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869B1 - 느리게 방출되는 제설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느리게 방출되는 제설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869B1
KR102141869B1 KR1020200011568A KR20200011568A KR102141869B1 KR 102141869 B1 KR102141869 B1 KR 102141869B1 KR 1020200011568 A KR1020200011568 A KR 1020200011568A KR 20200011568 A KR20200011568 A KR 20200011568A KR 102141869 B1 KR102141869 B1 KR 102141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arrier
sodium chloride
calcium chlo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동
김상욱
김대호
Original Assignee
두정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정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정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1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8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8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8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pplication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ice, mist or water thereto; Thawing or antifreeze materials for application to surfaces
    • C09K3/185Thaw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Applied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Mist Or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의 어는점을 낮추어 결빙된 부분을 융설하는 제설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담체(carrier)에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슘 혼합물을 포집한 후 표면을 발수가공처리 함으로써 상기 혼합물을 보다 천천히 방출시켜 강한 지속성을 갖을 수 있도록 한 제설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설제 조성물은 염화나트륨 60~90 중량%, 염화칼슘 3~30 중량%, 상기 염화나트륨 및 상기 염화칼슘을 포집하는 담체(carrier) 및 포집된 표면을 발수 처리하는 표면처리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느리게 방출되는 제설제 조성물{SNOW REMOVAL AGENT}
본 발명은 물의 어는점을 낮추어 결빙된 부분을 융설하는 제설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담체(carrier)에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슘 혼합물을 포집한 후 표면을 발수가공처리 함으로써 상기 혼합물을 보다 천천히 방출시켜 강한 지속성을 갖을 수 있도록 한 제설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 세계의 기상 이변 등으로 인하여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폭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도로에 사용되는 제설제의 사용량도 급증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제설제는 가격이 저렴한 염화칼슘(CaCl2)이나 염화나트륨(NaCl)이 대표적이다. 상기 염화칼슘은 조해성이 뛰어난 물질로서, 주변의 수분을 흡수하여 제설작용을 일으킨다. 또한, 염화칼슘은 물에 용해될 때 발열반응을 일으키므로, 빠르고 효과적인 제설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염화나트륨은 발열반응은 일으키지 않지만, 염화칼슘과 같이 수분을 흡수하여 용해되면서 어는점 내림 현상을 일으킨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염화나트륨과 염화칼슘은 제설 기능뿐 아니라, 재결빙 현상 또한 방지해주는 저렴하고 효과적인 제설제이다.
그러나 염화칼슘과 염화나트륨 혼합물은 살포 후에 물에 매우 빠르게 용해되어 눈의 용해와 함께 소실되므로, 제설하는 과정에서도 눈이나 비가 계속 내리는 경우에는 반복적인 살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염화칼슘과 염화나트륨의 혼합물을 반복적으로 다량 살포할 경우에는, 상기 혼합물에 염소 이온(Cl-)이 다량 존재하므로, 철(Fe)과 반응하면서 급격히 염화철(FeCl2)을 형성하여 자동차, 철근, 철골 등의 구조물을 심각하게 부식시킨다. 특히, 염화칼슘은 매우 빠른 속도로 철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아스팔트 등도 부식시킴으로써 자동차, 교량은 물론, 모든 도로시설물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또한, 물에 용해되어 하천 및 토양에 유입되면서 수질오염 및 토양의 산성화를 유발할 뿐 아니라, 도로변의 초목, 채소 등 식물을 고사시키고 동물의 발과 피부에 피부병,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등 환경에 극심한 피해를 주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제설제 조성물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179334호 등이 있는데, 조개껍질 가루와 초산을 이용한 비염화물계 제설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나, 융설에 따라 제설제가 용해되어 소실되는 문제에 대한 해결을 전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등록특허 제10-1793095호에서도 석회소성슬러지와 유기산이 반응하여 생성된 석회소성슬러지 반응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초산칼륨 200~375 중량부, 동결성능 개선제 60~125중량부 및 융빙성능 확산제 60~100중량부를 포함하는 비염화물계 제설제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역시 융설에 따른 제설제의 소실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제설제의 용해 속도를 낮추어 제설의 지속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설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슘으로 구성된 조성물을 담체(carrier)로 포집한 후에 표면을 발수가공처리 함으로써, 종래의 제설제보다 제설의 지속성을 높인 제설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염화칼슘과 