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899B1 - 안면 커버를 구비한 안전모 - Google Patents

안면 커버를 구비한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899B1
KR102140899B1 KR1020190145994A KR20190145994A KR102140899B1 KR 102140899 B1 KR102140899 B1 KR 102140899B1 KR 1020190145994 A KR1020190145994 A KR 1020190145994A KR 20190145994 A KR20190145994 A KR 20190145994A KR 102140899 B1 KR102140899 B1 KR 102140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cover
fastening
helmet
fixed shaf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윤
박준영
이수혁
Original Assignee
송재윤
박준영
이수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윤, 박준영, 이수혁 filed Critical 송재윤
Priority to KR1020190145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8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42B3/222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 A42B3/223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with means for locking the visor in a fully open, intermediate or closed position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면 커버를 구비한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모, 상기 안전모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작업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안면 커버, 상기 안전모와 안면 커버 사이를 연결하는 것과 아울러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체결용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모의 전면에는 앞쪽으로 돌출되는 챙이 형성되며, 상기 챙의 바닥면에는 상기 안면 커버가 아래에서 위쪽으로 끼움 결합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의 양 측벽은 바닥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줄어드는 경사각을 형성하며 내측 폐단부는 곡선 처리된 곡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안면 커버의 유동현상 없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면 커버의 경사각을 조절 및 탈착을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면 커버를 구비한 안전모{safety helmet having face cover}
본 발명은 안면 커버를 구비한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모에 결합된 안면 커버를 전후방향으로 회전시켜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것과 아울러 안면 커버가 안전모로부터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면 커버를 구비한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모는 공장이나 건축 공사장 등의 각종 산업현장에서 각종 물체가 작업자의 머리에 부딪힐 때, 머리에 전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각종 산업현장에서는 반드시 착용해야 하는 보호 장구 중의 하나이다.
또한, 이와 같은 안전모에는 빛이나 바람 또는 작업 파편 등에 대하여 착용자의 안면을 보호하기 위한 안면 커버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안면 커버가 결합된 안전모는 안전 커버가 안전모의 양측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전 커버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원형의 반경을 그리며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안전모에 적용된 안면 커버는 위치 조절이 어려워 작업자에게 최적화된 보호장구 착용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사람마다 얼굴의 크기 코의 위치 등이 다른데, 안면 커버의 위치가 획일적으로 제공됨에 따라 작업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불편함을 느껴 작업성을 높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안전 커버의 회전 구조는 단순히 아래에서 윗쪽으로 작용하는 힘에 쉽게 들어올려지게 됨으로 강한 바람이난 작업장 주변의 구조물 등과 접촉할 경우 상기 안전 커버가 쉽게 뒤로 넘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748611호(2007.08.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안전모에 결합된 안면 커버를 전후방향으로 회전시켜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것과 아울러 안면 커버가 안전모로부터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면 커버를 구비한 안전모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안면 커버를 구비한 안전모는,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모, 상기 안전모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작업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안면 커버, 상기 안전모와 안면 커버 사이를 연결하는 것과 아울러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체결용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모의 전면에는 앞쪽으로 돌출되는 챙이 형성되며, 상기 챙의 바닥면에는 상기 안면 커버가 아래에서 위쪽으로 끼움 결합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의 양 측벽은 바닥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줄어드는 경사각을 형성하며 내측 폐단부는 곡선 처리된 곡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용 커넥터는 상기 안전모에 고정되는 나사체결부를 형성한 고정축, 상기 고정축을 관통하는 중공부를 형성하며 상기 안전모에 면밀착이 이루어지는 완충용 부싱, 상기 고정축에 결합되어 직선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장공의 가이드홀, 상기 안면 커버와 체결되는 커버 체결홀을 형성한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축에 끼워지는 가압용 패킹, 상기 고정축에 끼워지며 상기 완충용 부싱과 가이드레일 사이를 탄력적으로 이격시키는 스프링 및 상기 고정축의 단부에 핀 결합되며 일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가압용 패킹을 가압하여 가이드레일과 함께 상기 완충용 부싱에 밀착 고정되도록 물리적 가압력을 전달하는 편심캠을 형성한 캠 손잡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면 커버는 작업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보안면, 상기 보안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체결홈에 끼워지는 고정틀, 상기 고정틀의 길이방향 양 단부로부터 상기 안전모의 양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커버 체결홀에 끼워지는 체결돌기를 형성한 연결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곡면부와 고정틀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 또는 금속편이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자력에 반응하는 나머지 구성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고정축으로부터 착탈이 이루어지는 힌지 개폐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안전모와 안면 커버 사이를 연결하는 것과 아울러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체결용 커넥터를 구성함으로써, 안면 커버의 유동현상 없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면 커버의 경사각을 조절 및 탈착을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챙에는 경사각을 가지는 체결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안면 커버를 전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얼굴형, 안경 착용자, 코 높이 등을 고려하여 상기 안면 커버의 각도 위치를 최적화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 커버를 구비한 