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878B1 - 복굴절 확산판을 이용한 풀칼라 투명 홀로글래스 스크린 제작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굴절 확산판을 이용한 풀칼라 투명 홀로글래스 스크린 제작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878B1
KR102135878B1 KR1020180075417A KR20180075417A KR102135878B1 KR 102135878 B1 KR102135878 B1 KR 102135878B1 KR 1020180075417 A KR1020180075417 A KR 1020180075417A KR 20180075417 A KR20180075417 A KR 20180075417A KR 102135878 B1 KR102135878 B1 KR 102135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beam
holographic optical
optical element
manufacturing
diffus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192A (ko
Inventor
김은수
황용석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75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878B1/ko
Publication of KR20200002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65Particular recording light; Beam shape or geomet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2Details of features involved during the holographic process; Replication of holograms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03H2001/0208Individual components other than the hologram
    • G03H2001/0212Light sources or light beam propert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02Recording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03H2001/0441Formation of interference pattern,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lo Graphy (AREA)
  • Diffracting Gratings Or Hologram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복굴절 성질을 갖는 확산판을 통과한 물체광을 특정 각도로 확산시키고, 복굴절 성질을 갖는 확산판을 통과한 참조광을 직진 투과시킴으로써, 단순한 필름 구조로 빔의 세기와 모양을 형성시키는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방법 및 홀로글래스 스크린의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복굴절 확산판을 이용한 풀칼라 투명 홀로글래스 스크린 제작 방법 및 시스템 {Manufacture System of Full Color Transparent Hologlass Screen Using Birefringent Diffusion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는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를 제작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홀로그램은 광파가 기록된 매체로서 광파의 세기와 위상 정보를 저장한다. 홀로그램은 광파의 세기와 위상 정보를 이용하여 시각정보를 3차원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홀로그램을 기록하는 방법은 간섭성을 갖는 물체광(신호광)과 참조광(기준광)을 조사하여 신호광 및 기준광 간의 간섭무늬를 매체에 기록한다. 홀로그램을 기록/재생하는 방법은 크게 투과형과 반사형으로 구분된다.
홀로그램을 디스플레이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경사 입사에서 풀칼라와 고투명도를 유지하면서 주간 시인성과 광각 특성이 요구된다. 기존의 확산판은 물체광 및 참조광 모두에 대하여 빔의 진행 방향에 관한 확산성이 커서 저각으로 입사되는 참조광 외에는 방향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50392호 (2015.08.31)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굴절 성질을 갖는 확산판을 통과한 물체광을 특정 각도로 확산시키고, 복굴절 성질을 갖는 확산판을 통과한 참조광을 직진 투과시킴으로써, 단순한 필름 구조로 빔의 세기와 모양을 형성시키는 데 발명의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제1 레이저 빔 및 제2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단계, 복굴절 성질을 갖는 확산판을 통하여 상기 제1 레이저 빔 및 상기 제2 레이저 빔의 광학 특성을 조절하는 단계, 및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에 상기 제1 레이저 빔 및 상기 제2 레이저 빔을 입사시켜 간섭 패턴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제1 레이저 빔 및 제2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광학 장치, 상기 제1 레이저 빔 및 상기 제2 레이저 빔을 입사시켜 간섭 패턴을 기록하는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 및 상기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에 밀착되어 상기 제1 레이저 빔 및 상기 제2 레이저 빔의 광학 특성을 조절하는 복굴절 성질을 갖는 확산판을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제1 레이저 빔 및 제2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단계, 복굴절 성질을 갖는 확산판을 통하여 상기 제1 레이저 빔 및 상기 제2 레이저 빔의 광학 특성을 조절하는 단계,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에 상기 제1 레이저 빔 및 상기 제2 레이저 빔을 입사시켜 간섭 패턴을 기록하는 단계, 및 투명판의 일면에 상기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를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크린의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복굴절 성질을 갖는 확산판을 통과한 물체광을 특정 각도로 확산시키고, 복굴절 성질을 갖는 확산판을 통과한 참조광을 직진 투과시킴으로써, 단순한 필름 구조로 빔의 세기와 모양을 형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굴절 확산판을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시스템의 복굴절 확산판의 광학 성질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시스템에서 원형 비드가 배열된 확산판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제작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최근 들어 매스미디어를 이용한 광고와 차별화된 광고 기법으로 시트 형태의 투영 스크린을 형성하고 이 스크린에 광고 콘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이 확대되고 있다. 일례로 이러한 방법은 상점의 윈도우 후면에 투과형 투명 필름(Rear Projection Film)을 부착하고, 상점 내에 설치된 빔 프로젝터로부터 투과형 필름에 광고 영상을 투사시켜 상점 밖의 사람들이 윈도우를 통하여 빔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볼 수 있도록 제공된다.
