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192B1 - Elevat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 Google Patents

Elevat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192B1
KR102135192B1 KR1020187036061A KR20187036061A KR102135192B1 KR 102135192 B1 KR102135192 B1 KR 102135192B1 KR 1020187036061 A KR1020187036061 A KR 1020187036061A KR 20187036061 A KR20187036061 A KR 20187036061A KR 102135192 B1 KR102135192 B1 KR 102135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car
speed
elevat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0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7471A (en
Inventor
히데타카 이시구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7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4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1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0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로 내의 층상 위치에 마련된 착상 플레이트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한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로 검출하여 층상 위치를 검출하는 층상 위치 검출부와, 거버너 로프 또는 주 로프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거리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이동거리 검출부와, 층고 학습시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 층고 학습 운전을 행하는 구동 제어부와, 상기 층고 학습 운전시, 검출된 상기 층상 위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거리에 의해 층고를 계측하는 계측 처리부와, 상기 계측한 층고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층고 학습 운전시 적어도 최하층의 상기 착상 플레이트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일정 속도로 통과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등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distance of the elevator car is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governor rope or the main rope, and a floor position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floor plate by detecting the floor plate provided at the floor position in the hoistway with the floor plate detector provided in the car. The moving distanc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car, a driving control unit for performing a floor learning operation on the car during floor height learning, and a measurement for measuring the floor height by the detected floor position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car during the floor height learning operation. It is provided with a processing unit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easured floor height, and the drive control unit is an elevator control device or the like that passes the elevator car through the elevator car at a constant speed at least at the lowest level during the floor learning operation.

Figure R1020187036061
Figure R1020187036061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Elevat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특히, 각 층상 간의 층고의 보다 정확한 계측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more accurate measurement of the floor height between each floor.

종래의 로프식 엘리베이터에서는, 승강로 내의 엘리베이터 칸의 정지층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착상 플레이트(Landing Plate)와, 거버너(Governor) 또는 권상기에 마련된 로프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으로부터 구해지는 정보에 더하여, 층고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정지층까지의 남은 거리를 산출하고, 엘리베이터 칸의 착상 제어를 행한다.In a conventional rope-type elevator, a position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n elevator car based on a landing plat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stationary floor of an elevator car in a hoistway and a rope provided on a governor or hoisting machine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using the floor height information, the remaining distance to the stationary floor is calculated, and the concept of controlling the elevator car is performed.

고정밀도의 착상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정확한 층고 정보가 필요하다. 그 때문에, 착상 플레이트와 위치 검출 수단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층고를 학습한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3 등 참조).In order to realize a high-precision concept, accurate floor height information is required. Therefore, the floor height is learned using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implantation plate and the position detecting means (for example, refer to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s 1-3).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소60-197572호 공보(도 1)[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60-197572 (FIG. 1)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평2-106574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106574

[특허 문헌 3] 국제 공개 제2016-063379호 팜플렛[Patent Document 3]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16-063379 pamphlet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종단층, 특히, 로프가 길어지는 최하층의 층고 계측 데이터에는, 엘리베이터 칸의 가감속에 의해 발생하는 로프 신축에 의한 계측 오차가 포함되어 버리기 때문에, 고정밀도의 층고 데이터를 얻는 것이 곤란해진다.However, in the prior art, since the height measurement data of the terminal layer, especially the lowest layer where the rope is long, includes measurement errors due to rope expansion and contraction caused by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of the car, it is necessary to obtain high-precision height data. It becomes difficult.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거버너 로프 또는 주 로프를 이용하여 층고 학습을 행할 때, 가감속에 의한 로프 신축의 영향을 배제하고, 정확한 층고를 학습 가능하게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performing height learning using a governor rope or a main rope, it excludes the effect of rope expansion and contraction due to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and controls the elevator to enable accurate floor height learning and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승강로 내의 층상 위치에 마련된 착상 플레이트를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한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로 검출하여 층상 위치를 검출하는 층상 위치 검출부와, 거버너 로프 또는 주 로프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거리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이동거리 검출부와, 층고 학습시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 층고 학습 운전을 행하는 구동 제어부와, 상기 층고 학습 운전시, 검출된 상기 층상 위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거리에 의해 층고를 계측하는 계측 처리부와, 상기 계측한 층고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제어부는, 하층으로부터 다음 인접층까지의 거리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정격 속도인 제1 속도보다 낮은 제2 속도에서 일정 속도로 주행시키고, 상기 계측 처리부는, 최하층의 층고를, 엘리베이터 칸을 상기 제2 속도로 주행시켜 계측한 층고와, 상기 제1 속도로 주행시켜 계측한 층고의 오차를 구하여 상기 기억부에 기억하는 오차 연산부와, 상기 제1 속도로 재학습했을 때, 상기 오차로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등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moving plate movement distance of the elevator car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governor rope or the main rope, and a floor position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floor plate by detecting the floor plate provided at the floor position in the hoistway with the floor plate detector provided in the car. An elevator car moving distance detection unit to perform, a driving control unit for performing a height learning operation on the elevator car during floor height learning, and a measurement processing unit for measuring the floor height by the detected floor position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car during the floor height learning operation.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easured floor height, and the drive control unit travels the distance from the lower floor to the next adjacent floor at a constant speed at a second speed lower than the first speed, which is the rated speed. The measurement processing unit includes an error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n error between the floor height of the lowest floor, the floor height measured by driving the car at the second speed, and the floor height measured by running at the first spe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a correction unit for correcting the error when re-learning at the first speed.

본 발명에서는, 종단층, 특히, 최하층의 착상 플레이트를 엘리베이터 칸이 일정 속도로 통과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로프의 신축의 영향을 받지 않고 층고를 학습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learn the floor height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rope, by controlling the elevator plate to pass through at a constant speed through the implantation plate of the terminal layer, especially the lowest lay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제어 처리 장치의 제어에 의한 층고 학습시의 엘리베이터 칸 주행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제어 처리 장치의 제어에 의한 층고 학습시의 최하층의 층고 계측을 위한 엘리베이터 칸 주행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계측 처리부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제어 처리 장치의 제어에 의한 층고 학습시의 엘리베이터 칸 주행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제어 처리 장치의 제어에 의한 층고 학습시의 엘리베이터 칸 주행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제어 처리 장치를 컴퓨터로 구성했을 경우의 일례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driving control of the cage|basket|car at the time of floor height learning by control of the control processing apparatus i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elevator car traveling control for measuring the floor height of the lowest floor at the time of floor height learning by control of the control processing apparatus i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easurement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driving control of the cage|basket|car at the time of floor height learning by control of the control processing apparatus in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elevato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control of the driving of a cage|basket|car at the time of floor height learning by control of the control processing apparatus in Embodiment 3 of this invention.
9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contro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with a compute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각 실시 형태에 따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은 동일 부호로 나타내며, 또한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 contro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In addition, in each embodiment, the same or equivalent part i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are omitted.

실시 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엘리베이터에서는, 주 로프(2)의 일단에 승객이 타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1), 타단에 균형추(3)가 설치되어 있다. 주 로프(2)는 권상기(4)에 걸리며, 권상기(4)에 의해 주 로프(2)를 감아 올리거나 또는 내림으로써, 엘리베이터 칸(1)과 균형추(3)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승강시킨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elevato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levator, an elevator car 1 for passengers to ride on one end of the main rope 2 and a counterweight 3 are provided on the other end. The main rope 2 is caught by the hoisting machine 4, and the main car 2 is raised or lowered by the hoisting machine 4 to lift and lower the elevator car 1 and the counterweight 3 in opposite directions.

