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310B1 - 항공기 윈도우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항공기 운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항공기 윈도우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항공기 운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310B1
KR102139310B1 KR1020180088528A KR20180088528A KR102139310B1 KR 102139310 B1 KR102139310 B1 KR 102139310B1 KR 1020180088528 A KR1020180088528 A KR 1020180088528A KR 20180088528 A KR20180088528 A KR 20180088528A KR 102139310 B1 KR102139310 B1 KR 102139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ubstrate
aircraft
layer
meta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3382A (ko
Inventor
강창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심포니이미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심포니이미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심포니이미징
Priority to KR1020180088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310B1/ko
Priority to PCT/KR2018/008661 priority patent/WO2020027346A1/ko
Publication of KR20200013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14Windows; Doors; Hatch covers or access panels; Surrounding frame structures; Canopie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e.g. pressure sensors, water deflectors, hinges, seals, handles, latches, windscreen wi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14Windows; Doors; Hatch covers or access panels; Surrounding frame structures; Canopie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e.g. pressure sensors, water deflectors, hinges, seals, handles, latches, windscreen wipers
    • B64C1/1476Canopies; Windscreens or similar transparent elements
    • B64C1/1484Window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02Reconstruction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03H1/2205Reconstruction geometries or arrangements using downstream optical component
    • G03H2001/2213Diffusing screen revealing the real holobject, e.g. container filed with gel to reveal the 3D holobject
    • G03H2001/2221Screen having complex surface, e.g. a structured objec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02Reconstruction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03H2001/2223Particular relationship between light source, hologram and observ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02Reconstruction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03H2001/2236Details of the viewing window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10/00Object characteristics
    • G03H2210/10Modulation characteristics, e.g. amplitude, phase, polarisation
    • G03H2210/13Coloured objec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5/00Active addressable light modulator
    • G03H2225/60Multiple SLMs
    • G03H2225/61Multiple SLMs for multicolour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 윈도우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항공기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영상을 생성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광원과,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광원으로부터 생성된 영상을 반사시키고,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편광 및 색상이 변하는 제1 윈도우와, 상기 제1 윈도우에 의해 반사된 영상을 전방 공간으로 반사시켜 홀로그램 영상으로 표시하고,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편광이 변하는 제2 윈도우와, 상기 제1 윈도우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제1 윈도우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윈도우 조절 스위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항공기 윈도우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복수의 항공기 윈도우용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상기 제1 윈도우 및 상기 제2 윈도우에 인가되는 전압을 일괄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제1 윈도우 및 상기 제2 윈도우의 편광을 변화시킴으로써, 입사광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키는 인터랙티브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항공기 윈도우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항공기 운용 시스템{DISPLAY DEVICE FOR AIRCRAFT WINDOW AND AIRCRAFT OPERA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공기 윈도우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항공기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CD)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가 정보 디스플레이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소자들은 자체 광원의 빛을 컬러필터를 투과시켜 색을 구현하거나 또는 재료 자체에서 전류 흐름에 따라 발광되는 빛으로 색을 구현한다. 최근에는 항공기 내에 이러한 소자들이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항공기의 윈도우는 유리창의 용도로서 다층의 복합 재료를 사용한 아크릴 소재로 제작되는 윈도우와, 차양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덮개로 구성된다. 대부분의 민항기에서 승객들은 직사광선을 피하기 위해서 또는 개인의 선택에 따라 덮개를 내릴 수 있다.
한편, 미국 연방항공청(FAA: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의 법규는, "승무원들은 항공기 내에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모든 탑승객을 비행기 바깥으로 90 초 내에 대피시켜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항공기의 이착륙 과정에서 탑승객들은 캐빈 승무원의 지시에 따라 안전 등의 이유로 반드시 덮개를 완전 개방해야 한다. 이는 갑작스런 사고가 발생했을 때 탈출 직전에 바깥 상황을 파악하고, 이착륙시 갑작스러운 사고가 나면 일단 첫 번째로 기내 전원이 차단되면서 모든 실내등이 소등되므로, 응급 상황시 실내 광원의 확보를 위해서도 필요한 조치이다.
