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8556B1 - 단말 장치, 단말에서 실행되는 방법 및 집적 회로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단말에서 실행되는 방법 및 집적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556B1
KR102138556B1 KR1020147003358A KR20147003358A KR102138556B1 KR 102138556 B1 KR102138556 B1 KR 102138556B1 KR 1020147003358 A KR1020147003358 A KR 1020147003358A KR 20147003358 A KR20147003358 A KR 20147003358A KR 102138556 B1 KR102138556 B1 KR 102138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cell
configuration
downlink data
configuration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3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3592A (ko
Inventor
도루 오이즈미
아키히코 니시오
Original Assignee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filed Critical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Publication of KR20150033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35Buffe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9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additional or different redunda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57Implicit acknowledgement of correct or incorrect reception, e.g. with a moving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6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the same, encoded,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2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involving configuration of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with parallel proc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04L5/0039Frequency-contiguous, i.e. with no allocation of frequencies for one user or terminal between the frequencies allocated to anoth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04L5/0041Frequency-non-contiguo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73Allocation arrangements that take into account other cell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복수의 단위 밴드 사이에서 UL-DL 컨피규레이션이 다를 경우에도, 전부의 DL HARQ 프로세스에 대해서 HARQ에 의한 부호화 게인을 얻을 수 있는 단말 장치. 이 장치에 있어서, 복호부(210)는, 복수의 단위 밴드에서 각각 송신된 하향 회선 데이터를 재송용 버퍼에 저장함과 동시에, 하향 회선 데이터를 복호하고, 무선 송신부(222)는, 복수의 단위 밴드 중, 제 1 단위 밴드에서 수신된 제 1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 및, 제 2 단위 밴드에서 수신된 제 2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제 1 단위 밴드를 이용해 송신한다. 제 2 하향 회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2 버퍼는, 제 1 단위 밴드에 설정된 제 1 구성 패턴과, 제 2 단위 밴드에 설정된 제 2 구성 패턴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특정 값에 기초하여, 재송 프로세스마다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Description

단말 장치, 단말에서 실행되는 방법 및 집적 회로{TERMINAL DEVICE, METHOD EXECUTED ON TERMINAL AND INTEGRATED CIRCUIT}
본 발명은, 단말 장치 및 버퍼 분할 방법에 관한 것이다.
3GPP LTE에서는, 하향 회선의 통신 방식으로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가 채용되고 있다. 3GPP LTE가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이 미리 정해진 통신 리소스를 이용하여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Channel : SCH) 및 통지 신호(Broadcast Channel : BCH)를 송신한다. 그리고, 단말은, 우선, SCH를 캐치(catch)함으로써 기지국과의 동기를 확보한다. 그 후, 단말은, BCH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기지국 독자적인 파라미터(예를 들면, 주파수 대역폭 등)를 취득한다(비특허 문헌 1, 2, 3 참조).
또, 단말은, 기지국 독자적 파라미터의 취득이 완료된 후, 기지국에 대해서 접속 요구를 행함으로써, 기지국과의 통신을 확립한다. 기지국은, 통신이 확립된 단말에 대해서, 필요에 따라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의 하향 회선 제어 채널을 경유하여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그리고, 단말은, 수신한 PDCCH 신호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어 정보(하향 할당 제어 정보 : DL Assignment(Downlink Control Information : DCI로 불리는 일도 있음))를 각각 「블라인드 판정」한다. 즉, 제어 정보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부분을 포함하고, 이 CRC 부분은, 기지국에 있어서, 송신 대상 단말의 단말 ID에 의해 마스크(mask)된다. 따라서, 단말은, 수신한 제어 정보의 CRC 부분을 자기(自機)의 단말 ID로 디마스크해 볼 때까지는, 자기앞 제어 정보인지 아닌지를 판정할 수 없다. 이 블라인드 판정에서는, 디마스크한 결과, CRC 연산이 OK가 되면, 그 제어 정보가 자기앞이라고 판정된다.
또, 3GPP LTE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의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해서 ARQ(Automatic Repeat Request)가 적용된다. 즉, 단말은 하향 회선 데이터의 오류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단말은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해서 CRC를 행하고, CRC=OK(오류 없음)이면 ACK(Acknowledgment)를, CRC=NG(오류 있음)이면 NACK(Negative Acknowledgment)를 응답 신호로서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이 응답 신호(즉, ACK/NACK 신호. 아래에서, 간단하게 「A/N」이라고 표기하는 일도 있음)의 피드백에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등의 상향 회선 제어 채널이 이용된다.
여기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어 정보에는, 기지국이 단말에 대해서 할당한 리소스 정보 등을 포함한 리소스 할당 정보가 포함된다. 이 제어 정보의 송신에는,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PDCCH가 이용된다. 이 PDCCH는, 1개 또는 복수의 L1/L2 CCH(L1/L2 Control Channel)로 구성된다. 각 L1/L2 CCH는, 1개 또는 복수의 CCE(Control Channel Element)로 구성된다. 즉, CCE는, 제어 정보를 PDCCH에 매핑할 때의 기본 단위이다. 또, 1개의 L1/L2 CCH가 복수(2, 4, 8개)의 CCE로 구성될 경우에는, 그 L1/L2 CCH에는 짝수 인덱스를 가지는 CCE를 기점으로 하는 연속된 복수의 CCE가 할당된다. 기지국은,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에 대한 제어 정보의 통지에 필요한 CCE수에 따라, 그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에 대해서 L1/L2 CCH를 할당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이 L1/L2 CCH의 CCE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에 매핑하여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또, 여기서, 각 CCE는, PUCCH의 구성 리소스(이하, PUCCH 리소스라고 부르는 일이 있음)와 1 대 1로 대응지어져 있다. 따라서, L1/L2 CCH를 수신한 단말은, 이 L1/L2 CCH를 구성하는 CCE에 대응하는 PUCCH의 구성 리소스를 특정하고, 이 리소스를 이용하여 응답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단, L1/L2 CCH가 연속된 복수의 CCE를 점유할 경우에는, 단말은, 복수의 CCE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PUCCH 구성 리소스 중 제일 인덱스가 작은 CCE에 대응하는 PUCCH 구성 리소스(즉, 짝수 번호의 CCE 인덱스를 가지는 CCE에 대응지어진 PUCCH 구성 리소스)를 이용하여, 응답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이렇게 해서 하향 회선의 통신 리소스가 효율좋게 사용된다.
복수의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복수의 응답 신호는, 도 1에 나타내는 것처럼, 시간축상에서 제로 오토 콜러레이션(Zero Auto-correlation) 특성을 가지는 ZAC(Zero Auto-correlation) 계열, 월쉬(Walsh) 계열, 및,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계열에 의해 확산되어, PUCCH 내에서 코드 다중되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W0, W1, W2, W3)은 계열 길이 4의 월쉬 계열을 나타내고, (F0, F1, F2)는 계열 길이 3의 DFT 계열을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것처럼, 단말에서는, ACK 또는 NACK의 응답 신호가, 우선 주파수축상에서 ZAC 계열(계열 길이 12)에 의해 1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주파수 성분으로 1차 확산된다. 즉, 계열 길이 12의 ZAC 계열에 대해서 복소수(複素數)로 표시되는 응답 신호 성분이 곱셈된다. 그 다음에 1차 확산 후의 응답 신호 및 참조 신호로서의 ZAC 계열이 월쉬 계열(계열 길이 4 : W0~W3. 월쉬 부호 계열(Walsh Code Sequence)로 불리는 일도 있음), DFT 계열(계열 길이 3 : F0~F3) 각각에 대응시켜져서 2차 확산된다. 즉, 계열 길이 12의 신호(1차 확산 후의 응답 신호, 또는, 참조 신호로서의 ZAC 계열(Reference Signal Sequence)의 각각의 성분에 대해서, 직교 부호 계열(Orthogonal sequence : 월쉬 계열 또는 DFT 계열)의 각 성분이 곱셈된다. 또, 2차 확산된 신호가,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에 의해 시간축상의 계열 길이 12의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IFFT 후의 신호 각각에 대해서 CP가 부가되어, 7개의 SC-FDMA 심볼로 되어있는 1슬롯의 신호가 형성된다.
다른 단말로부터의 응답 신호끼리는, 다른 순회 쉬프트량(Cyclic Shift Index)에 대응하는 ZAC 계열, 또는, 다른 계열 번호(Orthogonal Cover Index : OC index)에 대응하는 직교 부호 계열을 이용해서 확산되고 있다. 직교 부호 계열은, 월쉬 계열과 DFT 계열의 조합이다. 또, 직교 부호 계열은 블록 와이즈 확산 코드 계열(Block-wise spreading code)이라고 불리는 일도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종래의 역확산 및 상관 처리를 이용함으로써, 이러한 코드 다중된 복수의 응답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비특허 문헌 4 참조).
그러나, 각 단말이 각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자기(自己)앞으로의 하향 할당 제어 신호를 블라인드 판정하기 때문에, 단말측에서는, 반드시 하향 할당 제어 신호의 수신이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단말이 어느 하향 단위 밴드에 있어서의 자기앞 하향 할당 제어 신호의 수신에 실패했을 경우, 단말은, 해당 하향 단위 밴드에 있어서 자기앞 하향 회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아닌지 조차도 알 수 없다. 따라서, 어느 하향 단위 밴드에 있어서의 하향 할당 제어 신호의 수신에 실패했을 경우, 단말은, 해당 하향 단위 밴드에 있어서의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도 생성하지 않는다. 이 에러(error) 케이스는, 단말측에서 응답 신호의 송신이 행해지지 않는다는 의미에서의, 응답 신호 DTX(DTX(Discontinuous transmission) of ACK/NACK signals)로서 정의되어 있다.
그런데, 3GPP LTE 시스템(이하, 「LTE 시스템」이라고 불리는 일이 있음)에서는, 기지국은 상향 회선 데이터 및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해서 각각 독립적으로 리소스 할당을 행한다. 그 때문에, LTE 시스템에서는, 상향 회선에 있어서, 단말(즉, LTE 시스템 대응의 단말(이하, 「LTE 단말」이라고 함))이,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와, 상향 회선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 상황에서는, 단말로부터의 응답 신호 및 상향 회선 데이터는, 시간 다중(Time Division Multiplexing : TDM)을 이용해서 송신된다. 이와 같이, TDM을 이용해 응답 신호와 상향 회선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함으로써, 단말의 송신 파형의 싱글 캐리어 특성(Single carrier properties)을 유지하고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시간 다중(TDM)에서는,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신호(「A/N」)는, 상향 회선 데이터용으로 할당된 리소스(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리소스)의 일부(참조 신호(RS(Reference Signal))가 매핑되는 SC-FDMA 심볼에 인접하는 SC-FDMA 심볼의 일부)를 점유하여 기지국에 송신된다. 단, 도 2에 있어서의 세로축의 「Subcarrier」는 「Virtual subcarrier」, 또는 「Time contiguous signal」이라고 불리는 일도 있고, SC-FDMA 송신기에 있어서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회로에 모아서 입력되는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신호」를 편의상 「subcarrier」로서 나타낸 것이다. 즉, PUSCH 리소스에서는, 응답 신호에 의해, 상향 회선 데이터 중의 임의의 데이터가 펑쳐(puncture)된다. 이 때문에, 부호화 후의 상향 회선 데이터의 임의의 비트가 펑쳐되는 것에 의해, 상향 회선 데이터의 품질(예를 들면, 부호화 이득)이 큰 폭으로 열화한다. 그 때문에, 기지국은, 예를 들면, 단말에 대해서 대단히 낮은 부호화율을 지시하기도 하고, 대단히 큰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도 함으로써, 펑쳐로 인한 상향 회선 데이터의 품질 열화를 보상한다.
또, 3GPP LTE보다 더욱 통신의 고속화를 실현하는 3GPP LTE-Advanced(어드밴스드)의 표준화가 행해지고 있다. 3GPP LTE-Advanced 시스템(이하, 「LTE-A 시스템」이라고 불리는 일이 있음)은, LTE 시스템을 답습한다. 3GPP LTE-Advanced에서는, 최대 1Gbps 이상의 하향 전송 속도를 실현하기 위해서, 40㎒ 이상의 광대역 주파수에서 통신할 수 있는 기지국 및 단말이 도입된다.
LTE-A 시스템에 있어서는,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전송 속도의 몇 배나 되는 초고속 전송 속도에 의한 통신, 및, LTE 시스템에 대한 후방 호환성(백워드 호환성 : Backward Compatibility)을 동시에 실현하기 위해서, LTE-A 시스템용 대역이, LTE 시스템의 서포트 대역폭인 20㎒ 이하의 「단위 밴드」로 나누어진다. 즉, 「단위 밴드」는, 여기서는, 최대 20㎒의 폭을 가지는 대역이며, 통신 대역의 기본 단위로서 정의된다.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는, 또, 하향 회선에 있어서의 「단위 밴드」(이하, 「하향 단위 밴드」라고 함)는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BCH 내의 하향 주파수 대역 정보에 의해 구분된 대역, 또는, 하향 제어 채널(PDCCH)이 주파수 영역에 분산 배치되는 경우의 분산폭에 의해 정의되는 대역으로서 정의되는 일도 있다. 또, 상향 회선에 있어서의 「단위 밴드」(이하, 「상향 단위 밴드」라고 함)는,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BCH 내의 상향 주파수 대역 정보에 의해 구분된 대역, 또는, 중심 부근에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영역을 포함하고, 양단부에 LTE용 PUCCH를 포함하는 20㎒ 이하의 통신 대역의 기본 단위로서 정의되는 일도 있다. 또, 「단위 밴드」는, 3GPP LTE-Advanced에 있어서, 영어로 Component Carrier(s) 또는 Cell로 표기되는 일이 있다. 또, 약칭으로서 CC(s)라고 표기되는 일도 있다.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는, 하향 단위 밴드와 상향 단위 밴드가 동일 주파수 대역이고, 시분할(時分割)로 하향 회선과 상향 회선을 전환함으로써, 하향 통신과 상향 통신을 실현한다. 그 때문에 TDD 시스템의 경우, 하향 단위 밴드는, 「단위 밴드에 있어서의 하향 통신 타이밍」이라고도 표현할 수 있다. 상향 단위 밴드는, 「단위 밴드에 있어서의 상향 통신 타이밍」이라고도 표현할 수 있다. 하향 단위 밴드와 상향 단위 밴드의 전환은,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UL-DL 컨피규레이션(Configuration)에 기초한다. 도 3에 나타내는 UL-DL 컨피규레이션에서는, 1프레임(10msec)당의 하향 통신(DL : Downlink)과 상향 통신(UL : Uplink)의 서브프레임 단위(즉, 1msec 단위)의 타이밍이 설정된다. UL-DL 컨피규레이션은, 하향 통신과 상향 통신의 서브프레임 비율을 변경함으로써, 하향 통신에 대한 스루풋(Throughput) 및 상향 통신에 대한 스루풋의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은, 하향 통신과 상향 통신의 서브프레임 비율이 다른 UL-DL 컨피규레이션(Config 0~6)을 나타낸다. 또, 도 3에 있어서, 하향 통신 서브프레임을 「D」라고 표시하고, 상향 통신 서브프레임을 「U」라고 표시하고, 스페셜 서브프레임을 「S」라고 표시한다. 여기서, 스페셜 서브프레임은, 하향 통신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상향 통신 서브프레임으로 전환할 때의 서브프레임이다. 또, 스페셜 서브프레임에서는, 하향 통신 서브프레임과 마찬가지로, 하향 데이터 통신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각 UL-DL 컨피규레이션에서는, 2프레임분의 서브프레임(20서브프레임)을, 하향 통신에 이용되는 서브프레임(상단의 「D」 및 「S」)과 상향 통신에 이용되는 서브프레임(하단의 「U」)으로 나누어 2단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하향 데이터에 대한 오류 검출 결과(ACK/NACK)는, 해당 하향 데이터가 할당된 서브프레임의 4서브프레임 이상 후의 상향 통신 서브프레임으로 통지된다.
LTE-A 시스템에서는, 단위 밴드를 몇 개인가 묶은 대역을 이용한 통신, 소위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CA)이 서포트된다. 또한, UL-DL 컨피규레이션은, 단위 밴드별로 설정할 수 있지만, LTE-A 시스템 대응 단말(이하, 「LTE-A 단말」)은, 복수의 단위 밴드 사이에서 동일한 UL-DL 컨피규레이션이 설정되는 것을 상정해서 설계되고 있다.
도 4는, 개별 단말에 적용되는 비대칭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및 그 제어 시퀀스(sequence)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4(b)에 나타내는 것처럼, 단말 1에 대해서는, 2개의 하향 단위 밴드와 좌측의 1개의 상향 단위 밴드를 이용해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을 행하는 등의 설정(Configuration)이 되는 한편, 단말 2에 대해서는, 단말 1과 동일한 2개의 하향 단위 밴드를 이용하는 등의 설정이 됨에도 불구하고, 상향 통신에서는 우측의 상향 단위 밴드를 이용하는 등의 설정이 된다.
그리고, 단말 1에 착목하면, LTE-A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지국(즉, LTE-A 시스템 대응 기지국(이하, 「LTE-A」 기지국 이라고 함)과 LTE-A 단말간에서는, 도 4(a)에 나타내는 순서도에 따라, 신호의 송수신이 행해진다. 도 4(a)에 나타내는 것처럼, (1) 단말 1은, 기지국과의 통신 개시시에, 좌측의 하향 단위 밴드와 동기를 취하고, 좌측 하향 단위 밴드와 페어(pair)가 되어 있는 상향 단위 밴드의 정보를 SIB1(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1)이라고 불리는 통지 신호로부터 판독한다. (2) 단말 1은, 이 상향 단위 밴드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접속 요구를 기지국에 송신함으로써 기지국과의 통신을 개시한다. (3) 단말에 대해서 복수의 하향 단위 밴드를 할당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기지국은, 단말에 하향 단위 밴드의 추가를 지시한다. 단, 이 경우, 상향 단위 밴드수는 증가하지 않고, 개별 단말인 단말 1에 있어서 비대칭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이 개시된다.
또, 앞에서 설명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이 적용되는 LTE-A에서는, 단말이 한 번에 복수의 하향 단위 밴드에 있어서 복수의 하향 회선 데이터를 수신하는 일이 있다. LTE-A에서는, 이 복수의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복수의 응답 신호의 송신 방법으로서 채널 셀렉션(Channel selection)(Multiplexing이라고도 부름), 번들링(Bundling), 및,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 sprea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포맷이 있다. 채널 셀렉션(Channel selection)에서는, 단말은, 복수의 하향 회선 데이터에 관한 오류 검출 결과의 패턴에 따라, 응답 신호에 이용하는 심볼점뿐만이 아니라, 응답 신호를 매핑하는 리소스도 변화시킨다. 이것에 비해서, 번들링(Bundling)에서는, 단말은, 복수의 하향 회선 데이터에 관한 오류 검출 결과로부터 생성된 ACK 또는 NACK 신호를 번들링(Bundling)하여(즉, ACK=1, NACK=0으로 하여, 복수의 하향 회선 데이터에 관한 오류 검출 결과의 논리적(積)(Logical AND)을 계산하여), 미리 결정된 1개의 리소스를 이용해서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또, DFT-S-OFDM 포맷을 이용한 송신시에는, 단말은 복수의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를 모아서 부호화(Joint coding)하고, 해당 포맷을 이용해 그 부호화 데이터를 송신한다(비특허 문헌 5 참조). 예를 들면, 단말은, 오류 검출 결과의 패턴의 비트수에 따라, 채널 셀렉션(Channel selection), 번들링(Bundling), 또는, DFT-S-OFDM의 어느 것인가에 의한 응답 신호(ACK/NACK)의 피드백을 행해도 좋다. 또는, 기지국이 상기 응답 신호의 송신 방법을 미리 설정해도 좋다.
