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559B1 - 충격완화 및 미끄럼방지용 등산로 계단 - Google Patents

충격완화 및 미끄럼방지용 등산로 계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559B1
KR102140559B1 KR1020190118902A KR20190118902A KR102140559B1 KR 102140559 B1 KR102140559 B1 KR 102140559B1 KR 1020190118902 A KR1020190118902 A KR 1020190118902A KR 20190118902 A KR20190118902 A KR 20190118902A KR 102140559 B1 KR102140559 B1 KR 102140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stairs
waste
slip
t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상채
문형대
Original Assignee
문형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형대 filed Critical 문형대
Priority to KR1020190118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5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11/1043Treads with an upper layer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08K5/18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with aromatically bound amin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7Thiols
    • C08K5/372Sulfides, e.g. R-(S)x-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9Thiocarbam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dithiocarbamates
    • C08K5/40Thiurams, i.e. compounds 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3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nitrogen
    • C08K5/44Sulfen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 C08K5/4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with oxygen or nitrogen in the ring
    • C08K5/47Th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e.g. anisotropy, viscosity or electrical conductivity
    • C08L101/14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e.g. anisotropy, viscosity or electrical conductivit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being water soluble or water swellable, e.g. aqueous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9Tread-and-riser uni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완화 및 미끄럼방지용 등산로 계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동력선 피복을 분쇄한 폐피복재 미립자; 폐합성수지; 버미큘라이트 또는 펄라이트 중 선택되는 어느 1종의 팽창성 광물; 고흡수성 수지; 물(water);의 혼합물을 용융압출하여 판형으로 제조한 등산로 계단 판재부와,
상기 등산로 계단 판재부의 외측 저면에 결합되는 시트형 충격완화용 고무탄성체가 일체로 구성되는 충격완화 및 미끄럼방지용 등산로 계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충격완화 및 미끄럼방지용 등산로 계단{Stairs for mountain for shock absorbing and non-slip}
본 발명은 충격완화 및 미끄럼방지용 등산로 계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동력선 피복을 분쇄한 폐피복재 미립자; 폐합성수지; 버미큘라이트 또는 펄라이트 중 선택되는 어느 1종의 팽창성 광물; 고흡수성 수지; 물(water);의 혼합물을 용융압출하여 판형으로 제조한 등산로 계단 판재부와,
상기 등산로 계단 판재부의 외측 저면에 결합되는 시트형 충격완화용 고무탄성체가 일체로 구성되는 충격완화 및 미끄럼방지용 등산로 계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로의 계단은 석재이거나 목재인 경우가 대부분으로, 석재의 경우 보행시 인체에 충격을 주어 근래에는 대부분이 목재로 교체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목재의 경우에는 그 특성상 외부에 노출되어 수분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부패가 되며, 부패된 곳을 중심으로 파손되어 보행자의 발목 등이 끼어 다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곤 한다.
이와는 별도로, 한국통신의 통신용 케이블, 한전의 전력용 케이블 또는 전선 가공업체에서 전선을 가공하는 중에 발생되는 폐전선으로서 그 폐기량은 상당하다.
상기 폐전선의 일반적인 처리과정을 살펴보면, 폐통신케이블의 경우, 폐전선을 수집하여 1차, 2차 분쇄 및 탈피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폐 PE가 나오게 된다. 그리고, 분쇄 및 탈피과정을 거친 재료 들을 폐기물과 동으로 선별하게 된다. 상기 폐기물은 폐기처리되고, 상기 동은 전선 제조업체에서 재활용하게 된다.
그리고, 폐전력 케이블의 경우, 폐전선을 수집하여, 절단하고 탈피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폐 PE, PP가 나오게 된다. 그리고 탈피과정을 거친 후에는 각 재료들을 폐기물과 동으로 구분하여 선별하고, 상기 폐기물은 폐기처리하고, 상기 동은 전선 제조업체 등 사용업체에서 재활용하게 된다.
상기 폐전선의 처리과정에서 절연재로 쓰이는 PP, PE, PVC등의 발생하게 되며, 상기의 절연재는 소각처리시 다량의 대기오염물질과 다이옥신이 발생되어 그 처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토사유출 방지 겸 등산로 계단에 대하여, 2008년 11월 28일자에 출원하여(출원번호:10-2018-0119560), 2010년 12월 16일자에 등록(등록번호:10-1003384)받은 바 있다.
