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093B1 -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093B1
KR102135093B1 KR1020180093691A KR20180093691A KR102135093B1 KR 102135093 B1 KR102135093 B1 KR 102135093B1 KR 1020180093691 A KR1020180093691 A KR 1020180093691A KR 20180093691 A KR20180093691 A KR 20180093691A KR 102135093 B1 KR102135093 B1 KR 102135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layer
transparent display
disposed
region
flexible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8016A (ko
Inventor
박정운
김정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3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093B1/ko
Priority to US16/537,446 priority patent/US10657852B2/en
Priority to PCT/KR2019/010079 priority patent/WO2020032688A1/ko
Publication of KR20200018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H01L27/15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 H01L27/15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two-dimensional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56Insulating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6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05Power supply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483Containers
    • H01L33/486Containers adapted for surface 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접속 영역에 배치되는 베이스 필름과, 베이스 필름 상의 금속층과, 금속층 상의 일부에 형성된 산화 방지막과, 산화 방지막 상의 일부에 형성된 복수의 솔더와, 복수의 솔더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발광부와, 접속 영역에 배치되며, 산화 방지막 상에 형성되는 절연막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전원 연결부가 일체화된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Flexible transparent display sheet,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 연결부가 일체화된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렉서블 영상 표시 장치를 위해, 마이크로 LED를 이용한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접속 영역을 구비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에 있어서, 접속 영역에 형성되는 금속층과, 플렉서블 기판(FPCB)의 접속을 위해, 본딩 공정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본딩 공정에도 불구하고, 금속층과 플렉서블 기판(FPCB) 사이의 접속 불량, 및 플렉서블 기판(FPCB)의 파손 위험이 빈번하였다.
또한, 복수의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의 경우, 접속 영역에 형성되는 금속층과, 플렉서블 기판(FPCB)의 접속을 위해, 복수의 본딩 공정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 연결부가 일체화된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렉서블 기판(FPCB)의 본딩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접속 영역에 배치되는 베이스 필름과, 베이스 필름 상의 금속층과, 금속층 상의 일부에 형성된 산화 방지막과, 산화 방지막 상의 일부에 형성된 복수의 솔더와, 복수의 솔더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발광부와, 접속 영역에 배치되며, 산화 방지막 상에 형성되는 절연막을 포함한다.
한편, 산화 방지막은,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접속 영역의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절연막은, 접속 영역의 제1 영역에 배치된다.
한편, 접속 영역에 배치되며, 금속층 상에 형성되는 제2 금속층을 더 포함한다.
한편, 제2 금속층의 높이와, 산화 방지막 및 절연막의 높이의 합이 동일하다.
한편, 산화 방지막은,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접속 영역의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제2 금속층은, 접속 영역의 제1 영역에 인접한 제2 영역에 배치된다.
한편, 제1 영역의 폭이, 제2 영역의 폭 보다 크다.
한편, 산화 방지막 상의 일부에 형성된 복수의 솔더는, 개구를 통해, 금속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발광부 주변에 배치되며, 산화 방지막 상의 다른 일부에 형성된 점착층을 더 포함한다.
한편, 발광부 사이에 배치되는 점착층의 폭이, 디스플레이 영역과 접속 영역의 경계에 배치되는 점착층의 폭 보다, 더 크다.
한편, 솔더와 발광부의 높이의 합 보다, 점착층의 높이가 더 크다.
한편, 제2 금속층의 높이는, 베이스 필름의 높이 보다 작으며, 금속층의 높이 보다 크다.
한편, 발광부는,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접속 영역에 배치되는 베이스 필름과, 베이스 필름 상의 금속층과, 금속층 상의 일부에 형성된 산화 방지막과, 산화 방지막 상의 일부에 형성된 복수의 솔더와, 복수의 솔더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발광부와, 접속 영역의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산화 방지막 상에 형성되는 절연막과, 접속 영역의 제1 영역에 인접한 제2 영역에 배치되며, 금속층 상에 형성되는 제2 금속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접속 영역에 배치되는 베이스 필름과, 베이스 필름 상의 금속층과, 금속층 상의 일부에 형성된 산화 방지막과, 산화 방지막 상의 일부에 형성된 복수의 솔더와, 복수의 솔더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발광부와, 접속 영역에 배치되며, 산화 방지막 상에 형성되는 절연막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전원 연결부가 일체화된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플렉서블 기판(FPCB)의 본딩 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속 영역의 파손 가능성이 상당히 낮아지게 된다.
