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584B1 -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584B1
KR102135584B1 KR1020200002898A KR20200002898A KR102135584B1 KR 102135584 B1 KR102135584 B1 KR 102135584B1 KR 1020200002898 A KR1020200002898 A KR 1020200002898A KR 20200002898 A KR20200002898 A KR 20200002898A KR 102135584 B1 KR102135584 B1 KR 102135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panel
water
guide member
unit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곤
유지수
Original Assignee
(주)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씨티 filed Critical (주)이씨티
Priority to KR1020200002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5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H02S40/42Cooling means
    • H02S40/425Cooling means using a gaseous or a liquid coolant, e.g. air flow ventilation, water cir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35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veral spray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패널의 전면에 물을 분사하고 분사된 물을 회수하기 위한 냉각수 공급부; 상기 태양광 패널의 후면에 구비되는 열교환부; 및 상기 태양광 패널로 분사되는 물의 방향을 조절하는 분사방향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열교환부의 일단은 태양광 패널의 후면에 접촉되며, 타단은 냉각수 공급부로부터 분사된 물과 접촉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COOLING WATER SUPPLY APPARATUS FOR THE GENERATIONG EFFICIENCY IMPROVEMENT OF SOLAR ENERGY GENE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수 공급부에 의해 태양광 패널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온도를 낮추어 냉각시킴으로써, 태양광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에 이용되는 패널은 햇빛을 직류 전기로 바꾸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방법으로, 햇빛에 노출되기 위해 건축물의 옥상이나 지붕이 없는 지면에 설치된다.
즉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태양광 패널의 겉면에 각종 이물질이 접촉되기 쉽고, 이물질 접촉으로 인하여 집열(집광)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태양광 패널에 부착된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 관리자가 수작업으로 직접 닦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작업이 이루어졌으나, 태양광 패널은 주로 건축물의 옥상이나 주차장의 지붕 등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높은 곳에 설치되기 때문에 이물질을 닦아내는 수작업 또한 작업 난이도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태양광 패널의 세척을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세척 기술 중 하나로 종래에는 태양광 패널의 표면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단순히 물을 분사하는 것만으로는 세척 효율이 낮고, 상수도를 이용하여 이물질이 혼합되지 않은 수돗물 등을 세척에 이용함으로써, 수돗물 사용 과도로 인한 물 낭비 및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태양광 발전을 이용하는 패널은 햇빛에 노출되는 고온의 환경에서 동작되기 때문에 온도가 상승되면 전압이 낮아져 발전출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별도의 냉각장치를 구비하여 태양광 패널의 온도를 낮추어 줌으로써, 태양광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6128호(2015.07.27.)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냉각수 공급부에 의해 태양광 패널에 물을 분사하여 온도를 낮추어 냉각시킴으로써, 태양광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태양광 패널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패널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측에서 태양광 패널로 분사되는 물의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패널과 분사되는 물의 접촉되는 면적을 최대로 하여 태양광 패널 전체가 세척 및 냉각될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는 태양광 패널의 전면에 물을 분사하고 분사된 물을 회수하기 위한 냉각수 공급부; 태양광 패널의 후면에 구비되는 열교환부; 및 태양광 패널로 분사되는 물의 방향을 조절하는 분사방향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열교환부의 일단은 태양광 패널의 후면에 접촉되며, 타단은 냉각수 공급부로부터 분사된 물과 접촉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냉각수 공급부에 의해 태양광 패널에 물을 분사하여 온도를 낮추어 냉각시킴으로써, 태양광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태양광 패널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패널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상측에서 태양광 패널로 분사되는 물의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패널과 분사되는 물의 접촉되는 면적을 최대로 하여 태양광 패널 전체가 세척 및 냉각될 수 있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태양광 패널 후면에 냉각수 공급부로부터 분사된 물과 접촉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부가 구비됨으로써, 태양광 패널의 전체적이 온도를 빠르고 현저하게 낮추어 냉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에서 냉각수 공급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에서 냉각수 공급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에서 열교환부를 나타낸 정면측 단면과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에서 열교환부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에서 열교환부가 동작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에서 열교환부가 설치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에서 우회배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에서 열교환부가 설치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에서 분사방향 조절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에서 냉각수 공급부에 의해 물이 분사되는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에서 분사방향 조절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에서 분사방향 조절부가 동작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에서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횡", "종", "정면", "배면", "일측", "타측", "내측" 및 "외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는 냉각수 공급부(100)에 의해 태양광 패널(10)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온도를 낮추어 냉각시킴으로써, 태양광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태양광 패널(10)의 전면에 물을 분사하고 분사된 물을 회수하기 위한 냉각수 공급부(100), 상기 태양광 패널(10)의 후면에 구비되는 열교환부(200), 상기 태양광 패널(10)로 분사되는 물의 방향을 조절하는 분사방향 조절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에서 냉각수 공급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에서 냉각수 공급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냉각수 공급부(100)는 태양광 패널(10)에 물을 분사하고, 분사된 물을 회수하여 저장 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부가이드부재(110), 하부가이드부재(120), 저장부(130), 공급배관(140), 유입배관(150) 및 펌프(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냉각수 공급부(10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패널(10) 외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사되는 물이 태양광 패널(10)로 분사되도록 하여 상기 태양광 패널(10)의 전면이 세척되도록 하는 동시에 온도를 낮추어 냉각되도록 한다.
