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054B1 - 개폐기 및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의 점검이 가능한 배전자동화단말시스템 - Google Patents

개폐기 및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의 점검이 가능한 배전자동화단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054B1
KR101225054B1 KR1020110018936A KR20110018936A KR101225054B1 KR 101225054 B1 KR101225054 B1 KR 101225054B1 KR 1020110018936 A KR1020110018936 A KR 1020110018936A KR 20110018936 A KR20110018936 A KR 20110018936A KR 101225054 B1 KR101225054 B1 KR 101225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automation
automation terminal
terminal device
switch
switch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0199A (ko
Inventor
송완석
김상태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8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054B1/ko
Publication of KR20120100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4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power network being locally controll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1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information or by user interaction, e.g.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s [SCADA] or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케이블의 분리 없이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를 예방점검 할 수 있는 온라인 자동점검모듈을 제공하고,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 이외에도 온라인 자동점검모듈의 각 기능부와 개폐기를 점검할 수 있는 종합적 진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점검자의 현장 출동 없이, 원격으로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와 개폐기의 정상 동작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자동 점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기 및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의 점검이 가능한 배전자동화단말시스템은, 배전계통상의 전기를 차단하고 투입하는 개폐기의 운전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개폐기의 투개방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 상기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와 주장치를 통신 연결하는 통신장치; 상기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의 고장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고장유무의 판단결과를 상기 주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를 점검하는 도중에도 상기 개폐기의 운전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온라인 자동점검모듈; 및 상기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 상기 통신장치 및 상기 온라인 자동점검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폐기 및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의 점검이 가능한 배전자동화단말시스템{AUTO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HAT BE ABLE TO INSPECT SWITCH OR FRTU}
본 발명은 개폐기 및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를 온라인으로 자동 점검이 가능한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개폐기 및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의 정상 작동 상태 및 전원공급장치의 건전성 점검 등을 특정시간에 온라인 점검하여 배전자동화시스템 중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 및 개폐기를 예방점검 및 진단을 하여 배전자동화 주장치에 제공할 수 있는 모듈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전기 에너지는 전력 계통(electric power system)이라 불리는 시스템을 통하여 생산되고 수송된다. 이러한 전력 계통에 있어서 고객에 값싸고 안정적인 전력공급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은 중요하다. 배전계통은 운영에 있어서 전력계통 중 가장 어렵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관리상의 어려움이 산재하고 있고, 배전선로(Distribution line)의 곳곳에 위치한 많은 수의 개폐기 가운데 하나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장애를 감지한 사용자로부터 신고를 접수 받고 장애 발생지로 관리 요원이 방문하여 직접 개폐기의 연결 상태를 조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원격으로 원거리에 산재되어 있는 배전선로용 개폐기의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개폐기를 제어할 수 있는 배전자동화시스템(DAS :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이 제안되었고, 현재 광통신망에 기반한 배전자동화시스템이 널리 구축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광통신망에 기반하는 배전자동화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배전자동화시스템은 상위서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주장치(100)와 제어신호 및 계측데이터를 전송하는 주장치측 통신장치(110)와 단말측 통신장치(124), 배전계통 전주에 설치되어 개폐기 및 전기선의 운전상태를 감시하고 계측한 데이터를 주장치로 보내주고, 주장치로부터 받은 제어명령을 수행하여 개폐기를 Close/Open하는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122), 전기선을 Close/Open하는 기계적장치인 개폐기(130)로 구성된다.
