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290B1 -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철근탐사기용 받침부재 - Google Patents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철근탐사기용 받침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290B1
KR102135290B1 KR1020200048126A KR20200048126A KR102135290B1 KR 102135290 B1 KR102135290 B1 KR 102135290B1 KR 1020200048126 A KR1020200048126 A KR 1020200048126A KR 20200048126 A KR20200048126 A KR 20200048126A KR 102135290 B1 KR102135290 B1 KR 102135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bar
support member
support
pr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철
이동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부구조안전기술단
박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부구조안전기술단, 박상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부구조안전기술단
Priority to KR1020200048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2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23Supports, positioning or alignment in fixed situ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microwaves or radio waves, i.e. electromagnetic waves with a wavelength of one millimetre or more
    • G01N22/0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비파괴 검사를 위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과 철근탐사기 사이에 배치되어 철근탐사기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철근탐사기용 받침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받침부재는, 사각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받침부재의 상면에는 철근탐사기의 양측 바퀴가 안착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음각의 주행 레일홈이 받침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주행 레일홈을 따라 받침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주행하는 철근탐사기의 저면이 차폐되지 않도록 주행 레일홈 사이에는 받침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장공의 개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철근탐사기용 받침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이 고르지 못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비파괴 검사를 위해 저면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접하거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이격한 상태에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과 철근탐사기 사이에 배치되어 철근탐사기가 안착된 상태로 철근탐사기의 직선 주행이 가능하도록 철근탐사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철근탐사기용 받침부재{Supporting member for rebar exploration device for safety check and diagnosis}
본 발명은 철근탐사기용 받침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면이 고르지 못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비파괴 탐사에 있어 철근탐사기의 안정적인 주행을 가이드할 수 있는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철근탐사기용 받침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배근되어 있는 철근의 위치, 방향 및 피복의 두께 등을 추정하기 위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로 송신된 전자파가 전기적 특성이 다른 물질인 철근의 경계에서 반사파를 일으키는 성질을 이용한 측정기구가 철근탐사기이다.
이러한 철근탐사기는 자기 감응원리에 의한 비파괴 검사 장비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래브 및 벽체 등에서 실시하여 철근의 배근 상태를 탐지한다.
한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비파괴 검사는 레이더 탐사, 자기 탐사, 방사선 탐사 및 초음파 탐사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탐지 신호를 송수신하는 철근탐사기를 피검체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렇게 저면 중앙부에서 신호의 수발신이 이루어지는 철근탐사기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따라 주행하면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비파괴 탐사가 이루어지는데,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이 매끄러운 평면인 경우에는 철근탐사기가 안정적으로 주행하면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비파괴 탐사가 이루어진다.
하지만,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이 평면이라 하더라도 그 표면이 굴곡이 많은 경우에는, 철근탐사기의 저면 중앙부위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맞닿아 철근탐사기의 바퀴가 제대로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거리측정 센서의 오작동 및 철근탐사기의 저면 마모에 의한 손상 등이 발생되어 철근탐사기의 안정적인 주행 및 신호의 수발신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14545호(2018년 01월 03일 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표면이 고르지 못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비파괴 검사를 위해 저면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접하거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이격한 상태에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과 철근탐사기 사이에 배치되어 철근탐사기가 안착된 상태로 철근탐사기의 직선 주행이 가능하도록 철근탐사기를 가이드할 수 있는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철근탐사기용 받침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표면이 고르지 