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581B1 - 해조류를 이용한 내구성 및 방수기능이 향상된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해조류를 이용한 내구성 및 방수기능이 향상된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581B1
KR101663581B1 KR1020160037335A KR20160037335A KR101663581B1 KR 101663581 B1 KR101663581 B1 KR 101663581B1 KR 1020160037335 A KR1020160037335 A KR 1020160037335A KR 20160037335 A KR20160037335 A KR 20160037335A KR 101663581 B1 KR101663581 B1 KR 101663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sphalt
resin
concret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중
강창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도로기술
강창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도로기술, 강창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도로기술
Priority to KR1020160037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5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5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41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76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grain distribution
    • C04B20/008Micro- or nanosized fillers, e.g. micronised fillers with particle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hydraulic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182Aggregate or filler materials, except those according to E01C7/26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01Living organisms, e.g. microorganisms, or enzym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해조류 5 내지 40중량부; 골재 10 내지 1,000중량부;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30 내지 8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10 내지 40중량부; 산화방지제 3 내지 10중량부; 충진제 10 내지 60중량부; 고분자 수지 10 내지 50중량부; 경화제 2 내지 30중량부; 부착증진제 5 내지 30중량부; 및 파이버 2 내지 20중량부를 포함하는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외기온도변화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여 균열, 표면박리, 탈락(포트홀)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절기 초기결빙에 대한 예방효과가 뛰어남과 동시에 내구성 및 방수기능이 향상되어 교면포장에 적용하기 용이하다.

Description

해조류를 이용한 내구성 및 방수기능이 향상된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Asphalt Concrete Composition for Paving Bridge Using Seaweeds and Constructing Method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의 교면을 포장하기 위한 해조류를 이용한 내구성 및 방수기능이 향상된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교면포장방법으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면포장 시공방법이 주로 시행되어 왔는데, 이는 모두 투수성 포장이므로 교량 바닥판 철근 콘크리트를 보호하기 위하여 교면포장에 앞서 방수층을 설치하게 되어 시공상 번거로운 점이 있고, 수년 간격으로 절삭하여 재포장하는 것이 필요하여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아스팔트 콘크리트 교면포장의 경우에는 아스팔트의 절삭이후 재포장 시 방수층이 파손되어 교면의 방수기능이 상실하게 되고, 교량 바닥판 철근콘크리트에 염화물이온이 침투되어 철근의 부식이 촉진되며, 그 결과 철근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여 교량 바닥판 콘크리트의 내구성이 조기에 저하되는 문제점이 대두되어 왔다.
또한, 아스팔트 콘크리트는 가요성 포장 재료로서 소성변형, 노화, 박리 등에 의한 소요의 주행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평균적으로 약 5년에 1회씩 재포장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교량 유지관리비가 과다 투입되고 교통장애를 발생시키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종래의 아스팔트 콘크리트는 교량상판의 노후화 징후 파악이 곤란하고, 방수층의 시공이 불량하거나 파손될 경우, 상판에 염화물이 침투하여 철근이 부식되거나 우수의 침투에 의한 교량 바닥판 콘크리트의 건/습의 반복과 동결/융해의 반복으로 콘크리트가 열화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교량의 공용성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880030호에는 아스팔트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선행문헌은 아스팔트 시멘트 60~80중량%; 식물성 오일 15~35중량%;을 포함하고, 알라파틱 폴리아미드(Aliphatic polyamides)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한편, 콘크리트마모층 포장방법은 교량의 바닥판 콘크리트와 동시 타설로 시공성이 우수하나, 소요의 평탄성 확보가 어렵고 균열이 발생되어 콘크리트의 투수성에 따른 염화물의 침투로 철근이 부식되고 이로 인한 콘크리트의 균열이 확산되어 교면의 내하력이 조기에 저하되고 확실한 방수가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어 일부 교량에 적용한 이래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공법이다.
