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083B1 - 공기청정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청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083B1
KR102416083B1 KR1020170096070A KR20170096070A KR102416083B1 KR 102416083 B1 KR102416083 B1 KR 102416083B1 KR 1020170096070 A KR1020170096070 A KR 1020170096070A KR 20170096070 A KR20170096070 A KR 20170096070A KR 102416083 B1 KR102416083 B1 KR 102416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odule
unit
air cleaning
m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4604A (ko
Inventor
조남은
고려옥
박봉균
정해융
김진성
배웅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6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083B1/ko
Publication of KR20190014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4With mechanical drive, e.g. spring mechanism or vibrating unit being hit for starting vibration and then applied to the body of a pati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8Personalised air distribu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실시 예는 운전모드를 선택 입력하는 입력모듈, 사용자의 착용시, 상기 사용자의 착용부분을 마사지하는 마사지모듈, 상기 사용자의 얼굴방향으로 흡입한 오염공기를 클린공기로 정화하여 토출하는 공기청정모듈, 상기 오염공기에 대한 공기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모듈 및 상기 운전모드가 이중운전모드이면, 상기 마사지모듈이 동작되게 제어하고 상기 공기오염도가 설정된 기준오염도를 초과하면 상기 공기청정모듈이 동작되게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청정장치{Air cleaning apparatus}
실시 예는 공기청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하여, 정화된 클린 공기 및 마사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공기청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공간은 밀폐되어 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생활 중에 발생되는 먼지로 인해 실내공기가 쉽게 오염되고, 오염된 실내공기를 사람들이 호흡기로 흡입할 경우, 사람들의 면역력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실외공간은 눈에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미세물질 등이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리고, 미세물질 등을 사람들이 호흡기로 흡입할 경우, 미세물질 등에 의하여 사람들의 건강이 나빠지거나, 심할 경우 질병을 얻게 되는 문제가 있다.
즉,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오염되면 여러 가지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생활의 불쾌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근래에는 건강을 보호하는 동시에 쾌적한 생활을 느낄 수 있도록 실내공간에 공기정화장치의 설치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공기정화장치는 통상 부직포 형태의 필터를 끼워 송풍팬에 의해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는 형태로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이물질을 부직포 형태의 필터에서 여과하도록 구성되었다.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에는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미리 미터(mm)의 오염물질부터 시각적으로 확인 불가능한 수십 미크론에 이르는 미세물질, 그리고 다양한 세균 등이 존재하므로, 이들을 모두 여과할 수 있는 에어 필터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개발의 일례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090539호(2011.8.10 공개)의 "공기 살균정화 장치"가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기존의 공기정화장치는 부피가 크고, 실내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작동하므로, 휴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공기정화장치는 실내공간 내에 수용되어있는 실내공기만을 정화함으로, 사용자는 실외공간으로 외출할 시, 미세물질 등이 포함되어 있는 실외공기로부터 사용자의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보호구(마스크 등)를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최근들어, 실내공간과 실외공간의 구분 없이 사용자의 호흡기로 깨끗한 공기를 공급 가능하고, 사용자의 피로감을 감퇴시키기 위한 마사지를 제공하는 휴대가 용이한 공기청정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실시 예의 목적은, 공기청정모드 운전 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에서 흡입한 오염공기를 클린공기로 정화하여 사용자 얼굴방향으로 토출하는 공기청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실시 예의 다른 목적은, 공기청정모드 운전 시, 공기오염도에 따라 클린 공기의 토출 세기를 가변시켜 사용자 얼굴방향으로 토출하는 공기청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실시 예의 다른 목적은, 마사지모드 운전 시, 사용자의 착용 부분을 마사지하는 공기청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실시 예의 다른 목적은, 이중운전모드 운전 시, 공기오염도에 따라 마사지모드 및 공기청정모드 중 적어도 하나로 운전하는 공기청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장치는, 운전모드를 선택 입력하는 입력모듈, 사용자의 착용시, 상기 사용자의 착용부분을 마사지하는 마사지모듈, 상기 사용자의 얼굴방향으로 흡입한 오염공기를 클린공기로 정화하여 토출하는 공기청정모듈, 상기 오염공기에 대한 공기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모듈 및 상기 운전모드가 이중운전모드이면, 상기 마사지모듈이 