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670B1 -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670B1
KR102137670B1 KR1020190174563A KR20190174563A KR102137670B1 KR 102137670 B1 KR102137670 B1 KR 102137670B1 KR 1020190174563 A KR1020190174563 A KR 1020190174563A KR 20190174563 A KR20190174563 A KR 20190174563A KR 102137670 B1 KR102137670 B1 KR 102137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ask
clamp
protrusion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웅
Original Assignee
윤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웅 filed Critical 윤재웅
Priority to KR1020200089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0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670B1/ko
Priority to PCT/KR2020/019075 priority patent/WO2021133093A1/ko
Priority to TW109146046A priority patent/TW202133896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6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with pumps for forced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3Means for influenc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breathing g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마스크에 선택적으로 지지시키기 위한 클램프;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마스크를 통해 여과된 유체를 흡입하여 상기 마스크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의 공간에 상기 유체를 배출할 수 있는 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마스크가 개재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이 상기 마스크에 지지되는,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PORTABLE RESPIRATORY SUPPORT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최근 산업의 고도화에 따라 현대인은 공기 중의 다양한 유해 물질에 노출되어 있는바, 유해 물질에는 각종 매연이나 최근 심각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미세 먼지는 물론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꽃가루 및 각종 세균성 물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유해 물질이 인체의 호흡기로 침투하게 되면 각종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여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 물질을 미연에 차단하기 위하여 실외 활동을 하는 경우에 대부분 개인용 마스크를 사용한다.
마스크는 개인이 대기 중의 유해 물질을 거르기 위한 최소한의 소극적 대처 방안으로서 개인이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대기 오염이 심각한 날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외출 시에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마스크는 사용자가 마스크를 사용할 때 숨쉬기가 어려워 답답함을 느끼고, 호흡으로 인해 마스크 내부의 습도가 상승하여 마스크가 축축하게 젖어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마스크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호흡을 보조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마스크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호흡을 보조할 수 있는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가 마스크를 사용할 때, 마스크 내부에 습도가 상승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마스크에 선택적으로 지지시키기 위한 클램프;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마스크를 통해 여과된 유체를 흡입하여 상기 마스크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의 공간에 상기 유체를 배출할 수 있는 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마스크가 개재됨으로써,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클램프는 상기 마스크에 지지되는,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마스크를 통과한 상기 유체가 상기 팬 유닛으로 유동하기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흡입구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상기 팬 유닛으로 상기 마스크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가 마련되는,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마스크의 중심부와 인접한 일면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팬 유닛은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상기 마스크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유체를 흡입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마스크의 상기 일측에 상기 유체를 배출하는,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흡입구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하우징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에는 상기 클램프의 상기 하우징과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클램프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돌출부와 상기 클램프 돌출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하우징 돌출부와 상기 클램프 돌출부 중 다른 하나 보다 더 큰 둘레길이를 가지며, 상기 클램프와 상기 하우징이 밀착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 돌출부와 상기 클램프 돌출부 중 상기 어느 하나는 상기 하우징 돌출부와 상기 클램프 돌출부 중 상기 다른 하나의 외측에 배치되는,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와 상기 하우징이 밀착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 돌출부와 상기 클램프 돌출부는 상기 마스크의 두께보다 더 큰 소정 거리로 이격되고, 상기 소정 거리 사이에 상기 마스크가 개재되는,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클램프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되며, 