투명한 프로젝션 스크린들은 광범위한 응용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인터랙티브 쇼윈도(Interactive Shop Windows)에 적용되는 것이다. 스크린의 배후의 물체들을 보는 것을 허용하면서 스크린 상에 정보를 투사하기 위해 소위 홀로스크린들(Holoscreens)이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스크린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스크린(100)은 투명판(110) 및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120)를 포함한다.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120)는 베이스 필름(Base Film, 121)과 베이스 필름(121)에 형성된 간섭 패턴(12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스크린(100)는 빔 프로젝터 스크린으로 적용될 수 있다.
투명판(110)는 유리로 제조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투명한 유리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투명판(110)은 유리 대신에 투명하게 형성된 다른 소자(ex. 아크릴 판)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120)는 사전에 설계된 방향으로 회절되는 볼륨 회절 소자들을 포함하는 회절판으로서, 서로 다른 파장 대역을 갖는 광들을 같은 방향으로 투과 및 회절시키는 기능을 한다. 파의 진행방향을 바꾸는 광학소자를 회절 격자(Diffraction Grating)라고 한다. 이러한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120)는 단일 계층으로 형성되어 투명판(110)의 일면에 적층될 수 있다.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120)는 투과형 홀로그램 기록 방법을 이용하여 베이스 필름은 포토폴리머로 구현될 수 있다.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120)는 VHOE(Volume Holographic Optical Element) 필름에 간섭 패턴을 형성시킴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베이스 필름은 결속제(Polymeric Binder), 모노머(Monomers), 개시제(Initiator System), 감광염료(Sensitizing Dye)로 구성될 수 있다.
모노머는 실질적인 정보를 저장하는 부분으로 광 중합반응의 화학반응을 거쳐 굴절률 변화를 일으킨다. 개시제는 초기에 중합반응을 쉽게 일어나게 하는 부분이고, 감광염료는 원하는 대역의 광을 흡수하여 중합반응을 시작할 수 있도록 개시제를 상호작용 시키며 반응 파장을 선택할 수 있는 부분이다.
간섭 패턴(122)은 두 개의 레이저 빔(물체광 및 참조광)에 의한 간섭 패턴에 따라 노출될 때 모노머(Monomer)가 작용기(Functional Group)와 결합하여 폴리머화(Polymerized)되면서 특정 형태가 정렬되어 형성된다.
먼저 노광에 의한 간섭 패턴을 기록한다. 두 빔이 기록 매질에서 간섭을 일으켜 보강간섭이 일어나는 부분이 밝은 부분(bright)으로, 상쇄간섭이 일어나는 부분이 어두운 부분(dark)으로 가정하면 노출시 밝은 부분에는 많은 에너지가 흡수된 모노머가 폴리머로 되는 광 중합반응이 활발히 일어난다. 중합반응의 양은 입사하는 두 빔의 세기에 따라 결정된다.
