는 3일 내 등 각 구간에 따라 고장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시점을 예측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저하감지부(623)는 상기 고장진단부(621)에 의해 고장이 진단되거나 상기 고장예측부(622)에 의해 고장 위험 시점이 예측되지 않더라도 회전각도의 오차가 급격하게 변하는 경우 회전부(2)의 성능 저하를 감지하여 이를 알릴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저하감지부(623)는 오차변화율산출모듈(623a), 설정값비교모듈(623b), 지속시간계측모듈(623c), 성능저하판단모듈(623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차변화율산출모듈(623a)은 회전각도의 오차에 관한 변화율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오차값에 대한 기울기를 산출하도록 한다.
상기 설정값비교모듈(623b)은 상기 오차변화율산출모듈(623a)에 의해 산출된 오차와 설정된 오차변화율 값을 비교하는 구성으로, 변화율이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즉 회전각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 그 지속시간을 측정하도록 한다.
상기 지속시간계측모듈(623c)은 상기 설정값비교모듈(623b)에서 오차의 변화율이 설정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그 지속시간을 측정하도록 한다.
상기 성능저하판단모듈(623d)은 상기 지속시간계측모듈(623c)에 의해 측정되는 지속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회전부(2)의 작동 성능이 저하는 것을 판단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성능저하판단모듈(623d)은 고장이 발생하거나 고장의 위험이 예측되기 전이라도 회전부(2)의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미리 판단하여 이에 대한 대처가 미리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고정지지부
11: 고정판 12: 연결고정부재
2: 회전부
21: 회전빔 211: 보강절곡판 212: 몸체결합홀
213: 체결결합공 22: 상부고정부재 221: 절곡홈
222: 체결공 23: 회전몸체 231: 구동부지지부재
231a: 모터고정공 231b: 모터축삽입공 231c: 연결모듈고정공
231d: 회전축결합공 232: 회전빔고정판 232a: 삽입돌기
232b: 결합공 24: 보강결합모듈 241: 보강판
241a: 연장부 242: 삽입홈 243: 부착수단
3: 회전구동부
31: 회전모터 311: 모터축 312: 구동기어
32: 연결모듈 321: 연결축 322: 종동기어
323: 회전연결기어 33: 중심모듈 331: 회전축
332: 중심기어
4: 구동조절부
5: 조명부
51: 조명모듈 52: 조명설치판 53: 삽입레일
54: 입출공 55: 마감덮개 551: 차단돌기
6: 모니터링부
61: 조명감시부 62: 구동감시부 621: 고장진단부
622: 고장예측부 623: 저하감지부

Claims (15)

