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334B1 -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보일러 연통 - Google Patents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보일러 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334B1
KR102137334B1 KR1020190009454A KR20190009454A KR102137334B1 KR 102137334 B1 KR102137334 B1 KR 102137334B1 KR 1020190009454 A KR1020190009454 A KR 1020190009454A KR 20190009454 A KR20190009454 A KR 20190009454A KR 102137334 B1 KR102137334 B1 KR 102137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wing
body portion
wall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종
Original Assignee
박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종 filed Critical 박기종
Priority to KR1020190009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8Door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smoke-boxes, flues, or chimn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7/00Inducing draught;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7/02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7/12Devices for fastening the top or terminal to chimney, shaft, or fl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70Safet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벽을 관통하는 연통; 및 상기 연통의 일측에 결합되고, 복수개의 날개가 연통에 인접하게 모아진 상태에서 외벽을 관통한 후 연통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외벽에 밀착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보일러 연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보일러 연통 {BOILER PIPE HAVING BLOCKING STRUCTURE}
본 발명은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보일러 연통에 관한 것이다.
보일러 연통을 건물 내부에 설치시 보일러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건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건물 외벽을 타공하고, 보일러에 연결된 연통을 타공된 홀(이하, 외벽홀'이라 한다)에 삽입한다.
그런데, 보일러에 연결된 연통을 외벽홀을 통해 삽입한 후에는, 외벽홀의 단면적보다 연통의 단면적이 작기 때문에 외벽홀의 내주면과 연통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게 된다. 그래서, 이와 같은 간극을 통해 건물 외부에서 이물질이 삽입되거나 빗물이 들어오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연통과 외벽홀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건물 외부에서 작업자가 실리콘 등을 채워 형성된 간극을 매우는 방법으로 건물 외부에서 이물질이 삽입하거나 빗물이 삽입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작업자가 반드시 건물 외부에 위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보일러가 설치되는 위치가 고층인 경우, 고층으로 작업자가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서 작업을 하거나, 건물 옥상에 연결된 줄사다리를 타고 내려와서 내려가서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연통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추락할 위험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할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법은 설치된 연통을 제거하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건물 외벽에서 몰딩된 실리콘 등을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어 연통을 철거하는 경우에도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일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보일러의 연통을 외벽홀에 설치시 연통과 외벽홀 사이의 간극을 매우는 작업을 건물 내부에서 할 수 있는 보일러 연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측면으로서, 설치된 연통을 제거하는 작업도 건물 내부에서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보일러 연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외벽을 관통하는 연통; 및 상기 연통의 일측에 결합되고, 복수개의 날개가 연통에 인접하게 모아진 상태에서 외벽을 관통한 후 연통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외벽에 밀착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보일러 연통을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내부에서 연통을 설치하고 연통과 외벽홀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메꿀 수 있어, 작업자가 건물 외부에서 작업할 필요가 없어, 연통 설치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일러 연통을 철거시에도, 작업자가 연통을 건물 내부에서 잡아당겨 설치된 차단부를 제거할 수 있어, 연통 철거시에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보일러 연통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몸체부의 전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몸체부의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날개의 정면도.