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006B1 -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 보강장치 - Google Patents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 보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006B1
KR101990006B1 KR1020190001408A KR20190001408A KR101990006B1 KR 101990006 B1 KR101990006 B1 KR 101990006B1 KR 1020190001408 A KR1020190001408 A KR 1020190001408A KR 20190001408 A KR20190001408 A KR 20190001408A KR 101990006 B1 KR101990006 B1 KR 101990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uilding
points
control unit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재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로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로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로건설
Priority to KR1020190001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0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가 파손이나 절단될 경우 센서부에서 이를 감지하여 파손 또는 절단 된 와이어의 위치를 제어부로 전송하여 그 제어부의 신호를 통해 파손 또는 절단된 와이어와 근접 설치된 파손경고등을 작동시키는 한편, 제어부와 연결되는 각각의 케이블 상에 설치된 경고등과 안전등은 안전할 경우 청색의 안전등이 작동되고, 와이어에 이상이 생기면 센서의 신호를 통해 적색의 경고등이 작동되도록 하며, 파손 또는 절단이 발생한 와이어의 위치, 해당 와이어의 파손 또는 절단 여부, 건물의 층수, 노후정도를 종합하여 건물위험도 점수를 산출함으로써, 건물의 현 상황에 대한 종합적인 파악 및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 보강장치{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APPARATUS OF SUPERANNUATION CONSTRU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구조물의 내진 보강을 위하여 설치된 와이어가 파손이나 절단될 경우 센서부에서 이를 감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건물위험도 점수를 산출하여 건물의 위험도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1978년 홍성지진이 발생한 이후에, 지진에 대하여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후, 내진설계를 위한 시행령이 제정되어 1988년 7월 1일부터는 소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에 대해서는 반드시 내진설계를 실시하도록 의무화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지진을 경험한 사례가 많지 않았고, 지진관련 연구도 미미하여 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시에 지진에 대하여 구조물이 저항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내진설계를 도입하는데 적지 않은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위와 같은 내진설계의 의무화가 시행되기 이전인 1988년 7월 이전에 설계된 건축물들은 지진에 대한 대책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와 같이 내진설계가 이루어지지 아니한 건축물들이 많은 대도시 지역에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는 건물의 붕괴 등 상당한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실제로 1995년 일본의 고베에서 발생되었던 지진에 의한 피해를 살펴보면 이러한 문제점이 심각하게 드러난다.
따라서, 구조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물의 내진보강이 시급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1752369호는 건축구조물의 내진 보강을 위하여 설치된 와이어가 파손이나 절단될 경우 센서부에서 이를 감지하여 파손 또는 절단된 와이어의 위치를 제어부로 전송하여 그 제어부의 신호를 통해 파손 또는 절단된 와이어와 근접 설치된 파손경고등을 작동시키는 한편, 제어부와 연결되는 각각의 케이블 상에 설치된 경고등과 안전등은 와이어가 안전할 경우 청색 안전등이 작동되고, 와이어에 이상이 생기면 센서의 신호를 통해 적색의 경고등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 제10-1752369호는 파손경고등, 안전등, 경고등을 작동시켜서 어느 와이어가 안전한지, 위험한지를 현장의 관리자가 알 수는 있으나, 원격으로 종합적인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 및 위험도에 따른 대처가 안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21706호 한국등록특허 제10-175236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구조물의 내진 보강을 위하여 설치된 와이어가 파손이나 절단될 경우 센서부에서 이를 감지하여 파손 또는 절단된 와이어의 위치를 제어부로 전송하여 그 제어부의 신호를 통해 파손 또는 절단된 와이어와 근접 설치된 파손경고등을 작동시키는 한편, 제어부와 연결되는 각각의 케이블 상에 설치된 경고등과 안전등은 안전할 경우 청색의 안전등이 작동되고, 와이어에 이상이 생기면 센서의 신호를 통해 적색의 경고등이 작동되도록 하며, 와이어를 감싸는 고정, 덮개커버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 보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이상이 발생한 와이어의 위치, 해당 와이어의 파손 또는 