못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평평한 받침부재를 받침으로써, 철근탐사기의 저면 중앙부위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맞닿으면서 철근탐사기의 바퀴가 제대로 회전되지 않아 철근탐사기의 안정적인 주행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철근탐사기의 저면 마모에 의한 손상으로 신호의 수발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철근탐사기용 받침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받침부재를 받치는 흡착판이 관절형태로 다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기 때문에 표면이 고르지 않은 경사진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도 받침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철근탐사기용 받침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비파괴 검사를 위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과 철근탐사기 사이에 배치되어 철근탐사기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철근탐사기용 받침부재로서, 상기 받침부재는, 사각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받침부재의 상면에는 철근탐사기의 양측 바퀴가 안착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음각의 주행 레일홈이 받침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주행 레일홈을 따라 상기 받침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주행하는 철근탐사기의 저면이 차폐되지 않도록 주행 레일홈 사이에는 받침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장공의 개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재는, 제1 받침판 및 제2 받침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받침판과 상기 제2 받침판은 경첩을 매개체로 하여 서로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2 받침판의 저면에는 주행 레일홈이 형성되어, 제2 받침판이 상기 경첩을 축으로 상기 제1 받침판을 향해 회동되어 제1 받침판의 상면과 제2 받침판의 상면이 서로 접하면, 제2 받침판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주행 레일홈에 철근탐사기의 바퀴가 안착되어 철근탐사기가 주행 레일홈을 따라 제2 받침판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주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받침판의 양측 테두리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음각의 이동홈이 제1 받침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에 각각 끼워지는 고리가 양단에 각각 형성된 'ㄷ'자 형태의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받침판이 상기 제1 받침판을 향해 일방향 회동되어 제1 받침판에 제2 받침판이 접히면, 상기 손잡이가 상기 이동홈을 따라 제2 받침판을 향해 슬라이딩 직선 이동되고, 손잡이가 제2 받침판을 감싸는 형태로 손잡이의 내측에 제2 받침판이 위치되어 손잡이에 의해 제2 받침판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받침판과 상기 제2 받침판의 각 모서리에는, 하기 레벨링 볼트가 나선결합되는 레벨링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받침판과 상기 제2 받침판에 형성된 레벨링 홀의 내측에 나선결합되도록 외경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와, 회전도구가 치합되는 드라이버 홈이 상면에 형성된 헤드를 구비한 레벨링 볼트 및 상기 레벨링 볼트 몸체의 단부에 결합되는 흡착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받침판과 상기 제2 받침판의 상측에서 회전도구가 상기 레벨링 볼트의 헤드에 형성된 드라이버 홈에 치합되어 레벨링 볼트를 정역회전시키면서 제1 받침판과 제2 받침판의 각 모서리의 높낮이가 조절되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과 상기 받침부재 간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표면이 고르지 못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비파괴 검사를 위해 저면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접하거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이격한 상태에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과 철근탐사기 사이에 배치되어 철근탐사기가 안착된 상태로 철근탐사기의 직선 주행이 가능하도록 철근탐사기를 가이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이 고르지 못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평평한 받침부재를 받침으로써, 철근탐사기의 저면 중앙부위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맞닿으면서 철근탐사기의 바퀴가 제대로 회전되지 않아 철근탐사기의 안정적인 주행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철근탐사기의 저면 마모에 의한 손상으로 신호의 수발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부재를 받치는 흡착판이 관절형태로 다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기 때문에 표면이 고르지 않은 경사진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도 받침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철근탐사기용 받침부재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철근탐사기용 받침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철근탐사기용 받침부재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철근탐사기용 받침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철근탐사기용 받침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철근탐사기용 받침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철근탐사기용 받침부재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철근탐사기용 받침부재는, 표면이 고르지 못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C)의 비파괴 검사를 위해 저면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C)의 표면에 접하거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C)에 이격한 상태에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C)과 철근탐사기(E) 사이에 배치되어 철근탐사기(E)가 안착된 상태로 철근탐사기(E)의 직선 주행이 가능하도록 철근탐사기(E)를 가이드 하는 받침부재(100)이다.