문제는 현 캐빈 승무원의 업무 실태 상, 의자를 정해진 위치로 바로 세우거나 창문의 무빙파트(Moving Parts)를 올리는 등의 지시를 하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외부 환경의 위험요소를 살필 시간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런 실태의 개선을 위해서, 항공기의 창문에 달려있던 덮개(무빙파트)를 전자화하고, 추가로 윈도우 내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현하여 승객에게 위험요소를 다각도로 알리는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1 착색 또는 탈색과 같은 전기변색 소자의 광학 특성을 이용하면서, 적층 재료의 박막 특성을 다르게 하여 입사광을 차단하거나 통과시켜 투명 디스플레이와 불투명 디스플레이를 선택적으로 구현하고, 투명 홀로그램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항공기 윈도우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항공기 운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따른 항공기 윈도우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광원;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광원으로부터 생성된 영상을 반사시키고,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색상이 변하는 제1 윈도우; 상기 제1 윈도우에 의해 반사된 영상을 전방 공간으로 반사시켜 홀로그램 영상으로 표시하는 제2 윈도우; 및 상기 제1 윈도우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제1 윈도우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윈도우 조절 스위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광원은 프로젝터 및 확산 렌즈를 구비하고, 별도의 백라이트에 의해 초점 거리와 영상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광원은 상기 제1 윈도우의 경사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1 윈도우의 상단 또는 하단의 소정 공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윈도우와 상기 제2 윈도우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윈도우의 상면에서 하면까지의 높이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윈도우와 상기 제2 윈도우 사이의 각도는, 45 도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윈도우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의 제1 투명전극; 상기 제2 기판 상의 제2 투명전극; 및 상기 제1 투명전극과 상기 제2 투명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변색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변색층은 전기변색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 물질은 Ti, Nb, Mo, Ta, 및 W 중에서 선택된 금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변색층은 2 nm 내지 800 nm의 두께를 갖고, 착색시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율이 40 % 이하이고, 탈색시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율이 9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따른 항공기 운용 시스템은, 영상을 생성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광원과,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광원으로부터 생성된 영상을 반사시키고,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편광 및 색상이 변하는 제1 윈도우와, 상기 제1 윈도우에 의해 반사된 영상을 전방 공간으로 반사시켜 홀로그램 영상으로 표시하고,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편광이 변하는 제2 윈도우와, 상기 제1 윈도우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제1 윈도우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윈도우 조절 스위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항공기 윈도우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복수의 항공기 윈도우용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상기 제1 윈도우 및 상기 제2 윈도우에 인가되는 전압을 일괄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제1 윈도우 및 상기 제2 윈도우의 편광을 변화시킴으로써, 입사광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키는 인터랙티브 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윈도우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의 제1 투명전극; 상기 제2 기판 상의 제2 투명전극; 상기 제1 투명전극과 상기 제2 투명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변색층; 및 포켈스 셀 및 메타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제3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포켈스 셀 및 메타물질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켈스 셀 및 메타물질층은 상기 인터랙티브 장치로부터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포켈스 셀을 통해 편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타물질은, 플라즈몬-하이브리드화 메타물질로서, 나노스케일의 금 선 또는 은 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라즈몬-하이브리드화 메타물질은, 단일 금속선, 그리고 충진재로서 감광성폴리머(PC403)를 가지는 유리(SiO2)위에서 제작되는 한 쌍의 금속선들의 수직 적층(stack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금속선들은 하위 층에 있어서 수직 변위 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편광은, 상기 제1 윈도우가 켜지거나 또는 꺼지는지 여부를 결정하되, 입사 빔의 전기적인 성분이 단일 금속선에 평행할 때, 하위 금속선 쌍이 입사광에 의해 여기되지 않는 외부 장과 단일 금속선이 결합되고, 그 결과 입사 광이 낮은 손실을 가지는 상기 메타물질을 가로지르고 상기 제1 윈도우가 "open"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위층에서 상기 단일 금속선은 금속선들의 길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하위 층의 금속쌍의 공명 주파수와 동일한 공명 주파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편광은, 상기 제1 윈도우가 켜지거나 또는 꺼지는지 여부를 결정하되, 입사 빔의 전기적인 성분이 단일 금속선에 수직할 때, 하위 금속선 쌍은 근접장 영역에서 어떠한 플라즈몬성 결합 없이 외부 입사광에 의해 직접 여기되어, 그 결과 빛이 상쇄 간섭의 관여 없어 전파될 수 없고, 상기 제1 윈도우가 "off"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위 