절단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이상이 발생한 와이어의 위치, 해당 와이어의 파손 또는 절단 여부와 건물의 층수, 노후정도를 종합하여 건물위험도 점수를 산출하고 건물위험도 점수에 따른 즉각적인 상황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 보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측 벽면 상하단과 모서리에 다수개 설치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 간에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설치되어 와이어에 흐르는 전류의 이상을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에서 와이어에 흐르는 전류의 측정값을 전송받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건축물의 지붕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와이어에 흐르는 전류에 이상이 생기면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작동하는 파손경고등;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를 따라 별도로 설치되는 케이블에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전류에 이상이 없으면 작동되는 안전등;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를 따라 별도로 설치되는 케이블에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안전등 간에 설치되어 센서에서 측정된 전류에 이상이 발생하면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점등되는 다수개의 경고등;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의 파손이나 절단 등으로 인해 센서부의 신호를 통해 파손경고등 및 다수개의 경고등이 작동할 때 상기 제어부로부터 이상이 발생된 와이어의 위치, 해당 와이어의 파손 또는 절단 여부를 수신하여 무선 또는 유선으로 원격상황모니터링수단에 전송하는 상황전송부; 및 건물의 층수, 건물의 노후정도를 기록 및 관리하며, 상기 상황전송부로부터 수신한 이상이 발생한 와이어의 위치, 해당 와이어의 파손 또는 절단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이상이 발생한 와이어의 위치, 해당 와이어의 파손 또는 절단 여부와 건물의 층수, 노후정도를 종합하여 건물위험도 점수를 산출하는 원격상황모니터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 보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구조물의 내진 보강을 위하여 설치된 와이어가 파손이나 절단될 경우 센서부에서 이를 감지하여 파손 또는 절단된 와이어의 위치를 제어부로 전송하여 그 제어부의 신호를 통해 파손 또는 절단된 와이어와 근접 설치된 파손경고등을 작동시키는 한편, 제어부와 연결되는 각각의 케이블 상에 설치된 경고등과 안전등은 와이어가 안전할 경우 청색 안전등이 작동되고, 와이어에 이상이 생기면 센서의 신호를 통해 적색의 경고등이 작동되며, 와이어를 감싸는 고정, 덮개커버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건물의 층수, 건물의 노후정도를 기록 및 관리하며, 상황전송부로부터 수신한 이상이 발생한 와이어의 위치, 해당 와이어의 파손 또는 절단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이상이 발생한 와이어의 위치, 해당 와이어의 파손 또는 절단 여부와 건물의 층수, 노후정도를 종합하여 건물위험도 점수를 산출하여 모니터링 함으로써, 관리자가 건물의 위험도에 따라 즉각적인 조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보강장치가 설치된 건축물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보강장치에서 고정부재와 와이어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보강장치에서 고정부재와 와이어에 덮개부와 커버부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보강장치에서 커버부가 결합된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보강장치에서 와이어와 커버부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보강장치에서 안전 진단을 하는장치들이 와이어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보강장치 및 안전진단장치의 와이어 파손시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보강장치에서 안전잔단을 하는 장치들이 와이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보강장치에서 파손경고등과 제어부가 연결된 것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보강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보강장치에서 고정, 덮개커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덮개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서 고정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에서 절첩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 및 부분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에서 고정, 덮개커버의 탈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 특허 제1752369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은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 보강장치에 있어서, 건축물의 외측 벽면 상,하단과 모서리에 다수개 설치 고정되는 고정부재(10), 상기 고정부재(10) 간에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와이어(20), 상기 와이어(20)에 설치되어 그 와이어(20)에 흐르는 전류의 이상을 측정하는 센서부(44), 상기 센서부(44)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44)에서 