  1. 천장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지지부와,
    각각의 고정지지부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 각각에 형성되어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여,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3차원 조형물을 표현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고정지지부 일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하는 회전빔과; 상기 회전빔의 고정지지부측 끝단을 상측에서 눌러 고정시키는 상부고정부재와; 상기 회전빔 및 상부고정부재가 결합하여 고정되며, 상기 고정지지부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전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회전몸체에 고정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몸체에 지지되며, 상기 회전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연결모듈과; 상기 연결모듈에 맞닿도록 형성되어 연결모듈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상기 고정지지부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중심이 되는 중심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모터는,
    그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모터축과, 상기 모터축에 삽입되어 모터축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회전몸체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와; 상기 연결축에 삽입되어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회전연결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모듈은,
    상기 고정지지부에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연결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중심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모터의 작동에 따른 회전연결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몸체 및 이에 결합된 회전빔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조형물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빔 및 상부고정부재는
    하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되는 호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조형물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빔은
    그 중앙측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보강절곡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고정부재는,
    상기 보강절곡판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측으로 함입되는 절곡홈을 포함하여, 보강절곡판이 형성된 회전빔을 눌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조형물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몸체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구동부의 각 구성들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구동부지지부재와, 상기 구동부지지부재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빔 및 상부고정부재가 지지·결합되는 회전빔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조형물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빔고정판은
    그 중앙측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빔은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몸체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조형물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조형물 시스템은
    상기 회전구동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동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조절부는,
    상기 회전부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하는 위치정보입력모듈과, 각 위치의 회전부에 대한 회전각도 정보를 설정하는 회전각도설정모듈과, 각 회전부의 회전에 대한 시점정보를 설정하는 시간정보설정모듈과, 설정된 시점 및 회전각도에 따라 각 위치의 회전모터를 작동시키는 모터구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조형물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조형물 시스템은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구동조절부에 의한 회전부의 작동을 감시하는 구동감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감시부는 회전부의 작동에 대한 고장을 진단하여 알리는 고장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모듈은 상기 중심기어의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회전측정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고장진단부는,
    각 회전부에 대해 설정된 회전각도 및 시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설정정보수신모듈과, 상기 회전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중심기어의 회전정보를 수신하는 회전정보수신모듈과, 설정된 회전각도와 실제 회전각도를 비교하는 회전각비교모듈과, 회전각도의 오차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회전부 작동의 고장으로 판단하여 이를 알리는 고장알림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조형물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감시부는
    상기 고장진단부에 의해 고장으로 진단되지는 않았으나 고장 위험 시점이 근접한 경우 고장 위험 시점을 예측하여 제공하는 고장예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장예측부는,
    설정된 회전각도와 실제 회전각도의 오차가 임계값 이하의 일정 범위에 존재하는 경우 그 오차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오차저장모듈과, 오차가 일정 범위에 존재하는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시간측정모듈과, 오차저장모듈에 의해 저장되는 오차값과 시간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되는 지속시간을 곱하여 이상 정도에 관한 이상지수를 산출하는 이상지수산출모듈과, 산출된 이상지수에 따라 고장 위험 시점을 예측하여 알리는 고장시기예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조형물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감시부는
    고장으로 진단되거나 고장 위험 시점이 예측되지 않더라도 오차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에는 회전부의 작동에 대한 급격한 성능 저하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알리는 저하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하감지부는,
    설정된 회전각도와 실제 회전각도의 오차에 관한 시간에 따른 변화율을 산출하는 오차변화율산출모듈과, 산출된 오차 변화율을 설정된 값과 비교하는 설정값비교모듈과, 오차 변화율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그 지속시간을 계측하는 지속시간계측모듈과, 지속시간일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성능저하로 판단하여 알리는 성능저하판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조형물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조형물 시스템은
    상기 회전빔 내에 설치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회전빔 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조명모듈과; 상기 조명모듈이 안착되며, 회전빔 내에 삽입되어 입출되는 조명설치판과; 상기 조명설치판이 지지되어 삽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삽입레일과, 상기 회전빔 상에 관통되어 조명설치판이 입출되는 입출공과, 상기 입출공을 개폐하는 마감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조형물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조형물 시스템은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조명부의 작동을 감시하는 조명감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모듈은 조명모듈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감시부는,
    상기 조명모듈의 작동정보를 수신하는 작동정보수신모듈과, 작동되는 조명모듈에 흐르는 전류에 관한 정보를 전류측정센서로 요청하는 전류정보요청모듈과, 상기 전류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전류정보를 수신하는 전류정보수신모듈과, 각 조명모듈의 초기 전류량과 측정된 전류량의 비율에 따라 작동지수를 산출하는 작동지수산출모듈과, 작동지수가 설정값 미만인 경우 조명모듈의 이상으로 판단하는 이상판단모듈과, 이상으로 판단된 조명모듈에 근접한 조명모듈을 점멸시키는 이상점멸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조형물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빔의 강도를 보강하여 휨을 방지하는 보강결합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보강결합모듈은,
    상기 회전빔 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되며, 그 끝단에 회전빔과 떨어져 상부고정부재 상에 안착되는 연장부를 갖는 보강판과; 상기 상부고정부재 상에 형성되어 상기 보강판의 연장부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보강판을 삽입홈 내에 고정시키는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조형물 시스템.
KR1020200029319A 2020-03-10 2020-03-10 천장 조형물 시스템 KR102142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319A KR102142239B1 (ko) 2020-03-10 2020-03-10 천장 조형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319A KR102142239B1 (ko) 2020-03-10 2020-03-10 천장 조형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239B1 true KR102142239B1 (ko) 2020-08-06

Family

ID=72040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319A KR102142239B1 (ko) 2020-03-10 2020-03-10 천장 조형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2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898Y1 (ko) * 2001-07-25 2001-11-22 박충근 영유아용 모빌
KR20130044625A (ko) * 2011-10-24 2013-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을 이용한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6223170A (ja) * 2015-05-29 2016-12-28 株式会社イトーキ 間仕切パネルにおける撓み防止装置
KR20170140734A (ko) * 2016-06-13 2017-12-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물질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898Y1 (ko) * 2001-07-25 2001-11-22 박충근 영유아용 모빌
KR20130044625A (ko) * 2011-10-24 2013-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을 이용한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6223170A (ja) * 2015-05-29 2016-12-28 株式会社イトーキ 間仕切パネルにおける撓み防止装置
KR20170140734A (ko) * 2016-06-13 2017-12-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물질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3196B2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vehicle lift and vehicle service system
EP3244387B1 (en) Led display screen
KR101862143B1 (ko) 지중 배전선로의 고장 감시장치
ES2960605T3 (es) Unidad de monitorización para monitorizar un ascensor
US7131525B2 (en) Conveyor belt cleaner scraper blade with sensor and control system therefor
KR100844325B1 (ko) 멀티에어컨의 디맨드 제어시스템
US20030098777A1 (en) Power management for locking system
KR102142239B1 (ko) 천장 조형물 시스템
ES2959933T3 (es) Sistemas y métodos de inspección de contrapeso de ascensor automático
JP2009208932A (ja) エレベータの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
CN109544843A (zh) 一种具有环境监测和远程传输功能的智能消防警铃
KR101990006B1 (ko)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 보강장치
KR20190076816A (ko) 워킹벨트 슬립방지 런닝머신 및 런닝머신의 원격 관리방법
KR102254007B1 (ko) 특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위치 감시 장치
KR20160115182A (ko) 무대장치 사고예측 장치
EP3608279A1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movement of an elevator door using rfid
KR101030107B1 (ko) 조명 설비 내 누설 전류 진단 및 적산전력량 검출 시스템
CN217264076U (zh) 电梯维保监管系统
CN217025087U (zh) 一种推力杆预警装置及起重设备
KR20200039382A (ko) 도로 감시 시스템
KR20170078943A (ko) 엘리베이터의 고장예측시스템
KR20160115181A (ko) 무대장치 사고예측 시스템
KR100967844B1 (ko) 벽체 두께 측정용 안전진단장비
US20080079387A1 (en) Alarm system power
KR102431509B1 (ko) 중앙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