안전모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체결용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체결용 커넥터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면 커버를 구비한 안전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나타내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은 물론 그 이후에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면 커버를 구비한 안전모는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모(100), 상기 안전모(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작업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안면 커버(200), 상기 안전모(100)와 안면 커버(200)를 상호 연결하는 것과 아울러 착탈을 가능하게 연결하는 체결용 커넥터(3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안전모(100)는 작업자의 머리를 감싸는 반구형상의 보호구로, 작업자의 머리를 여러 가지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안전모(100)는 무게가 가벼우면서 강도가 우수한 특수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금속의 소재로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모(100)의 내부공간에는 착용자의 머리 사이즈에 맞추어 넓이를 조절할 수 있는 헤드밴드(도면 미도시)와, 안전모(10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부재(미도시) 등을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모(100)에는 통풍을 위한 다수의 통풍구멍(10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안전모(100)를 착용한 작업자의 머리에서 발생하는 열기가 상기 통풍구멍(10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외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송풍작용으로부터 사용자가 쾌적한 조건으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안전모(100)의 전면에는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함은 물론 안전모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이 작업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앞쪽으로 돌출되는 챙(110)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챙(110)의 바닥면에는 후술할 안면 커버(200)가 아래에서 위쪽으로 끼움 결합되는 체결홈(1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홈(120)의 양 측벽은 바닥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줄어드는 경사각을 형성하며 내측 폐단부는 곡선 처리된 곡면부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체결홈(120)에 형성되는 경사각은 상기 안면 커버(200)가 전,후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경사각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얼굴형, 안경 착용자, 코 높이 등에 맞추어 상기 안면 커버(200)의 각도 위치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안면 커버(200)는 상기 안전모(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바람 또는 작업 파편 등에 대하여 착용자의 안면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면 커버(200)는 작업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보안면(210), 상기 보안면(2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체결홈(120)에 끼워지는 고정틀(220), 상기 고정틀(220)의 길이방향 양 단부로부터 상기 안전모(100)의 양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후술할 체결용 커넥터(300)의 커버 체결홀(332)에 끼워지는 체결돌기(231)를 형성한 연결편(23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면 커버(200)는 안전모(100)의 챙(110)에 형성되는 결합홈(120)을 향해 아래에서 윗쪽으로 끼워지는 결합 구조이므로 상기 안면 커버(200)가 작업자의 움직임 또는 작업장 주변 구조물과 부딪치는 충격에 들어올려져 쉽게 뒤쪽으로 넘어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체결홈(120)의 곡면부와 상기 안면 커버(200)의 고정틀(220)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121) 또는 금속편(221)이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자력에 반응하는 나머지 구성이 설치된다.
즉,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안전모(100)와 안면 커버(200)가 상호 체결되는 결합부위에 대한 고정력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면(210)에는 다수의 보호필름(240)이 적층 상태로 부착된다.
즉, 상기 보호필름(240)은 작업 진행중 상기 보안면(210)에 이물질이 달라붙거나 스크레치가 발생할 경우 해당 보호필름(240)을 떼어내어 보안면(240)을 항상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체결용 커넥터(300)는 상기 안전모(100)와 안면 커버(200) 사이를 연결하는 것과 아울러 착탈을 가능하게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용 커넥터(300)는 상기 안전모(100)에 고정되는 나사체결부(311)를 형성한 고정축(310), 상기 고정축(310)을 관통하는 중공부를 형성하며 상기 안전모(100)에 면밀착이 이루어지는 완충용 부싱(320), 상기 고정축(310)에 결합되어 직선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장공의 가이드홀(331), 상기 안면 커버(200)와 체결되는 커버 체결홀(332)을 형성한 가이드레일(330), 상기 가이드홀(331)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축(310)에 끼워지는 가압용 패킹(340), 상기 고정축(310)에 끼워지며 상기 완충용 부싱(320)과 가이드레일(330) 사이를 탄력적으로 이격시키는 스프링(350), 및 상기 고정축(310)의 단부에 핀 결합되며 일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가압용 패킹(340)을 가압하여 가이드레일(330)과 함께 상기 완충용 부싱(320)에 밀착 고정되도록 물리적 가압력을 전달하는 편심캠(361)을 형성한 캠 손잡이(360)로 구성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모(100)에 고정축(310)을 결합시키고 상기 고정축(310)에 완충용 부싱(320), 가이드레일(330), 가압용 패킹(340), 스프링(350) 및 캠 손잡이(360)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캠 손잡이를 화살표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상기 캠 손잡이(360)에 형성된 편심캡(361)이 회전하면서 상기 가압용 패킹(340)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용 패킹(340)은 상기 완충용 부싱(320)을 향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가압용 패킹(340)이 밀착된 상태로 접촉하고 있는 상기 가이드레일(330)을 함께 이동시켜 상기 완충용 부싱(320)에 밀착되는 상태로 압박하여 상기 가이드레일(33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처럼 캠 손잡이(360)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330)을 완충용 부싱(320)에 긴밀하게 밀착 고정시킬 수 있어 상기 가이드레일(330)에 연결되는 안면 커버(200)가 유동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캠 손잡이(360)를 반대방향으로 선회 회전시키면 상기 완충용 부싱(320)에 밀착된 상기 가이드레일(330)이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는 유격 공간과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됨으로써, 상기 안면 커버(200)의 경사각을 조절하거나 상기 안전모(100)로부터 안면 커버를 탈착시킬 수 있는 세팅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레일(330)에는 상기 고정축(310)으로부터 착탈이 이루어지는 힌지 개폐부(333)가 설치된다(도 4참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안전모 110 : 챙
120 : 체결홈 200 : 안면 커버
210 : 보안면 220 : 고정틀
230 : 연결편 300 : 체결용 커넥터
310 : 고정축 320 : 완충용 부싱
330 : 가이드레일 340 : 가압용 패킹
350 : 스프링 360 : 캠 손잡이

