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429B1 - 냉각 효율이 향상된 가열장치 - Google Patents

냉각 효율이 향상된 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429B1
KR102014429B1 KR1020180034979A KR20180034979A KR102014429B1 KR 102014429 B1 KR102014429 B1 KR 102014429B1 KR 1020180034979 A KR1020180034979 A KR 1020180034979A KR 20180034979 A KR20180034979 A KR 20180034979A KR 102014429 B1 KR102014429 B1 KR 102014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case
inclined surface
air
cooling effici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9274A (ko
Inventor
정민시
Original Assignee
정민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시 filed Critical 정민시
Publication of KR20190069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2Doors; Screens; Fuel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5Fireboxes; Frames; Hoods; Heat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9Fuel-handl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02Surrou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2Arrangement or mountings of fire-grate assemblies; Arrangement or mountings of linings for fire-boxes, e.g. fire-b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 효율이 향상된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에 양초가 수용되도록 공간부가 마련되고, 상기 양초가 노출되도록 상부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와 연통되도록 하부에 연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통부의 둘레를 따라 내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어 양초를 고정함과 동시에 외부공기로 상기 양초를 냉각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여 축열을 방지하고 양초의 급격한 액상화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각 효율이 향상된 가열장치{Heating Device with Improved Cooling Efficiency}
본 발명은 냉각 효율이 향상된 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에 양초가 수용되는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상부케이스가 결합되되, 상기 상부케이스 하부에 형성된 연통부의 둘레를 따라 경사면이 내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경사면이 냉각되어 축열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경사면에 맞닿은 양초의 급속한 액상화를 방지하기 위한 냉각 효율이 향상된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인들의 삶의 질을 중요시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 각자의 여가활동을 위하여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이 일반적인 문화로 자리 잡았다. 그에 따라 실외 활동으로서 낚시, 캠핑, 등산, 하이킹, 사이클 등이 각광받고 있다.
다만, 환절기나 겨울철에는 온도가 강하하여 실외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많은 제약을 받게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통상 보온 대책을 강구하게 되며, 많은 경우 전열장치나 손난로, 석유나 석탄을 이용한 발열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전열장치나 석유나 석탄을 이용한 종래의 발열장치들은 활동성에 많은 제약이 따랐으며, 기상 상태에 따라서는 감전의 위험이나 화재의 위험이 동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6-0022753호 '촛불 높이 자동 조절장치와 이를 이용한 착좌판'(2016. 2. 25. 출원, 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를 출원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양초를 이용하여 촛불이 일정한 위치에 구비되도록 하여 발열 효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착좌판을 바탕으로 화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균일한 열분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안한 발명이다.
한편,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흡기구를 형성함으로써, 양초가 연소함에 필요한 공기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맞바람이 불거나 산책이나 사이클 등의 실외 활동시에는 흡기구를 바탕으로 공기가 강한 흐름을 바탕으로 유입되어 불꽃을 소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양초를 지지하거나 에워싸는 각종 부재들이 연소열에 의하여 축열되어 고온으로 가열됨에 따라 고온의 부품과 직,간접적으로 맞닿는 양초가 부분적으로 용융되어 액상 내지는 반액상 상태가 되어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양초의 사용주기가 짧아지고, 연소효율이 저하되는 추가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양초의 양초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이 케이스를 축열시키고, 축열된 케이스로 인하여 파라핀의 액상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양초의 상부에 용융된 액상 파라핀이 넘치거나 케이스의 하부의 틈으로 흘러내려 케이스 내부의 공기 흐름을 차단하거나 장치 및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양초의 연소열이 복사나 전도를 바탕으로 케이스의 외주면에 전달되는 경우 사용자가 화상을 입게되거나 주변의 화기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양초가 가열함에 따라 발생되는 연소열에도 불구하고 공기 순환구조를 효과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파라핀의 액상화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와 동시에 불꽃을 공기의 흐름으로부터 분리시켜 연소 효율을 증진시키고, 양초의 내구성을 확보함은 물론 상기 양초의 액상화된 파라핀이 