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194B1 - 불꽃 유동방지 온열 착좌구와 이를 위한 액체용 연료용기 - Google Patents

불꽃 유동방지 온열 착좌구와 이를 위한 액체용 연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194B1
KR102135194B1 KR1020180095078A KR20180095078A KR102135194B1 KR 102135194 B1 KR102135194 B1 KR 102135194B1 KR 1020180095078 A KR1020180095078 A KR 1020180095078A KR 20180095078 A KR20180095078 A KR 20180095078A KR 102135194 B1 KR102135194 B1 KR 102135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ontainer
seating
flame
container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9490A (ko
Inventor
정민시
Original Assignee
정민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시 filed Critical 정민시
Priority to KR1020180095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194B1/ko
Publication of KR20200019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8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10Camp, travelling, or sports st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3/00Burners using capillary action
    • F23D3/02Wick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Feeding or distributing other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2Liquid fuel
    • F23K5/14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2300/00Pretreatment and supply of liquid fuel
    • F23K2300/20Supply lin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꽃 유동방지 온열 착좌구 및 이를 위한 액체용 연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착좌부의 하부에 액체용 연료용기가 결합되는 온열 착좌구에 있어서, 상기 착좌부는 순환공간부가 마련되도록 전체적으로 밀폐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에 착좌면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액체용 연료용기가 결합되도록 용기 결합공이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착좌면과 저면 사이를 에워싸는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 결합공의 상부에는 불꽃에 의한 직접 가열을 차단하기 위한 복사 차단판이 구비되며, 상기 연료용기는 수용부의 상부에 네크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네크부에 형성된 연료공을 관통하도록 심지가 구비되되, 상기 네크부가 용기 결합공을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이로써, 착좌부에 연료용기가 구비된 상태에서도 휴대성이 확보되어 실외에서도 그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불꽃 유동방지 온열 착좌구와 이를 위한 액체용 연료용기{Warm Seat and Fuel Container for it}
본 발명은 불꽃 유동방지 온열 착좌구와 이를 위한 액체용 연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순환공간부가 마련되도록 전체적으로 밀폐된 형상으로 형성된 착좌부에는 저면에 용기 결합공이 마련되어 액체용 연료용기가 결합되고, 공기가 순환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와 배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 결합공의 상부에는 불꽃에 의한 직접 가열을 차단하기 위한 복사 차단판이 구비되는 불꽃 유동방지 온열 착좌구와 이를 위한 액체용 연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인의 여가나 취미생활이 중요시되는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 캠핑, 낚시, 사이클, 등산과 같은 실외 활동이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겨울철이나 일몰 이후에는 온도가 급격하게 강하함에 따라 이러한 실외 활동을 수행하는데 제약이 되므로 보온 대책으로서 휴대가 용이한 손난로나 전기를 이용한 전열장치 그 밖에도 가스나 석유 등을 이용한 발열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보온 대책으로서 활용하던 손난로는 지속적으로 파지하거나 몸에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안정적인 발열양을 확보하는데도 어려움이 있을뿐만 아니라, 전기를 활용한 전열장치는 실외 활동의 특성상 지속적인 전력의 공급에 제약이 따랐으며, 무엇보다 우천시나 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화재나 감전의 위험이 동반되는 안전상의 문제도 있었다.
또한, 가스나 석유와 같은 연료를 이용한 발열장치는 소형화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어 휴대성에 한계가 있었고, 연료의 안정적인 공급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밀폐된 공간에 발열장치를 삽입 후 가열시에는 연료통의 축열로 인하여 팽창 폭발하거나, 발열장치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복사열에 의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경우도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발열체로서 양초의 불꽃을 활용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7-0025816호(2017. 2. 27. 출원, 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의 "촛불 높이 자동조절장치와 이를 이용한 착좌판"을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양초를 활용함에 따라 휴대성의 이점이 있었으나, 바람과 같은 작은 공기의 흐름에도 쉽게 소거되거나 유동하는 문제점과 양초의 연소에 의하여 발열량이 변화함에 따라 안정적이고 균일한 발열을 확보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으며,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액상의 파라핀에 의하여 관리가 어렵고 불꽃이 약하여 작은 바람에도 유동함에 따라 그름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오염이 발생하는 등의 관리상의 문제점도 존재하였다.