이렇게 표면이 고르지 못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C)의 표면에 평평한 받침부재(100)를 받침으로써, 철근탐사기(E)의 저면 중앙부위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C)의 표면에 맞닿으면서 철근탐사기(E)의 바퀴(W)가 제대로 회전되지 않아 철근탐사기(E)의 안정적인 주행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철근탐사기(E)의 저면 마모에 의한 손상으로 신호의 수발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받침부재(100)는, 사각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받침부재(100)의 저면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C)의 표면에 접한 상태가 되는데,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C)의 슬래브 바닥면에 수평하게 안착될 수 있고,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C)의 벽체에 저면이 접하도록 받침부재(100)가 수직한 상태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C)에 받침부재(100) 저면이 접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받침부재(100)는, 한 쌍의 받침판, 즉 제1 받침판(110)과 제2 받침판(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받침부재(100)가 반으로 접히도록 제1 받침판(110)과 제2 받침판(120)은 경첩(200)을 매개체로 하여 제1 받침판(110)의 끝단부와 이와 대응하는 제2 받침판(120)의 끝단부가 서로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받침부재(100)의 상면에는 철근탐사기(E)의 양측 바퀴(W)가 안착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음각의 주행 레일홈이 받침부재(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부연하면, 제1 받침판(110)의 상면에 주행 레일홈(111)이 형성되고, 제2 받침판(120)의 상면에 주행 레일홈(121)이 형성되는데, 제1 받침판(110)의 상면에 형성된 주행 레일홈(111)과 제2 받침판(120)의 상면에 형성된 주행 레일홈(121)은 서로 직선으로 연결된다.
이렇게 철근탐사기(E)의 양측 바퀴(W)가 일정 깊이로 삽입되는 주행 레일홈(111, 121)이 받침부재(100)의 상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철근탐사기(E)가 주행 레일홈(111, 121)을 따라 안정적으로 직선 주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행 레일홈(111, 121)을 따라 받침부재(10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주행하는 철근탐사기(E)의 저면이 차폐되지 않도록 주행 레일홈(111, 121) 사이에는 받침부재(100)의 길이방향으로 장공의 개방홀(100a)이 형성된다. 이때, 제1 받침판(110)에 형성된 개방홀과 제2 받침판(120)에 형성된 개방홀은 중간에 끊어지지 않고 서로 연통된다.
이는 철근탐사기(E)의 저면 중앙부에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C)을 향해 신호를 발신하고,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C)을 향해 발신된 신호가 철근탐사기(E)의 저면 중앙부로 수신되기 때문에 받침부재(100)의 상면에 형성된 주행 레일홈(111, 121)을 따라 주행하는 철근탐사기(E)의 저면이 받침부재(100)에 의해 신호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2 받침판(120)의 저면에는 주행 레일홈(123)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 받침판(120)이 경첩(200)을 축으로 제1 받침판(110)을 향해 회동되어 제1 받침판(110)의 상면과 제2 받침판(120)의 상면이 서로 접하면, 제2 받침판(120)의 저면에 형성된 주행 레일홈(123)에 철근탐사기(E)의 바퀴(W)가 안착되어 철근탐사기(E)가 주행 레일홈(123)을 따라 제2 받침판(12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주행되는 것이다.
이는 예를 들어, 길이기 짧거나 폭이 좁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C)의 비파괴 검사시, 받침부재(100)를 접어 그 길이를 짧게 한 상태에서 접힌 제2 받침판(120)의 저면에 형성된 주행 레일홈(123)을 따라 철근탐사기(E)가 직선 주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2 받침판(120)을 경첩(200)을 축으로 제1 받침판(110)의 저면을 향해 회동시켜 제1 받침판(110)과 제2 받침판(120)이 직각인 상태가 되면, 기둥과 같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C)의 절곡진 부분을 철근탐사기(E)가 직각 주행, 즉 철근탐사기(E)가 직각진 제1 받침판(110)과 제2 받침판(12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C) 기둥의 전면과 측면을 연속하여 주행하면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C)의 비파괴 검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받침판(110)의 양측 테두리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음각의 이동홈(113)이 제1 받침판(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홈(113)에 각각 끼워지는 고리(114a)가 양단에 각각 형성된 'ㄷ'자 형태의 손잡이(1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114)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게 손잡이(114)의 중앙부위가 제1 받침판(110)의 상면에 이격한 상태가 되도록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부연하면, 제2 받침판(120)을 제1 받침판(110)을 향해 일방향 회동시켜 제1 받침판(110)에 제2 받침판(120)이 접히게 한 다음, 손잡이(114)를 이동홈(113)을 따라 제2 받침판(120)을 향해 슬라이딩 직선 이동시키게 되면, 손잡이(114)가 제2 받침판(120)의 단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손잡이(114)의 내측에 제2 받침판(120)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2 받침판(120)의 전체적인 길이는 제1 받침판(110)의 전체적인 길이 보다 더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손잡이(114)를 슬라이딩 직선 이동시켜 손잡이(114)의 안쪽에 제2 받침판(120)이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접힌 제2 받침판(120)이 역방향으로 회동되지 않고 제2 받침판(120)이 접힌 상태로 손잡이(114)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제1 받침판(110)과 제2 받침판(120)의 각 모서리에는, 레벨링 홀(115, 12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레벨링 홀(115, 125)의 내측으로 레벨링 볼트(300)가 수용되면서 레벨링 홀(115, 125)에 레벨링 볼트(300)가 나선결합되도록 레벨링 홀(115, 125)의 내경을 따라 나선이 형성된다.