한편, 교면포장은 반복되는 교통하중과 다양한 환경조건에 직접 노출되어 있어 교량부재중 파손이 가장 빈번한 부재이므로 교면 포장재료는 소요의 평탄성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하고, 방수성이 있어야 하며, 균열에 대한 저항성과 바닥판 콘크리트와 부착되어 일체화 거동을 할 수 있는 재료 및 시공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아스팔트 콘크리트 교면 포장공법이나 콘크리트마모층 교면포장 공법등과 같은 종래의 교면포장 재료 및 그 시공방법의 단점을 개선하고, 상기 교면포장 재료의 구비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부착력이 우수하고 균열억제 및 방수효과가 뛰어난 라텍스혼합개질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면포장 시공방법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특히, 2000년 이후 속경성 시멘트와 폴리머로 콘크리트의 성능을 개선한 개질콘크리트가 개발되었으며, 짧은 경화시간과 높은 투수저항성, 동결융해저항성 등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도로구조물의 보수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개질콘크리트는 다량의 라텍스를 포함하므로 비용이 고가이고, 열반사율이 높아 동절기 초기결빙에 대한 예방효과가 종래 아스팔트 콘크리트보다 미비하며, 열흡수율이 낮아 우리나라와 같이 외기온도변화(일교차, 4계절)가 심한 환경에서는 온도응력으로 인하여 균열, 표면박리, 탈락(포트홀) 등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교량포장 조성물의 특성을 최대한 살리면서, 내구성 및 방수기능이 높고, 저비용이면서도 효과적으로 교면포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특정적으로 해조류를 이용한 내구성 및 방수기능이 향상된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기온도변화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여 균열, 표면박리, 탈락(포트홀)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절기 초기결빙에 대한 예방효과가 뛰어남과 동시에 압축강도와 같은 물성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해조류 5 내지 40중량부;
골재 10 내지 1,000중량부;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30 내지 8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10 내지 40중량부;
산화방지제 3 내지 10중량부;
충진제 10 내지 60중량부;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중합체(TPU),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스티렌 부타디엔 러버,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 에틸렌 비닐아세트산 공중합체, 폴리아마이드, 멜라민 수지, 알키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혼합물인 고분자 수지 10 내지 50중량부;
경화제 2 내지 30중량부;
부착증진제 5 내지 30중량부; 및
파이버 2 내지 20중량부를 포함하는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소듐 벤조 에이트를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다이머산을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테트라에틸렌펜타민을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 폴리우레탄(PU), 폐타이이어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미끄럼방지용 칩을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카본블랙, 카드뮴옐로, 카드뮴레드, 코발드블루, 산화크롬 또는 탄산칼슘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은
포장 대상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청소하는 이물질 제거-청소단계;
상기 이물질 제거-청소단계가 종료된 표면에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해조류 5 내지 40중량부, 골재 10 내지 1,000중량부,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30 내지 8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10 내지 40중량부, 산화방지제 3 내지 10중량부,
충진제 10 내지 60중량부,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중합체(TPU),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스티렌 부타디엔 러버,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 에틸렌 비닐아세트산 공중합체, 폴리아마이드, 멜라민 수지, 알키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혼합물인 고분자 수지 10 내지 50중량부, 경화제 2 내지 30중량부, 부착증진제 5 내지 30중량부, 및 파이버 2 내지 20중량부를 포함하는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소듐 벤조 에이트를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다이머산을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테트라에틸렌펜타민을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 폴리우레탄(PU), 폐타이이어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미끄럼방지용 칩을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카본블랙, 카드뮴옐로, 카드뮴레드, 코발드블루, 산화크롬 또는 탄산칼슘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물과 혼합한 뒤 타설하는 타설단계; 및
상기 타설단계가 종료된 후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양생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하는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외기온도변화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여 균열, 표면박리, 탈락(포트홀)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절기 초기결빙에 대한 예방효과가 뛰어남과 동시에 내구성 및 방수기능이 향상되어 교면포장에 적용하기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 가지 관점에서, 본 발명은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해조류 5 내지 40중량부; 골재 10 내지 1,000중량부;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30 내지 8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10 내지 40중량부; 산화방지제 3 내지 10중량부; 충진제 10 내지 60중량부; 고분자 수지 