동작되게 제어하고 상기 공기오염도가 설정된 기준오염도를 초과하면 상기 공기청정모듈이 동작되게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운전모드가 상기 이중운전모드, 공기청정모드 또는 마사지모드인지 확인하는 모드확인부, 상기 모드확인부의 확인결과 상기 공기청정모드이면, 상기 공기청정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기청정제어부, 상기 모드확인부의 확인결과 상기 마사지모드이면, 상기 마사지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사지제어부 및 상기 모드확인부의 확인결과 상기 이중운전모드이면, 상기 공기청정제어부 및 상기 마사지제어부를 제어하는 통합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이중운전모드이면, 상기 마사지모듈이 동작되게 상기 마사지 제어부로 제1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공기청정모드로의 전환조건이 만족 여부를 확인하는 제2 제어신호를 상기 공기청정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운전모드에 따라 공기청정모드, 마사지모드 및 이중운전모드로 동작하여, 사용자에게 정화된 클린 공기 및 마시지를 제공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장치는, 사용자가 마사지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마사지를 제공하는 마사지모드로 동작하여, 장시간 착용시에도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장치는, 사용자가 이중운전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마사지를 제공하는 마사지모드로 동작 중 공기오염도에 따라 공기청정모드로 동작함으로써, 사용자의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장치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장치의 공기유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장치의 마사지모듈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장치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장치 및 공기청정 시스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청정장치(1)는 몸체부(10), 에어흡입부(30), 에어토출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청정장치(1)는 에어흡입부(30)와 에어토출부(20)가 몸체부(10)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기청정장치(1)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공기를 정화하여 사용자의 호흡기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청정장치(1)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 가능하도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청정장치(1)는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 구조, 예를 들어 밴드, 와이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다만, 실시 예의 공기청정장치(1)는 사용자의 목에 장착될 수 있는 목 베개 타입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몸체부(10)는 프레임(11) 및 패드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은 내측에 사용자의 목이 수용될 수 있도록 일부가 굽어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목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11)은 사용자의 목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척추에 일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프레임(11)은 사용자의 목과 몸통에 지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레임(11)은 편자 또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프레임(11)은 목의 일측을 감싸는 제1 연장부(111), 목의 타측을 감싸는 제2 연장부(112) 및 제1 연장부(111)와 제2 연장부(112)를 서로 연결하며 사용자의 몸통에 지지되는 연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레임(11)의 내측은 사용자의 목이 수용될 수 있다.
사용자의 목에 프레임(11)이 수용되면, 제1 연장부(111) 및 제2 연장부(112)는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113)는 사용자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전방은 사용자의 얼굴이 위치하는 방향이고, 사용자의 후방은 사용자의 뒤통수가 위치하는 방향일 수 있다.
연결부(113)는 사용자의 척추에 프레임(11)이 지지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몸체부(10)는 제1 연장부(111) 및 제2 연장부(112)에 의하여 사용자의 목에 지지되고, 연결부(113)에 의하여 사용자의 몸통에 지지될 수 있다.
패드부(12)는 프레임(11)과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는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패드부(12)는 프레임(11)의 일부를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프레임(11)에 탈부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패드부(12)는 프레임(11)의 상측에 제공되는 제1 패드부(121)와, 프레임(11)의 하측에 제공되는 제2 패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드부(121)는 사용자의 목과 머리의 일부에 접촉되어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패드부(122)는 사용자의 목과 몸통의 일부에 접촉되어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며, 몸체부(10)의 하중으로 인해 사용자의 목과 몸통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패드부(12)는 사용자의 피부와 집적 접촉됨으로써 부드러운 재질 또는 유연성 있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드부(12)는 라텍스, 메모리폼 등의 스펀지 재질, 섬유재질, 고무 재질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통풍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기공을 더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에어흡입부(30) 및 에어토출부(20)는 몸체부(10)에 결합될 수 있다.