상기 클램프가 상기 하우징 측으로 밀착되었을 때 상기 클램프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자성을 가지는,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 암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마스크가 개재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마스크를 상기 하우징에 밀착시키는,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암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고정 암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고정 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암 및 제2 고정 암은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마스크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양측에 밀착시키는,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기 위한 접촉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재는 실리콘 소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마스크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호흡을 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마스크를 사용할 때, 마스크 내부에 습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가 구비된 마스크를 착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와 마스크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클램프가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결합'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결합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본 명세서의, 상하 방향은 도 4의 z축 방향일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1)는 마스크(2)를 통하여 호흡하는 사용자의 호흡을 보조할 수 있으며, 마스크(2)에 선택적으로 장착 또는 탈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1)는 마스크(2) 외측의 유체가 마스크(2)의 필터면을 통해 마스크(2)의 내측으로 강제 흡입되도록 외측의 유체를 흡입할 수 있으며, 마스크(2)의 외측으로부터 흡입된 유체를 마스크(2)의 내측에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1)는 마스크(2) 외측의 유체를 마스크(2)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흡입시킴으로써, 마스크(2) 내측과 외측의 유체를 순환시킬 수 있다. 이처럼,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1)는 마스크(2) 외측과 내측 사이의 유체의 순환을 보조함으로써, 마스크(2) 내측에 습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1)는 마스크(2)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선택적으로 탈착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마스크(2)에 결합됨으로써 범용적이면서 호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1)는 필터를 비포함한다. 다시 말해,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1)는 필터를 구비하지 않고 마스크(2)의 여과 능력을 이용하여 유체를 정화함으로써, 필터를 교체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크(2)의 외측과 내측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하여 표현한 것으로, 마스크(2)의 내측은 마스크(2)의 일측, 즉 마스크(2)가 사용자에게 장착되었을 때 사용자 측을 의미한다. 또한, 마스크(2)의 외측은 마스크(2)의 타측, 즉 마스크(2)가 사용자에게 장착되었을 때, 사용자 반대 측을 의미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유체는 공기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 도 3내지 도 7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1)는 하우징(100), 클램프(200), 팬 유닛(300), 고정 암(400), 배터리(500), 컨트롤러(600), 연결부재(700), 감지 유닛(800), 및 접촉부재(9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팬 유닛(300), 배터리(500), 컨트롤러(600) 및 감지 유닛(800)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클램프(200)에 의하여 마스크(2)에 탈,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마스크(2)에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1)가 부착되었을 때, 마스크(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메인 하우징(110) 및 보조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하우징(110)은 클램프(200), 팬 유닛(300), 고정 암(400), 배터리(500), 컨트롤러(600), 연결부재(700), 및 감지 유닛(800)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하우징(110)은 보조 하우징(12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메인 하우징(110)은 제1 하우징(111) 및 제2 하우징(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1)은 클램프(200), 팬 유닛(300), 고정 암(400) 및 연결부재(7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하우징(111)에는 후술할 연결부재(70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하우징(111)에는 유체가 팬 유닛(300)으로 유동하기 위한 흡입구(111a)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타측으로부터 마스크(2)를 통과한 후, 팬 유닛(300)을 향하는 유체는 흡입구(111a)를 통하여 팬 유닛(300)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흡입구(111a)는 제1 하우징(111)의 팬 유닛(30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11)에는 유체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111b)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팬 유닛(300)을 거친 유체는 배출구(111b)를 통하여 마스크(2)의 일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구(111b)는 마스크(2)의 중심부와 인접한 제1 하우징(111)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배출구(111b)가 사용자가 마스크(2)를 착용할 때, 사용자의 코와 가까운 마스크(2)의 중심부와 인접한 면에 형성되어 마스크(2)의 중심부를 향해 유체를 배출함으로써, 사용자의 호흡을 용이하게 보조할 수 있다.