엘리베이터 칸(1)에는 거버너(5)가 마련되어 있다. 거버너(5)는, 일부에 엘리베이터 칸(1)이 고정된 루프 모양의 거버너 로프(5a)와, 거버너 로프(5a)가 걸린 상하의 거버너 시브(sheave)(5b)로 구성된다. 거버너(5)에는, 예를 들면, 인코더 등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수를 검지하는 회전수 검지기(6)가 마련되어, 회전수 NRO가 출력된다. 회전수 검지기(6)는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권상기(4)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회전수 검지기(6)는 본원의 다른 도면에서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The governor 5 is provided in the car 1. The governor 5 is composed of a loop-shaped governor rope 5a in which a car 1 is fixed to a part, and an upper and lower governor sheave 5b on which the governor rope 5a is applied. The governor 5 is provided with a rotation speed detector 6 that detects a rotation speed made of, for example, an encoder or the like, and the rotation speed NRO is output. The rotation speed detector 6 may be provided in the traction machine 4 as indicated by a broken line. In addition, the rotation speed detector 6 is not shown in other drawings of the present application.

승강로 내부에는, 각 층상의 착상 존에 따른 위치에, 착상 플레이트(7)가 마련되어 있다. 착상 플레이트(7)는, 각 층상에 있어서, 도어의 문개폐를 허가하는 존인 도어 존, 리레벨을 허가하는 리레벨 존 등과 같이, 복수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Inside the hoistway, an implantation plate 7 is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implantation zones on each floor. The implantation plate 7 may be provided in multiple places on each floor, such as a door zone which is a zone that allows door opening and closing, a relevel zone that allows releveling, and the like.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8)는, 착상 플레이트(7)를 검출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칸(1)에 설치된다. 착상 플레이트(7)가, 도어 존, 리레벨을 허가하는 리레벨 존 등, 복수 종류 설치되는 경우는, 종류마다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8)가 설치된다.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8)가 장착된 엘리베이터 칸(1)이 이동하여 착상 플레이트(7)와 동등한 높이의 위치로 와서,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8)가 착상 플레이트(7)와 대향함으로써,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8)가 착상 플레이트(7)를 검출하여 착상 플레이트 검지 신호 PDS를 출력한다.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착상 플레이트(7)의 엘리베이터 칸(1)의 진행 방향에 따른 양단 중 한쪽을 검출하고, 이것이 회전수 검지기(6)로부터의 회전수 NRO를 카운트한 계측 지점이 된다.The implantation plate detector 8 is installed in the car 1 to detect the implantation plate 7. When the implantation plate 7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types, such as a door zone, a relevel zone allowing releveling, an implantation plate detector 8 is provided for each type. The elevator car 1 with the implantation plate detector 8 moves to come to a position equivalent to the implantation plate 7, and the implantation plate detector 8 faces the implantation plate 7, so that the implantation plate detector ( 8) detects the implantation plate 7 and outputs an implantation plate detection signal PDS. The implant plate detector 8 detects one of both ends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ar 1 of each implant plate 7, as described later, and counts the number of revolutions NRO from the revolution detector 6 It becomes one measurement point.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제어 처리 장치(9)는, 계측 처리부(10), 기억부(11), 구동 제어부(12)를 구비한다.The control processing device 9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asurement processing unit 10, a storage unit 11, and a driving control unit 12.

제어 처리 장치(9)는, 예를 들면, 도 9에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컴퓨터(100)로 구성할 수 있다. 입출력은 인터페이스(101)를 통해 행해진다. 메모리(103)에는 후술하는 제어를 위한 기능 블록 등으로 나타내어진 각종 기능의 프로그램 및 처리에 필요한 정보, 데이터 등이 미리 격납되어 있고, 추가로 처리 결과 등이 격납된다. 프로세서(102)는 인터페이스(101)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대해서, 메모리(103)에 격납된 각종 프로그램, 정보, 데이터에 따라 연산 처리를 행하여, 처리 결과를 인터페이스(101)를 통해 출력하거나, 필요한 처리 과정, 처리 결과를 메모리(103)에 기억해둔다. 예를 들면, 도 1의 계측 처리부(10)와 구동 제어부(12)의 후술하는 블록으로 나타내지는 각종 기능은 프로그램으로서 메모리(103)에 격납된다. 그리고, 기억부(11)는 메모리(103)에 상당한다.The control processing device 9 can be configured with, for example, a computer 100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in FIG. 9. Input/output is performed through the interface 101. In the memory 103, information and data necessary for programs and processes of various functions represented by function blocks for control described later, and the like are stored in advance, and further processing results and the like are stored. The processor 102 performs arithmetic processing on signals input through the interface 101 according to various programs, information, and data stored in the memory 103 to output processing results through the interface 101, or necessary The processing process and processing results are stored in the memory 103. For example, various functions represented by blocks described later of the measurement processing unit 10 and the drive control unit 12 in FIG. 1 are stored in the memory 103 as a program. Then, the storage unit 11 corresponds to the memory 103.

또한, 제어 처리 장치(9)는, 계측 처리부(10), 구동 제어부(12)의 후술하는 블록으로 나타내지는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1개 또는 복수의 디지털 회로로도 구성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ntrol processing device 9 can also be constituted by one or a plurality of digital circuits that perform various functions represented by blocks described later of the measurement processing unit 10 and the drive control unit 12.

계측 처리부(10)는, 구동 제어부(12)로부터의 계측 지령 DEC에 의해, 회전수 검지기(6)로부터의 회전수 NRO를 카운트하고,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8)로부터 얻어지는 착상 플레이트 검지 신호 PDS에 따라 착상 플레이트(7)로부터의 탈출 검지, 또는 착상 플레이트(7)로의 진입 검지의 타이밍에 있어서의 회전수 NRO의 카운트치를 계측한다. 그리고, 다른 층상, 예를 들면, 서로 이웃하는 층상의 착상 플레이트(7)에 관한 카운트치의 차이를 구함으로써, 층고를 산출한다.The measurement processing unit 10 counts the rotational speed NRO from the rotational speed detector 6 by the measurement command DEC from the drive control unit 12, and according to the implantation plate detection signal PDS obtained from the implantation plate detector 8 The count value of the rotational speed NRO is measured at the timing of detecting the escape from the implantation plate 7 or entering the implantation plate 7. Then,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in count values for the implanted plates 7 on different layers, for example, adjacent layers, the floor height is calculated.

계측 처리부(10)로 산출한 층고 데이터 FHD는, 기억부(11)에 기억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는 직접 관련되지 않지만, 구동 제어부(12)는, 층고 학습 이후, 정지층으로의 엘리베이터 칸(1)의 착상 제어를 행하는 경우, 기억부(11)에 기억된 층고 데이터에 기초하여, 권상기(4)에 제어 지령 COC를 출력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호출, 승강장 호출 등에서 요구된 층으로의 엘리베이터 칸(1)의 착상 제어를 행한다.The floor height data FHD calculated by the measurement processing unit 10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 In addition, although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control unit 12, based on the floor height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 when performing the floor control of the elevator car 1 to the stationary floor after learning the floor height, , By outputting the control command COC to the hoisting machine 4, the idea of controlling the car 1 to the floor requested by the car call, the platform call, etc. is performed.