주장치(100)와 주장치측 통신장치(110)는 주로 배전지사단위의 배전사령실(운영실)에 구축되며, 그 하단의 광통신선로를 통해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122)가 배전전력계통 현장에 설치되어 있다.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122)는 데이터 계측 및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주장치로의 전송 기능과 이벤트 발생시 보고 기능, 그리고 개폐기(130)의 개폐 감지기능 및 제어기능을 구비한다.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122)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는 단말측 통신장치(124)와 주장치측 통신장치(110)를 거쳐 주장치(100)로 전송되어, 운영자는 배전계통의 상태를 파악하고 각종 이벤트에 원격으로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이때,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122)가 개폐기(130)를 Close/Open하는 동작신호를 보내거나, 개폐여부를 감지하고 전기선에 흐르는 전력량 등의 계측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케이블이 연결되어야 한다. 제어케이블이 분리되면,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122)는 개폐기(130)의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없고, 개폐기(130)의 동작여부를 감시할 수 없어, 정전이 발생에 적절히 조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는 배전자동화용단말치 및 개폐기를 정상동작여부 등 정기적인 예방점검하기 위하여 유지보수 담당 직원이 현장에 출동하여 단말장치예방점검장치를 사용하여 정상동작 여부를 점검하였고, 그 점검 과정에서 개폐기(130)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케이블을 일시적으로 분리한다. 이에 따라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122) 점검 중에는 개폐기(130)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없고, 주장치(100)로 개폐기(130)의 감시정보도 전송할 수 없으므로, 운영자가 개폐기(130) 동작에 따른 정전 발생에 적절히 조치할 수 없어, 전기를 사용하는 고객측 정전이 장시간 지속될 가능성이 있어 문제점으로 남아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어케이블의 분리 없이도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를 점검할 수 있는 개폐기 및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의 점검이 가능한 배전자동화단말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 및 개폐기를 점검할 수 있는 종합적인 예방점검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점검자의 현장 출동 없이, 원격으로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와 개폐기의 정상동작상태 등의 예방점검을 할 수 있는 자동 점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위한 개폐기 및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의 점검이 가능한 배전자동화단말시스템은, 배전계통상의 전기를 차단하고 투입하는 개폐기의 운전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개폐기의 투개방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 상기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와 주장치를 통신 연결하는 통신장치; 상기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의 고장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고장유무의 판단결과를 상기 주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를 점검하는 도중에도 상기 개폐기의 운전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온라인 자동점검모듈; 및 상기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 상기 통신장치 및 상기 온라인 자동점검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제어케이블의 분리 없이도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를 점검할 수 있어,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 점검 중에도 배전계통의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고 정전 발생에 대해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기존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와 개폐기 제어케이블 중간에 시스템적으로 Interface하여 배전자동화시스템을 구축하면 예방점검을 과학적이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 이외에도 개폐기, 전원공급부의 건전성을 점검할 수 있는 종합적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여 배전자동화시스템의 종합 점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점검자의 현장 출동 없이, 원격으로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와 개폐기의 예방점검을 할 수 있어, 과학적이고 효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하여 안전사고 예방에 기여할 수 있고, 인력 및 유지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 외함 시건장치를 원격에서 제어하여 보안의 취약성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광통신망에 기반하는 종래의 배전자동화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자동화단말시스템의 사시도,
도 3은 온라인 자동점검모듈의 사시도, 및
도 4는 온라인 자동점검모듈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자동화단말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시스템(200)은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 단말측 통신장치(RT, 220) 및 온라인 자동점검모듈(230)를 포함한다.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는 배전선로의 데이터를 계측하고 주장치로 계측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가 계측하는 배전선로의 데이터는 전류, 전압, 고장전류, 역률 등을 포함한다. 또한 고장표시기 및 단선/결상과 위상불일치 등 계통과 설비에 대한 상태 계측을 수행한다.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는 이벤트 발생시 주장치로 이벤트 발생을 보고하고, 주장치의 제어명령에 따라 개폐기의 투개방을 제어한다.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가 제어할 수 있는 개폐기는 자동화개폐기를 포함한다.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는 인접한 배전계통의 어느 한 구간에서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사고 발생시 생기는 고장전류의 경험을 고장표시기(FI : Fault Indicator)의 정보를 통해 주장치로 전송한다. 고장표시기는 순시 FI와 영구 FI로 나눌수 있고, 순시 FI는 고장전류에 대한 경험이 한번이라도 있으면 무조건 발생시키는 정보이고, 영구 FI는 보호기기의 재폐로 후 완전한 정전이 되었을 때 발생시키는 정보이다. 따라서,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는 순시 FI와 영구 FI의 모든 데이터를 취급한다. FI 정보는 고장구간의 상단과 하단을 구별 지을 수 있는 정보로서, DNP3.0의 unsolicited message 기능을 통해 최우선적으로 주장치로 전송된다.
단말측통신장치(220)는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주장치로 전송하고, 관리자의 제어 명령을 주장치로부터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측통신장치(220)는 온라인 자동점검모듈(230)과 주장치를 연결하여, 주장치에서 온라인 자동점검모듈(230)을 원격으로 제어하고, 원격으로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의 고장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단말측통신장치(220)는 광케이블 모뎀 등을 통한 유선방식일 수 있으며, TRS 모뎀 등을 통한 무선방식인 경우 일 수 있다.