10 내지 50중량부; 경화제 2 내지 30중량부; 부착증진제 5 내지 30중량부; 및 파이버 2 내지 20중량부를 포함하는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포장 대상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청소하는 이물질 제거-청소단계; 상기 이물질 제거-청소단계가 종료된 표면에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해조류 5 내지 40중량부, 골재 10 내지 1,000중량부,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30 내지 8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10 내지 40중량부, 산화방지제 3 내지 10중량부, 충진제 10 내지 60중량부, 고분자 수지 10 내지 50중량부, 경화제 2 내지 30중량부, 부착증진제 5 내지 30중량부; 및 파이버 2 내지 20중량부를 포함하는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물과 혼합한 뒤 타설하는 타설단계; 및 상기 타설단계가 종료된 후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양생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하는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아스팔트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추천하기로는 석유계 아스팔트 또는 아스팔트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은 천연 아스팔트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 특정적으로 천연 아스팔트 혼합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천연 아스팔트 혼합물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트리니다드레이크(Trinidad lake) 아스팔트, 트리니다드에퓨레(Trinidad epure) 아스팔트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침입도 20 내지 40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천연 아스팔트, 예를 들면 트리니다드레이크 아스팔트 및/또는 트리니다드에퓨레 아스팔트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침입도 20 내지 40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70 내지 80중량% 및 트리니다드레이크 아스팔트 또는 트리니다드에퓨레 아스팔트로 이루어진 천연 아스팔트 20 내지 30중량%를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여기서, 상기 스트레이트 아스팔트(straight asphalt)는 석유 아스팔트로 원료를 건류 또는 증류한 잔류물을 정제한 통상의 아스팔트로, 특히 침입도가 20~40인 것이 도로에 시공 시 용이성에 있어 더욱 좋다.
상기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아스팔트 혼합물에 70 내지 8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7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아스팔트 포장 후 굳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될 수 있고, 연화점이 낮아질 수 있으며, 8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유동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아스팔트는 본 발명의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유동성 개선과 더불어 변형저항, 미끄럼저항 및 마찰저항 등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천연 아스팔트는 트리니다드레이크(trinidad lake) 아스팔트 및/또는 트리니다드에퓨레(Trinidad epure) 아스팔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아스팔트는 아스팔트 혼합물에 20 내지 3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2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유동성, 변형저항, 미끄럼저항 및 마찰저항의 개선효과가 미미하며, 3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본 발명의 교면포장용 아스팔트가 연질화되고 연화점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구성하는 아스팔트 외 나머지 성분들의 함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는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특정적으로 내구성 및 방수기능이 향상된 콘크리트 조성물에 포함되어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이 건조 및 경화시에 수축이 커서 갈라지거나 굴곡 및 충격강도가 약하여 용이하게 부서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해조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구성하는 구성성분들의 결합을 촉진시키고, 균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해조류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해조류는 세계적으로 약 8,000 종, 한국 근해에는 약 500여 종이 서식하고 있으므로, 이들 모두를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한 해조류로서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해조류로 대표적인 것은 녹조류로는 가시파래, 홀파래 청태, 해캄, 파래, 청각, 구슬청각, 옥덩굴, 염주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갈조류로는 미역, 다시마, 헛가지말, 민가지말, 패, 고리매, 미역쇠, 감태, 곰피, 대황, 쇠미역사촌, 모자반, 괭생이 모자반, 지충이, 톳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홍조류로는 김, 우뭇가사리, 불등가사리, 코토니, 개도박, 둥근돌김, 개우무, 새발, 참풀가사리, 꼬시래기, 진두발, 참도박, 가시우무, 비단풀, 단박, 돌가사리, 석목, 지누아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는 건조된 해조류, 분말 형태의 해조류 또는 끊여서 농축시킨 농축액 형태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추천하기로는 건조 후 분쇄한 분말 형태의 고형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해조류의 사용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4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골재는 콘크리트, 아스팔트, 고분자 수지 등과 같은 결합재에 의하여 뭉쳐져서 한 덩어리를 이룰 수 있는 건설용 광물질 재료이며, 화학적으로 안정하다.
상기 골재는 교면, 즉 교량의 포장면 포장을 위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해 물에 혼합하는 모래, 자갈, 현무암, 오석, 바잘트, 기타 이와 비슷한 재료를 지칭한다.