상부가이드부재(110)는 태양광 패널(10)의 상단에 구비되며, 물이 분사되는 다수 개의 분사구(1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가이드부재(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판 형태로 이루어진 태양광 패널(10)의 상단에 구비되되, 다수 개의 분사구(111)가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태양광 패널(10)의 넓은 면적으로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하부가이드부재(120)는 태양광 패널(10)의 하단에 구비되며, 태양광 패널(10)을 따라 흘러내린 물이 유입되도록 다수 개의 유입구(121)가 형성된다.
이때, 유입구(121)는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은 상광하협 형태의 호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태양광 패널(10)을 따라 흘러내린 물이 호퍼 형태로 이루어진 유입구(121)를 따라 하부가이드부재(120) 내측 공간으로 유도되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하부가이드부재(120)는 태양광 패널(10)의 전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 유입구(121)를 통해 후술되는 유입배관(150)으로 이송되기 전, 임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전,후,좌,우측에 벽면이 형성된 트레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태양광 패널(10)의 전면을 따라 흘러내린 물을 트레이 형태의 하부가이드부재(120)에 임시적으로 저장되었다가 유입구(121)를 통해 이송됨으로써, 외부로 유실되는 문제점을 최소화하고, 후술되는 열교환부(200)의 응축부(260)가 트레히 형태의 하부가이드부재(120)에 배치되도록 함에 따라, 반응시간을 증대시켜 보다 효율적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설계조건에 따라, 하부가이드부재(120) 또는 유입구(121) 또는 하부가이드부재(120)와 연결되는 후술되는 유입배관(150)에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도면에 미표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는 태양광 패널(10)의 전면을 따라 물이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물에 혼합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후술되는 저장부(130)로는 이물질이 여과된 깨끗한 물이 이송되도록 한다.
이때, 필터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저장부(130)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세하게는, 저장된 물을 상부가이드부재(110)를 통해 태양광 패널(10)로 분사되도록 하고, 하부가이드부재(120)로 유입된 물을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순환구조를 갖는다.
이때, 물이 순환하는 과정에서 증발 또는 태양광 패널(10) 외부로 소량 유실되기 때문에 저장부(130)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별도의 공급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급수단은 저장부(130)와 연결된 별도의 보조저장부(13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저장부(131)는 이물질이 여과된 빗물을 수집할 수 있으며, 상수도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급배관(140)은 상부가이드부재(110)와 저장부(130)를 연결하는 것으로, 저장부(130)에 저장된 물이 상기 공급배관(140)을 통해 상부가이드부재(110)로 이송되도록 한다.
유입배관(150)은 하부가이드부재(120)와 저장부(130)를 연결하는 것으로, 하부가이드부재(120)로 유입된 물이 상기 유입배관(150)을 통해 저장부(130)로 이송되도록 한다.