온라인 자동점검모듈(230)는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와 개폐기의 동작상태를 점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온라인 자동점검모듈은(230)의 일측면은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와 연결되고, 다른 일측면은 제어케이블(250)을 통해 개폐기와 연결된다.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가 개폐기를 투개방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제어신호는 온라인 자동점검모듈(230)에 연결된 제어케이블(250)을 통해 개폐기로 전달된다. 즉, 온라인 자동점검모듈(230)은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와 개폐기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기능부임과 동시에,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와 개폐기간 데이터 전송의 중계역할을 수행한다.
온라인 자동점검모듈(230)은 단말측통신장치(220)를 통해 주장치와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주장치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주장치에서 온라인 자동점검모듈(230)을 통해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를 점검하고자 하는 경우, 주장치는 외부입력을 통해 온라인 자동점검모듈(230)이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가 계측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온라인 자동점검모듈(230)은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개폐기에 대한 계측데이터를 생성하여,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의 점검을 수행한다. 온라인 자동점검모듈(230)은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 및 개폐기의 점검결과를 단말측 통신장치(220)를 통해 주장치로 전송함으로서, 원격에서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의 점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온라인 자동점검모듈(230)이 제어케이블을 통해 개폐기와 상시 연결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온라인 자동점검모듈(230)이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의 예방점검을 수행하는 중에도, 개폐기의 동작상태를 주장치로 전송하여, 주장치가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로 제어명령신호를 정상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
온라인 자동점검모듈(230)은 개폐기 내부의 가스압력 및 온도 등 각종 센서를 통하여 개폐기를 상시 감시진단할 수 있다.
또한, 배전자동화단말시스템(200)의 함체 시건장치를 임의로 열고 개폐기를 조작하여 발생하는 정전에 대비할 수 있도록, 온라인 자동점검모듈(230)은 함체 시건장치(260)와 연결되어 주장치에서 원격으로 시건장치의 시건이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시건장치(260)에는 시건장치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도면 미도시)가 구비되고, 구동부는 온라인 자동점검모듈(230)의 시건장치 구동부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온라인 자동점검모듈(230)의 제어에 따라 구동부가 조작되어 시건장치의 잠금/풀림이 제어된다.
온라인 자동점검모듈은(230)는 전원공급부(240)의 방전전압을 측정하고, 전원공급부(240)의 과방전 여부를 검출하여 전원공급부(240)의 건전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교체연한이 지난 배터리 또는 불량상태의 배터리를 확인하고, 관리자는 배터리의 교체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40)는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함체(200)안의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20) 및 온라인 자동점검모듈(230), 단말측통신장치(220)를 동작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40)는 충전이 가능한 충전식 배터리이다.
도 3은 온라인 자동점검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온라인 자동점검모듈(230)은 디스플레이(232)를 구비하고, 디스플레이에는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의 예방점검에 필요한 사항을 표시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온라인 자동점검모듈(230)은 키입력부(234)를 구비하고, 점검자는 키입력부(234)를 조작하여 원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232)에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온라인 자동점검모듈(230)의 일측면은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와 연결될 수 있는 단자를 구비하고, 다른 일측면에는 제어케이블(250)과 연결될 수 있는 단자를 구비한다. 온라인 자동점검모듈(230)에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와 제어케이블(250)이 연결되면,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가 개폐기 투개방을 목적으로 하는 제어신호가 제어케이블(250)을 통해 개폐기로 전송될 수 있다.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에는 개폐기의 투개방상태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 경우, 온라인 자동점검모듈(230)은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로부터 개폐기의 투개방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실제 개폐기의 투개방상태를 비교하여,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자동점검모듈(230)이 임의의 계측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데이터를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로 송신한 뒤,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가 계측데이터에 적합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지를 점검함으로서,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의 정상작동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도 4는 온라인 자동점검모듈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따르면 온라인 자동점검모듈(230)은 개폐기 감시부(400), 시건장치 구동부(410), 전원감시부(420), 고장검출회로(430), 자가진단회로(440), 중앙처리부(450), 키입력부(460) 및 디스플레이부(470)를 포함한다.