Claims (5)

  1.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모,
    상기 안전모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작업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안면 커버,
    상기 안전모와 안면 커버 사이를 연결하는 것과 아울러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체결용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모의 전면에는 앞쪽으로 돌출되는 챙이 형성되며, 상기 챙의 바닥면에는 상기 안면 커버가 아래에서 위쪽으로 끼움 결합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의 양 측벽은 바닥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줄어드는 경사각을 형성하며 내측 폐단부는 곡선 처리된 곡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용 커넥터는 상기 안전모에 고정되는 나사체결부를 형성한 고정축, 상기 고정축을 관통하는 중공부를 형성하며 상기 안전모에 면밀착이 이루어지는 완충용 부싱, 상기 고정축에 결합되어 직선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장공의 가이드홀, 상기 안면 커버와 체결되는 커버 체결홀을 형성한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축에 끼워지는 가압용 패킹, 상기 고정축에 끼워지며 상기 완충용 부싱과 가이드레일 사이를 탄력적으로 이격시키는 스프링, 및 상기 고정축의 단부에 핀 결합되며 일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가압용 패킹을 가압하여 가이드레일과 함께 상기 완충용 부싱에 밀착 고정되도록 물리적 가압력을 전달하는 편심캠을 형성한 캠 손잡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커버를 구비한 안전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커버는,
    작업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보안면,
    상기 보안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체결홈에 끼워지는 고정틀,
    상기 고정틀의 길이방향 양 단부로부터 상기 안전모의 양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커버 체결홀에 끼워지는 체결돌기를 형성한 연결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커버를 구비한 안전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와 고정틀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 또는 금속편이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자력에 반응하는 나머지 구성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커버를 구비한 안전모.
  5.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고정축으로부터 착탈이 이루어지는 힌지 개폐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커버를 구비한 안전모.
KR1020190145994A 2019-11-14 2019-11-14 안면 커버를 구비한 안전모 KR102140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994A KR102140899B1 (ko) 2019-11-14 2019-11-14 안면 커버를 구비한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994A KR102140899B1 (ko) 2019-11-14 2019-11-14 안면 커버를 구비한 안전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899B1 true KR102140899B1 (ko) 2020-08-04

Family

ID=72049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994A KR102140899B1 (ko) 2019-11-14 2019-11-14 안면 커버를 구비한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8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611B1 (ko) 2006-04-12 2007-08-13 한국전력공사 안전모용 보안면
KR20180016403A (ko) * 2015-06-12 2018-02-14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용접면 부재용 하드 모자 어댑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611B1 (ko) 2006-04-12 2007-08-13 한국전력공사 안전모용 보안면
KR20180016403A (ko) * 2015-06-12 2018-02-14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용접면 부재용 하드 모자 어댑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4278B2 (en) Multi-function face protector
US7908668B2 (en) Safety eyewear
US5278999A (en) Combined ear and eye protection device
US11067813B2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US5619754A (en) Protective cap with reversible headband
JP2008506157A (ja) 帽子に取り付けできる可調整サングラス
US20140173811A1 (en) Unit composed of helmet and protective eye mask
WO2007080455A3 (en) Protective eyewear including auxiliary lenses
US11042042B2 (en) Flexible temples for glasses frames
KR100989524B1 (ko) 보호용 헬멧
KR100898511B1 (ko) 작업용 보호안경
KR102140899B1 (ko) 안면 커버를 구비한 안전모
JP4531305B2 (ja) 顔面保護板付ヘルメット
JP6826357B1 (ja) フェイスガード
CN211833055U (zh) 一种建筑施工管理用的安全帽
US10149509B2 (en) Ergonomic occipital triangular cushion pad for head bands
TWM564939U (zh) 安全帽
KR20090007655U (ko) 안전모
KR102342456B1 (ko) 보호 마스크가 구비된 안전모
GB2558317A (en) Ergonomic occipital triangular cushion pad for head bands
CN213908637U (zh) 头戴式面罩
CN218303612U (zh) 一种安全帽
JP2003129324A (ja) 保護帽子の構造
KR102658993B1 (ko) 모자 착탈형 송풍장치
KR102632836B1 (ko) 풍절음 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