와이어(20)에 흐르는 전류의 측정값을 전송받아 제어하는 제어부(40), 상기 제어부(40)와 연결되며 건축물의 지붕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44)에서 측정된 와이어(20)에 흐르는 전류에 이상이 생기면 제어부(40)의 제어신호로 작동하는 파손경고등(43), 상기 제어부(40)와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20)를 따라 별도로 설치되는 케이블에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44)에서 측정된 전류에 이상이 없으면 작동되는 안전등(42), 상기 제어부(40)와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20)를 따라 별도로 설치되는 케이블에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안전등(42) 간에 설치되어 센서에서 측정된 전류에 이상이 발생하면 제어부(40)의 제어신호로 점등되는 다수개의 경고등(41), 상기 제어부(40)와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20)의 파손이나 절단 등으로 인해 센서부(44)의 신호를 통해 파손경고등(43) 및 다수개의 경고등(41)이 작동할 때 상기 제어부(40)로부터 이상이 발생된 와이어(20)의 위치, 해당 와이어(20)의 파손 또는 절단 여부를 수신하여 무선 또는 유선으로 원격상황모니터링수단(80)에 전송하는 상황전송부(45)와, 건물의 층수, 건물의 노후정도를 기록 및 관리하며, 상기 상황전송부(45)로부터 수신한 이상이 발생한 와이어(20)의 위치, 해당 와이어(20)의 파손 또는 절단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이상이 발생한 와이어(20)의 위치, 해당 와이어(20)의 파손 또는 절단 여부와 건물의 층수, 노후정도를 종합하여 건물위험도 점수를 산출하는 원격상황모니터링수단(8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와 연결되며 태양열로 전기를 공급하는 태양열 충전판(50)과 연결되고 상기 태양열 충전판(50)에서 전송되는 전기를 충전하며 상기 제어부(40)에 전기를 공급하는 충전부(60) 및 상기 충전부(60)와 연결되고 태양열로 전기를 발생시켜 공급하는 태양열충전판(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0)의 외측면에는 덮개부(11)가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10)의 외측면을 덮으며, 상기 와이어(20)의 외측에는 고정커버(31)와 덮개커버(32)로 이루어지는 커버부(30)가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노후된 건축물의 외측 상, 하측과 모서리에 고정부재(10)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재(10)의 대각선 방향으로 와이어(20)가 사진 상 최즉 고정부재(10) 부재(10) 간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20)의 끝단에 센서부(44)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44)와 제어부(40)가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20)에 전류를 전도시키며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40)와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재(10)에 설치되어 파손경고등(43)이 상기 센서부(44)에서 측정되는 감지 신호를 통해 작동되며, 상기 제어부(40)와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20)를 따라 설치되는 각각의 케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을 감싸는 전선관에 번갈아 일렬로 경고등(41)과 안전등(42)이 배치되며, 태양열로 발생된 전기를 공급하는 충전부(60)가 상기 제어부(40)와 연결되고, 상기 충전부(60)에 태양열 충전판(50)이 연결되어 태양열로 전기를 발생시켜 상기 충전부(60)에 전기를 공급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0)의 외측에는 상기 고정부재(10)의 외형과 동일한 형태의 덮개부(11)가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20)의 외측에는 고정커버(31)와 덮개커버(32)로 이루어지는 커버부(30)가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20)와 상기 안전등(42) 및 경고등(41)을 감싸며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와이어(20)가 파손이나 절단 등으로 인해 와이어(20)에 이상이 발생될 경우 상기 센서부(44)에서 감지하여 파손이나 절단 등으로 인해 와이어(20)에 이상이 발생되면, 이상이 발생된 와이어(20)의 위치를 상기 제어부(40)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제어부(40)의 신호를 통해 와이어(20)와 근접 설치된 파손경고등(43)을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센서부(44)는 상기 와이어(20)에 전기를 인가하고 되돌아오는 전기의 값과 최초 인가된 전기의 전압 및 전류값을 비교하여 변화된 저항값을 통해 파손 및 절단 등의 와이어(20) 이상을 감지한다.
파손의 경우에는 측정되는 전류의 저항값이 높아지고, 절단의 경우에는 전류가 측정되지 않게 되어 이를 이용하여 구분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와 연결되는 각각의 케이블 상에 설치된 경고등(41)과 안전등(42)은 안전할 경우 청색의 안전등(42)이 작동되고, 상기 와이어(20)에 파손이나 절단 등으로 인해 와이어(20)에 이상이 발생되면 상기 센서부(44)의 신호를 통해 적색의 경고등(41)이 작동되며, 상기 적색의 경고등과 파손경고등이 동시에 작동된다.
또한, 상기 충전부(60)는 상기 태양열 충전판(50)에서 전송되는 전기가 충분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이 부족할 경우 외부의 전원을 전송 받아 충전 및 상기 제어부(40)로 전송한다.
고정부재(10)마다 제어부(40)가 각각 구비되며, 각 제어부(40)에는 상황전송부(45)가 연결된다. 상황전송부(45)는 제어부(40)에 인접하여 유선으로 연결된다.