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단부의 날개가 펼처지고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단부의 분해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보일러 연통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보일러 연통(100)를 이해시키는데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연통(110)는 내부가 비어있으며, 보일러와 연결되어 보일러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연통(110)은 건물 외벽에 타공된 홀(이하, '외벽홀(S1)' 이라 한다)을 통과하여 설치되어, 일측 단부는 건물 내에 설치되는 보일러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건물 외부로 노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단부(200)는, 연통(110)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연통(110)과 결합하는 복수개의 몸체부(210) 및 각각의 날개(220)가 상기 몸체부(21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고 하나의 날개(220)가 인접한 다른 날개(220)와 겹쳐진 상태로 상기 몸체부(210)에 결합하는 복수개의 날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몸체부(210)는 내부에 상기 날개(220)가 삽입되고 상기 날개(220)가 설정된 각도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관통홀(214)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몸체부(210)는 육면체로 구비되고, 육면체의 양측면(211)에 상기 날개 하부(223)가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하고, 상기 육면체의 정면(212)과 상부면(213)에 관통홀(21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210)의 형상이 육면체인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형상에 구애되지 않고 전술한 기술적 특징을 가지는 한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몸체부(210)는, 측면(211)에 홈이 형성되고, 관통홀(214)로 삽입되는 날개 하부(223)가 상기 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날개(220)와 상기 몸체부(210)가 힌지 결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날개 하부(223)는 일 실시예로 도 3에 되시된 것과 같이, 상기 몸체부(210)의 양측면(211)에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210)의 상부면에 형성된 관통홀(214)은 상기 관통홀(214)이 끝나는 지점(e1)과 상기 몸체부(210)의 뒷면이 시작되는 지점까지의 거리(d2)에 따라 상기 날개(220)가 펼쳐졌을 때의 각도(θ2)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날개(220)가 펼쳐졌을 때 상기 날개 하부(223)는 몸체부(210)의 측면(211)에 형성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날개 하부(223)와 연결된 날개 중부(222)가 날개 하부(223)를 중심으로 상기 연통(1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상기 몸체부(210)의 상부면(213)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214)이 끝나는 지점(e1)에서 멈추게 된다. 그 결과, 상기 날개(220)가 상기 연통(110)과 이루는 각도(θ2)가 설정되고, 본 발명에서는 90도 이하로 설정된다.
즉, 도 5 및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날개(220)가 펼쳐졌을 때, 날개가 상기 연통(110)과 이루는 각도(θ2)가 90도 이상으로 상기 꺽여지지 않고 외벽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기 날개(220)는 단면이 곡면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같은 원리로, 상기 몸체부(210)의 전면(212)에 형성된 관통홀(214)은 상기 관통홀(214)이 끝나는 지점(e2)과 상기 몸체부(210)의 하부면이 시작되는 지점까지의 거리(d2)에 따라 상기 날개(220)가 모아졌을 때의 각도(θ1)가 달라질 수 있다.
도 3, 도 6, 도 8 및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날개가 상기 연통(110)과 인접하게 모아질 때는 상기 날개 하부(223)는 몸체의 측면(211)에 형성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날개 중부(222)가 상기 날개 하부(223)를 중심으로 상기 연통(11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상기 몸체부(210)의 전면(212)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214)이 끝나는 지점(e2)에서 멈추게 된다.
그래서, 상기 날개(220)가 연통(110)과 이루는 각도가 설정되고 설정된 각도(θ1)에 따라, 상기 몸체부(210)가 건물 외벽(W)의 바깥에 노출되었을 때 날개 단부(224)가 상기 연통(110)과 건물 외벽(W)의 바깥면(W2) 사이에 형성된 간극(S1)으로 다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건물 외벽(W)의 바깥면(W2)과 접촉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몸체부(210)는, 상기 연통(110)의 외주면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고 용접 방식과 같이 상기 연통(110)의 외주면에 상기 몸체부(210)를 직접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연결부재(216)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216)가 상기 연통(110)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상기 연통(110)에 고정시, 상기 몸체부(210) 또한 상기 연통(110)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비될수 있다.
