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4099B1 - 구난 무선 송신수단의 수상 부양체 - Google Patents
구난 무선 송신수단의 수상 부양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4099B1 KR102134099B1 KR1020190067851A KR20190067851A KR102134099B1 KR 102134099 B1 KR102134099 B1 KR 102134099B1 KR 1020190067851 A KR1020190067851 A KR 1020190067851A KR 20190067851 A KR20190067851 A KR 20190067851A KR 102134099 B1 KR102134099 B1 KR 1021340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rther provided
- transmitter
- floating
- buo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20—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signalling means, e.g. ligh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hook and loop faste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29—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B63C2009/0041—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activated by presence of w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난 신호를 방출하는 구난용 송신장치가 수면 위에 부양하여 정확한 구조 신호를 전달케 할 수 있는 수상 부양수단에 관한 것 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 진 부양체(200)와, 상기 부양체(200)의 일측면에 구비된 송신기 수납구(201)와, 상기 송신기 수납구(201)의 내측에 수납된 조난 신호 송신기(130)와 인플레이터 밸브(120)가 수면 위에 있는 상태에서 조난 신호를 송출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구난 무선 송신수단의 수상 부양체를 구현한다.
한 편, 상기 부양체(200)의 하단에 입수 포켓(21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송신기 수납구(201)가 구비된 부양체(200)의 하단 일측에는 복수개의 배수 통공(211)이 더 구비되고, 저면 일측에 복수개의 부착용 벨크로(209)가 구비된 커버부(205)가 송신기 수납구(201)가 구비된 부양체(200)의 상부 일측에 더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발출 시 발출 방향에 상관 없이 수면 위로 부상하였을 때 신호 송출장치가 튜브에 상면에 위치하여 수면 위에 부양할 수 있게 할 수 있고, 휴대에 용이하며 사용자의 직접적인 의사 없이도 수상에서 구난 상황이 발생하면 그 상황을 인지하여 자동으로 팽창할 수 있다.
한 편, 상기 부양체(200)의 하단에 입수 포켓(21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송신기 수납구(201)가 구비된 부양체(200)의 하단 일측에는 복수개의 배수 통공(211)이 더 구비되고, 저면 일측에 복수개의 부착용 벨크로(209)가 구비된 커버부(205)가 송신기 수납구(201)가 구비된 부양체(200)의 상부 일측에 더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발출 시 발출 방향에 상관 없이 수면 위로 부상하였을 때 신호 송출장치가 튜브에 상면에 위치하여 수면 위에 부양할 수 있게 할 수 있고, 휴대에 용이하며 사용자의 직접적인 의사 없이도 수상에서 구난 상황이 발생하면 그 상황을 인지하여 자동으로 팽창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난 신호를 방출하는 구난용 송신장치가 수면 위에 부양하여 정확한 구조 신호를 전달케 할 수 있는 수상 부양수단에 관한 것 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어떤 상태에서 부양이 이루어 지더라도 정확한 방향으로 수상 부양함으로써 구난용 송신장치가 신호의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수상 부양체에 관한 것이다.