펌프(16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물이 공급배관(140)을 통해 상부가이드부재(110)로 이송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가이드부재(120)로 유입된 물이 유입배관(150)을 통해 저장부(130)로 이송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펌프(160)는 외부의 동력에 의해 동작되도록 이루어지거나 또는 태양광 패널(10)을 통해 집진된 전기 에너지를 활용하여 동작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태양광 패널(10)의 좌,우측단 각각에 정면측으로 돌출된 측면가이드부재(17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가이드부재(170)는 태양광 패널(10)의 양측면을 커버하여 상부가이드부재(110)로부터 분사된 물이 태양광 패널(10)의 좌,우측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분사된 물의 대부분이 하부가이드부재(12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냉각수 공급부(100)는 태양광 패널(10)로 분사되고, 분사된 물이 유입되는 과정을 통해 저장부(130), 공급배관(140), 상부가이드부재(110), 하부가이드부재(120) 및 유입배관(150)을 순차적으로 순환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물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세척과 냉각을 위해 태양광 패널(10)로 분사된 물을 최대한 회수하여 재사용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세척과 냉각이 반복되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손실되는 물의 양을 보충할 수 있어 태양광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에서 열교환부를 나타낸 정면측 단면과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에서 열교환부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에서 열교환부가 동작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열교환부(200)는 태양광 패널(10)의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태양광 패널(10)의 열을 흡수한 후 이를 전달함으로써, 태양광 패널(10)의 온도를 낮추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웨이퍼하판(210), 웨이퍼상판(220), 다발관(230), 통공(240), 증발부(250) 및 응축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열교환부(20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이 태양광 패널(10)의 후면에 접촉되어 상기 태양광 패널(10)로부터 열을 빼앗고, 나머지 일부분은 냉각수 공급부(100)의 하부가이드부재(120)에 위치하여 하부가이드부재(120)로 이송된 물과 접촉됨으로써,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열교환부(200)는 태양광 패널(10)의 후면에서 열을 빼앗은 후 냉각수 공급부(100)에서 분사되는 물과 접촉되어 열을 전달함으로써, 태양광 패널(10)의 전면에 분사되는 물과 더불어 태양광 패널(10) 후면의 온도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냉각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웨이퍼하판(210)은 실리콘 웨이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웨이퍼상판(220)은 웨이퍼하판(21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웨이퍼하판(210)의 상면에 결합되어 내부 공가늘 밀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발관(230)은 웨이퍼하판(210)과 웨이퍼상판(220) 사이의 밀폐된 공간에 구비되며, 상,하측으로 연통된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후술되는 응축부(260)에서 증발부(250)로 가는 제1다발관(231)과 증발부(250)에서 응축부(260)로 가는 제2다발관(232)이 다수 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제1다발관(231)과 제2다발관(232)이 반복되어 연결된 폐루프(Closed loop)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다발관(230)은 하나의 통로가 다수 굽어진 형태의 폐루프(Closed loop)를 이루는 구조이며, 다발관(230)에 의한 공간은 진공상태로 만든 후 유체가 주입된다.
이에, 주입된 유체에 의해 다발관(230) 내부에 액상 슬러그(Liquid slug)와 기포 플러그(Vapor plug)로 이루어진 정렬된 기포군(Slug-train unit)이 형성된다. 이때, 다발관(230) 한 쪽에서 열이가해지면 정렬된 기포군이 고속 자가진동을 하고, 이를 통해 증발부(Evaporator, 250)에서 응축부(Condenser, 260)로 열이 전달된다.
나아가, 다발관(230)으로 주입되는 유체는 FC-72 또는 에탄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술되는 증발부(250)의 작동온도가 섭씨 100도 이하인 경우 FC-72가 사용될 수 있으며, 섭씨 100도를 초과하는 경우 에탄올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낮은 온도에서는 FC-72가 더 좋은 성능을 보이지만 온도가 올라갈수록 FC-72의 성능은 일정한 수준으로 수렴하는 반면, 에탄올의 성능은 점차 개선되며, 온도가 섭씨 100도를 넘으면 에탄올의 성능이 더 좋아지게 되기 때문에 증발부(250)의 작동온도에 따라 유체는 FC-72 또는 에탄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공(240)은 상기 웨이퍼하판(210)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다발관(230)으로 유체가 주입 또는 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통공(240)은 상기 다발관(230)에 의한 공간이 밀폐될 수 있도록 별도의 캡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통공(240)은 웨이퍼하판(21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유체를 주입시키거나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한쪽에서는 유체나 공기를 주입시키고, 반대쪽에서는 진공장치 등으로 흡입시켜 효율적인 주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는, 통공이 하나인 경우에 비하여 훨씬 빠르고 정확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증발부(250)는 다발관(230)의 일부로서 웨이퍼하판(210)의 길이방향 일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외부의 열을 흡수하여 다발관(230) 내의 유체가 후술되는 응축부(260) 측으로 순환되도록 한다.