구동 제어부(12)는, 층고 학습시 엘리베이터 칸(1)에 층고 학습 운전을 행하게 하고, 엘리베이터 칸(1)을 정격 속도인 제1 속도 V1로, 최하층으로부터 최상층까지의 사이를 주행시킨다. 그 후, 구동 제어부(12)는, 최하층의 층고를 구하기 위해, 제1 속도 V1보다 낮은 제2 속도 V2로 엘리베이터 칸(1)을 주행시킨다. 제2 속도 V2는, 도 3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최하층에서부터 속도 0부터 제2 속도 V2까지 가속하고, 속도가 제2 속도 V2가 된 시점부터 엘리베이터 칸(1)이 최하층의 착상 플레이트(7)를 빠져나갈 때까지의 시간, 보다 상세하게는, 속도가 제2 속도 V2가 된 시점부터 엘리베이터 칸(1)의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8)가 최하층의 착상 플레이트(7)의 단부를 통과할 때까지의 시간 길이가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 길이가 확보되도록 결정된다.The driving control unit 12 causes the elevator car 1 to perform a floor-level learning operation when learning the floor height, and moves the car 1 to a first speed V1 at a rated speed, from the lowest floor to the top floor. Thereafter, the drive control unit 12 drives the car 1 at a second speed V2 lower than the first speed V1 in order to obtain the floor height of the lowest floor. As described later in FIG. 3, the second speed V2 accelerates from speed 0 to second speed V2 from the lowest floor, and the car 1 is the lowermost floor plate 7 from the time when the speed becomes the second speed V2. Time until exiting, and more specifically, from the time when the speed reaches the second speed V2 until the implant plate detector 8 of the car 1 passes through the end of the implant plate 7 of the lowest floor. The time length of is determined so that a preset time length is secured.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 길이는, 엘리베이터 칸(1), 주 로프(2), 균형추(3), 권상기(4), 거버너(5)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기계 기구의 기계 사양으로부터, 고유 진동수 및 감쇠 계수 등을 구하여, 진동이 충분히 감쇠하는 시간 길이보다 큰 값으로 한다. 기계 사양의 불균형도 고려하여, 구한 감쇠하는 시간 길이에 대해서 충분히 여유를 포함하여 결정하면 좋다.The preset length of time is a natural frequency and a damping coefficient from the mechanical specifications of the elevator's mechanical mechanism including the car 1, the main rope 2, the counterweight 3, the hoisting machine 4, and the governor 5 The value is greater than the length of time during which the vibration is sufficiently attenuated. The imbalance of mechanical specifications is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it is sufficient to determine the length of time to attenuate by including sufficient margi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제어 처리 장치(9)의 제어에 의한 층고 학습시의 엘리베이터 칸 주행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엘리베이터의 모식도, (b)는 계측 지점, (c)는 엘리베이터 칸(1)의 속도, (d)는 거버너 로프(5a)의 신축량, (e)는 주 로프(2)의 신축량을 나타낸다. 세로축은 (a)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를 나타낸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trol of traveling in a car during floor height learning by control of the control processing device 9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elevator, (b) is a measurement point, (c) is the speed of the car 1, (d) is the stretch amount of the governor rope 5a, (e) is the main rope (2) ).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position of the car corresponding to (a).

구동 제어부(12)는 엘리베이터 칸(1)을 제1 속도 V1로, 최하층으로부터 최상층까지의 사이를 주행시킨다. 층고 학습에서는, 도 2의 (b)에 검은 원으로 나타낸 착상 플레이트(7)의 단부를 계측한다.The drive control unit 12 drives the car 1 at a first speed V1 and travels from the lowest floor to the upper floor. In the floor height learning, the end portion of the implantation plate 7 indicated by a black circle in Fig. 2B is measured.

고양정(揚程)의 경우, 최하층으로부터의 가속시에는, 최하층의 착상 플레이트(7)의 상단부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1)이 가속중이기 때문에, 도 2의 (d),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버너 로프(5a) 또는 주 로프(2)의 신축량이 커진다. 따라서, 계측 처리부(10)에 있어서의, 착상 플레이트(7)의 상단으로부터의 탈출 검지시의 회전수 카운트치에, 신축에 의한 오차가 중첩되고, 이것이 층고 학습에 있어서의 오차가 된다.In the case of high lift, when accelerating from the lowermost floor, as the car 1 is accelerating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most implanted plate 7, as shown in Figs. 2(d) and (e). The stretch amount of the governor rope 5a or the main rope 2 becomes large. Therefore, the error by expansion and contraction overlaps with the rotation count count value at the time of the detection of the escape from the upper end of the implantation plate 7 in the measurement processing part 10, and this becomes an error in height learning.

또한, 거버너 로프(5a) 또는 주 로프(2)의 로프 신축의 크기는 가감속도의 크기에 비례한다. 가속도와 감속도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 최하층으로의 엘리베이터 칸(1)의 감속시에는, 거버너 로프(5a) 또는 주 로프(2)의 로프 신축의 크기는 동일하지만, 로프 신축 방향이 바뀐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rope stretching of the governor rope 5a or the main rope 2 is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acceleration/deceleration. When the magnitudes of th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are the same, when deceleration of the car 1 to the lowest floor, the rop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governor rope 5a or the main rope 2 is the same, but the rope stretching direction is changed.

상단층의 경우는, 기계 시스템이 고강성이 되어, 로프의 신축량은 작아지며, 층고 학습으로서 중첩되는 오차는 무시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In the case of the upper layer, the mechanical system becomes high rigidity, the amount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rope becomes small, and the overlapping error is often negligible as the height learnin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제어 처리 장치(9)의 제어에 의한 층고 학습시의 최하층의 층고 계측을 위한 엘리베이터 칸 주행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동 제어부(12)는, 최하층의 층고에 대해, 제1 속도 V1보다 낮은 제2 속도 V2로 엘리베이터 칸(1)을 주행시킨다. 도 3의 (a)는 엘리베이터의 모식도, (b)는 계측 지점, (c)는 엘리베이터 칸(1)의 속도, (d)는 거버너 로프(5a)의 신축량, (e)는 주 로프(2)의 신축량을 나타낸다. 세로축은 (a)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를 나타내다.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riving control of a car for measuring the floor height of the lowest floor during floor height learning by control of the control processing device 9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control unit 12 drives the car 1 at a second speed V2 lower than the first speed V1 with respect to the floor height of the lowest floor. 3(a)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elevator, (b) is a measurement point, (c) is the speed of the car 1, (d) is the stretch amount of the governor rope 5a, and (e) is the main rope 2 ).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position of the car corresponding to (a).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속도 V2에서는 가속 시간이 짧기 때문에, 가속시의 (d)의 거버너 로프(5a)의 신축량, (e)의 주 로프(2)의 신축량은 크지만, (b)에 검은 원으로 나타낸 최하층의 착상 플레이트(7)의 계측 지점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1)이 일정 속도로 주행하고 있다. 또한, 가속 종료 후 속도가 제2 속도 V2가 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1)의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8)가 착상 플레이트(7)의 상단으로부터 탈출할 때까지의 도 3에 엘리베이터 칸 위치에 대응하여 나타낸 시간 길이 T가, 설정 시간 길이가 확보되고 있으며, 가속도 변화시 발생하는 진동도 충분히 감쇠한다. 따라서, 계측 처리부(10)에 있어서의, 착상 플레이트(7)의 위치 계측시의 회전수 카운트치에, 주 로프(2) 또는 거버너 로프(5a)의 신축에 의한 오차는 중첩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3, since the acceleration time is short at the second speed V2, the amount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governor rope 5a in (d) during acceleration and the amount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main rope 2 in (e) are large, but (b At the measurement point of the lowermost implanted plate 7 indicated by a black circle in ), the car 1 is traveling at a constant speed. In addition, after the acceleration has reached the second speed V2 after completion of the acceleration, it is shown in correspondence to the position of the car in FIG. 3 until the implant plate detector 8 of the car 1 escapes from the top of the car plate 7 The time length T is secured for a set time length, and the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acceleration is changed is attenuated sufficiently. Therefore, the error caused by the expansion/contraction of the main rope 2 or the governor rope 5a does not overlap with the rotation count count value at the time of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implant plate 7 in the measurement processing unit 10.

