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942Y1 - 방진 마스크 - Google Patents

방진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942Y1
KR200422942Y1 KR2020060012690U KR20060012690U KR200422942Y1 KR 200422942 Y1 KR200422942 Y1 KR 200422942Y1 KR 2020060012690 U KR2020060012690 U KR 2020060012690U KR 20060012690 U KR20060012690 U KR 20060012690U KR 200422942 Y1 KR200422942 Y1 KR 2004229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mask body
holder
moto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6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국
Original Assignee
이창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국 filed Critical 이창국
Priority to KR20200600126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9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9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9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38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cup configu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공기를 마스크본체내로 강제 흡입하여 호흡의 편안함을 느낄 수 있고, 또한 착용에 따른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한 방진 마스크를 제공한다.
상기 방진 마스크는 반구형상을 가지며 양측에 설치된 밴드로 작업자의 안면에 밀착 고정되며 전방에는 흡입구멍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배기구멍이 각각 형성되는 마스크본체와, 상기 마스크본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마스크본체의 흡입구멍에 끼워지며 중앙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홀더와, 상기 홀더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외부공기를 마스크본체내로 강제 흡입시키는 흡기팬 및 상기 홀더의 전방에 체결되며 흡기팬의 회전으로 강제 흡입되는 외부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가 내장된 필터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방진 마스크, 모터, 흡기팬, 필터, 밴드, 고정핀