등산로 계단의 경우 계절적 또는 기후적 요인에 따라 잘 미끄러질 수 있으며, 또한 계단 이용시 관절 등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가 많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상기 등록특허의 기술을 개선하여 충격완화 및 미끄럼방지 기능성이 뛰어난 등산로 계단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03384(등록일자 2010.12.16)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33306(공개일자 2015.04.01)
본 발명은 습기가 많이 발생하는 계절 및 기후에는 습기를 빨아들이고, 표면이 팽창성 광물에 의한 다소 거친 질감을 가짐으로써 미끄럼 방지의 기능을 가지며, 또한 등산로 계단 판재부 제조공정 중에 수분이 기화되면서 형성된 상기 판재부 내의 많은 기공에 의한 충격완화 및 흡수 기능과, 상기 판재부의 외측 저면에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는 시트형 충격완화용 고무탄성체에 의한 충격완화 및 흡수 기능이 이중 복합적으로 작용함으로써 등산로 이용자의 관절 계통에 큰 무리를 주지 않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충격완화 및 미끄럼방지용 등산로 계단 제공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폐동력선 피복을 분쇄한 폐피복재 미립자 50.0 ~ 80.0 wt%와,
폐합성수지 10.0 ~ 40.0 wt%와,
폴리에틸렌(PE) 5.0 ~ 10.0 wt%와,
제올라이트 20.0 ~ 30.0 wt%와, 버미큘라이트 30.0 ~ 40.0 wt%와, 펄라이트 30.0 ~ 40.0 wt%를 100.0 wt%로 구성된 팽창성 광물 0.05 ~ 3.0 wt%와,
고흡수성 수지 1.0 ~ 5.0 wt%와,
물(water) 2.0 ~ 4.0 wt%를 포함하는 것을 용융압출하여 판형으로 제조하는 등산로 계단 판재부와,
상기 등산로 계단 판재부의 외측 저면에 결합되는 시트형 충격완화용 고무탄성체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 및 미끄럼방지용 등산로 계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등산로 계단은 높은 충격완화 기능과 미끄럼방지 기능으로 인해 등산로 이용객들의 관절 계통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편안한 산행이 될 수 있도록 하고 안전한 이용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습기가 많이 발생하는 계절 및 기후에는 습기를 빨아들이고, 표면이 팽창성 광물에 의한 다소 거친 질감을 가짐으로써 미끄럼 방지의 기능을 가지며,
등산로 계단 판재부 제조공정 중에 수분이 기화되면서 형성된 상기 판재부 내의 많은 기공과 상기 판재부의 외측 저면에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는 시트형 충격완화용 고무탄성체에 의한 이중 구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높은 충격완화 및 충격흡수 효과를 갖는다.