채널 셀렉션(Channel selection)은, 도 5에 나타내는 것처럼, 복수의 하향 단위 밴드(최대 2개의 하향 단위 밴드)에서 수신한, 하향 회선 단위 밴드마다의 복수의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오류 검출 결과가 각각 ACK인지 NACK인지에 기초하여, 응답 신호의 위상점(즉, Constellation point)뿐만이 아니라, 응답 신호의 송신에 이용하는 리소스(이하, 「PUCCH 리소스」라고 표기하는 일도 있음)도 변화시키는 수법이다. 이것에 비해서, 번들링(Bundling)은, 복수의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를 1개로 묶어서, 미리 결정된 1개의 리소스로부터 송신하는 수법이다(비특허 문헌 6, 7 참조). 이하, 복수의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를 1개로 묶은 신호를 묶음(束) ACK/NACK 신호라고 부르는 일이 있다.
여기서, 단말이 PDCCH를 경유하여 하향 할당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하향 회선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있어서의 상향 회선에서의 응답 신호의 송신 방법으로서 이하의 2개의 방법이 생각된다.
1개는, PDCCH가 점유하고 있는 CCE(Control Channel Element)와 1 대 1로 관련지어진 PUCCH 리소스를 이용해서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Implicit signalling)이다(방법 1). 즉, 기지국 배하(配下)의 단말을 향한 DCI를 PDCCH 영역에 배치하는 경우, 각 PDCCH는, 1개 또는 연속하는 복수의 CCE로 구성되는 리소스를 점유한다. 또, PDCCH가 점유하는 CCE수(CCE 연결수 : CCE aggregation level)로서는, 예를 들면,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비트수 또는 단말의 전파로(傳播路) 상태에 따라, 1, 2, 4, 8 중의 1개가 선택된다.
또 1개는, 기지국으로부터 PUCCH용 리소스를 단말에 대해서 미리 통지해 두는 방법(Explicit signalling)이다(방법 2). 즉, 방법 2에서는,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미리 통지된 PUCCH 리소스를 이용해서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것처럼, 단말은, 2개의 단위 밴드 중, 1개의 단위 밴드를 이용해서,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이러한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단위 밴드는, PCC(Primary Component Carrier) 또는 PCell(Primary Cell)이라고 불린다. 또, 그 이외의 단위 밴드는, SCC(Secondary Component Carrier) 또는 SCell(Secondary Cell)이라고 불린다. 예를 들면, PCC(PCell)는,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단위 밴드에 관한 통지 정보(예를 들면, SIB1(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1))를 송신하고 있는 단위 밴드이다.
또한, 방법 2에서는, 복수의 단말간에서 공통된 PUCCH용 리소스(예를 들면 4개의 PUCCH용 리소스)를,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대해서 미리 통지해도 좋다. 예를 들면, 단말은, SCell 내의 DCI에 포함되는 2비트의 TPC(Transmit Power Control) 커맨드(command)(송신 전력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실제로 이용할 PUCCH용 리소스를 1개 선택하는 방법을 취해도 좋다. 그 때, 해당 TPC 커맨드는, ARI(Ack/nack Resource Indicator)라고도 불린다. 이것에 의해, 익스플리시트 시그널링(Explicit signaling)시에, 어느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어느 단말이 익스플리시트 시그널링(explicit signaling)된 PUCCH용 리소스를 사용하고, 다른 서브프레임에서는, 다른 단말이, 동일한 익스플리시트 시그널링(explicit signaling)된 PUCCH용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채널 셀렉션(Channel selection)에서는, PCC(PCell) 내의 PDSCH를 지시하는 PDCCH가 점유하고 있는, CCE의 선두 CCE 인덱스에 1 대 1로 관련지어져서, 상향 단위 밴드 내의 PUCCH 리소스(도 5에서는 PUCCH 영역 1 내의 PUCCH 리소스)가 할당된다(Implicit signalling).
여기서, 상기한 비대칭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이 단말에 적용될 경우의 채널 셀렉션(Channel Selection)에 의한 ARQ 제어에 대해서, 도 5, 도 6을 원용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5에서는, 단말 1에 대해서, 단위 밴드 1(PCell), 단위 밴드 2(SCell)로 되어있는 단위 밴드 그룹(영어로 「Component carrier set」라고 표기되는 일이 있음)이 설정된다. 이 경우에는, 단위 밴드 1, 2의 각각의 PDCCH를 경유하여 하향 리소스 할당 정보가 기지국으로부터 단말 1로 송신된 후에, 그 하향 리소스 할당 정보에 대응하는 리소스에서 하향 회선 데이터가 송신된다.
또, 채널 셀렉션(Channel selection)에서는, 단위 밴드 1(PCell)에 있어서의 복수의 하향 데이터에 대한 오류 검출 결과와, 단위 밴드 2(SCell)에 있어서의 복수의 하향 데이터에 대한 오류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응답 신호가, PUCCH 영역 1 내 또는 PUCCH 영역 2 내에 포함되는 PUCCH 리소스에 매핑된다. 또, 단말은, 그 응답 신호로서 2종류의 위상점(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매핑) 또는 4종류의 위상점(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매핑)의 어느 것인가를 이용한다. 즉, 채널 셀렉션(Channel selection)에서는, PUCCH 리소스와 위상점의 조합에 의해, 단위 밴드 1(PCell)에 있어서의 복수의 하향 데이터에 대한 오류 검출 결과, 및, 단위 밴드 2(SCell)에 있어서의 복수의 하향 데이터에 대한 오류 검출 결과의 패턴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TDD 시스템에 있어서, 단위 밴드가 2개인 경우(PCell이 1개, SCell이 1개인 경우)의 오류 검출 결과 패턴의 매핑 방법을 도 6(a)에 나타낸다.
또한, 도 6(a)는, 송신 모드가 이하의 (a), (b), (c)의 어느 것인가로 설정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a) 각 단위 밴드가, 하향 1CW(코드워드 : codeword) 송신만을 서포트하는 송신 모드
(b) 한쪽 단위 밴드가, 하향 1CW 송신만을 서포트하는 송신 모드이고, 다른 쪽 단위 밴드가, 하향 2CW 송신까지를 서포트하는 송신 모드
(c) 각 단위 밴드가, 하향 2CW 송신까지를 서포트하는 송신 모드
더욱이, 도 6(a)는, 단위 밴드당, 몇 개분의 하향 통신 서브프레임(이후, 「DL(DownLink) 서브프레임」이라고 기재함. 도 3에 나타내는 「D」 또는 「S」)의 오류 검출 결과를, 1개의 상향 통신 서브프레임(이후, 「UL(UpLink) 서브프레임」이라고 기재함. 도 3에 나타내는 「U」)으로 기지국에 통지할 필요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 M이, 이하의 (1)~(4)의 어느 것인가로 설정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Config 2에서는, 4개의 DL 서브프레임의 오류 검출 결과가 1개의 UL 서브프레임으로 기지국에 통지되므로, M=4가 된다.
(1) M=1
(2) M=2
(3) M=3
(4) M=4
즉, 도 6(a)는, 상기 (a)~(c) 및 상기 (1)~(4)의 각각을 조합시킨 경우의 오류 검출 결과의 패턴의 매핑 방법을 나타낸다. 또한, M의 값은,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UL-DL 컨피규레이션(Config 0~6), 및, 1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 번호(SF#0~SF#9)에 따라서 다르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Config 5에서는, 서브프레임(SF)#2에 있어서 M=9가 된다. 그러나, 이 경우, LTE-A의 TDD 시스템에서는, 단말은, 채널 셀렉션(Channel selection)을 적용하지 않고, 예를 들면 DFT-S-OFDM 포맷을 이용해서 오류 검출 결과를 통지한다. 이 때문에, 도 6(a)에서는, Config 5(M=9)를, 상기 조합에 넣지 않았다.
(1)의 경우, 오류 검출 결과의 패턴수는, (a), (b), (c)의 순으로, 22×1=4패턴, 23×1=8패턴, 24×1=16패턴 존재한다. (2)의 경우, 오류 검출 결과의 패턴수는, (a), (b), (c)의 순으로, 22×2=8패턴, 23×2=16패턴, 24×2=32패턴 존재한다. (3), (4)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1개의 PUCCH 리소스에 있어서 매핑하는 각 위상점간의 위상차(位相差)가 적어도 90도인 경우(즉, 1개의 PUCCH 리소스당 최대 4패턴을 매핑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오류 검출 결과의 모든 패턴을 매핑하기 위해서 필요한 PUCCH 리소스 수는, 오류 검출 결과의 패턴수가 최대인 (4)이면서 (c)인 경우(24×4=64패턴)에, 24×4÷4=16개 필요하게 되어 버려, 현실적은 아니다. 그래서, TDD 시스템에서는, 오류 검출 결과를, 공간 영역, 더 필요하면, 시간 영역에서 묶음(번들링 : Bundling)으로써, 오류 검출 결과의 정보량을 의도적으로 결락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오류 검출 결과 패턴의 통지에 필요한 PUCCH 리소스 수를 제한하고 있다.
LTE-A의 TDD 시스템에서는, (1)의 경우, 단말은, 오류 검출 결과를 번들링하지않고, (a), (b), (c)의 차례로, 4패턴, 8패턴, 16패턴의 오류 검출 결과 패턴을, 각각 2개, 3개, 4개의 PUCCH 리소스에 매핑한다(도 6(a)의 Step3). 즉, 단말은, 하향 회선에서 1CW 송신만을 서포트하는 송신 모드(non-MIMO)가 설정된 단위 밴드당, 1비트의 오류 검출 결과를 통지하고, 하향 회선에서 2CW 송신까지를 서포트하는 송신 모드(MIMO)가 설정된 단위 밴드당, 2비트의 오류 검출 결과를 통지한다.
LTE-A의 TDD 시스템에서는, (2)이면서 (a)인 경우도, 단말은, 오류 검출 결과를 번들링하지 않고, 8패턴의 오류 검출 결과 패턴을, 4개의 PUCCH 리소스에 매핑한다(도 6(a)의 Step3). 그 때, 단말은, 1개의 하향 단위 밴드당, 2비트의 오류 검출 결과를 통지한다.
LTE-A의 TDD 시스템에서는, (2)이면서 (b)((2)이면서 (c)도 동일)인 경우, 단말은, 하향 회선에서 2CW 송신까지를 서포트하는 송신 모드가 설정된 단위 밴드의 오류 검출 결과를 공간 영역에서 번들링(공간 번들링 : Spatial bundling)(도 6(a)의 Step1)한다. 공간 번들링에서는, 예를 들면, 2CW의 오류 검출 결과 중, 적어도 한쪽 CW에 대한 오류 검출 결과가 NACK인 경우, 공간 번들링 후의 오류 검출 결과를 NACK라고 판정한다. 즉, 공간 번들링에서는, 2CW의 오류 검출 결과에 대해서 논리 AND(Logical And)를 취한다. 그리고, 단말은, 공간 번들링 후의 오류 검출 결과 패턴((2)이면서 (b)인 경우는 8패턴, (2)이면서 (c)인 경우는 16패턴)을, 4개의 PUCCH 리소스에 매핑한다(도 6(a)의 Step3). 그 때, 단말은, 1개의 하향 단위 밴드당, 2비트의 오류 검출 결과를 통지한다.
LTE-A의 TDD 시스템에서는, (3) 또는 (4)이면서, (a), (b) 또는 (c)인 경우, 단말은, 공간 번들링(도 6(a)의 Step1) 후에, 시간 영역에서 번들링(시간 영역 번들링 : Time-domain bundling)한다(도 6(a)의 Step2). 그리고, 단말은, 시간 영역 번들링 후의 오류 검출 결과 패턴을, 4개의 PUCCH 리소스에 매핑한다(도 6(a)의 Step3). 그 때, 단말은, 1개의 하향 단위 밴드당, 2비트의 오류 검출 결과를 통지한다.
다음에, 도 6(b)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매핑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b)는, 하향 단위 밴드가 2개(PCell이 1개, SCell이 1개)인 경우, 그러면서 또, 「(c) 각 단위 밴드가, 하향 2CW 송신까지를 서포트하는 송신 모드」가 설정되고, 그러면서 또, 「(4) M=4」인 경우의 예이다.
도 6(b)에서는, PCell의 오류 검출 결과가, 4개의 DL 서브프레임(SF1~4)에서, (CW0, CW1)의 순으로, (ACK(A), ACK), (ACK, ACK), (NACK(N), NACK), (ACK, ACK)이 된다. 도 6(b)에 나타내는 PCell에서는, M=4이므로, 단말은, 도 6(a)의 Step1에서, 이들을 공간 번들링한다(도 6(b)의 실선으로 둘러싼 부분). 공간 번들링의 결과, 도 6(b)에 나타내는 PCell의 4개의 DL 서브프레임에서는, 차례로 ACK, ACK, NACK, ACK가 얻어진다. 또, 단말은, 도 6(a)의 Step2에서, Step1에서 얻어진 공간 번들링 후의 4비트의 오류 검출 결과 패턴(ACK, ACK, NACK, ACK)에 대해서, 시간 영역 번들링한다(도 6(b)의 점선으로 둘러싼 부분). 이렇게 함으로써, 도 6(b)에 나타내는 PCell에서는, (NACK, ACK)의 2비트의 오류 검출 결과가 얻어진다.
단말은, 도 6(b)에 나타내는 SCell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공간 번들링 및 시간 영역 번들링을 행함으로써, (NACK, NACK)의 2비트의 오류 검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도 6(a)의 Step3에서, PCell 및 SCell의 시간 영역 번들링 후의 각 2비트의 오류 검출 결과 패턴을 PCell, SCell의 순으로 조합시켜서, 4비트의 오류 검출 결과 패턴(NACK, ACK, NACK, NACK)으로 정리한다. 단말은, 이 4비트의 오류 검출 결과 패턴을, 도 6(a)의 Step3에 나타내는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PUCCH 리소스(이 경우, h1)와 위상점(이 경우, -j)을 결정한다.
그런데, LTE 시스템 및 LTE-A 시스템에서는, 하향 회선 데이터의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이하, 「DL HARQ」라고 부름)를 서포트한다. DL HARQ에 있어서, LTE 단말 및 LTE-A 단말은, 오류가 검출된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LLR(Log Likelihood Ratio)(또는 소프트 비트(Soft bit)라고 불리는 일도 있음)을 소프트 버퍼에 저장한다. 소프트 버퍼에 저장된 LLR은, 재송(再送)되는 하향 회선 데이터(재송 데이터)에 대한 LLR과 합성된다. 소프트 버퍼(버퍼 용량 : Nsoft)는, 도 7(a) 및 다음 수학식 (1)에 나타내는 것처럼, 단말이 서포트하는 하향 단위 밴드수(KC)와, 단말이 서포트하는 다중 레이어수(KMIMO)와, 단말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Configuration)이 규정하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MDL_HARQ)에 기초하여 등분할되어, 1트랜스포트 블록(Transport Block(또는 TB))당의 IR(Incremental Redundancy) 버퍼 사이즈(NIR)가 산출된다. 또한,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는, 각 UL-DL 컨피규레이션(Config#0~#6)에 있어서의, DL HARQ에서의 하향 회선 데이터의 송신으로부터 해당 하향 회선 데이터의 재송까지의 재송 간격(RTT(Round Trip Time)로 불리는 일도 있음)의 최대값에 기초하여 설정된 재송 프로세스수(DL HARQ 프로세스수)를 나타낸다(도 7(b) 참조).
Figure 112014012518556-pct00001
단말은, 오류가 검출된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LLR을,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는 1TB당의 IR 버퍼 사이즈의 범위로, 각 DL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IR 버퍼에 저장한다. 여기서, 수학식 (1)에 나타내는 Mlimit는, 소프트 버퍼에 저장되는 DL HARQ 프로세스수의 허용값이고, 예를 들면 Mlimit의 값은 8이다. 또, 소프트 버퍼의 총용량(소프트 버퍼 용량)을 억제하기 위해, 1TB당의 IR 버퍼는, 반드시, 1TB당의 전부의 시스테마틱 비트(LLR) 및 전부의 패리티 비트(LLR)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 때문에, 한정된 소프트 버퍼 용량 중에서, 1TB당의 IR 버퍼 사이즈를 가능한 한 크게 하는 것이, IR 버퍼에 저장할 수 있는 LLR의 총량을 늘리는 것으로 이어지고, 결과적으로, HARQ 재송 성능의 향상으로 이어진다.
또, LTE-A 단말은, 전술한 것처럼, 복수의 단위 밴드 사이에서 동일한 UL-DL 컨피규레이션이 설정되는 것을 상정하여 설계되어 있다. 이것은, 종래, 1개의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2㎓ 대역)에 있어서의 복수의 단위 밴드간(예를 들면 2㎓ 대역 내에 있어서의, 20㎒ 대역폭의 어떤 단위 밴드와, 20㎒ 대역폭의 다른 단위 밴드)의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소위 Intra-band Carrier Aggregation)이 상정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즉, 동일 주파수 대역 내의 다른 단위 밴드간에서 상향 통신과 하향 통신을 동시에 행하면, 하향 통신 중인 단말은, 상향 통신을 행하는 단말로부터 큰 간섭을 받기 때문이다.
한편, 복수의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2㎓ 대역과 800㎒ 대역)의 단위 밴드간(예를 들면 2㎓ 대역 내의 20㎒ 대역폭의 단위 밴드와, 800㎒ 대역 내의 20㎒ 대역폭의 단위 밴드)의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소위 Inter-band Carrier Aggregation)에서는, 양쪽 단위 밴드간의 주파수 간격이 크다. 그 때문에, 어느 주파수 대역의 단위 밴드(예를 들면 2㎓ 대역 내의 20㎒ 대역폭 단위 밴드)에서 하향 통신 중인 단말에서는, 다른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80㎒ 대역 내의 20㎒ 대역폭 단위 밴드)에서 상향 통신 중인 단말로부터 받는 간섭은 작아진다.
그런데, LTE-A의 TDD 시스템을 제공하는 통신 캐리어가, 주파수 대역을 새로이 LTE-A 시스템 서비스에 할당할 때, 해당 통신 캐리어가 어느 서비스를 중시하는지에 따라, 새로이 할당한 주파수 대역의 UL-DL 컨피규레이션을, 기존 주파수 대역의 UL-DL 컨피규레이션과 다르게 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향 통신 스루풋을 중시하는 통신 캐리어에서는,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 UL 서브프레임에 대한 DL 서브프레임의 비율이 큰 UL-DL 컨피규레이션(예를 들면 도 3에서는, Config#3, #4 또는 #5 등)이 이용된다. 이것에 의해, 보다 유연한 시스템 구축이 행해진다.