금속선 쌍(대칭 모드)은 수직 변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쌍(비대칭 모드)의 공명 주파수와 동일한 공명 주파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기판은 비여압된 항공기의 캐노피 또는 윈도우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기판은 유리(SiO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기판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 carbonate), 또는 PEN(polyethylene naphthalate)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기판은 편광 광선 분리기(Polarizing Beam Splitter)에 의해 코팅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윈도우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기판; 및 포켈스 셀 및 메타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포켈스 셀 및 메타물질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랙티브 장치는 상기 제1 윈도우 및 상기 제2 윈도우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제1 윈도우 및 상기 제2 윈도우의 편광이 서로 일치하거나 직교하도록 함으로써, 입사광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의하면, 홀로그램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 상부에 편광 광선 분리기에 의해 코팅된 포켈스 셀을 사용하는 항공기 윈도우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항공기 운용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전압을 통해 편광을 제어할 수 있고, 윈도우로 하여금 편광을 변경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또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광원으로부터 들어오는 영상의 대비를 연조(Low Contrast) 및 중간 조(Normal Contrast)로 향상시키고, 편광의 방향에 따라 윈도우가 광학 스위치 역할을 하여 기존에 전기변색 장치에서 효과적이지 못했던 항공기 내에서의 입사되는 자외선 및 열을 연식축 방향으로 직교 배향하는 항공기 윈도우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항공기 운용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가시광 투과도 및 편광효율의 최대치를 각각 50%, 100%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윈도우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제1 윈도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운용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제1 윈도우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제2 윈도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켈스 셀 및 메타물질층의 단위 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편광들 모두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
도 8은 포켈스 셀의 개략도, 및
도 9는 포켈스 셀 및 메타물질을 각각 "1" 및 "2"로 나타낸 편광 의존성 윈도우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는, 전기변색 소자에 더해 수백 나노미터의 크기를 가지는 메타물질들을 사용한다. 메타물질들은 인공 원자들과 같이 주기적으로 정렬된 단위 셀들로 구성되는데, 그 크기는 균질한 매체로 고려될 수 있는 외부 전자기파들보다 훨씬 작다. 여기서, 수십나노미터의 폭을 갖는 금 선 또는 은 선이 메타물질들의 빌딩 블록으로서 사용된다. 단위 셀은 단일 금속선, 그리고 충진재(filler)로서 감광성폴리머(PC403)를 수직하게 가지는 한 쌍의 금 혹은 은으로 구성된 금속선들을 포함하는데, 이는 유리(SiO2)상에 주기적으로 정렬된다.
하위층의 금속선 쌍은 다소 고유한 특성을 가지는데, 이것은 수직한 전기적인 성분을 가진 외부 입사광에 의해 직접적으로 여기되지는 않지만, 단일의 금속선이 그것에 수직하게 위치될 때 근접장 결합을 통해 활성화되고 그 결과 비대칭 플라즈몬성 모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만약 입사광의 전기적인 성분이 한 쌍의 금속선들과 평행한 경우, 그것은 입사 빔과 직접 결합되고 대칭적인 플라즈몬성 모드가 생성된다. 비대칭 모드의 주파수는 일반적으로 대칭 모드의 주파수보다 더 낮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약 한 쌍의 금속선들이 수직 변위 Δ를 각각 가지는 경우 주파수 반전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적절한 Δ에 이를 때 두 개의 주파수들이 서로 겹친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상위층의 단일 금속선은 하위 금속선 쌍의 공명 주파수와 동일해야만 하는데, 이는 금속선들의 변수(길이, 너비 등)에 의해 쉽게 제어될 수 있다.
입사 빔의 전기적인 성분이 (쌍에 수직한) 단일의 금속선에 평행할 때, 단일 금속선은 하위 쌍이 입사광에 의해 여기되지 않지만, 상위 금속선은 플라즈몬성 결합(예 쌍극-4중극 결합)에 의존하는 외부장에 동조된다. 그 결과, 상위 금속선은 하위 쌍에 상쇄적으로 간섭하고 전자기유도 투과 현상(Electromagnetically Induced Transparency, EIT)이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입사광은 낮은 손실을 가지는 메타물질을 가로지를 수 있고, 윈도우는 "open"으로 설정된다.
입사 빔의 전기적인 성분이 상층 단일 금속선에 수직(쌍에 평행)일 때, 하위 쌍은 근접장 영역에서 어떠한 플라즈몬성 결합없이 외부 입사광에 의해 직접적으로 여기된다. 그 결과, 빛은 상쇄 간섭의 관여 없이 전파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윈도우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수십 펩토초의 표면 플라즈몬 폴라리톤의 반응 속도에 기인하여 초고속으로 동작한다. 그러나, 전기변색 소자의 속도가 편광을 변경하는 방법에 의해 결정되도록 빛의 편광을 제어할 수 있는 또 다른 부분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전기장 또는 광학장에 의한 몇 가지 접근법들이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포켈스 셀이 인가된 전압에 의한 입사광의 편광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윈도우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윈도우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광원(110), 제1 윈도우(120), 제2 윈도우(130), 및 윈도우 조절 스위치(140)을 포함한다.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광원(110)은 주변 기기와의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되는 영상을 출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광원(110)은 프로젝터 및 확산 렌즈를 구비하고, 별도의 백라이트에 의해 초점 거리와 영상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광원(110)은 제1 윈도우(120)의 경사면과 대향하도록 제1 윈도우(120)의 상단 또는 하단의 소정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윈도우(120)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광원(110)으로부터 생성된 영상을 반사시키고, 윈도우 조절 스위치(14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색상이 변할 수 있다. 