익수자가 수상에서 발생할 경우 구조 시설이나 구조자가 있다면 용이한 구조가 이루어 질 수 있지만 익수 사망 사고가 일어나는 지점은 근방에 구조 시설이 존재하지 아니하여 구난 장소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수단을 제대로 구비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서 익수 사고가 일어난 지점이 해안에서 멀어질수록 익수자가 사망할 확률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특히 이러한 상황이 야간에 벌어질 경우 육안으로는 피하 식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위치 식별수단이 정확하게 작동해야만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야간에서의 익수자 구조가 이루어지지 않아 익수자는 그대로 사망케 되는 불상사가 초래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위치 식별 수단은 수면 위로 부상하여야만 하는데, 대부분의 위치 식별수단이 사용하는 송신호인 GPS, RFID 등과 같은 주파수 기반 신호 체계는 수면 아래에서 작동하게 될 경우 물에 의한 파동 흡수로 그 신호가 왜곡되기 때문에 장치가 작동하였더라도 정확한 지점으로 익수자의 위치를 전달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 특허 공보 제 10-2008-0082753호로 게시된 휴대용 위치추적 비상튜브장치는 축공기가 주입되어 밀봉되어진 공기탱크와, 상기 공기탱크의 일측에 결합되어 공기탱크의 일측을 파손시키는 파손침과, 상기 파손침 전체와 공기탱크의 일측을 감싸며 상측에 공기튜브에 연결되어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가 형성된 주입부와, 상기 주입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내부의 파손침을 이송시켜 공기탱크를 파손시키는 스위치와, 상기 공기주입구에 연결되어 공기가 주입되어지면 부풀어 오르는 공기튜브를 포함함으로써 비상 튜브 장치가 구성되어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02-024950호로 게시된 휴대 가능한 조난 신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구명 조끼는 조난 신호 장비, 풍선, 로프와 팽창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난이 발생할 경우 풍선이 팽창장치를 통해 부풀어 올라서 구명조끼로부터 이격되면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수단을 더 만든다고 기술되어 있다. 다만, 팽창된 풍선은 로프로 익수자의 구명 조끼와 연결되어 있어서 익수자가 풍선을 부수적인 부양체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고 기술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문헌들을 잘 주합하면, 육안이나 통신 신호등을 통해 익수자와 직접 연결되지 않은 상태의 부양체에 GPS 송신기 등을 매달아서 GPS 송신기가 수면 위에서 부양된 채 사용될 수 있는 특징이 있었다. 하지만, 송신기가 정확한 방향으로 매달린 상태로 수면 위로 부양체가 떠올라 부양하는 방법은 송신기가 부양체의 상면이 아닌 하면을 향한 채로 수면 위로 부양할 경우 당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으며, 확실한 구난 신호 송신을 위해 반드시 복수개의 장비를 구비하여 사용했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원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하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 요건을 통해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첫째는 발출 시 발출 방향에 상관 없이 수면 위로 부상하였을 때 신호 송출장치가 튜브에 상면에 위치하여 수면 위에 부양할 수 있게 할 수 있고,
둘째는 휴대에 용이하며 사용자의 직접적인 의사 없이도 수상에서 구난 상황이 발생하면 그 상황을 인지하여 자동으로 팽창할 수 있는 구난 무선 송신수단의 수상 부양체를 얻고자 하기 위함에 있다.
본 원 발명의 당면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이루어 진 부양체(200)의 일측면에 구비된 송신기 수납구(201)와, 상기 송신기 수납구(201)의 내측에 수납된 조난 신호 송신기(130)와 인플레이터 밸브(120)가 수면 위에 있는 상태에서 조난 신호를 송출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구성과 그 작용,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부양체(200)의 하단에 구비된 입수 포켓(210)과 그 결합 요소들로 이루어 져 있다.
한 편, 부양체(200)는 원통형인 형상으로 구비되며, 원통형은 거대한 파력이 덮치지 않는 이상은 파도에 의한 회동은 원기둥의 횡방향으로만 이루어지므로 종방향으로 뒤집히게 될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는 것으로써 면적도 상대적으로 넓기 때문에 구조자가 육안으로 식별하기에도 용이하며 사고 발생 시 다수의 익수자가 편안한 자세로 수면 위에서 구조를 기다리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부양체(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입수 포켓(210)이 구비된다. 상기 입수 포켓(210)은 부양체(200)가 가스로 인한 팽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부양체(200)가 파력에 의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송신기 수납구(201)가 상공을 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입수 포켓(210)은 평상시에는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다가 가스에 의해 부양체(200)가 팽창하면 함께 펼쳐지는 것으로써, 이를 위해 상기 입수 포켓(210)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돌출 링(220)이 구비되며, 부양체(200)에 구비된 송신기 수납구(201)의 하단은 막혀있지만, 내부에 해수가 유입되었을 경우 해수를 뺄 수 있도록 상기 송신기 수납구(201)가 구비된 부양체(200)의 하단 일측에는 복수개의 배수 통공(211)이 더 구비된다.