레벨링 볼트(300)는, 받침부재(100)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C)의 표면에 이격한 상태가 되도록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C)의 표면으로 부터 받침부재(100)를 지지하고,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C)과 받침부재(100)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레벨링 볼트(300)는, 몸체(310)와 헤드(320)로 구성된다. 부연하면, 몸체(310)는 제1 받침판(110)과 제2 받침판(120)에 형성된 레벨링 홀(115, 125)의 내측에 나선결합되도록 외경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헤드(320)는, 몸체(310)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몸체(310)가 레벨링 홀(115, 125)에 나선결합되면서 정역회전되게 하는 드라이버와 같은 회전도구(미도시)가 치합되는 드라이버 홈(321)이 상면에 형성된다.
흡착판(330)은, 받침부재(100)에 나선결합된 레벨링 볼트(300)를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C)의 표면에 흡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레벨링 볼트(300) 몸체(310)의 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흡착판(330)은 흡착력이 우수한 실리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받침판(110)과 제2 받침판(120)에 형성된 레벨링 홀(115, 125)의 내측에 레벨링 볼트(300)가 나선결합된 상태에서 받침부재(100)의 상측에서 드라이버와 같은 회전도구가 레벨링 볼트(300)의 헤드(320)에 형성된 드라이버 홈(321)에 치합되어 레벨링 볼트(300)를 정역회전시키면서 제1 받침판(110)과 제2 받침판(120)의 각 모서리의 높낮이, 즉 받침부재(100)의 전체적인 수평 레벨이 조절된다.
부연하면, 회전도구에 의해 레벨링 볼트(300)가 레벨링 홀(115, 125)에서 정회전되면 레벨링 홀(115, 125)의 내측 나선을 따라 레벨링 볼트(300)의 몸체(310)가 받침부재(100)의 하측 방향으로 점점 돌출되면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C)과 받침부재(100) 간의 사이 간격이 멀어지게 되고, 이와 반대로 레벨링 볼트(300)가 역회전되면 레벨링 홀(115, 125)의 내측 나선을 따라 레벨링 볼트(300)가 상승하여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C)과 받침부재(100) 간의 사이 간격이 가까워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레벨링 볼트(300)의 몸체(310) 단부에는 볼 스터드(311)가 일체로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흡착판(330)의 상측에는 볼 스터드(311)가 내측으로 끼움결합되는 소켓홈(331)이 형성된다.
부연하면, 흡착판(330)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소켓홈(331)이 형성되어 소켓홈(331)의 상측 개구부를 통해 레벨링 볼트(300)의 몸체(310) 단부에 형성된 볼 스터드(311)가 삽입되어 흡착판(330)의 소켓홈(331)에 끼움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흡착판(330)은, 볼 스터드(311)가 단부에 형성된 레벨링 볼트(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레벨링 볼트(300)를 수직축으로 하여 360도 정역회전될 수 있다.
이는 반대로 회전도구를 통해 레벨링 볼트(300)를 정역회전시킬 때, 흡착판(330)이 레벨링 볼트(30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지 않고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C)의 표면에 흡착된 상태로 레벨링 볼트(300)만 회전되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 레벨링 볼트(30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흡착판(330)은, 볼 스터드(311)의 곡률을 따라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다.
