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541B1 -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541B1
KR102135541B1 KR1020200021046A KR20200021046A KR102135541B1 KR 102135541 B1 KR102135541 B1 KR 102135541B1 KR 1020200021046 A KR1020200021046 A KR 1020200021046A KR 20200021046 A KR20200021046 A KR 20200021046A KR 102135541 B1 KR102135541 B1 KR 102135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ffle
lower mold
leg
cold air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정
정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우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우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우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00021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207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 B29C45/7337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using gas or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는, 사출 성형된 배플(배플 몸체와 배플 레그로 구성됨)의 형체가 유지된 채, 냉각되도록 하기 위한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평면을 제공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된 채, 평면을 제공하는 제2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베이스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채, 상기 배플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부금형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면에 형성된 채, 상기 하부금형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상부금형부, 상기 상부금형부의 상기 하부금형부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상부금형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하부금형부의 외측면이 냉각되도록, 상기 하부금형부의 내부 관로를 통해 냉각수가 이동되도록 하는 수냉부 및 상기 하부금형부와 상기 상부금형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배플을 향해 냉기를 분사하는 공랭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Baffle cool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출 성형된 배플의 형체가 유지된 채, 냉각되도록 하기 위한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일 수 있다.
차량의 엔진은 연소실의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되는 폭발력을 이용해 크랭크샤프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열에너지를 기계적인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이 엔진은 연소실에서 연소시킬 연료를 지속적으로 공급받아야 하는데, 연료의 지속적인 공급을 위해서 차량에는 일정량의 연료를 저장할 수 있는 연료탱크가 구비되어야 한다.
연료탱크(또는 오일 탱크)에서는 차량의 관성력 크기가 커지는 선회나 또는 급제동이나 또는 급가속 시 내부 관성력으로 인해 유면 쏠림이나 출렁임이 발생됨으로써 원활한 공급이 방해 받을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연료탱크(또는 오일 탱크)의 내부 공간에는 내부 공간을 다수의 공간으로 분할함과 더불어 연료나 오일의 관성력에 의한 유면의 한쪽 쏠림을 막아주는 배플이 반드시 적용되고, 이로부터 유면 출렁임에 의한 소음 감소 및 원활한 공급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배플은 연료의 이동에 저항을 줌으로써, 연료탱크 내에서 연료의 출렁거림을 최대한 억제하고, 이를 통해 연료 유동에 따른 유동소음을 줄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만약, 배플이 연료탱크의 상판과 하판 사이를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경우라면, 차량 주행 중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가 출렁거리면서 배플 상면 측으로 연료가 올라오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때, 배플 상면에 연료가 고이게 되면 연료탱크 내부에서의 연료 낭비가 발생하는바, 일반적으로 배플에는 연료가 하방으로 빠지도록 다수의 홀이 구비되도록 제작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2372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사출 성형된 배플의 형체가 유지된 채, 신속히 냉각되도록 하여, 연료탱크로의 장착 시, 공차를 줄일 수 있는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는, 사출 성형된 배플(배플 몸체와 배플 레그로 구성됨)의 형체가 유지된 채, 냉각되도록 하기 위한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평면을 제공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된 채, 평면을 제공하는 제2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베이스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채, 상기 배플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부금형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면에 형성된 채, 상기 하부금형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상부금형부, 상기 상부금형부의 상기 하부금형부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상부금형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하부금형부의 외측면이 냉각되도록, 상기 하부금형부의 내부 관로를 통해 냉각수가 이동되도록 하는 수냉부 및 상기 하부금형부와 상기 상부금형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배플을 향해 냉기를 분사하는 공랭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금형부는, 상기 배플의 하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금형부는, 상기 배플의 상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의 상기 배플 몸체는, 헤드부, 제1 몸통부, 제2 몸통부 및 상기 제1 몸통부와 상기 제2 몸통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배플 레그는, 상기 제1 몸통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제1-1 레그부, 상기 제1 몸통부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된 제1-2 레그부, 상기 제2 몸통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제2-1 레그부 및 상기 제2 몸통부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된 제2-2 레그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몸통부는, 함입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1 함입부 및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1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몸통부는, 함입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2 함입부 및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2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함입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3 함입부 및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3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공랭부는, 상기 배플 레그로 냉기를 분사하는 냉기분사부 및 상기 하부금형부로부터 상기 상부금형부를 향해 냉기를 분사하는 금형냉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금형냉기부는, 상기 하부금형부의 관통된 냉기 분사용 관통구를 통해 상측에 배치된 배플을 향해 냉기를 