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246B1 - 차량 연료필터용 수분감지센서 및 이의 인서트 사출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연료필터용 수분감지센서 및 이의 인서트 사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246B1
KR102140246B1 KR1020180133687A KR20180133687A KR102140246B1 KR 102140246 B1 KR102140246 B1 KR 102140246B1 KR 1020180133687 A KR1020180133687 A KR 1020180133687A KR 20180133687 A KR20180133687 A KR 20180133687A KR 102140246 B1 KR102140246 B1 KR 102140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ance element
insert
terminal
wire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0722A (ko
Inventor
권동욱
임형택
박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에스
Priority to KR1020180133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246B1/ko
Publication of KR20200050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01N27/12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of the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연료필터에 설치되는 수분감지센서 및 이의 사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한 쌍의 인서트단자에 와이어를 이용하여 저항소자를 연결하되, 상기 와이어에 절곡부를 형성시켜 사출전 관리도중과 사출시 연결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사출공정 중 불량 발생률을 저하시키며, cub 사출공정을 하지 않고 보호블럭을 이용하여 상기 저항소자와 와이어를 보호함으로써, 불필요한 사출공정을 줄임과 동시에 금형을 단순화시킴으로써, 생산시간 및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 연료필터용 수분감지센서 및 이의 인서트 사출방법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블럭을 이용하여 종래의 저항소자를 이용한 수위 감지장치의 sub 사출공정을 하지 않기 때문에 사출공정에 따른 금형비 절감과 생산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종 인서트 사출전에 저항소자와 인서트단자의 관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공정 중 불량 발생률이 저하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연료필터용 수분감지센서 및 이의 인서트 사출방법{Water in fuel sensor for vehicle fuel filter and inje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연료필터에 설치되는 수분감지센서 및 이의 사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한 쌍의 인서트단자에 와이어를 이용하여 저항소자를 연결하되, 상기 와이어에 절곡부를 형성시켜 사출전 관리도중과 사출시 연결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사출공정 중 불량 발생률을 저하시키며, sub 사출공정을 하지 않고 보호블럭을 이용하여 상기 저항소자와 와이어를 보호함으로써, 불필요한 사출공정을 줄임과 동시에 금형을 단순화시킴으로써, 생산시간 및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 연료필터용 수분감지센서 및 이의 인서트 사출방법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연료는 정유소에서 정제되어 불순물이 제거된 상태로 출하되지만, 이를 보관, 운송하는 중에 외부로부터 수분을 비롯한 오염물이 혼입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연료 속의 오염물질은 연료펌프의 각 구성부와 이송밸브, 분사노즐 등의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디젤연료는 온도 변화에 따른 수분응축 등으로 인해 수분을 함유하게 될 소지가 많으며, 이를 이용하는 디젤엔진과 같은 분사식 엔진의 경우, 연료에 포함된 수분이 분사시스템에 심각한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연소효율이 저하되어 차량의 연비가 떨어지고 불완전 배기가스의 발생량이 증가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디젤엔진 차량에는 연료 중에 함유된 오염물 특히, 수분의 제거를 위한 연료필터를 필수적으로 장착하고 있다.
상기 연료필터는 연료탱크와 엔진 간의 연료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연료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연료 중의 수분 및 기타 불순물을 여과하는데, 이 연료필터에 일정 기준치 이상의 물이 고이게 되면 연료필터가 제기능을 할 수 없게 되므로, 적당한 시기에 물을 배출하거나 연료필터를 교체해주야한다. 이를 위해 통상 연료필터에는 여과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일정 한도 이상이 되면 배수 또는 연료필터의 교체 시기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수위 감지장치가 구비된다.