또, LTE-A에서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시(時)에 낮은 PAPR(Peak to Average Power Ratio)를 실현하기 위해서, 단말은, 각 단위 밴드(PCell 및 SCell)의 각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오류 검출 결과인 응답 신호(HARQ-ACK)를, 항상 단일 단위 밴드(예를 들면 PCell)만을 이용해서 송신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단위 밴드 사이에서 다른 UL-DL 컨피규레이션이 설정될 경우, PCell이 DL 서브프레임이 되고, SCell이 UL 서브프레임이 되는 타이밍이 존재한다. 해당 타이밍에서는, 단말은, SCell의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를, PCell의 PUCCH를 이용해서 송신할 수 없다. 그래서, LTE-A에서는, S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이 규정하는, PDSCH(하향 회선 데이터 수신)과 PUCCH(응답 신호 송신) 사이의 송수신 타이밍(PDSCH-PUCCH 타이밍) 대신에, 다른 UL-DL 컨피규레이션(참조 UL-DL Configuration)이 규정하는 PDSCH-PUCCH 타이밍을 이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여기서, 도 3에 나타내는 UL-DL 컨피규레이션 사이에는, 도 8에 나타내는 것처럼, DL 서브프레임에 대한 포함 관계가 있다. 우선, 일례로서 Config#0과 Config#1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 1프레임을 구성하는 DL 서브프레임(스페셜 서브프레임을 포함함)은, Config#0에서는 SF#0, #1, #5 및 #6이고, Config#1에서는 SF#0, #1, #4, #5, #6 및 #9이다. 즉, Config#1의 1프레임을 구성하는 DL 서브프레임 세트는, Config#0의 1프레임을 구성하는 DL 서브프레임 세트를 포함한다. 즉, Config#1의 DL 서브프레임 세트가, Config#0의 DL 서브프레임의 슈퍼셋(Superset)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또는, Config#0의 DL 서브프레임 세트가, Config#1의 DL 서브프레임의 서브셋(Subset)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예를 들면, Config#1에 있어서, 적어도, Config#0의 DL 서브프레임과 동일 타이밍으로 DL 서브프레임이 설정되어 있는 등의 UL-DL 컨피규레이션의 조합에 있어서, Config#1은, Config#0보다 「DL 헤비(heavy)」라고 나타내는 일도 있다. 또, Config#0의 UL 서브프레임 세트는, Config#1의 UL 서브프레임 세트를 포함한다(UL 서브프레임의 슈퍼셋이다)고도 말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예를 들면, Config#0에 있어서, 적어도, Config#1의 UL 서브프레임과 동일 타이밍으로 UL 서브프레임이 설정되어 있는 등의 UL-DL 컨피규레이션의 조합에 있어서, Config#0은, Config#1보다 「UL 헤비(heavy)」라고 나타내는 일도 있다.
이어서, Config#1과 Config#3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 1프레임을 구성하는 DL 서브프레임(스페셜 서브프레임을 포함함)은, Config#3에서는 SF#0, #1 및 #5~#9이다. 즉, Config#1 및 Config#3의 DL 서브프레임 세트는, 서로 포함 관계가 없다. 즉, Config#1의 DL 서브프레임 세트는, Config#3의 DL 서브프레임의 슈퍼셋도 세브셋도 아니다라고도 말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예를 들면, Config#1과 Config#3에, 적어도, 서로 다른 타이밍으로 설정된 DL 서브프레임 및 UL 서브프레임이 각각 포함되는 등의 UL-DL 컨피규레이션의 조합에 있어서, Config#1은, Config#3에 대해서 「DL 헤비도 UL 헤비도 아니다」라고 나타내는 일도 있다. 그 외의 UL-DL 컨피규레이션 사이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은 DL 서브프레임에 대한 포함 관계가 존재한다(도 8 참조).
도 9는, 1프레임을 구성하는 PCell의 DL 서브프레임 세트가, SCell의 DL 서브프레임 세트를 포함하는 경우(즉, PCell의 DL 서브프레임 세트가 SCell의 DL 서브프레임의 슈퍼셋인 경우, 또는, PCell의 UL-DL 컨피규레이션이 SCell의 UL-DL 컨피규레이션보다 DL 헤비인 경우)의 PDSCH-PUCCH 타이밍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9(a) 및 도 9(b)에서는, PCell에 대해서 Config#1이 설정되고, SCell에 대해서 Config#0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PCell의 UL-DL 컨피규레이션이 SCell의 UL-DL 컨피규레이션보다 DL 헤비인 경우를, 간단하게, 「PCell이 DL 헤비이다」라고 나타내는 일도 있다.
도 9(a)는, SCell에 있어서, SCell에 설정된 Config#0이 규정하는 PDSCH-PUCCH 타이밍을 참조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SCell에 설정된 Config#0에서는 PDSCH(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응하는 PUCCH(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UL 서브프레임임에도 불구하고, PCell에 설정된 Config#1에서는 DL 서브프레임이 되는 타이밍이 존재한다(도 9(a)에서는, 서브프레임#4, #9). 이 타이밍으로는, SCell의 PDSCH에 대한, PCell에서의 PUCCH 송신을 행할 수 없다. 따라서, 이 타이밍에 대응하는 SCell의 DL 서브프레임(도 9(a)에서는, 서브프레임#0, #5)도, PDSCH 통지에 이용할 수 없다.
한편, 도 9(b)는, SCell에 있어서, PCell에 설정된 Config#1이 규정하는 PDSCH-PUCCH 타이밍을 참조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SCell의 PDSCH(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PUCCH(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에 있어서, PCell이 DL 서브프레임이 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SCell의 PDSCH에 대한, PCell에서의 PUCCH 송신은 반드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SCell의 어느 DL 서브프레임도 PDSCH 통지에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9(b)에서는, PCell에 있어서, SCell의 PDSCH에 대한 PCell에서의 PUCCH 송신을 행하지 못하는 타이밍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SCell에 있어서 전부의 DL 서브프레임을 활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0은, 1프레임을 구성하는 PCell의 DL 서브프레임 세트가, SCell의 DL 서브프레임 세트를 포함하지 않고, 그러면서 또, SCell의 DL 서브프레임 세트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즉, PCell의 DL 서브프레임 세트가, SCell의 DL 서브프레임의 슈퍼셋도 서브셋도 아닌 경우, 또는, PCell이 DL 헤비도 UL 헤비도 아닌 경우)의 PDSCH-PUCCH 타이밍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a) 및 도 10(b)에서는, PCell에 대해서 Config#1이 설정되고, SCell에 대해서 Config#3이 설정되어 있다.
도 10(a)는, SCell에 있어서, PCell에 설정된 Config#1이 규정하는 PDSCH-PUCCH 타이밍을 참조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도 9(b)와 마찬가지로, SCell의 PDSCH에 대한 PUCCH를 송신하는 타이밍에 있어서 PCell이 DL 서브프레임이 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도 10(a)에서는, SCell의 PDSCH에 대한 PUCCH를 PCell에서 송신할 수 없는 것에 기인하여 이용할 수 없게 되는, SCell의 DL 서브프레임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PCell에 설정된 Config#1에 있어서 PDSCH-PUCCH 타이밍이 규정되지 않기 때문에, SCell의 DL 서브프레임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도 10(a)에 나타내는 서브프레임#7, #8에서는, SCell이 DL 서브프레임인데 비해, PCell은 UL 서브프레임이다. 따라서, PCell에 설정된 Config#1에서는, 서브프레임#7, #8을 DL 서브프레임으로 하는 PDSCH-PUCCH 타이밍은 원래 규정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서브프레임#7, #8에서는, SCell의 DL 서브프레임을 PDSCH 통지에 이용할 수 없다.
이것에 비해서, 도 10(b)는, SCell에 있어서, PCell에 설정된 Config#1 및 SCell에 설정된 Config#3의 양쪽 DL 서브프레임의 슈퍼셋인 UL-DL 컨피규레이션 중, DL 서브프레임 수(數)가 가장 많은 UL-DL 컨피규레이션(Config#4)이 규정하는 PDSCH-PUCCH 타이밍을 참조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서, 2개의 단위 밴드가 서로 DL 헤비도 UL 헤비도 아닌 UL-DL 컨피규레이션의 조합은, Config#1과 Config#3, Config#2와 Config#3, 및, Config#2와 Config#4의 3가지이다(도 8 참조). 이때, 한쪽 단위 밴드가 Config#1이고, 다른 쪽 단위 밴드가 Config#3인 경우(도 10(b) 참조)에는 SCell의 참조 UL-DL 컨피규레이션을 Config#4로 한다. 또, 한쪽 단위 밴드가 Config#2이고, 다른 쪽 단위 밴드가 Config#3인 경우에는 SCell의 참조 UL-DL 컨피규레이션을 Config#5로 한다. 또, 한쪽 단위 밴드가 Config#2이고, 다른 쪽 단위 밴드가 Config#4인 경우에는 SCell의 참조 UL-DL 컨피규레이션을 Config#5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PCell에 있어서 SCell의 PDSCH에 대한 PUCCH를 송신할 수 없는 타이밍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 PCell에 있어서 상술한 PDSCH-PUCCH 타이밍이 규정되지 않음에 의해 SCell의 DL 서브프레임을 이용할 수 없게 되는 일도 없어진다. 이 때문에, SCell에 있어서, 전부의 DL 서브프레임을 활용할 수 있다.
도 11은, 1프레임을 구성하는 PCell의 DL 서브프레임 세트가, SCell의 DL 서브프레임 세트에 포함되는 경우(즉, PCell의 DL 서브프레임 세트가, SCell의 DL 서브프레임의 서브셋인 경우, 또는, PCell이 UL 헤비인 경우)의 PDSCH-PUCCH 타이밍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경우, SCell에 있어서, SCell에 설정된 Config#1이 규정하는 PDSCH-PUCCH 타이밍을 참조함으로써, SCell의 전부의 DL 서브프레임을 활용할 수 있다.
또, LTE-A 시스템에서는, UL-DL 컨피규레이션을 변경하는 것(이하, TDD eIMTA(enhancement for DL-UL Interference Management and Traffic Adaptation)로 불리는 일이 있음)이 검토되고 있다. TDD eIMTA의 목적은, UL/DL 비율의 유연한 변경에 의한 유저(user)의 니즈에 맞는 서비스의 제공, 또는, 트래픽 로드의 낮은 시간대에 UL 비율을 늘림에 의한 기지국에서의 소비 전력의 저감 등을 들 수 있다. UL-DL 컨피규레이션의 변경 방법으로서 변경하는 목적에 따라, (1) SI(System Information) 시그널링 베이스의 통지에 의한 방법, (2) RRC(higher layer) 시그널링 베이스의 통지 방법 및, (3) L1(Physical Layer) 시그널링 베이스의 통지 방법이 각각 검토되고 있다.
방법 (1)은, 가장 저빈도의 UL-DL 컨피규레이션의 변경이다. 방법 (1)은, 예를 들면, 트래픽 로드가 낮은 시간대(예를 들면 심야 또는 이른 아침)에 UL 비율을 늘림으로써 기지국에서의 소비 전력의 저감을 목적으로 할 경우에 적절하다. 방법 (3)은, 가장 고빈도의 UL-DL 컨피규레이션의 변경이다. 피코셀(Pico cell) 등의 작은 셀에 있어서는, 매크로셀(macro cell) 등의 큰 셀보다 접속하는 단말수는 적다. 피코셀에서는, 피코셀에 접속되는 소수 단말에 있어서의 UL/DL 트래픽의 많고 적음에 따라 피코셀 전체의 UL/DL 트래픽이 결정된다. 이 때문에, 피코셀에서는, UL/DL 트래픽의 시간 변동이 격렬하다. 따라서, 피코셀과 같은 작은 셀에 있어서의 UL/DL 트래픽의 시간 변동에 추종해서 UL-DL 컨피규레이션을 변경할 경우에는, 방법 (3)이 적합하다. 방법 (2)는, 방법 (1)과 방법 (3) 사이에 위치하며, 중간 정도의 UL-DL 컨피규레이션의 변경 빈도인 경우에 적절하다.
(선행 기술 문헌)
(비특허 문헌)
(비특허 문헌 1) 3GPP TS 36.211 V10.1.0,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Release 10)," March 2011
(비특허 문헌 2) 3GPP TS 36.212 V10.1.0, "Multiplexing and channel coding (Release 10)," March 2011
(비특허 문헌 3) 3GPP TS 36.213 V10.1.0, "Physical layer procedures (Release 10)," March 2011
(비특허 문헌 4) Seigo Nakao, Tomofumi Takata, Daichi Imamura, and Katsuhiko Hiramatsu, "Performance enhancement of E-UTRA uplink control channel in fast fading environments," Proceeding of IEEE VTC 2009 spring, April. 2009
(비특허 문헌 5) Ericsson and ST-Ericsson, "A/N transmission in the uplink for carrier aggregation," R1-100909, 3GPP TSG-RAN WG1 #60, Feb. 2010
(비특허 문헌 6) ZTE, 3GPP RAN1 meeting #57, R1-091702, "Uplink Control Channel Design for LTE-Advanced," May 2009
(비특허 문헌 7) Panasonic, 3GPP RAN1 meeting #57, R1-091744, "UL ACK/NACK transmission on PUCCH for Carrier aggregation," May 2009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위 밴드 사이에서 UL-DL 컨피규레이션이 다를 경우에도, 하향 회선 데이터와 관련하여 DL HARQ를 서포트할 필요가 있다. 일례로서 기지국이 단말에 대해서,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를 취하도록 하향 회선 데이터를 할당할 경우의 DL HARQ 프로세스를 도 12(a)에 나타낸다. 도 12(a)는, 예를 들면 도 9(b)에 나타내는 것처럼 PCell이 DL 헤비인 경우, 그러면서 또, SCell에 있어서 P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이 규정하는 PDSCH-PUCCH 타이밍을 참조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또, 도 12(a)와의 비교를 위해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비(非)설정(non-CA)시에 Config#0이 설정된 단위 밴드(셀)에 있어서, 기지국이 단말에 대해서,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를 취하도록 하향 회선 데이터를 할당하는 경우의 DL HARQ 프로세스의 일례를 도 13(a)에 나타낸다.
또한, 도 12(a) 및 도 13(a) 중의 동그라미 속의 숫자는, DL HARQ 프로세스 번호를 나타낸다. 또, 실선 화살표는, PDSCH-PUCCH 타이밍을 나타낸다. 또, 점선 화살표는, 기지국에서의 PUCCH(응답 신호) 수신과, 해당 PUCCH에 대한 PDSCH(하향 회선 데이터)의 재송 사이의 타이밍(이하, PUCCH-PDSCH 타이밍이라고 부르는 일도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PDSCH-PUCCH 타이밍 및 PUCCH-PDSCH 타이밍은, DL HARQ 타이밍이라고 표시되는 일도 있다. 또, 예를 들면, PUCCH 수신으로부터 PDSCH 재송까지에 요하는 시간 간격은 4㎳(4서브프레임) 이상이다. 또, PDSCH 송신으로부터, PDSCH 재송까지에 요하는 시간을 PDSCH RTT(Round Trip Time)라고 나타낸다.
도 12(a)에 있어서 Config#0이 설정되어 있는 SCell, 및, 도 13(a)에 있어서 Config#0이 설정되어 있는 단위 밴드에서는, 양쪽 모두 1프레임당의 DL 서브프레임 수(스페셜 서브프레임을 포함함)가 4개이다. 그러나, 도 12(a)와 도 13(a)에서는 PDSCH RTT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도 13(a)에서는, 전부의 DL HARQ 프로세스에 대해서, PDSCH RTT가 10㎳이다. 이것에 비해서, 도 12(a)에서는, 각 DL HARQ 프로세스의 PDSCH RTT는 11㎳ 또는 14㎳이다. 이 때문에, 도 13(a)에서는, 1프레임(10㎳)당 4개의 DL 서브프레임에 대해서, PDSCH RTT가 10㎳이기 때문에, 최대 4개의 DL HARQ 프로세스가 있으면 된다. 이것은, 도 7(b)에 있어서, Config#0에 있어서의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가 4인 것에 대응한다. 한편, 도 12(a)에서는, PDSCH RTT가 10㎳보다 크기 때문에, 4보다 큰 DL HARQ 프로세스수가 필요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2(a)의 경우, 최대 5개의 DL HARQ 프로세스가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DL HARQ 프로세스수가 많이 필요하게 되는 이유는, SCell에 있어서, SCell 자신에 설정되어 있는 UL-DL 컨피규레이션 보다 DL 헤비인 UL-DL 컨피규레이션이 규정하는 PDSCH-PUCCH 타이밍을 참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SCell에 있어서, SCell에 설정되어 있는 UL-DL 컨피규레이션 보다 UL 서브프레임이 적어, PUCCH 송신 기회가 적은 UL-DL 컨피규레이션이 규정하는 PDSCH-PUCCH 타이밍을 참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L HARQ용 소프트 버퍼는, 단말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이 규정하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MDL _ HARQ)에 기초하여 분할된다(수학식 (1) 참조). 예를 들면, 도 13(b)는, 도 13(a)에 있어서의 SCell용의 소프트 버퍼를 나타낸다. 도 13(b)에 나타내는 것처럼, S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이 Config#0이고, SCell의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가 4인 경우, SCell용 소프트 버퍼는 4분할된다.
한편, 도 12(b)는, 도 12(a)에 있어서의 SCell용 소프트 버퍼를 나타낸다. 도 12(b)에 나타내는 것처럼, S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이 Config#0이므로, 도 13(b)와 같이, SCell용 소프트 버퍼는 4분할된다. 그렇지만, 도 12(a)에 나타내는 것처럼, SCell에 있어서, S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보다 DL 헤비인 UL-DL 컨피규레이션이 규정하는 PDSCH-PUCCH 타이밍을 참조할 경우, SCell에 있어서의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는, 도 7(b)에 나타내는 값(non-CA시의 값)보다 커진다. 구체적으로는, SCell이 참조하는 PDSCH-PUCCH 타이밍이 Config#1의 타이밍인 경우, SCell에 있어서 실제로 필요한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는 5개가 된다. 이 때문에, 도 12(b)에 나타내는 것처럼, 단말에서는, 일부 DL HARQ 프로세스(도 13(b)에서는 DL HARQ 프로세스 번호 5)에 대해서 IR 버퍼를 배분할 수 없다. 따라서, IR 버퍼가 배분되지 않는 DL HARQ 프로세스에 대해서, HARQ 재송에 의한 부호화 게인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SCell에 있어서 실제로 필요한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가, S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이 규정하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보다 많아지는 것은, SCell에 있어서, S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보다 DL 헤비인 UL-DL 컨피규레이션이 규정하는 PDSCH-PUCCH 타이밍을 참조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PCell이 DL 헤비인 경우에 한하지 않고, PCell이 DL 헤비도 UL 헤비도 아닌 경우(도 10(b))도 SCell에 있어서 실제로 필요한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는, S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이 규정하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보다 많아진다. 따라서, PCell이 DL 헤비도 UL 헤비도 아닌 경우도, 상기와 동일한 과제가 존재한다.
