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683B1 - 식품가공용 고점도 액상체의 이송효율이 개선된 튜브연동펌프 - Google Patents

식품가공용 고점도 액상체의 이송효율이 개선된 튜브연동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683B1
KR102136683B1 KR1020190023152A KR20190023152A KR102136683B1 KR 102136683 B1 KR102136683 B1 KR 102136683B1 KR 1020190023152 A KR1020190023152 A KR 1020190023152A KR 20190023152 A KR20190023152 A KR 20190023152A KR 102136683 B1 KR102136683 B1 KR 102136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liquid
body portion
pump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환
Original Assignee
박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환 filed Critical 박종환
Priority to KR1020190023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6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1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 F04B43/1253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by using two or more rollers as squeezing elements, the rollers moving on an arc of a circle during squ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3Kind or type mixed, e.g. two-phase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점도 액상체 및 고형분이 포함된 액상체의 이송효율이 개선된 튜브연동펌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튜브를 액상체가 유입되는 일측에서 배출되는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함으로써, 액상체가 튜브의 경사를 따라 흘러내리는 중력 작용을 통해이송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고점도 액상체의 이송효율이 개선된 튜브연동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후방 몸체부와, 상기 후방 몸체부에서 전방 하측으로 연장되는 전방 몸체부로 이루어지는 메인 몸체와; 상기 후방 몸체부에 승하강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전방 몸체부의 직상방에 위치하는 승하강 몸체와; 상기 후방 몸체부와, 전방 몸체부에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는 압착롤러로 구성되는 회전 압착체와; 상기 복수의 압착롤러에 의해 압착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액상체의 이송효율이 개선된 튜브와; 상기 승하강 몸체를 승하강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승하강 몸체 중 상기 액상체가 유입되는 일측에는 하향경사지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경사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품가공용 고점도 액상체의 이송효율이 개선된 튜브연동펌프{Advanced tube peristaltic pump for high viscosity liquid transport}
본 발명은 식품 가공 등에 사용되는 고점도 액상체 및 고형분이 포함된 액상체의 이송효율이 개선된 튜브연동펌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펌프 내에서 액상체가 유입되는 일측에서 배출되는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튜브를 배치함으로써 절각부를 제거하고 중력이 작용하도록 구조화하여 액상체 이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점도 액상체 및 고형분이 포함된 액상체의 이송효율이 개선된 튜브연동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튜브연동펌프(tube peristaltic pump)는 유체 즉 액상체를 정량으로 전달하거나 제공하기 위하여 실험실 또는 제약산업 등에 제한적으로 사용되어 왔는데, 만두 속이나 순대 속 등을 채워야 하는 식품 가공공장에서도 광범위하게 수요가 있음에도 실제 적용할 수 있는 액상체 전용펌프가 개발되지 않아 그 사용이 제한되어 왔다.