도 3에 나타낸 주행에서는 최하층과 다음의 인접층에서의 계측을 하고 있다.In the run shown in Fig. 3, measurements are made at the lowest layer and the next adjacent layer.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계측 처리부(10)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계측 처리부(10)에는, 층고 계측부(10a)와, 오차 연산부(10b)와, 보정부(10d)를 구비한다. 또한, 기억부(11)는 제어 처리 장치(9) 내에서 겸용하는 것으로 나타냈지만, 예를 들면, 기억부(11) 내에 계측 처리부(10)의 전용 기억 영역을 설정하거나, 또는 별도의 메모리를 마련해도 좋다.4 shows an example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easurement processing unit 10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surement processing unit 10 is provided with a floor height measurement unit 10a, an error calculation unit 10b, and a correction unit 10d. Further, although the storage unit 11 is shown as being used in the control processing apparatus 9, for example, a dedicated storage area of the measurement processing unit 10 is set in the storage unit 11, or a separate memory is set. You may prepare.

층고 계측부(10a)는, 구동 제어부(12)로부터의 계측 지령 DEC에 따라, 회전수 검지기(6)로부터의 회전수 NRO를 카운트하고, 엘리베이터 칸(1), 보다 상세하게는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8)의 착상 플레이트(7)의 엘리베이터 칸(1)의 진행 방향의 선 측단으로부터의 탈출 검지, 또는 착상 플레이트(7)로의 엘리베이터 칸(1)의 진행 방향 전 측단으로의 진입 검지의 타이밍에 있어서의 회전수의 카운트치를 계측한다. 이어서, 최하층과 인접층의 카운트치의 차이를 구함으로써, 최하층의 층고를 산출한다. 여기에서는, 제1 속도 V1에서의 최하층의 층고 LFH1, 및 제2 속도 V2에서의 최하층의 층고 LFH2를 양쪽 모두, 층고 데이터 LFHD로서 출력한다.The floor height measurement part 10a counts the rotation speed NRO from the rotation speed detector 6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command DEC from the drive control part 12, and the car 1 and more specifically, the implantation plate detector 8 ) At the timing of the detection of the exit from the front end of the car 1 of the implanted plate 7 from the front end, or the detection of the entrance of the car 1 to the front end of the car 1 Count the number of revolutions. Subsequently,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unt values of the bottom layer and the adjacent layer, the floor height of the bottom layer is calculated. Here, the floor height LFH1 of the lowest layer at the first speed V1 and the floor height LFH2 of the lowest layer at the second speed V2 are both output as the floor height data LFHD.

오차 연산부(10b)는, 층고 계측부(10a)로부터의 연산 지령 ACO에 따라, 마찬가지로 층고 계측부(10a)로부터 출력되는 제1 속도 V1에서의 최하층의 층고 LFH1과, 제2 속도에서의 최하층의 층고 LFH2의 차이를 보정량(신축량)(ΔLFH = LFH2-LFH1)로서 산출하고, 기억부(11)에 기억한다.The error calculating section 10b,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command ACO from the floor measuring section 10a, similarly outputs the floor height LFH1 of the lowest layer at the first speed V1 and the floor height LFH2 of the lowest layer at the second speed output from the floor height measuring section 10a. The difference between is calculated as a correction amount (extension amount) (ΔLFH = LFH2-LFH1)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

보정부(10d)는, 층고 계측부(10a)로부터의 보정 지령 CCO에 따라, 기억부(11)에 기억된 보정량 ΔLFH를 이용하여, 보정 지령 CCO에 포함된 제1 속도 V1에서 구한 최하층의 층고 LFH1을 보정량 ΔLFH에 의해 보정(LFH1-ΔLFH)한다.The correction unit 10d uses the correction amount ΔLFH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 in accordance with the correction command CCO from the floor height measurement unit 10a to obtain the lowest floor height LFH1 obtained at the first speed V1 included in the correction command CCO. Is corrected (LFH1-ΔLFH) by the correction amount ΔLFH.

층고 계측부(10a)는, 층고 데이터 중 최하층의 층고를 보정된 층고로 바꾸어 층고 데이터 FHD로서 기억부(11)에 기억한다.The floor height measuring unit 10a converts the floor height of the lowest layer among the floor height data to a corrected floor height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11 as the floor height data FHD.

이상의 구성에 따른 효과를 정리한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re summarized.

층고 학습시, 구동 제어부(12)는, 엘리베이터 칸(1)을 최하층으로부터 인접층까지의 거리를 제1 속도 V1보다 낮은 제2 속도 V2로 정속 주행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로 인해, 제2 속도 V2로 주행하는 것은 최하층의 층고를 위한 것뿐이기 때문에, 로프 신축이 큰 하층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할 뿐 아니라, 학습 시간의 단축이 가능해진다.When learning the floor height, the driving control unit 12 controls the car 1 to travel at a constant speed at a second speed V2 lower than the first speed V1 from the lowest floor to the adjacent floor. For this reason, since the driving at the second speed V2 is only for the floor height of the lowest floor, it is possible to make the rope expansion and contraction difficult to be affected by the large lower floor, and to shorten the learning time.

또한, 제2 속도 V2는, 가속하여 속도가 제2 속도가 된 시점부터 엘리베이터 칸의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8)가 착상 플레이트(7)를 빠져 나갈 때까지의 시간 길이가 설정 시간 길이가 확보되도록 결정한다.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 칸(1)이 착상 플레이트(7)를 빠져 나가기까지, 가속 종료시의 로프 신축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어, 층고 학습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peed V2 is determined such that the set time length is secured from the time when the speed is accelerated to the second speed and the implantation plate detector 8 of the car exits the implantation plate 7. do.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attenuate the vibration of the car by the rope stretching at the end of the acceleration until the car 1 exits the implantation plate 7, and the accuracy of floor height learning can be improved.

계측 처리부(10)는, 제1 속도 V1에서 재학습할 때, 오차를 보정하는 보정부(10d)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보정량을 연산하여 기억해 둠으로써, 조정 후의 층고에 대해서는, 제1 속도 V1로의 주행만을 행하면 되며, 엘리베이터 칸을 최하층의 층고 보정을 위해 제2 속도 V2로 주행시킬 필요가 없어진다.The measurement processing unit 10 includes a correction unit 10d that corrects errors when re-learning at the first speed V1. For this reason, by calculating and storing the correction amount, it is only necessary to run at the first speed V1 for the adjusted height, and it is no longer necessary to run the car at the second speed V2 for the floor height correction at the lowest level.