예전의 연료필터 수위 감지장치는 영구자석이 내장된 플로트가 리드스위치가 내장된 가이드축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를 구비하여, 수집된 물에 의해 상기 플로트가 상하로 이동되고, 이에 따른 영구자석의 위치변화에 따라 리드스위치를 통해 수위 감지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수위 감지장치는 영구자석의 외부 자장으로 인해 오동작이 발생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자력 저하로 인해 동작이 불량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13557호에는 여과된 수분이 수집되는 집수용 카트리지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몸체케이스의 중앙부에 상기 카트리지와 결합되는 체결부가 상향 돌출 형성되고, 이 체결부 내측에 상단이 노출되도록 금속 재질의 감지봉이 매입 설치되며, 상기 몸체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감지봉과 접속된 회로기판이 설치되며, 이 회로기판에 차량의 경보램프와 연결되는 전원선과 컨넥터가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카트리지 내부에 수집된 물의 수위가 높아져 상기 감지봉에 물이 접촉되면 상기 감지봉이 상기 카트리지를 통해 접지상태인 차체와 통전되어 역시 접지 상태가 되고, 이와 같이 감지봉이 접지되면 상기 회로기판에 구비된 점멸회로를 통해 작동전원이 인가되어 경보램프가 점등된다. 이에 따라, 전술한 플로트 방식의 수위 감지장치에 비해 수명과 작동 신뢰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위 감지장치는 상기 감지봉이 물과 카트리지를 통해 차체와 통전되면 경보램프에 점등신호가 인가되는 구조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카트리지가 도전성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차체와 통전된 구조일 경우에는 수위 검출이 가능하나, 카트리지가 다른 소재, 예를 들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또는 카트리지와 차체가 전기적으로 절연된 경우 등에는 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의 수위 감지장치는 연료필터의 상부커버에 설치되되, 연료필터의 하부 일정위치에 말단이 위치되는 한 쌍의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단자에 저항소자를 연결하여 상기 한 쌍의 단자 말단에 인정 수위까지 모인 물이 접촉되면 내부 저항값이 변하게 되며, 이러한 저항의 변화가 ECU로 전달되어 ECU가 특정 장치를 통해 운전자에게 인지될 수 있도록 경보램프를 점등시킴으로써, 전기적인 절연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저항소자를 한 쌍의 단자에 연결하는 수위 감지장치는 상기 저항소자와 단자의 일부가 내측에 삽입되어 보호될 수 있도록 인서트 사출을 통해 몸체를 형성시키는데, 인서트 사출 전에 상기 단자와 저항소자를 연결해주는 와이어가 관리도중 끊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인서트 사출 도중에 성형 재료의 흐름으로 인해 저항소자와 와이어, 와이어와 단자의 접촉이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환경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내구성 시험시 와이어의 손상으로 접촉불량 인자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저항소자를 이용한 수위 감지장치는 최종 인서트 사출 전에 저항소자와 단자간의 연결을 보호하기 위한 sub를 사출하는 공정을 추가하게 되는데, sub 사출공정 또한 관리도중 단자와 저항소자를 연결해주는 와이어가 관리도중 끊어지는 문제점과 성형 재료의 흐름으로 인해 저항소자와 와이어, 와이어와 단자의 접촉이 끊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는 못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 저항소자를 이용하고 sub 사출공정이 추가된 수위 감지창지는 두번의 사출성형을 해야 하므로, 일반 인서트 사출만하는 경우보다 사출시간이 증가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공정 중 불량발생률이 증가되며, 두번의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 제작비가 증가되어 궁극적으로는 생산시간과 단가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불량 발생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1355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0369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1938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저항소자를 이용한 수위 감지장치는 저항소자와 단자간의 연결을 보호하기 위한 sub 사출공정이 추가될 뿐만 아니라 sub 사출을 위한 금형의 부피가 커져 생산시간 및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과 상기 sub 사출공정을 추가함에도 불구하고 공정불량 발생률이 높은 문제가 발생하여, 보호블럭을 이용하여 저항소자와 단자간의 연결을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와이어에 절곡부를 형성시켜 공정불량 발생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차량 연료필터용 수분감지센서 및 이의 인서트 사출방법을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한 쌍의 인서트단자와 상기 한 쌍의 인서트단자에 일측과 타측이 각각 연결되는 저항소자 및 상기 인서트단자와 저항소자가 내측에 삽입되어 사출성형되는 센서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필터용 수분감지센서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저항소자는 양측에 상기 인서트단자에 연결되도록 연장형성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저항소자와 인서트단자 사이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면에 상기 저항소자가 안착되는 소자안착홈과 상기 인서트단자의 일부가 안착되는 단자안착홈이 형성된 보호블럭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센서몸체는 상기 인서트단자와 저항소자 및 보호블럭이 내측에 삽입되어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소자안착홈은 상기 저항소자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안착홈과 상기 저항소자의 양측에 연장형성된 와이어가 안착되되, 상기 와이어의 