이상과 같이, SCell에 있어서, S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보다 DL 헤비인 UL-DL 컨피규레이션이 규정하는 PDSCH-PUCCH 타이밍을 참조하면, 일부 DL HARQ 프로세스에 대해서 IR 버퍼가 배분되지 않아, HARQ 재송에 의한 부호화 게인을 얻을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해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단위 밴드 사이에서 UL-DL 컨피규레이션이 다를 경우에도, 전부의 DL HARQ 프로세스에 대해서 HARQ에 의한 부호화 게인을 얻을 수 있는 단말 장치 및 버퍼 분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는, 복수의 단위 밴드를 이용하여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밴드의 각각에는, 1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의 구성 패턴이며, 하향 회선의 통신에 이용되는 하향 통신 서브프레임 및 상향 회선의 통신에 이용되는 상향 통신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상기 구성 패턴이 설정되는, 단말 장치이며, 상기 복수의 단위 밴드에서 각각 송신된 하향 회선 데이터를 재송용 버퍼에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하향 회선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수단과, 상기 하향 회선 데이터의 오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응답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복수의 단위 밴드 중, 제 1 단위 밴드에서 수신된 제 1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 및, 제 2 단위 밴드에서 수신된 제 2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제 1 단위 밴드를 이용해서 송신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버퍼는, 상기 제 1 하향 회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 버퍼와, 상기 제 2 하향 회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2 버퍼를 가지고, 상기 제 2 버퍼는, 상기 제 1 단위 밴드에 설정된 제 1 구성 패턴과, 상기 제 2 단위 밴드에 설정된 제 2 구성 패턴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특정 값에 기초하여, 재송 프로세스마다의 영역으로 분할되는 구성을 취한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버퍼 분할 방법은, 복수의 단위 밴드를 이용하여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밴드의 각각에는, 1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의 구성 패턴이며, 하향 회선의 통신에 이용되는 하향 통신 서브프레임 및 상향 회선의 통신에 이용되는 상향 통신 서브프레임을 포함한 상기 구성 패턴이 설정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버퍼 분할 방법이며, 상기 복수의 단위 밴드에서 각각 송신된 하향 회선 데이터를 재송용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하향 회선 데이터를 복호하고, 상기 하향 회선 데이터의 오류 검출 결과를 이용해서 응답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밴드 중, 제 1 단위 밴드에서 수신된 제 1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 및, 제 2 단위 밴드에서 수신된 제 2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제 1 단위 밴드를 이용해서 송신하고, 상기 버퍼는, 상기 제 1 하향 회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 버퍼와, 상기 제 2 하향 회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2 버퍼를 가지고, 상기 제 2 버퍼는, 상기 제 1 단위 밴드에 설정된 제 1 구성 패턴과, 상기 제 2 단위 밴드에 설정된 제 2 구성 패턴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특정 값에 기초하여, 재송 프로세스마다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단위 밴드 사이에서 UL-DL 컨피규레이션이 다를 경우에도, 전부의 DL HARQ 프로세스에 대해서 HARQ에 의한 부호화 게인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응답 신호 및 참조 신호의 확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PUSCH 리소스에 있어서의 응답 신호 및 상향 회선 데이터의 TDM의 적용에 관련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TDD에 있어서의 UL-DL 컨피규레이션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4는 개별 단말에 적용되는 비대칭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및 그 제어 시퀀스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5는 채널 셀렉션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6은 TDD에 있어서의 번들링 방법 및 매핑 방법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7은 소프트 버퍼의 분할 및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 결정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8은 UL-DL 컨피규레이션 사이의 DL 서브프레임의 포함 관계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9는 PCell이 DL 헤비(heavy)인 경우에 있어서의 SCell의 참조 타이밍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10은 PCell이 DL 헤비(heavy)도 UL 헤비(heavy)도 아닌 경우에 있어서의 SCell의 참조 타이밍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11은 PCell이 UL 헤비인 경우에 있어서의 SCell의 참조 타이밍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12는 PCell이 DL 헤비인 경우에 있어서의 과제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13은 PCell이 DL 헤비인 경우에 있어서의 과제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의 설정 범위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UL-DL 컨피규레이션에 대한 PDSCH RTT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소프트 버퍼의 분할 방법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와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의 제약값(制約値)의 최소값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SCell이 참조하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를 간이(簡易)하게 결정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23은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설정시에 있어서의 SCell의 참조 타이밍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24는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설정시에 있어서의 과제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설정시에 있어서의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TDD eIMTA 설정시에 있어서의 과제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TDD eIMTA 설정시에 있어서의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의 결정 방법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실시형태 1)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200)의 주요 구성도이다. 단말(200)은, 복수의 단위 밴드를 이용하여 기지국(100)과 통신한다. 또, 단말(200)에 설정되는 각 단위 밴드에는, 1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의 구성 패턴이며, 하향 회선의 통신에 이용되는 하향 통신 서브프레임(DL 서브프레임) 및 상향 회선의 통신에 이용되는 상향 통신 서브프레임(UL 서브프레임)을 포함한 구성 패턴(DL-UL Configuration)이 설정된다. 단말(200)에 있어서, 복호부(210)가, 복수의 단위 밴드에서 각각 송신된 하향 회선 데이터를 재송용의 버퍼(소프트 버퍼)에 저장함과 동시에 하향 회선 데이터를 복호하고, 응답 신호 생성부(212)가, 하향 회선 데이터의 오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응답 신호를 생성하고, 무선 송신부(222)가, 복수의 단위 밴드 중, 제 1 단위 밴드(PCell)에서 수신된 제 1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 및, 제 2 단위 밴드(PCell)에서 수신된 제 2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제 1 단위 밴드를 이용해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소프트 버퍼는, 제 1 하향 회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 버퍼(PCell용 소프트 버퍼)와, 제 2 하향 회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2 버퍼(SCell용 소프트 버퍼)를 가지고, 제 2 버퍼는, 제 1 단위 밴드에 설정된 제 1 구성 패턴과, 제 2 단위 밴드에 설정된 제 2 구성 패턴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특정 값(참조 최대 UL-DL Configuration)에 기초하여, 재송 프로세스마다의 영역(IR 버퍼)으로 분할된다.
[기지국의 구성]
도 1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에 있어서, 기지국(100)은, 제어부(101)와, 제어 정보 생성부(102)와, 부호화부(103)와, 변조부(104)와, 부호화부(105)와, 데이터 송신 제어부(106)와, 변조부(107)와, 매핑부(108)와,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부(109)와, CP 부가부(110)와, 무선 송신부(111)와, 무선 수신부(112)와, CP 제거부(113)와, PUCCH 추출부(114)와, 역확산부(115)와, 계열 제어부(116)와, 상관 처리부(117)와, A/N 판정부(118)와, 묶음(束) A/N 역확산부(119)와, IDFT(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부(120)와, 묶음(束) A/N 판정부(121)와, 재송(再送) 제어 신호 생성부(122)를 가진다.
제어부(101)는,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이하 「행선지 단말」 또는 간단히 「단말」이라고도 함)(200)에 대해서,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하향 리소스(즉, 하향 제어 정보 할당 리소스), 및, 하향 회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하향 리소스(즉, 하향 데이터 할당 리소스)를 할당한다(Assign한다). 이 리소스 할당은,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200)에 설정되는 단위 밴드 그룹에 포함되는 하향 단위 밴드에 있어서 행해진다. 또, 하향 제어 정보 할당 리소스는, 각 하향 단위 밴드에 있어서의 하향 제어 채널(PDCCH)에 대응하는 리소스 내에서 선택된다. 또, 하향 데이터 할당 리소스는, 각 하향 단위 밴드에 있어서의 하향 데이터 채널(PDSCH)에 대응한 리소스 내에서 선택된다. 또,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200)이 복수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101)는,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200)의 각각에 다른 리소스를 할당한다.
하향 제어 정보 할당 리소스는, 상기한 L1/L2 CCH와 동등하다. 즉, 하향 제어 정보 할당 리소스는, 1개 또는 복수의 CCE로 구성된다.
또, 제어부(101)는,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200)에 대해서 제어 정보를 송신할 때에 이용하는 부호화율을 결정한다. 이 부호화율에 따라 제어 정보의 데이터량이 다르므로, 이 데이터량의 제어 정보를 매핑할 수 있는 수의 CCE를 가지는 하향 제어 정보 할당 리소스가, 제어부(101)에 의해 할당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제어 정보 생성부(102)에 대해서, 하향 데이터 할당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 또, 제어부(101)는, 부호화부(103)에 대해서, 부호화율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 또, 제어부(101)는, 송신 데이터(즉, 하향 회선 데이터)의 부호화율을 결정하여, 부호화부(105)에 출력한다. 또, 제어부(101)는, 하향 데이터 할당 리소스 및 하향 제어 정보 할당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매핑부(108)에 대해서 출력한다. 단, 제어부(101)는 하향 회선 데이터와 해당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하향 제어 정보를 동일한 하향 단위 밴드에 매핑하도록 제어한다.
제어 정보 생성부(102)는, 하향 데이터 할당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제어 정보를 생성해서 부호화부(103)에 출력한다. 이 제어 정보는 하향 단위 밴드마다 생성된다. 또,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200)이 복수 있는 경우에,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200)끼리를 구별하기 위해서, 제어 정보에는, 행선지 단말(200)의 단말 ID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행선지 단말(200)의 단말 ID로 마스킹(masking)된 CRC 비트가 제어 정보에 포함된다. 이 제어 정보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Control information carrying downlink assignment)」 또는 「Downlink Control Information(DCI)」로 불리는 일이 있다. 또, 제어 정보 생성부(102)는, 예를 들면 재송 제어 신호 생성부(122)가 생성하는 재송 제어 신호를 참조하여(도시하지 않음), 데이터 송신 제어부(106)에 있어서 송신 제어되는 하향 회선 데이터의 송신이 첫 회 송신인지 재송인지를 나타내는 재송 정보를 제어 정보에 포함시킨다.
부호화부(103)는, 제어부(101)로부터 받는 부호화율에 따라, 제어 정보를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제어 정보를 변조부(104)에 출력한다.
변조부(104)는, 부호화 후의 제어 정보를 변조하고, 얻어진 변조 신호를 매핑부(108)에 출력한다.
부호화부(105)는, 행선지 단말(200)마다의 송신 데이터(즉, 하향 회선 데이터) 및 제어부(101)로부터의 부호화율 정보가 입력하면 송신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데이터 송신 제어부(106)에 출력한다. 단, 행선지 단말(200)에 대해서 복수의 하향 단위 밴드가 할당되는 경우에는, 부호화부(105)는, 각 하향 단위 밴드에서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를 각각 부호화하고, 부호화 후의 송신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 제어부(106)에 출력한다.
데이터 송신 제어부(106)는, 첫 회 송신시에는, 부호화 후의 송신 데이터를 보지(保持)함과 동시에 변조부(107)에 출력한다. 부호화 후의 송신 데이터는, 행선지 단말(200)별로 보지된다. 또, 1개의 행선지 단말(200)로의 송신 데이터는,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별로 보지된다. 이것에 의해, 행선지 단말(200)에 송신되는 데이터 전체의 재송 제어뿐만이 아니라, 하향 단위 밴드별 재송 제어도 가능하게 된다.
또, 데이터 송신 제어부(106)는, 재송 제어 신호 생성부(122)로부터 어느 하향 단위 밴드에서 송신한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NACK 또는 DTX를 받으면, 이 하향 단위 밴드에 대응하는 보지 데이터를 변조부(107)에 출력한다. 데이터 송신 제어부(106)는, 재송 제어 신호 생성부(122)로부터 어느 하향 단위 밴드에서 송신한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ACK를 받으면, 이 하향 단위 밴드에 대응하는 보지 데이터를 삭제한다.
변조부(107)는, 데이터 송신 제어부(106)로부터 받는 부호화 후의 송신 데이터를 변조하고, 변조 신호를 매핑부(108)에 출력한다.
매핑부(108)는, 제어부(101)로부터 받는 하향 제어 정보 할당 리소스가 나타내는 리소스에, 변조부(104)로부터 받는 제어 정보의 변조 신호를 매핑하여, IFFT부(109)에 출력한다.
또, 매핑부(108)는, 제어부(101)로부터 받는 하향 데이터 할당 리소스(즉,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가 나타내는 리소스(PDSCH(하향 데이터 채널))에, 변조부(107)로부터 받는 송신 데이터의 변조 신호를 매핑하여, IFFT부(109)에 출력한다.
매핑부(108)에서 복수의 하향 단위 밴드에 있어서의 복수의 서브캐리어에 매핑된 제어 정보 및 송신 데이터는, IFFT부(109)에서 주파수 영역 신호로부터 시간 영역 신호로 변환되고, CP 부가부(110)에서 CP가 부가되어 OFDM 신호로 된 후에, 무선 송신부(111)에서 D/A(Digital to Analog) 변환, 증폭 및 업 컨버트 등의 송신 처리가 실시되어 안테나를 경유하여 단말(200)에 송신된다.
무선 수신부(112)는, 단말(200)로부터 송신된 상향 응답 신호 또는 참조 신호를, 안테나를 경유해 수신하고, 상향 응답 신호 또는 참조 신호에 대해서 다운 컨버트, A/D 변환 등의 수신 처리를 행한다.
CP 제거부(113)는, 수신 처리 후의 상향 응답 신호 또는 참조 신호에 부가되어 있는 CP를 제거한다.
PUCCH 추출부(114)는, 수신 신호에 포함되는 PUCCH 신호로부터, 미리 단말(200)에 통지되어 있는 묶음 ACK/NACK 리소스에 대응하는 PUCCH 영역의 신호를 추출한다. 여기서, 묶음 ACK/NACK 리소스란, 전술한 것처럼, 묶음 ACK/NACK 신호가 송신되어야 할 리소스이며, DFT-S-OFDM 포맷 구성을 취하는 리소스이다. 구체적으로는, PUCCH 추출부(114)는, 묶음 ACK/NACK 리소스에 대응하는 PUCCH 영역의 데이터 부분(즉, 묶음 ACK/NACK 신호가 배치되어 있는 SC-FDMA 심볼)과 참조 신호 부분(즉, 묶음 ACK/NACK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참조 신호가 배치되어 있는 SC-FDMA 심볼)을 추출한다. PUCCH 추출부(114)는, 추출한 데이터 부분을 묶음 A/N 역확산부(119)에 출력하고, 참조 신호 부분을 역확산부(115-1)에 출력한다.
또, PUCCH 추출부(114)는, 수신 신호에 포함되는 PUCCH 신호로부터, 하향 할당 제어 정보(DCI)의 송신에 이용된 PDCCH가 점유하고 있던 CCE에 대응지어져 있는 A/N 리소스 및 미리 단말(200)에 통지되어 있는 복수의 A/N 리소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PUCCH 영역을 추출한다. 여기서, A/N 리소스란, A/N이 송신되어야 할 리소스이다. 구체적으로는, PUCCH 추출부(114)는, A/N 리소스에 대응하는 PUCCH 영역의 데이터 부분(상향 제어 신호가 배치되어 있는 SC-FDMA 심볼)과 참조 신호 부분(상향 제어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참조 신호가 배치되어 있는 SC-FDMA 심볼)을 추출한다. 그리고, PUCCH 추출부(114)는, 추출한 데이터 부분 및 참조 신호 부분의 양쪽을, 역확산부(115-2)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CCE에 관련지어진 PUCCH 리소스 및 단말(200)에 대해서 통지한 특정 PUCCH 리소스 중에서 선택된 리소스에서 응답 신호가 수신된다.
계열 제어부(116)는, 단말(200)로부터 통지되는 A/N, A/N에 대한 참조 신호, 및, 묶음 ACK/NACK 신호에 대한 참조 신호의 각각의 확산에 이용될 가능성이 있는 베이스 시퀀스(Base sequence)(즉, 계열 길이 12인 ZAC 계열)를 생성한다. 또, 계열 제어부(116)는, 단말(200)이 이용할 가능성이 있는 PUCCH 리소스에 있어서, 참조 신호가 배치될 수 있는 리소스(이하 「참조 신호 리소스」라고 함)에 대응하는 상관창을 각각 특정한다. 그리고, 계열 제어부(116)는, 묶음 ACK/NACK 리소스에 있어서 참조 신호가 배치될 수 있는 참조 신호 리소스에 대응하는 상관창을 나타내는 정보 및 베이스 시퀀스(Base sequence)를 상관 처리부(117-1)에 출력한다. 계열 제어부(116)는, 참조 신호 리소스에 대응하는 상관창을 나타내는 정보 및 베이스 시퀀스(Base sequence)를, 상관 처리부(117-1)에 출력한다. 또, 계열 제어부(116)는, A/N 및 A/N에 대한 참조 신호가 배치되는 A/N 리소스에 대응하는 상관창을 나타내는 정보 및 베이스 시퀀스(Base sequence)를 상관 처리부(117-2)에 출력한다.
역확산부(115-1) 및 상관 처리부(117-1)는, 묶음 ACK/NACK 리소스에 대응하는 PUCCH 영역으로부터 추출된 참조 신호의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역확산부(115-1)는, 단말(200)이 묶음 ACK/NACK 리소스의 참조 신호에 있어서 2차 확산에 이용해야 할 월쉬 계열로 참조 신호 부분을 역확산하고, 역확산 후의 신호를 상관 처리부(117-1)에 출력한다.
상관 처리부(117-1)는, 참조 신호 리소스에 대응하는 상관창을 나타내는 정보 및 베이스 시퀀스(Base sequence)를 이용하여, 역확산부(115-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단말(200)에 있어서 1차 확산에 이용될 가능성이 있는 베이스 시퀀스(Base sequence)와의 상관값을 구한다. 그리고, 상관 처리부(117-1)는, 상관값을 묶음 A/N 판정부(121)에 출력한다.
역확산부(115-2) 및 상관 처리부(117-2)는, 복수의 A/N 리소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PUCCH 영역으로부터 추출된 참조 신호 및 A/N의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역확산부(115-2)는, 단말(200)이 각 A/N 리소스의 데이터 부분 및 참조 신호 부분에 있어서 2차 확산에 이용해야 할 월쉬 계열 및 DFT 계열로 데이터 부분 및 참조 신호 부분을 역확산하고, 역확산 후의 신호를 상관 처리부(117-2)에 출력한다.
상관 처리부(117-2)는, 각 A/N 리소스에 대응하는 상관창을 나타내는 정보 및 베이스 시퀀스(Base sequence)를 이용하여, 역확산부(115-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단말(200)에 있어서 1차 확산에 이용될 가능성이 있는 베이스 시퀀스(Base sequence)와의 상관값을 각각 구한다. 그리고, 상관 처리부(117-2)는, 각각의 상관값을 A/N 판정부(118)에 출력한다.
A/N 판정부(118)는, 상관 처리부(117-2)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상관값에 기초하여, 단말(200)로부터 어느 A/N 리소스를 이용해서 신호가 송신되고 있는지, 또는, 어느 A/N 리소스도 이용되지 않는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A/N 판정부(118)는, 단말(200)로부터 어느 것인가의 A/N 리소스를 이용해서 신호가 송신되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성분 및 A/N에 대응하는 성분을 이용해서 동기 검파를 행하고, 동기 검파의 결과를 재송 제어 신호 생성부(122)에 출력한다. 한편, A/N 판정부(118)는, 단말(200)이 어느 A/N 리소스도 이용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A/N 리소스가 이용되지 않은 취지를 재송 제어 신호 생성부(122)에 출력한다.