또한 산업폐기물을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절약 및 환경보호에 따른 친환경적이라는 특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 및 미끄럼방지용 등산로 계단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 및 미끄럼방지용 등산로 계단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 및 미끄럼방지용 등산로 계단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과 함께 살펴보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 및 미끄럼방지용 등산로 계단(1)은
폐동력선 피복을 분쇄한 폐피복재 미립자 50.0 ~ 80.0 wt%와,
폐합성수지 10.0 ~ 40.0 wt%와,
폴리에틸렌(PE) 5.0 ~ 10.0 wt%와,
제올라이트 20.0 ~ 30.0 wt%와, 버미큘라이트 30.0 ~ 40.0 wt%와, 펄라이트 30.0 ~ 40.0 wt%를 100.0 wt%로 구성된 팽창성 광물 0.05 ~ 3.0 wt%와,
고흡수성 수지 1.0 ~ 5.0 wt%와,
물(water) 2.0 ~ 4.0 wt%를 포함하는 것을 용융압출하여 판형으로 제조하는 등산로 계단 판재부(10)와,
상기 등산로 계단 판재부(10)의 외측 저면에 결합되는 시트형 충격완화용 고무탄성체(20)가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폐동력선 피복은 분쇄기를 이용하여 1.0 ~ 3.0 mm의 미립자로 분쇄하는 것으로서, 1.0 mm 미만의 입자로 분쇄하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의 소모가 필요하고, 3.0 mm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제조된 등산로 계단의 내구성이 떨어지거나, 성형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미립자의 크기는 1.0 ~ 3.0 mm의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폐피복재 미립자의 사용량이 50.0 wt% 미만인 경우에는 등산로 계단의 성형성이 떨어질 수 있고, 8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폐피복재의 이용율이 높아지는 점이 있기는 하나,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의 사용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등산로 계단의 물리적 성질이 나빠질 수 있으므로, 상기 폐피복재 미립자는 전체 혼합물에 대해 50.0 ~ 80.0 wt%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폐합성수지는 사용 후 버려지는 비료포대를 세척, 건조한 것을 사용한다. 이때 상기 폐합성수지의 사용량이 10.0 wt% 미만인 경우에는 등산로 계단의 성형성이 떨어지며, 또한 등산로 계단의 충격완화기능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4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폐피복재 등의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재활용율이 떨어지거나, 팽창성 광물의 사용량이 줄어들어 미끄럼방지 및 충격완화 기능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폐합성수지의 사용량은 전체 혼합물에 대해 10.0 ~ 40.0 wt%의 범위에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틸렌(PE)은 등산로 계단의 성형성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5.0 wt% 미만인 경우에는 성형성 및 내구성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1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폐합성수지의 사용량이 줄어들어 폐합성수지의 재활용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폴리에틸렌(PE)의 사용량은 전체 혼합물에 대해 5.0 ~ 10.0 wt%의 범위에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팽창성 광물의 사용량이 0.05 wt% 미만인 경우에는 등산로 계단의 미끄럼 방지 및 충격완화 기능성이 떨어지고, 3.0 wt%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등산로 계단의 성형성 및 내구성이 떨어지므로, 상기 팽창성 광물의 사용량은 전체 혼합물의 0.05 ~ 3.0 wt%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상기 팽창성 광물은 제올라이트 20.0 ~ 30.0 wt%와, 버미큘라이트 30.0 ~ 40.0 wt%와, 펄라이트 30.0 ~ 40.0 wt%로 구성된 것을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올라이트 20.0 wt%와, 버미큘라이트 40.0 wt%와, 펄라이트 40.0 wt%로 구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3 ~ 20 Å의 균일한 세공을 갖는 것으로, 비중이 2 ~ 2.4이고, 경도가 3.5 ~ 5.5인 것으로 원석을 0.4 mm 크기의 원석을 750 ℃에서 급가열하여 20 배로 팽창시킨 것으로, 상기 제올라이트 발포온도가 750 ℃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물성변화가 발생할 수 있고, 750 ℃ 미만인 경우에는 불완전한 발포로 인하여 충분한 공극율을 얻기 힘들게 되므로, 상기 발포온도는 750 ℃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는 질석이라고 칭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금운모나 흑운모의 변질산물인 함수 운모를 말한다. 그 구조식은 Mx(Mg, Fe)6(Si8-xAlx)O2(OH)y·H2O(x는 1 ~ 1.4 y는 8, M은 교환성 양이온으로 Mg++, Ca++)의 형태를 가지며 흑운모와 비슷한 삽층 구조형 층상구조의 점토광물이다.
상기 버미큘라이트는 흡수수와 층간수 및 결정수의 3가지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특유의 광물로서 층간에 두층의 물 층과 미량의 교환성이온이 있어 그 층간거리는 14.2 Å이다. 그리고 버미큘라이트를 가열하게 되면, 결정 속에서 발생하는 수증의 압력 때문에 박리 팽창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버미큘라이트는 비중 2.3, 경도 1.5로 연질이며, 공극률은 53 ~ 64 %, 융점 1,300 ℃이고, 열전도율이 0.05 kcal/mh℃인 것을 사용한다.
상기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는 0.4 mm 크기의 원석을 1,250 ℃에서 급가열하여 20 배로 팽창시킨 것을 사용한다.