일 예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개도상, 상기 연결부재(216)의 상부면(213)에 복수개의 상기 몸체부(210)의 뒷면(215)을 이격한 상태로 연결하면, 상기 연결부재(216)가 연통(110)를 둘러싸는 경우 상기 연통(110)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몸체부(210)도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연통(11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통(110)은 설정된 간격으로 상기 몸체부(210)가 삽입되는 삽입홀(111)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210)의 상부부터 상기 삽입홀(111)을 통해 상기 몸체부(210)를 빼내되 상기 몸체부(210)의 하부는 상기 삽입홀(111)에서 빠지지 않는 형상으로 상기 몸체부(2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210)의 하부가 상기 연통(110)와 접촉하는 부분을 용접하여 상기 몸체부(210)를 상기 연통(110)에 고정할 수 있고, 다른 예로, 상기 몸체부(210)를 탄성력 있는 소재로 구비하여, 상기 몸체부(210)의 상부의 단면적이 상기 삽입홀(111)의 단면적보다 크더라도 상기 몸체부(210)의 상부는 상기 삽입홀(111)에서 상부가 빠져나오되, 하부는 측면이 상기 연통(110)의 삽입홀(111)에 밀착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연통(110)에 상기 몸체부(210)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210)의 측면(211)에는 상기 연통(110)에서 삽입홀(111)이 형성된 부분의 내주면에 걸리는 홈(217)이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몸체부(210)의 상부가 상기 삽입홀(111)을 빠져나갈때 상기 몸체부(210)의 측면이 가압되다가 상기 몸체부(210)의 측면에 형성된 홈(217)에 상기 삽입홀(111)이 빠져 상기 연통(110)에 상기 몸체부(210)가 걸려 상시 몸체부(210)가 상기 연통(11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210)는 상기 홈이 형성된 부분의 하단은 단면적이 상기 삽입홀(111)의 단면적보다 크게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210)를 설치시에 상기 몸체부(210)의 하부도 상기 삽입홀(111)을 통해 상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날개(220)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하나의 날개(220)는 인접한 다른 날개(220)와 포개어져, 어느 하나의 날개(220)가 상기 연통(110)에서 멀어지면 다른 날개(220) 모두 같은 멀어지고, 반대로 어느 하나의 날개(220)가 상기 연통(11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모아지면 다른 날개(220) 모두 같은 방향으로 모아지게 구비된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날개(220)는, 외벽홀(S1)의 내주면과 상기 연통(110) 사이에 형성된 간극(S1)을 매우는 날개 상부(221)와, 상기 몸체부(210)의 측면에서 힌지 결합하는 날개 하부(223)와, 상기 날개 상부(221)와 상기 날개 하부(223)를 연결하며 상기 몸체부(210)의 관통홀(214)에 삽입되어 상기 날개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날개 중부(2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날개 상부(221)는 부채꼴 형상으로 좌우 대칭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날개 하부(223)는 도면상 가로방향에서 상기 몸체부(210)의 측면(211)과 힌지 결합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 중부(222)는 상기 날개 상부(221)의 하단 중심에서 상기 날개 하부(223)를 도면상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날개 중부(222)는 상기 관통홀(214)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홀(214)의 폭보다 적은 폭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210)와 상기 날개가 결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관통홀(214)을 통해 상기 날개 중부(222)와 상기 날개 하부(223)를 삽입하고 상기 날개의 하부를 상기 몸체부(210)의 측면(211)에 끼워 상기 날개가 상기 몸체부(210)의 관통홀(214)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전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날개(220)를 상기 연통(110)에 인접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날개(220)는 상기 몸체부(210)의 전면에 형성된 관통홀(214)을 따라 이동하고 전면에 형성된 관통홀(214)의 하부에서 상기 몸체의 전면(212)과 접촉하여 회전이 제한된다.
여기서, 상기 날개와 상기 연통(110)과 이루는 각도(θ1)는,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날개(220)가 외벽홀(S1)을 통과한 후에 날개 단부(224)가 외벽홀(S1)의 바깥면과 접촉할 수 있는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각도(θ1)는 상기 관통홀(214)의 크기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즉, 관통홀(214)의 단부(e2)와 상기 몸체부(210)의 전면(212) 끝단까지의 거리(d2)가 설정된 값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어야 상기 날개(220)가 외벽홀(S1)을 통과한 후에 날개 단부(224)가 외벽홀(S1)의 바깥면과 접촉할 수 있는 각도(θ1)가 유지될 수 있다.