묶음 A/N 역확산부(119)는, PUCCH 추출부(114)로부터 입력되는 묶음 ACK/NACK 리소스의 데이터 부분에 대응하는 묶음 ACK/NACK 신호를 DFT 계열에 의해 역확산하고, 그 신호를 IDFT부(120)에 출력한다.
IDFT부(120)는, 묶음 A/N 역확산부(119)로부터 입력되는 주파수 영역상의 묶음 ACK/NACK 신호를, IDFT 처리에 의해 시간 영역상의 신호로 변환하고, 시간 영역상의 묶음 ACK/NACK 신호를 묶음 A/N 판정부(121)에 출력한다.
묶음 A/N 판정부(121)는, IDFT부(120)로부터 입력되는 묶음 ACK/NACK 리소스의 데이터 부분에 대응하는 묶음 ACK/NACK 신호를, 상관 처리부(117-1)로부터 입력되는 묶음 ACK/NACK 신호의 참조 신호 정보를 이용해서 복조한다. 또, 묶음 A/N 판정부(121)는, 복조 후의 묶음 ACK/NACK 신호를 복호하고, 복호 결과를 묶음 A/N 정보로서 재송 제어 신호 생성부(122)에 출력한다. 단, 묶음 A/N 판정부(121)는, 상관 처리부(117-1)로부터 입력되는 상관값이 임계값보다 작아, 단말(200)로부터 묶음 A/N 리소스를 이용하여 신호가 송신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그 취지를 재송 제어 신호 생성부(122)에 출력한다.
재송 제어 신호 생성부(122)는, 묶음 A/N 판정부(121)로부터 입력되는 정보, A/N 판정부(118)로부터 입력되는 정보, 및, 미리 단말(200)에 설정한 그룹 번호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 단위 밴드에서 송신한 데이터(하향 회선 데이터)를 재송해야 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재송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재송 제어 신호 생성부(122)는, 어느 하향 단위 밴드에서 송신한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해서 재송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해당 하향 회선 데이터의 재송 명령을 나타내는 재송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재송 제어 신호를 데이터 송신 제어부(106)에 출력한다. 또, 재송 제어 신호 생성부(122)는, 어느 하향 단위 밴드에서 송신한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해서 재송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해당 하향 단위 밴드에서 송신한 하향 회선 데이터를 재송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재송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재송 제어 신호를 데이터 송신 제어부(106)에 출력한다.
[단말의 구성]
도 1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에 있어서, 단말(200)은, 무선 수신부(201)와, CP 제거부(202)와, FFT(Fast Fourier Transform)부(203)와, 추출부(204)와, 복조부(205)와, 복호부(206)와, 판정부(207)와, 제어부(208)와, 복조부(209)와, 복호부(210)와, CRC부(211)와, 응답 신호 생성부(212)와, 부호화ㆍ변조부(213)와, 1차 확산부(214-1, 214-2)와, 2차 확산부(215-1, 215-2)와, DFT부(216)와, 확산부(217)와, IFFT부(218-1, 218-2, 218-3)와, CP 부가부(219-1, 219-2, 219-3)와, 시간 다중부(220)와, 선택부(221)와, 무선 송신부(222)를 가진다.
무선 수신부(201)는, 기지국(100)으로부터 송신된 OFDM 신호를, 안테나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수신 OFDM 신호에 대해서 다운 컨버트, A/D 변환 등의 수신 처리를 행한다. 또한, 수신 OFDM 신호에는, PDSCH 내의 리소스에 할당된 PDSCH 신호(하향 회선 데이터) 또는 PDCCH 내의 리소스에 할당된 PDCCH 신호가 포함된다.
CP 제거부(202)는, 수신 처리 후의 OFDM 신호에 부가되어 있는 CP를 제거한다.
FFT부(203)는, 수신 OFDM 신호를 FFT하여 주파수 영역 신호로 변환하고, 얻어진 수신 신호를 추출부(204)에 출력한다.
추출부(204)는, 입력되는 부호화율 정보에 따라, FFT부(203)로부터 받는 수신 신호로부터 하향 제어 채널 신호(PDCCH 신호)를 추출한다. 즉, 부호화율에 따라 하향 제어 정보 할당 리소스를 구성하는 CCE의 수가 바뀌므로, 추출부(204)는, 그 부호화율에 대응하는 개수의 CCE를 추출 단위로 하여 하향 제어 채널 신호를 추출한다. 또, 하향 제어 채널 신호는, 하향 단위 밴드별로 추출된다. 추출된 하향 제어 채널 신호는, 복조부(205)에 출력된다.
또, 추출부(204)는, 후술하는 판정부(207)로부터 받는 자장치앞으로의 하향 데이터 할당 리소스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로부터 하향 회선 데이터(하향 데이터 채널 신호(PDSCH 신호))를 추출하여, 복조부(209)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추출부(204)는, PDCCH에 매핑된 하향 할당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고, PDSCH로 하향 회선 데이터를 수신한다.
복조부(205)는, 추출부(204)로부터 받는 하향 제어 채널 신호를 복조하고, 얻어진 복조 결과를 복호부(206)에 출력한다.
복호부(206)는, 입력되는 부호화율 정보에 따라, 복조부(205)로부터 받는 복조 결과를 복호하고, 얻어진 복호 결과를 판정부(207)에 출력한다.
판정부(207)는, 복호부(206)로부터 받는 복호 결과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가 자장치앞 제어 정보인지 아닌지를 블라인드 판정(모니터)한다. 이 판정은, 상기한 추출 단위에 대응하는 복호 결과를 단위로 하여 행해진다. 예를 들면, 판정부(207)는, 자장치의 단말 ID로 CRC 비트를 디마스킹하여, CRC=OK(오류 없음)가 된 제어 정보를 자장치앞 제어 정보라고 판정한다. 그리고, 판정부(207)는, 자장치앞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자장치에 대한 하향 데이터 할당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추출부(204)에 출력한다.
또, 판정부(207)는, 자장치앞으로의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자장치에 대한 하향 회선 데이터의 송신이 첫 회 송신인지 재송인지를 나타내는 재송 정보를 복호부(210)에 출력한다.
또, 판정부(207)는, 자장치앞 제어 정보(즉, 하향 할당 제어 정보)를 검출했을 경우, ACK/NACK 신호가 발생(존재)하는 취지를 제어부(208)에 통지한다. 또, 판정부(207)는, 자장치앞 제어 정보를 PDCCH 신호로부터 검출했을 경우, 해당 PDCCH가 점유하고 있던 CCE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208)에 출력한다.
제어부(208)는, 판정부(207)로부터 입력되는 CCE에 관한 정보로부터, 해당 CCE에 관련지어진 A/N 리소스를 특정한다. 그리고, 제어부(208)는, CCE에 관련지어진 A/N 리소스, 또는, 미리 기지국(100)으로부터 통지되어 있는 A/N 리소스에 대응하는 베이스 시퀀스(Base sequence) 및 순환 쉬프트량을, 1차 확산부(214-1)에 출력하고, 해당 A/N 리소스에 대응하는 월쉬 계열 및 DFT 계열을 2차 확산부(215-1)에 출력한다. 또, 제어부(208)는, A/N 리소스의 주파수 리소스 정보를 IFFT부(218-1)에 출력한다.
또, 제어부(208)는, 묶음 ACK/NACK 신호를 묶음 ACK/NACK 리소스를 이용해서 송신한다고 판단한 경우, 미리 기지국(100)으로부터 통지되어 있는 묶음 ACK/NACK 리소스의 참조 신호 부분(참조 신호 리소스)에 대응하는 베이스 시퀀스(Base sequence) 및 순환 쉬프트량을, 1차 확산부(214-2)에 출력하고, 월쉬 계열을 2차 확산부(215-2)에 출력한다. 또, 제어부(208)는, 묶음 ACK/NACK 리소스의 주파수 리소스 정보를 IFFT부(218-2)에 출력한다.
또, 제어부(208)는, 묶음 ACK/NACK 리소스의 데이터 부분의 확산에 이용하는 DFT 계열을 확산부(217)에 출력하고, 묶음 ACK/NACK 리소스의 주파수 리소스 정보를 IFFT부(218-3)에 출력한다.
또, 제어부(208)는, 묶음 ACK/NACK 리소스 또는 A/N 리소스의 어느 것인가를 선택하고, 선택한 리소스를 무선 송신부(222)에 출력하도록 선택부(221)에 지시한다. 또, 제어부(208)는, 선택한 리소스에 따라, 묶음 ACK/NACK 신호 또는 ACK/NACK 신호의 어느 것인가를 생성하도록 응답 신호 생성부(212)에 지시한다.
복조부(209)는, 추출부(204)로부터 받는 하향 회선 데이터를 복조하고, 복조 후의 하향 회선 데이터(LLR)를 복호부(210)에 출력한다.
복호부(210)는, 판정부(207)로부터 받는 재송 정보가 첫 회 송신을 지시하는 경우, 복조부(209)로부터 받는 하향 회선 데이터(LLR)를 재송 버퍼(소프트 버퍼)에 저장한다. 또, 복호부(210)는, 복조부(209)로부터 받는 하향 회선 데이터를 복호하고, 복호 후의 하향 회선 데이터를 CRC부(211)에 출력한다. 한편, 복호부(210)는, 판정부(207)로부터 받는 재송 정보가 재송을 지시하는 경우, 복조부(209)로부터 받는 하향 회선 데이터와 재송 버퍼로부터 판독한 하향 회선 데이터를 합성하고, 합성 후의 하향 회선 데이터를, 재송 버퍼에 재차 저장한다. 또, 복호부(210)는, 합성 후의 하향 회선 데이터를 복호하고, 복호 후의 하향 회선 데이터를 CRC부(211)에 출력한다. 또한, 해당 재송 버퍼 사이즈의 계산 방법(분할 방법)에 대한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CRC부(211)는, 복호부(210)로부터 받는 복호 후의 하향 회선 데이터를 생성하고, CRC를 이용해 하향 단위 밴드마다 오류 검출하여, CRC=OK(오류 없음)의 경우에는 ACK를, CRC=NG(오류 있음)의 경우에는 NACK를, 응답 신호 생성부(212)에 각각 출력한다. 또, CRC부(211)는, CRC=OK(오류 없음)의 경우에는, 복호 후의 하향 회선 데이터를 수신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응답 신호 생성부(212)는, CRC부(211)로부터 입력되는, 각 하향 단위 밴드에 있어서의 하향 회선 데이터의 수신 상황(하향 회선 데이터의 오류 검출 결과), 및, 미리 설정된 그룹 번호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응답 신호를 생성한다. 즉, 응답 신호 생성부(212)는, 제어부(208)로부터 묶음 ACK/NACK 신호를 생성하도록 지시된 경우에는, 하향 단위 밴드별 오류 검출 결과의 각각이 개별 데이터로서 포함되어 있는 묶음 ACK/NACK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응답 신호 생성부(212)는, 제어부(208)로부터 ACK/NACK 신호를 생성하도록 지시된 경우에는, 1심볼의 ACK/NACK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응답 신호 생성부(212)는 생성한 응답 신호를 부호화ㆍ변조부(213)에 출력한다.
부호화ㆍ변조부(213)는, 묶음 ACK/NACK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입력된 묶음 ACK/NACK 신호를 부호화ㆍ변조해, 12심볼의 변조 신호를 생성하여, DFT부(216)에 출력한다. 또, 부호화ㆍ변조부(213)는, 1심볼의 ACK/NACK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해당 ACK/NACK 신호를 변조하여, 1차 확산부(214-1)에 출력한다.
A/N 리소스, 및, 묶음 ACK/NACK 리소스의 참조 신호 리소스에 대응하는 1차 확산부(214-1) 및 (214-2)는, 제어부(208)의 지시에 따라 ACK/NACK 신호 또는 참조 신호를, 리소스에 대응하는 베이스 시퀀스(Base sequence)에 따라 확산하고, 확산한 신호를 2차 확산부(215-1, 215-2)에 출력한다.
2차 확산부(215-1, 215-2)는, 제어부(208)의 지시에 의해, 입력된 1차 확산 후의 신호를 월쉬 계열 또는 DFT 계열을 이용해 확산하여 IFFT부(218-1, 218-2)에 출력한다.
DFT부(216)는, 입력되는 시계열의 묶음 ACK/NACK 신호를 12개 모아서 DFT 처리를 행함으로써, 12개의 주파수축상의 신호 성분을 얻는다. 그리고, DFT부(216)는 12개의 신호 성분을 확산부(217)에 출력한다.
확산부(217)는, 제어부(208)로부터 지시된 DFT 계열을 이용해서, DFT부(216)로부터 입력된 12개의 신호 성분을 확산하여, IFFT부(218-3)에 출력한다.
IFFT부(218-1, 218-2, 218-3)는, 제어부(208)의 지시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배치되어야 할 주파수 위치에 대응지어 IFFT 처리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IFFT부(218-1, 218-2, 218-3)에 입력된 신호(즉, ACK/NACK 신호, A/N 리소스의 참조 신호, 묶음 ACK/NACK 리소스의 참조 신호, 묶음 ACK/NACK 신호)는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된다.
CP 부가부(219-1, 219-2, 219-3)는, IFFT 후의 신호의 후미 부분과 동일한 신호를 CP로서 그 신호의 선두에 부가한다.
시간 다중부(220)는, CP 부가부(219-3)로부터 입력되는 묶음 ACK/NACK 신호(즉, 묶음 ACK/NACK 리소스의 데이터 부분을 이용해 송신되는 신호)와, CP 부가부(219-2)로부터 입력되는 묶음 ACK/NACK 리소스의 참조 신호를, 묶음 ACK/NACK 리소스에 시간 다중하고, 얻어진 신호를 선택부(221)에 출력한다.
선택부(221)는, 제어부(208)의 지시에 따라, 시간 다중부(220)로부터 입력되는 묶음 ACK/NACK 리소스와 CP 부가부(219-1)로부터 입력되는 A/N 리소스의 어느 것인가를 선택하고, 선택한 리소스에 할당된 신호를 무선 송신부(222)에 출력한다.
무선 송신부(222)는, 선택부(221)로부터 받는 신호에 대해서 D/A 변환, 증폭 및 업 컨버트 등의 송신 처리를 행하여, 안테나로부터 기지국(100)에 송신한다.
[기지국(100) 및 단말(200)의 동작]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기지국(100) 및 단말(2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말(200)에 대해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이 적용되고, 복수의 단위 밴드를 이용하여 기지국(100)과 통신한다. 또, 복수의 단위 밴드(PCell 및 SCell)의 각각에 UL-DL 컨피규레이션(구성 패턴에 상당)이 설정되어 있다.
또, 단말(200)(무선 송신부(222))은, 복수의 단위 밴드 중, PCell에서 수신된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 및, SCell에서 수신된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를, PCell을 이용해서 송신한다. 즉,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적용시에는, 응답 신호는, 항상 PCell에서 송신된다. 이때, 단말(200)은, PCell에 설정되는 UL-DL 컨피규레이션과 SCell에 설정되는 UL-DL 컨피규레이션이 다를 경우, SCell의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를, PCell을 이용해서, PCell 및 SCell의 UL-DL 컨피규레이션의 조합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참조 UL-DL 컨피규레이션의 UL 서브프레임의 타이밍으로 송신한다.
또, 단말(200)은, DL HARQ를 서포트하고, 재송용 버퍼(소프트 버퍼)를 보지(保持)한다. 또, 단말(200)에 대해서 복수의 단위 밴드(PCell 및 SCell)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소프트 버퍼는, PCell용의 소프트 버퍼, 및, SCell용의 소프트 버퍼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말(200)은, PCell에 설정되는 UL-DL 컨피규레이션의 DL 서브프레임 세트가, SCell에 설정되는 UL-DL 컨피규레이션의 DL 서브프레임의 슈퍼셋일 경우(즉, PCell이 DL 헤비인 경우), 또는, PCell에 설정되는 UL-DL 컨피규레이션의 DL 서브프레임 세트가, SCell에 설정되는 UL-DL 컨피규레이션의 DL 서브프레임의 슈퍼셋도 서브셋도 아닌 경우(즉, PCell이 DL 헤비도 UL 헤비도 아닌 경우), P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과 S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의 조합에 의해 규정되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에 기초하여, SCell의 소프트 버퍼를 분할한다.
이하에서는, P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과 S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의 조합에 의해 규정되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를,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라고 부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는, SCell이 참조 UL-DL 컨피규레이션을 참조했을 경우에 SCell에 있어서 확보해야 할 DL HARQ 프로세스수의 최대값을 나타낸다.
PCell이 DL 헤비인 경우, 또는, PCell이 DL 헤비도 UL 헤비도 아닌 경우,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는, S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이 규정하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 이상, 그리고 또, SCell에 있어서 PDSCH-PUCCH 타이밍을 참조하는 UL-DL 컨피규레이션(참조 UL-DL Configuration)이 규정하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 미만으로 설정된다.
도 17은,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의 설정 방법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17(a)는, non-CA시(時)에 Config#0이 설정된 경우를 나타내고, 도 17(b)는, PCell에 Config#1이 설정되고, SCell에 Config#0이 설정된 경우(즉, PCell이 DL 헤비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 17(c)는, non-CA시에 Config#1이 설정된 경우를 나타낸다. 또, 도 17(b)에서는, SCell에 있어서, PCell에 설정된 Config#1의 PDSCH-PUCCH 타이밍이 참조된다.
예를 들면, 도 17(b)에서는,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는, SCell에 설정된 Config#0(도 17(a))이 규정하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인 4 이상, 그리고 또, SCell이 PDSCH-PUCCH 타이밍을 위해서 참조하는 Config#1(도 17(c))이 규정하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인 7 미만의 값인 5로 설정된다.