지름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제2안착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안착홈은 상기 와이어의 절곡부가 안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원형의 제3안착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인서트단자와 저항소자를 준비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한 쌍의 인서트단자의 사이에 저항소자를 연결하는 용접단계와 상기 용접단계 이후의 인서트단자의 일부와 저항소자를 보호블럭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조립단계 및 금형에 상기 조립단계 이후의 인서트단자와 저항소자 및 보호블럭을 안착시키고, 사출성형하여 수분감지센서를 제조하는 인서트성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필터용 수분감지센서의 인서트 사출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블럭(500)을 준비하는 준비단계(S100);와 상기 보호블럭(500)에 한 쌍의 인서트단자(200)를 안착시킨 후 저항소자(300)를 안착시키는 조립단계(S200);와 상기 한 쌍의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를 연결하는 용접단계(S300); 및 금형에 상기 용접단계(S300) 이후의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 및 보호블럭(500)을 안착시키고, 사출성형하여 수분감지센서를 제조하는 인서트성형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필터용 수분감지센서의 인서트 사출방법을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연료필터용 수분감지센서 및 이의 인서트 사출방법은 보호블럭을 이용하여 종래의 저항소자를 이용한 수위 감지장치의 sub 사출공정을 하지 않기 때문에 사출공정에 따른 금형비 절감과 생산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종 인서트 사출전에 저항소자와 인서트단자의 관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공정 중 불량 발생률이 저하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인서트단자와 저항소자를 연결하는 와이어에 절곡부를 형성시켜 관리도중과 인서트 사출시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연결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접촉 끊김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료필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연료필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수분 감지장치의 인서트 사출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분감지센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인서트단자와 저항소자 및 보호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인서트단자와 저항소자 및 보호블럭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분감지센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서트단자와 저항소자 및 보호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서트단자와 저항소자 및 보호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분감지센서의 인서트 사출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분감지센서의 인서트 사출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차량의 연료필터에 설치되는 수분감지센서(WIF sensor : Water in fuel sensor) 및 이의 사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차량 특히, 디젤 차량의 연료필터에 설치되어 여과되어 모인 물의 일정 수위 즉, 여과되어 모인 물이 한 쌍의 인서트단자(200)의 말단에 접촉되면 상기 한 쌍의 인서트단자(200)에 와이어를 이용하여 연결된 저항소자(300)의 저항값이 변화되어 운전자에게 알리는 것으로서, 제조시 종래의 불필요한 sub 사출공정을 보호블럭(500)으로 대체시켜 불필요한 사출공정을 줄임과 동시에 금형을 단순화시킴으로써, 생산시간 및 단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최종 인서트 사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한 쌍의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를 연결시키는 와이어(310)에 절곡부(312)를 형성하여 공정상 발생할 수 있는 외부 충격과 사출시 성형 재료의 흐름으로 인해 연결부위의 접촉이 끊어지는 불량 발생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 연료필터용 수분감지센서(이하, '수분감지센서'라 한다.) 및 차량 연료필터용 수분감지센서의 인서트 사출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아울러, 종래의 차량의 연료필터(1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하우징(10), 바디(20), 히터 어셈블리, 수분 센서 그리고 수분 배출부(8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 공간을 지니며,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폐쇄된 용기 형태로 이루지고, 내부 공간에는 연료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어셈블리(11)가 장착된다. 필터 어셈블리(11)는 이의 중심부에 하우징(1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중공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필터 어셈블리(11)는 당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의 연료 필터장치의 필터 엘리먼트로 이루어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하우징(10)의 상단에는 그 상단을 커버링 하는 상부 커버(13)가 결합된다. 상부 커버(13)는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볼트 등과 같은 결합수단을 통해 하우징(10)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상부커버(13)는 필터 어셈블리(11)를 통해 연료를 필터링하기 위한 디젤 연료의 유출입 통로를 구성하고, 연료를 필터 어셈블리(11)로 유입시키기 위한 연료 유입 니플(15)이 설치되며, 필터 어셈블리(11)를 거치며 이물질과 수분이 제거된 연료를 배출하기 위한 연료 배출 니플(17)이 설치된다.