이때, 증발부(250)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태양광 패널(10)의 후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다발관(230) 내의 유체는 증발부(250)를 통해 태양광 패널(10)의 열을 빼앗아 액체가 기체로 변하게 되며, 후술되는 윽축부(260)로 순환된다. 이때, 태양광 패널(10)은 열을 빼앗겨 온도가 낮아지게 되고, 냉각이 이루어진다.
응축부(260)는 다발관(230)의 일부로서 웨이퍼하판(210)의 길이방향 타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하부가이드부재(120)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가이드부재(120)로 유입된 물과 접촉되도록 한다.
이때, 증발부(250)에서 태양광 패널(10)의 열을 빼앗은 유체가 응축부(260)로 순환하는 과정에서 하부가이드부재(120)로 유입된 물에 열을 빼앗겨 기체가 액체로 변하게 되며, 열을 빼앗긴 액체 상태의 유체는 다시 증발부(250) 측으로 순환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열교환부(200)는 태양광 패널(10)의 후면에 접촉되어 냉각되도록 하고, 냉각수 공급부(100)로부터 분사된 물과 접촉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열교환부(200)의 제조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긴 직사각형 형상의 웨이퍼하판(210)의 상부에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를 물리적 혹은 화학적 방법으로 증착(deposition)한다. ((a)단계)
다음으로, 웨이퍼하판(210)의 양 끝단에서 굽어진 형상의 폐루프(closed loop)를 이루는 모세관(300)의 형상으로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여 패터닝(patterning)한다. 이때, 패터닝은 리소그래피, 포토 리소그래피, 전자빔 리소그래피, 이온광선 리소그래피, 엑스레이 리소그래피, 다이아몬드 패터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b)단계)
다음으로, 습식 혹은 건식 방식으로 식각(etching)하여 상기 웨이퍼하판(210)의 상부에 다발관(230)과 통공(240)을 형성한다. 이 때, 습식과 건식 에칭을 모두 사용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며, 본원 발명에서는 가장 대표적인 습식/건식 에칭 방식인 Deep RIE(deep reactive ion etching)를 적용하여 식각한다. ((c)단계)
다음으로, 웨이퍼하판(210)에 남아 있는 포토레지스트를 제거((d)단계)하고, 웨이퍼하판(210)의 상부에 웨이퍼상판을 본딩(bonding)하여 결합하면, 평판 진동형 히트파이프의 구조가 완성된다. ((e)단계)
마지막으로, 평판 진동형 히트파이프의 양 측면에 설치된 통공(240)을 통해 유체를 주입시키고, 통공(240)을 밀봉하면 평판 진동형 히트파이프가 완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히트파이프로 이루어진 열교환부(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부(250)에서 유체는 태양광 패널(10)의 후면에서 열을 빼앗아 응축부(260)로 순환되고, 응축부(260)로 순환된 유체는 하부가이드부재(120)로 유입된 물과 접촉되어 열을 빼앗김으로써, 온도가 낮아져 다시 증발부(250)로 순환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태양광 패널(10)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에서 열교환부가 설치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에서 우회배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에서 열교환부가 설치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열교환부(200)는 도 1 내지 도 6에서 응축부(260)가 하부가이드부재(120) 내측 공간에 위치한 예를 도시하였으나, 태양광 패널(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이드부재(110)로부터 분사되는 물이 태양광 패널(1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노출된 응축부(260)에 접촉될 수 있도록 우회배관(18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우회배관(180)은 물을 이송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 8의 (a1, a2)에서와 같이, 하나의 배관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 8의 (b)에서와 같이, 외부로 분사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8의 (a1)의 경우, 직선 형태의 배관이 응축부(260)와 인접하여 교차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관의 내부는 도 8의 (a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편(181)이 배관 내주면에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 개의 경사편(181)은 물이 흐르는 유로를 증가시켜 응축부(260)와의 접촉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8의 (a2)의 경우, 우회배관(180)은 하나의 배관으로 이루어지되, 곡선으로 꺾어진 부분이 다수 형성되어 물이 흐르는 유로가 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흐르는 물과 응축부(260)와의 접촉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도 8의 (a1) 및 (a2)에서는 우회배관(180)이 응축부(260)에 인접한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응축부(260)의 일부분이 우회배관(180)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우회배관(180) 일부분이 응축부(260), 즉 열교환부(200)의 내부 공간을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른 예로, 도 8의 (b)의 경우, 우회배관(180)은 상부가이드부재(110)로부터 이송되어 분사되는 물이 하부가이드부재(12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일부분이 단절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의 (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회배관(180)의 또 다른 예는 상부가이드부재(110)와 연결되어 태양광 패널(10)로 분사되는 물이 상기 우회배관(180)을 따라 이송되어 분사되되, 상기 우회배관(180)은 태양광 패널(10)의 