제1 윈도우(120)의 자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윈도우(130)는 제1 윈도우(120)에 의해 반사된 영상을 전방 공간으로 반사시켜 홀로그램 영상으로 표시한다. 이를 위해, 제1 윈도우(120)와 제2 윈도우(130) 사이의 거리는, 제2 윈도우(130)의 상면에서 하면까지의 높이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윈도우(120)와 제2 윈도우(130) 사이의 각도는, 45 도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윈도우 조절 스위치(140)는 제1 윈도우(120)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제1 윈도우(120)의 색상을 변화시킨다. 여기서, 윈도우 조절 스위치(140)는 터치 방식의 누름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제1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기판(210)이 제공된다. 또한, 제1 기판(210) 상에 이격되어 제2 기판(220)이 제공된다. 제1 기판(210) 및 제2 기판(220)은 유연소재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210) 및 제2 기판(220)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 carbonate), 또는 PEN(polyethylene naphthalate)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제1 기판(210) 및 제2 기판(220)은 신축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210) 및 제2 기판(220)은 PDMS(polydimethylsiloxane) 또는 PU(polyurethan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기판(220)은 편광 광선 분리기에 의해 코팅된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1 투명전극(230)은 제1 기판(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투명전극(240)은 제2 기판(2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투명전극(230) 및 제2 투명전극(240)은 Al, TiN, ITO, IZO 또는 그래핀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변색층(250)은 제1 투명전극(230) 및 제2 투명전극(2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기변색층(250)은 2 내지 1000 nm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투명전극(230) 및 제2 투명전극(240)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면, 전기변색층(250)은 산화 또는 환원 반응을 할 수 있다. 이처럼, 산화 또는 환원 반응에 의해 전기변색층(250)의 광특성이 가역적으로 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기변색층(250)은 EC(electro chromic) 소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변색층(250)은 WO3 또는 PEDOT:PPS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260)은 제1 투명전극(230) 및 전기변색층(2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유기층(260)은 2 내지 1000 nm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유기층(260)은 전하주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하주입층은 정공주입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공주입물질은 PEDOT:PPS, PVK (poly(9-vinylcarbazole)), TFB (Poly[(9,9-dioctylfluorenyl-2,7-diyl)-co-(4,4'-(N-(4-sec-butylphenyl)diphenylamine)]), α-NPD (4,4-bis[N-(1-naphthyl)-N-phenyl-anmino]biphenyl) 또는 TPD (N,N'-bia-(3-methylphenyl)-N,N'-bia-phenyl(1,1'-biphenyl)-4,4diamine)를 포함할 수 있다. 전하주입층은 전자주입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주입물질은 PEIE (polyethylenimine ethoxylated) 또는 ZnO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260)은 전하수송층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하수송층은 정공수송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공수송물질은 2-TNATA (4,4′,4′′-tris[2-naphthyl(phenyl)amino] triphenylamine) 또는 m-MTDATA (4, 4',4"-tris(2-methylhenyl-phenylamino)triphenylamine)를 포함할 수 있다. 전하수송층은 전자수송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수송물질은 Alq3 (tris-(8-hydroxyquinoline)aluminum), TPBi (2,2′,2"-(1,3,5-Benzinetriyl)-tris(1-phenyl-1-H-benzimidazole)), BBOT (2,5-bis(5-tert-butyl-benzoxazol-2-yl)thiophene), PBD (2-(4-biphenylyl)-5-phenyl-1,3,4-oxadiazole), 또는 BMD (3-(s)-[(benzyloxycarbonyl)methyl]-1,4-dioxane-2,5-dione)를 포함할 수 있다. 정공수송물질 또는 전자수송물질은 Ir(piq)3 (tris(1-phenylisoquinoline)iridium(III)), Ir(piq)2(acac) (Bis[2-(1-isoquinolinyl-N)phenyl-C](2,4-pentanedionato-O2,O4)iridium(III)), 또는 rubrene (5,6,11,12-tetra-phenylnaphthacen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유기층(260)은 정공수송물질과 정공주입물질을 포함하는 단일층 또는 전자수송물질과 전자주입물질을 포함하는 단일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기변색층을 위한 전하매개층으로서 전해질(또는 이온전도층)이 아닌 유기층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해질을 가두기 위한 격벽 또는 캡슐화가 필요하지 않고, 용매의 휘발로 인한 안정성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 및 시인성이 우수하고, 그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된 전기변색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유기층을 사용함으로 인해 전기변색 소자는 유연기판 또는 신축성 기판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운용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운용 시스템은 복수의 항공기 윈도우용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인터랙티브 장치(300)를 포함한다.