또한 현재 사용 중인 대부분의 튜브연동펌프는 도 6과 같이 합성 연질플라스틱 등 유연한 재질로 튜브를 제공하여 연동펌프에 물려 사용하게 되는데, 튜브는 펌프 내부에서 원통상 내경을 따라 배치하고, 외방 방사상으로 힘을 가하는 연속 압축롤러에 의해 국부적으로 차단 또는 폐색되면서 압축롤러에 의해 발생하는 튜브 연동 운동에 의해 소정의 양이 계속적으로 펌핑되도록 한다. 즉 펌프 내부에 배치된 튜브의 폐색 위치는 압축롤러가 튜브를 따라 구동되면서 소정의 위치에서부터 압축하여 폐색됨으로써 연동하기 시작하고 소정의 위치에서 압축을 해제하는 방식으로 액상체 펌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알려진 기술은 도 6의 튜브 연동펌프와 같이 튜브의 배치 구조가 '∩'와 같이 위로 볼록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액상체를 상승시켜 회전체의 압축롤러가 압축하는 최상단의 절곡부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점도가 낮아 잘 흐르는 액상체의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점도가 높아 걸쭉한 고점도 액상체 및 고형분이 포함된 액상체의 경우에는 이송 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에는 펌프 내부에 물려진 튜브의 변곡점, 절곡부를 형성하는 구조적 문제가 있어 크기가 다소 큰 고형체가 액상체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절곡부는 큰 장애요소가 되어 이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방해함으로써 연속적인 연동 운동이 제한되었고 역학상 액상체의 이송 방향이 하부에서 상부로 밀어 올린 후 다시 이를 하부로 이송하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중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설계된 것이어서 이송 효율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압축롤러가 튜브를 폐색하고 해제할 때 까지 튜브 표면은 강한 마찰에 따른 고열이 발생하여 장비 고장의 위험이 상존해 있었으나 이에 대한 개선책은 제안되지 못하고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7-33003호에는 프랑스에서 개발된 튜브연동식 펌프 내의 튜브에 조절압축력을 가하는 방법과 장치로 클램핑 제어기구를 제시하고 이를 통해 클램핑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여전히 고점도 액상체를 이송하는 문제는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였다
공개특허공보제10-2019-5892호에는 의료처리용 연동펌프 기술을 개시하면서 연동펌프 폐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장치를 더 부가함으로써 유체흐름을 모니터링하는 기술을 제공한 점이 개선된 것이나, 도면을 참고하면 펌프 내부에 배치된 튜브는 절각되지 않도록 원통형으로 매우 긴 이송로를 만드는 구조로 이루어져 여전히 고점도 액상체 운반에 효율적이지 않은 상태에 그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09123호에는 정량 확인을 위한 임베디드 컨트롤 모듈을 구비한 튜브펌프를 개시하고 있으나 도면을 참고하면 이 기술 또한 도 6의 종래에 제안된 튜브연동펌프는 튜브의 비치 구조와 동일하게 '∩'와 같이 위로 볼록한 구조의 절각점을 만들고 있어 액상체를 상승시켜 회전체의 압축롤러가 압축하는 최상단의 절곡부를 통과해야 하는 구조적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점도가 낮을 경우에는 이송문제가 없지만 고점도 액상체는 이송 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고질적 문제가 계속되어 왔다.
이 때문에 고점도 액상체를 사용하는 산업현장에서는 이를 효율적으로 이송하는 펌프 개발이 오랫동안 요구되어 왔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7-33003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9-5892호 등록특허공보 제10-126888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펌프 내에서 액상체가 유입되는 일측에서 배출되는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튜브를 배치함으로써 절각부를 제거하고 중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액상체가 튜브의 경사를 따라 효과적으로 이송되도록 한 고점도 액상체 및 고형분이 포함된 액상체의 이송효율이 개선된 튜브연동펌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튜브와 압축롤러의 마찰력을 감쇄시킬 방안을 제시하여 장비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고점도 액상체의 이송효율이 개선된 튜브연동펌프(100)는 고점도 액상체 및 고형분이 포함된 액상체의 이송효율이 개선된 튜브연동펌프(100)는 후방 몸체부와, 상기 후방 몸체부에서 전방 하측으로 연장되는 전방 몸체부로 이루어지는 메인 몸체(110)와; 상기 후방 몸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전방 몸체부의 직상방에 위치하는 승하강 몸체(120)와; 상기 전방 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후방 몸체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131)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회전판(132)과,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압착롤러(133)로 구성되는 회전 압착체와; 상기 펌프 내부에 고정되며 회전축 회전시 복수의 압착롤러에 의해 반복적으로 