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274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274B1
KR102135274B1 KR1020140097433A KR20140097433A KR102135274B1 KR 102135274 B1 KR102135274 B1 KR 102135274B1 KR 1020140097433 A KR1020140097433 A KR 1020140097433A KR 20140097433 A KR20140097433 A KR 20140097433A KR 102135274 B1 KR102135274 B1 KR 102135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se
air conditioning
vehicle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7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5030A (ko
Inventor
임상수
석상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to KR1020140097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274B1/ko
Publication of KR20160015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8Connections between hous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71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liquid ducts, e.g. for coolant liquids or refriger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구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디프로스트 벤트, 페이스 벤트 및 전석 풋 벤트가 형성되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 내부의 공기통로를 이동하는 송풍공기를 리어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조케이스의 후벽면에 장착되며, 상기 송풍공기를 리어로 토출시키는 리어벤트가 형성된 콘솔덕트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공조케이스의 입구로 유입되는 송풍공기를 열교환하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에서 열교환된 냉기를 온기로 열교환시키는 히터코어와, 상기 전석 풋 벤트에서 토출되는 송풍공기를 차량의 실내 전석으로 유도하는 전석 풋 덕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석 풋 덕트는 상기 공조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전석 풋 벤트와 연결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에 체결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케이스에 의해 상기 공조케이스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기 히터코어의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공조케이스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히터코어의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를 송풍공기를 차량의 실내 전석으로 유도하는 전석 풋 덕트의 하부 케이스로 고정함으로써 입구 및 출구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커버를 생략할 수 있어 부품수를 줄여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고, 하부 케이스를 체결부와 체결단을 이용하여 공조케이스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하부 케이스가 흔들림으로써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풍공기를 차량의 실내 전석으로 유도하는 전석 풋 덕트의 하부 케이스를 이용하여 공조케이스의 외측으로 인출된 히터코어의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를 고정하도록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66420호에 기재된 배경기술을 참조하면,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 외부의 공기를 차량 실내로 도입하거나, 차량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장치로써, 공조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동을 위한 히터코어 및 상기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송풍모드 전환용 도어를 사용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의 독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송풍기 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과,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으로 대별할 수 있다.
상기한 공조장치 중 세미 세터 타입의 공조장치를 일 예로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2)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디프로스트벤트(13), 페이스벤트(14), 플로어벤트(15)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12)와 각 벤트(13,14,15)들을 연통시키도록 내부에 공기통로(11)를 갖는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공기통로(11) 상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증발기(2) 및 히터코어(3)와, 상기 증발기(2)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를 히터코어(3)에 선택적으로 유도하는 온도조절도어(16) 및 상기 히터코어(3)를 선택적으로 거친 공기를 차실내의 특정위치와 연통하는 각 덕트(미도시)로 선택적으로 배분하여 유도하는 다수의 모드도어(1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 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여 상기 공조케이스(10)의 공기유입구(12) 측으로 강제 송풍하는 송풍장치(4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공조장치(1)에 의하면 송풍장치(40)에 의해 공조케이스(10) 내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2)를 통과하면서 선택적으로 냉각(에어컨 가동시)되게 되고 이 공기는 온도조절도어(16)에 의해 히터코어(3)를 바이패스하거나 또는 히터코어(3)를 거치면서 가열되며, 이와 같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는 상기 모드도어의 제어를 통해 상기 디프로스트벤트(13), 페이스벤트(14), 플로어벤트(15)와 연결된 각 덕트(미도시)로 선택적으로 배분되어 차량 실내로 공급됨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난방시에는 엔진을 냉각시키고 나오는 가열된 냉각수가 히터코어(3)를 통과한 후 다시 엔진이나 라디에이터로 흘러갈 수 있도록 상기 히터코어(3)에는 냉각수의 유입/배출을 위한 입구파이프 및 출구파이프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입, 출구파이프(3a)는 차량 엔진룸의 정해진 위치에 안착된 