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764B1 -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어깨 높이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어깨 높이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764B1
KR102140764B1 KR1020170069504A KR20170069504A KR102140764B1 KR 102140764 B1 KR102140764 B1 KR 102140764B1 KR 1020170069504 A KR1020170069504 A KR 1020170069504A KR 20170069504 A KR20170069504 A KR 20170069504A KR 102140764 B1 KR102140764 B1 KR 102140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eat
belt
adjustmen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3054A (ko
Inventor
김영숙
Original Assignee
김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숙 filed Critical 김영숙
Priority to KR1020170069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764B1/ko
Publication of KR20180133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1Seat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석의 일측에서 상하로 연장되며 좌석에 결합되는 조절 벨트와 조절 벨트에 결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시트 벨트의 몸통 고정부를 고정하는 조절 클립과, 조절 벨트의 상부를 좌석의 머리 받침대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어깨 높이 조절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어깨 높이 조절 장치{Shoulder Height Adjusting Apparatus for Seat Belt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에 앉는 탑승자의 키에 따라 시트 벨트가 어깨에 걸쳐지는 어깨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시트 벨트는 한 줄의 웨빙과 웨빙에 결합되어 자유롭게 이동하는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차용 시트 벨트는 웨빙의 양단이 좌석의 우측 또는 좌측의 자동차 차체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되며, 고정 플레이트가 양단이 고정되는 측의 반대측에 일시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웨빙은 고정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탑승자의 어깨와 몸통을 고정하는 몸통 고정부와 허리 부분을 고정하는 허리 고정부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시트 벨트는 일반적으로 성인을 기준으로 설계되므로, 어린이와 같이 키가 작은 사람의 경우에 웨빙의 몸통 고정부가 사람의 어깨 부분을 지나지 않고 목 부분을 지나게 되어 착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웨빙은 사고시에 사람의 목 부분에 손상을 주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상기 자동차용 시트 벨트는 좌석에 어린이가 탑승하는 경우에 웨빙의 몸통 고정부에서 어린이의 어깨 부분을 지나는 어깨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어깨 높이 조절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어깨 높이 조절 장치는 좌석에 설치하는 경우에 기존의 좌석 구조를 변경하여야 하거나, 자동차 차체에 설치하는 경우에 자동차 차체의 구조를 변경해야 하므로, 추가 비용이 소요되고, 설치에 따른 불편함이 있다.
또한, 기존의 어깨 높이 조절 장치는 대부분 불연속적인 간격으로 어깨 높이를 조절하므로 탑승자인 어린이의 키에 따라 적정하게 어깨 높이를 조절하는데 어려움과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설치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연속적으로 어깨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어깨 높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어깨 높이 조절 장치는 좌석의 일측에서 상하로 연장되며 좌석에 결합되는 조절 벨트와 조절 벨트에 결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시트 벨트의 몸통 고정부를 고정하는 조절 클립과, 조절 벨트의 상부를 좌석의 머리 받침대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어깨 높이 조절 장치는 구조가 간단하므로 설치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어깨 높이 조절 장치는 조절 클립이 조절 벨트에서 연속적으로 이동하므로 어깨 높이를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어깨 높이 조절 장치가 좌석에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에 대한 실제 제품 사진이다.