한편, 제1 하우징(111)에는 하우징 돌출부(111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 돌출부(111c)는 제1 하우징(111)의 흡입구(111a)가 형성된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흡입구(111a)의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돌출부(111c)는 흡입구(111a)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0)에 클램프(200)가 지지될 때, 하우징 돌출부(111c)는 후술할 클램프 돌출부(211)와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에 클램프(200)가 연결되었을 때, 하우징 돌출부(111c)와 클램프 돌출부(211) 사이의 거리는 1mm 이상 3m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11)에는 마스크(2)가 흡입구(111a)를 통하여 팬 유닛(300)으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111d)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111d)는 제1 하우징(111)의 흡입구(111a)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흡입구(111a)의 주변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하나의 지지부재(111d)가 흡입구(111a)에 마련된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지지부재(111d)가 흡입구(111a)에 마련되어 마스크(2)가 흡입구(111a)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1 하우징(111)의 양측면(예를 들어, 도 1의 상측면, 하측면)은 제1 하우징(111)의 일면(예를 들어, 도1 의 전방측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된 것으로 표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 제1 하우징(111)의 양측면은 마스크(2)의 형상에 대응하여 제1 하우징(111)의 상기 일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하우징(111)의 양측면이 평평하지 않고, 마스크(2)의 형상에 대응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가짐으로써 제1 하우징(111)은 마스크(2)에 보다 잘 밀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12)은 배터리(500), 컨트롤러(600) 및 감지 유닛(80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하우징(112)은 제1 하우징(1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2 하우징(112)의 측면부(예를 들어, 도 5의 상측과 좌측 사이를 향하는 면)는 제2 하우징(11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112)은 제1 하우징(111)이 연장되는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하우징(112)과 제1 하우징(111)은 상호간에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하우징(112)과 제1 하우징(111) 사이의 각도는 후술할 제1 클램프(210)와 제2 클램프(220) 사이의 각도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제2 하우징(112)에는 힌지부(112a)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부(112a)는 제2 하우징(112)과 클램프(200)를 연결시킬 수 있으며, 제2 하우징(112)과 클램프(200)를 서로에 대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제2 하우징(112)에는 전원 삽입부(112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삽입부(112b)를 통하여 배터리(500)는 외부 전원(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메인 하우징(110)은 제1 하우징(111) 및 제2 하우징(112)이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제2 하우징(112)은 생략될 수 있으며, 제1 하우징(111)은 일 방향(예를 들어, 도 1의 상하 방향(힌지부(112a)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1 하우징(111)은 제2 하우징(112)이 배터리(500), 컨트롤러(600) 및 감지 유닛(800)을 수용하는 공간만큼 더 일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배터리(500), 컨트롤러(600) 및 감지 유닛(800)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11)은 제2 하우징(112)이 지지하던 배터리(500), 컨트롤러(600) 및 감지 유닛(80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보조 하우징(120)의 형상은 제1 하우징(111)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하우징(111)의 양측면(예를 들어, 연장되는 방향의 양측면)은 소정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하우징(111)의 양측면은 마스크(2)의 형상에 대응하여 제1 하우징(111)의 다른 일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조 하우징(120)은 배터리(500), 컨트롤러(600), 감지 유닛(800) 및 접촉부재(900)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하우징(120)은 메인 하우징(11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보조 하우징(120)의 일부는 메인 하우징(110)의 일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하우징(120)의 일부는 메인 하우징(110)의 클램프(200)에 의해 커버되는 면이 연장되는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보조 하우징(120)의 다른 일부는 보조 하우징(120)의 상기 일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조 하우징(120)의 다른 일부는 보조 하우징(120)의 상기 일부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보조 하우징(120)의 일측면에는 전원 버튼(12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버튼(121)은 사용자에 눌러질 수 있으며, 팬 유닛(300)을 작동시키거나 중단시키도록 컨트롤러(600)에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클램프(200)는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1)를 마스크(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클램프(200)의 일측 단부는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마스크(2)의 타측에서 하우징(100)에 탈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클램프(200)의 일측 단부는 힌지부(112a)를 중심으로 하우징(10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타측 단부는 연결부재(700)를 통하여 