상기 입수 포켓(210)의 양측단 중심부에는 해수가 유입되는 유입공(230)이 복수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공(230)이 구비된 입수 포켓의 양측단은 안쪽면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형상의 요부(231)가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이는 단면을 확인하면 장구와 같은 형상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은 유입공(230)으로부터 해수가 유입될 때 해수의 분출압을 높이도록 함으로써 빠른 시간 안에 해수가 유입될 수 있게 함으로써 본 원 발명이 당면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과 작용 및 그 결합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는 발출 시 발출 방향에 상관 없이 수면 위로 부상하였을 때 신호 송출장치가 튜브에 상면에 위치하여 수면 위에 부양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둘째는 휴대에 용이하며 사용자의 직접적인 의사 없이도 수상에서 구난 상황이 발생하면 그 상황을 인지하여 자동으로 팽창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원 발명에 의한 장치적 구성과 그 결합 관계를 상세히 도시한 실시도.
도 1a는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양체(200)의 형상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조난 신호 송신기(130)와 인플레이터 밸브(120)의 형상을 생략하여 도시한 실시도.
도 2는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양체(200)의 하단 부위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입수 포켓(210)의 상세한 형상과 그 주변 부속간의 관계를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입수 포켓(210)의 내부 구성 요소를 상세히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난 신호 송신기(130)의 각 부속간의 결합 관계를 상세히 도시한 간이 배선도.
도 6은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양체(20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입수 포켓(210)이 수면 저하로 입수되어 해수를 빨아들이는 형상을 도시한 실시도.
도 7은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입수 포켓(210)에 해수가 충진되어 입수 포켓(210)이 해저면을 향하고 있는 형상을 도시한 실시도.
도 1a는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양체(200)의 형상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조난 신호 송신기(130)와 인플레이터 밸브(120)의 형상을 생략하여 도시한 실시도.
도 2는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양체(200)의 하단 부위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입수 포켓(210)의 상세한 형상과 그 주변 부속간의 관계를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입수 포켓(210)의 내부 구성 요소를 상세히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난 신호 송신기(130)의 각 부속간의 결합 관계를 상세히 도시한 간이 배선도.
도 6은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양체(20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입수 포켓(210)이 수면 저하로 입수되어 해수를 빨아들이는 형상을 도시한 실시도.
도 7은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입수 포켓(210)에 해수가 충진되어 입수 포켓(210)이 해저면을 향하고 있는 형상을 도시한 실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과 의미는 도면을 참고로 한 실시예에서의 기능과 작용 및 구성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이며, 사용자 및 실시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원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 그 정의에 따르지만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당업자에게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원 발명의 일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 결합을 설명하는 도면에는 일부 부호가 생략 도시될 수 있으나 이는 통상적으로 본 원 발명을 이루기 위해 하기 기술하는 구성 및 작용 실시예를 근거로 부속의 위치 등을 본 원 발명의 실시범위 안에서 해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원 발명의 당면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이루어 진 부양체(200)의 일측면에 구비된 송신기 수납구(201)와, 상기 송신기 수납구(201)의 내측에 수납된 조난 신호 송신기(130)와 인플레이터 밸브(120)가 수면 위에 있는 상태에서 조난 신호를 송출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구성과 그 작용,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부양체(200)의 하단에 구비된 입수 포켓(210)과 그 결합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다.