특정적으로, 상기 골재로서 약 25mm의 입경 및 약 0.7%의 흡수율을 갖는 염기성 맥암 및/또는 약 5mm의 입경 및 5.40%의 흡수율을 갖는 보크사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재는 크기에 따라 0.074mm 이상 4.76mm 미만의 것은 잔골재라 하고, 4.76mm 이상의 것은 굵은 골재라 한다. 바람직한 골재의 사용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1,000중량부인 것이 좋고, 상기 골재에 포함되는 잔골재 및 굵은 골재의 혼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므로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GMA)계 수지는 충격강도, 신율, 인장강도 및/또는 탄성력 등을 향상사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라시딜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EGMA),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글라시딜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EBA-GMA)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30 내지 80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세라믹 입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양생 중에 표면으로 부상하여 치밀하고 경도가 높은 표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수증기와 기타 기체, 액체의 투과를 방지함은 물론, 내습성, 내구성, 내후성, 내충격성, 내약품성이 향상된다.
상기 나노세라믹 입자의 사용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40중량부인 것이 좋다.
바람직한 나노세라믹 입자는 실리콘카바이드, 알루미나, 실리카, 지르코니아-실리카, ZnO, TiO2 및/또는 CaCO3가 포함된다.
이들 세라믹입자는 평균 입경이 나노 범위인 것이 바람직한데,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콘카바이드의 평균 입경은 300 내지 500nm, 상기 알루미나의 평균 입경은 500 내지 1000nm, 상기 실리카의 평균 입경은 700 내지 1500nm, 상기 지르코니아-실리카의 평균 입경은 500 내지 1000nm, 상기 ZnO의 평균 입경은 500 내지 1000nm, 상기 TiO2의 평균 입경은 100 내지 300nm, 그리고 CaCO3의 평균 입경은 500 내지 10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에서도 실리콘카바이드는 천연광물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인공적으로 합성하며, 고온에서의 화학적 안정성 및 내식성이 뛰어나고 높은 경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방지제는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한 산화방지제는 아민계, 비스페놀계, 모노페놀계 및 유황계 산화방지제가 사용될 수 있고, 그 사용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3 내지 1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충진제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공극채움성과, 안정도, 내마모성 및 내유동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상호간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결과적으로는 마샬안정도(Marshall stability)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한 충진제는 석회분말, 포틀랜드 시멘트, 소석회, 플라이애쉬, 회수 더스트, 전기로 제강더스트, 주물더스트 및 소각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사용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6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수지는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방수성 및 부착성 등을 제공하는 동시에 강도를 향상시키고, 균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고분자 수지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중합체(TPU),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Methyl MethAcrylate),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tylene isoprene stylene; SIS), 스티렌 부타디엔 러버(stylene butadiene rubber; SBR),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stylene butadiene stylene; SBS), 에틸렌 비닐아세트산 공중합체(EVA), 폴리아마이드(Polyamide), 멜라민 수지, 알키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고분자 수지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포함된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경화제는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경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통상적인 경화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 핵사메틸렌테트라민, 아민류, 폴리아마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2 내지 30중량부인 것이 좋다.