개폐기 감시부(400)는 개폐기와 연결된 제어케이블(250)을 통해 개폐기의 운전 환경 및 개폐여부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중앙처리부(450)는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의 예방점검에 필요한 모의 계측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며, 예방점검 도중에 개폐기의 동작 유무를 감시하여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로 전송 한다. 이로써, 예방점검 도중에 배전계통에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주장치의 관리자는 이벤트 발생여부를 확인하여 배전계통 사고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는 단말측통신장치(220)를 거쳐 주장치의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명령에 기반하여 개폐기를 제어하게 된다.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에는 개폐기의 투개방상태 정보가 저장된다. 중앙처리부(450)는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에 저장된 투개방상태 정보와 개폐기의 실제 개폐여부를 비교함으로서,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개폐기의 운전 환경에 대한 상태정보는 개폐기 내부에 설치된 각종 센서로부터 측정된 개폐기 내부의 가스 압력, 온도, 습도 등의 정보이다.
중앙처리부(450)는 개폐기 내 각종 센서로부터 측정된 개폐기 내부의 가스 압력, 온도, 습도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개폐기 내부에 가스절연상태가 유지되고 있는지 판단한다. 예컨대, 개폐기 내부는 SF6 가스를 충진하여 절연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중앙처리부(450)는 개폐기 내부의 가스압력이 미리 지정한 값 아래로 내려가는지를 감시하여 개폐기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정한다. 일례로, 초기 개폐기내 가스 압력이 0.5MPa이고, 가스절연이 해제되는 시점이 0.45MPa 인 경우, 중앙처리부(450)는 0.47MPa 이하로 가스 압력이 떨어지는 경우, 개폐기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시건장치 구동부(410)는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함체(200)에 설치된 시건장치와 연결되어 시건장치의 잠금/풀림을 제어할 수 있다. 주장치에서 사용자가 시건장치의 개폐를 결정하여 원격으로 시건장치를 열어줄 수 있으며, 배전자동화단말시스템(200)의 정밀점검시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를 수동조작하여, 개폐기를 투개방할 수 있다.
전원감시부(420)는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40)의 방전전압을 측정하고, 중앙처리부(450)는 전원공급부(240)의 과방전 여부를 검출하여 전원공급부(240)의 건전성을 판정한다. 전원공급장치의 이상유무를 기반하여, 전원공급부(240) 잔여 수명과 교체 필요성을 검토할 수 있다.
고장검출회로(430)는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 예방점검 시 모의로 개폐기 고장 신호를 보내고 또한 개폐기내부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자가진단회로(440)는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210) 및 온라인 자동점검모듈(230)의 자체점검을 위한 회로이다.
중앙처리부(450)는 키입력부에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작업자가 선택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키입력부(460)는 점검자의 외부 입력을 통해 키조작신호를 생성하고, 중앙처리부(450)는 키조작신호에 기반하여 고장검출회로의 이벤트 발생 제어와 디스플레이부(470)의 데이터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70)는 점검자의 키조작 화면을 표시하고, 중앙처리부(450)의 제어신호에 따라,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주장치 110 : 주장치측통신장치
120 :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함체 130 : 개폐기
200 :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시스템 210 :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
220 : 단말측통신장치 230 : 온라인 자동점검모듈
240 : 전원공급부 250 : 제어케이블
260 : 시건장치
400 : 개폐기 감시부 410 : 시건장치 구동부
420 : 전원감시부 430 : 고장 검출 회로
440 : 자가 진단 회로 450 : 중앙 처리부
460 : 키입력부 470 : 디스플레이부

Claims (6)

  1. 배전계통상의 전기를 차단하고 투입하는 개폐기의 운전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개폐기의 투개방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
    상기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와 주장치를 통신 연결하는 통신장치;
    상기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의 고장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고장유무의 판단결과를 상기 주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를 점검하는 도중에도 상기 개폐기의 운전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온라인 자동점검모듈; 및
    상기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 상기 통신장치 및 상기 온라인 자동점검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를 포함하는 개폐기 및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의 점검이 가능한 배전자동화단말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자동점검모듈은,
    상기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의 예방점검에 필요한 모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모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의 정상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개폐기 및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의 점검이 가능한 배전자동화단말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자동점검모듈은
    상기 개폐기 내의 가스압력,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압력, 온도 및 습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개폐기의 정상 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및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의 점검이 가능한 배전자동화단말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자동점검모듈은
    상기 전원공급부의 방전유무 및 정상 운전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전원공급부의 과방전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및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의 점검이 가능한 배전자동화단말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자동점검모듈은,
    상기 주장치의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시건장치의 잠금/풀림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및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의 점검이 가능한 배전자동화단말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자동점검모듈은
    상기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 및 온라인 자동점검모듈의 자체 이상유무를 점검하는 자가진단회로를 포함하는 개폐기 및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의 점검이 가능한 배전자동화단말시스템.