상황전송부(45)는 상기 와이어(20)의 파손이나 절단 등으로 인해 센서부(44)의 신호를 통해 파손경고등(43) 및 다수개의 경고등(41)이 작동할 때 상기 제어부(40)로부터 이상이 발생된 와이어(20)의 위치, 해당 와이어(20)의 파손 또는 절단 여부를 수신하여 무선 또는 유선으로 원격상황모니터링수단(80)에 전송한다. 원격상황모니터링수단(80)은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관리자 서버 또는 관리자 컴퓨터에서 구현된다.
원격상황모니터링수단(80)은 건물의 층수, 건물의 노후정도를 기록 및 관리하며, 상기 상황전송부(45)로부터 수신한 이상이 발생한 와이어(20)의 위치, 해당 와이어(20)의 파손 또는 절단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이상이 발생한 와이어(20)의 위치, 해당 와이어(20)의 파손 또는 절단 여부와 건물의 층수, 노후정도를 종합하여 건물위험도 점수를 산출한다. 건물의 노후정도는 전문가의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하며, A+, A0, A-, B+, B0, B- 등과 같은 등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축물이 26년 정도 되어 노후정도가 심하면 C~D 등급으로 표시될 것이다. 물론, 관리를 어떻게 하느냐 따라 오래된 건물이라도 노후정도가 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와이어(20)의 위치를 알 수가 있는데, 이상이 발생한 와이어(20)의 위치가 건물의 중앙부에 해당하는지, 건물의 오른쪽 또는 왼쪽 측면부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위험도 점수 산출에 적용되는 가중치가 다를 것이다. 그리고 파손 보다 절단이 더 위험한 상황이기 때문에 가중치가 더 높아야 한다. 또한, 건물의 층수가 높을수록 위험도 점수는 높아질 것이다.
상기 원격상황모니터링수단(80)은 해당 건물의 층수, 건물의 준공년도, 건물의 노후등급을 건물상태 DB에 기록 및 관리하고, 이상이 발생한 와이어(20)의 위치가 건물의 측면부보다 중간부에 가까울수록, 와이어(20)가 파손보다는 절단된 것일수록, 건물의 층수가 높을수록, 건물의 준공년도가 오래되고, 노후등급이 높을수록 상기 건물위험도 점수가 높아진다.
그리고, 각 상황전송부(45)로부터 일정기간 동안 서로 다른 위치에서 복수의 와이어(20)에 대한 파손 또는 절단 여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건물의 위험도 점수가 일정부분 더 높아진다. 예를 들어, 1주일 사이에 2개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와이어(20)가 파손 또는 절단되는 경우는 하나의 와이어(20)가 파손 또는 절단되는 경우보다 위험한 경우이기 때문에 위험도 점수를 높게 산정한다.
아래는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점수를 부여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 와이어의 위치가 측면부일 때 5점, 측면부와 중간부 사이의 위치일 때 7점, 와이어의 위치가 중간부일 때 9점
- 와이어가 파손된 경우 10점, 와이어가 절단된 경우 20점
- 건물의 층수가 1~3층은 5점, 4~6층은 7점, 7~10층은 10점, 11층 이상은 15점
- 노후등급에 따른 점수는 A+(0점), A0(1점), A-(2점), B+(3점), B0(4점), B-(5점), C+(6점), C0(7점), C-(8점), D+(9점), D0(10점), D-(11점)
- 준공년도에 따른 점수는 10년 이하는 1점, 11~15년은 3점, 16~20년은 6점, 21년 이상은 10점
- 1주일 사이에 2개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와이어에서 파손 또는 절단 여부를 수신하면 10점, 1주일 사이에 3개 이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와이어에서 파손 또는 절단 여부를 수신하면 20점
원격상황모니터링수단(80)은 상기의 예와 같이 각 상황에 따라 점수를 종합하여 건물위험도 점수를 산정하며, 건물위험도 점수에 따라 단순히 유지보수를 하면 될 상황인지, 아니면 위험한 상황이어서 긴급 조치를 내려야 할 상황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도 11 내지 도 15와 같이 고정커버와 덮개커버(31,32)의 탈착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상기 고정커버(31)는 상기 와이어(20)를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대향되는 제1,2고정판(31a, 31b) 및 상기 제1,2고정판(31a, 31b)의 일측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판(31c)을 포함한다.
상기 덮개커버(32)는 일측이 상기 제1고정판(31a)의 타측과 절첩수단(33)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덮개판(32a), 상기 제1덮개판(32a)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절첩수단(33)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커버(31)가 회동됨에 따라 상기 제2고정판(31b)이 접하거나 이격되는 제2덮개판(32b) 및 상기 제1,2덮개판(32a, 32b)의 타측을 일체로 연결하는 곡면판(32c)을 포함한다.