압착되는 튜브(140)와; 상기 승하강 몸체를 승하강시키는 레버(150);를 포함하되, 상기 튜브 내 액상체 유입부에 대응하는 승하강 몸체의 일측에는 하향경사지게 경사홀(12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튜브(140)는 일측이 상기 경사홀(121)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승하강 몸체(120)와 전방 몸체부(112)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되 전방 몸체부와 승하강 몸체 사이에 하향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튜브 내 액상체가 상기 경사홀 측으로부터 유입된 후 자중에 의해 흘러내리면서 회전 압착체의 압착롤러에 의해 토출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점도 액상체의 이송효율이 개선된 튜브연동펌프는 펌프 내에서 액상체가 유입되는 일측에서 배출되는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튜브를 배치함으로써 절각부를 제거하고 중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액상체가 튜브의 경사를 따라 효과적으로 이송되도록 한 고점도 액상체 및 고형분이 포함된 액상체의 이송효율이 개선된 튜브연동펌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튜브와 압축롤러의 마찰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장비 내구성을 크게 높여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점도 액상체 및 고형분이 포함된 액상체의 이송효율이 개선된 튜브연동펌프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 압착체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액상체의 이송효율이 개선된 튜브가 회전 압착체에 의해 압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점도 액상체 및 고형분이 포함된 액상체의 이송효율이 개선된 튜브연동펌프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튜브연동펌프의 일측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은 튜브가 ∩자형으로 배치된 구조의 튜브연동펌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점도 액상체 및 고형분이 포함된 액상체의 이송효율이 개선된 튜브연동펌프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구조이며, 도 2는 튜브를 일정한 시간동안 압착하여 폐색한 상태로 액상체를 연동시킨 후 해제하는 기능을 가진 본 발명의 회전 압착체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액상체의 이송효율이 개선된 튜브가 회전 압착체에 의해 압착되면서 하부로 이송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레버(150)에 의해 승하강 몸체(120)가 하부로 이동하여 튜브 상부를 고정하게 한 상태에서 압착체 회전시 압착체 회전판의 외축으로 돌출된 다수의 압착롤러가 하부 일 지점으로부터 튜브를 가압, 폐색한 상태로 회전하며 액상체를 연동하여 이송시키고 일정 지점에서 해제하도록 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대응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점도 액상체 및 고형분이 포함된 액상체의 이송효율이 개선된 튜브연동펌프의 승하강 몸체가 하부로 이동하여 튜브 상부를 고정하게 한 상태와 승하강 몸체가 상부로 이동하여 튜브를 해제한 상태의 실제 실시예 사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튜브연동펌프가 복수개 결합되어 대량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하기 위해 병렬적으로 2대가 결합된 것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점도 액상체 및 고형분이 포함된 액상체의 이송효율이 개선된 튜브연동펌프(100)는 고점도 액상체 및 고형분이 포함된 액상체의 이송효율이 개선된 튜브연동펌프(100)는 후방 몸체부와, 상기 후방 몸체부에서 전방 하측으로 연장되는 전방 몸체부로 이루어지는 메인 몸체(110)와; 상기 후방 몸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전방 몸체부의 직상방에 위치하는 승하강 몸체(120)와; 상기 전방 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후방 몸체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131)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회전판(132)과,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압착롤러(133)로 구성되는 회전 압착체와; 상기 펌프 내부에 고정되며 회전축 회전시 복수의 압착롤러에 의해 반복적으로 압착되는 튜브(140)와; 상기 승하강 몸체를 승하강시키는 레버(150);를 포함하되, 상기 튜브 내 액상체 유입부에 대응하는 승하강 몸체의 일측에는 하향경사지게 경사홀(1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튜브(140)는 일측이 상기 경사홀(121)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승하강 몸체(120)와 전방 몸체부(112)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되 전방 몸체부와 승하강 몸체 사이에 하향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튜브 내 액상체가 상기 경사홀 측으로부터 유입된 후 자중에 의해 흘러내리면서 회전 압착체의 압착롤러에 의해 토출되게 된다.