특정적으로, 상기 경화제는 저수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저수축제는 경화제 전체 중량 기준으로 30중량%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바람직한 저수축제로는 불포화 폴리에스터계 저수축제, 예를 들면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로 이루어진 저수축제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증진제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이 시공되는 접촉면에 보다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한 부착증진제는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로일 포스페이트, 하이드록시 에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사용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30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버는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로 형성된 교면의 종-횡 방향으로 가해지는 응력에 의한 인장력 및/또는 경량성 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파이버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석면, 암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유리섬유, 천연 셀룰로오즈 섬유 및 광물질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2 내지 20중량부인 것이 좋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특정적으로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물을 흡수하며 팽창됨으로써, 아스팔트 공극을 메워 수분 침투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사키는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 염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20 내지 50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은 아크릴레이트염의 중합체가 가교(crosslink)된 물질을 말하며, 고흡수성 폴리머의 일종으로, 가교제로 아크릴산(Acrylic acid)dl 포함된 아크릴산과 소듐아크릴레이트(sodium acrylate)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며, 하기 (C3H4O2.C3H3O2Na)x 의 분자식을 갖는다.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은 고분자 사슬 간의 가교결합(cross-linking)을 통한 3차원의 망상구조 또는 단일 사슬구조에서 친수성기의 도입에 따른 유체의 흡수현상을 나타내는 폴리머로, 일반 폴리머 재료에 비하여 흡수성이 월등히 높기 때문에 위생용품의 슬림화 및 고성능화 실현을 위한 필수적인 고기능성 재료로 사용되며, 이러한 고흡수성 폴리머인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염이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사용되면 수분 침투시 팽창하여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내부 공극을 채워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고, 내구성을 증진시키게 된다.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포장 대상면으로부터 쉽게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30중량부의 박리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박리방지제는 폴리인산계, 아민계, 또는 인산 에스테르계 박리방지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정적으로, 상기 박리방지제는 액상형으로 비중이 1.0 이상이고 60℃ 점도가 110 cPs인 폴리인산계 박리방지제; 산가가 10 ㎎KOH/g 이하이고, 총 아민가가 140 내지 400㎎HCl/g인 아민계 박리방지제일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건조층의 표면 택키(tacky)를 방지하여 차량 통행으로 인한 표면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왁스를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2 내지 5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왁스로는 폴리에틸렌 왁스 또는 폴리프로필렌 왁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폐 아스팔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 아스팔트는 종래에 포장용으로 사용된 아스팔트가 노후화되거나 파손되어 교체할 경우 발생되는 것을 주로 사용하며, 그 사용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50 내지 150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여기서, 상기 폐 아스팔트를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부가하여 새로운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구성할 경우, 기능이 저하된 폐 아스팔트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아스팔트 성능개선제를 더 부가할 수 있다.
상기 아스팔트 성능개선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능개선제, 특정적으로 아스팔트 성능개선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그 사용량은 폐 아스팔트 100중량 기준으로 5 내지 3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성능개선제로는 성능개선제 전체 중량 기준으로 비닐아세테이트 모노머-파라핀오일 90 내지 99.5중량% 및 과산화벤조일 0.5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비닐아세테이트 모노머-파라핀오일은 비닐아세테이트 모노머 5 내지 25중량% 및 파라핀 오일 75 내지 95중량%가 혼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고분자 개질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분자 개질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고분자 개질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그 사용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2 내지 40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상기 고분자 개질제의 일 양태로서, 본 발명에서는 생고무, 니트릴고무, 스티렌부타디엔고무, 부타디엔고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개질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균열발생을 억제하고, 접착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20중량부의 바이오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바이오 수지는 유변성 알키드 수지, 유변성 우레탄 수지, 유변성 우레탄 수지의 지방산 에스테르, 유변성 에폭시 수지, 유변성 에폭시 수지의 지방산 에스테르, 바이오 폴리에틸렌 수지, L-폴리락트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추천하기로는 유변성 알키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유변성은 지방산 등의 유성분을 분자 중에 함유하는 수지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유변성 수지를 사용하게 되면 분산성, 기계적 성질, 경화성, 피막 형성성을 제어하기 용이하다.