분사하거나, 상기 하부금형부의 관통된 흡입용 관통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냉기분사부는, 상기 제1-1 레그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채, 상기 제1-1 레그부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이동되는 제1-1 분사편, 상기 제1-2 레그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채, 상기 제1-2 레그부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이동되는 제1-2 분사편, 상기 제2-1 레그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채, 상기 제2-1 레그부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이동되는 제2-1 분사편 및 상기 제2-2 레그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채, 상기 제2-2 레그부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이동되는 제2-2 분사편을 구비하며, 상기 냉기 분사용 관통구는, 상기 하부금형부에 안착된 배플의 복수의 제1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대응관통구, 상기 하부금형부에 안착된 배플의 복수의 제2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대응관통구 및 상기 하부금형부에 안착된 배플의 복수의 제3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3 대응관통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는, 상기 하부금형부와 이웃하게 배치된 채, 상기 하부금형부로의 배플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안착센서부 및 상기 안착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결과값을 기초로, 상기 승강부, 상기 수냉부 및 상기 공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착센서부에 의해 상기 배플의 상기 하부금형부로의 안착이 감지되면, 상기 상부금형부가 하강되도록 상기 승강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부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하부금형부에 안착된 배플의 위치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흡입용 관통구를 통해 상기 하부금형부와 안착된 배플 사이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상기 금형냉기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부의 하강이 완료되면, 상기 제1-1 분사편이 상기 제1-1 레그부를 향해 이동되고, 상기 제1-2 분사편이 상기 제1-2 레그부를 향해 이동되며, 상기 제2-1 분사편이 상기 제2-1 레그부를 향해 이동되고, 상기 제2-2 분사편이 상기 제2-2 레그부를 향해 이동되도록, 상기 냉기분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의 상기 제1-1 분사편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1-1 고정부 및 상기 제1-1 고정부에 연결된 채, 상기 베이스부의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1 위치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1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1-1 고정부에 연결되는 제1-1 매개부 및 상기 제1-1 매개부의 끝단에 장착되며,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로부터 개구된 일측을 향해 냉기를 분사하는 제1-1 원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1 원통부는, 상기 개구와 대향하며 원형판으로 형성되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의 테두리로부터 기립되어 곡면을 형성하는 곡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평면부는, 외측을 향해 냉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냉기홀을 구비하고, 상기 곡면부는, 상기 복수의 냉기홀을 통해 분사된 냉기가 상기 개구로 향하도록 하며, 상기 복수의 냉기홀은, 세로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세로홀 및 상기 복수의 세로홀을 가로질러, 가로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가로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부의 하강이 완료되고, 상기 제1-1 분사편이 상기 제1-1 레그부를 향해 이동되고, 상기 제1-2 분사편이 상기 제1-2 레그부를 향해 이동되며, 상기 제2-1 분사편이 상기 제2-1 레그부를 향해 이동되고, 상기 제2-2 분사편이 상기 제2-2 레그부를 향해 이동되면, 상기 제1 대응관통구, 상기 제2 대응관통구 및 상기 제3 대응관통구로부터 냉기가 분사되도록 상기 금형냉기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는, 상기 하부금형부와 이웃하게 배치된 채, 상기 하부금형부에 안착된 배플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배플의 표면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상부금형부가 상승하도록 상기 승강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출 성형된 배플의 형체가 유지된 채, 신속히 냉각되도록 하여 연료탱크와의 공차를 줄여, 연료탱크의 원활한 연료 공급성능유지에 기여하는 유면의 한쪽 쏠림이나 출렁임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설계된 배플(Baffle)이 공차 없이 제작됨으로써 연료탱크에서의 유면 출렁임에 의한 소음도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배플을 도시한 개략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의 상부금형부의 위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의 하부금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의 상부금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의 냉기분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배플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의 상부금형부의 위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1)는, 사출 성형된 배플(B)의 형체가 유지된 채, 냉각되도록 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 냉각장치(1)는, 베이스부(10), 하부금형부(20), 상부금형부(30), 승강부(40), 수냉부(50) 및 공랭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0)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평면을 제공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된 채, 평면을 제공하는 제2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금형부(20)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채, 상기 배플(B)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부금형부(20)는, 상기 배플(B)의 하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금형부(30)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면에 형성된 채, 상기 하부금형부(20)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금형부(30)는, 상기 배플(B)의 상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40)는, 상기 상부금형부(30)의 상기 하부금형부(20)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상부금형부(3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수냉부(50)는, 상기 하부금형부(20)의 외측면이 냉각되도록, 상기 하부금형부(20)의 내부 관로를 통해 냉각수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랭부(60)는, 상기 하부금형부(20)와 상기 상부금형부(30) 사이에 배치된 상기 배플(B)을 향해 냉기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배플(B)은, 배플 몸체(B1)와 배플 레그(B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플(B)은, 연료탱크 내에 설치되어, 차량의 관성력 크기 변화에 따른 차량 선회나 급제동 또는 급가속 시, 연료의 유면 쏠림이나 출렁임에 따른 연료 공급의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자동차 부속품이다.