뿐만 아니라, 양초에서 발생되는 복사열이 사용자에게 화상을 유발하는 문제점과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하여 형성한 급기공과 배기공이 오히려 열효율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었으며, 양초의 지속적인 교체가 필요함은 물론 사용자가 착좌구에 불꽃의 연소상태를 지속적으로 체크하기 곤란한 한계가 있어 안정적인 불꽃의 유지 관리가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불꽃에 의한 연료용기의 과열을 방지하고, 이동 간에도 안정적인 발열량의 확보가 가능하며, 바람에 의하여 불꽃이 유동함에 따라 그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공기의 유동을 최소화하여 열효율을 극대화하며, 불꽃의 직접 가열에 의한 복사열을 차단하여 사용자의 화상을 예방할 수 있고, 연소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유지 관리가 용이한 불꽃 유동방지 온열 착좌구와 이를 위한 액체용 연료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착좌부(100)의 하부에 액체용 연료용기(200)가 결합되는 온열 착좌구(WS)에 있어서, 상기 착좌부(100)는 순환공간부(S)가 마련되도록 전체적으로 밀폐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에 착좌면(110)이 형성되고, 저면(120)에는 액체용 연료용기(200)가 결합되도록 용기 결합공(121)이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122)가 형성되며, 상기 착좌면(110)과 저면(120) 사이를 에워싸는 측면(130)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구(131)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 결합공(121)의 상부에는 불꽃에 의한 직접 가열을 차단하기 위한 복사 차단판(140)이 구비되며, 상기 연료용기(200)는 수용부(210)의 상부에 네크부(2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네크부(220)에 형성된 연료공(230)을 관통하도록 심지(240)가 구비되되, 상기 네크부(220)가 용기 결합공(121)을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급기구(122)의 내측에는 유입된 공기가 특정 방향으로 유도되도록 흐름 유도판(12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용기(200)는 네크부(220)가 용기 결합공(121)을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심지(240)에 형성되는 불꽃은 순환공간부(S)에 위치하고, 상기 연료용기(200)의 수용부(210)는 착좌부(100)의 저면(120) 하부에 구비되어 불꽃에 의한 과열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용기(200)의 수용부(21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되, 부분적으로 불꽃의 상이 반사되는 반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면(120) 또는 측면(130)에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 관찰부(125)(135)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온열 착좌구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액체용 연료용기(200)는, 온열 착좌구(WS)에 결합될 수 있도록 수용부(210)의 상부에 네크부(2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네크부(220)에 형성된 연료공(230)을 관통하도록 심지(240)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210)는 투명한 재질의 상부 투과면(211)과 바닥면(212) 사이를 에워싸도록 측면부(213)가 형성되되, 상기 측면부(213)는 투명한 재질의 측부 투과면(213a)과 상기 측부 투과면(213a)을 통하여 관찰할 수 있도록 불꽃의 상이 반사되는 반사면(213b)이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부(213)는 내측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횡단면이 다각형 또는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213)의 둘레를 따라 측부 투과면(213a)과 반사면(213b)이 격번으로 반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부(213)는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형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눈높이에서 관찰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213)는 상부가 투과면(213a)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내측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하부 경사면(214)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경사면(214)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214b)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불꽃 유동방지 온열 착좌구(WS)에 의하면, 상기 착좌부는 순환공간부가 마련되고, 액체용 연료용기가 결합되도록 용기 결합공이 마련되어 연료용기가 구비된 상태에서도 휴대성이 확보되어 실외에서도 그 활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용기 결합공의 상부에는 복사 차단판이 구비되어 불꽃의 직접 가열에 의한 복사열을 차단함으로써, 대류를 유도하고 아울러 사용자의 화상을 예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급기구의 내측에는 유입된 공기가 특정 방향으로 유도되도록 흐름 유도판이 형성될 수 있어 이동 간에도 불꽃의 소거를 예방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발열량의 확보가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복수로 배기구를 형성하되, 최대로 이격되어 인접한 배기구가 용기 결합공이 형성된 중심으로부터 적어도 180도 이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데워진 공기가 급격하게 이탈하거나, 외부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데워진 공기의 흐름에 급격한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저면 또는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 관찰부가 형성되어 불꽃의 연소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유지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불꽃 유동방지 온열 착좌구를 위한 액체용 연료용기는, 액체 연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에 투명한 재질의 상부 투과면, 측부 투과면 및 반사면이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액체용 연료용기를 통하여 불꽃의 연소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열 착좌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열 착좌구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열 착좌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용 연료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 (a)에 도시된 액체용 연료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용 연료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액체용 연료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용 연료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사항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열 착좌구(WS)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절개 사시도로, 착좌부(100)의 하부에 액체용 연료용기(200)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액체용 연료용기(200)에 구비된 연료를 연소함으로써 착좌부(100)를 데우도록 제작된다.