상기 바디(20)는 상부 커버(13)와 함께 히터 어셈블리, 수분 센서 및 수분 배출부(80)를 단일의 모듈로서 일체로 구성하는 것으로,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필터 어셈블리(11)의 중심부를 관통하며 상부 커버(13)와 필터 어셈블리(11)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바디(20)는 상부 커버(13)와 필터 어셈블리(11) 사이에 배치되는 헤드부(21)와, 그 헤드부(21)에 일체로 연결되고 필터 어셈블리(11)의 중심부를 관통하며 배치되는 스템부(22)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21)는 소정 두께를 지닌 원형의 형상으로서 실링 러버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벽 면에 고정되며, 그 헤드부(21)에는 히터 어셈블리, 수분 센서 및 수분 배출부(80)가 장착된다.
미설명 부호 47, 63, 81, 83, 85는 각각 커넥터, 수분감지회로, 수분 배출니플, 드레인 플러그, 플러그 몸체이고, 종래의 연료필터에 구성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수분감지센서는 일예로, 바디(20)에 결합되는 상부 커버(13)와 필터 어셈블리(11) 사이에 배치되는 헤드부(21)에 설치되어 모인 물의 수위를 감지하고, 차량마다 다른 연료필터의 구성상 설치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며,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인서트단자(200)의 하부에 여과를 통해 모인 물이 접촉되는 어떠한 구조로 연료필터에 설치되어도 무방함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수분감지센서의 구성은 한 쌍의 인서트단자(200);와 상기 한 쌍의 인서트단자(200)에 일측과 타측이 각각 연결되는 저항소자(300); 및 상기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가 내측에 삽입되어 사출성형되는 센서몸체(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필터용 수분감지센서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저항소자(300)는 양측에 상기 인서트단자(200)에 연결되도록 연장형성되는 와이어(3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310)는 상기 저항소자(300)와 인서트단자(200) 사이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절곡부(3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면에 상기 저항소자(300)가 안착되는 소자안착홈(510)과 상기 인서트단자(200)의 일부가 안착되는 단자안착홈(520)이 형성된 보호블럭(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센서몸체(400)는 상기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 및 보호블럭(500)이 내측에 삽입되어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소자안착홈(510)은 상기 저항소자(300)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안착홈(512);과 상기 저항소자(300)의 양측에 연장형성된 와이어(310)가 안착되되, 상기 와이어(310)의 지름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제2안착홈(51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안착홈(514)은 상기 와이어(310)의 절곡부(312)가 안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원형의 제3안착홈(514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수분감지센서를 제조하기 위한 실시예1은 한 쌍의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를 준비하는 준비단계(S10);와 상기 한 쌍의 인서트단자(200)의 사이에 저항소자(300)를 연결하는 용접단계(S20);와 상기 용접단계(S20) 이후의 인서트단자(200)의 일부와 저항소자(300)를 보호블럭(500)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조립단계(S30); 및 금형에 상기 조립단계(S30) 이후의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 및 보호블럭(500)을 안착시키고, 사출성형하여 수분감지센서를 제조하는 인서트성형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수분감지센서를 제조하기 위한 실시예2는 보호블럭(500)을 준비하는 준비단계(S100);와 상기 보호블럭(500)에 한 쌍의 인서트단자(200)를 안착시킨 후 저항소자(300)를 안착시키는 조립단계(S200);와 상기 한 쌍의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를 연결하는 용접단계(S300); 및 금형에 상기 용접단계(S300) 이후의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 및 보호블럭(500)을 안착시키고, 사출성형하여 수분감지센서를 제조하는 인서트성형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4 내지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한 쌍의 인서트단자(200)는
도전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여과된 물에 하부말단이 접촉될 수 있도록 연료필터에 설치되고, 상부가 ECU와 연결되어 이후에 설명될 저항소자(300)의 저항값이 변화되면 변화값을 전달하게 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한 쌍의 인서트단자(200)는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일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연료필터 내부에 수직으로 세워져 상부가 ECU와 연결되고, 하부 말단이 연료필터 내부에 모인 물의 최대수위에 위치되며, 이후에 설명될 센서몸체(400)의 내부에 인서트 사출성형되어 상기 센서몸체(400)에 의해 연료필터에 설치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저항소자(300)는