Description

방진 마스크{A dustproof mask}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방진 마스크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방진 마스크의 구성간의 조립상태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진 마스크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마스크본체 12: 흡입구멍
14: 배기구멍 16: 홀더
16a: 수용공간 18: 모터
20: 흡기팬 26: 고정핀
28: 필터케이스 30: 필터
34: 흡입공간확보걸이 100: 방진 마스크
본 고안은 방진 마스크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공기를 마스크본체내로 강제 흡입하여 호흡의 편안함을 느낄 수 있고, 또한 착용에 따른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한 방진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방진 마스크는 제지공장, 방직공장, 채석장이나 혹은 화학공장 및 용접 도금등의 금속가공공장등의 각종 산업현장에 종사하는 작업자들이 작업과정에서 발생한 다량의 유해분진등의 이물질이 호흡기로 유입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방진 마스크의 일반적인 구조는 부직포 및 정전필터를 구비하며 작업자의 입과 코주변부를 감쌀 수 있도록 반구형상의 곡면체 구조로 이루어진 마스크본체와, 상기 마스크본체를 작업자의 얼굴에 고정시키는 수단인 밴드로 크게 구성된다.
즉, 방진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공기를 흡입하면 외부공기는 마스크본체의 앞쪽에 형성된 흡기구를 통해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필터를 거쳐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로 마스크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후, 작업자의 호흡기로 전해지게 되는 데, 이때 공기가 다수의 필터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큰 흡입력을 발생시켜야 함으로서 작업자의 호흡작용에 많은 무리가 가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마스크본체에 모터 및 흡기팬을 설치하여 외부공기를 마스크본체내로 강제 흡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마스크를 착용한 작업자들이 보다 편안하게 호흡하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방진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모터를 마스크본체의 외부에 위치시켜 마스크본체의 내부공간이 줄어들지 않도록 함으로서 마스크 착용에 따른 별 다른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한 방진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방진마스크에 있어서, 반구형상을 가지며 양측에 설치된 밴드로 작업자의 안면에 밀착 고정되며 전방에는 흡입구멍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배기구멍이 각각 형성되는 마스크본체와, 상기 마스크본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마스크본체의 흡입구멍에 끼워지며 중앙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홀더와, 상기 홀더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외부공기를 마스크본체내로 강제 흡입시키는 흡기팬 및 상기 홀더의 전방에 체결되며 흡기팬의 회전으로 강제 흡입되는 외부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가 내장된 필터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마스크를 제시한다.
상기 홀더의 양측에는 고정핀들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핀들에는 브라켓이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밴드가 결속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필터케이스의 전방에는 흡입공간확보걸이들을 돌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방진 마스크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 마스크(100)는 작업자의 안면에 착용되는 마스크본체(10)를 가진다. 상기 마스크본체(10)는 반구형상으로 내부에는 일정크기 만큼의 공간부(10a)가 구비되고, 전방에는 흡입구멍(12)이 형성되며, 그 하단에는 배기구멍(14)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재질은 실리콘이나 고무등의 수축 및 복원력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양측에는 밴드(50)가 구비되며, 상기 밴드(50)는 작업자의 안면에 착용된 마스크본체(10)를 밀착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밴드(50)와 마스크본체(10)의 연결구조는 하기에 상세히 기술토록 한다.
상기 마스크본체(10)의 흡입구멍(14)에는 홀더(16)가 끼워진다. 상기 홀더(16)는 양단이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수용공간(16a)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16a)에는 후술하는 모터(18) 및 흡기팬(2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홀더(16)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본체(10)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홀더(16)의 수용공간(16a)에 설치되는 모터(18) 및 흡기팬(20)이 마스크본체(10)의 내부공간(10a)에 위치하지 않도록 하여 마스크(100)를 착용한 작업 자가 착용의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말해서 모터(18)가 마스크본체(1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 본체(10)의 내부공간(10a)이 그 만큼 줄어들게 되며, 이상태에서 작업자가 마스크(100)를 착용하면 작업자의 안면이 모터(18)와 접촉하는 등 착용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과 같이 모터(18)가 마스크본체(10)의 외부에 위치하면 작업자는 마스크(100)를 착용하더라도 안면과 모터(18)와의 접촉이 일어나지 않게 됨으로서 별다른 불편함없이 마스크(10)를 착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홀더(16)의 수용공간(16a)에는 모터(18)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18)는 외부에서 공급된 전원으로 구동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휴대용 베터리(24)를 별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베터리(24)와 모터(18)를 전선(22)으로 연결시켜 베터리(24)의 전원을 인가받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18)에는 흡기팬(20)이 장착된다. 상기 흡기팬(20)은 모터(18)의 동력으로 회전하며 외부공기를 마스크본체(10) 내부공간(10a)으로 강제 흡입시키게 된다. 즉, 흡기팬(20)이 회전하면 외부공기는 후술하는 필터케이스(28)를 거쳐 마스크본체(10)의 내부공간(10a)으로 강제 흡입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작업자는 평상시와 같은 호흡작용만으로도 외부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홀더(16)의 전면 둘레에는 다수개의 고정핀(26)들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핀(26)들은 전술한 밴드(50)를 마스크본체(10)에 연결시키기 위한 핀들로서, 상기 고정핀(26)에는 브라켓(52)이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52)에는 상기 밴드(50)가 연결됨으로서 밴드(50)는 마스크본체(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홀더(16)의 전방에는 필터케이스(28)가 장착된다. 상기 필터케이스(28)는 원통체의 형상으로 후방에는 체결구(3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32)는 홀더(16)의 수용공간(16a)에 일부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필터케이스(28)를 홀더(16)의 전방에 체결시키게 된다.
상기 필터케이스(28)의 전방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과공(28a)들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통과공(28a)을 통과한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30)가 내장된다.
한편, 상기 필터케이스(28)의 전방에는 다수개의 흡입공간확보걸이(34)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돌출 형성된다. 통상 산업현장에 근무하는 작업자들은 작업과정에서 흐르는 땀을 닦을 목적으로 목 주변부에 수건등을 걸친상태에서 작업을 행하게 되는 데, 작업자가 작업중 허리를 구부리는 과정에서 목에 걸쳐진 수건이 내려와 필터케이스(28)를 덮어 통과공(28a)들을 밀폐시키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필터케이스(28)의 전방에 돌출되어 있는 흡입공간확보걸이(34)들이 수건과 직접 접촉하며 필터케이스(28)와 수건 사이에 흡입공간을 확보시키게 됨으로서 필터케이스(28)의 통과공(28a)들은 밀폐되지 않아 외부공기를 필터케이스(28)내로 원활히 흡입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가진 방진 마스크의 사용과정을 첨부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마스크본체(10)를 작업자의 안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밴드(50)를 작업자의 머리에 끼워 마스크본체(10)를 밀착 고정시켜 마스크(100)를 착용한 다음, 휴대하고 있는 베터리(24)의 스위치를 "온"시키게 되면 베터리(24)의 전원은 전선(22)을 통해 모터(18)로 공급되고, 전원의 공급으로 모터(18)가 구동하면 흡기팬(20)은 회전하며 외부공기를 마스크본체(10)의 내부공간(10a)으로 강제 흡입시키게 된다. 이때 흡입되는 외부공기는 필터케이스(28)내의 필터(30)를 거치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외부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은 걸러지고 정화된 공기만 마스크본체(10)의 내부공간(10a)으로 흡입된다.
즉, 흡기팬(20)의 회전에 따라 외부공기를 강제 흡입하도록 함으로서 작업자는 마스크(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종래와 같이 크게 호흡하지 않고 평상시와 같이 호흡하더라도 외부공기를 원활히 흡입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함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터(18) 및 흡기팬(20)이 마스크본체(10)의 내부공간(10a)에 위치하지 않고 홀더(16)를 통해 마스크본체(10) 외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서 작업자는 마스크 착용에 따른 어떠한 불편함도 느끼지 않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많은 효과들을 달성한다.
먼저, 본 고안은 마스크본체에 설치된 모터 및 흡기팬을 통해 외부공기를 마스크본체내로 강제 흡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마스크를 착용한 작업자들이 보다 편안하게 호흡하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은 모터가 마스크본체의 외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서 마스크를 착용한 작업자는 모터와의 접촉이 일어나지 않아 작업자는 별다른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방진 마스크에 있어서,
    반구형상을 가지며 양측에 연결된 밴드(50)로 작업자의 안면에 밀착 고정되며 전방에는 흡입구멍(12)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배기구멍(14)이 각각 형성되는 마스크본체(10)와;
    상기 마스크본체(10)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마스크본체(10)의 흡입구멍(12)에 끼워지며 중앙에는 수용공간(16a)이 형성된 홀더(16)와;
    상기 홀더(16)의 수용공간(16a)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하는 모터(18)와;
    상기 모터(18)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외부공기를 마스크본체(10)내로 강제 흡입시키는 흡기팬(20) 및 ;
    상기 홀더(18)의 전방에 체결되며 흡기팬(20)의 회전으로 강제 흡입되는 외부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30)가 내장된 필터케이스(28)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마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8)의 전면 둘레에는 다수개의 고정핀(26)들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핀(26)들에는 브라켓(52)이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52)에는 상기 밴드(50)가 결 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마스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케이스(28)의 전방에는 흡입공간확보걸이(34)들이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마스크.
KR2020060012690U 2006-05-12 2006-05-12 방진 마스크 KR2004229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690U KR200422942Y1 (ko) 2006-05-12 2006-05-12 방진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690U KR200422942Y1 (ko) 2006-05-12 2006-05-12 방진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942Y1 true KR200422942Y1 (ko) 2006-08-03