하우징(100)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이처럼, 클램프(200)의 타측 단부가 하우징(100)측으로 밀착되어 하우징(100)에 지지될 때, 클램프(200)와 하우징(100) 사이에 마스크(2)가 개재됨으로써, 하우징(100) 및 클램프(200)는 마스크(2)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클램프(200)는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1)가 마스크(2)에 장착되었을 때, 마스크(2)의 타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클램프(200)의 중심부에는 유체가 유동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는 클램프(200)가 하우징(100)에 고정되었을 때, 흡입구(111a)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클램프(200)는 제1 클램프(210) 및 제2 클램프(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램프(210)는 제1 하우징(111)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클램프(210)는 연결부재(700)에 의하여 제1 하우징(111)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클램프(210)는 제1 클램프(210)가 제1 하우징(111)에 지지되었을 때, 제1 하우징(111)과 대향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클램프(210)는 제1 하우징(111)의 일부와 평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클램프(210)에는 클램프 돌출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클램프 돌출부(211)는 제1 클램프(210) 중 제1 하우징(111)과 마주보면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프 돌출부(211)는 제1 클램프(210)의 중심부에 형성된 개구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10)에 제1 클램프(210)가 지지될 때, 클램프 돌출부(211)는 하우징 돌출부(111c)와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우징 돌출부(111c)와 클램프 돌출부(211) 중 어느 하나는, 하우징 돌출부(111c)와 클램프 돌출부(211) 중 다른 하나보다 더 큰 둘레길이를 가지며, 클램프(200)와 하우징(100)이 서로 밀착되었을 때 하우징 하우징 돌출부(111c)와 클램프 돌출부(211) 중 어느 하나는, 하우징 돌출부(111c)와 클램프 돌출부(211) 중 다른 하나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마스크(2)에 지지되기 위해 클램프(200)와 하우징(100)이 서로 밀착되었을 때, 클램프 돌출부(211)와 하우징 돌출부(111c) 사이의 소정 이격 거리 사이에 마스크가 개재될 수 있고, 이러한 소정 이격 거리는 마스크의 두께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처럼, 클램프 돌출부(211)와 하우징 돌출부(111c)가 서로 소정 거리 이격 형성됨으로써, 클램프 돌출부(211)와 하우징 돌출부(111c)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마스크(2)는 클램프 돌출부(211)와 하우징 돌출부(111c)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에 클램프(200)가 고정되었을 때, 하우징 돌출부(111c)와 클램프 돌출부(211) 사이의 거리는 1mm 이상 3mm 이하일 수 있으며, 클램프 돌출부(211)가 하우징 돌출부(111c)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클램프(220)는 제2 하우징(112)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클램프(220)는 힌지부(112a)와 연결될 수 있으며, 힌지부(112a)를 통하여 하우징(10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클램프(220)는 제1 클램프(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클램프(220)는 제1 클램프(210)가 연장되는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클램프(220)와 제1 클램프(210)는 상호간에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제1 클램프(210)와 제2 클램프(220) 사이의 각도는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 사이의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이처럼, 제1 클램프(210)가 제1 하우징(110) 보다 힌지부(112a)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어 있더라도, 제1 클램프(210)는 제1 하우징(111)에 평행하게 지지될 수 있다.
팬 유닛(300)은 마스크(2)의 타측으로부터 마스크(2)를 통해 여과된 유체를 흡입하여, 마스크(2)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의 공간에 유체를 배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팬 유닛(300)은 흡입구(111a)를 통하여 마스크(2)의 타측으로부터 유체를 흡입하여 배출구(111b)를 통하여 마스크(2)의 일측에 유체를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팬 유닛(300)은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 유닛(300)은 블로워일 수 있다. 하우징(100)의 흡입구(111a)로 흡입되기 전에 이미 공기는 이미 여과된 상태이므로, 흡입구(111a)로 흡입된 유체의 오염도와 배출구(111b)로 배출되는 유체의 오염도는 동일하다.
도 5 내지 도 7을 더 참조하면, 고정 암(400)은 마스크(2)를 하우징(100)의 측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암(400)은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마스크(2)에 하우징(100)이 지지되었을 때, 마스크(2)의 타측에서 마스크(2)의 일측으로 회전함으로써, 마스크(2)를 하우징(100)에 밀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 암(400)은 클램프(200)와 하우징(100) 사이에 마스크(2)가 개재되었을 때 하우징(100)의 측면을 따라 회전하여 마스크(2)를 하우징(10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처럼, 고정 암(400)은 마스크(2)를 타측으로부터 일측으로 회전하여 가압함으로써, 마스크(2)를 하우징(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 암(400)은 하우징(100)의 일측(예를 들어, 도 7의 상측)에 연결되는 제1 고정 암(410) 및 하우징(100)의 타측(예를 들어, 도 7의 하측)에 연결되는 제2 고정 암(4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고정 암(410) 및 제2 고정 암(420)은 하우징(100)의 양측에서 회전함으로써, 마스크(2)를 하우징(100)에 밀착시킬 수 있다.
배터리(500)는 팬 유닛(30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팬 유닛(30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500)는 전원 삽입부(112b)를 통하여 외부 전원에 연결될 수 있으며, 외부 전원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다.