특정적으로, 상기 바이오 수지는 식물성 오일, 예를 들면 식물 또는 식물의 씨로부터 추출된 오일로, 쌀 기름, 팜 오일, 코코넛 오일, 피마자 오일, 포도씨 오일, 호호바 오일, 홍화 오일, 마카데미아너츠 오일, 올리브씨 오일, 및 이들의 혼합 오일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이오 수지와 식물성 오일의 혼합비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지만, 추천하기로는 바이오 수지와 식물성 오일의 중량비율로서 1:9 내지 9:1인 것이 좋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약 80℃ 이상의 고온에서 점도를 감소시키고,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구성하는 구성성분간의 혼합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가소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가소제는 테레프탈산 금속염, 스테아린산 금속염, 석유수지,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및 저분자량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20중량부인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가소제의 사용량인 1중량부 미만이면 효과가 없고, 20중량부를 초과하면 점도가 낮아져 소성변형 저항성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미끄럼방지용 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끄럼방지용 칩은 차량, 보행자 및/또는 자전거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동시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보행감과 운전감을 향상시키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그 사용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인 것을 추천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미끄럼방지용 칩은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 폴리우레탄(PU), 폐타이어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색상을 다양하게 변환시켜 심미성이 가미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카본블랙, 카드뮴옐로, 카드뮴레드, 코발트블루, 산화크롬 또는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 5 내지 1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보수용 아스팔트 조성물은 아스팔트의 점탄성을 높이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중량부의 소듐 벤조 에이트(sodium benzoate)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소듐 벤조 에이트가 0.1중량부 보다 적을 경우 효과가 미미하며, 1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량이 되어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포장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박리 방지를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의 다이머산(Dimer acid)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다이머산은 그 유래 및 형태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식물유 지방산의 이량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식물류 지방산은 올레익산, 리놀레익산, 스테아릭산 및 팔미틱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점도 조절 및 강도증진을 위하여 테트라에틸렌펜타민
(Tetraethylenepentamine;TEPA)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는데, 테트라에틸렌펜타민이 1중량부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10중량부를 초과하면 그 양이 과다하여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물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특정적으로 해조류를 이용한 내구성 및 방수기능이 향상된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시공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포장 대상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청소하는 이물질 제거-청소단계;
상기 이물질 제거-청소단계가 종료된 표면에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해조류 5 내지 40중량부, 골재 10 내지 1,000중량부,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30 내지 8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10 내지 40중량부, 산화방지제 3 내지 10중량부, 충진제 10 내지 60중량부, 고분자 수지 10 내지 50중량부, 경화제 2 내지 30중량부, 부착증진제 5 내지 30중량부; 및 파이버 2 내지 20중량부를 포함하는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물과 혼합한 뒤 타설하는 타설단계; 및
상기 타설단계가 종료된 후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양생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시공방법은 교량슬래브콘크리트의 표면을 깊이 2 내지 10mm 내외로 절삭하여 요철을 형성하면서 방호벽이나 중앙분리대의 측벽을 치핑하여 표면을 거칠게 한 후 레이탄스, 콘크리트 부스러기, 오일, 흡착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 교면절삭과 청소단계;
상기 교면 절삭과 청소단계 후 배합성능의 확인과 사용재료의 검정을 시방서의 규정에 준하는 허용오차 범위 내에서 모빌믹서로 현장에서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해조류 5 내지 40중량부, 골재 10 내지 1,000중량부,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30 내지 8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10 내지 40중량부, 산화방지제 3 내지 10중량부, 충진제 10 내지 60중량부, 고분자 수지 10 내지 50중량부, 경화제 2 내지 30중량부, 부착증진제 5 내지 30중량부; 및 파이버 2 내지 20중량부를 포함하는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물과 믹싱하여 생산하는 생산단계;
상기 생산된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데크브러쉬로 브러싱하여 교면에 엷게 도포함으로써 포설전까지 조성물이 건조되지 않도록 유지하는 브루밍작업 단계;
상기 브루밍작업 단계가 종료된 후 시방서에 맞도록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타설하는 타설단계; 및
상기 타설단계가 종료된 후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양생하는 양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석유계 아스팔트인 아스팔트 AP-3 100g, 미역 6g, 굵은 골재 300g, 에틸렌-글라시딜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EGMA) 50g, 실리콘카바이드 20g,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산화방지제 6g, 포틀랜트 시멘트 30g,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수지 30g,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5g,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로일 포스페이트 15g, 및 천연 셀룰로오즈 섬유 10g을 혼합하여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미역 6g 대신 청태 2g, 가시파래 2g 및 우뭇가사리 2g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로 이루어진 저수축제 3g을 더 부가하여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 염 30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액상형으로 비중이 1.0 이상이고 60℃ 점도가 110 cPs인 폴리인산계 박리방지제 1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에틸렌 왁스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폐 아스팔트 100g를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비닐아세테이트 모노머-파라핀오일 95중량% 및 과산화벤조일 5중량%로 이루어진 성능개선제 20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니트릴고무 20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유변성 알키드 수지 10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테레프탈산 금속염 10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소듐 벤조 에이트 0.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다이머산 1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테트라에틸렌펜타민 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 험]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물과 혼합하여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조한 후 저온과 표준상태에서의 방수성, 부착성, 박리성, 압축강도 및 건조수축율 등을 측정하여 표 1로 나타냈다.