염화나트륨의 혼합물이 보다 느리게 방출됨으로써 제설 작업 과정에서 눈과 비가 계속 내리더라도, 염화칼슘 및 염화나트륨 혼합물을 반복적으로 다량 살포할 필요 없이 지속적인 융설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설제 조성물의 불필요한 사용량을 줄여 보다 친환경적인 제설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염화나트륨 60~90 중량%, 그리고 염화칼슘 3~30 중량%, 그리고 상기 염화나트륨 및 상기 염화칼슘을 포집하는 담체, 그리고 포집된 표면을 발수 처리하는 표면처리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담체는 1~10 중량%가 포함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담체는 다공질성 물질, 점토성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다공질성 물질은 탄산칼슘 및 탄산마그네슘을 포함하고, 상기 점토성 물질은 벤토나이트 및 아타풀가이트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면처리제는 1~10 중량%가 포함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면처리제는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발수성 고분자 화합물, 실란을 포함하는 실리콘류 단량체, 실리코네이트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물에 대한 용해를 촉진하는 용해촉진제 1~10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해촉진제는 셀룰로오스류, 아크릴 폴리머류, 라이신류 증점제 및 폴리비닐 알코올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및 상기 염화나트륨과 염화칼슘을 포집하는 담체가 혼합된 1액 조성물, 그리고 포집된 표면을 발수 처리하는 표면처리제 및 물에 대한 용해를 촉진하는 용해촉진제가 혼합되어 구성된 2액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1액 조성물이 선 살포된 후 상기 2액 조성물이 후 살포되며, 건조 후 분쇄 과정을 거쳐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슘 조성물을 담체(carrier)로 포집하고, 포집된 표면을 발수가공처리 함과 동시에 용해촉진제를 첨가함으로써 종래기술 보다 제설제 조성물의 방출 속도를 늦춰 높은 제설의 지속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제설제 조성물의 반복적인 살포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면서도 친환경적인 제설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물의 어는점을 낮추어 결빙된 부분을 융설하는 제설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담체(carrier)에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슘 혼합물을 포집한 후 표면을 발수가공처리 함으로써 상기 혼합물을 보다 천천히 방출시켜 강한 지속성을 갖을 수 있도록 한 제설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제설제 조성물은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염화나트륨과 염화칼슘을 포집할 수 있는 담체(carrier), 담체(carrier)의 표면을 발수가공처리 시키기 위한 표면처리제 및 포집된 담체(carrier)가 물에 용이하게 용해될 수 있도록 기여하는 용해촉진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설제 조성물은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및 담체(carrier)가 혼합된 1액 조성물과 포집된 표면을 발수 처리하는 표면처리제 및 물에 대한 용해를 촉진하는 용해촉진제가 혼합되어 구성된 2액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1액 조성물이 먼저 살포된 후에 상기 2액 조성물이 그 뒤에 살포되며, 상기 1액과 2액을 80~130℃의 온도에서 건조한 후 1~3mm의 입경을 갖도록 하는 분쇄 과정을 거쳐 시공된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먼저 본 조성물을 구성하는 상기 1액 조성물에 관하여, 상기 1액 조성물은 크게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및 담체(carrier)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염화나트륨은 눈이나 얼음 상태에서 융해된 물의 빙점을 강하시키는데 기여하고, 바람직하게는 60~9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화나트륨이 60 중량%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빙점강하효과가 저하되어 융해된 물이 다시 결빙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으며, 9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초기 제설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다음으로, 염화칼슘은 살포 즉시에 눈이나 얼음을 융해시키는데 기여하게 되고, 바람직하게는 3~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화칼슘이 3 중량%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초기 제설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해성에 의하여 상기 조성물을 보관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다음으로, 담체(carrier)는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슘 혼합액을 포집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담체(carrier)는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또는 이로 이루어진 다공질성 물질과, 벤토나이트 또는 아타풀가이트 등의 점토성 물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러한 담체(carrier)는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슘을 포집하고, 포집된 표면은 발수가공처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담체(carrier)는 1~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 중량%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염화칼슘 및 염화나트륨을 포집하는 효과가 미미하여 상기 혼합액을 발수가공처리 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혼합액의 과포집이 발생함으로써 제설제 조성물의 사용량 증가로 이어지게 되고 따라서 경제적인 부분에서 불이익이 발생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조성물을 구성하는 상기 2액 조성물에 관하여, 상기 2액 조성물은 크게 표면처리제 및 용해촉진제를 포함한다.