한 편, 부양체(200)는 원통형인 형상으로 구비되며, 원통형은 거대한 파력이 덮치지 않는 이상은 파도에 의한 회동은 원기둥의 횡방향으로만 이루어지므로 종방향으로 뒤집히게 될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는 것으로써 면적도 상대적으로 넓기 때문에 구조자가 육안으로 식별하기에도 용이하며 사고 발생 시 다수의 익수자가 편안한 자세로 수면 위에서 구조를 기다리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조난 신호 송신기(1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저면 일측에 복수개의 부착용 벨크로(209)가 구비된 커버부(205)가 송신기 수납구(201)가 구비된 부양체(200)의 상부 일측에 더 구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양체(200)가 발출 도중 혹은 파력에 의한 회동 중 조난 신호 송신기(130)가 부양체(200)를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 편,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 수납구(201)의 내주면에는 조난 신호 송신기(130)가 충분히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수납구 링(202)이 더 구비된다. 상기 수납구 링(202)은 부양체(200)가 수상에서 인플레이터 밸브(120)의 가스로 인한 발출이 이루어 질 경우 공기압에 의해 송신기 수납구(201)의 내주면 형상이 일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형상의 부양체(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입수 포켓(210)이 구비된다. 상기 입수 포켓(210)은 부양체(200)가 가스로 인한 팽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부양체(200)가 파력에 의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송신기 수납구(201)가 상공을 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입수 포켓(210)은 평상시에는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다가 가스에 의해 부양체(200)가 팽창하면 함께 펼쳐지는 것으로써, 이를 위해 상기 입수 포켓(210)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돌출 링(220)이 구비되며, 이때 돌출 링(220)은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탄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고무, 실리콘, 라텍스 등 신축성이 있는 고분자화합물로 택일 구비한다. 입수 포켓(210)이 펼쳐지면 상기 돌출 링(220)도 함께 펼쳐지면서 입수 포켓(210)의 내부가 펼쳐지는 작용을 통해 해수를 흡입한다.
한 편, 부양체(200)에 구비된 송신기 수납구(201)의 하단은 막혀있지만, 내부에 해수가 유입되었을 경우 해수를 뺄 수 있도록 상기 송신기 수납구(201)가 구비된 부양체(200)의 하단 일측에는 복수개의 배수 통공(211)이 더 구비된다.
입수 포켓(210)에 관한 설명은 도 3을 토대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입수 포켓(210)의 양측단 중심부에는 해수가 유입되는 유입공(230)이 복수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공(230)이 구비된 입수 포켓의 양측단은 안쪽면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형상의 요부(231)가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이는 단면을 확인하면 장구와 같은 형상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은 유입공(230)으로부터 해수가 유입될 때 해수의 분출압을 높이도록 함으로써 빠른 시간 안에 해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요부(231)의 구성에 대하여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했을 때, 입수 포켓(210)의 내부에는 해수만 유입되는 것이 아닌 작은 어류나 미역, 물풀 따위의 조류 등과 같은 이물질이 들어갈 수도 있는데, 이러한 이물질이 유입이 익수자 구조를 위한 중심부 지탱을 돕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된 상기 요부(231)의 구성은 이러한 어류나 조류 등이 다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통발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익수자를 구조해서 부양체를 지상으로 회수할 때 안에 들어간 이물질을 꺼낼 수 있도록 유입공(230)은 입수 포켓(210)으로부터 탈거 혹은 부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 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수 포켓(210)의 양측단과 요부(231)의 결합면 내측에는 신축 철사 링(240)이 더 구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시와 같이 부양체(200)를 펼쳤을 시에는 상기 돌출 링(220)이 펼쳐지는 힘을 보완하여 줄 수 있도록 하는 한 편, 상기 부양체(200)가 도 7과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시와 갈이 완전히 펼쳐져서 입수 포켓(210)에 해수가 유입되는 상태일 때 해수의 유입 압력으로 인해 입수 포켓(210)의 형상이 일그러지지 않도록 유지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 편, 이상과 같은 작용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입수 포켓(210)의 일측단에는 웨이트 포켓(215)이 더 구비된다. 웨이트 포켓(215)은 무게가 형성된 금속성 추가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부양체(200)가 초기에 발출되면 입수 포켓(210)이 해저면에 초기 안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요부(231)와 유입공(230)을 통해 해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 편, 필요 이상의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입수 포켓(210)의 양측단 중심부에 복수개 구비되는 유입공(230)은 연결 끈(235)으로 상기 유입공(230)끼리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해서 입수 포켓(210)의 전체 형상을 유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 실시예이다.