하부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밀폐시켜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장치 및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으며, 고온의 연소열에도 사용자의 화상을 예방할 수 있고, 맞바람이나 가열장치를 소지한 상태에서 이동하더라도 공기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전환하여 지속적인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는 냉각 효율이 향상된 가열장치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냉각 효율이 향상된 가열장치(D)는, 내측에 양초(C)가 수용되도록 공간부(11)가 마련되고, 상기 양초(C)가 노출되도록 상부에 개방부(12)가 형성되는 하부케이스(10); 및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0)와 연통되도록 하부에 연통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연통부(21)의 둘레를 따라 내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경사면(22)이 형성되어 양초(C)를 고정함과 동시에 외부공기로 상기 양초(C)를 냉각하는 상부케이스(20);를 포함하여 축열을 방지하고 양초의 급격한 액상화를 방지하되,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복수의 급기공(13)이 형성되고, 상기 급기공(13)의 일측에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고 양초(C)의 유동을 방지하는 공간확보 날개(14)가 내측으로 마련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20)의 내측에 경사면(22)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22)의 외측에 공간부(S)가 마련되고, 상기 공간부(S)에 공기가 유도되어 축열을 방지하고 양초의 급격한 액상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20)의 하단 내측에는 환상 플랜지(23)가 형성되고, 상기 환상 플랜지(23)의 내측 단부에 경사면(22)이 환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상 플랜지(23)에는 복수의 제1 공기 유도공(24)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22)이 냉각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20)의 경사면(22)에 대응되는 높이의 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제2 공기 유도공(25)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22)이 냉각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10)의 내측에는 탄성체(15)가 마련되고, 상기 탄성체(15)의 상부에 받침부(16)가 구비되어 상기 양초(C)가 받침부(16)에 구비된 상태에서 탄성체(15)에 의하여 상부로 가압되며, 상기 양초(C)의 상단은 경사면(22)에 의하여 지지되고, 이동이 가이드되어 상기 양초(C)의 연소에도 불꽃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16)의 상단에는 경사면(22)에 대응되는 각도로 챔퍼부(16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측에 양초(C)가 수용되도록 공간부(11)가 마련되고, 상기 양초(C)가 노출되도록 상부에 개방부(12)가 형성되는 하부케이스(10); 및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0)와 연통되도록 하부에 연통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연통부(21)의 둘레를 따라 내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경사면(22)이 형성되어 양초(C)를 고정함과 동시에 외부공기로 상기 양초(C)를 냉각하는 상부케이스(20);를 포함하여 축열을 방지하고 양초의 급격한 액상화를 방지하되, 상기 상부케이스(20)는 제1 케이스(20a)에 상기 연통부(21)와 상기 경사면(22)이 형성되고, 상부에 제1 연통공(28)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케이스(20a)의 상부에 제2 케이스(20b)가 결합되되, 상기 제2 케이스(20b)는 급기공(26)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통공(28)에 대응되도록 하부에 제2 연통공(2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냉각 효율이 향상된 가열장치는, 상부케이스 하부에 형성된 연통부의 둘레를 따라 내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이 외부공기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냉각되어, 양초가 가열함에 따라 발생되는 연소열에도 불구하고 공기 순환구조를 효과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파라핀의 액상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초의 불꽃은 공기의 흐름으로부터 분리시켜 연소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의 길이가 양초의 반액상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제작되어 냉각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나아가, 양초의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내구성이 확보되며, 용융에도 불구하고 양초의 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연소 효율을 증진되는 효과가 있으며, 고온의 연소열에도 사용자의 화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부케이스의 하단 내측에는 환상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외기 공기를 유도하여 경사면으로 전도함으로써 냉각 효율을 보다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양초의 상부나 하부에 용융된 액상 파라핀이 하부로 흘러내려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장치 및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경사면에 의하여 액상 파라핀이 수용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환상 플랜지에 형성된 복수의 제1 공기 유도공을 바탕으로 하부케이스로 유입된 공기가 유도되어 경사면을 냉각시킬 수 있으며, 상부케이스의 측면 하부에 형성된 제2 공기 유도공을 바탕으로 보다 적극적인 경사면의 냉각을 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급기공 일측에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공간확보 날개가 형성되어 맞바람이나 가열장치를 소지한 상태에서 이동하더라도 공기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전환하여 지속적인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경사면은 양초의 상단을 지지함과 