먼저 표면처리제는 상기한 담체에 의해 포집된 염화나트륨, 염화칼슘의 집합체의 표면을 발수처리하여 용해 속도를 지연시키는 구성으로, 불소 수지 등의 발수성 고분자 화합물, 실란 등의 실리콘류 단량체 및 실리코네이트류 중 1종 이상 선택하여 혼합 따위의 과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발수성 고분자 화합물은 발수처리를 위한 소수성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이면 족하고, 그 중에서도 특히 불소 수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불소 수지는 분자 내에 각각 불소를 함유한 수지를 총칭하는 것으로, 특정한 종류의 불소 수지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실리콘류 단량체는 실리콘을 주성분으로 하는 단량체로서, 대표적으로 실란이 이에 해당한다. 이 역시 실란계 중에서 어느 한 종류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표면처리제로는 실리코네이트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실리콘류는 메틸클로로실란일 수 있고, 상기 실리코네이트류는 포타슘메틸실리코네이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처리제는 1~10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1 중량%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담체(carrier)에 의하여 포집된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슘의 살포되는 양이 증가하여 융설의 지속성이 나빠질 수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담체(carrier)에 의하여 포집된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슘의 살포되는 양이 감소하여 경제적인 유용성을 갖추지 못하게 된다.
다음으로, 용해촉진제는 상기한 표면처리제의 기능에 따라 용해 속도 저하로 인한 초기 제설 능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 물 흡수 능력이 있는 셀룰로오스류, 고흡성 수지의 아크릴 폴리머류, 라이신류 증점제 및 폴리비닐 알코올류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상기 셀룰로오스류로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 폴리머류로는 아크릴산, 2-아크릴로일에탄 술폰산, 2-(메트)아크릴로일프로판술폰산,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신은 L-라이신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류로는 수산화기(OH), 아민기(NH2), 숙시니미딜 숙시네이트기(Succinimidyl succinate), 숙신산기(Succinic acid), 티올기(SH), 아크릴레이트기(Acrylate), 에폭시기(Epoxide), 말레이미드기(Maleimide), 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기(Nitrophenyl carbonate), 피리딜 디설파이드기(Orthopyridyl disulfide), 토실레이트기(Tosylate), 아자이드기(Azide), 인산기, 카테콜기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한 작용기를 갖는 폴리비닐 알코올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해촉진제는 1~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1 중량%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초기 제설 능력이 저하될 우려가 존재하며,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설제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이 떨어질 우려가 존재한다.
표 1 및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설제 조성물과 종래의 일반적인 제설제를 비교하여 융설의 지속성에 대하여 비교한 시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표 1은 조성물의 비율을, 표 2는 초기제설이 시작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제설의 지속성을 비교한 시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초기제설이란 얼음의 용융이 시작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며, 상기한 제설 지속성에 대한 평가는 20*30*5cm 의 부피를 갖는 통에 물을 얼린 다음 ??10℃의 온도와, 항온항습기가 구비된 공간 하에서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에 해당하는 제설제 조성물을 각 15g씩 살포하고, 제설제에 의하여 용융된 물을 1시간 간격으로 피펫으로 제거하고, 매 1시간 간격 마다 제거한 횟수를 측정한 것을 말한다.
Figure 112020010339002-pat00001
Figure 112020010339002-pat00002
상기 표 2를 통해 본 제설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제설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보다 제설 지속성이 3~4회 가량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종래의 제설제 조성물 보다 제설 지속성이 높아 잦은 제설제 살포를 예방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작업자의 능률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경제적으로 유용한 제설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제설제 조성물은 기능성 첨가제 1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아크릴 우레탄 10 중량부 대비, 폴리 알킬아크릴레이트 2 ~ 3 중량부, 에틸렌-아크릴산 2 ~ 3 중량부, 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 2 ~ 3 중량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1 ~ 2 중량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0.1 ~ 1 중량부 및 이산화티타늄 0.1 ~ 1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아크릴 우레탄은 부착력, 흡착력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며, 기능성 첨가제의 각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 우레탄 10 중량부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폴리 알킬아크릴레이트는 점착성을 증대하기 위해 사용되며, 그 바람직한 함량은 2 ~ 3 중량부이다. 2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면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3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면 작업성 저하가 나타나게 된다.