상기 펄라이트는 점성의 용암이나 마그마가 지표의 호수로 흘러들어 급격히 냉각되면서 형성된 휘발분이 농집된 비정질의 암석으로서, 흑요석, 진주암, 송지석으로 불리워지는 광물이다.
상기 펄라이트의 주성분은 SiO2, Al2O3로서 일반적으로 회색, 갈색, 청색의 색을 띠게 된다.
그리고, 물리적 측면에서의 펄라이트는 열에 의해 매우 기공이 많은 가벼운 물질 형태로 팽창될 수 있는 함수화산성 유리질(Hydrated Volcanic Glass)로서 폭발성형시켜 팽창 펄라이트를 얻게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펄라이트의 화학적 조성은 SiO2 71.0 ~ 75.0 wt%, Al2O3 12.0 ~ 16.0 wt%, K2O 1.0 ~ 4.0 wt%, Na2O 2.5 ~ 5 wt%, Fe2O3 0.15 ~ 1.5 wt%, CaO 0.1 ~ 2.0 wt%, MgO 0.2 ~ 0.5 wt%의 함유을 갖는 것으로, 그 물리적 성질은 비중 0.15, 공극율 90%, 열전도율(kcal/mh℃) 0.03 ~ 0.05, pH 6.5 ~ 7.5, 조립율 2.94이다.
상기 펄라이트는 0.4 mm 크기의 원석을 1,200 ℃에서 급가열하여 20 배로 팽창시킨 것을 사용한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는 등산로 계단 판재부(10) 구성 성분에 포함되어, 습기가 많이 발생하는 계절 및 기후에는 습기를 빨아들여 표면에 수막이 형성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팽창성광물에 의한 거친질감과 함께 미끄럼방지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등산로 계단 판재부(10)는
NaOH를 증류수에 녹여 20.0 wt%의 수용액을 제조하고, 이타콘산(Itaconic acid, IA)를 상기 수용액에 가하여 중화도가 50.0 ~ 90.0 wt%가 중화시키고,
Na+-MMT를 상기 수용액에 첨가하여 분산시키고, N,N'-methylenebisacrylamide의 가교제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증류수에 용해시킨 potassium persulfate의 개시제를 넣어 교반시킨 후, 65 ~ 70 ℃에서 3 ~ 4 시간 동안 반응시켜 중합시키고,
중합물을 증류수에 5 ~ 7 시간 동안 침지시켜 미반응물을 제거하고,
건조기에서 55 ~ 60 ℃의 온도로 20 ~ 30 시간 동안 건조하고,
건조한 것을 300 ~ 500 ㎛의 입자크기로 분쇄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의 사용량이 1.0 wt% 미만인 경우에는 수분 흡수의 기능성이 미미하고, 5.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등산로 계단 판재부(10)의 내구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고흡수성 수지의 사용량은 전체 혼합물의 1.0 ~ 5.0 wt%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water)은 충격완화용 등산로 계단 판재부(10)의 용융압출과정에서 등산로 계단 판재부(10) 내에 다수의 기포를 형성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기능을 위해 사용한다. 이때 그 사용량이 2.0 wt% 미만인 경우에는 이와 같은 충격흡수 기능성이 미미하고, 4.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등산로 계단 판재부(10)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물(water)의 사용량은 전체 혼합물의 2.0 ~ 4.0 wt%의 범위 내에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혼합물은 210 ~ 350 ℃의 온도 범위 내에서 용융압출하여 등산로 계단 판재부(10)를 제조한다.
상기 용융압출 온도가 210 ℃ 미만인 경우에는 등산로 계단 판재부(10)의 성형성 및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35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품의 품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여 무의미하므로, 상기 용융압출온도는 상기 제시된 범위 내에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등산로 계단 판재부(10)는 자체적으로 충격완화 및 충격흡수 효과를 갖기는 하나, 이와 같은 기능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등산로 계단 판재부(10)의 외측 하면에 충격완화용 고무탄성체(20)를 결합시켜 일체화한다.
