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7212A - 폐전선피복물과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목재대용제품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전선피복물과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목재대용제품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7212A
KR20070027212A KR20050082593A KR20050082593A KR20070027212A KR 20070027212 A KR20070027212 A KR 20070027212A KR 20050082593 A KR20050082593 A KR 20050082593A KR 20050082593 A KR20050082593 A KR 20050082593A KR 20070027212 A KR20070027212 A KR 20070027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raw materials
synthetic resin
waste synthetic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82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8467B1 (ko
Inventor
박종성
Original Assignee
박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성 filed Critical 박종성
Priority to KR20050082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467B1/ko
Publication of KR20070027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7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2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heating
    • B29B13/022Melt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31Coating reinforc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전선피복물과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목재대용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폐전선을 분쇄하고 구리를 제거하여서 된 폐전선피복물과 각종 폐합성수지 분쇄물을 폴리우레탄접착제와 혼합하여 골고루 배합한 다음 철파이프 또는 철재봉으로 된 보강재를 넣어 결합 성형하는 수단으로 내구성, 인장력, 내부식성 등을 갖는 목재대용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1∼3mm의 입자로 된 폐전선피복물분쇄입자 60∼80중량%와, 2∼5mm의 입자로 된 폐합성수지 분쇄입자 20∼40중량%로 된 원료소재를 배합하고 폴리우레탄접착제를 혼합하여 원료소재를 결합한 다음 150∼250℃로 가열된 하부금형에 반분된 량의 원료소재를 1차 충진하고 1차 충진된 원료소재 위에 철파이프 또는 철재봉으로 된 보강재가 장입되게 적치시킨 상태에서 나머지 반분된 원료소재를 2차 충진하여 150∼250℃로 가열된 상부금형을 하강시켜 프레스 가압하고 10∼30분간 가열하여 성형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피복물과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목재대용제품의 제조방법이다.
폐전선피복물, 폐합성수지, 분쇄입자, 폴리우레탄 접착제, 보강재, 대용목재

Description

폐전선피복물과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목재대용제품의 제조방법{METHOD MANUFACTURING OF WOOD SUBSTITUTE USING WASTE CABLE CLOTHING MATERIAL AND WASTE SYNTHETIC RESI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성형상태 단면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금형 2 : 하부금형
3,3' : 가열부 4 : 원료소재
5 : 보강재
본 발명은 폐전선피복물과 폐합성수지분쇄물을 이용한 목재대용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폐전선을 분쇄하고 구리를 제거하여서 된 폐전선피복물과 각종 폐합성수지 분쇄물을 폴리우레탄접착제와 혼합하여 골고루 배합한 다음 철파이프 또는 철재봉으로 된 보강재를 넣어 결합 성형하는 수단으로 내구성, 인장력, 내부식성 등을 갖는 목재대용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품을 구성하는 원료소재의 하나인 폐전선피복물은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수지(PE), 폴리프로필렌수지(PP) 고무,직물,종이,석면 등의 여러물질이 복합적으로 섞여 있어서 용융온도 및 성질이 각기 다르므로 용융수단으로는 재활용할 수 없었고 이를 분리처리하여 재활용하고자 할 때에는 많은 공정과 비용이 들고 경제성이 떨어지므로 소각이나 매립으로 처리할 수밖에 없었는바, 소각 처리시에는 환경호르몬, 이산화탄소등 유독성 가스가 배출되어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게 되고, 매립처리시에도 매립비용이 많이 들고 토양오염을 가중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산업체공장 가정 등에서 배출되는 폐합성수지는 열경화성수지, 열융착, 가소제, 난연제, 석면, 유리섬유 등이 포함된 복합재질로 되어 있고 재활용이 되지 않는 폐플라스틱이 50% 이상되고 있는바, 이러한 폐플라스틱을 매립 또는 소각처리하는 경우에 상기 폐전선피복물과 마찬가지로 매립 및 소각에 따른 환경오염 등과 같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폐전선피복물을 잘게 분쇄하여서 된 폐전선피복물 분쇄입자와 폐합성수지를 잘게 분쇄한 폐합성수지분쇄입자를 폴리우레탄접착제와 혼합하고 이를 골고루 배합하여 혼합물로 만든 다음 철파이프 또는 철재봉으로 된 보강재가 장입되게 하고 고형물로 가열 가압성형하는 수단으로 내구성과 인장력, 내부식성이 개선되면서 폐자원을 활용하여 철도침목, 야외용 의자, 파고라, 도로경계석등과 같은 목재대용제품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폐전선피복물과 폐합성수지를 분쇄하여서 된 분쇄입자를 주요소재로 하고 여기에 철파이프 또는 철재봉으로 된 보강재와 폴리우레탄접착제를 결합제로 하여 목재대용제품을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는 폐전선피복물을 잘게 분쇄하여 1∼3mm의 입자로 된 폐전선피복물 분쇄입자 60∼80중량%와, 폐합성수지를 분쇄하여 2∼5mm로 입자로 된 폐합성수지분쇄입자20∼40중량%를 폴리우레탄접착제와 혼합하고 이를 골고루 배합하여 결합한 다음 150∼250℃로 가열된 하부금형에 반분된 량의 원료소재결합물을 1차 충진하고 그 위에 철파이프 또는 철재봉으로 된 보강재를 장입시킨다음 나머지 반분된 원료소재결합물을 2차 충진한 상태에서 150∼250℃로 가열된 상부금형으로 10∼30분간 프레스 가압성형하여 제조한다.