상기 한 쌍의 인서트단자(200)에 일측과 타측이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서트단자(200)의 하부 말단에 여과되어 연료필터의 내측 하부에 모인 물이 접촉되면 저항값이 변화되고,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저항소자를 이용하여도 무방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저항소자(300)는 양측에 상기 인서트단자(200)에 연결되도록 연장형성되는 와이어(3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310)를 통해 한 쌍의 인서트단자(200)에 저항용접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저항소자(300)와 인서트단자(200) 사이에 최단길이 즉, 직선의 형태로 연결되었으나, 직선의 형태로 연결되는 경우 최종 인서트 사출 또는 sub 인서트 사출 전에 관리도중 연결이 끊어지거나 형태가 변형되어 사출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와이어(310)는 상기 저항소자(300)와 인서트단자(200)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는 절곡부(3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절곡부(312)를 통해 관리도중 외부 충격이 발생되어도 상기 절곡부(312)가 변형됨으로써, 연결이 끊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형태가 조금 변형되어도 종래보다 원상태로의 복원이 용이한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310)는 최종 인서트 사출시 성형 재료의 흐름이 발생되어도 상기 절곡부(312)가 미미하게 변형될 뿐 연결이 끊어지지는 않으므로, 더욱더 안정적으로 성형이 가능하여 불량 발생률을 저하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절곡부(312)는 절곡되는 각도가 어떠한 각도로 절곡되어도 무방하고, 절곡되는 횟수와 형태 즉, 수평 또는 수직방향 등 금형에 따라 어떠한 방향으로 절곡되어도 무방함으로, 다양한 절곡 각도와 횟수 및 형태(방향)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본 발명의 와이어(310)는 인서트단자(200)와 용접되어 접합되는 위치가 같은 수평선상 즉, 같은 높이의 위치인 경우 상기 절곡부(312)의 절곡방향이 같은 방향, 일예로, 하부방향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외부 충격발생시 같은 방향에 대한 충격을 더욱더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310)는 인서트단자(200)와 용접되어 접합되는 위치가 같은 수평선상에 있지 않은 경우 즉, 다른 높이의 위치인 경우 상기 절곡부(312)의 절곡방향이 다른 방향, 일예로, 일측과 타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외부 충격발생시 서로 다른 절곡방향으로 형성된 절곡부(312)에 의해 원활하게 충격이 흡수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부가하여, 본 발명의 와이어(310)는 상기 절곡부(312)와 절곡방향이 다른 적어도 하나의 대향절곡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대향절곡부에 의해 다른 방향의 충격을 보다 용이하게 흡수함으로써, 인서트단자(200)의 연결이 끊기는 것을 더욱더 효과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보호블럭(500)은
상부면에 상기 저항소자(300)가 안착되는 소자안착홈(510)과 상기 인서트단자(200)의 일부가 안착되는 단자안착홈(520)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저항소자(300)와 인서트단자(20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최종 인서트 사출전인 관리도중과 최종 인서트 사출시 안정적으로 저항소자(300)와 인서트단자(200)의 연결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보호블럭(500)은 저항소자(200)와 인서트단자(200)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와이어(310)까지 소자안착홈(510)에 안착시킴으로써, 저항소자(200)와 인서트단자(200)의 연결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소자안착홈(510)은 상기 저항소자(300)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안착홈(512)과 상기 저항소자(300)의 양측에 연장형성된 와이어(310)가 안착되되, 상기 와이어(310)의 지름보다 큰 폭을 가지는 제2안착홈(51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안착홈(512)은 상기 저항소자(300)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저항소자(300)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미세하게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저항소자(300)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그러나 상기 제1안착홈(512)은 상기와 같이, 저항소자(300)가 안착된 후 고정되도록 크기가 형성되어도 무방하고, 상기 저항소자(30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저항소자(300)가 외부 충격발생시 약간의 유동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앞서 설명된 절곡부(312)와 함께 미세하게 위치가 변형되어 인서트단자(200)와의 연결이 끊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 제2안착홈(514)은 저항소자(300)의 양측에 연장형성된 와이어(310)의 지름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어 외부 충격발생시 약간의 유동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절곡부(312)에 의해 형태가 미세하게 변형됨으로써,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의 연결이 끊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제2안착홈(514)은 상기 와이어(310)의 절곡부(312)가 안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원형의 제3안착홈(514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3안착홈(514a)은 외부 충격으로 인해 절곡부(312)가 형성되지 않은 와이어(310)의 부분보다 상기 절곡부(312)가 형성된 부분이 더욱 변형되기 쉽게 함으로써, 저항소자(300)와 와이어(310)의 연결과 와이어(310)와 인서트단자(200)의 연결이 더욱더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3안착홈(514a)은 상기 절곡부(312)의 곡률반경보다 큰 곡률반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312)는 