상기 절첩수단(33)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형태의 경첩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절첩수단(33)은 힌지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절첩수단(33)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덮개판(32a)의 타측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힌지공(33b)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힌지바(33a), 상기 제1고정판(31a)의 일측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제1힌지바(33a) 사이로 결합되고 상기 제1힌지공(33b)과 연통되는 제2힌지공(33d)이 형성되는 제2힌지바(33c) 및 상기 제1,2힌지공(33b, 33d)으로 결합되는 힌지축(33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힌지바(33a) 중 적어도 하나의 힌지바는 상기 제1힌지공(33b)을 이루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33e)은 중앙부를 제외한 상,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1힌지바(33a)에 나사결합될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커버(31)는 상기 제2힌지바(33c)가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상기 힌지축(33e)의 중앙부에 결합되면서 그 힌지축(33e)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상기 제2고정판(31b)은 타측이 상기 제1고정판(31a)보다 타측 즉 상기 덮개커버(3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제2덮개판(32b)의 전면에 접한다.
즉, 상기 제1,2고정판(31a, 31b)은 상기 제2고정판(31b)의 타측이 상기 제1고정판(31a)보다 상기 덮개커버(3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다.
상기 고정커버(31)는 상기 제2고정판(31b)을 양측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절첩수단(33)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그 제2고정판(31b)이 상기 제2덮개판(32b)의 전면에 접하거나, 그 제2덮개판(32b)으로부터 이격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2고정판(31b)을 상기 제2덮개판(32b)에 탈착 가능하게 결속하기 위한 결속수단(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수단(34)은 상기 제2덮개판(32b)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결속구(34a) 및 상기 복수의 결속구(34a)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결속부재(34b)를 포함한다.
상기 결속부재(34b)는 일반적인 형태의 너트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고정커버(31)는 상기 제2고정판(31b)의 타측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결속구(34a)로 결합되는 복수의 결속홈(31d)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결속홈(31d)은 상기 복수의 결속구(34a)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고정커버(31)가 상기 절첩수단(33)을 중심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각 결속구(34a)의 외측으로 결합되거나, 그 결속구(34a)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결속부재(34b)는 조임 또는 풀림 회전에 따라 상기 결속구(34a)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2덮개판(32b)을 가압하여 그 제2덮개판(32b)과 상기 제2고정판(31b)이 결속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2덮개판(32b)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제2고정판(31b)이 상기 절첩수단(33)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복수의 결속구(34a)는 각각 전단부에 상기 결속부재(34b)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35)는 상기 결속구(34a)의 전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결속부재(34b)가 상기 결속구(34a)에 결합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스토퍼(35)는 상기 결속부재(34b)의 풀림 회전에 따라 그 결속부재(34b)가 상기 결속구(34a)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그 결속구(34a)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의 이탈 등으로 인한 분실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커버(31)는 상기 연결판(31c)에 상기 경고등(41)이나 상기 안전등(42)의 점등 또는 소등 상태 등을 확인하기 위한 가시창(36)이 형성될 수 있다.