여기서, PCell이 DL 헤비인 경우에 있어서, P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과 S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의 조합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의 설정 범위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를, S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이 규정하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은 이하의 이유 때문이다. 즉, DL 헤비인 PCell(즉, UL 서브프레임 수가 적어 PUCCH 송신 기회가 적은 PCell)에 있어서, SCell의 PDSCH에 대한 PUCCH 송신을 보증하기 위해서, SCell에서의 PDSCH RTT가 커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도 17(a)에 나타내는 단위 밴드에 설정된 Config#0에 기초하는 DL HARQ 타이밍(non-CA의 경우)에서는, PDSCH RTT가 10㎳이다. 이것에 비해서, 도 17(b)에 나타내는 것처럼 SCell의 PDSCH-PUCCH 타이밍으로서 Config#1(참조 UL-DL Configuration)(PDSCH RTT는 11㎳)을 참조할 경우에는, 보다 큰 PDSCH RTT를 가짐과 동시에, 보다 DL 헤비인 UL-DL 컨피규레이션을 참조하기 때문에, PDSCH RTT는 참조 UL-DL 컨피규레이션의 PDSCH RTT보다 큰, 최대 14㎳이다. 이와 같이, 도 17(b)에서는, 도 17(a)와 비교해서, SCell에서의 PDSCH RTT가 커지는 만큼, IR 버퍼를 배분해야 할 DL HARQ 프로세스수(즉,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가 증가한다. 구체적으로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는, 도 17(a)에서는 4개인데 비해, 도 17(b)에서는 1개 증가하여 5개이다. 이와 같이,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는, S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이 규정하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보다 많이 설정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도 18은, 각 UL-DL 컨피규레이션에 있어서의 PDSCH RTT의 최대값을 나타낸다. 도 18에 나타내는 것처럼, Config#1은 PDSCH RTT가 11msec인데 비해, Config#6에서는 14msec이다. PCell이 Config#1, SCell이 Config#6일 때, PCell에 있어서, SCell의 PDSCH에 대한 PUCCH 송신을 보증하면, 참조 UL-DL 컨피규레이션(Config#1)은, S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Config#6)보다 DL 헤비이기는 하지만, PDSCH RTT는 보다 작다. 따라서, 이 UL-DL 컨피규레이션 조합만,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는, S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이 규정하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보다, 반드시 커지는 것은 아니다. 상세한 것은, Config#1은 Config#6보다 DL 헤비인 한편으로, PDSCH RTT는 보다 작으며, 이때 SCell이 Config#6인 조합(PCell이 DL 헤비인 경우)에 있어서,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즉, 소프트 버퍼의 분할수)와, S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이 규정하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 사이의 등호가 성립한다. 또, Config#2는 Config#6보다 DL 헤비인 한편으로, PDSCH RTT는 보다 작으며, 이때는, SCell이 Config#6인 조합(PCell이 DL heavy인 경우)에 있어서,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즉, 소프트 버퍼의 분할수)는, S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이 규정하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보다 크다.
또,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를, SCell의 참조 UL-DL 컨피규레이션이 규정하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 미만으로 설정하는 것은 이하의 이유 때문이다. 즉, SCell에서는, S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도 17(b)에서는 Config#0)보다 DL 헤비인 UL-DL 컨피규레이션 (도 17(b)에서는 Config#1)을 참조하지만, SCell에 할당되는 DL 서브프레임수는 S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도 17(b)에서는 Config#0)인 채이기 때문이다. 즉, 참조 UL-DL 컨피규레이션보다 S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에 있어서의 DL 서브프레임이 적기 때문에, SCell에 있어서 실제로 필요한 DL HARQ 프로세스수(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는, 참조 UL-DL 컨피규레이션이 규정하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보다 적어진다.
또한, 도 17 및 도 18을 이용하여, PCell이 DL 헤비인 경우에 있어서의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의 설정 범위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PCell이 DL 헤비도 UL 헤비도 아닌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9(a)는, PCell 및 SCell의 UL-DL 컨피규레이션의 조합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의 일례를 나타낸다. 또, 도 19(b)는, PCell 및 SCell의 UL-DL 컨피규레이션의 조합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SCell의 참조 UL-DL 컨피규레이션을 나타낸다.
도 19(a)에 있어서, PCell이 UL 헤비인 경우에는,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는, S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이 규정하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도 7(b) 참조)와 동일하다.
한편, 도 19(a)에 있어서, PCell이 DL 헤비인 경우, 또는, PCell이 DL 헤비도 UL 헤비도 아닌 경우, 어느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도, S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이 규정하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 이상(以上)이면서 또, SCell의 참조 UL-DL 컨피규레이션이 규정하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도 7(b) 참조) 미만의 값인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도 19(a)에 있어서,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를 나타내는 값의 제 1 항은 S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이 규정하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를 나타내고, 제 2 항은, 상술한 PDSCH RTT의 증가에 기인한 DL HARQ 프로세스수의 증가분을 나타낸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9(b)에 나타내는 것처럼, PCell이 DL 헤비인 경우, SCell의 참조 UL-DL 컨피규레이션은, P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이다. 또, PCell이 DL 헤비도 UL 헤비도 아닌 경우, SCell의 참조 UL-DL 컨피규레이션은, PCell 및 SCell의 양쪽 DL 서브프레임과 동일 타이밍으로 DL 서브프레임이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이다.
여기서, 도 19(a)에 나타내는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를 MREF _ DL _ HARQ , SCell로 정의하면, SCell에 있어서의 IR 버퍼 사이즈 NIR , SCell은, 다음 수학식 (2)로 표시된다. 즉, SCell용의 소프트 버퍼는,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 MREF _ DL _ HARQ , SCell 및 소정의 임계값 Mlimit 중 작은 값과 동일 수의 IR 버퍼로 분할된다(단, KMIMO=1이라고 한다).
Figure 112014012518556-pct00002
한편, PCell에 대해서는,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과 참조하는 UL-DL 컨피규레이션이 항상 동일하다. 따라서, 도 7(b)에서 규정하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를 MDL _ HARQ , PCell이라고 정의하면, PCell에 있어서의 IR 버퍼 사이즈 NIR , PCell은, 다음 수학식 (3)으로 표시된다.
Figure 112014012518556-pct00003
예를 들면, 기지국(100) 및 단말(200)은, 도 19(a)에 나타내는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의 결정 테이블을 미리 보지하고 있다. 기지국(100)은, 단말(200)에 대해서, PCell 및 SCell의 각 UL-DL 컨피규레이션을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단말(200)은, 자기(自機)에 설정된 PCell 및 SCell의 각 UL-DL 컨피규레이션의 조합과, 보지하고 있는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의 결정 테이블에 기초하여,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를 특정한다. 그리고, 단말(200)은,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 따라, SCell의 IR 버퍼 사이즈(NIR , SCell) 및 PCell의 IR 버퍼 사이즈(NIR , PCell)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도 17(b)에 나타내는 PCell(Config#0) 및 SCell(Config#1)이 설정된 단말(200)은, 도 19(a)를 참조하여,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를 5로 설정한다. 그리고, 단말(200)은, MREF _ DL _ HARQ , SCell=5로 하여, 수학식 (2)에 따라, SCell의 IR 버퍼 사이즈(NIR , SCell)를 산출한다. 즉, 단말(200)은, 도 20에 나타내는 것처럼, SCell용 소프트 버퍼를,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5프로세스)로 분할한다. 이것에 의해, SCell에 대해서 5개의 IR 버퍼가 배분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단말(200)은, P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과 S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특정의 값에 상당)에 기초하여, SCell의 소프트 버퍼를, 복수의 IR 버퍼(재송 프로세스별 버퍼)로 분할한다.
이것에 의해, 단말(200)은, SCell의 참조 UL-DL 컨피규레이션을 고려한 DL HARQ 프로세스수(즉,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에 기초하여, SCell용의 IR 버퍼를 배분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SCell이 참조 UL-DL 컨피규레이션의 타이밍을 참조하는 경우에도, 일부 DL HARQ 프로세스에 대해서 IR 버퍼를 배분하지 못하여, HARQ 재송에 의한 부호화 게인이 얻어지지 못하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단말(200)에서는, SCell에 대한 전부의 DL HARQ 프로세스에 대해서, IR 버퍼를 배분하여 DL HARQ를 서포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전부의 DL HARQ 프로세스에 대해서, HARQ에 의한 부호화 게인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학식 (2)에 나타내는 것처럼, IR 버퍼 배분시에, 도 19(a)에 나타내는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 MREF _ DL _ HARQ , SCell과, Mlimit=8을 비교하여, 작은 값이 우선적으로 사용된다. 그래서, 기지국(100) 및 단말(200)은, P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과 S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의 각 조합에 있어서의, 수학식 (2)에 나타내는 min(MREF _ DL _ HARQ , SCell, Mlimit)의 계산 결과를 규정하는 테이블(예를 들면, 도 21 참조)을 미리 보지하고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단말(200)에서는, 수학식 (2)에 나타내는 min(MREF _ DL _ HARQ , SCell, Mlimit)의 연산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지국(100) 및 단말(200)이 도 19(a)에 나타내는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 결정 테이블을 보지하지 않고, 기지국(100)은, 단말(200)에 대해서,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 MREF _ DL _ HARQ , SCell을 통지해도 좋다. 즉, 기지국(100)은, S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이 규정하는 DL HARQ 프로세스수 이상이면서 또, SCell이 DL HARQ 타이밍을 위해서 참조하는 UL-DL 컨피규레이션이 규정하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 미만인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 MREF _ DL _ HARQ , SCell을 통지해도 좋다. 또는, 기지국(100)은, 단말(200)에 대해서,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를 이용한 min(MREF _ DL _ HARQ , SCell, Mlimit)의 계산 결과를 통지해도 좋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서는,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로서, SCell이 DL HARQ 타이밍을 위해서 참조하는 UL-DL 컨피규레이션이 규정하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지국(100) 및 단말(200)은,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를 결정하기 위해서, 도 22(a)에 나타내는 SCell의 참조 UL-DL 컨피규레이션의 결정 테이블과, 도 22(b)에 나타내는 각 UL-DL 컨피규레이션에 대한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의 결정 테이블을 보지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200)은, 도 22(a)에 나타내는 참조 UL-DL 컨피규레이션의 결정 테이블과, PCell 및 SCell에 각각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의 조합을 참조하여, SCell의 참조 UL-DL 컨피규레이션을 특정한다. 그 다음에, 단말(200)은, 도 22(b)에 나타내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의 결정 테이블과, 도 22(a)를 이용하여 결정한 SCell의 참조 UL-DL 컨피규레이션을 참조하여,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 MREF _ DL _ HARQ , SCell을 특정한다. 그리고, 단말(200)은,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수학식 (2)에 따라, 해당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 MREF _ DL _ HARQ , SCell에 기초하여, SCell의 소프트 버퍼를 분할한다.
예를 들면, 단말(200)에 대해서 PCell에 Config#1이 설정되고, SCell에 Config#0이 설정된 경우, 단말(200)은, 도 22(a)에 나타내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SCell의 참조 UL-DL 컨피규레이션으로서, Config#1을 결정한다. 그 다음에, 단말(200)은, 결정한 Config#1과 도 22(b)에 나타내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 MREF _ DL _ HARQ , SCell=7을 결정한다. 이 경우, 단말(200)은, SCell용 소프트 버퍼를 7개의 IR 버퍼로 분할한다.
도 22(a)에서는, PCell이 DL 헤비인 경우, SCell의 참조 UL-DL 컨피규레이션은 P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이고, PCell이 UL 헤비인 경우(즉, SCell이 DL 헤비인 경우), SCell의 참조 UL-DL 컨피규레이션은, S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이고, PCell이 DL 헤비도 UL 헤비도 아닌 경우, SCell의 참조 UL-DL 컨피규레이션은, PCell 및 SCell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DL 헤비인 UL-DL 컨피규레이션이다.
즉, SCell의 참조 UL-DL 컨피규레이션에는, S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에 대해서, 동일 또는 DL 헤비인 UL-DL 컨피규레이션이 항상 설정된다. DL 헤비인 UL-DL 컨피규레이션일수록, 필요한 DL HARQ 프로세스수는 보다 많아진다. 단,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것처럼, SCell에 있어서 참조 UL-DL 컨피규레이션의 DL HARQ 타이밍을 참조했을 때, SCell에 대해서 필요한 DL HARQ 프로세스수는, SCell의 참조 UL-DL 컨피규레이션이 규정하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를 초과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처럼, SCell용의 소프트 버퍼 분할수의 결정에 이용되는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로서, SCell의 참조 UL-DL 컨피규레이션이 규정하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를 이용함으로써, 단말(200)에서는, SCell에 대한 전부의 DL HARQ 프로세스에 대해서, IR 버퍼를 배분하여 DL HARQ를 서포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부의 DL HARQ 프로세스에 대해서, HARQ에 의한 부호화 게인을 얻을 수 있다.
또, 도 22(b)는, 도 7(b)에 나타내는 기존의 테이블과 동일하다. 또, 도 22(a)는, 도 19(b)와 동일한 테이블이다. 또, 도 22(a)(도 19(b))에 나타내는 테이블은, 상술한 것처럼, SCell의 DL HARQ 타이밍(즉, PCell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SCell의 응답 신호의 송신 타이밍)을 규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테이블이다. 즉, 도 22(a)에 나타내는 테이블은, SCell의 소프트 버퍼 분할수의 결정과는 관계없이 필요한 테이블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지국(100) 및 단말(200)은, SCell의 소프트 버퍼의 분할수를 결정하기 위한 새로운 테이블(예를 들면 도 19(a)에 나타내는 테이블)을 보지할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실시형태 1과 비교하여, 기지국(100) 및 단말(200)의 구성을 간이하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1에서는,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 비설정시(CIF(Cross Indicator Field) 비설정시, 또는, 셀프 스케줄링(Self scheduling) 설정시라고 불리는 일도 있음)에 대해서 설명했다. 즉, 실시형태 1에서는, PCell의 PDSCH에 대한 DL 어사인먼트(assignment)(리소스 할당 정보)를 PCell의 PDCCH로 통지되고, SCell의 PDSCH에 대한 DL 어사인먼트를 SCell의 PDCCH로 통지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이것에 비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설정을 고려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란, 어느 단위 밴드의 PDCCH를 이용하여, 다른 단위 밴드의 리소스 할당을 스케줄링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면, SCell의 PDSCH에 대한 DL 어사인먼트(리소스 할당 정보)에 대해서 단말(200)에서 큰 간섭을 받는 경우 등, SCell의 PDCCH의 품질을 보증할 수 없는 경우에 대비하여, PCell로부터 SCell에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된다. 이 경우, 기지국(100)은, SCell의 PDSCH에 대한 DL 어사인먼트를, PCell의 PDCCH로 통지한다(예를 들면, 도 23(a) 및 도 23(b)에 나타내는 점선 화살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설정시, 그리고 또, PCell이 UL 헤비인 경우(도 23(a) 참조) 또는 PCell이 DL 헤비도 UL 헤비도 아닌 경우(도시하지 않음), PCell이 UL 서브프레임이 되고, 동시에, SCell이 DL 서브프레임이 되는 타이밍이 발생한다(예를 들면, 도 23(a)에 나타내는 SF#4, #9). 이 타이밍에서는, 기지국(100)은, SCell의 PDSCH를 지시하는 DL 어사인먼트를, PCell의 PDCCH를 이용해서 통지할 수 없기 때문에, SCell의 PDSCH 할당을 행할 수 없다. 따라서, 해당 타이밍에서는, SCell의 DL 서브프레임을 이용할 수 없다.
한편,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비설정시(도시하지 않음)에는, SCell의 PDSCH를 지시하는 DL 어사인먼트는, SCell의 PDCCH를 이용해 통지되므로, PCell이 UL 서브프레임이 되고, 동시에, SCell이 DL 서브프레임이 되는 타이밍에도, SCell에서는 DL 서브프레임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PCell이 UL 서브프레임이 되고, 동시에, SCell이 DL 서브프레임이 되는 타이밍에 있어서 SCell의 DL 서브프레임을 이용할 수 있는지 없는지는, 복수의 단위 밴드 사이에서 UL-DL 컨피규레이션이 다른 경우에 있어서의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비설정시와 설정시의 차이의 하나이다.
상기 타이밍으로 SCell의 DL 서브프레임을 이용할 수 없는 만큼,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설정시 쪽이,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비설정시보다, SCell에서 이용할 수 있는 DL 서브프레임수가 적어진다. 이 때문에,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도,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설정시 쪽이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비설정시보다 적어진다. 따라서,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SCell의 소프트 버퍼의 분할수는,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설정시 쪽이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비설정시보다 적어진다.
또한, 도 23(a)에서는, PCell이 UL 서브프레임이 되고, 동시에, SCell이 DL 서브프레임이 되는 타이밍(SF#4, #9)에 있어서 SCell의 DL 서브프레임을 이용할 수 없는데 더해, 그 DL 서브프레임에 PDSCH-PUCCH 타이밍으로 대응하는 PCell의 UL 서브프레임 (SF#8, #3)도 이용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설정시, 그리고 또, PCell이 UL 헤비인 경우에는, 도 23(b)에 나타내는 것처럼, SCell에 있어서, 항상, P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의 PDSCH-PUCCH 타이밍을 참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SCell의 DL 서브프레임에 PDSCH-PUCCH 타이밍으로 대응하는 PCell의 UL 서브프레임을 이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런데,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의 설정ㆍ비설정의 변경은, 기지국(100)으로부터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통지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또, 상술한 것처럼, SCell의 소프트 버퍼의 분할수 및 DL HARQ 프로세스수는,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의 설정시와 비설정시에서 다르다. 따라서, 기지국(100)이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의 설정 변경을 행했을 경우, 도 24에 나타내는 것처럼, 설정 변경의 전후에서, SCell의 소프트 버퍼의 분할수가 변경되고, 소프트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의 참조 위치가 바뀌어 버린다. 이 때문에,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의 설정 변경 전후에서 SCell의 DL HARQ를 계속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는 과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말(200)은,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설정시 및 비설정시(즉, 셀프 스케줄링 설정시) 중,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가 보다 많은 쪽으로 SCell의 소프트 버퍼를 분할한다. 즉, 소프트 버퍼의 분할수는,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설정/비설정의 상황에 상관없이, 어느 것인가 한쪽의 스케줄링 방법 설정시에 있어서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보다 상세한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는,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비설정시 쪽이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설정시보다 많아진다. 그래서, 단말(200)은,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의 설정ㆍ비설정의 상황에 상관없이, 항상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비설정시에 있어서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에 기초하여, SCell의 소프트 버퍼를 분할한다. 예를 들면, 단말(200)은,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도 19(a)에 나타내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비설정시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를 결정해도 좋다. 또는, 단말(200)은,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도 22(a) 및 도 22(b)에 나타내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비설정시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를 결정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비설정시에는, 실시형태 1 또는 2와 마찬가지로, 전부의 DL HARQ 프로세스에 대해서, IR 버퍼를 배분하여 DL HARQ를 서포트할 수 있다. 또,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비설정시보다 필요한 DL HARQ 프로세스수가 적은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설정시에도, 전부의 DL HARQ 프로세스에 대해서, IR 버퍼를 배분하여 DL HARQ를 서포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의 설정 변경 전후에서, 전부의 DL HARQ 프로세스에 대해서, IR 버퍼를 배분하여 DL HARQ를 서포트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의 설정 변경 전후에서 SCell의 소프트 버퍼의 분할 방법이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설정 변경 전후에 있어서도, 소프트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의 참조 위치가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SCell의 DL HARQ 프로세스를 계속할 수 있다. 따라서, 전부의 DL HARQ 프로세스에 대해서 HARQ에 의한 부호화 게인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의 설정 변경 빈도가 낮은 경우에는,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의 설정 변경 전후에서 DL HARQ를 계속할 수 있음에 의한, 부호화 게인은 작아진다. 즉,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의 설정 변경 빈도가 낮은 경우에는, DL HARQ를 계속할 수 없게 되는 것에 의한 영향은 작다. 그래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의 설정 변경 빈도가 낮은 경우, 기지국(100) 및 단말(200)은,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설정시에는, 도 25에 나타내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를 결정하고,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비설정시에는 실시형태 1의 테이블(도 19(a)) 또는 실시형태 2의 테이블(도 22(a) 및 도 22(b))을 참조하여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를 결정해도 좋다. 도 25에서는, PCell이 UL 헤비인 경우,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로서, P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이 규정하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가 설정된다. 또, 도 25에서는, PCell이 DL 헤비인 경우 또는 PCell이 DL 헤비도 UL 헤비도 아닌 경우, P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이 규정하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제 1 항)로부터, PCell에서 DL 서브프레임이면서 또 SCell에서 UL 서브프레임이 되는 타이밍으로는 DL 서브프레임을 이용할 수 없는 것에 의한, PCell에 설정된 UL-DL 컨피규레이션으로부터의 이용할 수 없는 DL 서브프레임의 감소에 기인한 DL HARQ 프로세스수의 감소분(제 2 항)을 뺀 값이,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로서 설정된다.