상기 제3안착홈(514a)의 곡률반경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안착됨으로써, 상기 제3안착홈(514a)에 의해 상기 절곡부(312)가 유연하게 변형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단자안착홈(520)은 인서트단자(200)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저항소자(300)가 결합된 부분이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인서 사출이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소자안착홈(510)은 저항소자(300)와 와이어(310), 와이어(310)와 인서트단자(200)와의 연결부분이 끊어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저항소자(300)와 와이어(310)가 안착된 후 유동될 수 있도록 크기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저항소자(300)와 와이어(310)를 보호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최종 인서트 사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센서몸체(400)는
상기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 및 보호블럭(500)이 내측에 삽입되어 사출성형되는 것으로서, 형태는 차량마다 각기 다른 연료필터에서 요구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센서몸체(400)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센서몸체(400)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수분감지센서를 사출성형하는 실시예1에 의한 방법을 도 10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준비단계(S10)는 한 쌍의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를 준비하는 것으로서,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를 사출함에 이상이 없도록 외표면에 이물질 및 손상이 없는지 확인하고, 이후의 용접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용접단계(S20)는 상기 한 쌍의 인서트단자(200)의 사이에 저항소자(300)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저항용접을 통해 저항소자(300)의 양측에 연장형성된 와이어(310)의 말단 또는 상기 저항소자(300)와 연결된 타측의 일정부위를 인서트단자(200)와 연결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310)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312)가 형성되어 외부 충격이 발생시 변형됨으로써,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 즉, 저항소자(300)와 와이어(310), 와이어(310)와 인서트단자(200) 간의 연결이 끊기는 것이 방지되고, 이후의 조립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조립단계(S30)는 상기 용접단계(S20) 이후의 인서트단자(200)의 일부와 저항소자(300)를 보호블럭(500)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보호블럭(500)의 소자안착홈(510)과 단자안착홈(520) 각각에 저항소자(300)와 인서트단자(200)의 일부분이 안착될 수 있도록 조립된다.
이때, 상기 보호블럭(500)은 소자안착홈(510)과 단자안착홈(520)이 형성되고, 각각에 저항소자(300)와 인서트단자(200)의 일부가 안착되되, 상기 소자안착홈(510)은 저항소자(300)가 안착되는 제1안착홈(512)과 와이어(310)가 안착되는 제2안착홈(514)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2안착홈(514)은 상기 와이어(310)의 지름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고, 절곡부(312)가 안착되는 위치에 원형의 제3안착홈(514a)이 형성되어 상기 저항소자(300)와 인서트단자(200) 및 와이어(310)를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충격 발생시 상기 와이어(310)의 절곡부(312)가 안정적으로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 간의 연결이 끊어지는 것을 최소화한다.
다음으로, 인서트성형단계(S40)는 금형에 상기 조립단계(S30) 이후의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 및 보호블럭(500)을 안착시키고, 사출성형하여 수분감지센서를 최종적으로 제조하는 것으로서, 상기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 및 보호블럭(500)의 외부에 센서몸체(400)가 사출성형되어 최종적인 수분감지센서가 생산된다.
아울러, 수분감지센서를 사출성형하는 실시예2에 의한 방법을 도 11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고, 실시예2에서는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를 용접하여 연결하기 전에 보호블럭(500)에 상기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를 안착시킨 후 용접하여 연결함으로써, 상기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의 연결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준비단계(S100)는 보호블럭(500)을 준비하는 것으로서, 앞서 실시예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블럭(500)은 소자안착홈(510)과 단자안착홈(520)이 형성되고, 각각에 저항소자(300)와 인서트단자(200)의 일부가 안착되되, 상기 소자안착홈(510)은 저항소자(300)가 안착되는 제1안착홈(512)과 와이어(310)가 안착되는 제2안착홈(514)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2안착홈(514)은 상기 와이어(310)의 지름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저항소자(300)와 인서트단자(200) 및 와이어(310)를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충격 발생시 상기 와이어(310)의 절곡부(312)가 안정적으로 변형되도록함으로써, 이후에 안착될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 간의 연결이 끊어지는 것을 최소화한다.