좌측 또는 우측 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태양광 패널(10)의 후면에 구비된 열교환부(200)의 응축부(260)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우회배관(180)을 통해 분사되는 물이 상기 응축부(260)와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우회배관(180)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태양광 패널(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트레이(18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182)는 우회배관(180)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이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전,후,좌,우측벽과 바닥면이 있는 트레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도 8의 (b)에 도시된 우회배관(180)은 일부분이 단절된 형태로 이루어져 태양광 패널(10)의 측면에 위치한 열교환부(200)의 응축부(260)로 물이 분사되도록 하고, 분사된 물과 응축부(260)와의 접촉에 의해 열교환부(200)의 열교환이 이루어짐으로써, 태양광 패널(10)의 후면에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우회배관(180)으로부터 분사된 물은 트레이(182)로 수용된 후 하부가이드부재(120)로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열교환부(2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패널(10)의 후면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한 쌍의 태양광 패널(10)의 증발부(250)는 태양광 패널(10)의 후면에 접촉되고, 응축부(260)는 태양광 패널(10)의 좌측과 우측 각각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열교환부(200)가 태양광 패널(10)과 직교하도록 구비되어 응축부(260)가 상기 태양광 패널(10)의 좌측과 우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태양광 패널(10)의 후면에 열교환부(200)가 복수로 구비되어 냉각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에는 열교환부(200)가 한 쌍으로 구비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태양광 패널(10)의 크기나 규모에 따라 다수 개의 열교환부(200)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열교환부(200)의 응축부(260)가 태양광 패널(10)의 좌측 또는 우측 또는 하측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열교환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에서 분사방향 조절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에서 냉각수 공급부에 의해 물이 분사되는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에서 분사방향 조절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에서 분사방향 조절부가 동작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분사방향 조절부(300)는 태양광 패널(10)로 분사되는 물의 방향을 조절하여, 넓은 판 형태의 태양광 패널(10) 전체에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우징(310), 피니언(320), 탄성부재(330), 모터(340) 및 분사노즐(3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310)은 상부가이드부재(110)에 결합되며, 분사방향 조절부(300)의 케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하우징(31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이드부재(110) 상측에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피니언(320)은 하우징(310) 내부에 구비되며,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양측단에 후술되는 탄성부재(330)가 구비된다.
이러한 피니언(320)은 상측과 하측 각각에 피니언기어(321)가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기어(321)는 후술되는 회동래크(351)와 회전래크(341)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탄성부재(330)는 피니언(320)의 양측단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320)을 탄성지지하는 것으로, 제1탄성부재(331) 및 제2탄성부재(3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제1탄성부재(331)는 피니언(320)의 일측에 구비되어 타측으로 탄성지지하며, 제2탄성부재(332)는 피니언(320)의 타측에 구비되어 일측으로 탄성지지하도록 구성되되, 이때, 제1탄성부재(331)의 탄성력은 제2탄성부재(332)의 탄성력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후술되는 모터(340)의 동작에 의해 회전래크(341)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래크(341)와 맞물리도록 구비된 피니언(320)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이때, 제1탄성부재(331)의 탄성력에 의해 부드럽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한다.
반대로, 회전래크(341)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피니언(320)과 회전래크(341)가 맞물린 상태가 해제되면 피니언(320)을 타측에서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힘이 해제되고, 제1탄성부재(331)의 탄성력이 제2탄성부재(332)의 탄성력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제1탄성부재(331)의 탄성력에 의해 피니언(320)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이때, 제2탄성부재(332)의 탄성력에 의해 부드럽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후술되는 모터(340)가 동작되는 과정에서 피니언(320)과 맞물리도록 구비된 회전래크(341)와의 맞물린 상태 또는 맞물림이 해제된 상태에 의해 피니언(320)은 탄성부재(330)에 탄성지지된채 좌,우측으로 반복되어 슬라이드 이동된다.