상기 착좌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공간부(S)가 마련되도록 전체적으로 밀폐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착좌면(110)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저면(120)이 형성되며, 상기 착좌면(110)과 저면(120)의 사이에 순환공간부(S)가 마련되도록 측면(130)이 에워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순환공간부(S) 내의 공기는 하부에 결합되는 액체용 연료용기(200)에서 가해지는 연소 열에 의하여 데워지며, 데워진 공기는 순환공간부(S) 내에서 대류하면서 전체적으로 균일한 열분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착좌면(110)은 금속재와 같이 열전도가 잘 이루어지는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안락함이 확보될 수 있도록 상부에 시트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면(120)에는 액체용 연료용기(200)가 결합되도록 용기 결합공(121)이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122)가 형성되며, 상기 착좌면(110)과 저면(120) 사이를 에워싸는 측면(130)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구(131)가 형성된다.
상기 착좌부(100)의 저면(120)에 형성되는 용기 결합공(121)은 액체용 연료용기(200)가 체결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상기 용기 결합공(121)에는 둘레를 따라 슬리브(121a)가 형성되어 후술할 액체용 연료용기(200)의 네크부(220)가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걸림 결합이나, 억지 끼움 결합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결합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료용기(200)는 네크부(220)가 용기 결합공(121)을 관통하도록 결합됨에 따라 심지(240)에 형성되는 불꽃은 순환공간부(S)에 위치하고, 상기 연료용기(200)의 수용부(210)는 착좌부(100)의 저면(120) 하부에 구비된다. 이로써, 심지(240)에 형성되는 불꽃에도 연료용기(20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급기구(122)는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상기 급기구(122)는 저면에 형성됨으로써, 유입 공기에 의하여 연소되는 불꽃이 직접적으로 맞닿아 소거되지 않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불꽃의 연소를 위한 공기의 공급이 측면이 아닌 하부에서 이루어지므로 그름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아울러 급기구(122)로 적극 유입되는 공기의 순환을 바탕으로 저면(120)의 냉각 기능을 기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기구(122)의 내측에는 유입된 공기가 특정 방향으로 유도되도록 흐름 유도판(1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흐름 유도판(123)은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아래방향으로 가이드함으로써, 높이 차이를 두어 가열된 공기와 유입되는 차가운 공기가 혼합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나아가 불꽃의 법선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맞바람에 의한 불꽃의 소거를 방지하고 연속적인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능한다.
또한, 상기 측면(130)에 형성된 배기구(131)는 가열된 공기가 상부를 향하여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여, 공기 팽창에 의한 폭발을 방지하고, 연소기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측면(130)의 상부에 형성함으로써, 대류에 의한 순환과정 중에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함으로 열효율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기구(131)의 내측에도 유입 차단판(132)이 형성되어 역방향으로 찬공기가 유입되어 가열된 공기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기구(122)에 형성된 흐름 유도판(123)과 배기구(131)에 형성된 유입 차단판(132)이 순환공간부(S)내에서 가열된 공기가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유동하지 않도록 기능하며, 이로써 그름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배기구(131)는 복수로 형성되고, 최대로 이격되어 인접한 배기구(131)는 용기 결합공(121)이 형성된 중심으로부터 적어도 180도 이격되게 형성됨으로써, 상대적으로 배기구(131)를 일측으로 집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의 온열 착좌구(WS)가 사용자와 함께 이동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외부 공기의 강한 흐름에 의하여 내부의 가열 공기가 유동하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로써 열효율이 저하되지 않도록 기능한다.