상기 배플 몸체(B1)는, 헤드부(B11), 제1 몸통부(B12), 제2 몸통부(B13) 및 상기 제1 몸통부(B12)와 상기 제2 몸통부(B13)를 연결하는 연결부(B1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플 레그(B2)는, 상기 제1 몸통부(B12)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제1-1 레그부(B21), 상기 제1 몸통부(B12)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된 제1-2 레그부(B22), 상기 제2 몸통부(B13)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제2-1 레그부(B23) 및 상기 제2 몸통부(B13)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된 제2-2 레그부(B2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몸통부(B12)는, 함입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1 함입부(B12-1) 및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1 관통홀(B12-2)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1 함입부(B12-1)는,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유면 쏠림이나 출렁임을 줄이기 위한 홈으로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료탱크 내의 연료는 복수의 제1 함입부(B12-1)에 수용된 채, 차량의 흔들림에 따라 복수의 제1 함입부(B12-1)에 종속되어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다. 간단히, 연료가 흔들리는 방향으로 구획벽을 세워 유면 쏠림 현상을 줄이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복수의 제1 함입부(B12-1)의 함입 방향 및 상기 복수의 제1 관통홀(B12-2)의 관통 방향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1 관통홀(B12-2)은, 상기 복수의 제1 함입부(B12-1)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제1 함입부(B12-1)에 체류 중인 연료가 연료탱크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관통홀(B12-2)은, 상기 공랭부(60)의 냉기가 이동되는 통로로서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랭부(60)의 냉기는 상기 복수의 제1 관통홀(B12-2)을 통해 분사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제1 관통홀(B12-2) 뿐만 아니라, 상기 복수의 제1 관통홀(B12-2)과 인접한 제1 몸통부(B12)의 부재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몸통부(B12)의 냉각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1 레그부(B21)와 상기 제1-2 레그부(B22)의 돌출 방향은 상기 복수의 제1 함입부(B12-1)의 함입 방향 및 상기 복수의 제1 관통홀(B12-2)의 관통 방향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플(B)이 상기 하부금형부(20)에 안착된 상태가 되면, 상기 복수의 제1 함입부(B12-1)의 함입 방향과 상기 복수의 제1 관통홀(B12-2)의 관통 방향은 높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1 레그부(B21)와 상기 제1-2 레그부(B22)는 상기 베이스부(10)의 폭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1 레그부(B23)와 상기 제2-2 레그부(B24)는 상기 베이스부(10)의 폭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1 레그부(B21)와 상기 제2-1 레그부(B23)의 배치 방향은 동일하며, 상기 제1-2 레그부(B22)와 상기 제2-2 레그부(B24)의 배치 방향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2 몸통부(B13)는, 함입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2 함입부(B13-1) 및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2 관통홀(B13-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B14)는, 함입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3 함입부(B14-1) 및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3 관통홀(B14-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플(B)이 상기 하부금형부(20)에 안착된 상태가 되면, 상기 복수의 제2 함입부(B13-1), 상기 복수의 제3 함입부(B14-1)의 함입 방향과 상기 복수의 제2 관통홀(B13-2) 및 상기 복수의 제3 관통홀(B14-2)의 관통 방향은 상기 베이스부(10)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함입부(B13-1)와 상기 복수의 제3 함입부(B14-1)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복수의 제1 함입부(B12-1)와 동일하므로, 상기 복수의 제2 함입부(B13-1)와 상기 복수의 제3 함입부(B14-1)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복수의 제1 함입부(B12-1)에 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2 관통홀(B13-2) 및 상기 복수의 제3 관통홀(B14-2)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복수의 제1 관통홀(B12-2)과 동일하므로, 상기 복수의 제2 관통홀(B13-2) 및 상기 복수의 제3 관통홀(B14-2)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복수의 제1 관통홀(B12-2)에 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상기 공랭부(60)는, 상기 배플 레그(B2)로 냉기를 분사하는 냉기분사부(61) 및 상기 하부금형부(20)로부터 상기 상부금형부(30)를 향해 냉기를 분사하는 금형냉기부(6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의 하부금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의 상부금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냉기부(63)는, 상기 하부금형부(20)의 관통된 냉기 분사용 관통구를 통해 상측에 배치된 배플(B)을 향해 냉기를 분사하거나, 