또한 액상체는 고형물의 점도가 높은 액상 형태의 걸죽한 고추장, 죽 등이나 다소 크기가 큰 고형체가 섞인 만두 속이나 순대 속 등 조성물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상기 메인 몸체(110)는 후방 몸체부(111)와, 상기 후방 몸체부(111)에서 전방 하측으로 연장되는 전방 몸체부(112)로 이루어지며, 승하강 몸체(120)는 후방 몸체부(111)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전방 몸체부(112)의 직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또한 상기 전방 몸체부(112)는 그 상단 구조가 위로 볼록한 몸체부 구조를 그대로 차용할 수 있고, 펌프 내에 물리는 튜브가 회전하는 압착 롤러(133)에 의해 하부로부터 충분히 가압될 수 있도록 튜브 삽입 지점은 높이고 튜브 배출 지점은 상대적으로 낮도록 액상체 공급방향에 따라 좌상우하 또는 우상좌하로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종래 기술과 같이 튜브가 ∩자형으로 배치되는 장치에 단지 튜브 삽입 지점만 하부가 아닌 상부로 옮겨 관통공을 제공하는 간단한 조치만으로 사용 중인 장치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전방 몸체부(112) 상단 구조를 좌상우하 또는 우상좌하의 경사진 구조로 더욱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방 몸체부(112)에 대응하는 승하강 몸체(120)는 상기 전방 몸체부(112)의 상단과 치합되도록 하단이 위로 볼록한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좌상우하 또는 우상좌하의 경사진 전방 몸체부(112) 상단 구조에 대응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 내 액상체 유입부에 대응하는 승하강 몸체의 일측에는 하향경사지게 경사홀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경사홀은 튜브를 더욱 고정하도록 표면 마찰력을 높이는 돌부를 더 부가하거나, 실리콘 코팅을 통해 마찰력을 더 보강할 수 있다.
튜브 내 액상체를 가압하여 연동 운동하여 이송하는 기능의 상기 회전 압착체(130)는 회전축(131)과, 상기 회전축(131)에 설치되는 회전판(132)과, 상기 회전판(132)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는 압착롤러(133)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131)은 상기 후방 몸체부(111)의 하측에서 수평하게 관통하여 후단은 노출되고 전단은 상기 전방 몸체부(112)에 연결되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회전축(131)의 후단에는 회전용 모터가 연결되어 회전판(132)에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압착롤러(133)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롤러의 일부는 상기 회전판(132)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회전판(132)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결합한다. 이를 통해 압착롤러(133)는 회전시 가압한 튜브에 압력을 계속 연동하여 작용하게 하면서도 튜브와의 마찰력을 극소화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 2에는 상기 압착롤러(133)가 4개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2개 내지 6개 등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압착롤러(133)는 상기 회전판(132)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튜브(140)를 반복적으로 압착하면서 튜브 내에 있는 액상체(A)를 펌핑하게 된다.
상기 튜브(140)는 상기 복수의 압착롤러(133)의 압착에 의해 수축되고 압착롤러(133)가 지나가면 팽창하는 특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탄성 및 복원성이 우수한 고무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튜브는 펌프 내부에 물린 부분에 대하여 압착롤러(133)가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가압 및 해제를 반복하기 때문에 마찰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이송 액상체의 변질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튜브 외면에 그래핀코팅을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마찰열을 신속히 발산시킴과 동시에 이송되는 액상체의 변질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그래핀코팅은 튜브 내측면에 더 코팅함으로써 내부 액상체의 이송을 보조할 뿐 아니라 이송 완료후 튜브 내부 물청소시 발수 효과를 통한 높은 세척효율을 지원한다.
또한 상기 펌프 내부 튜브는 착탈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액상체 이송 튜브에서 가압 및 해제로 가장 스트레스가 많은 부분은 펌프 내부에 물린 부분이므로, 튜브 손상의 위험이 가장 많은 펌프 내부에 대응하는 부분만 착탈식으로 제공하여 관리시 유지관리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레버(150)는 승하강 몸체(120)를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레버(150)를 도 3에 도시된 왼쪽과 같이 좌측으로 젖히면 승하강 몸체(120)가 하강하면서 튜브(140)를 전방 몸체부(112)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하게 되며 튜브(140)를 설치하고자 하거나 작업 후 분리하고자 할 때는 우측으로 젖혀 승하강 몸체(120)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와다른 일 실시예로 도1 및 도4와 같이 우측으로 젖히면 승하강 몸체(120)가 하강하게 할 수도 있다.