모터(340)는 피니언기어(321)에 맞물려 회전되는 회전래크(341)를 포함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기어(321)와 맞물리는 회전래크기어(341a)가 회전래크(341) 외주면에 일부분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도 13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피니언기어(321)와 회전래크기어(341a)가 맞물려 회전력을 공유하는 구간에서는 상기 피니언(320)이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고, 반대로, 도 13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피니언기어(321)와 회전래크기어(341a)가 맞물리지 않는 구간에서는 제1탄성부재(331)의 탄성력에 의해 피니언(320)이 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한다.
분사노즐(350)은 상부가이드부재(110)의 분사구(111) 각각에 연결되며, 피니언기어(321)에 맞물려 회동되는 회동래크(3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분사구(111)와 분사노즐(350)이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분사구(111)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물이 분사노즐(350)을 통해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분사노즐(350)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기어(321)에 회동래크기어(351a)가 맞물리도록 구성됨으로써,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피니언(320)에 의해 회동래크(351)를 축으로 분사노즐(350)이 향하는 방향 또한 좌,우로 변하게 된다.
즉 피니언(320)의 좌,우 슬라이드 이동이 반복됨에 따라, 분사노즐(350)이 향하는 방향 또한 좌,우로 반복하여 변하게 되고, 이때, 분사노즐(350)에 의해 물이 분사되는 방향 또한 좌,우로 반복하여 변하게 된다.
이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분사구에 의해 분사되는 물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분사되면, 분사된 물이 태양광 패널과 접촉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되기 때문에 태양광 패널(10)의 세척이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과 냉각시키기 위한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는 분사방향 조절부(300)를 구비하여 물이 분사되는 과정에서 분사 방향을 좌,우로 반복하여 변하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패널(10)의 전면 전체에 걸쳐 물이 분사되도록 하여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고, 미세척구간을 최소화하여 태양광 패널(10)에 이물질이 적재되어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에서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부(400)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의 전체적인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동작모듈(410), 수위조절모듈(420) 및 분사방향조절모듈(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동작모듈(410)은 태양광 패널(10)의 온도를 측정하고,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펌프(160)를 동작시켜 태양광 패널(10)에 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동작모듈(410)은 사용자가 태양광 패널(10)의 온도 변화를 실시간으로 체크하지 않아도, 별도의 온도 센서를 통해 태양광 패널(10)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태양광 패널(10)로 물이 분사되도록 한다.
수위조절모듈(420)은 저장부(130)에 저장된 물이 설정된 수위 이하가 되면, 보조저장부(131)에 저장된 물을 저장부(130)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수위조절모듈(420)을 통해 저장부(130)에 일정한 양 이상의 물이 항상 저장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분사방향조절모듈(430)은 동작모듈(410) 동작시 분사방향 조절부(300)를 함께 동작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동작모듈(410)을 통해 태양광 패널(10)로 물이 분사되는 과정에서 분사방향 조절부(300)를 함께 동작시켜 물이 분사되는 방향을 반복하여 좌,우로 변하게 함으로써, 세척 및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는 냉각수 공급부(100)에 의해 태양광 패널(10)에 물을 분사하여 온도를 낮추어 냉각시킴으로써 태양광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태양광 패널(10)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패널(1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측에서 태양광 패널(10)로 분사되는 물의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패널(10)과 분사되는 물의 접촉되는 면적을 최대로 하여 태양광 패널(10) 전체가 세척 및 냉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패널(10) 후면에 냉각수 공급부(100)로부터 분사된 물과 접촉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부(200)가 구비됨으로써, 태양광 패널(10)의 전체적이 온도를 빠르고 현저하게 낮추어 냉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태양광 패널
100: 냉각수 공급부
110 : 상부가이드부재 111 : 분사구
120 : 하부가이드부재 121 : 유입구
130 : 저장부 131 : 보조저장부
140 : 공급배관 150 : 유입배관
160 : 펌프 170 : 측면가이드부재
180 : 우회배관 181 : 경사편
182 : 트레이
200 : 열교환부
210 : 웨이퍼하판 220 : 웨이퍼상판