엔진과 연결되기 위해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외부로 일정한 형태 및 길이로 일출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입,출구파이프(3a)를 고정하여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공조케이스의 외측면에는 별도의 클램프(30)가 설치되며, 승객의 화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입,출구파이프(3a)를 감싸는 별도의 커버(20)도 공조케이스(10)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상기 클램프(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태의 몸체(31) 양측에 상기 입,출구파이프(3a)를 각각 수용지지하도록 수용홈(32)을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기 클램프(30)는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외측면에 볼트(4)로 결합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상기 공조케이스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기 히터코어의 입,출구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공조케이스의 외측면에 별도의 클램프를 볼트 결합해야 함으로써, 제조비용 및 작업공정이 증가함은 물론 상기 입,출구파이프의 고정작업이 복잡하여 상기 히터코어의 탈부착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입,출구파이프(3a)를 감싸는 별도의 커버(20) 및 차실내의 하부로 송풍된 공기를 유도하는 풋 덕트 케이스(미도시)의 하부케이스가 각각 분리되어 조립공수가 많으며, 하부케이스를 공조케이스(10)에 체결 시 볼트 체결부위가 필요하고, 풋 덕트를 체결 후에도 풋 덕트가 흔들려 진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공조케이스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히터코어의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를 송풍공기를 차량의 실내 전석으로 유도하는 전석 풋 덕트의 하부 케이스로 고정함으로써 입구 및 출구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커버를 생략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구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디프로스트 벤트, 페이스 벤트 및 전석 풋 벤트가 형성되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 내부의 공기통로를 이동하는 송풍공기를 리어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조케이스의 후벽면에 장착되며, 상기 송풍공기를 리어로 토출시키는 리어벤트가 형성된 콘솔덕트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공조케이스의 입구로 유입되는 송풍공기를 열교환하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에서 열교환된 냉기를 온기로 열교환시키는 히터코어와, 상기 전석 풋 벤트에서 토출되는 송풍공기를 차량의 실내 전석으로 유도하는 전석 풋 덕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석 풋 덕트는 상기 공조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전석 풋 벤트와 연결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에 체결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케이스에 의해 상기 공조케이스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기 히터코어의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상기 공조케이스의 일면에 고정되기 위해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체결부와 상기 전석 풋 벤트의 토출구에 체결되는 체결단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석 풋 벤트의 토출구에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단에는 상기 장착홈에 체결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면에는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조케이스에 밀착되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부면에는 상기 히터코어의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가 체결되는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끼움홈에는 상기 히터코어의 출구 파이프를 지지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케이스의 끼움홈에는 상기 끼움홈에 체결된 상기 히터코어의 출구 파이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히터코어의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를 송풍공기를 차량의 실내 전석으로 유도하는 전석 풋 덕트의 하부 케이스로 고정함으로써 입구 및 출구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커버를 생략할 수 있어 부품수를 줄여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고, 하부 케이스를 체결부와 체결단을 이용하여 공조케이스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하부 케이스가 흔들림으로써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히터코어의 입, 출구파이프가 클램프로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히터코어의 입구 및 출구 파이프가 전석 풋 덕트의 케이스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조케이스의 일면에 전석 풋 덕트의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석 풋 덕트의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가 공조케이스의 일면에 장착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전석 풋 덕트의 하부 케이스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히터코어의 입구 및 출구 파이프가 전석 풋 덕트의 케이스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조케이스의 일면에 전석 풋 덕트의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석 풋 덕트의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가 공조케이스의 일면에 장착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전석 풋 덕트의 하부 케이스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공조케이스(110)와, 콘설덕트(120)와, 히터코어(130)와, 전석 풋 덕트(140)를 포함하며, 히터코어(130)의 입구 파이프(132) 및 출구 파이프(134)를 전석 풋 덕트(140)의 하부 케이스(142)가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조장치(100)의 일면에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출구 측으로 강제 송풍하는 송풍유니트(V)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조장치(100)에는 공기유입구, 디프로스트 벤트(111), 페이스 벤트(112), 전석 풋 벤트(113)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는 상기 송풍유니트(V)에 형성되고,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1), 페이스 벤트(112), 전석 풋 벤트(113)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측에 형성된다.