상기 하부금형부(20)의 관통된 흡입용 관통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기 분사용 관통구는, 제1 대응관통구(631), 제2 대응관통구(632) 및 제3 대응관통구(6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대응관통구(631)는, 상기 하부금형부(20)에 안착된 배플(B)의 복수의 제1 관통홀(B12-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1 관통홀(B12-2)을 통해 냉기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대응관통구(631)는, 상기 복수의 제1 관통홀(B12-2)의 개수보다 많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대응관통구(631)는 상기 복수의 제1 관통홀(B12-2)과 중첩되지 않는 관통구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대응관통구(631)를 통해 분사된 냉기는 상기 복수의 제1 관통홀(B12-2)을 통과하는 중에 상기 복수의 제1 관통홀(B12-2)을 규정하는 배플(B)을 냉각시키거나, 상기 복수의 제1 관통홀(B12-2)을 관통한 채, 배플(B)의 상면을 따라 확산되어 배플(B) 상면이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대응관통구(632)는, 상기 하부금형부(20)에 안착된 배플(B)의 복수의 제2 관통홀(B13-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2 관통홀(B13-2)을 통해 냉기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대응관통구(632)는, 상기 복수의 제2 관통홀(B13-2)의 개수보다 많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대응관통구(632)는 상기 복수의 제2 관통홀(B13-2)과 중첩되지 않는 관통구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대응관통구(632)를 통해 분사된 냉기는 상기 복수의 제2 관통홀(B13-2)을 통과하는 중에 상기 복수의 제2 관통홀(B13-2)을 규정하는 배플(B)을 냉각시키거나, 상기 복수의 제2 관통홀(B13-2)을 관통한 채, 배플(B)의 상면을 따라 확산되어 배플(B) 상면이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3 대응관통구(633)는, 상기 하부금형부(20)에 안착된 배플(B)의 복수의 제3 관통홀(B14-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3 관통홀(B14-2)을 통해 냉기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대응관통구(633)는, 상기 복수의 제3 관통홀(B14-2)의 개수보다 많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대응관통구(633)는 상기 복수의 제3 관통홀(B14-2)과 중첩되지 않는 관통구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대응관통구(633)를 통해 분사된 냉기는 상기 복수의 제3 관통홀(B14-2)을 통과하는 중에 상기 복수의 제3 관통홀(B14-2)을 규정하는 배플(B)을 냉각시키거나, 상기 복수의 제3 관통홀(B14-2)을 관통한 채, 배플(B)의 상면을 따라 확산되어 배플(B) 상면이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의 냉기분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기분사부(61)는, 제1-1 분사편(611), 제1-2 분사편(612), 제2-1 분사편(613) 및 제2-2 분사편(61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1 분사편(611)은, 상기 제1-1 레그부(B21)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채, 상기 제1-1 레그부(B21)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1 분사편(611)은,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1-1 고정부(611a) 및 상기 제1-1 고정부(611a)에 연결된 채, 상기 베이스부(10)의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1 위치이동부(611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1 위치이동부(611b)는, 상기 제1-1 고정부(611a)에 연결되는 제1-1 매개부(621) 및 상기 제1-1 매개부(621)의 끝단에 장착되며,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로부터 개구된 일측을 향해 냉기를 분사하는 제1-1 원통부(6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1 원통부(622)는, 상기 개구와 대향하며 원형판으로 형성되는 평면부(622a) 및 상기 평면부(622a)의 테두리로부터 기립되어 곡면을 형성하는 곡면부(622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평면부(622a)는, 외측을 향해 냉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냉기홀(CH)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곡면부(622a)는, 상기 복수의 냉기홀(CH)을 통해 분사된 냉기가 상기 개구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곡면부(622a)는, 상기 제1-1 레그부(B21)의 외측을 포위하여, 상기 복수의 냉기홀(CH)을 통해 분사된 냉기가 상기 제1-1 레그부(B21)로 집중되도록 하는 동시에, 냉기가 확산되는 것을 줄여 상기 제1-1 레그부(B21)와 냉기의 접촉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냉기홀(CH)은, 세로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세로홀(CH1) 및 상기 복수의 세로홀(CH1)을 가로질러, 가로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가로홀(CH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 분사편(612)은, 상기 제1-2 레그부(B22)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채, 상기 제1-2 레그부(B22)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2 분사편(612)은,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1-2고정부 및 상기 제1-2고정부에 연결된 채, 상기 베이스부(10)의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2 위치이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1 