실시 형태 2.Embodiment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elevato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계측 처리부(10aa)는, 구동 제어부(12aa)로부터의 계측 지령 DEC에 의해, 회전수 검지기(6)의 회전수 NRO를 카운트하고, 엘리베이터 칸(1)의 착상 플레이트(7)로부터의 탈출 검지, 또는 착상 플레이트(7)로의 진입 검지의 타이밍에 있어서의 회전수의 카운트치를 계측하여 층고를 산출하며, 기억부(11)에 기억한다. 또한, 계측 처리부(10aa)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실시 형태 1의 도 4로 나타낸 것과 같지만, 오차 연산부(10b), 보정부(10d), 기억부(11)는 사용하지 않는다.The measurement processing unit 10aa counts the rotational speed NRO of the rotational speed detector 6 by the measurement command DEC from the drive control unit 12aa, and detects the escape from the implantation plate 7 of the car 1, Alternatively, the count value of the number of revolutions at the timing of detection of entry into the implantation plate 7 is measured, and the floor height is calculat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 Incidentally,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easurement processing section 10aa 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of Embodiment 1, but the error calculation section 10b, correction section 10d, and storage section 11 are not used.

구동 제어부(12aa)는, 먼저 최하층을, 상술한 정격 속도인 제1 속도 V1보다 낮은 제2 속도 V2까지 가속하여 엘리베이터 칸(1)을 주행시킨다. 그 후, 착상 플레이트(7)가 없는 곳, 즉 엘리베이터 칸(1)의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8)가 착상 플레이트(7)와 대향하지 않는 곳에서 엘리베이터 칸(1)을 재가속시켜, 최상층까지는 제1 속도 V1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1)을 주행시킨다. 제2 속도는, 가속하여 속도가 제2 속도가 되는 시점부터 엘리베이터 칸(1)의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8)가 착상 플레이트(7)의 상단으로부터 탈출할 때까지의 시간 길이가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 길이가 확보되도록 결정된다. 바람직한 설정 시간 길이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와 같다.The driving control unit 12aa first accelerates the lowermost floor to the second speed V2 lower than the first speed V1, which is the rated speed described above, to drive the car 1. Thereafter, the elevator car 1 is re-accelerated in a place where there is no implantation plate 7, that is, where the implantation plate detector 8 of the elevator car 1 does not face the implantation plate 7, and is removed to the top floor. The elevator car 1 is driven by one speed V1. The second speed is a preset time length from the time when the speed is accelerated to the second speed and the time from the top of the top plate 7 to the top plate detector 8 of the car 1 is set. It is decided to be secured. The preferred set time length is the same as in the above embodiment.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제어 처리 장치(9)의 제어에 의한 층고 학습시의 엘리베이터 칸 주행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 내지 (e)는 실시 형태 1의 도 2, 3과 각각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trol of traveling in a car during floor height learning by control of the control processing device 9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e) show the same ones as in FIGS. 2 and 3 of the first embodiment.

구동 제어부(12aa)는, 최하층에 대해, 제1 속도 V1보다 낮은 제2 속도 V2로 엘리베이터 칸(1)을 주행시킨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속도 V2에서는 가속 시간이 짧기 때문에, 도 6의 (b)에 검은 원으로 나타낸 최하층의 착상 플레이트(7)의 계측 지점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1)이 일정 속도로 주행한다. 또한, 가속 종료 후 속도가 제2 속도 V2가 된 시점부터 엘리베이터 칸(1)의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8)가 착상 플레이트(7)의 상단으로부터 탈출할 때까지의 시간 길이가 설정 시간 길이가 확보되고 있어, 가속도 변화시 발생하는 진동도 충분히 감쇠한다.The driving control unit 12aa causes the car 1 to run at a second speed V2 lower than the first speed V1 with respect to the lowermost floor. As shown in Fig. 6, since the acceleration time is short at the second speed V2, the car 1 is at a constant speed at the measurement point of the lowermost implanted plate 7 indicated by the black circle in Fig. 6B. To the road. In addition, the set time length is secured from the time when the speed reaches the second speed V2 after the completion of the acceleration until the implant plate detector 8 of the car 1 escapes from the top of the implant plate 7 Therefore, the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acceleration is changed is attenuated sufficiently.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8)가 최하층의 착상 플레이트(7) 탈출 후, 엘리베이터 칸(1)을 제1 속도 V1까지 재가속한다. 최하층의 다음의 인접 층상까지는 충분히 거리가 떨어져 있어, 도 6의 (b)에 검은 원으로 나타낸 최하층의 다음의 층상에 있어서의 착상 플레이트(7)의 계측 지점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1)은 제1 속도 V1의 일정 속도로 주행한다.After the implantation plate detector 8 escapes the implantation plate 7 of the lowest layer, the car 1 is reaccelerated to the first speed V1. The distance from the lowermost floor to the next adjacent floor is sufficiently far away, and at the measurement point of the implantation plate 7 on the lower floor next to the lower floor indicated by a black circle in Fig. 6B, the car 1 It runs at a constant speed of 1 speed V1.

따라서, 계측 처리부(10aa)에 있어서의, 착상 플레이트(7)의 위치 계측시의 회전수 카운트치에, 주 로프(2) 또는 거버너 로프(5a)의 신축에 의한 오차는 중첩되지 않는다.Therefore, the error by expansion/contraction of the main rope 2 or the governor rope 5a does not overlap with the rotation count count at the time of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implant plate 7 in the measurement processing unit 10aa.

상층의 경우는, 기계 시스템이 고강성이 되기 때문에, 로프의 신축량은 작아져, 층고 학습으로서 중첩되는 오차는 무시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여기에서는, 엘리베이터 칸(1)은 최상층 측에서는 착상 플레이트(7)를, 특히, 일정 속도로 통과시키지 않는다.In the case of the upper layer, since the mechanical system becomes highly rigid, the amount of stretching of the rope becomes small, and the overlapping error is often negligible as the height learning. Therefore, here, the elevator car 1 does not pass the implantation plate 7 at the top floor side, especially at a constant speed.

이상의 구성에 따른 효과를 정리한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re summarized.

층고 학습시, 구동 제어부(12aa)는, 엘리베이터 칸(1)을 최하층을 제1 속도 V1보다 낮은 제2 속도 V2에서 정속 주행시킨 후, 엘리베이터 칸(1)의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8)가 착상 플레이트(7)와 대향하지 않는 곳에서 엘리베이터 칸(1)을 재가속시켜, 최상층까지는 제1 속도 V1에 의해 주행시킨다. 이로 인해, 최하층의 층고를 개별로 학습할 필요가 없어진다.When learning the floor height, the driving control unit 12aa moves the lowermost floor of the elevator car 1 at a second speed V2 lower than the first speed V1, and then the implanted plate detector 8 of the car 1 is implanted plate. The car 1 is re-accelerated in a place not facing (7), and is driven to the top floor by the first speed V1. This eliminates the need to individually study the lowest floor height.

또한, 제2 속도 V2는, 가속 종료 후 속도가 제2 속도 V2가 된 시점부터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8)가 착상 플레이트(7)의 상단을 이탈할 때까지의 시간 길이가 설정 시간 길이가 확보되도록 결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 칸(1)이 착상 플레이트(7)를 빠져 나가기까지, 가속 종료시의 거버너 로프 또는 주 로프의 신축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어, 층고 학습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peed V2 is such that the time length from the point when the speed becomes the second speed V2 after the completion of the acceleration until the implantation plate detector 8 leaves the upper end of the implantation plate 7 is secured. It is decided. For this reason, the vibration of the cage|basket|car by the extension of the governor rope or the main rope at the end of acceleration can be attenuated until the cage|basket|car 1 exits the implantation plate 7, and the accuracy of floor height learning can be improved.

실시 형태 3.Embodiment 3.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elevato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계측 처리부(10bb)는, 실시 형태 2의 도 5의 계측 처리부(10aa)와 동일한 것이다.The measurement processing unit 10bb is the same as the measurement processing unit 10aa in FIG. 5 of the second embodiment.