가시창(36)은 공업용 강화 플라스틱류로 이루어지고 두께는 3 내지 5 밀리미터 범위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이격된 하나 이상 다수의 프레즈넬 렌즈(36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즈넬 렌즈(36a)는 복수로 이루어져 상기 경고등(41) 및 상기 안전등(42)의 숫자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직경은 30 내지 60밀리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하되 45 밀리미터의 직경으로 구성하는 것이 시각적으로 눈에 잘 띄게 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덮개커버(32)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다수의 통풍공(32d)이 형성 될 수 있다. 통풍공(32d)은 도면에서 원형홀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가로 방향의 슬롯 형상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 다수를 구비하되 많을수록 통풍에는 매우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커버(31) 및 상기 덮개커버(32)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에 절연부재(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37)는 상기 와이어(20) 등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커버부(30)로 전류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두께는 최소 5 센티미터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외부 충격으로부터 커버부(30)가 와이어(20)와 접촉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절연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10 : 고정부재 11 : 덮개부
20 : 와이어 30 : 커버부
31 : 고정커버 31a : 제1고정판
31b : 제2고정판 31c : 연결판
31d : 결속홈 32 : 덮개커버
32a : 제1덮개판 32b : 제2덮개판
32c : 곡면판 33 : 절첩수단
33a : 제1힌지바 33b : 제1힌지공
33c : 제2힌지바 33d : 제2힌지공
33e : 힌지축 34 : 결속수단
34a : 결속구 34b : 결속부재
35 : 스토퍼 36 : 가시창
36a : 프레즈넬 렌즈 37 : 절연부재
40 : 제어부 41 : 경고등
42 : 안전등 43 : 파손경고등
44 : 센서부 45 : 상황전송부
50 : 태양열 충전판 60 : 충전부
70 : 전선관 80 : 원격상황모니터링수단

Claims (3)

  1. 건축물의 외측 벽면 상하단과 모서리에 다수개 설치 고정되는 고정부재(10);
    상기 고정부재 간에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와이어(20);
    상기 와이어(20)에 설치되어 와이어(20)에 흐르는 전류의 이상을 측정하는 센서부(44);
    상기 센서부(44)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44)에서 와이어(20)에 흐르는 전류의 측정값을 전송받아 제어하는 제어부(40);
    상기 제어부(40)와 연결되며, 건축물의 지붕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44)에서 측정된 와이어(20)에 흐르는 전류에 이상이 생기면 제어부(40)의 제어신호로 작동하는 파손경고등(43);
    상기 제어부(40)와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20)를 따라 별도로 설치되는 케이블에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44)에서 측정된 전류에 이상이 없으면 작동되는 안전등(42);
    상기 제어부(40)와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20)를 따라 별도로 설치되는 케이블에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안전등(42) 간에 설치되어 센서에서 측정된 전류에 이상이 발생하면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점등되는 다수개의 경고등(41);
    상기 제어부(40)와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20)의 파손이나 절단 등으로 인해 센서부(44)의 신호를 통해 파손경고등(43) 및 다수개의 경고등(41)이 작동할 때 상기 제어부(40)로부터 이상이 발생된 와이어(20)의 위치, 해당 와이어(20)의 파손 또는 절단 여부를 수신하여 무선 또는 유선으로 원격상황모니터링수단(80)에 전송하는 상황전송부(45); 및
    건물의 층수, 건물의 노후정도를 기록 및 관리하며, 상기 상황전송부(45)로부터 수신한 이상이 발생한 와이어(20)의 위치, 해당 와이어(20)의 파손 또는 절단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이상이 발생한 와이어(20)의 위치, 해당 와이어(20)의 파손 또는 절단 여부와 건물의 층수, 노후정도를 종합하여 건물위험도 점수를 산출하는 원격상황모니터링수단(80)을 포함하되,
    상기 원격상황모니터링수단(80)은
    해당 건물의 층수, 건물의 준공년도, 건물의 노후등급을 건물상태 DB에 기록 및 관리하고,
    이상이 발생한 와이어(20)의 위치가 건물의 측면부보다 중간부에 가까울수록, 와이어(20)가 파손보다는 절단된 것일수록, 건물의 층수가 높을수록, 건물의 준공년도가 오래되고, 노후등급이 높을수록 상기 건물위험도 점수가 높아지고,
    상기 원격상황모니터링수단(80)은
    각 상황전송부(45)로부터 일정기간 동안 서로 다른 위치에서 복수의 와이어(20)에 대한 파손 또는 절단 여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건물의 위험도 점수가 일정부분 더 높아지며,
    와이어의 위치가 측면부일 때 5점, 측면부와 중간부 사이의 위치일 때 7점, 와이어의 위치가 중간부일 때 9점
    와이어가 파손된 경우 10점, 와이어가 절단된 경우 20점
    건물의 층수가 1~3층은 5점, 4~6층은 7점, 7~10층은 10점, 11층 이상은 15점
    노후등급에 따른 점수는 A+(0점), A0(1점), A-(2점), B+(3점), B0(4점), B- (5점), C+(6점), C0(7점), C-(8점), D+(9점), D0(10점), D-(11점))
    준공년도에 따른 점수는 10년 이하는 1점, 11~15년은 3점, 16~20년은 6점, 21년 이상은 10점
    1주일 사이에 2개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와이어에서 파손 또는 절단 여부를 수신하면 10점, 1주일 사이에 3개 이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와이어에서 파손 또는 절단 여부를 수신하면 20점을 부여하고,