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1), 페이스 벤트(112), 전석 풋 벤트(113) 및 송풍유니트(V)는 공조장치(100)에 있어서 일반적인 것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후벽면(미도시)에는 콘솔덕트(120)가 장착되며, 상기 콘솔덕트(12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 내부의 공기통로를 이동하는 송풍공기를 리어쪽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콘솔덕트(120)에는 송풍공기를 리어로 토출시키는 리어벤트(122)가 형성된다.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입구로 유입되는 송풍공기를 열교환하는 증발기(미도시)와, 상기 증발기(미도시)에서 열교환된 냉기를 온기로 열교환하는 히터코어(130)가 구비되며, 상기 증발기(미도시)와 상기 코어코어(130)에 의해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송풍공기가 냉기 또는 온기로 변화하게 된다.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일면에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측에 형성되는 상기 전석 풋 벤트(113)에는 토출되는 송풍공기를 차량의 실내 전석으로 유도하는 전석 풋 덕트(140)가 장착된다.
상기 전석 풋 덕트(140)는 하부 케이스(142)와 상부 케이스(144)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케이스(142)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전석 풋 벤트(113)와 연결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144)는 상기 하부 케이스(142)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부가 개방된 상기 하부 케이스(142)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 케이스(142)에는 체결부(145)와 체결단(146)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45)는 상기 하부 케이스(142)의 일단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145)로 체결수단(C)이 삽입됨으로 인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142)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일면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체결단(146)은 상기 하부 케이스(142)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단(146)은 상기 전석 풋 벤트(113)의 토출구(113a)에 장착된다. 상기 체결부(145)와 상기 체결단(146)에 의해 상기 하부 케이스(142)가 상기 공조케이스(110)에 장착됨으로 인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142)가 상기 공조케이스(110)에 견고하게 장착되게 된다.
상기 전석 풋 벤트(113)의 토출구(113a)에는 상기 하부 케이스(142)와의 체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장착홈(113b)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단(146)에는 상기 장착홈(113b)에 체결되는 체결돌기(146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홈(113b)은 체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토출구(113a)의 둘레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체결돌기(146a) 역시 상기 체결단(146)에 복수개가 구비되는 바람직하다.
상기 공조케이스(110)에 장착되는 상기 하부 케이스(142)의 상부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체결홈(142a)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142)의 상부에 체결되는 상기 상부 케이스(144)의 하부면에는 상기 체결홈(142a)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복수개의 삽입단(144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케이스(142)와 상기 상부 케이스(144)에 각각 복수개의 체결홈(142a)과 삽입단(144a)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142)와 상기 상부 케이스(144)의 체결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142)의 하부면에는 끼움홈(142b)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142b)으로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상기 히터코어(130)의 입구 파이프(132)가 삽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상기 히터코어(130)의 입구 파이프(132) 및 출구 파이프(134)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일면에 장착되는 상기 하부 케이스(142)의 끼움홈(142b)에 삽입되어 장착됨으로써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일면에 고정되어 상기 입구 파이프(132) 및 출구 파이프(134)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상기 출구 파이프(134)가 삽입되는 상기 끼움홈(142b)에는 가이드돌기(142c) 및 체결돌기(142d)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돌기(142c)는 상기 끼움홈(142b)에 삽입된 상기 출구 파이프(134)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체결돌기(142d)는 상기 끼움홈(142b)에 삽입되어 장착된 상기 출구 파이프(134)가 상기 끼움홈(142b)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돌기(142d)는 상기 끼움홈(142b)에 양단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조케이스(110)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히터코어(130)의 입구 파이프(132) 및 출구 파이프(134)를 송풍공기를 차량의 실내 전석으로 유도하는 전석 풋 덕트(140)의 하부 케이스(142)로 고정함으로써 입구 파이프(132) 및 출구 파이프(134)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커버를 생략할 수 있어 부품수를 줄여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고, 하부 케이스(142)를 체결부(145)와 체결단(146)을 이용하여 공조케이스(11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하부 케이스(142)가 흔들림으로써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차량용 공조장치 110 : 공조케이스