이때, 상기 보호블럭(500)은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절곡부(312)가 안착되는 위치에 원형의 제3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고, 이후의 조립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조립단계(S200)는 상기 보호블럭(500)에 한 쌍의 인서트단자(200)를 안착시킨 후 저항소자(300)를 안착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보호블럭(500)의 소자안착홈(510)과 단자안착홈(520) 각각에 저항소자(300)와 인서트단자(200)의 일부분이 안착될 수 있도록 조립된다.
이때, 상기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를 사출함에 이상이 없도록 외표면이 이물질 및 손상이 없는지 확인하고, 상기 저항소자(300)의 와이어(310)가 상기 인서트단자(20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접촉되도록 조립되며, 이후의 용접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용접단계(S300)는 상기 보호블럭(500)에 안착된 한 쌍의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를 용접하여 연결하는 것으로서,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저항용접을 통해 저항소자(300)의 양측에 연장형성된 와이어(310)의 말단 또는 상기 저항소자(300)와 연결된 타측의 일정부위를 인서트단자(200)와 연결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310)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312)가 형성되어 외부 충격이 발생시 변형됨으로써,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 즉, 저항소자(300)와 와이어(310), 와이어(310)와 인서트단자(200) 간의 연결이 끊기는 것이 방지되고, 보호블럭(500)에 의해 인서트단자(200)의 상부에 안착된 와이어(310)를 용접하여 연결함으로써, 더욱더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부가하여, 상기 인서트단자(200)는 실시예1에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저항소자(300)의 와이어(310)가 내측에 용접되나, 실시예2에서는 상기 인서트단자(200)의 형상이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져 보호블럭(500)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뿐만 아니라 저항소자(300)의 와이어(310)가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용접이 용이한 효과를 실현케 한다.
다음으로, 인서트성형단계(S400)는 금형에 상기 용접단계(S300) 이후의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 및 보호블럭(500)을 안착시키고, 사출성형하여 수분감지센서를 제조하는 것으로서, 상기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 및 보호블럭(500)의 외부에 센서몸체(400)가 사출성형되어 최종적인 수분감지센서가 생산된다.
즉, 본 발명의 수분감지센서는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를 연결하는 와이어(310)에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312)를 형성시켜 외부충격 발생시 상기 절곡부(312)가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간의 연결이 끊어지는 것을 최소화하고, 이로써, 불량 발생률을 저하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호블럭(500)을 이용하여 상기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 및 와이어(310)를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절곡부(312)의 변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최종 인서트 사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200 : 인서트단자 300 : 저항소자
310 : 와이어 312 : 절곡부
400 : 센서몸체 500 : 보호블럭
510 : 소자안착홈 512 : 제1안착홈
514 : 제2안착홈 514a : 제3안착홈
520 : 단자안착홈

Claims (6)

  1. 일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연료필터 내부에 수직으로 세워져 상부가 ECU와 연결되고, 하부 말단이 연료필터 내부에 모인 물의 최대수위에 위치되는 한 쌍의 인서트단자(200);와
    상기 한 쌍의 인서트단자(200)에 일측과 타측이 각각 연결되는 저항소자(300);와
    상부면에 상기 저항소자(300)가 안착되는 소자안착홈(510)과 상기 인서트단자(200)의 일부가 안착되는 단자안착홈(520)이 형성된 보호블럭(500); 및
    상기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 및 보호블럭(500)이 내측에 삽입되어 사출성형되는 센서몸체(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항소자(300)는
    양측에 상기 인서트단자(200)에 연결되도록 연장형성되는 와이어(3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310)는
    상기 저항소자(300)와 인서트단자(200) 사이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절곡부(3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필터용 수분감지센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안착홈(510)은
    상기 저항소자(300)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안착홈(512);과
    상기 저항소자(300)의 양측에 연장형성된 와이어(310)가 안착되되, 상기 와이어(310)의 지름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제2안착홈(51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필터용 수분감지센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착홈(514)은
    상기 와이어(310)의 절곡부(312)가 안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원형의 제3안착홈(514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필터용 수분감지센서.