구동 제어부(12bb)는, 착상 플레이트(7)가 없는, 즉, 엘리베이터 칸(1)의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8)가 착상 플레이트(7)와 대향하지 않는 구간마다, 정격 속도인 제1 속도 V1까지, 단계적으로 엘리베이터 칸(1)을 재가속시킨다. 또한, 가속 구간마다의 가속 후,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8)의 착상 플레이트(7)로부터의 탈출 또는 진입까지의 시간 길이가 설정 시간 길이가 확보되어 있어, 가속도 변화시 발생하는 진동도 충분히 감쇠하도록 제어한다. 바람직한 설정 시간 길이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와 같다.The driving control unit 12bb is provided to the first speed V1, which is the rated speed, for each section in which the implantation plate detector 8 of the elevator car 1 does not face the implantation plate 7 without the implantation plate 7. , Re-accelerate the car 1 step by step. In addition, after acceleration for each acceleration section, the time length from the implant plate 7 to the exit or entry of the implant plate detector 8 is secured so that the set time length is secured, so that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acceleration is changed is sufficiently damped. do. The preferred set time length is the same as in the above embodiment.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제어 처리 장치(9)의 제어에 의한 층고 학습시의 엘리베이터 칸 주행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riving control of a car during floor height learning by control of the control processing device 9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동 제어부(12bb)는, 최하층에 대해, 제1 속도 V1보다 낮은 제2 속도 V2로 주행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속도 V2에서는 가속 시간이 짧기 때문에, 도 8의 (b)에 검은 원으로 나타낸 최하층의 착상 플레이트(7)의 계측 지점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1)이 일정 속도로 주행한다. 또한, 가속 종료 후 속도가 제2 속도가 된 시점부터 엘리베이터 칸(1)의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8)가 착상 플레이트(7)의 상단으로부터 탈출할 때까지의 시간 길이 Ta가 설정 시간 길이가 확보되어 있어 가속도 변화시 발생하는 진동도 충분히 감쇠한다.The driving control unit 12bb travels to the lowermost layer at a second speed V2 that is lower than the first speed V1. As shown in Fig. 8, since the acceleration time is short at the second speed V2, the car 1 is at a constant speed at the measurement point of the lowermost implanted plate 7 shown by the black circle in Fig. 8B. To the road. In addition, the time length Ta from the time when the speed becomes the second spe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acceleration until the implantation plate detector 8 of the car 1 escapes from the top of the implantation plate 7 is secured with a set time length Ta Therefore, the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acceleration changes is sufficiently damped.

최하층의 착상 플레이트(7) 탈출 후, 엘리베이터 칸(1)을 제1 속도 V1보다 낮고 제2 속도 V2보다 높은 제3 속도 V3(V1>V3>V2)까지 재가속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속도 V3까지의 가속 시간은 짧다. 추가로, 가속 종료 후 속도가 제3 속도 V3가 된 시점부터 엘리베이터 칸(1)이 인접층의 착상 플레이트(7)에 진입할 때까지의 시간 길이 Tb가 설정 시간 길이가 확보되어 있어, 가속도 변화시 발생하는 진동도 충분히 감쇠한다. 그 때문에, 도 8의 (b)에 검은 원으로 나타낸 최하층의 다음 인접층에 있어서의 착상 플레이트(7)의 계측 지점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1)은 일정 속도로 주행한다.After escaping the bottom-end implantation plate 7, the car 1 is re-accelerated to a third speed V3 (V1>V3>V2) lower than the first speed V1 and higher than the second speed V2. As shown in Fig. 8, the acceleration time to the third speed V3 is short. In addition, the time length Tb from the time when the speed reaches the third speed V3 after the end of the acceleration until the car 1 enters the implantation plate 7 of the adjacent floor is secured, and the set time length is secured, thus changing the acceleration. The vibration generated at the time is also sufficiently damped. Therefore, in the measurement point of the implantation plate 7 in the next adjacent layer of the lowermost layer indicated by a black circle in Fig. 8B, the car 1 runs at a constant speed.

따라서, 계측 처리부(10bb)에 있어서의, 착상 플레이트(7)의 위치 계측시의 회전수 카운트치에, 주 로프(2) 또는 거버너 로프(5a)의 신축에 의한 오차는 중첩 되지 않는다. 이후에는 착상 플레이트(7)가 없는 구간마다, 제1 속도 V1까지, 단계적으로 재가속을 실시하여, 마찬가지로 오차는 중첩되지 않는다.Therefore, the error by expansion/contraction of the main rope 2 or the governor rope 5a does not overlap with the rotation count count at the time of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implant plate 7 in the measurement processing unit 10bb. Subsequently, the re-acceleration is carried out step by step, up to the first speed V1, for each section without the implantation plate 7, so that the errors do not overlap.

상층의 경우는, 기계 시스템이 고강성이 되기 때문에, 로프의 신축량은 작아져, 층고 학습으로서 중첩되는 오차는 무시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여기에서는, 최상층 측은 착상 플레이트(7)를 일정 속도로 통과하지 않는다.In the case of the upper layer, since the mechanical system becomes highly rigid, the amount of stretching of the rope becomes small, and the overlapping error is often negligible as the height learning. Therefore, here, the uppermost layer side does not pass through the implantation plate 7 at a constant speed.

이상의 구성에 따른 효과를 정리한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re summarized.

층고 학습시, 구동 제어부(12bb)는, 착상 플레이트(7)가 없는 구간마다, 제1 속도 V1까지, 단계적으로 재가속을 행한다. 이로 인해, 예를 들면, 2문 구성의 엘리베이터 칸에서 층고가 짧아지는 경우에도, 가속에 의한 로프 신축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하는 것과 아울러, 학습 시간의 추가적인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During the floor height learning, the drive control unit 12bb re-accelerates step by step up to the first speed V1 for each section without the implantation plate 7. For this reason, even when the floor height is shortened in, for example, a two-door elevator car, it is difficult to be influenced by rope expansion and contraction due to acceleration, and further reduction in learning time can be achieved.

또한, 착상 플레이트(7)가 없는 구간마다의 가속 후, 엘리베이터 칸(1)의 착상 플레이트(7)의 탈출 또는 진입까지의 시간 길이가 설정 시간 길이가 확보되도록 제어한다.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 칸(1)이 착상 플레이트(7)를 빠져 나가기까지, 가속 종료시의 로프 신축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어, 층고 학습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fter acceleration for each section without the implantation plate 7, the length of time until the exit or entry of the implantation plate 7 of the car 1 is controlled such that a set time length is secured.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attenuate the vibration of the car by the rope stretching at the end of the acceleration until the car 1 exits the implantation plate 7, and the accuracy of floor height learning can be improved.

또한, 착상 플레이트(7) 및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8)는, 승강로 내의 층상 위치에 마련된 착상 플레이트(7)를 엘리베이터 칸(1)에 마련한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8)로 검출하여 층상 위치를 검출하는 층상 위치 검출부(7, 8)를 구성한다.In addition, the implantation plate 7 and the implantation plate detector 8 detect a lamellar plate 7 provided at a laminar position in a hoistway with the implantation plate detector 8 provided in the car 1 and detect a lamellar position. The position detection units 7 and 8 are configured.

또한, 회전수 검지기(6)는, 거버너 로프(5a) 또는 주 로프(2)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거리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이동거리 검출부(6)를 구성한다.In addition, the rotational speed detector 6 constitutes a moving distance detecting unit 6 for detect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ving car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governor rope 5a or the main rope 2.