동시에 연소에 의한 상부 이동을 자연스럽게 가이드하여 상기 양초의 연소에도 기울어지지 않고, 불꽃의 높이와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양초는 경사면에 가압되도록 구비되므로 양초의 직경과 무관하게 다양한 형상의 양초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의 상단에는 경사면에 대응되는 각도로 챔퍼부가 형성되어 연소에 따른 양초의 높이 감소에도 불구하고, 추후 경사면과 챔퍼부가 맞닿을 수 있어 양초의 액상 파라핀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연소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를 절단한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의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의 냉각 원리를 도시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의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의 제1,2 케이스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의 냉각 원리를 도시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의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를 도시한 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바탕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효율이 향상된 가열장치(D)를 도시한 것으로, 크게 하부케이스(10)와 상부케이스(20)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0)와 상부케이스(20)는 내열성이 확보되는 금속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합성수지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부케이스(10)는 내측에 양초(C)가 수용되도록 공간부(11)가 마련되고, 상기 양초(C)가 노출되도록 상부에 개방부(12)가 형성된다. 상기 개방부(12)의 상부로 양초(C)의 상단이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연소열이 상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10)의 바닥 또는 측면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급기공(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기공(13)은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기능하며, 바닥에 형성되어 하부에서 상부로의 공기 흐름을 유도하거나, 측면에 형성되어 측면에서 상부로 공기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전환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다만, 하부케이스(10)에는 급기공(13)이 형성되지 않고, 후술할 상부케이스(20)에 형성된 제2 공기유도공(25)을 바탕으로 공기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10)의 내측에 마련된 공간부(11)에는 탄성체(15)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체(15)의 상부에 받침부(16)가 고정되어 상기 양초(C)가 받침부(16)에 구비된 상태에서 탄성체(15)에 의하여 상부로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양초(C)의 연소에도 불구하고, 양초(C)의 상단에 형성되는 불꽃이 일정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어 균질한 연소열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16)의 상단에는 경사면(22)에 대응되는 각도로 챔퍼부(16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챔퍼부(16a)는 상단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받침부(16)의 형상이 전체적으로 절두원추 형상을 지니도록 측면 전체에 챔퍼부(16a)를 형성함으로써 연소에 따른 양초(C)의 높이 감소에도 불구하고, 추후 경사면(22)과 챔퍼부(16a)가 맞닿을 수 있어 양초의 연소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케이스(20)는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부재로 하부케이스(10)와 나사결합, 끼움결합, 걸림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G)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걸림돌기(P)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돌기(P)가 걸림홈(G)을 따라 이동하여, 걸림턱에 안착되도록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20)는 하부케이스(10)와 연통되도록 하부에 연통부(21)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0)의 개방부(12)로부터 상부케이스(20)로 연소열이나 유입된 공기가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20)의 연통부(21)의 둘레를 따라 내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경사면(2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22)의 외측에 마련된 공간부(S)에 공기가 유도되어 경사면(22)이 냉각될 수도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22)이 외부 공기와 맞닿도록 형성되어 직접적으로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써 보다 효과적인 냉각을 기대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양초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이 케이스를 축열시키고, 축열된 케이스로 인하여 파라핀의 액상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상기 상부케이스(20)의 경사면(22)이 공기의 흐름을 바탕으로 축열을 방지하고, 상기 경사면(22)의 내측에 맞닿는 양초(C)의 급격한 액상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양초(C)는 지속적인 연소가 가능하도록 불꽃을 공기의 흐름으로부터 분리시켜 연소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부(22)의 길이는 양초(C)의 연소에 따른 반액상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제작되어 냉각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초(C)의 연소열에도 불구하고 경사면(22)에 의하여 양초(C)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용융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양초(C)의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내구성이 확보된다.