    상기 원격상황모니터링수단(80)은 상기의 각 상황에 따라 부여된 점수를 종합하여 건물위험도 점수를 산정하며, 단일 점수로는 와이어가 절단된 경우와 1주일 사이에 3개 이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와이어에서 파손 또는 절단 여부를 수신하면 20점의 최고점을 부여하여, 건물위험도 점수에 따라 단순히 유지보수를 하면 될 상황인지, 아니면 위험한 상황이어서 긴급 조치를 내려야 할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 보강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90001408A 2019-01-04 2019-01-04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 보강장치 KR101990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408A KR101990006B1 (ko) 2019-01-04 2019-01-04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 보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408A KR101990006B1 (ko) 2019-01-04 2019-01-04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 보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0006B1 true KR101990006B1 (ko) 2019-06-17

Family

ID=67064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408A KR101990006B1 (ko) 2019-01-04 2019-01-04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 보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0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85810A (zh) * 2020-12-30 2021-05-11 张雷 一种安防工程用警示装置
KR102254521B1 (ko) * 2020-11-06 2021-05-21 하서현 블록형 구조물을 포함하는 와이어 내진 보강시스템
US11105111B2 (en) * 2019-07-15 2021-08-31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Dankook University Buttress assembly for seismic reinforcing of building having non-bearing wall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082B1 (ko) * 2005-05-12 2005-12-22 버츄얼빌더스 주식회사 증강현실기반의 건물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KR100921706B1 (ko) 2009-03-18 2009-10-15 (주)대영구조기술단 노후된 건축 구조물의 내진보강장치 및 안전진단장치
KR20110004176A (ko) * 2009-07-07 2011-01-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경사 센서를 이용한 구조물의 안전 진단 시스템
KR101752369B1 (ko) 2016-02-26 2017-07-03 (주)부산미르구조진단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 보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082B1 (ko) * 2005-05-12 2005-12-22 버츄얼빌더스 주식회사 증강현실기반의 건물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KR100921706B1 (ko) 2009-03-18 2009-10-15 (주)대영구조기술단 노후된 건축 구조물의 내진보강장치 및 안전진단장치
KR20110004176A (ko) * 2009-07-07 2011-01-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경사 센서를 이용한 구조물의 안전 진단 시스템
KR101752369B1 (ko) 2016-02-26 2017-07-03 (주)부산미르구조진단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 보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5111B2 (en) * 2019-07-15 2021-08-31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Dankook University Buttress assembly for seismic reinforcing of building having non-bearing walls
KR102254521B1 (ko) * 2020-11-06 2021-05-21 하서현 블록형 구조물을 포함하는 와이어 내진 보강시스템
CN112785810A (zh) * 2020-12-30 2021-05-11 张雷 一种安防工程用警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006B1 (ko)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 보강장치
US8576082B2 (en) Busway joint parameter detection system
CN106327731A (zh) 一种隧道衬砌混凝土拱顶防空洞监测器
KR102154854B1 (ko)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수배전반 감시 시스템
KR102286606B1 (ko) 안전고리 체결시스템과 안전고리 체결제어방법
KR20200001358A (ko)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
CN104692205A (zh) 基于zigbee网络的电梯故障检测系统及方法
KR20080098950A (ko) 분전장치용 화재감시시스템
CN101362570B (zh) 电梯的缆绳诊断系统
CN116092260A (zh) 一种基于图像采集的电气火灾监控方法及系统
CN104155012A (zh) 一种可以现场显示电缆头温升情况的监测系统
JP6890494B2 (ja) 警報システム
CN108832624A (zh) 电压安全并列装置
KR101752369B1 (ko)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 보강장치
KR20110116680A (ko) 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25054B1 (ko) 개폐기 및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의 점검이 가능한 배전자동화단말시스템
CN209821320U (zh) 基于物联网的电气安全监测系统
CN207810975U (zh) 电梯检修安全保障控制装置
JP4028989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
KR20170116748A (ko) 엘리베이터의 부품교체시기 알람 장치
CN111552206A (zh) 一种工地安全监管的卸料平台设备及系统
CN118074044B (zh) 耐张线夹组件
KR101604860B1 (ko) 크레인 통스케이블 단선 진단장치의 통합관리 시스템
KR101747790B1 (ko)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 보강장치
CN103086213B (zh) 电梯用尾缆的芯线检查装置及芯线检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