이 상태로, 상기 몸체부(210)와 상기 복수개의 날개(220)를 외벽홀(S1)에 삽입하면, 도 8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몸체부(210)가 설치된 연통(110)은 상기 외벽홀(S1)보다 작은 크기로 구비되어 외벽홀(S1)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날개(220)는 상기 연통(110)과의 각도가 전술한 각도로 구비되어, 탄성에 의해 휘어져 외벽홀(S1)에는 삽입될 수 있되, 날개 단부(224)가 상기 외벽홀(S1)의 내주면(W1)과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연통(110)을 계속 밀어 상기 몸체부(210)와 상기 복수개의 날개(220)가 외벽홀(S1)을 통과하게 되면, 상기 날개와 연통(110)과의 각도(θ1)는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은 각도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날개 단부(224)는 상기 건물 외벽(W)의 바깥면(W2)과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도 11을 참조하면, 연통(110)을 건물 내부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날개(220)는 단부(224)가 건물 외벽(W)의 바깥면(W2)과 접촉한 상태로 펼쳐지고, 상기 날개 중부(222)가 상기 몸체부(210)의 상부면의 관통홀(214)이 형성된 끝 지점(e1)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몸체부(210)의 상부면(213)에 형성된 관통홀(214)의 끝단(e1)과 상기 몸체부(210)의 상부면의 끝단까지의 거리(d1)가 0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상기 관통홀(214)을 구비하여, 상기 날개(220)와 상기 연통(110)이 이루는 각도(θ2)가 90도 이하로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날개는 바깥방향으로 꺽이지 않는 상태로 외벽홀(S1)과 상기 연통(110) 사이에 형성된 간극(S1)을 덮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한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보일러 연통(100)은 상기 과정이 끝난 후에 건물 내부에서 외벽홀(S1)과 상기 연통(110) 사이에 형성된 간극(S1)을 매우는 마감부재(230)를 설치하여 건물 외부 및 내부에서 외벽홀(S1)과 상기 연통(110) 사이에 형성된 간극(S1)으로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보일러 연통(100)은 연통(110)과 외벽홀(S1) 사이의 간극(S1)을 상기 복수개의 날개(220)가 건물 외부에서 덮어 상기 외벽홀(S1)을 통해 건물 외부에서 이물질 또는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설치과정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보일러 연통(100)은 건물 내부에서 상기 몸체부(210)와 상기 복수개의 날개(220)가 설치된 연통(110)을 외벽홀(S1)을 통해 밀어넣고 상기 몸체부(210)와 복수개의 날개(220)가 외벽홀(S1) 밖으로 밀려나간 후에 다시 연통(110)을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설치가 완료되기 때문에, 간단한 공정으로 작업을 완료할 수 있고, 건물 외부에서 작업자가 외벽홀(S1)과 연통(110) 사이의 간극(S1)을 매우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안전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보일러 연통(100)은, 상기 연통(110)을 교체할 때, 연통(110)을 설정된 외력 이상으로 건물 내부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날개(220)가 꺽인 상태로 외벽홀(S1)을 통해 건물 내부로 들어오거나, 상기 몸체부(210)에서 분리되어 건물 외부에서 낙하하기 때문에, 별도로 작업자가 사다리를 통해 건물 외부에서 작업할 필요가 없어, 설치시와 같이 안전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보일러 연통에서 보일러는 단순히 가정용, 산업용 보일러에 한정하지 않고, 가스를 배출하는 다양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보일러 연통
110: 연통
111: 삽입홀
200: 차단부
210: 몸체부
211: 옆측면
212: 전면
213: 상부면
214: 관통홀
215: 뒷면
216: 연결부재
217: 홈
220: 날개
221: 날개 상부
222: 날개 중부
223: 날개 하부
224: 날개 단부
230: 마감부재
S1: 외벽홀, 간극
W: 건물 외벽

Claims (10)

  1. 외벽을 관통하는 연통; 및
    상기 연통의 일측에 결합되고, 복수개의 날개가 연통에 인접하게 모아진 상태에서 외벽을 관통한 후 연통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외벽에 밀착하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연통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연통과 결합하는 복수개의 몸체부; 및
    각각의 날개가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고, 하나의 날개가 인접한 다른 날개와 겹쳐진 상태로 상기 몸체부에 결합하는 복수개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날개가 삽입되고, 상기 날개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보일러 연통.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단면도상 상기 연통과 상기 날개가 이루는 각도가 0도 이상에서 90도 이하를 이루게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보일러 연통.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연통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보일러 연통.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에는, 상기 몸체부가 결합하는 위치에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삽입홀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연통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보일러 연통.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탄성력 있는 소재로 구비되어, 상기 연통에 삽입시 상기 연통을 가압한 상태로 상기 연통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보일러 연통.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연통의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보일러 연통.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상기 연통에 펼쳐진 상태에서 외벽에 밀착시 날개의 단부는 외벽과 접촉하고, 상기 날개의 단면이 곡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보일러 연통.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건물 외벽에 타공된 홀에 연통이 삽입된 후 상기 건물 내측에서 상기 건물 외벽에 타공된 홀과 상기 연통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매우는 마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보일러 연통.