한 편, 이상과 같은 형상과 결합으로 이루어 진 부양체(200)의 조난 신호 송신기(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및 결합 예시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난 신호 송신기(130)는 전면 상부에 LED부(131)가 더 구비되고, 양측단에 전원 버튼(134)이 복수개 구비되도록 하는데, 익수자의 구조가 완료되거나 부득이한 상황에서 장치가 작동되었을 때 양측단에 있는 전원 버튼(134)을 동시에 누르게 되면 장치의 작동을 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 편, 조난 신호 송신기(130)의 전면 하부에는 커넥팅부(136)가 구비되어 있고, 커넥팅부(136)를 통해 부양체(200)의 발출을 돕는 인플레이터 밸브(120)의 전면 하단에 구비된 단자부(129)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인플레이터 밸브(120)가 입력 신호를 받았을 때 단자부(129)를 통해 상기 조난 신호 송신기(130)의 커넥팅부(136)로 작동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부양체(200)가 사용자의 별다른 조작 없이 해수가 유입된 상황일 때 저절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인플레이터 밸브(120)의 입력 신호는 상기 인플레이터 밸브(120)의 전면 일측에 구비된 수분 감지부(121)를 통해 감지한 수분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며, 해수나 육수가 유입되었을 때 수분 감지부(121)가 수분을 감지하면 그 감지된 신호가 인플레이터 밸브(120)의 작동 신호임과 동시에 조난 신호 송신기(130)의 작동 신호가 되는 것이다.
한 편, 조난 신호 송신기(130)에서 사용하는 조난 신호는 GPS를 기반으로 한 조난 신호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익수자가 발생해서 구조대를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는 주로 해안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점일 때가 많기 때문에 장거리로 위치 송신을 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작동 예를 지니고 있는 인플레이터 밸브(120)는 일측면에 봄배 탱크(124)가 연결 구비되고, 봄배 탱크(124)가 연결된 인플레이터 밸브(120)의 일측면 내부에는 기폭장치(127)가 구비된다. 기폭장치(127)는 수분 감지부(121)의 감지신호를 받기 위해 상기 수분 감지부(121)와 연결되어 있으며 수분 감지부(121)에 의해 작동이 일어난 기폭장치(127)는 상기 인플레이터 밸브(120)와 연결된 부양체(200)에 공기를 주입한다.
한 편, 이러한 작동을 지속하기 위해 상기 조난 신호 송신기(130)의 내부에는 베터리(139)가 더 구비되며, 전력을 상기 커넥팅부(136)를 통해 인플레이터 밸브(120)와 사용을 공유한다. 이는 상대적으로 수납 공간이 부족하며 봄배 탱크(124)를 터뜨리기 위해 기폭장치(127)가 큰 힘을 사용했을 때 그 반작용으로 인플레이터 밸브(120)에 파손이 일어났을 시 상기 인플레이터 밸브(120)만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재사용하거나 전력의 누전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로 공기가 주입된 부양체(200)의 일측단에는 수동 호스(206)이 구비된다. 이는 인플레이터 밸브(120)의 기폭장치(127)로부터 충분한 공기를 제공받지 못했거나 베터리(139)의 전력 부족으로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을 때 익수자가 수동으로 바람을 불어 넣어서 부양체(110)를 부풀림으로써 신체의 부양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 및 결합, 실시예시로 이루어 진 본 원 발명은 상기 부양체(200)가 수면 위로 부상할 때 어떤 방향으로 펼쳐지더라도 조난 신호 송신기(130)가 부양체(200)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해서 수면 위에 부양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성에 관한 걱정 없이 제품을 휴대할 수 있게 해 준다. 이러한 특징을 지니는 부양체(200)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의사 전달이나 조작 없이도 구난 상황이 발생하면 그 상황을 인지함으로써 조난 신호 송신기(130)와 인플레이터 밸브(120)를 작동시키고 조난 신호 송신기(130)가 정확한 구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그 부유 형태를 유지한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 작용 및 효과에 대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와 구성 및 작용을 포괄하여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되고 이와 같이 해석되어야 한다.