위치이동부(611b)의 위치 이동 방향과 상기 제1-2 위치이동부의 위치 이동 방향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2-1 분사편(613)은, 상기 제2-1 레그부(B23)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채, 상기 제2-1 레그부(B23)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1 분사편(613)은,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1 고정부 및 상기 제2-1 고정부에 연결된 채, 상기 베이스부(10)의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2-1 위치이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2 분사편(614)은, 상기 제2-2 레그부(B24)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채, 상기 제2-2 레그부(B24)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2 분사편(614)은,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2 고정부(미도시) 및 상기 제2-2 고정부(미도시)에 연결된 채, 상기 베이스부(10)의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2-2 위치이동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2 고정부, 제2-1 고정부 및 제2-2 고정부는, 상술한 제1-1 고정부(611a)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성되므로, 상술한 제1-1 고정부(611a)에 관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또한, 상기 제1-2 위치이동부, 제2-1 위치이동부 및 제2-2 위치이동부는, 상술한 제1-1 위치이동부(611b)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성되므로, 상술한 제1-1 위치이동부(611b)에 관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 냉각장치(1)는 안착센서부(70) 및 제어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센서부(70)는, 상기 하부금형부(20)와 이웃하게 배치된 채, 상기 하부금형부(20)로의 배츨 안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안착센서부(70)에 의해 감지된 결과값을 기초로, 상기 승강부(40), 상기 수냉부(50) 및 상기 공랭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안착센서부(70)에 의해 상기 배플(B)의 상기 하부금형부(20)로의 안착이 감지되면, 상기 상부금형부(30)가 하강되도록 상기 승강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승강부(40)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하부금형부(20)에 안착된 배플(B)의 위치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흡입용 관통구를 통해 상기 하부금형부(20)와 안착된 배플(B) 사이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상기 금형냉기부(63)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부(40)의 하강이 시작되는 경우 상기 하부금형부(20)에 안착된 배플(B)은 상기 상부금형부(30)에 의해 가압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배플(B)의 상기 하부금형부(20) 상에서의 위치 이동이 자유로울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승강부(40)의 하강이 시작되면, 상기 흡입용 관통구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여 상측에 배치된 배플(B)이 상기 하부금형부(20)에 밀착된 채,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하부금형부(20) 상에 안착된 배플(B)의 정확한 안착 위치로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동시에 위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상부금형부(30)의 압착에 따른 파손/손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승강부(40)의 하강이 완료된 후, 상기 제1-1 분사편(611)이 상기 제1-1 레그부(B21)를 향해 이동되고, 상기 제1-2 분사편(612)이 상기 제1-2 레그부(B22)를 향해 이동되며, 상기 제2-1 분사편(613)이 상기 제2-1 레그부(B23)를 향해 이동되고, 상기 제2-2 분사편(614)이 상기 제2-2 레그부(B24)를 향해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제1 대응관통구(631), 제2 대응관통구(632) 및 제3 대응관통구(633)로부터 냉기가 분사되도록 상기 금형냉기부(63)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 냉각장치(1)는 온도센서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부(90)는, 상기 하부금형부(20)와 이웃하게 배치된 채, 상기 하부금형부(20)에 안착된 배플(B)의 표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온도센서부(90)에 의해 측정된 배플(B)의 표면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상부금형부(30)가 상승하도록 상기 승강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
B: 배플
B1: 배플 몸체
B11: 헤드부
B12: 제1 몸통부
B13: 제2 몸통부
B14: 연결부
B2: 배플 레그
10: 베이스부
20: 하부금형부
30: 상부금형부
40: 승강부
50: 수냉부
60: 공랭부
61: 냉기분사부
63: 금형냉기부
70: 안착센서부
80: 제어부
90: 온도센서부

Claims (8)

  1. 사출 성형된 배플 - 배플 몸체와 배플 레그로 구성됨 - 의 형체가 유지된 채, 냉각되도록 하기 위한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평면을 제공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된 채, 평면을 제공하는 제2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베이스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채, 상기 배플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부금형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면에 형성된 채, 상기 하부금형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상부금형부;