에어흡입부(30) 및 에어토출부(20)는 몸체부(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에어흡입부(30)는 실내 또는 실외 공간에서 오염공기를 흡입하고, 에어흡입부(30)에서 흡입된 오염공기는 몸체부(10)의 내부를 통과하여 클린공기로 정화된 후, 에어토출부(20)를 통해 사용자의 호흡기, 즉 사용자의 얼굴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에어흡입부(30)는 몸체부(10)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에어흡입부(30)는 프레임(11)의 연결부(113)에 결합될 수 있다.
에어흡입부(30) 및 프레임(11)의 연결부(113) 사이에는 서로를 결합하기 위한 후방결합부(50)가 제공될 수 있다.
후방결합부(50)는 에어흡입부(30) 및 프레임(11)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을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결합부(50)는 에어흡입부(30)의 일부와 프레임(11)의 일부가 양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후방결합부(50)는 에어흡입부(30)와 프레임(11)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체결 수단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후방결합부(50)가 별도로 제공되지 않는 경우, 후방결합부(50)는 에어흡입부(30) 또는 프레임(11)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에어토출부(20)는 몸체부(10)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에어토출부(20)는 프레임(11)의 제1 연장부(111) 및 제2 연장부(112)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전방결합부(40)는 에어토출부(20)를 제1연장부(111)의 단부와 제2연장부(112)의 단부에 각각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결합부(40)는 에어토출부(20)의 일부와 프레임(11)의 일부가 양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전방결합부(40)는 에어토출부(20)와 몸체부(1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체결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전방결합부(40)가 별도로 제공되지 않는 경우, 전방결합부(40)는 에어토출부(20) 또는 프레임(11)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장치를 나타낸 분해도 및 도 3은 실시 에에 따른 공기청정장치의 공기유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몸체부(10)는 에어흡입부(30)에서 흡입된 오염공기를 에어토출부(20)로 유동하기 위한 에어공급유로(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에어공급유로(13)는 프레임(1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에어공급유로(13)는 프레임(11)의 연결부(113)에서 제1 연장부(111) 및 제2 연장부(112) 각각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에어흡입부(30)에서 흡입된 오염공기는 연결부(113)로 유입되고, 연결부(113)에서 제1 연장부(111) 및 제2 연장부(112) 각각으로 분지되어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분지되어 유동하는 오염공기는 제1 연장부(111) 및 제2 연장부(112)에 각각의 단부에 결합되는 에어토출부(2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11)에는 에어흡입부(30)로부터 흡입된 오염공기가 에어공급유로(13)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홀(131)과, 에어공급유로(13)를 통과한 공기를 에어토출부(20)로 공급하기 위한 연통홀(132)이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유입홀(131)은 프레임(11)의 연결부(113)에 제공될 수 있다.
연통홀(132)은 제1 연장부(111) 및 제2 연장부(112)의 단부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즉, 에어흡입부(30)와 에어공급유로(13)는 유입홀(131)에 의하여 서로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에어토출부(20)와 에어공급유로(13)는 연통홀(132)에 의하여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에어토출부(20)는 토출부몸체(21)와, 에어토출유로(24)와, 에어토출구(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토출부몸체(21)의 내부는 에어공급유로(13)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토출유로(24)가 구비될 수 있다.
에어토출구(22)는 토출부몸체(21)에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로 제공될 수 있다.
에어토출구(22)는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이 사용자의 호흡기, 즉 사용자얼굴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에어토출유로(24)는 에어토출구(22)와 연통되어, 에어공급유로(13)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에어토출구(22)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에어공급유로(13)와 에어토출유로(24)는 필터링된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로써 “에어유로”라 칭할 수 있다.
에어토출부(20)는 공기의 토출 여부, 공기의 토출 세기 및 공기 오염도를 표시내기 위한 표시부(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에어토출부(20), 몸체부(10), 및 에어흡입부(30) 중 어느 하나에는 공기 오염도를 감지하기 위한 공기오염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다양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표시부(23)는 에어토출구(22)에 인접하게 제공되거나, 에어토출구(22)의 테두리에 제공될 수 있다.