컨트롤러(600)는 팬 유닛(3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러(600)는 전원 버튼(121)이 눌러지면, 팬 유닛(300)을 구동시킬 수 있으며, 팬 유닛(300)이 구동 중일 때, 전원 버튼(121)이 다시 눌러지면, 팬 유닛(300)의 구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600)는 PCB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러(6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센서 등의 측정장치 및 메모리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연결부재(700)는 회전하는 클램프(200)를 하우징(100)에 고정 지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700)는 자성을 띄는 부재일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700)는 제1 하우징(111)의 일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감지 유닛(800)은 유체의 오염 물질을 감지할 수 있으며, 유체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유닛(800)은 VOC 센서일 수 있으며, 공기 중의 VOC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 유닛(800)에서 측정된 유체의 오염도는 컨트롤러(6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600)는 LED 전원(미도시)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오염도가 위험 수준인지 안정 수준인지 알릴 수 있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접촉부재(900)는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1)가 장착된 마스크(2)를 사용자가 사용할 때, 하우징(100)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고, 사용자의 안면의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부재(900)는 제2 하우징(112)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부재(900)는 실리콘(Silicon)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사용자는 클램프(200)를 하우징(100)으로부터 회전시킨 후 클램프(200)와 하우징(100) 사이에 마스크(2)를 개재시킬 수 있다. 클램프(200)와 하우징(100) 사이에 마스크(2)가 개재되면, 연결부재(700)를 통하여 클램프(200)를 하우징(100)에 고정 지지시킴으로써,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1)를 마스크(2)에 장착시킬 수 있다. 하우징(100)이 마스크(2)에 지지되면, 전원 버튼(121)을 통하여 팬 유닛(3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팬 유닛(300)은 마스크(2)의 타측(예를 들어, 도 6의 사용자 반대측)으로부터 유체를 흡입시킬 수 있으며, 마스크(2)의 일측(예를 들어, 도 6의 마스크의 사용자 측)에 유체를 배출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의 코가 위치한 마스크(2)의 일측에 유체를 배출함으로써, 마스크(2)를 착용한 사용자의 호흡을 보조할 수 있다.
앞서 서술한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1)는 사용자가 마스크(2)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호흡을 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마스크(2)를 사용할 때, 마스크(2) 내측에 습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 2: 마스크
100: 하우징 110: 메인 하우징
111: 제1 하우징 111a: 흡입구
111b: 배출구 111c: 하우징 돌출부
111d: 지지부재 112: 제2 하우징
112a: 힌지부 112b: 전원 삽입부
120: 보조 하우징 121: 전원 버튼
200: 클램프 210: 제1 클램프
211: 클램프 돌출부 220: 제2 클램프
300: 팬 유닛 400: 고정 암
410: 제1 고정 암 420: 제2 고정 암
500: 배터리 600: 컨트롤러
700: 연결부재 800: 감지 유닛
900: 접촉부재

Claims (9)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마스크에 선택적으로 지지시키기 위한 클램프;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마스크를 통해 여과된 유체를 흡입하여 상기 마스크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의 공간에 상기 유체를 배출할 수 있는 팬 유닛; 및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 암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마스크가 개재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이 상기 마스크에 지지되고,
    상기 고정암은, 상기 클램프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마스크가 개재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마스크를 상기 하우징에 밀착시키는,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마스크를 통과한 상기 유체가 상기 팬 유닛으로 유동하기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흡입구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상기 팬 유닛으로 상기 마스크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가 마련되는,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마스크를 통과한 상기 유체를 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마스크에 대향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마스크의 중심부를 향하여 상기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는,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흡입구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하우징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에는 상기 클램프의 상기 하우징과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클램프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돌출부와 상기 클램프 돌출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하우징 돌출부와 상기 클램프 돌출부 중 다른 하나 보다 더 큰 둘레길이를 가지며,