한편, 접속 영역에 배치되며, 금속층 상에 형성되는 제2 금속층을 더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전원 연결부가 일체화된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속 영역의 파손 가능성이 상당히 낮아지게 된다.
한편, 제2 금속층의 높이와, 산화 방지막 및 절연막의 높이의 합이 동일하다. 이에 따라, 제2 금속층의 파손 가능성이 상당히 낮아지며, 외부의 커넥터와의 연결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산화 방지막은,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접속 영역의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제2 금속층은, 접속 영역의 제1 영역에 인접한 제2 영역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전원 연결부가 일체화된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속 영역의 파손 가능성이 상당히 낮아지게 된다.
한편, 산화 방지막 상의 일부에 형성된 복수의 솔더는, 개구를 통해, 금속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발광부에 전기 신호가 인가되어 발광하게 된다.
한편, 발광부 주변에 배치되며, 산화 방지막 상의 다른 일부에 형성된 점착층을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 상의 복수의 발광부 등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발광부 사이에 배치되는 점착층의 폭이, 디스플레이 영역과 접속 영역의 경계에 배치되는 점착층의 폭 보다, 더 크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 상의 복수의 발광부 등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솔더와 발광부의 높이의 합 보다, 점착층의 높이가 더 크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 상의 복수의 발광부 등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금속층의 높이는, 베이스 필름의 높이 보다 작으며, 금속층의 높이 보다 크다. 이에 따라, 제2 금속층의 파손 가능성이 상당히 낮아지며, 외부의 커넥터와의 연결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접속 영역에 배치되는 베이스 필름과, 베이스 필름 상의 금속층과, 금속층 상의 일부에 형성된 산화 방지막과, 산화 방지막 상의 일부에 형성된 복수의 솔더와, 복수의 솔더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발광부와, 접속 영역의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산화 방지막 상에 형성되는 절연막과, 접속 영역의 제1 영역에 인접한 제2 영역에 배치되며, 금속층 상에 형성되는 제2 금속층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전원 연결부가 일체화된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플렉서블 기판(FPCB)의 본딩 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속 영역의 파손 가능성이 상당히 낮아지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I-I'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II-II'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도 3의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영상표시장치의 블록도의 일예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I-I'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100)는, 복수의 발광부(140)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영역(Ard)과, 복수의 발광부(140)가 배치되지 않고, 전원 케이블 접속을 위한 접속 영역(Arc)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의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100)의 단면은 도 2와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100)는, 베이스 필름(110)과, 베이스 필름(110) 상의 금속층(120)과, 금속층(120) 상의 일부에 형성된 산화 방지막(130)과, 산화 방지막(130) 상의 일부에 형성된 복수의 솔더(133)와, 복수의 솔더(133)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발광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100)는, 접속 영역(Arc)에 배치되며, 금속층(120) 상에 형성되는 솔더(155)와, 솔더(15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렉서블 기판(FPCB)(160)을 더 포함한다.
이때, 솔더(155)와 FPCB(160)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본딩 공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본딩 공정에도 불구하고, 솔더(155)와 FPCB(160) 사이의 접속 불량 가능성이 높게 된다.
한편, FPCB(160) 하부에는, 별도의 부재가 없으므로, FPCB(160) 또는 솔더(155)의 파손 가능성이 높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FPCB(160)를 없애고, 전원 연결부가 일체화된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러한 방안에 따르면, FPCB(160)가 없으므로, 별도의 본딩 공정이 필요 없으며, 전원 연결부의 파손 가능성이 상당히 낮아지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이하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II-II'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200)는, 복수의 발광부(240)가 격자 형태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영역(Ard)과, 복수의 발광부(140)가 배치되지 않고, 전원 케이블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접속 영역(Arc)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200)의 단면은 도 4와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200)는, 디스플레이 영역(Ard)과 접속 영역(Arc)에 배치되는 베이스 필름(210)과, 베이스 필름(210) 상의 금속층(220)과, 금속층(220) 상의 일부에 형성된 산화 방지막(230)과, 산화 방지막(230) 상의 일부에 형성된 복수의 솔더(233)와, 복수의 솔더(233)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발광부(240)와, 접속 영역(Arc)에 배치되며, 산화 방지막(230) 상에 형성되는 절연막(270)을 포함한다.