상기 충격완화용 고무탄성체(20)는 EPDM 고무 49.0 ~ 57.0 wt%와, 분산제 1.2 ~ 2.5 wt%와, 카본 블랙(Carbon black) 33.0 ~ 45.0 wt%와, 오일 1.3 ~ 3.5 wt%와, 노화방지제 0.5 ~ 2.5 wt%와, 촉진제 0.7 ~ 2.5 wt%와, 가황제 0.1 ~ 0.3 wt%를 혼합한 후, 온도 155 ~ 165 ℃, 압력 14 ~ 16 MPa 조건에서 가황시켜 제조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분산제는 고무탄성체 구성 성분들이 EPDM 고무 중에 균일하게 분사시키는 것을 촉진시키기 위한 물질로서, 폴리옥시알킬렌 소르비탄 디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암모늄염 또는 알킬피리디늄염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한다.
상기 오일은 고무에 가소성을 부여하여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것으로서, 피마자유, 톨유 또는 프로세스유 중 선택하여 사용한다.
상기 노화방지제는 산소, 오존, 열, 자외선, 기계적 피로 등의 외부인자와, 고무종류, 가황법, 가황도, 가교제 종류 등의 내부인자로 인해 자동산화되는 연쇄반응을 정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구체적인 예로는, N,N'-diphenyl-p-phenylenedlamine(DPPD), N,N'-Di-β-Naphthyl-p-phenylene diamine(DNPD), N-phenyl-N'-isopropyl-p-phenylenediamine(IPPD) 또는 N-(1,3-dimethyl-butyl)-N'-phenyl-p-phenylenediamine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한다.
상기 촉진제는 고무와 가황체와의 반응을 촉진하고 가황시간의 단축 및 가황온도 저하, 황의 양을 감소시키며 가황제품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인 예로는, tetramethyl thiuram disulfide(TMTD), dipenta methylene thiuram tertasulfied(DPTT), 2-mercapto benzothiazole(MBT), 2,2'-dithiobisbenzothiazole(MBTS), n-cyclohexyl benzothiazyl-2-sulfenamide(CBS) 또는 n-oxydiethylene benzo-thiazyl-2-sulfenamide(NOBS)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한다.
상기 가황제는 가교제라고도 불리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예로는 염화황, 이염화황 또는 고분자 다황화물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한다.
상기 충격완화용 고무탄성체의 구체적인 배합예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배합예 1 배합예 2 배합예 3 배합예 4 배합예 5
EPDM 고무 52.40 wt% 54.65 wt% 56.30 wt% 55.00 wt% 57.00 wt%
분산제 2.50 wt% 2.30 wt% 2.10 wt% 1.80 wt% 1.20 wt%
카본 블랙
(Carbon black)
40.00 wt% 38.00 wt% 36.00 wt% 37.45 wt% 36.30 wt%
오일 2.00 wt% 2.00 wt% 2.00 wt% 2.00 wt% 2.00 wt%
노화방지제 0.70 wt% 0.90 wt% 1.60 wt% 2.00 wt% 2.30 wt%
촉진제 2.30 wt% 2.00 wt% 1.80 wt% 1.50 wt% 0.90 wt%
가황제 0.10 wt% 0.15 wt% 0.20 wt% 0.25 wt% 0.30 wt%
합 계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등산로 계단 판재부(10)의 충격흡수 기능과 수분흡수 기능을 시험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1. 충격흡수 효과
상기 충격흡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동력선 피복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평균입도 2.0 mm의 미립자로 분쇄한 폐피복재 미립자 65.0 wt%와,
사용후 폐기된 비닐 비료포대를 세척, 건조한 폐합성수지 20.0 wt%와,
폴리에틸렌(PE) 6.0 wt%와,
제올라이트 30.0 wt%, 버미큘라이트 35.0 wt%, 펄라이트 35.0 wt%로 구성된 팽창성 광물 2.0 wt%와,
NaOH를 증류수에 녹여 20.0 wt%의 수용액을 제조하고, 이타콘산(Itaconic acid, IA)를 상기 수용액에 가하여 중화도가 80.0 wt%가 되도록 중화시키고, Na+-MMT를 상기 수용액에 첨가하여 분산시키고, N,N'-methylenebisacrylamide의 가교제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증류수에 용해시킨 potassium persulfate의 개시제를 넣어 교반시킨 후, 70 ℃에서 3 시간 동안 반응시켜 중합시키고, 중합물을 증류수에 6시간 동안 침지시켜 미반응물을 제거하고, 건조기에서 60 ℃의 온도로 22 시간 동안 건조하고, 건조한 것을 300 ㎛의 입자크기로 분쇄하여 제조한 고흡수성 수지 3.0 wt%와,
물(water) 4.0 wt%로 구성된 혼합물을 300 ℃에서 용융압출하여 판재를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판재를 본 발명에 따른 등산로 계단 판재부(10)의 충격흡수 효과 시험예로 사용한다.