또한, 양초(C)의 액상화에도 불구하고 양초(C)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연소 효율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으며, 양초(C)의 용융에 따른 액상 파라핀이 경사면(22)에 지지되므로, 액상 파라핀이 주변으로 흘러내려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장치 및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초(C)의 상단은 경사면(22)에 의하여 지지되고, 이동이 가이드되어 상술한 탄성체(15)에 의하여 상기 양초(C)의 연소에도 기울어지지 않고, 불꽃의 높이와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양초는 경사면(22)에 가압되므로 양초(C)의 직경과 무관하게 다양한 형상의 양초(C)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초(C)의 상단에 형성된 경사부가 상기 경사면(22)의 각도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양초(C)가 충분히 연소한 후에도 상기 경사면(22)이 양초(C)의 경사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연소에 의한 액상 파라핀이 하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20)의 하단 내측에는 환상 플랜지(23)가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외기 온도를 경사면으로 전도함으로써 냉각 효율을 보다 증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케이스(20)는 외기와 맞닿으므로 자연스럽게 외기 온도가 상부케이스(20)의 하단에 형성된 환상 플랜지(23)를 바탕으로 경사면(22)에 전달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양초(C)의 냉각 효율을 보다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상 플랜지(23)에는 복수의 제1 공기 유도공(24)이 형성되어 하부케이스(10)로 유입된 공기가 환상 플랜지(23)에 형성된 제1 공기 유도공(24)으로 유도되며, 유도된 공기의 흐름이 상기 경사면(22)에 맞닿아 냉각 효율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공기 유도공(24)과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상부케이스(20)의 경사면(22)에 대응되는 높이의 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제2 공기 유도공(25)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22)이 냉각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공기 유도공(25)으로 유입된 공기는 경사면(22)에 직접적으로 맞닿게 되고, 유입된 공기를 바탕으로 상기 경사면(22)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공기 유도공(25)은 제1 공기 유도공(24)과 함께 형성됨으로서 냉각 효율이 배가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복수의 급기공(13)이 형성되고, 상기 급기공(13)의 일측에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공간확보 날개(14)가 내측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급기공(13)은 하부케이스(10)의 측면을 따라 가로방향, 세로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급기공(13)의 형상에 따라서는 공기의 흐름이 빠르게 유도되어 양초(C)의 불꽃을 소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기공(13)에는 공간확보 날개(14)가 내측으로 형성되므로써 자연스럽게 공기의 흐름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공기의 흐름이 불꽃을 소거시키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자연스러운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발휘된다.
상기 공간확보 날개(14)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한 곡률을 지니도록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공간확보 날개(14)가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면,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면(14a)에 양초(C)의 외주면이 맞닿을 수 있다. 상기 가이드면(14a)에 맞닿은 양초(C)는 유동이 방지될 수 있으며, 측면으로 일정한 공간이 마련되어 공기의 안정적인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20)의 측면에도 급기공(26)을 부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급기공(26)을 바탕으로 보다 안정적인 공기의 유입을 꾀할 수 있으며, 상부케이스(20)에 형성되는 급기공(26)은 맞바람이 유도되지 않는 정적인 활동에 보다 유리하다.