230 : 다발관 231 : 제1다발관
232 : 제2다발관 240 : 통공
250 : 증발부 260 : 응축부
300 : 분사방향 조절부
310 : 하우징 320 : 피니언
321 : 피니언기어 330 : 탄성부재
331 : 제1탄성부재 332 : 제2탄성부재
340 : 모터 341 : 회전래크
341a : 회전래크기어 350 : 분사노즐
351 : 회동래크 351a : 회동래크기어
400 : 제어부
410 : 동작모듈 420 : 수위조절모듈
430 : 분사방향조절모듈

Claims (9)

  1. 태양광 패널(10)의 전면에 물을 분사하고 분사된 물을 회수하기 위한 냉각수 공급부(100);
    상기 태양광 패널(10)의 후면에 구비되는 열교환부(200); 및
    상기 태양광 패널(10)로 분사되는 물의 방향을 조절하는 분사방향 조절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열교환부(200)는
    일단은 태양광 패널(10)의 후면에 접촉되며, 타단은 냉각수 공급부(100)로부터 분사된 물과 접촉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상기 냉각수 공급부(100)는
    상기 태양광 패널(10)의 상단에 구비되며, 물이 분사되는 다수 개의 분사구(111)가 형성된 상부가이드부재(110);
    상기 태양광 패널(10)의 하단에 구비되며, 태양광 패널(10)을 따라 흘러내린 물이 유입되도록 다수 개의 유입구(121)가 형성된 하부가이드부재(120);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130);
    상기 상부가이드부재(110)와 저장부(130)를 연결하는 공급배관(140);
    상기 하부가이드부재(120)와 저장부(130)를 연결하는 유입배관(150); 및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물이 공급배관(140)을 통해 상부가이드부재(110)로 이송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가이드부재(120)로 유입된 물이 유입배관(150)을 통해 저장부(130)로 이송되도록 하는 펌프(1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열교환부(200)는
    긴 직사각형 형상의 웨이퍼하판(210);
    상기 웨이퍼하판(210) 상면에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웨이퍼상판(220);
    상기 웨이퍼하판(210)과 웨이퍼상판(220) 사이의 밀폐된 공간에 형성되며, 상,하측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진 다발관(230);
    상기 웨이퍼하판(210)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다발관(230)으로 유체를 주입 또는 배출시키는 통공(240);
    상기 다발관(230)의 일부로서 웨이퍼하판(210)의 길이방향 일단에 위치하고, 태양광 패널(10)의 후면에 접촉되는 증발부(250); 및
    상기 다발관(230)의 일부로서 웨이퍼하판(210)의 길이방향 타단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가이드부재(110)로부터 분사된 물과 접촉되는 응축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응축부(260)는
    상기 하부가이드부재(120)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가이드부재(120)로 유입된 물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분사방향 조절부(300)는
    상기 상부가이드부재(110)에 결합되는 하우징(310);
    상기 하우징(310) 내부에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하측 각각에 피니언기어(321)가 형성된 피니언(320);
    상기 피니언(320)의 양측단 각각에 구비되는 탄성부재(330);
    상기 피니언기어(321)에 맞물려 회전되는 회전래크(341)를 포함하는 모터(340); 및
    상기 상부가이드부재(110)의 분사구(111)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피니언기어(321)에 맞물려 회동되는 회동래크(351)를 포함하는 다수 개의 분사노즐(35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전래크(341)는 외주면에 피니언기어(321)와 맞물리는 회전래크기어(341a)가 일부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탄성부재(330)는
    상기 피니언(320)의 일측에 구비되어 타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331); 및
    상기 피니언(320)의 타측에 구비되어 일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33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탄성부재(331)의 탄성력은 제2탄성부재(332)의 탄성력보다 크게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모터(340)의 동작에 의해 회전래크(341)가 회전되면, 피니언기어(321)와 회전래크기어(341a)가 맞물리는 구간에서는 상기 피니언(320)이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피니언기어(321)와 회전래크기어(341a)가 맞물리지 않는 구간에서는 상기 제1탄성부재(33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피니언(320)이 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10)의 좌,우측단 각각에 정면측으로 돌출된 측면가이드부재(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10)의 좌측 또는 우축 또는 좌측과 우측 모두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가이드부재(110)와 연결되어 상기 상부가이드부재(110)로부터 분사되는 물이 이송되도록 하는 우회배관(1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응축부(260)는
    상기 우회배관(180)을 통해 이송되는 물과 접촉되도록 태양광 패널(10)의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좌측과 우측 각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태양광 패널(10)의 온도를 측정하고,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펌프(160)를 동작시켜 태양광 패널(10)에 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동작모듈(410);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물이 설정된 수위 이하가 되면, 보조저장부(131)에 저장된 물을 저장부(130)로 이송시키는 수위조절모듈(420); 및