표시부(23)는 서로 다른 색상을 조사하여 공기오염도를 나타낼 수 있고, 공기의 토출 세기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실시 예에서, 표시부(23)는 공기 오염도 및 공기의 토출 세기에 따라 다수 개의 LED 들을 점등시켜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LCD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여 공기오염도 및 공기의 토출 세기에 따라 숫자, 문자 및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에어토출부(20)는 토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을 살균하기 위한 이오나이저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오나이저부(25)는 에어토출부(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이오나이저부(25)는 에어토출유로(24) 상에 제공되어 에어토출구(22)로 토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을 제거하여 깨끗한 상태의 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이오나이저부(25)는 에어토출부(20)의 에어토출유로(24) 이외의 몸체부(10)의 에어공급유로(13) 상에 배치될 수도 있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에어공급유로(13)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흡입부(3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에어흡입부(30)는 흡입부몸체(31)와, 필터부(32)와, 팬(33)과, 배터리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흡입부(30)는 흡입부몸체(31)와, 필터부(32), 팬(33), 및 배터리부(35)가 서로 결합되어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에어흡입부(30)는 팬(33)의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흡입부(30)는 팬(33)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으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흡입부몸체(31)는 에어흡입부(30)의 몸체를 형성하며, 그 내부에 팬(33), 구동부(34) 및 배터리부(35)를 수용할 수 있다.
흡입부몸체(31)의 일측은 필터부(32)가 배치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 할 수 있다.
흡입부몸체(31)의 타측은 필터부(32)에 의하여 필터링된 공기를 에어공급유로(13)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홀(311)이 구비될 수 있다.
즉, 필터부(32)가 구비되는 흡입부몸체(31)의 일측은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하고, 공급홀(311)이 구비되는 흡입부몸체(31)의 타측은 프레임(11)의 유입홀(131)과 연통될 수 있다.
필터부(32)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팬(33)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필터부(32)는 하나 이상의 필터 및, 하나 이상의 필터를 지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필터지지부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32)는 에어필터, 집진필터, 헤파필터, 프리필터, 탈취필터, 미세먼지 필터 등의 다양한 필터를 하나 또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필터부(32)는 팬(33)의 전방 이외에 팬(33)의 후방에도 배치될 수도 있으나, 실시 예와 같이 필터부(32)가 팬(33)의 전방에 배치되면, 이물,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이 흡입부몸체(31)의 내부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팬(33)은 모터 구동부(3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할 수 있다.
모터 구동부(34)에는 회전축(341)이 구비되며, 팬(33)은 회전축(341)에 연결되어 회동할 수 있다.
팬(33)은 필터부(32)로부터 이물 등이 제거된 공기를 흡입하여, 에어토출부(20)로 공급할 수 있다.
팬(33)은 원심팬, 축류팬 및 이준 팬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배터리부(35)는 모터 구동부(34)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부(35)는 모터 구동부(34)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미도시), 및 공기청정장치(1)에 포함되어 있는 전기적 모듈, 전기적 장치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에어흡입부(30)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 등을 필터링 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링된 클린 공기는 몸체부(10)의 에어공급유로(13)를 통과하여 에어토출부(20)의 에어토출유로(24)로 유동할 수 있다.
에어토출유로(24)로 공급되는 클린 공기는 이오나이저부(25)에 의하여 세균, 바이러스 등이 제거되고, 에어토출구(22)를 통과하여 사용자의 호흡기로 전달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장치(1)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물,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이 제거된 공기를 사용자의 호흡기로 공급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장치의 마사지모듈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공기 청정 장치(1)는 마사지모듈(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사지모듈(60)은 몸체부(1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마사지모듈(60)은 프레임(1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연장부(111)와 제2 연장부(112)를 연결하는 연결부(113)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마사지모듈(60)은 제1 연장부(111)와 제2 연장부(112)의 사이에 위치하고, 연결부(113)에 인접하는 사용자의 착용부분에 진동 또는 압력을 가하여 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사지모듈(60)은 사용자의 경추에 반복적으로 진동을 가하여 사용자의 경추를 마사지할 수 있다.