다음으로 어두운 부분의 모노머가 밝은 지역으로 확산(diffusion)하여 광 중합반응을 일으켜 광 중합반응의 양을 결정한다. 이러한 과정이 끝나면 포토폴리머 필름은 결속제 집결(Binder-Rich) 지역과 중합체 집결(Photopolymer-Rich) 지역으로 나누어지고 결속제 집결지역은 낮은 굴절률을 갖는 반면, 중합체 집결 지역은 높은 굴절률을 갖게되어 굴절률 변조를 통하여 위상형 홀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다.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120)는 어떠한 파장 대역의 광이 입사되더라도 투명 스크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색 광, 녹색 광, 청색 광 등을 정해진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투과시켜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적색 광은 적색(R)과 관련된 파장 대역을 갖는 광을 의미하고, 녹색 광은 녹색(G)과 관련된 파장 대역을 갖는 광을 의미하며, 청색 광은 청색(B)과 관련된 파장 대역을 갖는 광을 의미한다.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120)는 투명 스크린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면 적색 광, 녹색 광, 청색 광 등 외에 다른 색상과 관련된 광들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120)는 생성된 뒤 투명판(110)의 저면에 적층되기 전에 열 압착 방식이나 접착제 압착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실링(Sealing)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링 처리를 통해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120)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 환경으로부터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120)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는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시스템(200)은 광학 장치(210), 확산판(220), 및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230)를 포함한다.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시스템(200)은 도 2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장치(210)는 두 개의 레이저 빔을 조사한다. 제1 레이저 빔 및 제2 레이저 빔은 물체광 및 참조광으로 지칭될 수 있다. 물체광은 광학 소자를 투과하면서 회절 및 산란 특성을 갖는다. 참조광은 광학 소자를 투과하면서 빔의 직진성을 유지하면서 진행한다. 광학 장치(210)는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은 광 분리기를 통하여 두 개의 광으로 분리하고, 거울을 통하여 광의 진행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230)는 제1 레이저 빔 및 제2 레이저 빔을 입사시켜 간섭 패턴을 기록한다. 제2 레이저 빔은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230)의 일면에서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60도 이상 기울어진 각도로 입사된다.
확산판(220)은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240)에 밀착되어 설치되고, 제1 레이저 빔 및 제2 레이저 빔의 광학 특성을 조절한다. 확산판(220)은 제1 레이저 빔 및 제2 레이저 빔의 광학 특성을 조절하는 복굴절 성질을 갖는다.
홀로그래픽 광학소자(230)에 입사되는 물체광과 참조광의 세기는 기 설정된 범위로 매칭된다. 물체광과 참조광의 세기를 일정 범위 내로 매칭시키면, 물체광과 참조광의 간섭으로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베이스 필름(121) 상에 간섭 패턴(122)이 형성된다.
빔의 세기는 확산판(220)의 투과도 조절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확산판의 투과도는 확산판(220)에 포함되는 비드 입자의 간격, 크기, 배열, 및 밀도 조절, 필름의 재질 선택, 확산판의 두께 조절, 굴절율 등을 통해 가능하며, 결과적으로 확산판(220)의 투과도 조절을 통해 홀로그래픽 광학소자(230)에 입사되는 빔의 세기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복굴절 확산판을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복굴절 확산판의 광학 성질을 예시한 도면이다.
기존의 확산판은 물체광 및 참조광 모두에 대하여 빔의 진행 방향에 관한 확산성이 커서 저각으로 입사되는 참조광 외에는 방향성을 확보할 수 없다.
두 개의 상이한 방향에서 입사되는 빔에 대해 상이한 광학 특성을 갖도록 마이크로 주기를 갖는 광학판을 확산판의 앞 또는 뒤에 배치시킬 수 있다. 광학판은 마이크로 주기에 따라 형성된 1차원 마이크로 패턴을 포함한다. 확산판을 광학판과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 사이에 위치시키면 고각 입사에서는 자기 간섭(Self-Interference) 현상을 인하여 빔의 방향성에 영향을 받는다.
물체광 및 참조광을 2차원 마이크로 패턴을 갖는 광학판에 입사시키고 투명도가 낮은 확산판을 물체광의 경로에 배치하여 참조광와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할 수 있다. 확산판과 마이크로 패턴을 갖는 광학판을 조합한 구조는 층간에 다중 반사와 흡수로 인하여 빔의 세기 저하와 원치 않는 방향의 레이(Ray)가 생성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시스템은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확산율이 높은 광각 확산 회절 패턴을 기록하기 위하여, 복굴절 성질을 갖는 확산판을 기록면에 밀착시킨다. 확산판(220)은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에 밀착되어 제1 레이저 빔 및 상기 제2 레이저 빔의 광학 특성을 조절한다.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시스템은 제1 레이저 빔(201) 및 제2 레이저 빔(202)을 동시에 확산판(220)에 입사시킨다. 제1 레이저 빔(201) 및 제2 레이저 빔(202)은 확산판(220)의 동일한 영역에 동시에 입사된다. 두 빔을 광학판에 동시 입사시키면 기록면에 거의 접촉된 상태에서 간섭 패턴을 기록할 때 큰 발산각을 갖는다.