즉, 흡착판(330)의 소켓홈(331)이 볼 스터드(311)를 감싸는 형태이기 때문에 흡착판(330)이 관절(joint) 형태로 다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표면이 고르지 않은 경사진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C)이라도 흡착판(330)이 경사진 상태로 흡착판(330)의 하면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C)의 경사각과 동일한 각도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C)에 흡착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받침부재(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받침부재 110: 제1 받침판
100a: 개방홀 111, 121, 123: 주행 레일홈
113: 이동홈 114: 손잡이
114a: 고리 115, 125: 레벨링 홀
120: 제2 받침판 200: 경첩
300: 레벨링 볼트 310: 몸체
320: 헤드 321: 드라이버 홈
330: 흡착판 E: 철근탐사기
C: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W: 바퀴

Claims (4)

  1.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비파괴 검사를 위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과 철근탐사기 사이에 배치되어 철근탐사기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철근탐사기용 받침부재로서,
    상기 받침부재는, 사각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받침부재의 상면에는 철근탐사기의 양측 바퀴가 안착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음각의 주행 레일홈이 받침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주행 레일홈을 따라 상기 받침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주행하는 철근탐사기의 저면이 차폐되지 않도록 주행 레일홈 사이에는 받침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장공의 개방홀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재는, 제1 받침판 및 제2 받침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받침판과 상기 제2 받침판은 경첩을 매개체로 하여 서로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2 받침판의 저면에는 주행 레일홈이 더 형성되어, 제2 받침판이 상기 경첩을 축으로 상기 제1 받침판을 향해 회동되어 제1 받침판의 상면과 제2 받침판의 상면이 서로 접하면, 제2 받침판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주행 레일홈에 철근탐사기의 바퀴가 안착되어 철근탐사기가 주행 레일홈을 따라 제2 받침판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주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철근탐사기용 받침부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받침판의 양측 테두리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음각의 이동홈이 제1 받침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에 각각 끼워지는 고리가 양단에 각각 형성된 'ㄷ'자 형태의 손잡이;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받침판이 상기 제1 받침판을 향해 일방향 회동되어 제1 받침판에 제2 받침판이 접히면, 상기 손잡이가 상기 이동홈을 따라 제2 받침판을 향해 슬라이딩 직선 이동되고, 손잡이가 제2 받침판을 감싸는 형태로 손잡이의 내측에 제2 받침판이 위치되어 손잡이에 의해 제2 받침판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철근탐사기용 받침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받침판과 상기 제2 받침판의 각 모서리에는, 하기 레벨링 볼트가 나선결합되는 레벨링 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1 받침판과 상기 제2 받침판에 형성된 레벨링 홀의 내측에 나선결합되도록 외경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와, 회전도구가 치합되는 드라이버 홈이 상면에 형성된 헤드를 구비한 레벨링 볼트; 및
    상기 레벨링 볼트 몸체의 단부에 결합되는 흡착판;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받침판과 상기 제2 받침판의 상측에서 회전도구가 상기 레벨링 볼트의 헤드에 형성된 드라이버 홈에 치합되어 레벨링 볼트를 정역회전시키면서 제1 받침판과 제2 받침판의 각 모서리의 높낮이가 조절되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과 상기 받침부재 간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철근탐사기용 받침부재.