나아가, 상기 상부케이스(20)에 형성되는 급기공(26)의 일측에도 공간확보 날개(27)를 내측으로 마련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공간확보 날개(27)를 바탕으로 공기의 흐름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동적인 활동에도 맞바람으로부터 양초(C)의 불꽃이 소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20)는 제1 케이스(20a)와 제2 케이스(20b)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케이스(20a)에 상기 연통부(21)와 상기 경사면(22)이 형성되고, 상부에 제1 연통공(28)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스(20a)의 상부에 제2 케이스(20b)가 결합되되, 상기 제2 케이스(20b)는 급기공(26)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통공(28)에 대응되도록 하부에 제2 연통공(29)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다양한 형상과 규격의 상부케이스(20)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양초(C)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제1,2 케이스(20a)(20b)를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 케이스(20a)(20b)는 제1,2 연통공(28)(29)에 인접하여 테이퍼형 형상을 지니도록 테이퍼부(28a)(29a)를 형성함으로써, 제1,2 케이스(20a)(20b)의 직경에 무관하게 다양한 형상을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테이퍼부(28a)(29a)는 상기 경사면(22)과 마찬가지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면(22)과 함께 상기 테이퍼부(28a)(29a)가 공기를 유도함으로써 냉각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마그네틱(Ma)을 이용하여 금속재 제1,2 케이스(20a)(20b)를 상호 결합할 수 있으며, 기타 끼움 결합, 나사 결합 등으로 상호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퍼부(28a)(29a)에는 횡방향 급기공(28b)(29b)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케이스(20)의 내부에 공기의 흐름을 유도함으로써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횡방향 급기공(28b)(29b)은 그 형상을 바탕으로 연소열이 하부케이스(10)로 전도되어 열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냉각 효율이 향상된 가열장치(D)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특허청구범위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D:가열장치 C:양초
10:하부케이스 11:공간부
12:개방부 13:급기공
14:공간확보 날개 15:탄성체
16:받침부 16a:챔퍼부
20:상부케이스 21:연통부
22:경사면 23:환상 플랜지
24:제1 공기 유동공 25:제2 공기 유도공
26:급기공 27:공간확보 날개
28:제1 연통공 29:제2 연통공

Claims (9)

  1. 내측에 양초(C)가 수용되도록 공간부(11)가 마련되고, 상기 양초(C)가 노출되도록 상부에 개방부(12)가 형성되는 하부케이스(10); 및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0)와 연통되도록 하부에 연통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연통부(21)의 둘레를 따라 내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경사면(22)이 형성되어 양초(C)를 고정함과 동시에 외부공기로 상기 양초(C)를 냉각하는 상부케이스(20);를 포함하여 축열을 방지하고 양초의 급격한 액상화를 방지하되,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복수의 급기공(13)이 형성되고, 상기 급기공(13)의 일측에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고 양초(C)의 유동을 방지하는 공간확보 날개(14)가 내측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효율이 향상된 가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20)의 내측에 경사면(22)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22)의 외측에 공간부(S)가 마련되고, 상기 공간부(S)에 공기가 유도되어 축열을 방지하고 양초의 급격한 액상화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효율이 향상된 가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20)의 하단 내측에는 환상 플랜지(23)가 형성되고, 상기 환상 플랜지(23)의 내측 단부에 경사면(22)이 환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효율이 향상된 가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플랜지(23)에는 복수의 제1 공기 유도공(24)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22)이 냉각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효율이 향상된 가열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20)의 경사면(22)에 대응되는 높이의 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제2 공기 유도공(25)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22)이 냉각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효율이 향상된 가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10)의 내측에는 탄성체(15)가 마련되고, 상기 탄성체(15)의 상부에 받침부(16)가 구비되어 상기 양초(C)가 받침부(16)에 구비된 상태에서 탄성체(15)에 의하여 상부로 가압되며, 상기 양초(C)의 상단은 경사면(22)에 의하여 지지되고, 이동이 가이드되어 상기 양초(C)의 연소에도 불꽃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효율이 향상된 가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6)의 상단에는 경사면(22)에 대응되는 각도로 챔퍼부(16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효율이 향상된 가열장치.