상기 폐전선피복물은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수지(PE), 폴리프로필렌수지(PE)및 고무와 직물, 종이, 석면 등이 복합적으로 들어 있는 것을 포함하며, 이러한 페전선피목물을 잘게 분쇄하여 1∼3mm의 입자로 된 폐전선피복물 분쇄입자를 만든다
상기 폐합성수지는 열경화성수지, 열융착, 가소제, 난연제, 석면, 유리섬유등이 있는 폐플라스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 : 폐전선피복물 분쇄입자 조성공정
폐전선을 1∼3mm로 잘게 분쇄하고 그 분쇄물에서 구리(금속)와 피복물을 분리한 다음 피복물 분쇄입자를 원료소재로 사용한다.
제2공정: 폐합성수지분쇄입자 조성공정
산업체, 공장, 가정에서 배출되는 폐합성수지를 1차분쇄하여 금속을 분리한 다음 2차 분쇄하여 2∼5mm로 된 폐합성수지 분쇄입자를 원료소재로 사용한다.
제3공정: 분쇄입자 혼합공정
상기 제1공정에 의한 폐전선피복물 분쇄입자 60∼80중량%와 제2공정의 폐합성수지분쇄입자 20∼40중량%의 비율로 넣고 배합하여 원료소재를 골고루 혼합한다.
제4공정 : 원료소재의 결합공정
상기 공정에 의해 혼합된 원료소재의 분쇄입자를 폴리우레탄접착제와 안료(색채)를 넣어 배합기에서 2∼3분간 골고루 섞어 균질화된 상태로 결합된 원료소재를 조성한다.
상기 접착제는 10∼5% 재료중량비로 첨가하고 안료는 미량을 넣는다
제5공정 : 금형가열공정
성형프레스기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하부금형을 150∼250℃가 되게 가열하여 가열성형할 수 있게 한다.
제6공정 : 소재충진 및 성형공정
상기 공정에 의해 가열된 하부금형에 반분된 량의 원료소재결합물을 1차 충진하고 1차 충진된 원료소재의 상부에 철파이프로 된 보강재가 장입되게 적치시킨 다음 나머지 반분된 원료소재결합물을 2차 충진하고 상부금형을 하강시켜 프레스 가압하여 10∼30분간 가열하는 수단으로 성형한다.
제7공정 : 탈형냉각공정
상기 성형이 완료되면 상,하부금형을 분리한 다음 성형제품을 탈형하여 자연냉각시킨다.
제8공정 : 제품검사 및 연마, 채색공정
상기 탈형되고 냉각된 제품의 하자검사 및 연마, 채색하여 철도침목, 야외용의자, 파고라, 도로경계석, 방음벽판 등의 목재대용으로 사용한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폐전선피복물과 폐합성수지와 같이 여러가지 복합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를 재활용하기 위해 분리처리하는 경우 여러공정과 많은 비용이 들게 되어 경제성이 없기 때문에 주로 소각 또는 매립하는 수단으로 처리하였는바, 본 발명은 이러한 소각 또는 매립에 따른 환경오염 등이 따르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해 재활용할 수 있게 제조된 목재대용제품은 내구성과 인장력, 내부식성을 갖게 되면서 채색이 용이하고 절단, 천공 및 못을 박아 결합고정하는 것과 대패질, 연마와 같은 목재기능을 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석재, 시멘트 제품으로도 대용할 수 있는 등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게 되고 제품이 노후, 파손되었을 때에도 이를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폐전선피복물과 폐합성수지를 분쇄하여서 된 분쇄입자를 결합하는 폴리우레탄접착제는 초기접착력이 강하고 열가소성으로 결합력이 높고 고압, 고열공정으로 성형되므로 자외선, 습도, 고온, 저온에도 탁월한 내구성을 발휘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폐전선피복물은 1∼3mm의 분쇄입자로 되어 PVC, PE, PP등과 같은 수지외에 직물, 종이, 석면 등과 같은 물질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되고, 폐합성수지는 2∼5mm의 분쇄입자로 되어 분쇄효율을 높이면서 결합력을 유지하게 되며, 철파이프 또는 철재봉으로 된 보강재가 성형제품에 장입되어 내구성을 크게 높여준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폐전선피복물과 폐합성수지를 재활용하여 목재대용제품을 제조하게 되므로 제조원가절감 및 환경오염등을 방지하면서 내구성, 인장력, 특히 내부식성을 갖게 되므로 철도침목, 야외용의자, 파고라, 도로경계석등과 같은 제품에 적용하여 수명을 장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3mm의 입자로 된 폐전선피복물분쇄입자 60∼80중량%와, 2∼5mm의 입자로 된 폐합성수지 분쇄입자 20∼40중량%로 된 원료소재를 배합하고 폴리우레탄접착제와 안료를 혼합하여 원료소재를 결합한 다음 150∼250℃로 가열된 하부금형에 반분된 량의 원료소재를 1차 충진하고 1차 충진된 원료소재에 철파이프 또는 철재봉으로 된 보강재를 장입적치시킨 상태에서 나머지 반분된 원료소재를 2차 충진하여 150∼250℃로 가열된 상부금형을 하강시켜 프레스 가압하고 10∼30분간 가열하여 성형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피복물과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목재대용제품의 제조방법