한편, 접속 영역(Arc)의 일부에만 절연막(270)이 배치되므로, 산화 방지막(230) 또는 금속층(22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산화 방지막(230)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 또는 금속층(220)과, 외부의 접속 단자가 바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접속 영역(Arc)의 일부(Lab)에만 배치되는 절연막(270), 접속 영역(Arc)에 배치되는 산화 방지막(230) 및 금속층(220)을, 전원 연결부라 명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원 연결부가 일체화된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20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도 1에서 설명한 플렉서블 기판(FPCB)이 생략되며, 따라서, FPCB의 본딩 공정 생략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접속 영역(Arc)의 파손 가능성이 상당히 낮아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200)는, 접속 영역(Arc)에 배치되며, 금속층(220) 상에 형성되는 제2 금속층(2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연막(270)이 접속 영역(Arc)의 제1 영역(Lab)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금속층(255)은, 접속 영역(Arc)의 제1 영역(Lab)에 인접한 제2 영역(Lc)에 배치되며, 금속층(220) 상에 형성될 수 이다.
한편, 제2 금속층(255)은, 산화 방지막(230)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 금속층(2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때, 접속 영역(Arc)의 일부(Lab)에만 배치되는 절연막(270), 접속 영역(Arc)에 배치되는 산화 방지막(230) 및 금속층(220), 제2 금속층(255)을, 전원 연결부라 명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원 연결부가 일체화된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20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도 1에서 설명한 플렉서블 기판(FPCB)이 생략되며, 따라서, FPCB의 본딩 공정 생략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접속 영역(Arc)의 파손 가능성이 상당히 낮아지게 된다.
한편, 제2 금속층(255)의 높이(h2)와, 산화 방지막(230)및 절연막(270)의 높이의 합(h3+h4)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2 금속층(255)의 파손 가능성이 상당히 낮아지며, 외부의 커넥터와의 연결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산화 방지막(230)및 절연막(270)과, 제2 금속층(255)가 일체화될 수 있으므로, 전원 연결부가 일체화된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20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산화 방지막(230)은, 디스플레이 영역(Ard) 및 접속 영역(Arc)의 제1 영역(Lab)에 배치되며, 제2 금속층(255)은, 접속 영역(Arc)의 제1 영역(Lab)에 인접한 제2 영역(Lc)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전원 연결부가 일체화된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20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속 영역(Arc)의 파손 가능성이 상당히 낮아지게 된다.
한편, 산화 방지막(230) 상의 일부에 형성된 복수의 솔더(233)는, 개구를 통해, 금속층(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발광부(240)에 전기 신호가 인가되어 발광하게 된다.
한편,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200)는, 발광부(240) 주변에 배치되며, 산화 방지막(230) 상의 다른 일부에 형성된 점착층(250)을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200) 상의 복수의 발광부(240) 등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발광부(240) 사이에 배치되는 점착층(250)의 폭(W1)이, 디스플레이 영역(Ard)과 접속 영역(Arc)의 경계에 배치되는 점착층(250)의 폭(W2) 보다, 더 크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200) 상의 복수의 발광부(240) 등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솔더(233)와 발광부(240)의 높이의 합(h5) 보다, 점착층(250)의 높이(h6)가 더 크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200) 상의 복수의 발광부(240) 등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금속층(255)의 높이(h2)는, 베이스 필름(210)의 높이(h0) 보다 작으며, 금속층(220)의 높이(h1) 보다 크다. 이에 따라, 제2 금속층(255)의 파손 가능성이 상당히 낮아지며, 외부의 커넥터와의 연결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접속 영역(Arc)의 제1 영역(Lab)의 폭이, 제2 영역(Lc)의 폭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2 영역(Lc)에 배치되는 제2 금속층(255)에 의한 파손 가능성이 낮아지게 된다.
한편, 발광부(240)는,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발광부가, 격자 형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명한 디스플레이 시트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2 금속층(255)의 높이(h2)는, 베이스 필름(210)의 높이(h0) 보다 작으며, 금속층(220)의 높이(h1)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베이스 필름(21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아크릴(PMMA, 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스터(Polyes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금속층(220)은, 구리(Cu)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금속층(220) 상의 일부에 형성된 산화 방지막(230)은, CUO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금속층(255)은, 구리 도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점착층(Adhesive layer)(250)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아크릴(PMMA, 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스터(Polyes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점착층(250)은, 점착제, 첨가제, 경화제, 용제, 염료(dye), 및 UB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200) 구현을 위해 레이저 패터닝을 수행하는 경우, 복수의 라인(LPTa,PPRb,LPTc)에 각각 패터닝 마크(295a,295b,295c)가 형성된 것을 예시한다.