물체광과 참조광을 동시 입사하면, 정면으로 입사되는 물체광은 확산판(220)에 포함되는 마이크로 비드 입자와 확산판(220)의 바디 물질의 굴절율의 차이에 따라 확산되지만, 참조광은 마이크로 비드 입자와 바디 물질의 굴절율의 차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투명한 필름을 투과하여 진행한다.
복굴절율에 따라 광학 특성이 변화하는 방향으로 두 빔이 선형 편광되어야 한다. 확산판은 광학적으로 이방성인 매질을 포함하며, 제1 레이저 빔의 편광 방향 및 제2 레이저 빔의 편광 방향에 대한 굴절률을 조절하여 제1 레이저 빔을 확산시킨다. 제1 레이저 빔의 편광 방향과 제2 레이저 빔의 편광 방향은 매질의 이방성에 따른 굴절률이 기설정된 범위를 만족하도록 설정된다. 즉, 복굴절 필름의 이방성이 커지는 방향으로 물체광과 참조광은 편광되어야 한다.
도 4 및 도 5는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시스템의 복굴절 확산판의 광학 성질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확산판(220)은 수직 입사되는 제1 레이저 빔(10)을 확산율에 관하여 기설정된 제1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확산시킨다. 복굴절 성질을 갖는 확산판(220)에 입사된 제1 레이저 빔(10)은 편광 방향에 대한 굴절률이 조절된 확산판(220)을 투과 확산한 빔(14)과 확산판(220)에 반사된 빔(12)으로 구분된다. 즉, 확산판(220)에 대한 제1 레이저 빔(10)의 확산율은 높게 설정된다. 예컨대, 1을 기준으로 0.9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확산판(220)이 수직 입사되는 제1 레이저 빔(10)을 확산시키는 각도는 120도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확산판(220)은 경사 입사되는 제2 레이저 빔(20)을 투명율에 관하여 기설정된 제2 조건을 만족하는 내에서 투과 진행시킨다. 복굴절 성질을 갖는 확산판(220)에 입사된 제2 레이저 빔(20)은 편광 방향에 대한 굴절률이 조절된 확산판(220)을 투과한 빔(24)과 확산판(220)에 반사된 빔(22)으로 구분된다. 즉, 확산판(220)에 대한 제2 레이저 빔(10)의 투과율은 높게 설정된다. 예컨대, 1을 기준으로 0.9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레이저 빔(20)은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일면에서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60도 이상 기울어진 각도로 입사될 수 있다. 투과성이 높을수록 투명도와 확산율은 증가한다.
도 6은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시스템에서 원형 비드가 배열된 확산판을 예시한 도면이다. 비드의 구조는 복굴절성을 갖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비드의 크기가 작을수록 광학판의 확산각은 증가한다. 원형 렌즈 어레이 구조는 모든 방향으로 확산하는 빔을 형성할 수 있다. 비드의 크기 또는 간격은 구현되는 설계에 따라 적합한 수치가 사용될 수 있다.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이 도 2에서는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의 구성요소들은 상호 결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시스템은 하드웨어적 요소가 마련된 컴퓨팅 디바이스에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하는 형태로 탑재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각종 기기 또는 유무선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장치,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명령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 다양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방법은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시스템이 수행하는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S710에서,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시스템은 제1 레이저 빔 및 제2 레이저 빔을 조사한다.
단계 S720에서,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시스템은 복굴절 성질을 갖는 확산판을 통하여 제1 레이저 빔 및 제2 레이저 빔의 광학 특성을 조절한다. 제1 레이저 빔 및 제2 레이저 빔이 동시에 확산판에 입사된다. 제2 레이저 빔은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일면에서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60도 이상 기울어진 각도로 입사될 수 있다.