120 : 인플레이터 밸브 121 : 수분 감지부
124 : 봄배 탱크 127 : 기폭장치
129 : 단자부 130 : 조난 신호 송신기
131 : LED부 134 : 전원 버튼
136 : 커넥팅부 139 : 베터리
200 : 부양체 201 : 송신기 수납구
202 : 수납구 링 205 : 커버부
206 : 수동 호스 209 : 부착용 벨크로
210 : 입수 포켓 211 : 배수 통공
215 : 웨이트 포켓 220 : 돌출 링
230 : 유입공 231 : 요부
235 : 연결 끈 240 : 신축 철사 링
124 : 봄배 탱크 127 : 기폭장치
129 : 단자부 130 : 조난 신호 송신기
131 : LED부 134 : 전원 버튼
136 : 커넥팅부 139 : 베터리
200 : 부양체 201 : 송신기 수납구
202 : 수납구 링 205 : 커버부
206 : 수동 호스 209 : 부착용 벨크로
210 : 입수 포켓 211 : 배수 통공
215 : 웨이트 포켓 220 : 돌출 링
230 : 유입공 231 : 요부
235 : 연결 끈 240 : 신축 철사 링
Claims (6)
-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 진 부양체(200)와, 상기 부양체(200)의 일측면에 구비된 송신기 수납구(201)와, 상기 송신기 수납구(201)의 내측에 수납된 조난 신호 송신기(130)와 인플레이터 밸브(120)가 수면 위에 있는 상태에서 조난 신호를 송출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구난 무선 송신수단의 수상 부양체에 있어서,
상기 부양체(200)의 하단에 입수 포켓(21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송신기 수납구(201)가 구비된 부양체(200)의 하단 일측에는 복수개의 배수 통공(211)이 더 구비되고,
상기 입수 포켓(210)의 양측단 중심부에는 복수개의 유입공(230)이 구비되는 한 편, 상기 유입공(230)이 구비된 입수 포켓(210)의 양측단은 안쪽면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형상의 요부(231)가 더 구비되고,
상기 입수 포켓(210)의 양측단과 요부(231)의 결합면 내측에 신축 철사 링(240)이 더 구비되고,
저면 일측에 복수개의 부착용 벨크로(209)가 구비된 커버부(205)가 송신기 수납구(201)가 구비된 부양체(200)의 상부 일측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난 무선 송신수단의 수상 부양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 포켓(210)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돌출 링(2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난 무선 송신수단의 수상 부양체.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조난 신호 송신기(130)는,
전면 상부에 LED부(131)가 더 구비되고, 양측단에 전원 버튼(134)이 복수개 구비되며,
전면 하부에 커넥팅부(136)가 더 구비되고,
내부에 베터리(139)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난 무선 송신수단의 수상 부양체.
- 제 1항에 있어서,
인플레이터 밸브(120)는,
전면 일측에 수분 감지부(121)가 더 구비되고,
전면 하단에 단자부(129)가 더 구비되는 한 편,
일측면에 봄배 탱크(124)가 연결 구비되고, 봄배 탱크(124)가 연결된 인플레이터 밸브(120)의 일측면 내부에는 기폭장치(127)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난 무선 송신수단의 수상 부양체.