발명의 실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200)는, 발광부 형성을 위해, 종래와 달리, 레이저 패터닝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복수의 라인(LPTa,PPRb,LPTc)에 각각 패터닝 마크(295a,295b,295c)가 형성되게 된다.
도 6a는 종래의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100)의 디스플레이 영역(Ard)의 제작 공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기판 검사(S610)를 수행하고, 다음 롤 형태의 기판을 평평하게 펴기 위해 어닐링을 수행하며, 어닐링 후, 기판 상에 메탈(CU) 스퍼터링을 수행하고(S612), 포토 레지스터(PR) 코팅을 수행할 수 있다(S614).
다음, 노광(exposure) 공정(S616), 현상(develop) 공정(618), 및 에칭 공정(620)을 수행하며, 스트립(strip) 공정(S622)을 수행하여, 전기 배선을 만들 수 있다.
다음, 산화막 형성을 위해, 라미네이션 공정(S624)을 수행하고, 노광(exposure) 공정(S626), 현상(develop) 공정(S628), 및 에칭 공정(S630)을 수행하며, 스트립(strip) 공정(S632)을 수행하여, 전기 배선을 만들 수 있다.
다음,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100)의 디스플레이 영역(Ard)을 자르고(S644), 기능 검사(S646), 외관 검사(S648)을 통해,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100)의 디스플레이 영역(Ard)을 완성하게 된다.
도 6b는 종래의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100)의 FPCB(160)의 제작 공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기판 검사(S650)를 수행하고, 다음 동박 적층을 수행하고(S652), 회로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S654).
다음, 동박 에칭 공정(656), 레지스리 제거(S658), 및 커버 및 얼라인 인쇄(S660), 및 외형 가공(S622)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100)의 FPCB(160)가 완성되게 된다.
그 이후, 종래의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100)의 디스플레이 영역(Ard))와, 종래의 FPCB(160)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해, 본딩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결국, 종래의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100)의 제작시에는, 디스플레이 영역(Ard) 공정과, FPCB(160)의 제작 공정이, 이원화되므로, 제작 비용, 기간 등이 상당히 소모되게 된다.
다음,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200)의 제작 공정의 일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기판 검사(S710)를 수행하고, 다음 롤 형태의 기판을 평평하게 펴기 위해 레이저 어닐링을 수행하며, 어닐링 후, 기판 상에 메탈(CU) 스퍼터링을 수행하고(S712), 포토 레지스터(PR) 코팅을 수행할 수 있다(S714).
다음, 노광(exposure) 공정(S716), 현상(develop) 공정(618), 및 에칭 공정(620)을 수행하며, 스트립(strip) 공정(S722)을 수행하여, 전기 배선을 만들 수 있다.
다음, 산화막 형성을 위해, 라미네이션 공정(S724)을 수행하고, 노광(exposure) 공정(S726), 현상(develop) 공정(S728), 및 에칭 공정(S730)을 수행하며, 스트립(strip) 공정(S732)을 수행하여, 솔더의 개구에 의한, 전기 배선을 만들 수 있다.
다음, 종래와 달리, 부분 도금 공정(S735)을 수행하며, 접속 영역(Arc)에 제2 금속층(235)를 형성한다.
그리고, 접속 영역(Arc)의 제1 영역(Lab)에 에칭 공정(S737)을 수행하며, 에칭된 제1 영역에, 유기물 페이스트 인쇄 공정(S739)을 수행하여, 절연막(270)을 제1 영역(Lab)에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금속층(235)은, 제2 영역(Lc)에만 형성되게 된다.
다음, 전원 연결부가 일체화된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200)의 디스플레이 영역(Ard)을 자르고(S744), 기능 검사(S746), 외관 검사(S748)을 통해, 전원 연결부가 일체화된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200)를 완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 비해, 제작 공정이 훨씬 간편하게 된다. 따라서, 제작 시간, 비용이 저감되게 된다.
다음,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200)의 제작 공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기판 검사(S810)를 수행하고, 다음 롤 형태의 기판을 바로 커팅한다(S811).