압축강도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압축강도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건조 수축률(미크론)은 각 콘크리트 조성물을 20℃ㅧ60%RH의 조건 하에서 보존한 26주의 공시체에 대해서 비교회로(comparator)법에 의하여 건조 수축 일그러짐을 측정하여 건조 수축률을 구했다. 이 수치는 작을수록 건조 수축이 작은 것을 나타낸다.
방수성 부착성 박리성 건조수축률
(u)
압축강도(MPa)
3일간 7일간 28일간
실시예 1 95% 좋음 미박리 176 20.1 25.3 76
실시예 2 97% 좋음 미박리 178 23.2 25.5 77
실시예 3 97% 좋음 미박리 186 28.7 31.5 77
실시예 4 97% 좋음 미박리 182 29.2 30.2 79
실시예 5 98% 좋음 미박리 181 29.1 32.3 78
실시예 6 95% 좋음 미박리 184 29.3 31.1 80
실시예 7 99% 좋음 미박리 182 29.2 33.3 82
실시예 8 99% 좋음 미박리 181 29.1 32.3 78
실시예 9 96% 좋음 미박리 178 23.2 26.3 77
실시예 10 95% 좋음 미박리 179 20.4 26.1 76
실시예 11 96% 좋음 미박리 174 29.2 33.3 78
실시예 12 95% 좋음 미박리 183 29.1 32.3 78
실시예 13 96% 좋음 미박리 178 23.2 26.3 77
실시예 14 97% 좋음 미박리 174 20.4 27.1 78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4의 방수성, 부착성 및 박리성이 좋고, 압축강도는 28일이 경과한 시점에서 75메가파스칼 이상으로서, 상시 실시예의 모든 콘크리트 조성물이 고강도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해조류 5 내지 40중량부;
    골재 10 내지 1,000중량부;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30 내지 8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10 내지 40중량부;
    산화방지제 3 내지 10중량부;
    충진제 10 내지 60중량부;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중합체(TPU),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스티렌 부타디엔 러버,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 에틸렌 비닐아세트산 공중합체, 폴리아마이드, 멜라민 수지, 알키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혼합물인 고분자 수지 10 내지 50중량부;
    경화제 2 내지 30중량부;
    부착증진제 5 내지 30중량부; 및
    파이버 2 내지 20중량부를 포함하는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소듐 벤조 에이트를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다이머산을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테트라에틸렌펜타민을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 폴리우레탄(PU), 폐타이이어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미끄럼방지용 칩을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카본블랙, 카드뮴옐로, 카드뮴레드, 코발드블루, 산화크롬 또는 탄산칼슘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는 가시파래, 홀파래 청태, 해캄, 파래, 청각, 구슬청각, 옥덩굴, 염주말, 미역, 다시마, 헛가지말, 민가지말, 패, 고리매, 미역쇠, 감태, 곰피, 대황, 쇠미역사촌, 모자반, 괭생이 모자반, 지충이, 톳, 김, 우뭇가사리, 불등가사리, 코토니, 개도박, 둥근돌김, 개우무, 새발, 참풀가사리, 꼬시래기, 진두발, 참도박, 가시우무, 비단풀, 단박, 돌가사리, 석목, 지누아리, 또는 이들 중 선택된 적어도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포장 대상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청소하는 이물질 제거-청소단계;
    상기 이물질 제거-청소단계가 종료된 표면에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해조류 5 내지 40중량부, 골재 10 내지 1,000중량부,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30 내지 8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10 내지 40중량부, 산화방지제 3 내지 10중량부,
    충진제 10 내지 60중량부,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중합체(TPU),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스티렌 부타디엔 러버,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 에틸렌 비닐아세트산 공중합체, 폴리아마이드, 멜라민 수지, 알키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혼합물인 고분자 수지 10 내지 50중량부, 경화제 2 내지 30중량부, 부착증진제 5 내지 30중량부, 및 파이버 2 내지 20중량부를 포함하는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소듐 벤조 에이트를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다이머산을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테트라에틸렌펜타민을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 폴리우레탄(PU), 폐타이이어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미끄럼방지용 칩을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카본블랙, 카드뮴옐로, 카드뮴레드, 코발드블루, 산화크롬 또는 탄산칼슘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물과 혼합한 뒤 타설하는 타설단계; 및
    상기 타설단계가 종료된 후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양생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하는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시공방법.