마사지모듈(60)은 사용자의 경추를 가압하는 것 이외에, 적외선 또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적외선부(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의 경추에 적외선 또는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사용자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경추의 피로나 통증 등을 완화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마사지모듈(60)은 사용자의 목과 몸통에 몸체부(10)가 지지된 상태에서 작동함으로써, 마사지모듈(60) 작동 시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몸체부(10)가 탈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장치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기청정장치(400)는 입력모듈(410), 표시모듈(420), 마사지모듈(430), 공기청정모듈(440), 센서모듈(450) 및 제어모듈(460)을 포함할 수 잇다.
입력모듈(410)은 도 1 내지 도 4에는 기재되지 않았으나, 몸체부(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입력모듈(410)는 마사지모드, 공기청정모드 및 이중운전모드 중 어느 하나의 운전모드를 선택입력할 수 있다.
즉, 입력모듈(410)는 마사지모드, 공기청정모드 및 이중운전모드 각각에 해당되는 버튼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 다른 방식으로 운전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표시모듈(420)은 도 1 내지 도 3에 기재된 표시부(23) 이거나, 또는 표시부(23)를 동작시키는 모듈일 수 있다.
표시모듈(420)은 제어모듈(440)의 제어에 따라 입력모듈(410)에서 선택한 운전모드, 센서모듈(450)에서 측정한 공기오염도(h) 및 공기청정모듈(440)에서 토출되는 클린 공기의 토출 세기(s)에 대한 공기정보(f)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모듈(420)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표시부(23)에서 공기오염도(h)가 높으면 광을 증가시키고, 토출 세기(s)가 증가하면 광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광의 색상을 다르게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모듈(420)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표시부(23)와 다르게 공기오염도(h) 및 토출 세기(s)를 문자, 숫자 및 그래프 등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마사지모듈(430)은 도 4에서 상술한 마사지모듈(60)과 동일할 수 있다.
즉, 마사지모듈(430)은 제어모듈(460)로부터 전달된 제1 운전신호(sc1)에 따라 사용자의 착용부분에 진동 또는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때, 마사지모듈(430)은 사용자의 피로도를 감퇴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공기청정모듈(440)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흡입부(30)에서 흡입한 오염공기를 필터부(32)가 필터링한 클린 공기를 에어토출부(20)를 통하여 사용자 얼굴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모듈(44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팬(33)의 회전 속도가 가변되게 팬(33)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모터 구동부(34)는 제어모듈(460)의 제어에 따라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에어흡입부(30)에서 흡입하는 오염공기의 흡입 세기 및 에어토출부(20)에서 토출되는 클린공기의 토출 세기를 가변시킬 수 있다.
공기청정모듈(440)은 제어모듈(460)로부터 전달된 제2 운전신호(sc2)에 따라 사용자의 얼굴방향으로 클린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센서모듈(450)은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 즉 실외공간 및 실내공간에서의 공기오염도(h)를 측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센서모듈(450)은 공기오염센서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 외에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공기오염도(h)는 오염공기에 포함된 복수의 유해물질 각각에 대한 농도를 나타낼 수 있다.
제어모듈(460)은 모드확인부(470), 마사지제어부(475), 공기청정제어부(480) 및 통합 제어부(49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드확인부(470)는 입력모듈(410)에서 입력한 운전모드가 마사지모드, 공기청정모드 및 이중운전모드 중 어느 하나인지 확인할 수 있다.
즉, 모드확인부(470)은 입력모듈(410)에서 입력한 운전모드에 대한 전압레벨에 따라 마사지모드, 공기청정모드 및 이중운전모드 중 어느 하나인지 확인할 수 있다.
마사지제어부(475)는 모드확인부(470)의 확인결과 마사지모드이면, 마사지모듈(4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마사지제어부(475)는 모드확인부(470)의 확인결과 이중운전모드일때, 통합제어부(490)로부터 제1 제어신호(tsc1)가 전달되면 마사지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공기청정제어부(480)는 판단부(482), 추출부(484) 및 동작부(486)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공기청정제어부(480)는 모드확인부(470)의 확인결과 공기청정모드이면, 공기청정모듈(4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제어부(480)는 모드확인부(470)의 확인결과 이중운전모드일때, 통합제어부(490)로부터 제2 제어신호(tsc2)가 전달되면 공기오염도(h)가 기준오염도를 초과하는 전환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여 제1, 2 신호(s1, s2) 중 하나를 통합제어부(49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자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먼저, 센서모듈(450)에서 측정한 공기오염도(h)가 설정된 기준오염도를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추출부(484)는 공기오염도(h)가 상기 기준오염도를 초과하면, 설정된 속도 룩업테이블에서 공기오염도(h)에 대응하는 가변 속도값(vsc)을 추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속도 룩업테이블은 공기오염도(h)가 증가하면 할수록 팬(33)의 회전 속도가 증가되도록, 가변 속도값(vsc)이 증가되게 설정된 룩업테이블일 수 있다.