다음, 메탈 및 용체 코팅(S813), 건조(S815), 메탈 페이스트 인쇄(S817)를 통해, 금속층(220)을 형성한다.
다음, 레이저 패터닝(S819)와, 인슐레이션 코팅을 통해, 산화 방지막을 형성한다.
다음, 건조(S823), 부분 도금(S835)에 의해, 접속 영역(Arc)에 제2 금속층(235)을 형성한다.
다음, 접속 영역(Arc)의 제1 영역(Lab)에 에칭 공정(S837)을 수행하며, 에칭된 제1 영역에, 유기물 페이스트 인쇄 공정(S839)을 수행하여, 절연막(270)을 제1 영역(Lab)에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금속층(235)은, 제2 영역(Lc)에만 형성되게 된다.
다음, 전원 연결부가 일체화된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200)의 디스플레이 영역(Ard)을 자르고(S844), 기능 검사(S846), 외관 검사(S848)을 통해, 전원 연결부가 일체화된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200)를 완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 비해, 제작 공정이 훨씬 간편하게 된다. 따라서, 제작 시간, 비용이 저감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 제작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투명 전극을 제작하고(S910), 시트 커팅 및 전원 케이블을 형성(S920)하며, LED 실장(S930)하고, 레진 충진 또는 라미네이션(S940)하고, 출력한다(S950).
한편, 도 10은 종래의 발광부 제작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투명 전극을 제작하고(S1010), 시트 커팅 및 전원 케이블을 형성(S1020)하며, LED 실장(S1030)하고, 레진 충진 또는 라미네이션(S1040)하고, FPCB 본딩을 수행하고(S1045), 출력한다(S1050).
도 9에 비해, FPCB 본딩을 더 수행하며야 하므로, 제작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르면, 전원 연결부가 일체화된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200) 제작시, FPCB 본딩이 생략되므로, 전원 연결부의 파손 가능성이 낮아지게 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10의 설명에서 기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200)는, 다양한 영상표시장치를 위해 채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복수의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200)를 사용하여, 입체형 영상표시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다.
한편, 도 3 내지 도 10의 설명에서 기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200)는, TV, 모니터, 태블릿, 이동 단말기(휴대폰 등) 등에 다양하게 채용 가능하다.
이 중 도 11은 이동 단말기에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200)가 채용되어, 플렉서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영상표시장치(6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680)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680)를 둘러싸는 프레임(690)을 구비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6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2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영상표시장치의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영상표시장치(600)는, 통신부(620), 인터페이스부(630), 조도 센서(635), 메모리(640), 제어부(670), 디스플레이(680), 전원 공급부(690)를 구비할 수 있다.
입력부(610)는, 플렉서블 영상표시장치(600)에 부착되는 복수의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플렉서블 영상표시장치(600)의 전원을 온 시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외, 다양한 입력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620)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미도시) 또는 서버(미도시)와 무선(wireless)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630)는, 접속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USB 등과 같은 접속 단자에 USB 저장 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유선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조도 센서(635)는, 영상표시장치(600) 주변의 조도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된 조도 값은, 제어부(670)에 전달될 수 있다.