그리고, 계측 처리부(10)가, 층고 학습 운전시, 검출된 층상 위치와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거리에 의해 층고를 계측한다.Then, the measurement processing unit 10 measures the floor height by the detected floor position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car during the floor height learning operation.

또한, 회전수 검지기(6)는 권상기(4)에 장착한 경우에도, 도 2, 도 3, 도 6,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 로프(2)의 신축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2, 3의 적용에 의해, 층고 학습의 고정밀화를 마찬가지로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rotational speed detector 6 is mounted on the hoisting machine 4, as shown in Figs. 2, 3, 6, and 8, there is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main rope 2, s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1, 2, and 3, it is possible to similarly expect high-precision layer height learning.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층고 학습시 엘리베이터 칸(1)을 최하층으로부터 최상층으로 상승시키고 있었으나, 엘리베이터 칸(1)을 최상층으로부터 최하층으로 하강시키는 운전을 행해도 마찬가지로 실시 가능하다.In addition,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elevator car 1 was raised from the lowest floor to the uppermost floor during floor height learning, but it is also possible to carry out the operation of lowering the elevator car 1 from the uppermost floor to the lowest floor.

[산업상의 이용의 가능성][Possibility of industrial use]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은, 로프식 엘리베이터 중 착상 제어에 층고 정보를 사용하는 엘리베이터에 폭넓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applied to elevators that use floor height information for implantation control among rope-type elevators.

Claims (10)

승강로 내의 층상 위치에 마련된 착상 플레이트를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한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로 검출하여 층상 위치를 검출하는 층상 위치 검출부와,
거버너(Governor) 로프 또는 주 로프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거리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이동거리 검출부와,
층고 학습시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층고 학습 운전을 행하는 구동 제어부와,
상기 층고 학습 운전시, 검출된 상기 층상 위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거리에 의해 층고를 계측하는 계측 처리부와,
상기 계측한 층고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최하층으로부터 다음 인접층까지의 거리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정격 속도인 제1 속도보다 낮은 제2 속도에서 일정 속도로 주행시키고,
상기 계측 처리부는,
최하층의 층고를, 엘리베이터 칸을 상기 제2 속도로 주행시켜 계측한 층고와, 상기 제1 속도로 주행시켜 계측한 층고의 오차를 구하여 상기 기억부에 기억하는 오차 연산부와,
상기 제1 속도로 재학습했을 때, 상기 오차로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A floor position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a floor position by detecting a floor plate provided at a floor position in a hoistway with a floor plate detector provided in a car;
An elevator car movement distanc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moving distance of the car based on the movement of a governor rope or a main rope,
A driving control unit that performs a floor-level learning operation on the elevator car during floor-level learning;
A measurement processing unit for measuring the floor height by the detected floor position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car during the floor height learning operation;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easured floor height,
The driving control unit moves the distance from the lowest floor to the next adjacent floor at a constant speed at a second speed lower than the first speed, which is the rated speed,
The measurement processing unit,
An error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n error between the floor height of the lowest floor and the floor height measured by driving the car at the second speed, and the floor height measured by running at the first spe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a correction unit correcting the error when re-learning at the first spe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층상 위치 검출부는, 상기 착상 플레이트의 엘리베이터 칸의 진행 방향에 따른 단부를 검출하고,
상기 제2 속도는, 엘리베이터 칸을 가속하여 제2 속도에 도달한 시점부터 상기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가 상기 착상 플레이트의 단부를 통과할 때까지의 시간 길이가 설정 시간 길이가 확보되도록 결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ayered position detection unit detects an end portion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ar of the implantation plate,
The second speed of the elevator is determined such that the length of time from the time when the second speed is reached by accelerating the elevator car until the implantation plate detector passes through the end of the implantation plate is secured. controller.
승강로 내의 층상 위치에 마련된 착상 플레이트를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한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로 검출하여 층상 위치를 검출하는 층상 위치 검출부와,
거버너 로프 또는 주 로프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거리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이동거리 검출부와,
층고 학습시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층고 학습 운전을 행하는 구동 제어부와,
상기 층고 학습 운전시, 검출된 상기 층상 위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거리에 의해 층고를 계측하는 계측 처리부와,
상기 계측한 층고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최하층으로부터 다음 인접층까지의 거리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정격 속도인 제1 속도보다 낮은 제2 속도에서 일정 속도로 주행시키고,
상기 층상 위치 검출부는, 상기 착상 플레이트의 엘리베이터 칸의 진행 방향에 따른 단부를 검출하고,
상기 제2 속도는, 엘리베이터 칸을 가속하여 제2 속도에 도달한 시점부터 상기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가 상기 착상 플레이트의 단부를 통과할 때까지의 시간 길이가 설정 시간 길이가 확보되도록 결정되어 있으며,
상기 설정 시간 길이는, 엘리베이터의 기계 기구의 기계 사양으로부터의 각종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의 가속에 의한 상기 엘리베이터의 기계 기구의 진동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로 감쇠하는 시간 길이보다 큰 시간 길이인,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A floor position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a floor position by detecting a floor plate provided at a floor position in a hoistway with a floor plate detector provided in a car;
An elevator car movement distance detecting unit that detects a moving distance of the car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governor rope or the main rope;
A driving control unit that performs a floor-level learning operation on the elevator car during floor-level learning;
A measurement processing unit for measuring the floor height by the detected floor position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car during the floor height learning operation;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easured floor height,
The driving control unit moves the distance from the lowest floor to the next adjacent floor at a constant speed at a second speed lower than the first speed, which is the rated speed,
The layered position detection unit detects an end portion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ar of the implantation plate,
The second speed is determined such that the time length from the time when the second speed is reached by accelerating the elevator car until the implantation plate detector passes through the end of the implantation plate is secured,
The set time length is a time length greater than a time length at which vibration of the machine mechanism of the elevator due to acceleration of the car is attenuated below a preset reference value, calculated based on various parameters from the machine specifications of the machine mechanism of the elevator. Phosphorus, elevator control device.
승강로 내의 층상 위치에 마련된 착상 플레이트를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한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로 검출하여 층상 위치를 검출하는 층상 위치 검출부와,
거버너 로프 또는 주 로프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거리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이동거리 검출부와,
층고 학습시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층고 학습 운전을 행하는 구동 제어부와,
상기 층고 학습 운전시, 검출된 상기 층상 위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거리에 의해 층고를 계측하는 계측 처리부와,
상기 계측한 층고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최하층의 착상 플레이트를 엘리베이터 칸의 정격 속도인 제1 속도보다 낮은 제2 속도에서 일정 속도로 주행시킨 후, 상기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가 상기 착상 플레이트를 검출하지 않는 구간에서 엘리베이터 칸을 재가속시키고, 최상층까지는 상기 제1 속도로 주행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A floor position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a floor position by detecting a floor plate provided at a floor position in a hoistway with a floor plate detector provided in a car;
An elevator car movement distance detecting unit that detects a moving distance of the car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governor rope or the main rope;
A driving control unit that performs a floor-level learning operation on the elevator car during floor-level learning;
A measurement processing unit for measuring the floor height by the detected floor position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car during the floor height learning operation;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easured floor height,
The drive control unit, after the vehicle is driven, the lowermost floor of the implanted plate at a constant speed at a second speed lower than the first speed that is the rated speed of the car, the implanted plate detector does not detect the implanted plate section In the elevator car to re-accelerate, and to the top floor to drive at the first speed, the elevator control devi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층상 위치 검출부는, 상기 착상 플레이트의 엘리베이터 칸의 진행 방향에 따른 단부를 검출하고,
상기 제2 속도는, 엘리베이터 칸을 가속하여 제2 속도에 도달한 시점부터 상기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가 상기 착상 플레이트의 단부를 통과할 때까지의 시간 길이가 설정 시간 길이가 확보되도록 결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layered position detection unit detects an end portion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ar of the implantation plate,
The second speed of the elevator is determined such that the length of time from the time when the second speed is reached by accelerating the elevator car until the implantation plate detector passes through the end of the implantation plate is secured. controller.
승강로 내의 층상 위치에 마련된 착상 플레이트를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한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로 검출하여 층상 위치를 검출하는 층상 위치 검출부와,
거버너 로프 또는 주 로프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거리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이동거리 검출부와,
층고 학습시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층고 학습 운전을 행하는 구동 제어부와,
상기 층고 학습 운전시, 검출된 상기 층상 위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거리에 의해 층고를 계측하는 계측 처리부와,
상기 계측한 층고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층고 학습 운전시 적어도 최하층의 상기 착상 플레이트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일정 속도로 통과시키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가 상기 착상 플레이트를 검출하지 않는 구간마다,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정격 속도인 제1 속도까지, 단계적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재가속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A floor position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a floor position by detecting a floor plate provided at a floor position in a hoistway with a floor plate detector provided in a car;
An elevator car movement distance detecting unit that detects a moving distance of the car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governor rope or the main rope;
A driving control unit that performs a floor-level learning operation on the elevator car during floor-level learning;
A measurement processing unit for measuring the floor height by the detected floor position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car during the floor height learning operation;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easured floor height,
The driving control unit passes the floor of the elevator car at a constant speed at least at the bottom of the floor during the height learning operation,
The driv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of the elevator to re-accelerate the car step by step, up to the first speed, the rated speed of the car, for each section where the implant plate detector does not detect the implant plat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층상 위치 검출부는, 상기 착상 플레이트의 엘리베이터 칸의 진행 방향에 따른 단부를 검출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구간마다의 가속 후, 상기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의 상기 착상 플레이트의 탈출 또는 진입까지의 시간 길이가 설정 시간 길이가 확보되도록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layered position detection unit detects an end portion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ar of the implantation plate,
The driving control unit controls the speed of an elevator car such that after acceleration for each section, the length of time from the implantation plate detector to the exit or entry of the implantation plate is secured to a set time length.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설정 시간 길이는, 엘리베이터 칸의 가속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기계 기구의 진동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로 감쇠하는 시간 길이보다 큰 시간 길이인,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7,
The set time length is a time length greater than a time length at which vibration of the mechanical mechanism of the elevator due to acceleration of the car is attenuated below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the elevator control device.
엘리베이터 칸을 층고 학습 운전을 시키며, 상기 층고 학습 운전시,
승강로 내의 층상 위치에 마련된 착상 플레이트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한 착상 플레이트 검출기로 검출하여 층상 위치를 검출하고,
거버너 로프 또는 주 로프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거리를 검출하며,
검출된 상기 층상 위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거리에 의해 층고를 계측하여 기억하고,
최하층으로부터 다음 인접층까지의 거리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정격 속도인 제1 속도보다 낮은 제2 속도에서 일정 속도로 주행시키며,
최하층의 층고를, 엘리베이터 칸을 상기 제2 속도로 주행시켜 계측한 층고와, 상기 제1 속도로 주행시켜 계측한 층고의 오차를 구하여 기억하고,
상기 제1 속도로 재학습했을 때, 상기 오차로 보정을 행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방법.
Driving the elevator car to the floor height learning driving, when driving the floor height learning,
A floor plate is detected by detecting a floor plate provided at a floor location in a hoistway with a floor plate detector provided in the car,
The moving distance of the car is detected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governor rope or the main rope.
Measure and store the floor height based on the detected floor position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car,
The distance from the lowest floor to the next adjacent floor is driven by the elevator car at a constant speed at a second speed lower than the rated first speed,
Obtain and store the error between the floor height of the lowest floor and the floor height measured by driving the car at the second speed, and the floor height measured by running at the first speed.
When re-learning at the first speed, an elevator control method is performed to correct the error.
삭제delete
KR1020187036061A 2016-07-20 2016-07-20 Elevat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KR10213519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71282 WO2018016033A1 (en) 2016-07-20 2016-07-20 Elevat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471A KR20190007471A (en) 2019-01-22
KR102135192B1 true KR102135192B1 (en) 2020-07-17