상기 용기 결합공(121)의 상부에는 불꽃에 의한 직접 가열을 차단하기 위한 복사 차단판(140)이 구비된다. 상기 복사 차단판(140)은 하부에서 발생되는 불꽃의 복사열을 차단하여 착좌면(110)의 직접 가열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화상을 방지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사 차단판(140)의 가열된 공기가 복사 차단판(140)의 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바, 복사 차단판(140)의 형상을 따라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으며, 상기 복사 차단판(140)을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함으로써 공기의 흐름 경로를 더욱 증가시켜 착좌면(110)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예방하고 보다 안정적이고 균일한 온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착좌부(100)의 저면(120) 또는 측면(130)에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 관찰부(125)(135)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투명 관찰부(125)(135)를 통하여 온열 착좌구(WS)의 착좌부(100)에 결합된 연료용기(200)의 연소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좌부(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연료용기(200)는 전체적으로 내열성이 있는 유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부(210)의 상부에 네크부(2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네크부(220)에 형성된 연료공(230)을 관통하도록 심지(240)가 구비되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네크부(220)는 착좌부(100)의 저면(120)에 형성된 용기 결합공(121)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네크부(220)의 체결방식에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거나, 걸림편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료공(230)은 연료용기(200)에 구비된 액체의 연료가 상부의 심지(240)를 따라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통로로 연료가 소진된 경우에 충전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된다. 또한, 상기 액체용 연료용기(200)의 심지(240)를 매개로 액체의 연료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안정적인 발열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용기(200)의 연료공(230)는 탄성재질의 심지가이드(250)가 구비되고, 상기 심지가이드(250)를 관통하도록 심지(2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심지(240)는 심지가이드(250)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고정 구비될 수 있고, 연료를 채우고자 하는 경우, 심지(240)가 구비된 심지가이드(250)를 분리하여 연료공(230)을 노출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온열 착좌구(WS)에 결합될 수 있도록 수용부(210)의 상부에 네크부(2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네크부(220)에 형성된 연료공(230)을 관통하도록 심지(240)가 구비되는 액체용 연료용기(200)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7을 바탕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체용 연료용기(200)의 수용부(210)는 전체적으로 유리와 같은 내열성의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부분적으로 불꽃의 상이 반사되는 반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투명한 재질의 상부 투과면(211)이 구비되도록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투과면(211)과 바닥면(212) 사이를 에워싸도록 측면부(213)를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수용부(2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측면부(213)는 투명한 재질의 측부 투과면(213a)과 상기 측부 투과면(213a)을 통하여 관찰할 수 있도록 불꽃의 상이 반사되는 반사면(213b)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부 투과면(213a)도 유리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시선과 측부 투과면(213a)이 이루는 가상의 선에 연장선에 위치하는 반사면(213b)을 바탕으로 연소되는 불꽃의 상이 반사되어 관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사면(213b)은 내측에 반사될 수 있는 재질의 면이 구비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소되는 불꽃의 상은 상기 착좌부(100)의 저면(120)에 형성된 투명 관찰부(125)와 상기 액체용 연료용기(200)의 상부 투과면(211)을 거쳐 반사면(213b)에 반사되어 측부 투과면(213a)을 통해 관찰하는 사용자의 육안으로 관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체용 연료용기(200)의 수용부(210)를 구성하는 측면부(213)는 내측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횡단면이 도 4의 (a)와 같이 다각형 또는 (b)와 같이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213)의 둘레를 따라 측부 투과면(213a)과 반사면(213b)이 격번으로 반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부 투과면(213a)의 대향되는 면에 반사면(213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부(213)는 횡단면이 다각형 또는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부가 측부 투과면(213a)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내측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하부 경사면(214)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경사면(214)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214b)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반사면(214b)는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으며, 투과면(214a)과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부(213)는 내측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관찰시 다양한 눈높이에서 관찰이 가능하도록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측면부(213)에 산발적으로 측부 투과면(213a)이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에 반사면(213b)가 형성되거나, 이와 반전된 패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좌부(100)의 하부에는 액체용 연료용기(200)가 구비될 수 있도록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받침부(3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착좌부(100)를 의자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받침부(300)의 높이를 상응하는 길이로 확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불꽃 유동방지 온열 착좌구(WS) 및 이를 위한 액체용 연료용기(200)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S:온열 착좌구 100:착좌부
110:착좌면 120:저면
121:용기 결합공 122:급기구
123:흐름 유도판 125,135:투명 관찰부
130:측면 131:배기구
140:복사 차단판 S:순환공간부
200:액체용 연료용기 210:용기부
211:상부 투과면 212:바닥면
213:측면부 213a:측부 투과면
213b:반사면 214:경사면
214a:투과면 214b:반사면
220:네크부 230:연료공
240:심지 250:심지가이드
300:받침부

Claims (9)

  1. 착좌부(100)의 하부에 액체용 연료용기(200)가 결합되는 온열 착좌구(WS)에 있어서,
    상기 착좌부(100)는 순환공간부(S)가 마련되도록 전체적으로 밀폐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에 착좌면(110)이 형성되고, 저면(120)에는 액체용 연료용기(200)가 결합되도록 용기 결합공(121)이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122)가 형성되며, 상기 착좌면(110)과 저면(120) 사이를 에워싸는 측면(130)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구(131)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 결합공(121)의 상부에는 불꽃에 의한 직접 가열을 차단하기 위한 복사 차단판(140)이 구비되며,
    상기 연료용기(200)는 수용부(210)의 상부에 네크부(2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네크부(220)에 형성된 연료공(230)을 관통하도록 심지(240)가 구비되되, 상기 네크부(220)가 용기 결합공(121)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꽃 유동방지 온열 착좌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구(122)의 내측에는 유입된 공기가 특정 방향으로 유도되도록 흐름 유도판(1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꽃 유동방지 온열 착좌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용기(200)는 네크부(220)가 용기 결합공(121)을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심지(240)에 형성되는 불꽃은 순환공간부(S)에 위치하고, 상기 연료용기(200)의 수용부(210)는 착좌부(100)의 저면(120) 하부에 구비되어 불꽃에 의한 과열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꽃 유동방지 온열 착좌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용기(200)의 수용부(21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되, 부분적으로 불꽃의 상이 반사되는 반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꽃 유동방지 온열 착좌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120) 또는 측면(130)에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 관찰부(125)(13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꽃 유동방지 온열 착좌구.