동작부(486)는 추출부(484)에서 추출한 가변 속도값(vsc)에 따라 팬이 회전되게 모터 구동부(34)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동작부(486)는 판단부(482)의 판단결과, 공기오염도(h)가 상기 기준오염도를 초과하지 않으면, 최초 설정된 기준 회전 속도로 팬(33)이 회전되게 모터 구동부(34)으로 모터의 기준 속도값(bsc)을 출력할 수 있다.
동작부(486)는 공기오염도(h) 및 가변 속도값(vsc) 또는 기준 속도값(bsc)에 대응하는 토출 세기(s)를 포함하는 공기 정보(f)가 표시되게 표시모듈(420)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부(486)는 가변 속도값(vsc)으로 공기청정모듈(440)을 제어하는 경우, 공기오염도(h)가 제1 설정시간 간격으로 재측정되게 센서모듈(4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동작부(486)는 기준 속도값(bsc)으로 공기청정모듈(440)을 제어하는 경우, 공기오염도(h)를 제2 설정시간 간격으로 재측정되게 센서모듈(450)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부(486)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통합제어부(490)으로부터 제2 제어신호(tsc2)가 전달되면, 센서모듈(450)을 동작시켜 공기오염도(h)를 측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추출부(484)는 공기오염도(h)가 상기 기준오염도를 초과하면 모드에 대한 전환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하여 제1 신호(s1)를 통합 제어부(49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추출부(484)는 공기오염도(h)가 상기 기준오염도를 초과하지 않으면 모드에 대한 전환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여 제2 신호(s1)를 통합 제어부(490)로 전달할 수 잇다.
동작부(486)는 제1 신호(s1)가 전달된 후 통합 제어부(490)으로부터 제2 제어신호(tsc2)가 전달되면, 공기청정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통합제어부(490)는 모드확인부(470)의 확인결과 이중운전모드인 경우, 마사지제어부(474) 및 공기청정제어부(48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먼저, 통합제어부(490)는 이중운전모드이면, 마사지제어부(474)로 제1 제어신호(tsc1)를 전달하여 마사지모드로 동작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통합제어부(490)는 공기청정제어부(480)로 제2 제어신호(tsc2)를 전달하여, 공기청정모드로의 전환전건에 대한 만적 여부를 확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합제어부(49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청정제어부(480)로부터 제1 신호(s1)가 전달되면, 마사지제어부(475)로 마사지모듈(430)의 동작이 멈추도록 제어하는 제3 제어신호(tsc3)를 전달하고, 공기청정제어부(480)로 공기청정모드로 동작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통합제어부(49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청정제어부(480)로부터 제2 신호(s2)가 전달되면 마사지제어부(475)로 마사지모듈(430)의 동작이 유지되게 제1 제어신호(tsc1)를 전달하고, 공기청정제어부(480)로 제2 제어신호(tsc2)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합제어부(490)는 이중운전모드인 경우, 마사지제어부(475) 및 공기청정제어부(480)를 설정시간 간격으로 공기오염도(h)에 따라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장치(400)는 이동 단말기(미도시)와 연동할 수 있다.
이때, 공기청정장치(400)는 이동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모듈(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입력모듈(410)과 동일하게 운전모드를 선택 입력할 수 있으며, 표시모듈(420)과 동일하게 공기 정보(f) 및 마사지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공기청정장치의 제어모듈(460)은 입력모듈(410)에서 선택입력된 운전모드가 마사지모드, 공기청정모드 또는 이중운전모드인지 확인할 수 있다(S110).