확산판은 광학적으로 이방성인 매질을 포함하며, 제1 레이저 빔의 편광 방향 및 제2 레이저 빔의 편광 방향에 대한 굴절률을 조절하여 제1 레이저 빔을 확산시킨다. 제1 레이저 빔의 편광 방향과 제2 레이저 빔의 편광 방향은 매질의 이방성에 따른 굴절률이 기설정된 범위를 만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확산판은 수직 입사되는 제1 레이저 빔을 확산율에 관하여 기설정된 제1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확산시키고, 확산판은 경사 입사되는 제2 레이저 빔을 투명율에 관하여 기설정된 제2 조건을 만족하는 내에서 투과 진행시킨다. 확산판이 수직 입사되는 제1 레이저 빔을 확산시키는 각도는 120도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레이저 빔은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일면에서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60도 이상 기울어진 각도로 입사될 수 있다. 제1 레이저 빔 및 제2 레이저 빔은 확산판의 동일한 영역에 동시에 입사된다.
단계 S730에서,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시스템은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에 제1 레이저 빔 및 제2 레이저 빔을 입사시켜 간섭 패턴을 기록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제작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시스템이 수행하는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스크린의 제작 방법은 제1 레이저 빔 및 제2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단계(S810), 복굴절 성질을 갖는 광학판을 제1 레이저 빔 및 제2 레이저 빔의 광학 특성을 조절하는 단계(S820),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에 제1 레이저 빔 및 제2 레이저 빔을 입사시켜 간섭 패턴을 기록하는 단계(S830), 및 투명판의 일면에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를 적층하는 단계(S840)를 포함한다.
도 7 및 도 8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 분야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7 및 도 8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거나 다른 과정을 추가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실행을 위해 프로세서에 명령어를 제공하는 데 참여한 임의의 매체를 나타낸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기 매체, 광기록 매체, 메모리 등이 있을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시스템
210: 광학 장치
220: 확산판
230: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

Claims (15)

  1. 제1 레이저 빔 및 제2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단계;
    복굴절 성질을 갖는 확산판을 통하여 상기 제1 레이저 빔 및 상기 제2 레이저 빔의 광학 특성을 조절하는 단계; 및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에 상기 제1 레이저 빔 및 상기 제2 레이저 빔을 입사시켜 간섭 패턴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확산판은 광학적으로 이방성인 매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레이저 빔의 편광 방향 및 상기 제2 레이저 빔의 편광 방향에 대한 굴절률을 조절하여 상기 제1 레이저 빔을 확산시키는 것을 특징을 하는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저 빔의 편광 방향과 상기 제2 레이저 빔의 편광 방향은 상기 매질의 이방성이 커지는 방향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이 수직 입사되는 제1 레이저 빔을 확산시키는 각도는 120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저 빔은 상기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일면에서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60도 이상 기울어진 각도로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저 빔 및 상기 제2 레이저 빔은 상기 확산판의 동일한 영역에 동시에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방법.
  8. 제1 레이저 빔 및 제2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광학 장치;
    상기 제1 레이저 빔 및 상기 제2 레이저 빔을 입사시켜 간섭 패턴을 기록하는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 및
    상기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에 밀착되어 상기 제1 레이저 빔 및 상기 제2 레이저 빔의 광학 특성을 조절하는 복굴절 성질을 갖는 확산판을 포함하며,
    상기 확산판은 광학적으로 이방성인 매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레이저 빔의 편광 방향 및 상기 제2 레이저 빔의 편광 방향에 대한 굴절률을 조절하여 상기 제1 레이저 빔을 확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시스템.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저 빔의 편광 방향과 상기 제2 레이저 빔의 편광 방향은 상기 매질의 이방성이 커지는 방향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시스템.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이 수직 입사되는 제1 레이저 빔을 확산시키는 각도는 120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저 빔은 상기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일면에서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60도 이상 기울어진 각도로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시스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저 빔 및 상기 제2 레이저 빔은 상기 확산판의 동일한 영역에 동시에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작 시스템.
  15. 제1 레이저 빔 및 제2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단계;
    복굴절 성질을 갖는 확산판을 통하여 상기 제1 레이저 빔 및 상기 제2 레이저 빔의 광학 특성을 조절하는 단계;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에 상기 제1 레이저 빔 및 상기 제2 레이저 빔을 입사시켜 간섭 패턴을 기록하는 단계; 및
    투명판의 일면에 상기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를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확산판은 광학적으로 이방성인 매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레이저 빔의 편광 방향 및 상기 제2 레이저 빔의 편광 방향에 대한 굴절률을 조절하여 상기 제1 레이저 빔을 확산시키는 것을 특징을 하는 스크린의 제작 방법.