각각의 항공기 윈도우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광원(310), 제1 윈도우(320), 제2 윈도우(330), 및 윈도우 조절 스위치(340)를 포함한다.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광원(310)은 주변 기기와의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되는 영상을 출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광원(310)은 프로젝터 및 확산 렌즈를 구비하고, 별도의 백라이트에 의해 초점 거리와 영상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광원(310)은 제1 윈도우(320)의 경사면과 대향하도록 제1 윈도우(320)의 상단 또는 하단의 소정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윈도우(320)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광원(310)으로부터 생성된 영상을 반사시키고, 윈도우 조절 스위치(34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색상이 변한다. 또한, 제1 윈도우(320)는 인터랙티브 장치(30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편광이 변한다. 제1 윈도우(320)의 자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4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윈도우(330)는 제1 윈도우(320)에 의해 반사된 영상을 전방 공간으로 반사시켜 홀로그램 영상으로 표시하고, 인터랙티브 장치(30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편광이 변한다. 이를 위해, 제1 윈도우(320)와 제2 윈도우(330) 사이의 거리는, 제2 윈도우(330)의 상면에서 하면까지의 높이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윈도우(320)와 제2 윈도우(330) 사이의 각도는, 45 도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윈도우(330)의 자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윈도우 조절 스위치(340)는 제1 윈도우(320)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제1 윈도우(320)의 색상을 변화시킨다. 윈도우 조절 스위치(340)는 터치 방식의 누름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랙티브 장치(300)는 복수의 항공기 윈도우용 디스플레이 장치(100') 각각의 제1 윈도우(320) 및 제2 윈도우(330)에 인가되는 전압을 일괄적으로 제어하여 제1 윈도우(320) 및 제2 윈도우(330)의 편광을 변화시킴으로써, 입사광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인터랙티브 장치(300)는 제1 윈도우(320) 및 제2 윈도우(330)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제1 윈도우(320) 및 제2 윈도우(330)의 편광이 서로 일치하거나 직교하도록 함으로써, 입사광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킨다.
도 4는 도 3의 제1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기판(410)이 제공된다. 제1 기판(410) 상에 이격되어 제2 기판(420)이 제공된다. 그리고, 제2 기판(420) 상에 이격되어 제3 기판(470)이 제공된다. 제1 기판(410), 제2 기판(420), 및 제3 기판(470)은 유연소재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410), 제2 기판(420), 및 제3 기판(470)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 carbonate), 또는 PEN(polyethylene naphthalate)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제1 기판(410),제2 기판(420), 및 제3 기판(470)은 신축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410), 제2 기판(420), 및 제3 기판(470)은 PDMS(polydimethylsiloxane) 또는 PU(polyurethan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기판(470)은 편광 광선 분리기에 의해 코팅된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1 투명전극(430)은 제1 기판(4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투명전극(440)은 제2 기판(4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투명전극(430) 및 제2 투명전극(440)은 Al, TiN, ITO, IZO 또는 그래핀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변색층(450)은 제1 투명전극(430) 및 제2 투명전극(4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전기변색층(450)은 2 내지 1000 nm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투명전극(430) 및 제2 투명전극(440)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면, 전기변색층(450)은 산화 또는 환원 반응을 할 수 있다. 이처럼, 산화 또는 환원 반응에 의해 전기변색층(450)의 광특성이 가역적으로 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기변색층(450)은 EC(electro chromic) 소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변색층(450)은 WO3 또는 PEDOT:PPS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460)은 제1 투명전극(430) 및 전기변색층(4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유기층(460)은 2 내지 1000 nm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유기층(460)은 전하주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하주입층은 정공주입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공주입물질은 PEDOT:PPS, PVK (poly(9-vinylcarbazole)), TFB (Poly[(9,9-dioctylfluorenyl-2,7-diyl)-co-(4,4'-(N-(4-sec-butylphenyl)diphenylamine)]), α-NPD (4,4-bis[N-(1-naphthyl)-N-phenyl-anmino]biphenyl) 또는 TPD (N,N'-bia-(3-methylphenyl)-N,N'-bia-phenyl(1,1'-biphenyl)-4,4diamine)를 포함할 수 있다. 전하주입층은 전자주입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주입물질은 PEIE (polyethylenimine ethoxylated) 또는 ZnO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460)은 전하수송층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하수송층은 정공수송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공수송물질은 2-TNATA (4,4′,4′′-tris[2-naphthyl(phenyl)amino] triphenylamine) 또는 m-MTDATA (4, 4',4"-tris(2-methylhenyl-phenylamino)triphenylamine)를 포함할 수 있다. 전하수송층은 전자수송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수송물질은 Alq3 (tris-(8-hydroxyquinoline)aluminum), TPBi (2,2′,2"-(1,3,5-Benzinetriyl)-tris(1-phenyl-1-H-benzimidazole)), BBOT (2,5-bis(5-tert-butyl-benzoxazol-2-yl)thiophene), PBD (2-(4-biphenylyl)-5-phenyl-1,3,4-oxadiazole), 또는 BMD (3-(s)-[(benzyloxycarbonyl)methyl]-1,4-dioxane-2,5-dione)를 포함할 수 있다. 정공수송물질 또는 전자수송물질은 Ir(piq)3 (tris(1-phenylisoquinoline)iridium(III)), Ir(piq)2(acac) (Bis[2-(1-isoquinolinyl-N)phenyl-C](2,4-pentanedionato-O2,O4)iridium(III)), 또는 rubrene (5,6,11,12-tetra-phenylnaphthacen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유기층(460)은 정공수송물질과 정공주입물질을 포함하는 단일층 또는 전자수송물질과 전자주입물질을 포함하는 단일층을 포함할 수 있다.