  5. 한 쌍의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를 준비하는 준비단계(S10);와
    상기 한 쌍의 인서트단자(200)의 사이에 저항소자(300)를 연결하는 용접단계(S20);와
    상기 용접단계(S20) 이후의 인서트단자(200)의 일부와 저항소자(300)를 보호블럭(500)의 상부에 안착시키되, 상기 저항소자(300)와 인서트단자(200)의 일부 각각을 상기 보호블럭(500)의 소자안착홈(510)과 단자안착홈(520)에 안착시키는 조립단계(S30); 및
    금형에 상기 조립단계(S30) 이후의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 및 보호블럭(500)을 안착시키고, 사출성형하여 수분감지센서를 제조하는 인서트성형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필터용 수분감지센서의 인서트 사출방법.
  6. 보호블럭(500)을 준비하는 준비단계(S100);와
    상기 보호블럭(500)에 한 쌍의 인서트단자(200)를 안착시킨 후 저항소자(300)를 안착시키되, 상기 보호블럭(500)의 소자안착홈(510)과 단자안착홈(520) 각각에 저항소자(300)와 인서트단자(200)의 일부분이 안착시키는 조립단계(S200);와
    상기 한 쌍의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를 연결하는 용접단계(S300); 및
    금형에 상기 용접단계(S300) 이후의 인서트단자(200)와 저항소자(300) 및 보호블럭(500)을 안착시키고, 사출성형하여 수분감지센서를 제조하는 인서트성형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필터용 수분감지센서의 인서트 사출방법.
KR1020180133687A 2018-11-02 2018-11-02 차량 연료필터용 수분감지센서 및 이의 인서트 사출방법 KR102140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687A KR102140246B1 (ko) 2018-11-02 2018-11-02 차량 연료필터용 수분감지센서 및 이의 인서트 사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687A KR102140246B1 (ko) 2018-11-02 2018-11-02 차량 연료필터용 수분감지센서 및 이의 인서트 사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722A KR20200050722A (ko) 2020-05-12
KR102140246B1 true KR102140246B1 (ko) 2020-07-31

Family

ID=70679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687A KR102140246B1 (ko) 2018-11-02 2018-11-02 차량 연료필터용 수분감지센서 및 이의 인서트 사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24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433B1 (ko) 2016-12-28 2018-06-04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회전체 검출 센서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105B2 (ja) 1997-02-21 2001-04-23 日本電気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書込方法
KR200447763Y1 (ko) * 2007-12-21 2010-02-18 주식회사 제임스텍 온도센서
KR100903692B1 (ko) 2008-12-11 2009-06-18 주식회사 거성엔프라 자동차 연료필터용 수위 감지장치
KR20120007875A (ko) * 2010-07-15 2012-01-25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의 수동변속기
KR101601814B1 (ko) * 2014-07-25 2016-03-10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인터쿨러용 온도센서
KR101619385B1 (ko) 2014-11-14 2016-05-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디젤 엔진용 연료 필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433B1 (ko) 2016-12-28 2018-06-04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회전체 검출 센서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722A (ko)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1382B2 (en) Electronic filter detection feature for liquid filtration systems
US9072992B2 (en) Fuel filter with filter recognition
JP5192417B2 (ja) 燃料供給装置
US20060070941A1 (en) In-tank fuel module
CN103261607A (zh) 罐装入式模块、液体罐
JP2011028995A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及びその組付方法
KR101893602B1 (ko) 탱크 덮개 유닛 및 연료 공급 장치
US20030084884A1 (en) Grounded fuel delivery module for fuel system
US5996543A (en) Intake device to which engine ECU is fixed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CN105715429A (zh) 用于柴油发动机的燃料过滤器
JPH09310648A (ja) 燃料フィルタ
CN109751161A (zh) 燃料泵模块
AU2008333290A1 (en) Integrated pressure and level sensor of a cooling fluid and engine comprising said sensor
KR102140246B1 (ko) 차량 연료필터용 수분감지센서 및 이의 인서트 사출방법
US6245231B1 (en) Fuel filter apparatus with anti-electrostatic function
US20070241036A1 (en) Filter for filtering fuel
US8701705B2 (en) Fuel delivery module
US11248510B2 (en) Connection head with a return cavity
JP5218317B2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KR100903692B1 (ko) 자동차 연료필터용 수위 감지장치
EP3296737B1 (en) Water in fuel (wif) sensor
JP2011202658A (ja) 自動車両用燃料濾過器
JP2006029187A (ja) 燃料タンク用蓋体
US20200274261A1 (en) Terminal cover
JP5290134B2 (ja) 燃料タンク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