KR1020160037335A 2016-03-29 2016-03-29 해조류를 이용한 내구성 및 방수기능이 향상된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63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335A KR101663581B1 (ko) 2016-03-29 2016-03-29 해조류를 이용한 내구성 및 방수기능이 향상된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335A KR101663581B1 (ko) 2016-03-29 2016-03-29 해조류를 이용한 내구성 및 방수기능이 향상된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581B1 true KR101663581B1 (ko) 2016-10-07

Family

ID=57145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335A KR101663581B1 (ko) 2016-03-29 2016-03-29 해조류를 이용한 내구성 및 방수기능이 향상된 교면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5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70678A (zh) * 2020-01-20 2020-05-19 北京建筑大学 一种聚氨酯为结合料的浇筑式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102460498B1 (ko) * 2022-05-24 2022-10-27 장영두 동결 억제 성능 및 지속성이 우수한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동결 억제 포장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500B1 (ko) * 2014-02-11 2014-09-12 (주)대한하이텍건설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도로포장용 아스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15013907A (ja) * 2011-09-21 2015-01-22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ポリマー結合アスファルト組成物、舗装用混合物、および舗装体
KR101565128B1 (ko) * 2015-05-14 2015-11-02 주식회사 지케이기술연구소 불투수성 무공극형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92411B1 (ko) * 2015-04-01 2016-02-05 주식회사 한국도로기술 해조류와 바이오수지를 이용한 상온 경화형 아스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13907A (ja) * 2011-09-21 2015-01-22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ポリマー結合アスファルト組成物、舗装用混合物、および舗装体
KR101438500B1 (ko) * 2014-02-11 2014-09-12 (주)대한하이텍건설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도로포장용 아스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592411B1 (ko) * 2015-04-01 2016-02-05 주식회사 한국도로기술 해조류와 바이오수지를 이용한 상온 경화형 아스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565128B1 (ko) * 2015-05-14 2015-11-02 주식회사 지케이기술연구소 불투수성 무공극형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70678A (zh) * 2020-01-20 2020-05-19 北京建筑大学 一种聚氨酯为结合料的浇筑式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102460498B1 (ko) * 2022-05-24 2022-10-27 장영두 동결 억제 성능 및 지속성이 우수한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동결 억제 포장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588B1 (ko) 해조류를 이용한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층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47298B1 (ko) 방수기능을 갖는 고등급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12921B1 (ko) 고등급 구스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73927B1 (ko) 고등급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63584B1 (ko) 해조류를 이용한 내구성이 향상된 일반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73932B1 (ko) 균열저감 효과가 우수한 고등급 저온 경화형 매스틱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92617B1 (ko) Sis 및 crm을 포함하는 고등급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54567B1 (ko) 접착성능이 우수한 아스팔트 바인더를 이용한 배수성 고등급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수성 고등급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KR101565131B1 (ko)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44770B1 (ko) 발열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12916B1 (ko) 고등급 매스틱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77588B1 (ko) Si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표층용 구스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12923B1 (ko) 매스틱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54235B1 (ko) Sis 및 sbs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도막 방수제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35081B1 (ko) 균열저감 효과가 우수한 고등급 저온 경화형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47296B1 (ko) 교통체증 저감형 도로 보수용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565128B1 (ko) 불투수성 무공극형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4168B1 (ko) 재생아스팔트를 이용하여 현장타설이 용이한 고등급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93794B1 (ko) Ldpe 및 sis를 포함하는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77585B1 (ko) Sis를 이용한 저소음 배수성 중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92619B1 (ko)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93792B1 (ko) Ldpe 및 sis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44769B1 (ko) Sis를 이용한 고부착성 아스팔트 바인더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89186B1 (ko) 소성변형 저항성이 향상된 개질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61280B1 (ko) Sis를 이용한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현장이송장치을 이용한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