120 : 콘솔덕트 130 : 히터코어
132 : 입구 파이프 134 : 출구 파이프
140 : 전석 풋 덕트 142 : 하부 케이스
144 : 상부 케이스

Claims (6)

  1. 입구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디프로스트 벤트, 페이스 벤트 및 전석 풋 벤트가 형성되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 내부의 공기통로를 이동하는 송풍공기를 리어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조케이스의 후벽면에 장착되며, 상기 송풍공기를 리어로 토출시키는 리어벤트가 형성된 콘솔덕트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공조케이스의 입구로 유입되는 송풍공기를 열교환하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에서 열교환된 냉기를 온기로 열교환시키는 히터코어와,
    상기 전석 풋 벤트에서 토출되는 송풍공기를 차량의 실내 전석으로 유도하는 전석 풋 덕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석 풋 덕트는 상기 공조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전석 풋 벤트와 연결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에 체결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케이스에 의해 상기 공조케이스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기 히터코어의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상기 공조케이스의 일면에 고정되기 위해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체결부와 상기 전석 풋 벤트의 토출구에 체결되는 체결단이 형성되며,
    상기 전석 풋 벤트의 토출구에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단에는 상기 장착홈에 체결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면에는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에 밀착되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부면에는 상기 히터코어의 입구 파이프 및 출구파이프가 체결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에는 상기 히터코어의 출구 파이프를 지지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끼움홈에는 상기 끼움홈에 체결된 상기 히터코어의 출구 파이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40097433A 2014-07-30 2014-07-30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35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433A KR102135274B1 (ko) 2014-07-30 2014-07-30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433A KR102135274B1 (ko) 2014-07-30 2014-07-30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030A KR20160015030A (ko) 2016-02-12
KR102135274B1 true KR102135274B1 (ko) 2020-07-17

Family

ID=55355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7433A KR102135274B1 (ko) 2014-07-30 2014-07-30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2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379B1 (ko) * 2018-01-12 2023-03-2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N110843525B (zh) * 2019-12-18 2024-04-30 安徽华菱汽车有限公司 一种车辆中控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6853A (ja) 2000-07-26 2002-02-06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の空気調和ユニット
JP2002127735A (ja) 2000-10-20 2002-05-08 Calsonic Kansei Corp 空気調和ユニットのパイプ固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1223B2 (ja) * 1995-08-10 2004-03-29 株式会社ゼクセルヴァレオクライメートコントロール 空調ユニット
KR101586359B1 (ko) * 2009-12-04 2016-02-0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6853A (ja) 2000-07-26 2002-02-06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の空気調和ユニット
JP2002127735A (ja) 2000-10-20 2002-05-08 Calsonic Kansei Corp 空気調和ユニットのパイプ固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030A (ko) 2016-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14542B (zh) 车用空调系统
KR101094845B1 (ko) 차량용 공기 조화 장치
KR20120045920A (ko) 전기자동차의 냉난방장치
JP2005170376A (ja) 車両用空調システムの空気分配モジュール
KR10199817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8222041A (ja) 自動車のバッテリ冷却装置
KR10213527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3000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6055680B2 (ja) 車両用後部搭載型空調装置
JP2016196276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94103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00069894A (ko)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
CN112805165A (zh) 用于机动车辆的供暖、通风和/或空调装置的壳体
KR10211132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0571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90032207A (ko) 자동차용 냉난방 장치
KR10242294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5976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6671311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7083774A (ja) 車両後席用空調装置
KR20040107762A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JP2004237870A (ja) 車両用空調ユニット
KR10220071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90047509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17177833A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