상기 시험예에 대한 비교예로서, 상기 시험예와 동일한 성분 구성을 갖되, 팽창성 광물의 함량을 줄이고, 물(water)을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즉,
폐동력선 피복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평균입도 2.0 mm의 미립자로 분쇄한 폐피복재 미립자 70.0 wt%와,
사용후 폐기된 비닐 비료포대를 세척, 건조한 폐합성수지 20.0 wt%와,
폴리에틸렌(PE) 6.0 wt%와,
제올라이트 30.0 wt%, 버미큘라이트 35.0 wt%, 펄라이트 35.0 wt%로 구성된 팽창성 광물 1.0 wt%와,
NaOH를 증류수에 녹여 20.0 wt%의 수용액을 제조하고, 이타콘산(Itaconic acid, IA)를 상기 수용액에 가하여 중화도가 80.0 wt%가 되도록 중화시키고, Na+-MMT를 상기 수용액에 첨가하여 분산시키고, N,N'-methylenebisacrylamide의 가교제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증류수에 용해시킨 potassium persulfate의 개시제를 넣어 교반시킨 후, 70 ℃에서 3 시간 동안 반응시켜 중합시키고, 중합물을 증류수에 6시간 동안 침지시켜 미반응물을 제거하고, 건조기에서 60 ℃의 온도로 22 시간 동안 건조하고, 건조한 것을 300 ㎛의 입자크기로 분쇄하여 제조한 고흡수성 수지 3.0 wt%로 구성된 혼합물을 300 ℃에서 용융압출하여 판재를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판재를 본 발명에 따른 등산로 계단 판재부(10)의 충격흡수 효과 시험예로 사용한다.
상기 시험예에 따른 판재에 하중을 가하여 측정한 결과, 최대하중 1,480 kg 이고, 상기 최대하중에서의 정적흡수에너지는 95.3 Joule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상기 비교예에 따른 판재에 하중을 가하여 측정한 결과, 최대하중은 900 kg 이고, 이와 같은 최대하중에서의 정적흡수에너지는 50.5 Joule임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등산로 계단 판재부(10)를 구성하는 팽창성 광물과 물(water)에 의해 형성된 수많은 기공에 의한 충격흡수 기능성이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수분흡수 시험
상기 수분흡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충격흡수 효과 시험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것을 본 발명에 따른 등산로 계단 판재부(10)의 수분흡수 효과 측정을 위한 시험예로 사용한다.
상기 시험예에 대한 비교예로서, 상기 시험예와 동일한 성분 구성을 갖되, 팽창성 광물의 함량을 줄이고, 고흡수성 수지를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즉, 폐동력선 피복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평균입도 2.0 mm의 미립자로 분쇄한 폐피복재 미립자 69.0 wt%와,
사용후 폐기된 비닐 비료포대를 세척, 건조한 폐합성수지 20.0 wt%와,
폴리에틸렌(PE) 6.0 wt%와,
제올라이트 30.0 wt%, 버미큘라이트 35.0 wt%, 펄라이트 35.0 wt%로 구성된 팽창성 광물 1.0 wt%와,
물(water) 4.0 wt%로 구성된 혼합물을 300 ℃에서 용융압출하여 판재를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판재를 본 발명에 따른 등산로 계단 판재부(10)의 충격흡수 효과 비교예로 사용한다.
수분흡수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대습도 68.0 %의 조건에서 상기 시험예 및 비교예에 따른 판재를 25 ℃의 물에 28일 동안 담근 후 무게변화를 측정하였다.