에틸렌-아크릴산은 점착성 부여 폴리머로서 첨가되며, 그 함량은 2 ~ 3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2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면 점착성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3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면 점도가 과도하게 높아져 작업성이 저하된다.
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은 내약품성 개선을 위해 첨가되며, 그 함량은 2 ~ 3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2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면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3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면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는 분포균일성 및 작업성 개선을 위해 첨가되며, 그 함량은 1 ~ 2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분포균일성 및 작업성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2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유동성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비닐트리메톡시실란은 접착 촉진제로서 첨가되며, 그 함량은 0.1 ~ 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조성물에 대한 접착력이 부족해질 수 있고, 1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경화 지연이라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산화티타늄은 부착 성능 향상을 위해 첨가되는데, 특히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성분이라는 점에서 채용되었으며, 그 함량은 0.1 ~ 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요구되는 부착 강도를 얻기 힘들고, 1 중량부 초과인 경우 다른 조성물에 영향을 미쳐 물성이 변하는 문제가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염화나트륨 60~90 중량%;
    염화칼슘 3~30 중량%;
    상기 염화나트륨 및 상기 염화칼슘을 포집하는 담체; 및
    포집된 표면을 발수 처리하는 표면처리제;
    를 포함하되,
    상기 담체는 1~10 중량%가 포함되고,
    상기 담체는 점토성 물질을 포함하되,
    상기 점토성 물질은 벤토나이트 및 아타풀가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처리제는 불소 수지를 포함하고,
    기능성 첨가제 1 중량%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아크릴 우레탄 10 중량부 대비, 폴리 알킬아크릴레이트 2 ~ 3 중량부, 에틸렌-아크릴산 2 ~ 3 중량부, 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 2 ~ 3 중량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1 ~ 2 중량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0.1 ~ 1 중량부 및 이산화티타늄 0.1 ~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제는 1~10 중량%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조성물.
  5. 청구항 1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제는 실란을 포함하는 실리콘류 단량체, 실리코네이트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물에 대한 용해를 촉진하는 용해촉진제 1~10 중량%를 더 포함하는 제설제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용해촉진제는 셀룰로오스류, 아크릴 폴리머류, 라이신류 증점제 및 폴리비닐 알코올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조성물.
  8.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및 상기 염화나트륨과 염화칼슘을 포집하는 담체가 혼합된 1액 조성물; 및
    포집된 표면을 발수 처리하는 표면처리제 및 물에 대한 용해를 촉진하는 용해촉진제가 혼합되어 구성된 2액 조성물;
    을 포함하고,
    상기 1액 조성물이 선 살포된 후 상기 2액 조성물이 후 살포되며, 건조 후 분쇄 과정을 거쳐 시공되고,
    상기 담체는 1~10 중량%가 포함되고,
    상기 담체는 점토성 물질을 포함하되,
    상기 점토성 물질은 벤토나이트 및 아타풀가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처리제는 불소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2액 조성물은 기능성 첨가제 1 중량%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아크릴 우레탄 10 중량부 대비, 폴리 알킬아크릴레이트 2 ~ 3 중량부, 에틸렌-아크릴산 2 ~ 3 중량부, 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 2 ~ 3 중량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1 ~ 2 중량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0.1 ~ 1 중량부 및 이산화티타늄 0.1 ~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조성물.