즉 레버(150)는 튜브를 펌프 내부에 고정하고 해제하기 위한 조치로서 튜브의 상하부가 각각 승하강 몸체(120) 하단과 전방 몸체부(112) 상단으로 밀착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레버(150) 기능에 더하여 펌프 내부에 튜브를 더욱 단단히 고정할 수 있도록 펌프의 튜브 삽입 지점과 배출 지점에는 돌기형태의 턱을 대응하여 부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고점도 액상체 및 고형분이 포함된 액상체의 이송효율이 개선된 튜브연동펌프의 작용에 대하여 종래의 튜브연동펌프과 대비하여 설명한다.
즉 종래에는 도 6과 같이 위로 볼록하게 설치된 펌프가 액상체를 튜브의 상단 절곡부 변곡점까지 상승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송 효율이 떨어지고 특히 걸쭉한 고점도 액상체나 만두나 순대 속 등 다소 큰 고형분이 포함된 액상체의 이송은 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 고점도 액상체 및 고형분이 포함된 액상체의 이송효율이 개선된 튜브연동펌프에는 펌프 내 고정된 튜브가 절곡부 변곡점 없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액상체의 흐름은 자중에 자연방식으로 흘러내려가게 구조화함으로써 이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튜브연동펌프 110 : 메인 몸체
111 : 후방 몸체부 112 : 전방 몸체부
120 : 승하강 몸체 121 : 경사홀
122 : 압착 돌기 130 : 회전 압착체
131 : 회전축 132 : 회전판
133 : 압착롤러 140 : 튜브
150 : 레버 A : 액상체

Claims (2)

  1. 고점도 액상체의 이송효율이 개선된 튜브연동펌프에 있어서,
    후방 몸체부와, 상기 후방 몸체부에서 전방 하측으로 연장되는 전방 몸체부로 이루어지는 메인 몸체와;
    상기 후방 몸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전방 몸체부의 직상방에 위치하는 승하강 몸체와;
    상기 전방 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후방 몸체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압착롤러로 구성되는 회전 압착체와;
    상기 펌프 내부에 고정되며 회전축 회전시 복수의 압착롤러에 의해 반복적으로 압착되는 튜브와;
    상기 승하강 몸체를 승하강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튜브 내 액상체 유입부에 대응하는 승하강 몸체의 일측에는 하향경사지게 경사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도 액상체의 이송효율이 개선된 튜브연동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일측이 상기 경사홀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승하강 몸체와 전방 몸체부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되 전방 몸체부와 승하강 몸체 사이에 하향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튜브 내 액상체가 상기 경사홀 측으로부터 유입된 후 자중에 의해 흘러내리면서 회전 압착체의 압착롤러에 의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도 액상체의 이송효율이 개선된 튜브연동펌프.