    상기 상부금형부의 상기 하부금형부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상부금형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하부금형부의 외측면이 냉각되도록, 상기 하부금형부의 내부 관로를 통해 냉각수가 이동되도록 하는 수냉부; 및
    상기 하부금형부와 상기 상부금형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배플을 향해 냉기를 분사하는 공랭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금형부는,
    상기 배플의 하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금형부는,
    상기 배플의 상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플 몸체는,
    헤드부, 제1 몸통부, 제2 몸통부 및 상기 제1 몸통부와 상기 제2 몸통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배플 레그는,
    상기 제1 몸통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제1-1 레그부, 상기 제1 몸통부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된 제1-2 레그부, 상기 제2 몸통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제2-1 레그부 및 상기 제2 몸통부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된 제2-2 레그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몸통부는,
    함입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1 함입부 및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1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몸통부는,
    함입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2 함입부 및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2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함입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3 함입부 및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3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공랭부는,
    상기 배플 레그로 냉기를 분사하는 냉기분사부 및 상기 하부금형부로부터 상기 상부금형부를 향해 냉기를 분사하는 금형냉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금형냉기부는,
    상기 하부금형부의 관통된 냉기 분사용 관통구를 통해 상측에 배치된 배플을 향해 냉기를 분사하거나, 상기 하부금형부의 관통된 흡입용 관통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냉기분사부는,
    상기 제1-1 레그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채, 상기 제1-1 레그부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이동되는 제1-1 분사편, 상기 제1-2 레그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채, 상기 제1-2 레그부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이동되는 제1-2 분사편, 상기 제2-1 레그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채, 상기 제2-1 레그부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이동되는 제2-1 분사편 및 상기 제2-2 레그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채, 상기 제2-2 레그부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이동되는 제2-2 분사편을 구비하며,
    상기 냉기 분사용 관통구는,
    상기 하부금형부에 안착된 배플의 복수의 제1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대응관통구, 상기 하부금형부에 안착된 배플의 복수의 제2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대응관통구 및 상기 하부금형부에 안착된 배플의 복수의 제3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3 대응관통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부와 이웃하게 배치된 채, 상기 하부금형부로의 배플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안착센서부; 및
    상기 안착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결과값을 기초로, 상기 승강부, 상기 수냉부 및 상기 공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착센서부에 의해 상기 배플의 상기 하부금형부로의 안착이 감지되면, 상기 상부금형부가 하강되도록 상기 승강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부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하부금형부에 안착된 배플의 위치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흡입용 관통구를 통해 상기 하부금형부와 안착된 배플 사이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상기 금형냉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부의 하강이 완료되면, 상기 제1-1 분사편이 상기 제1-1 레그부를 향해 이동되고, 상기 제1-2 분사편이 상기 제1-2 레그부를 향해 이동되며, 상기 제2-1 분사편이 상기 제2-1 레그부를 향해 이동되고, 상기 제2-2 분사편이 상기 제2-2 레그부를 향해 이동되도록, 상기 냉기분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분사편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1-1 고정부 및 상기 제1-1 고정부에 연결된 채, 상기 베이스부의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1 위치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1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1-1 고정부에 연결되는 제1-1 매개부 및 상기 제1-1 매개부의 끝단에 장착되며,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로부터 개구된 일측을 향해 냉기를 분사하는 제1-1 원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1 원통부는,