도 3은 도 1의 "B"에 대한 실제 제품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어깨 높이 조절 장치가 좌석에 장착된 상태의 사용용 전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어깨 높이 조절 장치가 좌석에 장착된 상태의 사용 후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어깨 높이 조절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어깨 높이 조절 장치가 좌석에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에 대한 실제 제품 사진이다. 도 3은 도 1의 "B"에 대한 실제 제품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어깨 높이 조절 장치가 좌석에 장착된 상태의 착용전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어깨 높이 조절 장치가 좌석에 장착된 상태의 착용 후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어깨 높이 조절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조절 벨트(110)와 조절 클립(120) 및 고정 수단(13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조절 벨트(110)는 섬유로 직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 벨트(110)는 시트 벨트의 웨빙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 벨트(1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좌석(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절 벨트(110)는 좌석(10)의 등받이(11)의 전면에 접촉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고정된다. 상기 조절 벨트(110)의 상단은 좌석(10)의 등받이(11)의 후면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절 벨트(110)의 하단은 좌석(10)의 등받이(11)와 좌석 본체(12) 사이를 관통하여 등받이(11)의 후면 하부 또는 등받이(11)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절 벨트(110)는 등받이(11)의 높이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 클립(120)은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바(121)와 하부 바(122) 및 양측 바(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 클립(120)은 중간에 상부 바(121) 및 하부 바(122)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중간 바(124) 및 체결 바(125)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바(121)와 하부 부는 조절 벨트(110)가 고정되는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상부 바(121)와 하부 바(122)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중간 바(124)는 양측 바(123)의 중간에서 상부 바(121)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조절 클립(120)은 중간 바(124)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사각 링을 형성한다.
상기 체결 바(125)는 중간 바(124)의 전면에 중간 바(124)와 이격되어 중간 바(124)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 바(125)는 중간에 절개부(125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25a)는 체결 바(125)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체결 바(125)를 두 개로 분리한다. 상기 체결 바(125)는 중간 바(124)와의 사이로 관통하는 시트 벨트를 이동 가능하게 고정한다. 상기 절개부(125a)는 시트 벨트가 체결 바(125)와 중간 바(124) 사이로 유입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조절 클립(120)은 조절 벨트(1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조절 벨트(110)는 상부 바(121)의 후측에서 중간 바(124)의 전측으로 관통하고, 다시 하부 바(122)의 후측으로 관통하여 결합된다. 상기 조절 클립(120)은 조절 벨트(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바(121)와 하부 바(122)의 전면이 조절 벨트(110)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되면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조절 클립(120)은 상부 바(121)와 하부 바(122)의 전면이 조절 벨트(110)의 후면에 접촉되면 마찰력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는데 제약을 받는다. 상기 조절 클립(120)의 중간 바(124)와 체결 바(125) 사이에 시트 벨트가 결합된다. 상기 조절 클립(120)이 조절 벨트(11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 시트 벨트가 굴곡되는 위치가 변경된다.
상기 조절 클립(120)은 조절 벨트(11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시트 벨트가 굴곡되는 위치 즉 굴곡 높이를 조절한다. 여기서 굴곡 높이는 등받이(11)의 하부로부터 상부로의 높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조절 클립(120)은 시트 벨트가 탑승자의 어깨와 접촉하는 위치인 어깨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절 클립(120)이 상대적으로 상부에서 조절 벨트(110)에 고정되는 경우에 어깨 높이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한다. 상기 조절 클립(120)이 상대적으로 하부에서 조절 벨트(110)에 고정되는 경우에 어깨 높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위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수단(130)은 고정 본체(131)와 고정 바(132) 및 고정 홀(133)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상기 고정 수단(130)은 일측이 좌석(10)의 상부에 결합되며, 타측에 조절 벨트(110)가 결합된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 수단(130)의 일측은 좌석(10)의 상부에 위치하는 헤드 고정 핀(10)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 수단(130)은 좌석(10)의 상부에 고정되면서 동시에 조절 벨트(110)의 상부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고정 수단(130)은 조절 벨트(110)가 상하 방향으로 수직이 되도록 조절 벨트(110)의 상부의 위치가 수평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 본체(13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 본체(131)는 중간에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 본체(131)는 일측이 상대적으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본체(131)는 일측이 헤드 고정 핀을 고정하는 지지 블록을 하부에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본체(131)는 좌석(10)의 상부와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바(132)는 고정 본체(131)의 타측에서 고정 본체(131)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결합된다. 상기 고정 바(132)는 조절 벨트(110)가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 홀(133)은 고정 본체(131)의 일측에서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 홀(133)에는 헤드 고정 핀이 관통된다.