메모리(640)는, 제어부(6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플렉서블 영상표시장치(6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670)는, 플렉서블 영상표시장치(6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670)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에 대한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70)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복수의 블록으로 구분하여, 각 블록 별로 서로 다른 스캔 신호를 인가하도록 제어하며, 동일 블록 내의 각 발광 다이오드에, 동일한 스캔 신호를 인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70)는, 동일 블록 내의 라인별 발광 다이오드에, 순차적으로 서브 스캔 신호가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70)는, 조도 센서(635)에 의해 센싱된 조도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에 대한 블록 수를 가변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670)는, 주변 조도가 높을수록,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에 대한 블록 수가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70)는, 조도 센서(635)에 의해 센싱된 조도값에 기초하여, 스캔 스위칭 소자에 인가되는 스캔 신호의 레벨 또는 데이터 스위칭 소자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레벨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670)는, 주변 조도가 높을수록, 스캔 스위칭 소자에 인가되는 스캔 신호의 레벨 또는 데이터 스위칭 소자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레벨이,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680)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690)는, 제어부(670)의 제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접속 영역을 구비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접속 영역에 배치되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의 금속층;
    상기 금속층 상의 일부에 형성된 산화 방지막;
    상기 산화 방지막 상의 일부에 형성된 복수의 솔더;
    상기 복수의 솔더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발광부;
    상기 접속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산화 방지막 상에 형성되는 절연막;
    상기 접속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금속층 상에 형성되는 제2 금속층;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필름과 상기 금속층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접속 영역의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 외곽의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산화 방지막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접속 영역의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영역에는 배치되지 않으며
    상기 절연막은, 상기 접속 영역의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는 배치되지 않으며,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접속 영역의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는 배치되지 않으며,
    상기 제2 금속층의 높이는, 상기 산화 방지막 및 상기 절연막의 높이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의 높이와, 상기 산화 방지막 및 상기 절연막의 높이의 합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폭이, 상기 제2 영역의 폭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방지막 상의 일부에 형성된 복수의 솔더는, 개구를 통해, 상기 금속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산화 방지막 상의 다른 일부에 형성된 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 사이에 배치되는 점착층의 폭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접속 영역의 경계에 배치되는 점착층의 폭 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솔더와 상기 발광부의 높이의 합 보다, 상기 점착층의 높이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의 높이는, 상기 베이스 필름의 높이 보다 작으며, 상기 금속층의 높이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 제4항,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180093691A 2018-08-10 2018-08-10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135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691A KR102135093B1 (ko) 2018-08-10 2018-08-10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US16/537,446 US10657852B2 (en) 2018-08-10 2019-08-09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sheet,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PCT/KR2019/010079 WO2020032688A1 (ko) 2018-08-10 2019-08-09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691A KR102135093B1 (ko) 2018-08-10 2018-08-10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016A KR20200018016A (ko) 2020-02-19
KR102135093B1 true KR102135093B1 (ko) 2020-07-17

Family

ID=69406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691A KR102135093B1 (ko) 2018-08-10 2018-08-10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57852B2 (ko)
KR (1) KR102135093B1 (ko)
WO (1) WO202003268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12442A (ja) * 2016-05-20 2017-11-3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または当該半導体装置を有する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3159A (ko) * 2006-12-28 2008-07-03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요성 프린트 배선 기판 및 반도체 장치
CN104476847B (zh) * 2014-12-02 2017-05-17 广州方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高剥离强度挠性覆铜板及其制作方法
KR102416467B1 (ko) * 2015-07-30 2022-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표시 장치
US20170227816A1 (en) * 2016-02-10 2017-08-10 Glo Ab Led backlight unit with separately and independently dimmable zones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KR102473376B1 (ko) * 2016-04-01 2022-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70139924A (ko) * 2016-06-10 2017-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 발광다이오드 필름
KR20180010370A (ko) * 2016-07-20 2018-01-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7435B1 (ko) * 2016-08-02 2019-08-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12442A (ja) * 2016-05-20 2017-11-3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または当該半導体装置を有する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51469A1 (en) 2020-02-13
US10657852B2 (en) 2020-05-19
WO2020032688A1 (ko) 2020-02-13
KR20200018016A (ko)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9178B2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with array of discrete light-emitting diodes
KR102009657B1 (ko)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영상표시 단말기
US8730372B2 (en) Partially lit sensor
CN109887948B (zh) 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US9036358B2 (en) Terminal device and transparent substrate
US20130162124A1 (en) Terminal apparatus
JP6889738B2 (ja) Oledスクリーン、表示制御方法、電子機器、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4039035A (ja) Led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ledディスプレイ装置
US9040140B2 (en) SMT tape
US20150216053A1 (en) Integrated Circuit Package
US9239489B2 (en) Display backlight with closely spaced light-emitting diode packages
EP3771197A1 (en) Camera bracket, camera assembly, and terminal
US20170309756A1 (en) Semiconductor package, sensor module, and production method
CN114093248A (zh) 拼接显示单元、拼接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EP2712173B1 (en) Camera module
CN106932982B (zh) 显示装置、移动终端及显示装置制作方法
KR102135093B1 (ko)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US9191475B2 (en) Switches and switch mounting structures
CN112183396B (zh) 显示组件和显示装置
JP4583581B2 (ja) 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
KR101822938B1 (ko) 이동 단말기
JP3178772U (ja) 保護ケース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式電子装置
CN110752239A (zh) 显示装置及电子设备
JP2007212775A (ja) 携帯機器
WO2015145960A1 (en) Switch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