KR1020190023152A 2019-02-27 2019-02-27 식품가공용 고점도 액상체의 이송효율이 개선된 튜브연동펌프 KR102136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152A KR102136683B1 (ko) 2019-02-27 2019-02-27 식품가공용 고점도 액상체의 이송효율이 개선된 튜브연동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152A KR102136683B1 (ko) 2019-02-27 2019-02-27 식품가공용 고점도 액상체의 이송효율이 개선된 튜브연동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6683B1 true KR102136683B1 (ko) 2020-07-22

Family

ID=71892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152A KR102136683B1 (ko) 2019-02-27 2019-02-27 식품가공용 고점도 액상체의 이송효율이 개선된 튜브연동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68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4764A (ja) * 1994-02-07 1995-08-22 Shigeo Kai チューブの内容物を定量ずつ垂直方向に吐出せしむる内容物の吐出方法及びチューブポンプ
JPH09222084A (ja) * 1996-02-16 1997-08-26 Sanwa Sangyo Kk 圧送装置
KR20070033003A (ko) 2004-06-22 2007-03-23 질송 에스.아.에스 튜브연동식펌프 내의 튜브에 조절 압축력을 가하는 방법과 장치
KR101268885B1 (ko) 2012-11-22 2013-05-29 주식회사 선반도체 탄성튜브 및 탄성튜브를 포함하는 연동형 펌프
JP2014521886A (ja) * 2011-08-17 2014-08-28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線形蠕動ポンプ
JP2018132063A (ja) * 2017-02-16 2018-08-23 バイオセンス・ウエブスター・(イスラエル)・リミテッドBiosense Webster (Israel), Ltd. 摩擦電気の影響が低減されたペリスタルティックポンプ
KR20190005892A (ko) 2016-05-06 2019-01-16 프레제니우스 메디칼 케어 도이치란드 게엠베하 의료용 처리 장치, 의료용 처리 장치용 튜브 세트, 및 연동 펌프 모니터링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4764A (ja) * 1994-02-07 1995-08-22 Shigeo Kai チューブの内容物を定量ずつ垂直方向に吐出せしむる内容物の吐出方法及びチューブポンプ
JPH09222084A (ja) * 1996-02-16 1997-08-26 Sanwa Sangyo Kk 圧送装置
KR20070033003A (ko) 2004-06-22 2007-03-23 질송 에스.아.에스 튜브연동식펌프 내의 튜브에 조절 압축력을 가하는 방법과 장치
JP2014521886A (ja) * 2011-08-17 2014-08-28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線形蠕動ポンプ
KR101268885B1 (ko) 2012-11-22 2013-05-29 주식회사 선반도체 탄성튜브 및 탄성튜브를 포함하는 연동형 펌프
KR20190005892A (ko) 2016-05-06 2019-01-16 프레제니우스 메디칼 케어 도이치란드 게엠베하 의료용 처리 장치, 의료용 처리 장치용 튜브 세트, 및 연동 펌프 모니터링 방법
JP2018132063A (ja) * 2017-02-16 2018-08-23 バイオセンス・ウエブスター・(イスラエル)・リミテッドBiosense Webster (Israel), Ltd. 摩擦電気の影響が低減されたペリスタルティックポン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4334B1 (en) Linear peristaltic pump used for precisely metering and conveying fluid
CN210286714U (zh) 一种用于灌装机的防滴漏单向灌装机构
KR102136683B1 (ko) 식품가공용 고점도 액상체의 이송효율이 개선된 튜브연동펌프
EP0475945A1 (en) Two-stage pumping apparatus with low shear first stage
CN110434157A (zh) 垃圾干湿分离输送装置
CN213263008U (zh) 一种高效牛奶自动灌装装置
WO2009130250A1 (en) A linear peristaltic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of the apparatus
CN212140954U (zh) 一种可持续喂食的新型饲喂装置
CN113771404A (zh) 一种制药用压料装置
CN208169108U (zh) 一种灌装机构
CN207263040U (zh) 谷壳装填机构
CN109042394A (zh) 一种自动化输料供给及残料清理机构
CN107585424A (zh) 一种握式挤出瓶
CN210620205U (zh) 一种香水灌装机
CN217673527U (zh) 一种高通量食材输送管道及包装装置
CN220712866U (zh) 一种安全型丸子定型机
CN209366698U (zh) 一种膏体分装结构
CN105344139B (zh) 高粘度料浆过滤机
CN114737764B (zh) 一种混凝土输送泵
CN213360383U (zh) 一种升降式直线单管泵
CN218127302U (zh) 一种三折伞纤维骨包碟装置
CN113288802B (zh) 营养液供给装置
CN217959621U (zh) 一种高效自清洗鲜果榨汁机
CN220143114U (zh) 一种阻流防贴壁的护肤品真空均质乳化装置
CN213360377U (zh) 一种横向压管的旋转式软管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