(실시형태 4)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단위 밴드의 UL-DL 컨피규레이션이 동적(動的)으로 전환되는 경우(즉, TDD eIMTA 적용시)에 대해 설명한다.
TDD eIMTA 적용의 일례로서 매크로 셀(Pcell)과 피코 셀(SCell)의 인터밴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Inter-band Carrier Aggregation)에 있어서, 피코 셀(SCell)에서 UL-DL 컨피규레이션이 동적으로 전환되는 것이 상정된다.
TDD eIMTA를 서포트하는 단말끼리에서 다른 UL-DL 컨피규레이션이 설정되면, 해당 단말간에서는 상향 통신으로부터 하향 통신으로의 간섭(이하, 「UL-DL 간섭」이라고 불리는 일이 있음)이 발생해 버린다. 이 UL-DL 간섭의 발생을 회피하기 위해서, TDD eIMTA를 서포트하는 단말에서는, UL-DL 컨피규레이션의 변경을, 단말별(UE specific)이 아니라, 셀별(Cell specific)로 행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셀별로 UL-DL 컨피규레이션을 변경할 경우, TDD eIMTA를 서포트하는 많은 단말에서는, 전부의 DL HARQ 프로세스가 완료해 있지 않은 상태(즉, 기지국으로 ACK를 되돌리지 않은 상태)에서, UL-DL 컨피규레이션이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
또, 도 7(b)에 나타내는 것처럼, 다른 UL-DL 컨피규레이션 사이에서는,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MDL_HARQ)가 다르다. 이 때문에, 적어도 변경 전후의 어느 것인가 한쪽 UL-DL 컨피규레이션에 대한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가 8 미만일 경우, 1TB당의 IR 버퍼 사이즈도, UL-DL 컨피규레이션의 변경 전후에서 다르다. 예를 들면, 도 26에서는, Config#0으로부터 Config#1로 변경되었을 경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도 4프로세스에서 7프로세스로 변경된다.
이것에 의해, 도 26에 나타내는 것처럼, UL-DL 컨피규레이션의 변경 전후에서 소프트 버퍼의 분할수도 다르므로, UL-DL 컨피규레이션의 변경 전후에서 소프트 버퍼상의 데이터 참조 위치가 다르다. 이 때문에, 단말은, 저장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판독하지 못하고, UL-DL 컨피규레이션의 변경 전후에 있어서 DL HARQ를 계속할 수 없기 때문에, UL-DL 컨피규레이션의 변경 전후에 있어서의 HARQ 재송 성능의 열화가 염려된다. HARQ 재송 성능 열화는, 상술한 UL-DL 컨피규레이션 변경의 방법 (1) 또는 방법 (2)와 같은 저ㆍ중 빈도(頻度)의 UL-DL 컨피규레이션 변경의 경우에서도 볼 수 있지만, 특히, 방법 (3)과 같이 고빈도로 UL-DL 컨피규레이션을 변경할 경우에 보다 현저하게 나타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위 밴드 사이에서 다른 UL-DL 컨피규레이션이 설정되었을 경우, 그리고 또, 각 셀에서 UL-DL 컨피규레이션이 동적으로 전환될 경우, 기지국(100)은, 단말(200)에 설정 가능한, PCell 및 SCell의 UL-DL 컨피규레이션의 조합을 한정하고, 해당 UL-DL 컨피규레이션의 조합에 의해 규정되는,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 중의 최대값을 이용하여, SCell용의 소프트 버퍼를 분할한다. 즉, 단말(200)은, 단말(200)에 설정 가능한 PCell 및 SCell의 UL-DL 컨피규레이션 조합의 후보군(候補群)의 각각에 의해 결정되는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 중의 최대값에 기초하여, SCell용의 소프트 버퍼를 분할한다.
도 27(a)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의 설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7(b)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SCell의 참조 UL-DL 컨피규레이션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27(a)에 나타내는 PCell 및 SCell의 UL-DL 컨피규레이션의 조합 중, 단말(200)에 대해서 설정 가능한 조합(PCell, SCell)을, (Config#0, Config#0), (Config#0, Config#6), (Config#0, Config#1), (Config#6, Config#6), (Config#6, Config#1), 및, (Config#1, Config#1)의 6조로 한다(타원으로 나타낸 조합).
도 27(a)에 나타내는 것처럼,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는, 상기 단말(200)에 설정 가능한 PCell 및 SCell의 조합(PCell, SCell)의 순으로, 각각, 4, 6, 7, 6, 7, 7이다. 단말(200)은, 이러한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 중의 최대값 7을 이용하여, SCell용 소프트 버퍼를 분할한다. 예를 들면, 단말(200)은, 수학식 (2)에 있어서 MREF _ DL _ HARQ , SCell=7로서, SCell용 IR 버퍼를 계산한다. 이 경우, 단말(200)은, SCell용 소프트 버퍼를 7개의 IR 버퍼로 분할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단말(200)에 설정 가능한 PCell 및 SCell의 어느 조합으로 변경된 경우에도, 단말(200)에서는, SCell용의 IR 버퍼가 부족할 일은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단말(200)에서는, SCell에 대한 전부의 DL HARQ 프로세스에 대해서, HARQ에 의한 부호화 게인을 얻을 수 있다.
또, UL-DL 컨피규레이션의 변경 전후에 있어서, SCell용 소프트 버퍼의 분할수가 바뀌지 않기 때문에, 소프트 버퍼상의 데이터 참조 위치도 바뀌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200)은, UL-DL 컨피규레이션이 변경되어도, 변경 전의 저장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판독할 수 있으므로, UL-DL 컨피규레이션의 변경 전후에 있어서 DL HARQ를 계속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UL-DL 컨피규레이션의 변경 전후에 있어서의 HARQ 재송 성능의 열화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00)은, 단말(200)에 대해서 설정 가능한 PCell 및 SCell의 UL-DL 컨피규레이션의 조합을 미리 통지해도 좋다. 또는, 기지국(100)은, 단말(200)에 대해서 설정 가능한 PCell 및 SCell의 UL-DL 컨피규레이션의 조합을 통지하는 대신에, 단말(200)에 대해서 min(MREF _ DL _ HARQ , SCell, Mlimit)의 계산 결과를 통지해도 좋다. 이 경우, 해당 계산 결과는, 4~8의 값을 취하기 때문에, 3비트로 통지할 수 있다. 한편, PCell 및 SCell의 UL-DL 컨피규레이션 조합의 통지에는, UL-DL 컨피규레이션이 Config#0~#6의 7가지(3비트)이기 때문에, (3+3)×n(n : 조합수)비트가 필요하다. 따라서, 기지국(100)이 상기 계산 결과만을 통지함으로써, PCell 및 SCell의 UL-DL 컨피규레이션 조합을 통지하는 경우와 비교해, 단말(200)에 통지하는 비트수를 크게 삭감할 수 있다.
또, 도 27(a)에 있어서, SCell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가 8 이상이 되는 조합은, 전 49조 중, 34조로 많다. 따라서, 수학식 (2) 중의 min(MREF _ DL _ HARQ , SCell, Mlimit)의 계산 결과는, 많은 조합에서 8(=Mlimit)이 될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기지국(100)은, 단말(200)에 대해서 설정 가능한 PCell 및 SCell의 UL-DL 컨피규레이션의 조합, 또는, min(MREF _ DL _ HARQ , SCell, Mlimit)의 계산 결과를, 단말(200)에 대해서 미리 통지하지 않고, 단말(200)이 이하의 동작을 행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단위 밴드 사이에서 다른 UL-DL 컨피규레이션이 설정되고, 그러면서 또, UL-DL 컨피규레이션을 동적으로 바꾸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TDD eIMTA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말(200)은, 항상 min(MREF _ DL _ HARQ , SCell, Mlimit)=8로서, SCell의 IR 버퍼 사이즈를 계산해도 좋다. 또, 단위 밴드 사이에서 다른 UL-DL 컨피규레이션이 설정되고, 그리면서 또, UL-DL 컨피규레이션을 동적으로 바꾸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TDD eIMTA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말(200)은, 실시형태 1~3에 나타내는 방법에 따라 SCell의 IR 버퍼 사이즈를 계산해도 좋다.
또, 실시형태 3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설정시에 대해서 검토할 수 있다. 즉, 단말(200)은, 단말(200)에 설정 가능한 PCell 및 SCell의 UL-DL 컨피규레이션의 조합에 의해 규정되는,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비설정시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와, 상기 UL-DL 컨피규레이션의 조합에 의해 규정되는,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설정시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 중에서 최대값을 이용하여, SCell의 소프트 버퍼를 등분할(等分割)하면 된다.
보다 상세한 것은, 실시형태 3에서 설명한 것처럼,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비설정시 쪽이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설정시보다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가 많아진다. 그래서, 단말(200)은,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의 설정ㆍ비설정에 상관없이, 단말(200)에 설정 가능한 UL-DL 컨피규레이션의 조합에 의해 규정되는,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비설정시의 참조 최대 DL HARQ 프로세스수 중의 최대값을 항상 이용하여, SCell의 소프트 버퍼를 분할하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SCell이라는 표현을 이용했지만, 이것은, 1개의 SCell 또는 1종류의 UL-DL 컨피규레이션이 설정된 SCell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PCell과 각 SCell에 대해서 각각 적용할 수 있다. 또, 각 SCell에 있어서, 다른 UL-DL 컨피규레이션이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각 안테나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안테나 포트(antenna port)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안테나 포트란, 1개 또는 복수의 물리 안테나로 구성되는, 논리적인 안테나를 가리킨다. 즉, 안테나 포트는 반드시 1개의 물리 안테나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는 어레이 안테나 등을 가리키는 일이 있다.
예를 들면 LTE에 있어서는, 안테나 포트가 몇 개의 물리 안테나로 구성되는지는 규정되지 않고, 기지국이 다른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를 송신할 수 있는 최소 단위로서 규정되고 있다.
또, 안테나 포트는 프리코딩 벡터(Precoding vector)의 가중치를 곱셈하는 최소 단위로서 규정되는 일도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하드웨어로 구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하드웨어와의 연계에 있어서 소프트웨어에서 실현되는 일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각 기능 블록은, 전형적으로는 집적회로인 LSI로서 실현된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1칩화되어도 좋고,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도록 1칩화되어도 좋다. 여기에서는, LSI라고 했지만, 집적도의 차이에 의해, IC,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라고 호칭되는 일도 있다.
또, 집적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해도 좋다.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리컨피규러블 프로세서를 이용해도 좋다.
또,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별개의 기술에 의해 LSI에 대체되는 집적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해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실시해도 좋다. 바이오 기술의 적용 등이 가능성으로서 있을 수 있다.
이상,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는, 복수의 단위 밴드를 이용해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밴드의 각각에는, 1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의 구성 패턴이며, 하향 회선의 통신에 이용되는 하향 통신 서브프레임 및 상향 회선의 통신에 이용되는 상향 통신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상기 구성 패턴이 설정되는, 단말 장치이며, 상기 복수의 단위 밴드에서 각각 송신된 하향 회선 데이터를 재송용 버퍼에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하향 회선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수단과, 상기 하향 회선 데이터의 오류 검출 결과를 이용해서 응답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복수의 단위 밴드 중, 제 1 단위 밴드에서 수신된 제 1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 및, 제 2 단위 밴드에서 수신된 제 2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제 1 단위 밴드를 이용해서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버퍼는, 상기 제 1 하향 회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 버퍼와, 상기 제 2 하향 회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2 버퍼를 가지고, 상기 제 2 버퍼는, 상기 제 1 단위 밴드에 설정된 제 1 구성 패턴과, 상기 제 2 단위 밴드에 설정된 제 2 구성 패턴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특정 값에 기초하여, 재송 프로세스별 영역으로 분할되는 구성을 취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제 1 구성 패턴과 상기 제 2 구성 패턴이 다를 경우, 상기 제 2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제 1 단위 밴드를 이용하여, 상기 조합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제 3 구성 패턴의 상향 통신 서브프레임의 타이밍으로 송신하고, 상기 특정 값은, 상기 제 3 구성 패턴에 규정된 재송 프로세스수의 최대값이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제 1 구성 패턴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2 구성 패턴의 하향 통신 서브프레임과 동일 타이밍으로 하향 통신 서브프레임이 설정되어 있는 상기 조합에서는, 상기 제 3 구성 패턴은, 상기 제 1 구성 패턴이며, 상기 제 1 구성 패턴과 상기 제 2 구성 패턴에, 적어도, 서로 다른 타이밍으로 설정된 하향 통신 서브프레임이 각각 포함되는 상기 조합에서는, 상기 제 3 구성 패턴은, 적어도, 상기 제 1 구성 패턴 및 상기 제 2 구성 패턴의 양쪽의 하향 통신 서브프레임과 동일 타이밍으로 하향 통신 서브프레임이 설정되는 제 4 구성 패턴이며, 상기 제 2 구성 패턴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1 구성 패턴의 하향 통신 서브프레임과 동일 타이밍으로 하향 통신 서브프레임이 설정되어 있는 상기 조합에서는, 상기 제 3 구성 패턴은, 상기 제 2 구성 패턴이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제 1 구성 패턴과 상기 제 2 구성 패턴이 다를 경우, 상기 제 2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제 1 단위 밴드를 이용하여, 상기 조합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제 3 구성 패턴의 상향 통신 서브프레임의 타이밍으로 송신하고, 상기 제 1 구성 패턴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2 구성 패턴의 하향 통신 서브프레임과 동일 타이밍으로 하향 통신 서브프레임이 설정되어 있는 제 1 조합, 또는, 상기 제 1 구성 패턴과 상기 제 2 구성 패턴에, 적어도 서로 다른 타이밍으로 설정된 하향 통신 서브프레임이 각각 포함되는 제 2 조합에서는, 상기 특정 값은, 상기 제 2 구성 패턴에 규정된 재송 프로세스수의 최대값 이상이면서 또, 상기 제 3 구성 패턴에 규정된 재송 프로세스수의 최대값 미만의 값이고, 상기 제 2 구성 패턴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1 구성 패턴의 하향 통신 서브프레임과 동일 타이밍으로 하향 통신 서브프레임이 설정되어 있는 제 3 조합에서는, 상기 특정 값은, 상기 제 2 구성 패턴에 규정된 재송 프로세스수의 최대값이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제 1 조합에서는, 상기 제 3 구성 패턴은 상기 제 1 구성 패턴이고, 상기 제 2 조합에서는, 상기 제 3 구성 패턴은, 적어도, 상기 제 1 구성 패턴 및 상기 제 2 구성 패턴의 양쪽 하향 통신 서브프레임과 동일 타이밍으로 하향 통신 서브프레임이 설정되는 제 4 구성 패턴이고, 상기 제 3 조합에서는, 상기 제 3 구성 패턴은 상기 제 2 구성 패턴이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제 1 하향 회선 데이터의 리소스 할당 정보를 상기 제 1 단위 밴드를 이용해 통지하고, 상기 제 2 하향 회선 데이터의 리소스 할당 정보를 상기 제 2 단위 밴드를 이용해 통지하는 제 1 스케줄링 방법과, 상기 제 1 하향 회선 데이터 및 상기 제 2 하향 회선 데이터의 양쪽의 리소스 할당 정보를 상기 제 1 단위 밴드를 이용해서 통지하는 제 2 스케줄링 방법 사이에서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스케줄링 방법을 전환 가능하고, 상기 제 2 버퍼는, 상기 제 1 스케줄링 방법의 설정시에 있어서의 상기 특정 값에 기초하여 분할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특정 값은, 상기 단말 장치에 설정 가능한 상기 조합의 후보군의 각각에 의해 결정되는 값 중의 최대값이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제 2 버퍼는, 상기 특정 값 및 소정의 임계값 중 작은 값과 동일한 수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제 1 단위 밴드는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이고, 상기 제 2 단위 밴드는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이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버퍼 분할 방법은, 복수의 단위 밴드를 이용해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밴드의 각각에는, 1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의 구성 패턴이며, 하향 회선의 통신에 이용되는 하향 통신 서브프레임 및 상향 회선의 통신에 이용되는 상향 통신 서브프레임을 포함한 상기 구성 패턴이 설정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버퍼 분할 방법이며, 상기 복수의 단위 밴드에서 각각 송신된 하향 회선 데이터를 재송용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하향 회선 데이터를 복호하고, 상기 하향 회선 데이터의 오류 검출 결과를 이용해 응답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밴드 중, 제 1 단위 밴드에서 수신된 제 1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 및, 제 2 단위 밴드에서 수신된 제 2 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제 1 단위 밴드를 이용해서 송신하고, 상기 버퍼는, 상기 제 1 하향 회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 버퍼와, 상기 제 2 하향 회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2 버퍼를 가지고, 상기 제 2 버퍼는, 상기 제 1 단위 밴드에 설정된 제 1 구성 패턴과, 상기 제 2 단위 밴드에 설정된 제 2 구성 패턴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특정 값에 기초하여, 재송 프로세스마다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2012년 7월 17일에 출원한 특허출원 2012-158677의 일본 출원에 포함되는 명세서, 도면 및 요약서의 개시 내용은, 모두 본원에 원용된다.
(산업상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 등에 유용하다.