상기 시험예의 경우 무게변화가 7.3 % 상승하였으나, 비교예의 경우에는 0.5 % 상승에 그쳐 수분흡수율의 차이가 매우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등산로 계단은 높은 충격완화 기능과 미끄럼방지 기능으로 인해 등산로 이용객들의 관절 계통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편안한 산행이 될 수 있도록 하고 안전한 이용이 가능하도록 제공됨으로써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1 : 등산로 계단
10: 등산로 계단 판재부
20: 고무탄성체

Claims (7)

  1. 폐동력선 피복을 분쇄한 폐피복재 미립자 50.0 ~ 80.0 wt%;
    폐합성수지 10.0 ~ 40.0 wt%;
    폴리에틸렌(PE) 5.0 ~ 10.0 wt%;
    제올라이트 20.0 ~ 30.0 wt%와, 버미큘라이트 30.0 ~ 40.0 wt%와, 펄라이트 30.0 ~ 40.0 wt%를 100.0 wt%로 구성된 팽창성 광물 0.05 ~ 3.0 wt%와,
    고흡수성 수지 1.0 ~ 5.0 wt%와,
    물(water) 2.0 ~ 4.0 wt%를 포함하는 것을 용융압출하여 판형으로 제조하는 등산로 계단 판재부(10)와,
    상기 등산로 계단 판재부(10)의 외측 저면에 결합되는 시트형 충격완화용 고무탄성체(20)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 및 미끄럼방지용 등산로 계단.
  2. 청구항 1에 있어서,
    폐피복재 미립자는 1.0 ~ 3.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 및 미끄럼방지용 등산로 계단.
  3. 청구항 1에 있어서,
    고흡수성 수지는 NaOH를 증류수에 녹여 20.0 wt%의 수용액을 제조하고, 이타콘산(Itaconic acid, IA)를 상기 수용액에 가하여 중화도가 50.0 ~ 90.0 wt%가 되도록 중화시키고,
    Na+-MMT를 상기 수용액에 첨가하여 분산시키고, N,N'-methylenebisacrylamide의 가교제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증류수에 용해시킨 potassium persulfate의 개시제를 넣어 교반시킨 후, 65 ~ 70℃에서 3 ~ 4 시간 동안 반응시켜 중합시키고,
    중합물을 증류수에 5 ~ 7시간 동안 침지시켜 미반응물을 제거하고,
    건조기에서 55 ~ 60 ℃의 온도로 20 ~ 30 시간 동안 건조하고,
    건조한 것을 300 ~ 500 ㎛의 입자크기로 분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 및 미끄럼방지용 등산로 계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용융압출은 210 ~ 350 ℃의 온도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 및 미끄럼방지용 등산로 계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충격완화용 고무탄성체(20)는 EPDM 고무 49.0 ~ 57.0 wt%와, 분산제 1.2 ~ 2.5 wt%와, 카본 블랙(Carbon black) 33.0 ~ 45.0 wt%와, 오일 1.3 ~ 3.5 wt%와, 노화방지제 0.5 ~ 2.5 wt%와, 촉진제 0.7 ~ 2.5 wt%와, 가황제 0.1 ~ 0.3 wt%를 혼합한 후, 온도 155 ~ 165 ℃, 압력 14 ~ 16 MPa 조건에서 가황시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 및 미끄럼방지용 등산로 계단.
  6. 청구항 5에 있어서,
    노화방지제는 N,N'-diphenyl-p-phenylenedlamine(DPPD), N,N'-Di-β-Naphthyl-p-phenylene diamine(DNPD), N-phenyl-N'-isopropyl-p-phenylenediamine(IPPD) 또는 N-(1,3-dimethyl-butyl)-N'-phenyl-p-phenylenediamine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 및 미끄럼방지용 등산로 계단.
  7. 청구항 5에 있어서,
    촉진제는 tetramethyl thiuram disulfide(TMTD), dipenta methylene thiuram tertasulfied(DPTT), 2-mercapto benzothiazole(MBT), 2,2'-dithiobisbenzothiazole(MBTS), n-cyclohexyl benzothiazyl-2-sulfenamide(CBS) 또는 n-oxydiethylene benzo-thiazyl-2-sulfenamide(NOBS)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 및 미끄럼방지용 등산로 계단.