  6. 온열 착좌구(WS)에 결합될 수 있도록 수용부(210)의 상부에 네크부(2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네크부(220)에 형성된 연료공(230)을 관통하도록 심지(240)가 구비되는 액체용 연료용기(200)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10)는 투명한 재질의 상부 투과면(211)과 바닥면(212) 사이를 에워싸도록 측면부(213)가 형성되되, 상기 측면부(213)는 투명한 재질의 측부 투과면(213a)과 상기 측부 투과면(213a)을 통하여 관찰할 수 있도록 불꽃의 상이 반사되는 반사면(213b)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 연료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213)는 내측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횡단면이 각형 또는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213)의 둘레를 따라 측부 투과면(213a)과 반사면(213b)이 격번으로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 연료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213)는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형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눈높이에서 관찰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 연료용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213)는 상부가 투과면(213a)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내측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하부 경사면(214)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경사면(214)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214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 연료용기.
KR1020180095078A 2018-08-14 2018-08-14 불꽃 유동방지 온열 착좌구와 이를 위한 액체용 연료용기 KR102135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078A KR102135194B1 (ko) 2018-08-14 2018-08-14 불꽃 유동방지 온열 착좌구와 이를 위한 액체용 연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078A KR102135194B1 (ko) 2018-08-14 2018-08-14 불꽃 유동방지 온열 착좌구와 이를 위한 액체용 연료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490A KR20200019490A (ko) 2020-02-24
KR102135194B1 true KR102135194B1 (ko) 2020-07-17

Family

ID=69637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078A KR102135194B1 (ko) 2018-08-14 2018-08-14 불꽃 유동방지 온열 착좌구와 이를 위한 액체용 연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1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439B1 (ko) 2008-04-02 2008-12-31 김기영 촛불 가열식 의자
KR101668658B1 (ko) 2015-11-25 2016-10-27 정서영 촛불 높이 자동조절장치와 이를 이용한 착좌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940B1 (ko) * 2012-05-23 2014-05-16 정헌구 안전 알코올 램프
KR101649800B1 (ko) * 2014-11-05 2016-08-30 이상철 온돌 방식을 이용한 야외난방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439B1 (ko) 2008-04-02 2008-12-31 김기영 촛불 가열식 의자
KR101668658B1 (ko) 2015-11-25 2016-10-27 정서영 촛불 높이 자동조절장치와 이를 이용한 착좌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490A (ko) 202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8027B2 (en) Meltable fuel gas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s
US20180023816A1 (en) Portable gas stove
KR101847726B1 (ko)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
KR101075132B1 (ko) 온수 보일러 및 커피 포트 겸용 휴대용 난로
KR102135194B1 (ko) 불꽃 유동방지 온열 착좌구와 이를 위한 액체용 연료용기
KR102065153B1 (ko) 가스레인지 화력 보호 장치
CN111043591B (zh) 观赏火的组合结构
US7083409B2 (en) Oil burning lamp
KR102187602B1 (ko) 다용도 가스스토브
US20140345591A1 (en) Flame gas burner diffuser for cooking equipments
KR102065055B1 (ko) 온열 받침기
CN110906322B (zh) 具有散热隔热垫的燃烧装置
JP3715256B2 (ja) 石油燃焼器具の燃焼筒
KR102463614B1 (ko) 기름버너 또는 가스버너용 구들시스템
KR102014429B1 (ko) 냉각 효율이 향상된 가열장치
ES2529542T3 (es) Cocina militar
KR102065043B1 (ko) 복사열 차단 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가열체
KR102623252B1 (ko) 이중 화구를 갖는 휴대용 가스버너
KR102345632B1 (ko) 휴대용 가스연소기구
KR102478781B1 (ko) 펠렛 또는 장작을 사용할 수 있는 펠렛 화로대
KR20110032119A (ko) 가스 그리들 장치
KR200173588Y1 (ko) 직화 고기 구이판용 받침대
KR101848163B1 (ko) 연소기
JP2533804Y2 (ja) 燃焼装置
KR200419634Y1 (ko) 온열 겸용 화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