포켈스 셀 및 메타물질층(480)은 제2 기판(420) 및 제3 기판(4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포켈스 셀 및 메타물질층(480)은 포켈스 셀 및 메타물질을 포함하고, 인터랙티브 장치(30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포켈스 셀을 통해 편광을 제어하고, 그 결과 입사광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킨다. 포켈스 셀 및 메타물질층(480)의 자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6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3의 제2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기판(510)이 제공된다. 제1 기판(510) 상에 이격되어 제2 기판(520)이 제공된다. 제1 기판(510) 및 제2 기판(520)은 유연소재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510) 및 제2 기판(520)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 carbonate), 또는 PEN(polyethylene naphthalate)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제1 기판(510) 및 제2 기판(520)은 신축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510) 및 제2 기판(520)은 PDMS(polydimethylsiloxane) 또는 PU(polyurethane)를 포함할 수 있다.
포켈스 셀 및 메타물질층(530)은 제1 기판(510) 및 제2 기판(5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포켈스 셀 및 메타물질층(530)은 포켈스 셀 및 메타물질을 포함하고, 인터랙티브 장치(30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포켈스 셀을 통해 편광을 제어하고, 그 결과 입사광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킨다. 포켈스 셀 및 메타물질층(530)의 자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6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켈스 셀 및 메타물질층의 단위 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빔이 "S" 편광이라 불리는 단일 금속선에 평행한 전기적인 성분을 가지고서 메타물질 위로 입사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위 쌍은 입사광에 의해 직접 여기되지 않는다. 그 대신, 상위 금속선은 광학 쌍극 안테나로서 작동하는 입사광과 결합된다. 근접장 상호작용에 기인하여, 상위 금속선은 하위 쌍을 간접적으로 여기하고 비대칭 플라즈몬성 모드가 발생된다. 투과율은 687 nm의 파장에서 최대 86.9 %이고 윈도우는 켜진다.
전기적인 성분을 90 도로 단일 금속선에 수직하게 회전시키기 때문에, 그것은 "p" 편극으로 정의된다. 그 결과, 외부 입사광과 직접적인 결합을 통해 하위 쌍에 대칭 모드가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 입사광의 2 %만이 메타물질을 통해 전파되고 윈도우는 꺼진다.
일반적으로, 비대칭 모드 및 대칭 모드는 동일한 주파수에 위치하지 않는다. 여기서, 수직 변이 Δ는 공명 주파수가 687 nm가 될 수 있도록 조정된다. 그런 다음 비대칭 모드가 근접장 플라즈몬성 상호작용을 통해 여기될 수 있도록 상위 금속선의 공명 주파수가 금속선의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동일한 주파수로 조정된다.
도 7은 편광들 모두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광학 변조 효과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은 차동 전송(the differential transmission)에 의해 평가된다.
Figure 112018075131707-pat00001
그것에 따라, 687 nm의 파장에서 본 메타물질 내의 변조율은 447 %이다.
도 8은 포켈스 셀의 개략도인데, 이는 위상을 조절하고 입사광의 편광을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Figure 112018075131707-pat00002
, 여기서,
Figure 112018075131707-pat00003
는 반파장 전압이다.
Figure 112018075131707-pat00004
는 재료 물성 및 사이즈 간격
Figure 112018075131707-pat00005
에 의해 결정된다.
NH4H2PO4(ADP), KH2PO4(KDP), LiNbO3, LiTaO3, 및 CdTe은 포켈스 셀들의 결정으로서 사용된다. 여기서, 포켈스 셀들의 결정은 Ti 도핑된 LiNbO3을 나타낸다. 만약
Figure 112018075131707-pat00006
인 경우, 단지 반파장 전압의 몇몇 전압만이 필요하고 변조 속도는 100 GHz 이상이다.