KR1020190118902A 2019-09-26 2019-09-26 충격완화 및 미끄럼방지용 등산로 계단 KR102140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902A KR102140559B1 (ko) 2019-09-26 2019-09-26 충격완화 및 미끄럼방지용 등산로 계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902A KR102140559B1 (ko) 2019-09-26 2019-09-26 충격완화 및 미끄럼방지용 등산로 계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559B1 true KR102140559B1 (ko) 2020-08-04

Family

ID=72048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902A KR102140559B1 (ko) 2019-09-26 2019-09-26 충격완화 및 미끄럼방지용 등산로 계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5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159B1 (ko) * 2020-11-13 2021-08-31 문형대 충격완화용 방지턱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216A (ko) * 2002-09-11 2002-10-09 주식회사 지케이 옥상 조경용 초경량 칼라 고무매트
KR20070027212A (ko) * 2005-09-06 2007-03-09 박종성 폐전선피복물과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목재대용제품의제조방법
KR101003384B1 (ko) 2008-11-28 2010-12-22 문형대 토사유출 방지 겸 등산로 계단
KR20150033306A (ko) 2013-09-24 2015-04-01 주식회사 성원안전산업 등산로용 계단
KR20170143452A (ko) * 2016-06-21 2017-12-29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고흡수성 수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216A (ko) * 2002-09-11 2002-10-09 주식회사 지케이 옥상 조경용 초경량 칼라 고무매트
KR20070027212A (ko) * 2005-09-06 2007-03-09 박종성 폐전선피복물과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목재대용제품의제조방법
KR101003384B1 (ko) 2008-11-28 2010-12-22 문형대 토사유출 방지 겸 등산로 계단
KR20150033306A (ko) 2013-09-24 2015-04-01 주식회사 성원안전산업 등산로용 계단
KR20170143452A (ko) * 2016-06-21 2017-12-29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고흡수성 수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159B1 (ko) * 2020-11-13 2021-08-31 문형대 충격완화용 방지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5677B1 (ko) 충격완화 및 수분흡수 기능의 친환경 바닥재를 이용한 횡단보도용 바닥신호등
US9802391B2 (en) Non-black rubber membranes
EP2157139B1 (en) A method for modifying normal clay and a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elastomer from the clay
KR102140559B1 (ko) 충격완화 및 미끄럼방지용 등산로 계단
JP2015511967A (ja) 難燃剤として膨張性黒鉛を有する屋根材膜
US20060280892A1 (en) Rubber membranes that are useful for roofing and related methods
KR102092723B1 (ko) 내마모성 및 내슬립성이 우수한 신발 아웃솔용 고무 조성물
EP0990675A1 (en) Non-black, mineral-filled roof accessories
KR102218082B1 (ko) 실내 바닥재용 탄성 고무매트(타일)
US10392807B2 (en) Non-black EPDM roof membranes with improved weathering
US6515059B1 (en) Utilization of devulcanized EPDM membrane in the manufacture of EPDM membrane, flashing and roof accessories
KR100945949B1 (ko) 탄성바닥재용 칩 및 이를 이용한 탄성바닥재의 시공방법
KR101932141B1 (ko) 시트형 탄성포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22493B1 (ko) 앵커링 특성을 가지는 아웃솔
KR102279992B1 (ko) 재생탄소섬유를 적용한 신발 겉창용 고무 조성물
KR102362269B1 (ko) 인조잔디용 충진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386180B1 (ko) 경계석, 타일 또는 바닥판의 미끄럼방지용 탄성 롤시트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안전성이 향상된 기재
KR101715935B1 (ko) 친환경 탄성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10170A (ko) 광석을 이용한 투수성 탄성 포장재
KR102362579B1 (ko) 충격완화용 볼라드
KR102654189B1 (ko) 부착성능이 우수한 개질아스팔트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칩씰 포장공법
KR102307085B1 (ko) 블랙아이스 구간 사고예방을 위한 상온식 포장방식과 도트방식을 결합한 블랙아이스존 도로 포장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293154B1 (ko) 제지슬러지와 폐석고를 이용한 건축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CN109320805A (zh) 一种水晶镜面tpu薄膜及其制备方法
KR102647677B1 (ko) 내구성능이 우수한 개질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복합 포장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