100 : 기지국
200 : 단말
101, 208 : 제어부
102 : 제어 정보 생성부
103, 105 : 부호화부
104, 107 : 변조부
106 : 데이터 송신 제어부
108 : 매핑부
109, 218 : IFFT부
110, 219 : CP 부가부
111, 222 : 무선 송신부
112, 201 : 무선 수신부
113, 202 : CP 제거부
114 : PUCCH 추출부
115 : 역확산부
116 : 계열 제어부
117 : 상관 처리부
118 : A/N 판정부
119 : 묶음(束) A/N 역확산부
120 : IDFT부
121 : 묶음(束) A/N 판정부
122 : 재송 제어 신호 생성부
203 : FFT부
204 : 추출부
205, 209 : 복조부
206, 210 : 복호부
207 : 판정부
211 : CRC부
212 : 응답 신호 생성부
213 : 부호화ㆍ변조부
214 : 1차 확산부
215 : 2차 확산부
216 : DFT부
217 : 확산부
220 : 시간 다중부
221 : 선택부

Claims (24)

  1. 제 1 하향 회선 데이터를 제 1 단위 밴드에서, 제 2 하향 회선 데이터를 제 2 단위 밴드에서 각각 수신하고, 상기 제 1 단위 밴드에는, 상향 회선 서브프레임 및 하향 회선 서브프레임의 제 1 구성 패턴(UL-DL Configuration)이 설정되고, 상기 제 2 단위 밴드에는, 상향 회선 서브프레임 및 하향 회선 서브프레임의 제 2 구성 패턴(UL-DL Configuration)이 설정되는, 수신부와,
    상기 제 1 하향 회선 데이터와 상기 제 2 하향 회선 데이터의 재송 데이터를 소프트 버퍼에 저장하는 메모리
    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하향 회선 데이터는 상향 회선 서브프레임 및 하향 회선 서브프레임의 참조 구성 패턴에 있어서 실행되는 DL HARQ(이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재송 프로세스의 최대값과 관련하여, 상기 소프트 버퍼에 저장되고,
    상기 DL HARQ 재송 프로세스의 최대값은, 상기 참조 구성 패턴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참조 구성 패턴은, 상기 제 1 구성 패턴과 상기 제 2 구성 패턴에 의해 결정되는
    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향 회선 데이터 및 상기 제 2 하향 회선 데이터의 오류 검출을 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 1 하향 회선 데이터 및 상기 제 2 하향 회선 데이터의 오류 검출 결과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제 1 단위 밴드에서 송신하는 송신부
    를 더 구비하는 단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참조 구성 패턴의 상향 회선 서브프레임의 타이밍에,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성 패턴과 상기 제 2 구성 패턴은 상이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참조 구성 패턴의 상향 회선 서브프레임의 타이밍에,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위 밴드는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이고, 상기 제 2 단위 밴드는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인 단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더리 셀의 하향 회선 서브프레임은, 상기 프라이머리 셀의 세트를 포함하는 프레임에 포함되고,
    상기 참조 구성 패턴은, 상기 제 1 구성 패턴과 동일한
    단말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리 셀의 하향 회선 서브프레임은, 상기 세컨더리 셀의 세트를 포함하는 프레임에 포함되고,
    상기 참조 구성 패턴은, 상기 제 2 구성 패턴과 동일한
    단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 1 구성 패턴과 상기 제 2 구성 패턴의 복수의 조합에 따른 복수의 참조 구성 패턴을 정의하는 제 1 테이블과,
    상기 복수의 참조 구성 패턴으로부터 상기 DL HARQ 재송 프로세스의 최대값을 각각 정의하는 제 2 테이블
    을 구비하는
    단말 장치.
  9. 제 1 하향 회선 데이터를 제 1 단위 밴드에서, 제 2 하향 회선 데이터를 제 2 단위 밴드에서 각각 수신하고, 상기 제 1 단위 밴드에는, 상향 회선 서브프레임 및 하향 회선 서브프레임의 제 1 구성 패턴(UL-DL Configuration)이 설정되고, 상기 제 2 단위 밴드에는, 상향 회선 서브프레임 및 하향 회선 서브프레임의 제 2 구성 패턴(UL-DL Configuration)이 설정되고,
    상기 제 1 하향 회선 데이터와 상기 제 2 하향 회선 데이터의 재송 데이터를 소프트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제 2 하향 회선 데이터는 상향 회선 서브프레임 및 하향 회선 서브프레임의 참조 구성 패턴에 있어서 실행되는 DL HARQ(이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재송 프로세스의 최대값과 관련하여, 상기 소프트 버퍼에 저장되고,
    상기 DL HARQ 재송 프로세스의 최대값은, 상기 참조 구성 패턴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참조 구성 패턴은, 상기 제 1 구성 패턴과 상기 제 2 구성 패턴에 의해 결정되는
    단말에서 실행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향 회선 데이터 및 상기 제 2 하향 회선 데이터의 오류 검출을 하고,
    상기 제 1 하향 회선 데이터 및 상기 제 2 하향 회선 데이터의 오류 검출 결과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제 1 단위 밴드에서 송신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구성 패턴의 상향 회선 서브프레임의 타이밍에,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성 패턴과 상기 제 2 구성 패턴은 상이하고,
    상기 참조 구성 패턴의 상향 회선 서브프레임의 타이밍에,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위 밴드는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이고, 상기 제 2 단위 밴드는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인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더리 셀의 하향 회선 서브프레임은, 상기 프라이머리 셀의 세트를 포함하는 프레임에 포함되고,
    상기 참조 구성 패턴은, 상기 제 1 구성 패턴과 동일한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리 셀의 하향 회선 서브프레임은, 상기 세컨더리 셀의 세트를 포함하는 프레임에 포함되고,
    상기 참조 구성 패턴은, 상기 제 2 구성 패턴과 동일한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성 패턴과 상기 제 2 구성 패턴의 복수의 조합에 따른 복수의 참조 구성 패턴을 정의하는 제 1 테이블과,
    상기 복수의 참조 구성 패턴으로부터 상기 DL HARQ 재송 프로세스의 최대값을 각각 정의하는 제 2 테이블
    을 더 저장하는 방법.
  17. 제 1 하향 회선 데이터를 제 1 단위 밴드에서, 제 2 하향 회선 데이터를 제 2 단위 밴드에서 각각 수신하고, 상기 제 1 단위 밴드에는, 상향 회선 서브프레임 및 하향 회선 서브프레임의 제 1 구성 패턴(UL-DL Configuration)이 설정되고, 상기 제 2 단위 밴드에는, 상향 회선 서브프레임 및 하향 회선 서브프레임의 제 2 구성 패턴(UL-DL Configuration)이 설정되는, 수신 처리와,
    상기 제 1 하향 회선 데이터와 상기 제 2 하향 회선 데이터의 재송 데이터를 소프트 버퍼에 저장하는 저장 처리
    를 제어하고,
    상기 제 2 하향 회선 데이터는 상향 회선 서브프레임 및 하향 회선 서브프레임의 참조 구성 패턴에 있어서 실행되는 DL HARQ(이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재송 프로세스의 최대값과 관련하여, 상기 소프트 버퍼에 저장되고,
    상기 DL HARQ 재송 프로세스의 최대값은, 상기 참조 구성 패턴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참조 구성 패턴은, 상기 제 1 구성 패턴과 상기 제 2 구성 패턴에 의해 결정되는
    집적 회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향 회선 데이터 및 상기 제 2 하향 회선 데이터의 오류 검출을 하는 검출 처리와,
    상기 제 1 하향 회선 데이터 및 상기 제 2 하향 회선 데이터의 오류 검출 결과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제 1 단위 밴드에서 송신하는 송신 처리
    를 더 제어하는 집적 회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처리는, 상기 참조 구성 패턴의 상향 회선 서브프레임의 타이밍에,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집적 회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성 패턴과 상기 제 2 구성 패턴은 상이하고,
    상기 송신 처리는, 상기 참조 구성 패턴의 상향 회선 서브프레임의 타이밍에,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집적 회로.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위 밴드는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이고, 상기 제 2 단위 밴드는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인 집적 회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더리 셀의 하향 회선 서브프레임은, 상기 프라이머리 셀의 세트를 포함하는 프레임에 포함되고,
    상기 참조 구성 패턴은, 상기 제 1 구성 패턴과 동일한
    집적 회로.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리 셀의 하향 회선 서브프레임은, 상기 세컨더리 셀의 세트를 포함하는 프레임에 포함되고,
    상기 참조 구성 패턴은, 상기 제 2 구성 패턴과 동일한
    집적 회로.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처리는,
    상기 제 1 구성 패턴과 상기 제 2 구성 패턴의 복수의 조합에 따른 복수의 참조 구성 패턴을 정의하는 제 1 테이블과,
    상기 복수의 참조 구성 패턴으로부터 상기 DL HARQ 재송 프로세스의 최대값을 각각 정의하는 제 2 테이블
    을 저장하는
    집적 회로.
KR1020147003358A 2012-07-17 2013-06-11 단말 장치, 단말에서 실행되는 방법 및 집적 회로 KR1021385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58677 2012-07-17
JPJP-P-2012-158677 2012-07-17
PCT/JP2013/003643 WO2014013668A1 (ja) 2012-07-17 2013-06-11 端末装置及びバッファ分割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259A Division KR102182156B1 (ko) 2012-07-17 2013-06-11 기지국 장치, 기지국 장치에서 실행되는 방법 및 집적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592A KR20150033592A (ko) 2015-04-01
KR102138556B1 true KR102138556B1 (ko) 2020-07-28

Family

ID=4994851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3358A KR102138556B1 (ko) 2012-07-17 2013-06-11 단말 장치, 단말에서 실행되는 방법 및 집적 회로
KR1020207021259A KR102182156B1 (ko) 2012-07-17 2013-06-11 기지국 장치, 기지국 장치에서 실행되는 방법 및 집적 회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259A KR102182156B1 (ko) 2012-07-17 2013-06-11 기지국 장치, 기지국 장치에서 실행되는 방법 및 집적 회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8) US9338765B2 (ko)
EP (2) EP4236610A3 (ko)
JP (2) JP6238065B2 (ko)
KR (2) KR102138556B1 (ko)
CN (2) CN108173629B (ko)
AU (4) AU2013291459B2 (ko)
BR (1) BR112014003029B1 (ko)
RU (3) RU2634842C2 (ko)
SG (2) SG10201702677YA (ko)
WO (1) WO20140136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3291459B2 (en) * 2012-07-17 2017-01-05 Sun Patent Trust Terminal device, and buffer partitioning method
US10237020B2 (en) 2013-07-19 2019-03-19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s and methods for carrier aggregation
US9559817B2 (en) * 2013-07-19 2017-01-31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s and methods for carrier aggregation
KR102023671B1 (ko) * 2013-11-01 2019-09-20 이노스카이 주식회사 주기적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US10153867B2 (en) * 2014-01-30 2018-12-11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 aggregation with dynamic TDD DL/UL subframe configuration
EP3119024B1 (en) * 2014-03-12 2021-02-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supports use change of radio resources, and apparatus therefor
CA2942934C (en) * 2014-03-21 2019-02-1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deriving secondary cell hybrid-automatic-repeat-request timing
US9955487B2 (en) * 2014-03-28 2018-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ownlink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729283B2 (en) * 2014-05-08 2017-08-08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flexible retransmissions
US20170222763A1 (en) * 2014-10-04 2017-08-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naging soft buff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ame
WO2016060242A1 (ja) * 2014-10-17 2016-04-21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基地局、および、通信方法
US9893865B2 (en) 2014-12-22 2018-02-1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handling communication oper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ted apparatus
CN105743619B (zh) 2014-12-26 2020-10-2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混合自动重传请求(harq)传输的方法和设备
WO2016105173A1 (en) * 2014-12-26 2016-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transmission
WO2016120028A1 (en) * 2015-01-30 2016-08-04 Sony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CN106797583A (zh) * 2015-02-20 2017-05-31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装置和缓存控制方法
JP6571213B6 (ja) * 2015-11-06 2019-11-27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データ記憶方法、端末装置及び基地局
WO2017150944A1 (ko) * 2016-03-03 2017-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7192072A1 (en) * 2016-05-03 2017-11-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Variable transport format parameters for fast acknowledgment feedback mechanism
JP2019169750A (ja) * 2016-08-10 2019-10-03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再送制御方法
US10205559B2 (en) * 2016-10-20 2019-02-1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network efficiency using dynamic repeat requests adjustment
CN108306720B (zh) * 2017-01-13 2022-06-2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传输uci信息的方法和设备
EP3665963B1 (en) 2017-08-11 2022-02-23 Apple Inc. Wake up signaling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s
US11812433B2 (en) * 2017-11-17 2023-11-07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11057159B2 (en) * 2019-01-23 2021-07-06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Method and an apparatus for improving a determination of HARQ-ACK messag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11314974B (zh) * 2020-02-11 2022-11-08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主辅小区更新的处理方法、装置、基站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32061T1 (de) * 2003-08-14 2006-07-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ynchronisation von basisstationen während soft- handover
TW200737817A (en) * 2006-03-24 2007-10-01 Asustek Com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re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00586220C (zh) * 2006-08-28 2010-01-27 普天信息技术研究院 在高速下行链路分组接入网络中分组调度的方法
RU2439815C2 (ru) * 2006-12-06 2012-01-10 Квэ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хем повторной передачи rlc
EP3200379B1 (en) * 2007-08-07 2021-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cket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ES2537341T3 (es) * 2008-03-24 2015-06-05 Nokia Technologies Oy Configuración de memoria intermedia suave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es
KR101749346B1 (ko) * 2009-03-25 2017-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harq 수행 장치 및 방법
CN101873706A (zh) * 2009-04-24 2010-10-2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在多载波系统中反馈确认/未确认消息的方法
US8386875B2 (en) * 2009-08-07 2013-02-2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HARQ operations during transmission mode changes
CN102474390B (zh) * 2009-08-07 2014-09-03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终端装置及重发控制方法
RU2558733C2 (ru) * 2009-11-19 2015-08-10 Интердиджитал Пэйтент Холдингз, Инк. Активация/деактивация компонентных несущих в системах с несколькими несущими
US8649363B2 (en) * 2010-06-01 2014-02-11 Htc Corporation Method of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entity handling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WO2012027457A2 (en) 2010-08-24 2012-03-01 Sion Power Corporation Electrically non-conductive materials for electrochemical cells
US8724742B2 (en) * 2010-10-06 2014-05-13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oft buffer management for carrier aggregation
EP2636174B1 (en) * 2010-11-05 2018-10-17 BlackBerry Limited Harq soft bit buffer partitioning for carrier aggregation
US8797957B2 (en) * 2010-11-12 2014-08-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rminal, network node, system and methods for soft buffer handling in carrier aggregation
KR101468349B1 (ko) * 2010-12-13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Tdd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전송 방법 및 장치
JP2012158677A (ja) 2011-01-31 2012-08-23 Toppan Forms Co Ltd 帯電防止剤組成物、当該帯電防止剤組成物を用いたマスターバッチ及び樹脂成形品
KR101907528B1 (ko) * 2011-02-18 2018-10-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송수신 방법
KR101785313B1 (ko) * 2011-04-12 2017-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어를 위한 서브프레임 운용 및 채널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8891466B2 (en) * 2011-04-29 2014-11-18 Acer Incorporated Method of handling soft buffer for carrier aggregation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US8934350B2 (en) * 2011-05-23 2015-01-13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for carrier aggregation with flexible carrier configurations
KR101820742B1 (ko) * 2011-05-30 2018-01-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961807B1 (ko) * 2011-05-31 2019-07-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결합을 지원하는 tdd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채널의 송수신 타이밍 및 자원 할당을 정의하는 방법 및 장치
US8885525B2 (en) * 2011-08-24 2014-11-1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soft buffer partitioning in time-division duplexing system
CN103024820B (zh) * 2011-09-20 2018-03-23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软缓存处理的方法及设备
US9629132B2 (en) * 2011-10-12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reverse control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976764B2 (en) * 2011-11-04 2015-03-10 Blackberry Limited Accommodating semi-persistent scheduling in heterogeneous networks with restricted subframe patterns
US20130121216A1 (en) * 2011-11-11 2013-05-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oft buffer management for harq operation
US9602251B2 (en) * 2012-01-27 2017-03-21 Sharp Kabushiki Kaisha Devices for reconfiguring uplink and downlink allocations in time domain duplexing wireless systems
EP2814195B1 (en) 2012-02-09 2018-08-1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receiving signals and apparatus for same
US9838162B2 (en) * 2012-02-09 2017-12-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RQ processes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s
US9935748B2 (en) * 2012-02-10 2018-04-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viding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CN104160649B (zh) 2012-03-09 2018-05-29 Lg电子株式会社 用于收发信号的方法及其设备
US9526091B2 (en) * 2012-03-16 2016-12-20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on of self-optimization functions in a wireless network
WO2013157905A1 (ko) 2012-04-20 2013-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3162261A1 (ko) * 2012-04-23 2013-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 시스템에서 harq 수행 방법 및 장치
US9705644B2 (en) * 2012-07-05 2017-07-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operating buffer for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AU2013291459B2 (en) * 2012-07-17 2017-01-05 Sun Patent Trust Terminal device, and buffer partitioning method
CN107979451B (zh) * 2012-07-18 2021-03-02 太阳专利信托公司 终端装置、通信装置、通信方法、以及集成电路
IN2015DN00786A (ko) * 2012-08-03 2015-07-03 Nokia Siemens Networks Oy
US10397942B2 (en) * 2012-08-10 2019-08-2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handling communication operation in TDD system and related apparatus
US9042938B2 (en) * 2012-12-27 2015-05-2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9185697B2 (en) * 2012-12-27 2015-11-10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9503248B2 (en) * 2013-03-28 2016-11-22 Htc Corporatio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using dynamic TDD configuration mechanism
US9179445B2 (en) * 2013-04-02 2015-11-03 Blackberry Limited Communication in the presence of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change
KR20150074494A (ko) * 2013-12-24 2015-07-02 주식회사 아이티엘 Tdd-fdd 반송파 집성을 위한 소프트버퍼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11695517B2 (en) * 2021-02-06 2023-07-04 Rf Dsp Inc HARQ management to enhance performance, reduce overhead and latency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221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03029A2 (pt) 2017-03-14
AU2018206700A1 (en) 2018-08-23
US20230276443A1 (en) 2023-08-31
US20170041914A1 (en) 2017-02-09
KR20200090970A (ko) 2020-07-29
SG2014008676A (en) 2014-04-28
JP6528338B2 (ja) 2019-06-12
CN103765970B (zh) 2018-04-20
AU2019271888B2 (en) 2020-07-23
EP4236610A2 (en) 2023-08-30
CN108173629B (zh) 2021-02-02
JPWO2014013668A1 (ja) 2016-06-30
US20200196295A1 (en) 2020-06-18
US11683801B2 (en) 2023-06-20
SG10201702677YA (en) 2017-04-27
AU2017201974A1 (en) 2017-04-13
US10616866B2 (en) 2020-04-07
RU2014104509A (ru) 2016-09-10
US10159063B2 (en) 2018-12-18
US20220078783A1 (en) 2022-03-10
RU2693701C1 (ru) 2019-07-04
US20190075556A1 (en) 2019-03-07
EP2876957B1 (en) 2023-08-02
KR102182156B1 (ko) 2020-11-24
US9510330B2 (en) 2016-11-29
US9756618B2 (en) 2017-09-05
RU2634842C2 (ru) 2017-11-07
CN103765970A (zh) 2014-04-30
KR20150033592A (ko) 2015-04-01
US9338765B2 (en) 2016-05-10
JP6238065B2 (ja) 2017-11-29
EP4236610A3 (en) 2023-11-01
AU2017201974B2 (en) 2018-04-26
US11212783B2 (en) 2021-12-28
US20140204892A1 (en) 2014-07-24
US20170332367A1 (en) 2017-11-16
AU2019271888A1 (en) 2019-12-19
EP2876957A1 (en) 2015-05-27
CN108173629A (zh) 2018-06-15
AU2013291459A1 (en) 2014-02-27
US20160219572A1 (en) 2016-07-28
RU2675801C1 (ru) 2018-12-25
AU2018206700B2 (en) 2019-10-10
AU2013291459B2 (en) 2017-01-05
BR112014003029B1 (pt) 2022-12-06
EP2876957A4 (en) 2015-07-29
WO2014013668A1 (ja) 2014-01-23
JP2018007286A (ja) 201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8556B1 (ko) 단말 장치, 단말에서 실행되는 방법 및 집적 회로
JP6574969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集積回路
US11418309B2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KR102049729B1 (ko) 단말 장치, 통신 방법, 기지국 장치 및 집적 회로
JP5871917B2 (ja) 端末装置及び応答信号送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