Family

ID=60992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061A KR102135192B1 (en) 2016-07-20 2016-07-20 Elevat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76558B2 (en)
KR (1) KR102135192B1 (en)
CN (1) CN109476445B (en)
WO (1) WO201801603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7352A1 (en) * 2019-04-24 2020-10-29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Slippage detection system for elevator
JP7226647B2 (en) * 2020-03-27 2023-02-21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position detector and elevator control system using it
CN113844964B (en) * 2021-10-11 2023-08-22 上海擎朗智能科技有限公司 Robot elevator control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1002288A1 (en) * 1980-02-08 1981-08-20 R Payne Monitoring and controlling lift positions
JPS56117969A (en) * 1980-02-22 1981-09-16 Hitachi Ltd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vator
JPH0717319B2 (en) 1984-03-14 1995-03-01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control device
JPH0751429B2 (en) 1988-10-12 1995-06-05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control equipment
JP3188743B2 (en) * 1992-03-02 2001-07-16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control device
EP1574467B1 (en) * 2002-11-18 2012-08-2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device
WO2005092766A1 (en) * 2004-03-26 2005-10-0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control device
KR100969047B1 (en) * 2005-03-30 2010-07-0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levator apparatus
JP5526092B2 (en) * 2011-09-06 2014-06-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ctronic elevator
CN102887403B (en) * 2012-10-19 2015-07-15 南宁科拓自动化设备有限公司 Construction hoist integrated controller
EP2990369A1 (en) * 2014-08-29 2016-03-02 Inventio AG Method and arrangement for determining elevator data based on the position of an elevator cabin
CN106794958B (en) 2014-10-22 2019-01-15 三菱电机株式会社 The control device of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76558B2 (en) 2019-09-18
KR20190007471A (en) 2019-01-22
CN109476445B (en) 2021-01-29
JPWO2018016033A1 (en) 2018-12-20
CN109476445A (en) 2019-03-15
WO2018016033A1 (en)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932B1 (en) Elevator device
KR102135192B1 (en) Elevat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CN108349686B (en)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vator system
JP5523625B2 (en) Double deck elevator
CN109071150A (en) Elevator device
CN109153537B (en) Elevator device
CN111252638B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n elevator system
KR101935189B1 (en) Diagnostic equipment of elevators
WO2017103968A1 (en) Elevator control device
CN112384462A (en) Elevator diagnosis system
JP5673368B2 (en) Double deck elevator
JP6419638B2 (en) Car elevator
JP5850801B2 (en) Elevator and spee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6015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op position of elevator
CN112512948B (en) Health diagnostic device
WO2011089691A1 (en) Elevator apparatus
CN113905967B (en) Adjustment amount calculation device and adjustment method for elevator device
CN113767059B (en) Slip detection system for elevator
JP2007230760A (en) Elevator
JP7435881B1 (en) elevator equipment
CN105984764B (en) Lift appliance
JP4530738B2 (en) elevator
JP2009208928A (en) Clearance measuring device
JP2004051311A (en) Elevator control device
EP4313829A1 (en)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rope slip in an elevat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