KR1020180075417A 2018-06-29 2018-06-29 복굴절 확산판을 이용한 풀칼라 투명 홀로글래스 스크린 제작 방법 및 시스템 KR102135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417A KR102135878B1 (ko) 2018-06-29 2018-06-29 복굴절 확산판을 이용한 풀칼라 투명 홀로글래스 스크린 제작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417A KR102135878B1 (ko) 2018-06-29 2018-06-29 복굴절 확산판을 이용한 풀칼라 투명 홀로글래스 스크린 제작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192A KR20200002192A (ko) 2020-01-08
KR102135878B1 true KR102135878B1 (ko) 2020-07-20

Family

ID=69154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417A KR102135878B1 (ko) 2018-06-29 2018-06-29 복굴절 확산판을 이용한 풀칼라 투명 홀로글래스 스크린 제작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8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5315A1 (ko) * 2020-09-14 2022-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630028B1 (ko) * 2020-11-27 2024-01-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홀로그래픽 프린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홀로그래픽 프린팅 방법
KR102590460B1 (ko) * 2021-04-01 2023-10-1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반사형 풀 칼라 고 대조비 vhoe 홀로글래스 디스플레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9937A (ja) * 1998-07-07 2000-01-21 Denso Corp ホログラムスクリ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80629A (ja) * 1998-12-17 2000-06-30 Ishikawa Kogaku Zokei Kenkyusho:Kk ホログラフィック回折格子の製作方法
JP2013122573A (ja) 2011-11-10 2013-06-20 Sony Corp ホログラム複製方法およびホログラム複製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392B1 (ko) 2014-01-17 2015-09-0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9937A (ja) * 1998-07-07 2000-01-21 Denso Corp ホログラムスクリ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80629A (ja) * 1998-12-17 2000-06-30 Ishikawa Kogaku Zokei Kenkyusho:Kk ホログラフィック回折格子の製作方法
JP2013122573A (ja) 2011-11-10 2013-06-20 Sony Corp ホログラム複製方法およびホログラム複製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192A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5878B1 (ko) 복굴절 확산판을 이용한 풀칼라 투명 홀로글래스 스크린 제작 방법 및 시스템
US10942490B2 (en) Hologram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50043391A (ko) 아웃-커플링 부재를 갖는 도광판
CN103765329A (zh) 用于薄体光栅堆栈的层状生成的方法和装置以及用于全息显示器的光束组合器
JP6437435B2 (ja) 出力結合素子を有する導光板
US6288805B1 (en) Holographic projection screen and method of production
CN103105634B (zh) 薄的平坦式会聚透镜
CN114578561B (zh) 基于多层体光栅的大视场高亮度全息波导系统及制备方法
US20130120814A1 (en) Hologram replicating method and hologram replicating apparatus
KR102048497B1 (ko) 고각 특성을 갖는 풀칼라 투명 홀로글래스 스크린 제작 방법 및 시스템
JP2020008599A (ja) 導光板、導光板モジュール、画像表示装置および導光板の製造方法
KR102079137B1 (ko) 광고립 소자
KR102111639B1 (ko) 시프트 멀티플렉싱 기법을 이용한 홀로그래픽 투명 스크린 제작 방법 및 시스템
JP4270412B2 (ja) 光拡散素子複合体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システム
KR102070577B1 (ko) 광고립 소자
JP2002023271A (ja) プロジェクタ用スクリーン、ホログラムの作製方法
JP4666543B2 (ja) 反射型ホログラムスクリーン
JP4419231B2 (ja) 着色光散乱シートと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3423056B2 (ja) 反射型ホログラム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US20240176291A1 (en) Volumetric holographic data storage devices and volumetric holograms
KR102219835B1 (ko)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조방법
KR100498870B1 (ko) 홀로그램반사판과이를사용한반사형액정표시장치
JP2018197838A (ja) 体積ホログラム記録体
KR20240082041A (ko)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격자를 기록하는 장치,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기록된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
KR20230029278A (ko)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