    상기 클램프와 상기 하우징이 밀착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 돌출부와 상기 클램프 돌출부 중 상기 어느 하나는 상기 하우징 돌출부와 상기 클램프 돌출부 중 상기 다른 하나의 외측에 배치되는,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와 상기 하우징이 밀착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 돌출부와 상기 클램프 돌출부는 상기 마스크의 두께보다 더 큰 소정 거리로 이격되고, 상기 소정 거리 사이에 상기 마스크가 개재되는,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클램프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되며, 상기 클램프가 상기 하우징 측으로 밀착되었을 때 상기 클램프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자성을 가지는,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암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고정 암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고정 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암 및 제2 고정 암은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마스크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양측에 밀착시키는,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기 위한 접촉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재는 실리콘 소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
KR1020190174563A 2019-09-27 2019-12-24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 KR102137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404A KR102306047B1 (ko) 2019-12-24 2020-07-20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
PCT/KR2020/019075 WO2021133093A1 (ko) 2019-12-24 2020-12-24 휴대용 호흡 보조 디바이스
TW109146046A TW202133896A (zh) 2019-12-24 2020-12-24 攜帶型呼吸輔助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19723 2019-09-27
KR1020190119723 2019-09-2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404A Division KR102306047B1 (ko) 2019-12-24 2020-07-20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670B1 true KR102137670B1 (ko) 2020-07-27

Family

ID=71893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563A KR102137670B1 (ko) 2019-09-27 2019-12-24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6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3093A1 (ko) * 2019-12-24 2021-07-01 윤재웅 휴대용 호흡 보조 디바이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3409A (ja) * 2009-10-15 2011-04-28 Hiromori Inc 係止ストッパー、及び耳かけホルダー
KR20150115154A (ko) * 2014-04-02 2015-10-1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초미세 먼지용 다목적 마스크
KR101783804B1 (ko) * 2017-01-19 2017-10-10 주식회사 스포컴 공기정화필터장치가 부착된 마스크
KR20190025467A (ko) * 2017-09-01 2019-03-1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마스크
KR200489541Y1 (ko) * 2019-02-11 2019-07-03 박경원 정화공기 공급형 마스크 시스템
CN209253975U (zh) * 2018-08-21 2019-08-16 捷科罗股份有限公司 一种可携式过滤通风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3409A (ja) * 2009-10-15 2011-04-28 Hiromori Inc 係止ストッパー、及び耳かけホルダー
KR20150115154A (ko) * 2014-04-02 2015-10-1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초미세 먼지용 다목적 마스크
KR101783804B1 (ko) * 2017-01-19 2017-10-10 주식회사 스포컴 공기정화필터장치가 부착된 마스크
KR20190025467A (ko) * 2017-09-01 2019-03-1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마스크
CN209253975U (zh) * 2018-08-21 2019-08-16 捷科罗股份有限公司 一种可携式过滤通风装置
KR200489541Y1 (ko) * 2019-02-11 2019-07-03 박경원 정화공기 공급형 마스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3093A1 (ko) * 2019-12-24 2021-07-01 윤재웅 휴대용 호흡 보조 디바이스
KR102353756B1 (ko) * 2020-12-11 2022-01-20 윤재웅 휴대용 호흡 보조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86959B1 (en) Respiratory device
KR200422942Y1 (ko) 방진 마스크
JP2017501781A (ja) 能動的通気システム及び呼吸装置
KR102137670B1 (ko)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
JP2022013632A (ja) マスク装置
TWM506497U (zh) 主動通氣系統和包含主動通氣系統的設備
KR102076430B1 (ko) 미세먼지 필터링 마스크
KR20190014605A (ko) 공기청정장치 및 공기청정시스템
KR102306047B1 (ko)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
KR101968511B1 (ko) 공기 청정 장치
KR20210043228A (ko) 휴대용 공기 청정기
KR102416083B1 (ko) 공기청정장치
KR102353756B1 (ko) 휴대용 호흡 보조 디바이스
CN112263792B (zh) 一种夹式呼气排出器及口罩
KR20190012292A (ko) 공기청정장치
KR102145731B1 (ko) 탈모 예방을 위한 이동형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1816637B1 (ko) 마스크
KR102453158B1 (ko) 공기청정기
KR20200002525U (ko) 공기처리기
JP2004344395A (ja) マスク装置
KR20190008454A (ko) 공기 청정 장치
JP7427056B1 (ja) 空調装置
WO2021214691A1 (en) Spacer, respiration assist device and mask including same
US20230021257A1 (en) Mask apparatus
KR20220002470U (ko) 마스크용 uv 살균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