KR1020200048126A 2020-04-21 2020-04-21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철근탐사기용 받침부재 KR102135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126A KR102135290B1 (ko) 2020-04-21 2020-04-21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철근탐사기용 받침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126A KR102135290B1 (ko) 2020-04-21 2020-04-21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철근탐사기용 받침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290B1 true KR102135290B1 (ko) 2020-07-17

Family

ID=71832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126A KR102135290B1 (ko) 2020-04-21 2020-04-21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철근탐사기용 받침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2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448B1 (ko) * 2020-06-10 2020-11-09 한국시설기술단(주) 안전진단시 비균질 표면의 콘크리트 내구성 시험을 위한 다목적 보조장치
KR102195858B1 (ko) 2020-08-12 2020-12-28 (주)장맥엔지니어링 안전진단 및 점검을 위한 철근탐사기용 받침부재
CN112857993A (zh) * 2021-01-05 2021-05-28 浙江省建筑科学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预制板梁间大铰缝损伤的评价方法及装置
KR102517697B1 (ko) * 2022-04-19 2023-04-04 (주)경동엔지니어링 안전진단을 위한 철근 탐사기용 받침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25681A1 (en) * 2007-11-16 2016-01-28 Advanced Engineering Solutions Inc. Pipeline Condition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814545B1 (ko) 2017-09-22 2018-01-03 재단법인 한국재난연구원 구조물 비파괴 탐사용 주행판
KR20190081842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화인코리아 교량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정보 검출장치
JP2020003240A (ja) * 2018-06-26 2020-01-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検査対象物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25681A1 (en) * 2007-11-16 2016-01-28 Advanced Engineering Solutions Inc. Pipeline Condition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814545B1 (ko) 2017-09-22 2018-01-03 재단법인 한국재난연구원 구조물 비파괴 탐사용 주행판
KR20190081842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화인코리아 교량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정보 검출장치
JP2020003240A (ja) * 2018-06-26 2020-01-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検査対象物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JP6674976B2 (ja) * 2018-06-26 2020-04-0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検査対象物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448B1 (ko) * 2020-06-10 2020-11-09 한국시설기술단(주) 안전진단시 비균질 표면의 콘크리트 내구성 시험을 위한 다목적 보조장치
KR102195858B1 (ko) 2020-08-12 2020-12-28 (주)장맥엔지니어링 안전진단 및 점검을 위한 철근탐사기용 받침부재
CN112857993A (zh) * 2021-01-05 2021-05-28 浙江省建筑科学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预制板梁间大铰缝损伤的评价方法及装置
CN112857993B (zh) * 2021-01-05 2024-03-19 浙江省建筑科学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预制板梁间大铰缝损伤的评价方法及装置
KR102517697B1 (ko) * 2022-04-19 2023-04-04 (주)경동엔지니어링 안전진단을 위한 철근 탐사기용 받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5290B1 (ko)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철근탐사기용 받침부재
US10317372B2 (en) Deployment mechanism for passive normalization of a probe relative to a surface
KR101046040B1 (ko) 자율주행체의 공간 스캔 장치
US8475384B2 (en) Three dimensional imaging ultrasound probe
KR20060132651A (ko) 표면 프로파일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510971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a vessel wall
CN204506922U (zh) 一种钢轨探伤车的多自由度扫查装置
CN108512116A (zh) 弯线装置及电缆的加工设备
WO2022120183A1 (en) Two-wheel compact inspection crawler with automatic probe normalization
US9212890B2 (en) Measuring device
KR102195858B1 (ko) 안전진단 및 점검을 위한 철근탐사기용 받침부재
KR102037132B1 (ko) 분리형 레이더 수위 측정 장치
KR101710573B1 (ko) 확장가변형 2축레일이 구비된 초음파 탐상장치
CN110779466A (zh) 第三轨磨耗检测装置以及方法
KR20180027821A (ko) 비파괴 검사용 엔코더 치구
KR101776075B1 (ko) 초음파 자동 스캔 장치
JP2011050182A (ja) 導電路の屈曲動作ガイド部材及びスライドドア用導電路の屈曲動作ガイド装置
CN212908470U (zh) 一种同轴电缆插针焊接用对中定位工装
CN215374935U (zh) 一种管件磨损试验装置
CN111307950A (zh) 一种焊轨基地钢轨焊接接头焊缝的轨底断面探伤起落架
CN218036601U (zh) 一种tofd检测仪用扫查架
CN213900475U (zh) 一种在线式水分检测仪设置安装装置
CN113071531B (zh) 滑靴对中机构、钢轨探伤装置、钢轨探伤系统及钢轨探伤车
CN219695018U (zh) 一种能稳定夹持的超声波探伤工装
CN212008432U (zh) 一种焊轨基地钢轨焊接接头焊缝的轨底断面探伤起落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