    상기 개구와 대향하며 원형판으로 형성되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의 테두리로부터 기립되어 곡면을 형성하는 곡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평면부는,
    외측을 향해 냉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냉기홀을 구비하고,
    상기 곡면부는,
    상기 복수의 냉기홀을 통해 분사된 냉기가 상기 개구로 향하도록 하며,
    상기 복수의 냉기홀은,
    세로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세로홀 및 상기 복수의 세로홀을 가로질러, 가로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가로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부의 하강이 완료되고, 상기 제1-1 분사편이 상기 제1-1 레그부를 향해 이동되고, 상기 제1-2 분사편이 상기 제1-2 레그부를 향해 이동되며, 상기 제2-1 분사편이 상기 제2-1 레그부를 향해 이동되고, 상기 제2-2 분사편이 상기 제2-2 레그부를 향해 이동되면, 상기 제1 대응관통구, 상기 제2 대응관통구 및 상기 제3 대응관통구로부터 냉기가 분사되도록 상기 금형냉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부와 이웃하게 배치된 채, 상기 하부금형부에 안착된 배플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배플의 표면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상부금형부가 상승하도록 상기 승강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
KR1020200021046A 2020-02-20 2020-02-20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 KR102135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046A KR102135541B1 (ko) 2020-02-20 2020-02-20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046A KR102135541B1 (ko) 2020-02-20 2020-02-20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541B1 true KR102135541B1 (ko) 2020-07-20

Family

ID=71831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046A KR102135541B1 (ko) 2020-02-20 2020-02-20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54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634B1 (ko) * 2006-11-08 2008-02-11 송윤섭 사출성형 팬의 냉각장치
JP2009190335A (ja) * 2008-02-15 2009-08-27 Seiko Epson Corp 射出成形装置及び射出成形品の冷却方法
KR100923726B1 (ko) 2007-05-28 2009-10-27 이승욱 급속 가열 및 급속 냉각 금형 장치
KR101381787B1 (ko) * 2012-03-02 2014-04-07 주식회사 아성프라텍 사출성형물의 냉각장치
KR101553807B1 (ko) * 2013-09-30 2015-09-17 주식회사화신 냉각장치
KR20180087548A (ko) * 2017-01-25 2018-08-02 주식회사 유니테크노 차량용 배터리 셀 케이스 냉각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634B1 (ko) * 2006-11-08 2008-02-11 송윤섭 사출성형 팬의 냉각장치
KR100923726B1 (ko) 2007-05-28 2009-10-27 이승욱 급속 가열 및 급속 냉각 금형 장치
JP2009190335A (ja) * 2008-02-15 2009-08-27 Seiko Epson Corp 射出成形装置及び射出成形品の冷却方法
KR101381787B1 (ko) * 2012-03-02 2014-04-07 주식회사 아성프라텍 사출성형물의 냉각장치
KR101553807B1 (ko) * 2013-09-30 2015-09-17 주식회사화신 냉각장치
KR20180087548A (ko) * 2017-01-25 2018-08-02 주식회사 유니테크노 차량용 배터리 셀 케이스 냉각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27425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US10612448B2 (en) Cooling structure of multi-cylinder engine
TWI317777B (en) Forced-air-cooled engine equipped with cooling air guide cover
US10100791B2 (en) Intake manifold water management negative draft containment features
US20140224820A1 (en) Exhaust valve device for fuel tank
US10060325B2 (en) Cylinder head cooling apparatus of engine
KR102135541B1 (ko) 자동차용 성형 배플 냉각장치
CA2570771C (en) Fuel pump and tank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JPWO2013069532A1 (ja) 弁装置
US6041751A (en) Oil pa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70211527A1 (en) Intake manifold having slosh prevention baffles
JP3984908B2 (ja) エンジンの燃焼室
JP4570664B2 (ja) オイルジェット装置
JPH0581726B2 (ko)
US20060048726A1 (en) Superstructure of engine
JP2010096087A (ja) エンジンのピストン
JP6291240B2 (ja) 内燃機関
US6257199B1 (en) Direct fuel injection-type spark-igni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3674539B1 (en) Cylinder head cover
KR101478674B1 (ko) 연료누설 방지 밸브
CN110345289B (zh) 阀装置
JPH0566247U (ja) ピストンの冷却装置
KR102406168B1 (ko) 자동차 오일팬의 오일 유동 제어 장치
KR20090109856A (ko) 냉각수 리저버 탱크
JP2015007384A (ja) オイルパン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