Family

ID=41771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690U KR200422942Y1 (ko) 2006-05-12 2006-05-12 방진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942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237U (ko) * 2015-06-01 2016-12-09 우제정 호흡이 편한 위생 마스크
KR101820846B1 (ko) 2016-03-10 2018-01-22 주식회사 쓰리스타 물필터 마스크
CN109224223A (zh) * 2018-09-26 2019-01-18 南京市第医院 一种主动式药物理疗口罩
KR102110687B1 (ko) * 2018-11-07 2020-05-13 진푸유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호흡기 마스크
EP3673959A1 (en) 2018-12-26 2020-07-01 LG Electronics Inc. Mask device
EP3673960A2 (en) 2018-12-26 2020-07-01 LG Electronics Inc. Mask device
EP3673958A1 (en) 2018-12-26 2020-07-01 LG Electronics Inc. Mask device
CN112137202A (zh) * 2020-10-14 2020-12-29 深圳市友昆空间环境艺术设计工程有限公司 一种智能型口罩
KR20210004492A (ko) 2019-07-04 2021-01-13 정진호 전동 마스크
KR20220081674A (ko) 2020-12-09 2022-06-16 주식회사 나노렉스 송풍팬이 설치된 마스크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237U (ko) * 2015-06-01 2016-12-09 우제정 호흡이 편한 위생 마스크
KR200484879Y1 (ko) 2015-06-01 2017-11-02 우제정 호흡이 편한 위생 마스크
KR101820846B1 (ko) 2016-03-10 2018-01-22 주식회사 쓰리스타 물필터 마스크
CN109224223A (zh) * 2018-09-26 2019-01-18 南京市第医院 一种主动式药物理疗口罩
KR102110687B1 (ko) * 2018-11-07 2020-05-13 진푸유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호흡기 마스크
EP3673960A2 (en) 2018-12-26 2020-07-01 LG Electronics Inc. Mask device
EP3673959A1 (en) 2018-12-26 2020-07-01 LG Electronics Inc. Mask device
EP3673958A1 (en) 2018-12-26 2020-07-01 LG Electronics Inc. Mask device
US11376449B2 (en) 2018-12-26 2022-07-05 Lg Electronics Inc. Mask device
US11666787B2 (en) 2018-12-26 2023-06-06 Lg Electronics Inc. Mask apparatus
US11738220B2 (en) 2018-12-26 2023-08-29 Lg Electronics Inc. Mask device
KR20210004492A (ko) 2019-07-04 2021-01-13 정진호 전동 마스크
CN112137202A (zh) * 2020-10-14 2020-12-29 深圳市友昆空间环境艺术设计工程有限公司 一种智能型口罩
KR20220081674A (ko) 2020-12-09 2022-06-16 주식회사 나노렉스 송풍팬이 설치된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2942Y1 (ko) 방진 마스크
US7464705B2 (en) Powered respirator
KR102002878B1 (ko) 전동식 공기정화 마스크
US6854464B2 (en) Respiration protecting apparatus
US20140261428A1 (en) Respiratory Filter Device
KR20120123969A (ko) 방진마스크
KR101630369B1 (ko) 공기 공급형 마스크
KR20160111349A (ko) 습기배출밸브를 구비한 스포츠용 미세먼지 여과 마스크
KR20110004559U (ko) 고글 겸용 필터교체형 산소마스크
KR101979949B1 (ko) 공기청정장치
KR102069369B1 (ko) 다기능 마스크
US20220184429A1 (en) Full-cover type portable air purifier
KR101943208B1 (ko) 공기 청정 장치
KR102365565B1 (ko) 실용성을 향상시킨 마스크
EP4122544B1 (en) Mask apparatus
GB2173705A (en) Dust filter respirator
JP7273424B2 (ja) 携帯型空気清浄装置
JP2000303245A (ja) ヘルメット一体型防塵マスク
KR20090039204A (ko) 하우징을 장착한 방진마스크
KR200485149Y1 (ko) 방진용 마스크
CN215387120U (zh) 口罩用空气供应装置
EP4122539A1 (en) Mask apparatus
EP4122538A1 (en) Mask apparatus
CN218129617U (zh) 一种可用于口罩的辅助呼吸装置及口罩
US20230021198A1 (en) Mask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