100: 자동차용 시트 벨트 어깨 높이 조절 장치
110: 조절 벨트
120: 조절 클립
130: 고정 수단

Claims (4)

  1. 좌석의 일측에서 상하로 연장되며, 상기 좌석에 결합되는 조절 벨트와,
    상기 조절 벨트에 결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시트 벨트의 몸통 고정부를 고정하는 조절 클립 및
    상기 조절 벨트의 상부를 상기 좌석의 머리 받침대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 클립은 상부 바와 하부 바와 중간 바 및 체결 바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바와 하부 바는 상기 조절 벨트가 고정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인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중간 바는 상기 상부 바와 하부 바의 중간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체결 바는 상기 중간 바의 전면에 상기 중간 바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며, 중간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시트 벨트가 상기 체결 바와 중간 바 사이로 유입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 벨트가 상기 상부 바의 후측과 상기 중간 바의 전측 및 상기 하부 바의 후측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중간 바와 체결 바 사이로 상기 시트 벨트가 결합되며,
    상기 조절 클립은 상기 조절 벨트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시트 벨트의 절곡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어깨 높이 조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벨트는 상기 좌석 등받이의 전면에 접촉되며, 상단이 상기 좌석 등받이의 하면 상부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좌석 등받이와 좌석 본체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좌석 등받이의 후면 하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어깨 높이 조절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이며 중간에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고정 본체와
    상기 고정 본체의 타측에서 고정 본체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결합되는 고정 바 및
    상기 고정 본체의 일측에서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좌석의 상부에 위치하는 헤드 고정핀에 결합되는 고정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어깨 높이 조절 장치.
KR1020170069504A 2017-06-05 2017-06-05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어깨 높이 조절 장치 KR102140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504A KR102140764B1 (ko) 2017-06-05 2017-06-05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어깨 높이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504A KR102140764B1 (ko) 2017-06-05 2017-06-05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어깨 높이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054A KR20180133054A (ko) 2018-12-13
KR102140764B1 true KR102140764B1 (ko) 2020-08-04

Family

ID=64671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504A KR102140764B1 (ko) 2017-06-05 2017-06-05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어깨 높이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7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9733A (ja) * 2009-05-22 2010-12-02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シート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6560A (ko) * 1995-11-30 1997-06-24 김태구 자동차의 안전벨트
KR200145913Y1 (ko) * 1996-11-22 1999-06-15 정몽규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높이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9733A (ja) * 2009-05-22 2010-12-02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シート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054A (ko) 201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7065B2 (en) Child vehicle seat with harness adjustment mechanism
US7618097B2 (en) Seat belt guide and assembly
US8777322B2 (en) Child-restraint harness for juvenile vehicle seat
US10173634B2 (en) Seat mounted adjustable seat belt webbing guide
JP2016068936A (ja) 調整可能なヘッドレストおよびシートベルト・ガイドリング
JP3227663U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と協働するデバイス
US9428143B2 (en) Seat with upwardly projecting harness straps
US10596929B2 (en) Child restraint system including harness and adjustment mechanism
KR102140764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어깨 높이 조절 장치
US10065597B2 (en) Self-adjusting safety belt system for occupants of varying sizes
US10040418B2 (en) Motor vehicle seatbelt restraint arrangement
KR20110030412A (ko) 컨버터블형 유아시이트용 시이트벨트 가이드
JP6676320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101402186B1 (ko) 차량의 어린이 승객용 4점 지지 보조안전벨트
US20090014619A1 (en) Multi adjustment for motor vehicle restriant positioning device
KR20120010102A (ko)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및 자동차용 어린이 시트
KR200489270Y1 (ko) 어린이 안전 벨트
PL1731385T3 (pl) Układ prowadzący dla pasów bezpieczeństwa
JP6495942B2 (ja) 拘束部材
JP2010173358A (ja) 乗物シート用シートベルト装置
JPH0537611U (ja) シートベルトの調節装置
KR101574442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KR102647191B1 (ko) 안전벨트 접점 유지장치
US12005952B2 (en) Shoulder belt assembly and baby carrier
AU2013202977B2 (en) Child safety seat with improved recline base and adjustable headr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05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8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6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7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