도 9는 편광 의존성 윈도우로서, "1" 및 "2"는 포켈스 셀 및 메타물질을 각각 나타낸다. 도 9의 (a)는 윈도우가 켜지는 것을 도시한다. 만약 입사광이 "S" 편광되고, 포켈스 셀 상의 전압이 0인 경우 외부 입사광이 메타물질을 가로지른다. 도 9의 (b)는 윈도우가 꺼지고 대부분 빛이 차단됨을 도시한다. 입사광의 편광이 "p"로 변경되고 반파장 전압이 포켈스 셀에 인가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윈도우의 색상을 변화시키기 위해 전기변색 기술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기변식 기술 외에도 광변색 유리(Photochromic Glass) 및 열변색 유리(Thermochromic Glass)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각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으로 해석되면 아니되며, 본 명세서의 내용을 숙지한 당업자에 의해 서로 조합될 수 있고, 조합될 경우 일부 구성 요소들은 생략될 수도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광원 120: 제1 윈도우
130: 제2 윈도우 140: 윈도우 조절 스위치
210: 제1 기판 220: 제2 기판
230: 제1 투명전극 240: 제2 투명전극
250: 전기변색층 260: 유기층
300: 인터랙티브 장치

Claims (2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영상을 생성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광원과,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광원으로부터 생성된 영상을 반사시키고,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편광 및 색상이 변하는 제1 윈도우와, 상기 제1 윈도우에 의해 반사된 영상을 전방 공간으로 반사시켜 홀로그램 영상으로 표시하고,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편광이 변하는 제2 윈도우와, 상기 제1 윈도우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제1 윈도우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윈도우 조절 스위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항공기 윈도우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복수의 항공기 윈도우용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상기 제1 윈도우 및 상기 제2 윈도우에 인가되는 전압을 일괄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제1 윈도우 및 상기 제2 윈도우의 편광을 변화시킴으로써, 입사광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키는 인터랙티브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광원은 상기 제1 윈도우의 경사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1 윈도우의 상단 또는 하단의 소정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윈도우와 상기 제2 윈도우 사이의 각도는, 45 도보다 더 작으며,
    상기 제1 윈도우는,
    제1 기판(410);
    상기 제1 기판(410)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기판(420);
    상기 제2 기판(420)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기판(470);
    상기 제1 기판(410) 상의 제1 투명전극(430);
    상기 제2 기판(420) 상의 제2 투명전극(440);
    상기 제1 투명전극(430)과 상기 제2 투명전극(440)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변색층(450);
    상기 제1 투명전극(430)과 상기 전기변색층(450) 사이에 배치되는 유기층(460); 및
    포켈스 셀 및 메타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420)과 상기 제3 기판(470) 사이에 형성되는 포켈스 셀 및 메타물질층(480);
    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층(460)은,
    정공주입물질 또는 전자주입물질을 포함하는 전하주입층; 및
    정공수송물질 또는 전자수송물질을 포함하는 전하수송층;
    을 포함하며,
    상기 정공주입물질은 PEDOT:PPS, PVK (poly(9-vinylcarbazole)), TFB (Poly[(9,9-dioctylfluorenyl-2,7-diyl)-co-(4,4'-(N-(4-secbutylphenyl)diphenylamine)]), α-NPD (4,4-bis[N-(1-naphthyl)-N-phenylanmino] biphenyl) 또는 TPD (N,N'-bia-(3-methylphenyl)-N,N'-bia-phenyl(1,1'-biphenyl)-4,4diami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주입물질은 PEIE (polyethylenimine ethoxylated) 또는 ZnO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정공수송물질은 2-TNATA (4,4′′′triphenylamine) 또는 m-MTDATA (4, 4',4"-tris(2-methylhenyl-phenylamino)triphenylami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수송물질은 Alq3 (tris-(8-hydroxyquinoline)aluminum), TPBi (2,2′2"-(1,3,5-Benzinetriyl)-tris(1-phenyl-1-H-benzimidazole)), BBOT (2,5-bis(5-tert-butyl-benzoxazol-2-yl)thiophene), PBD (2-(4-biphenylyl)-5-phenyl-1,3,4-oxadiazole), 또는 BMD (3-(s)-[(benzyloxycarbonyl)methyl]-1,4-dioxane-2,5-dion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윈도우는,
    제1 기판(510);
    상기 제1 기판(510)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기판(520); 및
    상기 포켈스 셀 및 메타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510)과 상기 제2 기판(520) 사이에 형성되는 포켈스 셀 및 메타물질층(480);
    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기판(470)은 편광 광선 분리기(Polarizing Beam Splitter)에 의해 코팅된 소재를 사용하며,
    상기 제1 기판(410), 제2 기판(420) 및 제3 기판(470), 상기 제1 기판(510) 및 상기 제2 기판(520)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 carbonate), 또는 PEN(polyethylene naphthal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포켈스 셀 및 메타물질층은 상기 인터랙티브 장치로부터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포켈스 셀을 통해 편광을 제어하며,