KR1020110018936A 2011-03-03 2011-03-03 개폐기 및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의 점검이 가능한 배전자동화단말시스템 KR101225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936A KR101225054B1 (ko) 2011-03-03 2011-03-03 개폐기 및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의 점검이 가능한 배전자동화단말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936A KR101225054B1 (ko) 2011-03-03 2011-03-03 개폐기 및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의 점검이 가능한 배전자동화단말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199A KR20120100199A (ko) 2012-09-12
KR101225054B1 true KR101225054B1 (ko) 2013-01-22

Family

ID=47109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936A KR101225054B1 (ko) 2011-03-03 2011-03-03 개폐기 및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의 점검이 가능한 배전자동화단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0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474B1 (ko) * 2013-11-08 2015-05-0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자동 전원 절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737B1 (ko) * 2017-12-20 2020-12-07 한국전력공사 전력 기기 점검 장치 및 방법
KR102631867B1 (ko) * 2018-05-09 2024-01-30 한국전기연구원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독립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8973A (ja) 2002-08-29 2004-03-18 Toshiba Corp 配電自動化システム、遠方監視制御子局および配電系統監視方法
KR20080038754A (ko) * 2006-10-31 2008-05-07 한국전력공사 배전자동화시스템
JP2011019347A (ja) 2009-07-09 2011-01-27 Toshiba Corp 電力系統監視制御装置及び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8973A (ja) 2002-08-29 2004-03-18 Toshiba Corp 配電自動化システム、遠方監視制御子局および配電系統監視方法
KR20080038754A (ko) * 2006-10-31 2008-05-07 한국전력공사 배전자동화시스템
JP2011019347A (ja) 2009-07-09 2011-01-27 Toshiba Corp 電力系統監視制御装置及び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474B1 (ko) * 2013-11-08 2015-05-0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자동 전원 절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199A (ko)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2247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обслужива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и
KR101966598B1 (ko) 배전반 화재 감지 및 알림 시스템
EP2448087B1 (en) Reliable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with alternate power source
US8355234B2 (en) Condition monitor for an electrical distribution device
KR102145266B1 (ko) 전력계통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83587B1 (ko) 초고압 지중 송전선로 감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154854B1 (ko)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수배전반 감시 시스템
KR20170053661A (ko) 전압 부존재를 감지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KR100763881B1 (ko) 차단기 동작시간 측정용 디지털 진단방법
KR20100049413A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의 동작상태 감시진단장치
KR20130003531A (ko) 차단기 결합용 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선이상 정보 검출 시스템
KR101225054B1 (ko) 개폐기 및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의 점검이 가능한 배전자동화단말시스템
WO2019084947A1 (zh) 直流开关柜及其监控系统和监控方法
KR101302068B1 (ko) 통합형 전철제어반 glds
KR101422420B1 (ko) 누전차단기의 자동복귀장치를 포함하는 리셋형 전원 스위치
KR20230002072U (ko) 분전반의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KR102626362B1 (ko) 전기패널의 안전감지 및 이상점검이 가능한 시스템
KR100602011B1 (ko) 지능형 전자식 전력량계의 네트워크 시스템
KR101812767B1 (ko) 접지선의 누설전류감지부 교체가 용이한 배전반
KR20110101441A (ko) 차단기 자동 제어 기능을 구비한 특고전압 수전설비
KR101502990B1 (ko)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모선 전원상실 예방 시스템
WO2019171768A1 (ja) 配電網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20080003282U (ko) 배전반 통합 감시장치
EP1552998A2 (en) System for the diagnosis and operation of apparatuses for generating and distributing power supplies, in particular for railway's safety and signalling plants
CN114899944B (zh) 通讯管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