제어모듈(460)은 운전모드가 마사지모드로 확인되면 마사지모듈(430)을 동작시켜 사용자의 착용부분을 진동 또는 압력을 가할 수 있다(S120).
또한, 제어모듈(460)은 운전모드가 공기청정모드로 확인되면 센서모듈(450)로부터 측정된 공기오염도(h)를 전달받을 수 있다(S130).
제어모듈(460)는 공기오염도(h)가 설정된 기준오염도를 초과하는지 판단하고(S140), 공기오염도(h)가 상기 기준오염도를 초과하면, 설정된 속도 룩업테이블에서 공기오염도(h)에 대응하는 가변 속도값(vsc)를 추출할 수 있다(S150).
제어모듈(460)은 가변 속도값(vsc)에 따라 모터 구동부(34)로 출력하여, 팬(33)의 회전속도에 대응되게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S160).
(S140) 단계 이후, 제어모듈(460)은 공기오염도(h)가 상기 기준오염도를 초과하지 않으면, 팬(33)이 기준 회전 속도로 회전되게 모터 구동부(34)로 기준 속도값(bsc)을 출력하여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S170).
이후, 제어모듈(460)은 공기오염도(h) 및 가변 속도값(vsc) 또는 기준 속도값(bsc)에 대한 토출 세기(s)가 표시모듈(420)에 표시되게 공기정보(f)를 출력할 수 있다(S180).
제어모듈(460)은 운전모드가 이중운전모드로 확인되면 마사지모듈(430)을 동작시켜 사용자의 착용부분을 진동 또는 압력을 가할 수 있다(S190).
이후, 제어모듈(460)은 마사지모듈(430) 동작 중 센서모듈(450)을 동작시켜 측정된 공기오염도(h)가 상기 기준오염도를 초과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S200).
제어모듈(460)은 공기오염도(h)가 기준오염도를 초과하면 공기청정모드로 동작되게 (S15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460)은 공기오염도(h)가 기준오염도를 초과하지 않으면 마사지모듈(430)의 동작을 유지하며 (S200) 단계를 재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청정장치(400)는 이중운전모드 선택 시, 마사지 제공 중 공기오염도가 기준오염도를 초과하는 경우 클린 공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기재된 실시 예들은 설명된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실시 예는 상술한 특정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3)

  1. 운전모드를 선택 입력하는 입력모듈;
    사용자의 착용시, 상기 사용자의 착용부분을 마사지하는 마사지모듈;
    상기 사용자의 얼굴방향으로 흡입한 오염공기를 클린공기로 정화하여 토출하는 공기청정모듈;
    상기 오염공기에 대한 공기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모듈;
    상기 운전모드가 이중운전모드이면, 상기 마사지모듈이 동작되게 제어하고 상기 공기오염도가 설정된 기준오염도를 초과하면 상기 공기청정모듈이 동작되게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공기오염도 및 상기 클린 공기의 토출 세기에 대한 공기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사지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착용부분에 진동 또는 압력을 가하는 공기청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모듈은,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오염공기 및 상기 클린공기를 흡입 및 토출하는 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모터구동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부는,
    상기 팬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켜 상기 오염공기의 흡입 세기 및 상기 클린공기의 토출 세기를 증가시키는 공기청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운전모드가 상기 이중운전모드, 공기청정모드 또는 마사지모드인지 확인하는 모드확인부;
    상기 모드확인부의 확인결과 상기 공기청정모드이면, 상기 공기청정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기청정제어부;
    상기 모드확인부의 확인결과 상기 마사지모드이면, 상기 마사지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사지제어부; 및
    상기 모드확인부의 확인결과 상기 이중운전모드이면, 상기 공기청정제어부 및 상기 마사지제어부를 제어하는 통합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제어부는,
    상기 공기오염도가 상기 기준오염도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공기오염도가 상기 기준오염도를 초과하면, 설정된 속도 룩업테이블에서 상기 공기오염도에 대응하는 가변 속도값을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가변 속도값에 따라 상기 클린공기의 토출 세기가 가변되게 상기 공기청정모듈을 동작시키는 동작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가변 속도값으로 상기 공기청정모듈을 제어하는 경우, 상기 공기오염도가 제1 설정시간 간격으로 재측정되게 상기 센서모듈을 제어하는 공기청정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상기 공기오염도가 상기 기준오염도를 초과하지 않으면, 기준 속도값으로 상기 클린공기의 토출 세기가 가변되게 상기 공기청정모듈을 제어하는 공기청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상기 기준 속도값으로 상기 공기청정모듈을 제어하는 경우, 상기 공기오염도를 제2 