KR1020190009454A 2019-01-24 2019-01-24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보일러 연통 KR102137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454A KR102137334B1 (ko) 2019-01-24 2019-01-24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보일러 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454A KR102137334B1 (ko) 2019-01-24 2019-01-24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보일러 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334B1 true KR102137334B1 (ko) 2020-07-23

Family

ID=71894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454A KR102137334B1 (ko) 2019-01-24 2019-01-24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보일러 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3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8872U (ko) * 1997-12-27 1999-07-15 강성모 보일러용 연통의 외벽 플랜지장치
KR200162119Y1 (ko) * 1997-10-23 2000-03-02 김철수 벽면부착식 ff 보일러용 연도
KR200329394Y1 (ko) * 2003-06-23 2003-10-17 이규산 벽체로 관통되는 가스배관의 보호관
KR20140097616A (ko) * 2012-12-28 2014-08-0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전극홀 간극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119Y1 (ko) * 1997-10-23 2000-03-02 김철수 벽면부착식 ff 보일러용 연도
KR19990028872U (ko) * 1997-12-27 1999-07-15 강성모 보일러용 연통의 외벽 플랜지장치
KR200329394Y1 (ko) * 2003-06-23 2003-10-17 이규산 벽체로 관통되는 가스배관의 보호관
KR20140097616A (ko) * 2012-12-28 2014-08-0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전극홀 간극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9045B1 (ko) 방화 스프링클러용 밀어넣음/당김 보호 캡
JP6566962B2 (ja) エナジー・ガイド・チェーン
US10682988B2 (en) Enhanced washing device for vehicle accessory
KR102137334B1 (ko)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보일러 연통
EP3232685A1 (en) A dome for a personal audio device
KR101819485B1 (ko) 폴딩도어 경첩
KR101774753B1 (ko) 폴딩도어
KR860008804A (ko) 페인트 로울러 장치
EP2923624B1 (de) Staubfilterbeutel für einen staubsauger sowie anordnung eines staubfilterbeutels in einem staubsauger
KR101092839B1 (ko) 추락방지 안전맨홀
KR102091352B1 (ko) 손 끼임 방지구조를 갖는 여닫이문
KR102100695B1 (ko) 추락방지 안전망 설치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3556685B2 (ja) 屋外用電子機器ケース
KR102062059B1 (ko) U자형 경첩을 구비한 안전도어
KR102619231B1 (ko) 분리형 경첩
EP3480069B1 (en) Enhanced washing device for vehicle accessory
NL2006105C2 (en) Electrical installation box.
KR101774754B1 (ko) 폴딩도어 경첩
KR101702340B1 (ko) 자중에 의해 잠금 여부가 결정되는 맨홀
EP3124732B1 (en) A window with an opening restrictor having a gripping mechanism
KR200477029Y1 (ko) 반자동 회전 게이트
KR102667794B1 (ko) 창틀 프레임의 배수공에 설치되는 방충캡
KR200367702Y1 (ko) 배수구 덮개
KR102668099B1 (ko) 창틀 프레임의 배수공에 설치되는 방충캡
KR102430549B1 (ko) 소음방지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