    상기 동작모듈(410) 동작시 분사방향 조절부(300)를 함께 동작시키는 분사방향조절모듈(4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
KR1020200002898A 2020-01-09 2020-01-09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 KR102135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898A KR102135584B1 (ko) 2020-01-09 2020-01-09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898A KR102135584B1 (ko) 2020-01-09 2020-01-09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584B1 true KR102135584B1 (ko) 2020-07-20

Family

ID=71831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898A KR102135584B1 (ko) 2020-01-09 2020-01-09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5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1373A (ko) * 2017-10-27 2020-07-07 라디안트 옵토-엘렉트로닉스(쑤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Led 광원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345576A (zh) * 2022-01-14 2022-04-15 武汉发乐迷汽车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车漆面养护用的喷洒机及喷洒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860B1 (ko) * 2010-01-29 2011-06-28 주식회사 유나티앤이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
KR20130075846A (ko) * 2011-12-28 2013-07-08 서영숙 태양광 발전장치의 세척 및 냉각시스템
KR20130085110A (ko) * 2012-01-19 2013-07-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태양전지
KR20160086128A (ko) 2015-01-09 2016-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70012575A1 (en) * 2009-08-14 2017-01-12 Accurate Solar Power, Llc Enhanced solar panels, liquid delivery systems and associated processes for solar energy system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12575A1 (en) * 2009-08-14 2017-01-12 Accurate Solar Power, Llc Enhanced solar panels, liquid delivery systems and associated processes for solar energy systems
KR101044860B1 (ko) * 2010-01-29 2011-06-28 주식회사 유나티앤이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
KR20130075846A (ko) * 2011-12-28 2013-07-08 서영숙 태양광 발전장치의 세척 및 냉각시스템
KR20130085110A (ko) * 2012-01-19 2013-07-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태양전지
KR20160086128A (ko) 2015-01-09 2016-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1373A (ko) * 2017-10-27 2020-07-07 라디안트 옵토-엘렉트로닉스(쑤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Led 광원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1413B1 (ko) 2017-10-27 2022-12-26 라디안트 옵토-엘렉트로닉스(쑤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Led 광원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345576A (zh) * 2022-01-14 2022-04-15 武汉发乐迷汽车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车漆面养护用的喷洒机及喷洒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5584B1 (ko)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수 공급 장치
CN100555569C (zh) 图形形成方法
TW202013491A (zh) 基板處理裝置及基板處理方法
CN101740341B (zh) 二氧化碳低温气溶胶半导体清洗设备
JP2013153063A (ja) 液処理装置
CN102762314B (zh) 利用低表面张力的流体防止图案崩塌的系统和方法
CN116683304A (zh) 一种防尘散热型户外节电柜
TW200946254A (en) Cleaning method and cleaning system for electronic part
CN206541809U (zh) 一种硅片清洗装置
CN217500374U (zh) 一种纯电动装载机的恒温装置
KR100500386B1 (ko) 수소산소 혼합가스발생장치의 냉각시스템
CN114711682B (zh) 一种干燥效果好的表面清洁系统
CN214065505U (zh) 一种清洗器内部冷凝、干燥、加热、循环机构
CN214321042U (zh) 一种便于调节的真空封闭式溶剂清洗机
CN109443035A (zh) 一种环保型冷却塔
JP3071321B2 (ja) りん酸形燃料電池発電装置
CN109999610A (zh) 一种蜂窝活性炭空气净化装置
CN116696498A (zh) 一种用于蒸汽轮机的冷却冲洗系统
CN220834587U (zh) 一种用于布袋除尘系统的蓄热式沉降室
US20220023923A1 (en) Substrate processing device
CN215965209U (zh) 一种水冷接头超声波清洗装置
CN218251877U (zh) 一种气相清洗槽
CN218309811U (zh) 一种工业污水处理用的冷却塔清洗装置
CN219914109U (zh) 热能回收循环水冷设备
KR100891067B1 (ko) 웨트 스테이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