설정시간 간격으로 재측정되게 상기 센서모듈을 제어하는 공기청정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이중운전모드이면, 상기 마사지모듈이 동작되게 상기 마사지 제어부로 제1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공기청정모드로의 전환조건이 만족 여부를 확인하는 제2 제어신호를 상기 공기청정제어부로 전달하는 공기청정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공기오염도가 상기 기준오염도를 초과하면 상기 전환조건을 만족하는것으로 확인하여 제1 신호를 상기 통합 제어부로 전달하며,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마사지모듈 동작 중 상기 제1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마사지제어부로 상기 마사지모듈의 동작이 멈추도록 제어하는 제3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공기청정제어부로 상기 공기청정모드로 동작되게 제어하는 공기청정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제어부는,
    상기 전환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공기청정모드로 동작 중 다음 공기오염도가 상기 기준오염도를 초과하지 않으면 제2 신호를 상기 통합 제어부로 전달하며,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마사지모듈의 동작이 유지되게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공기청정제어부로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공기청정장치.
  13. 삭제
KR1020170096070A 2017-07-28 2017-07-28 공기청정장치 KR102416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070A KR102416083B1 (ko) 2017-07-28 2017-07-28 공기청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070A KR102416083B1 (ko) 2017-07-28 2017-07-28 공기청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604A KR20190014604A (ko) 2019-02-13
KR102416083B1 true KR102416083B1 (ko) 2022-07-05

Family

ID=65366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070A KR102416083B1 (ko) 2017-07-28 2017-07-28 공기청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0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763B1 (ko) 2020-02-24 2022-05-18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웨어러블 공기청정장치
CN113357784A (zh) * 2021-06-09 2021-09-07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的控制方法、装置及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828B1 (ko) * 2016-08-05 2017-02-02 (주)텍스트무브 넥밴드형 에어 블로워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284B1 (ko) * 2008-02-25 2011-04-29 양원동 기능성 목 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828B1 (ko) * 2016-08-05 2017-02-02 (주)텍스트무브 넥밴드형 에어 블로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604A (ko)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70104A1 (en) Personal Protection System
KR20190014605A (ko) 공기청정장치 및 공기청정시스템
KR102416083B1 (ko) 공기청정장치
US20120037160A1 (en) Respirator and method of identifying cleanliness/turbidity of filter thereof
KR101968511B1 (ko) 공기 청정 장치
KR101988033B1 (ko) 공기청정장치
KR20190008454A (ko) 공기 청정 장치
KR102360634B1 (ko) 헬멧형 공기청정장치 및 공기청정 시스템
KR101495639B1 (ko) 의료용 매트릭스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침대
CN214858270U (zh) 一种甲状腺术后颈部护理套
KR102323175B1 (ko) 헬멧형 공기청정장치 및 공기청정 시스템
CN210250389U (zh) 设备带
KR20220042012A (ko) 눈 마사지 기능을 갖는 다기능 엘이디 마스크
CN208448457U (zh) 可穿戴空气净化装置
KR101018471B1 (ko) 자동 배설물 처리 장치
CN107198841B (zh) 一种防雾霾电动口罩
KR20160115090A (ko) 음이온 및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헤드레스트 구조체
CN111165942A (zh) 一种防疫用口罩
KR101027520B1 (ko) 유속 열치료장치
CN205434461U (zh) 牙医吸尘灭菌设备
KR200208471Y1 (ko) 가슴 맛사지장치
KR102353756B1 (ko) 휴대용 호흡 보조 디바이스
KR102317312B1 (ko) 원적외선과 적색광을 조사하는 하이브리드 케어 기기
KR102020444B1 (ko) 공기 청정 장치
CN215307948U (zh) 按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