KR20050082593A 2005-09-06 2005-09-06 폐전선피복물과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목재대용제품의제조방법 KR100758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82593A KR100758467B1 (ko) 2005-09-06 2005-09-06 폐전선피복물과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목재대용제품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82593A KR100758467B1 (ko) 2005-09-06 2005-09-06 폐전선피복물과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목재대용제품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7212A true KR20070027212A (ko) 2007-03-09
KR100758467B1 KR100758467B1 (ko) 2007-09-12

Family

ID=38100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82593A KR100758467B1 (ko) 2005-09-06 2005-09-06 폐전선피복물과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목재대용제품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84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406B1 (ko) * 2018-07-12 2019-03-06 임명환 난연성의 친환경 판재
KR102140559B1 (ko) * 2019-09-26 2020-08-04 문형대 충격완화 및 미끄럼방지용 등산로 계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383B1 (ko) 2008-11-28 2010-12-22 문형대 수산 양식장 펜스
KR101061893B1 (ko) 2008-11-28 2011-09-02 문형대 충격완화용 도로 가드레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4315A (ko) * 2003-12-19 2004-01-13 김승만 폐전선피복물과 폐타이어 분쇄물을 이용한 판재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406B1 (ko) * 2018-07-12 2019-03-06 임명환 난연성의 친환경 판재
KR102140559B1 (ko) * 2019-09-26 2020-08-04 문형대 충격완화 및 미끄럼방지용 등산로 계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8467B1 (ko) 200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95527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solid particles and binder
US8545748B2 (en) Building bricks including plastics
KR100758467B1 (ko) 폐전선피복물과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목재대용제품의제조방법
US20220242785A1 (en) Compositions containing concrete and solid waste compositions
KR100937024B1 (ko) 폐기물 재활용 조립식 판넬
KR101645321B1 (ko) 상온 재생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방법
WO2020052205A1 (zh) 一种地毯、汽车内饰边角料回收利用工艺及疏水透气砖
KR100729749B1 (ko) 폐고무재를 이용한 탄성 포장재용 고무칩과 이의 제조방법
KR100521426B1 (ko) 폐섬유와 폐플라스틱 복합재료를 이용한 플라스틱 강화콘크리트용 강화 플라스틱 섬유의 제조방법
JP2022531085A (ja) プラスチック廃棄物からの複合板
KR100474053B1 (ko) 폐우레탄을 이용한 열경화성 다공성, 다면체의 재생우레탄 탄성칩의 시공방법
KR100689342B1 (ko)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폐비닐을 이용한 다중 탄성블록
KR20040100193A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다중 탄성보도블록의 제조방법
KR20070027213A (ko) 폐타이어 분쇄칩과 폐전선피복물 분쇄칩을 이용한 고무블록제조방법
KR100349180B1 (ko) 폐플라스틱을이용한바닥재및건축벽재용성형물및그제조방법
Perera et al. Cementless building materials made from recycled plastic and sand/glass: a review and road map for the future
CN104446144B (zh) Frp废弃物的再利用方法、以废弃物为原料的不饱和树脂基人造大理石及其制备方法
KR100519914B1 (ko) 폐전선피복물과 모래를 이용한 중량체 구축물의 제조방법
KR19980063390A (ko) 폐 frp를 이용한 복합재 제조방법
KR101032117B1 (ko) 열경화성 폐 폴리우레탄의 재생방법 및 그 방법으로 얻어지는 친환경 탄성포장재용 폴리우레탄 칩
KR100545247B1 (ko) 방수용 절연시트의 제조방법
KR100484381B1 (ko) 폐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다중재생이 가능한컬러투수탄성포장재의 제조 및 시공방법
JP2005081794A (ja) Frpリサイクル成形品
KR20040004315A (ko) 폐전선피복물과 폐타이어 분쇄물을 이용한 판재 제조방법
KR20010046209A (ko) 폐 섬유 강화 플라스틱의 재활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