KR1020200011568A 2020-01-31 2020-01-31 느리게 방출되는 제설제 조성물 KR102141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568A KR102141869B1 (ko) 2020-01-31 2020-01-31 느리게 방출되는 제설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568A KR102141869B1 (ko) 2020-01-31 2020-01-31 느리게 방출되는 제설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869B1 true KR102141869B1 (ko) 2020-08-06

Family

ID=72039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568A KR102141869B1 (ko) 2020-01-31 2020-01-31 느리게 방출되는 제설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8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024B1 (ko) * 2022-02-07 2022-05-17 주식회사 홈트너 친환경 제설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746790A (zh) * 2022-07-05 2023-03-07 天津科技大学 一种低温缓释抗凝冰材料及其制备方法
KR20230106086A (ko) * 2022-01-05 2023-07-12 주식회사 스타스테크 콘크리트 파손이 억제된 친환경 액상 제설제
KR20230105737A (ko) * 2022-01-04 2023-07-12 두정산업 주식회사 블랙 아이스 예방을 위한 아스콘용 결빙방지재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스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813B1 (ko) * 2018-04-25 2018-09-06 도경건설 주식회사 도로 포장용 결빙방지 표면처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결빙방지 표면 처리 방법
KR101971714B1 (ko) * 2018-05-29 2019-10-02 두정산업 주식회사 탄산칼슘과 실란을 이용한 도로포장 결빙방지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813B1 (ko) * 2018-04-25 2018-09-06 도경건설 주식회사 도로 포장용 결빙방지 표면처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결빙방지 표면 처리 방법
KR101971714B1 (ko) * 2018-05-29 2019-10-02 두정산업 주식회사 탄산칼슘과 실란을 이용한 도로포장 결빙방지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5737A (ko) * 2022-01-04 2023-07-12 두정산업 주식회사 블랙 아이스 예방을 위한 아스콘용 결빙방지재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스콘 제조방법
KR102600400B1 (ko) * 2022-01-04 2023-11-10 두정산업 주식회사 블랙 아이스 예방을 위한 아스콘용 결빙방지재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스콘 제조방법
KR20230106086A (ko) * 2022-01-05 2023-07-12 주식회사 스타스테크 콘크리트 파손이 억제된 친환경 액상 제설제
WO2023132449A1 (ko) * 2022-01-05 2023-07-13 주식회사 스타스테크 콘크리트 파손이 억제된 친환경 액상 제설제
KR102638668B1 (ko) * 2022-01-05 2024-02-21 주식회사 스타스테크 콘크리트 파손이 억제된 친환경 액상 제설제
KR102398024B1 (ko) * 2022-02-07 2022-05-17 주식회사 홈트너 친환경 제설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746790A (zh) * 2022-07-05 2023-03-07 天津科技大学 一种低温缓释抗凝冰材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1869B1 (ko) 느리게 방출되는 제설제 조성물
US8778216B2 (en) Slow release anti-icing material for bituminous paveme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392958B1 (ko) 폴리머 결합재를 구비하는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
AU750677B2 (en) Aqueous fluorinated polymer dispersions capable to protect asphaltic materials
KR101844770B1 (ko) 발열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80347B1 (ko) 결빙억제 효과가 향상된 도로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US4129449A (en) Soil-hardening composition
KR20190054623A (ko) 불가사리 유래 다공성 구조체를 포함하는 친환경 제설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302448B1 (ko) 유동성 및 초기 강도발현이 우수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공법
KR101432249B1 (ko) 흙 포장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흙 포장도로의 시공방법
KR101028193B1 (ko) 친환경 액상 제설제 조성물
KR20130028862A (ko) 토양 개선을 위한 화학적 방법 및 조성물
KR102207012B1 (ko)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불투수성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JP4069519B2 (ja) 含水土壌用固化材及び含水土壌の固化改良方法
KR102120599B1 (ko) 흙 고화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흙 포장 및 비산먼지 방지 기능을 갖는 공법
US9238774B2 (en) Soil fixation, dust suppression and water retention
CN104987854A (zh) 一种应用于高寒地区改善冰-沥青路面粘结作用的填料及其制备方法
KR101471837B1 (ko) 다기능성 도로포장 도포재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공법
JP5393714B2 (ja) 凍結抑制剤
JP2001323265A (ja) 粘性土等の安定固化組成物
GB2170839A (en) Process for consolidating soils
KR101663581B1 (ko) 해조류를 이용한 내구성 및 방수기능이 향상된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621777B1 (ko) Sbs를 포함하는 결빙 방지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04292528A (ja) 地盤改良用発塵抑制型固化材
TWI263624B (en) Method for modifying reservoir sludge and construction material containing modified reservoir slu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