    상기 인터랙티브 장치는 상기 제1 윈도우 및 상기 제2 윈도우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제1 윈도우 및 상기 제2 윈도우의 편광이 서로 일치하거나 직교하도록 함으로써, 입사광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운용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물질은, 플라즈몬-하이브리드화 메타물질로서, 나노스케일의 금 선 또는 은 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운용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몬-하이브리드화 메타물질은, 단일 금속선, 그리고 충진재로서 감광성폴리머(PC403)를 가지는 유리(SiO2)위에서 제작되는 한 쌍의 금속선들의 수직 적층(stack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운용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금속선들은 하위 층에 있어서 수직 변위 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운용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은, 상기 제1 윈도우가 켜지거나 또는 꺼지는지 여부를 결정하되, 입사 빔의 전기적인 성분이 단일 금속선에 평행할 때, 하위 금속선 쌍이 입사광에 의해 여기되지 않는 외부 장과 단일 금속선이 결합되고, 그 결과 입사 광이 낮은 손실을 가지는 상기 메타물질을 가로지르고 상기 제1 윈도우가 "open"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운용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위층에서 상기 단일 금속선은 금속선들의 길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하위 층의 금속쌍의 공명 주파수와 동일한 공명 주파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운용 시스템.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은, 상기 제1 윈도우가 켜지거나 또는 꺼지는지 여부를 결정하되, 입사 빔의 전기적인 성분이 단일 금속선에 수직할 때, 하위 금속선 쌍은 근접장 영역에서 어떠한 플라즈몬성 결합 없이 외부 입사광에 의해 직접 여기되어, 그 결과 빛이 상쇄 간섭의 관여 없어 전파될 수 없고, 상기 제1 윈도우가 "off"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운용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금속선 쌍(대칭 모드)은 수직 변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쌍(비대칭 모드)의 공명 주파수와 동일한 공명 주파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운용 시스템.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판은 비여압된 항공기의 캐노피 또는 윈도우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운용 시스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80088528A 2018-07-30 2018-07-30 항공기 윈도우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항공기 운용 시스템 KR102139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528A KR102139310B1 (ko) 2018-07-30 2018-07-30 항공기 윈도우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항공기 운용 시스템
PCT/KR2018/008661 WO2020027346A1 (ko) 2018-07-30 2018-07-31 항공기 윈도우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항공기 운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528A KR102139310B1 (ko) 2018-07-30 2018-07-30 항공기 윈도우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항공기 운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382A KR20200013382A (ko) 2020-02-07
KR102139310B1 true KR102139310B1 (ko) 2020-07-29

Family

ID=69232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528A KR102139310B1 (ko) 2018-07-30 2018-07-30 항공기 윈도우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항공기 운용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39310B1 (ko)
WO (1) WO2020027346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2848B1 (en) * 1999-04-29 2001-07-17 Raytheon Company Head-up display
KR20110091319A (ko) * 2010-02-05 2011-08-11 이미지랩(주) 전기변색 디스플레이 윈도우
KR101179975B1 (ko) * 2010-11-11 2012-09-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편광을 이용한 광학 스위치
TW201219949A (en) * 2010-11-12 2012-05-16 J Touch Corp presenting three-dimensional image no matter the display device is rotated as horizontal or vertical
JP5862018B2 (ja) * 2011-02-21 2016-02-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素子、表示素子の制御方法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20150054211A (ko) * 2013-11-11 2015-05-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TWI722990B (zh) * 2014-06-25 2021-04-01 日商日東電工股份有限公司 改善色彩識別的裝置及其製作和使用方法
JP6526195B2 (ja) * 2014-11-21 2019-06-05 ジェンテ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電気光学アセンブ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27346A1 (ko) 2020-02-06
KR20200013382A (ko) 202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9112B1 (ko) 표시장치
US10551716B2 (en) Lens device
US11175537B2 (en) Display device
US8242679B2 (en) Display device using quantum dot
EP3002628B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US10825966B2 (en)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9239458B2 (en) Photo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20180299727A1 (en) Display devices
CN110346859B (zh) 光学谐振腔、显示面板
US20180341147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002350A (ko) 광 제어 장치, 상기 광 제어 장치의 제조방법, 및 상기 광 제어 장치를 포함한 투명표시장치
KR102356886B1 (ko) 광 제어 장치, 광 제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광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170122028A1 (en) Light control element and building material provided with same
JP2007165276A (ja) 有機発光表示装置
US10345635B2 (en) Light control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control devic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light control device
WO2019206021A1 (zh) 光子晶体、显示面板、光转换器件以及眼镜
CN104656294A (zh) 后视镜
CN107817637B (zh) 防蓝光结构、显示装置以及防蓝光调节方法
KR20190115131A (ko) 색 변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139310B1 (ko) 항공기 윈도우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항공기 운용 시스템
KR20190092655A (ko) 배선 기판,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
KR20160075420A (ko) 광학 부재, 백라이트 유닛 및 표시 장치
CN105164565A (zh) 显示装置
JP2015095293A (ja) 有機el素子、並びに、それ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JP4686984B2 (ja) 光書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