  9. 내측에 양초(C)가 수용되도록 공간부(11)가 마련되고, 상기 양초(C)가 노출되도록 상부에 개방부(12)가 형성되는 하부케이스(10); 및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0)와 연통되도록 하부에 연통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연통부(21)의 둘레를 따라 내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경사면(22)이 형성되어 양초(C)를 고정함과 동시에 외부공기로 상기 양초(C)를 냉각하는 상부케이스(20);를 포함하여 축열을 방지하고 양초의 급격한 액상화를 방지하되,
    상기 상부케이스(20)는 제1 케이스(20a)에 상기 연통부(21)와 상기 경사면(22)이 형성되고, 상부에 제1 연통공(28)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케이스(20a)의 상부에 제2 케이스(20b)가 결합되되, 상기 제2 케이스(20b)는 급기공(26)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통공(28)에 대응되도록 하부에 제2 연통공(2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효율이 향상된 가열장치.
KR1020180034979A 2017-12-11 2018-03-27 냉각 효율이 향상된 가열장치 KR1020144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442 2017-12-11
KR20170169442 2017-1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274A KR20190069274A (ko) 2019-06-19
KR102014429B1 true KR102014429B1 (ko) 2019-08-26

Family

ID=67104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979A KR102014429B1 (ko) 2017-12-11 2018-03-27 냉각 효율이 향상된 가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4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2523A1 (en) * 2011-02-14 2012-08-23 The Yankee Candle Company, Inc. Container candle with enhanced candle performance and candle insert for container candle
KR101611331B1 (ko) 2015-05-28 2016-04-15 정서영 촛불 가열 장치 및 상기 촛불 가열 장치를 구비한 의자
KR101668658B1 (ko) * 2015-11-25 2016-10-27 정서영 촛불 높이 자동조절장치와 이를 이용한 착좌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266B1 (ko) * 2017-03-29 2018-08-08 정민시 비전원 방풍 가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2523A1 (en) * 2011-02-14 2012-08-23 The Yankee Candle Company, Inc. Container candle with enhanced candle performance and candle insert for container candle
KR101611331B1 (ko) 2015-05-28 2016-04-15 정서영 촛불 가열 장치 및 상기 촛불 가열 장치를 구비한 의자
KR101668658B1 (ko) * 2015-11-25 2016-10-27 정서영 촛불 높이 자동조절장치와 이를 이용한 착좌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274A (ko) 201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29083T3 (es) Montaje portador de mecha.
KR101886266B1 (ko) 비전원 방풍 가열장치
CN105916526A (zh) 一种蜡炉
KR102014429B1 (ko) 냉각 효율이 향상된 가열장치
US20150380626A1 (en) Thermoelectric Generator Arrangement
US4234303A (en) Combustion apparatus
KR101158787B1 (ko) 양초의 완전연소 및 촛불흐름 방지용 양초캡
US6030093A (en) Multiple candle lantern
EP1884721B1 (en) Radiator for heating a room
US10816196B2 (en) Combustion device with heat dissipating design
KR101949088B1 (ko) 무동력팬이 적용된 조립형 공기순환기
KR200436577Y1 (ko)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양초를 이용한 발열 의자
KR102135194B1 (ko) 불꽃 유동방지 온열 착좌구와 이를 위한 액체용 연료용기
CN208186291U (zh) 一种可回收蜡液的陶瓷烛台
KR101303107B1 (ko) 전기 로스터
KR102065043B1 (ko) 복사열 차단 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가열체
KR102073569B1 (ko) 젤 연료의 완전연소 구조를 갖는 난로캔
KR102065040B1 (ko) 온열장치를 구비한 착좌구
CN111351036A (zh) 不过热的燃烧装置
CN109357295A (zh) 固体导热聚能炉灶支架
US20200032996A1 (en) Wind-resistant heating device using non-electric source
US20190292489A1 (en) Floating candle
TWI549635B (zh) 鍋子
KR20130120429A (ko)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
CN210035486U (zh) 一种燃气灶用炉头及燃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