- 제 5항에 있어서,
조난 신호 송신기(130)의 전면 하부에 커넥팅부(136)가 더 구비되고,
상기 커넥팅부(136)는 상기 인플레이터 밸브(120)의 전면 하단에 구비된 단자부(129)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난 무선 송신수단의 수상 부양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7851A KR102134099B1 (ko) | 2019-06-10 | 2019-06-10 | 구난 무선 송신수단의 수상 부양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7851A KR102134099B1 (ko) | 2019-06-10 | 2019-06-10 | 구난 무선 송신수단의 수상 부양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34099B1 true KR102134099B1 (ko) | 2020-07-14 |
Family
ID=71526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7851A KR102134099B1 (ko) | 2019-06-10 | 2019-06-10 | 구난 무선 송신수단의 수상 부양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4099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88824A (ja) | 1988-01-23 | 1989-07-28 | Menikon:Kk | 含水性コンタクトレンズの染色方法及びそのための染色液 |
KR200235909Y1 (ko) * | 2001-04-12 | 2001-10-11 | 주식회사 텔웨이브 | 통신모듈이 수납된 케이싱의 배수트랩장치 |
KR20020024950A (ko) | 2000-09-27 | 2002-04-03 | 최진성 | 매출전표를 이용한 복권추첨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0401221Y1 (ko) * | 2005-09-06 | 2005-11-15 | 손행숙 | 구명 튜브 |
KR20080082753A (ko) | 2007-03-09 | 2008-09-12 | 천경환 | 휴대용 위치추적 비상튜브장치 |
KR20160038913A (ko) * | 2014-09-30 | 2016-04-08 | 종복 강 | 해상 조난신호의 발생 장치 |
-
2019
- 2019-06-10 KR KR1020190067851A patent/KR10213409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88824A (ja) | 1988-01-23 | 1989-07-28 | Menikon:Kk | 含水性コンタクトレンズの染色方法及びそのための染色液 |
KR20020024950A (ko) | 2000-09-27 | 2002-04-03 | 최진성 | 매출전표를 이용한 복권추첨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0235909Y1 (ko) * | 2001-04-12 | 2001-10-11 | 주식회사 텔웨이브 | 통신모듈이 수납된 케이싱의 배수트랩장치 |
KR200401221Y1 (ko) * | 2005-09-06 | 2005-11-15 | 손행숙 | 구명 튜브 |
KR20080082753A (ko) | 2007-03-09 | 2008-09-12 | 천경환 | 휴대용 위치추적 비상튜브장치 |
KR20160038913A (ko) * | 2014-09-30 | 2016-04-08 | 종복 강 | 해상 조난신호의 발생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428728T3 (es) | Dispositivo de flotación que comprende un dispositivo de iluminación | |
EP2594476B1 (en) | Passive safety system and personal equipment on vessels for man-overboard situations | |
US7056179B2 (en) | Combination inflator and manifold assembly | |
KR101301614B1 (ko) | 구명환이 탑재된 무선조종 보트 | |
US8920205B2 (en) | Personal floatation device | |
US5199374A (en) | Aerial location self-actuating emergency sea surface marker for capsized vessels | |
WO2015196098A1 (en) | Inflatable radar signal device | |
KR101389452B1 (ko) | 부유식 구명동의 위치추적장치 | |
KR102134099B1 (ko) | 구난 무선 송신수단의 수상 부양체 | |
EP3577020B1 (en) | Extensible life-preserving device | |
KR101272618B1 (ko) | 자동구명부표장치 | |
KR20170003144U (ko) | 위성발신 장치기반 수압식 보조 부양체 | |
US20180281909A1 (en) | Personal Floatation Device | |
US20040033740A1 (en) | Flotation device | |
CN109760802B (zh) | 一种使用便捷的安全可靠的船舶救生装置 | |
CN105083496B (zh) | 一种水难逃生潜囊 | |
CN110203364B (zh) | 海底高压管充气自救系统 | |
AU2020376974A1 (en) | Water safety belt | |
CN205076012U (zh) | 一种水难逃生潜囊 | |
KR200450136Y1 (ko) | 침몰선박 위치확인 및 구명 기능을 갖는 부표장치 | |
KR20170086284A (ko) | 휴대용 인명 구조장치 | |
KR102618346B1 (ko) | 해난 구조 장치 | |
KR101790080B1 (ko) | 물놀이용 안전 튜브장치 | |
KR20160010837A (ko) |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구명벌의 자동 탈착 장치 | |
US20140308860A1 (en) | Emergency devic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