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8913A - 해상 조난신호의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해상 조난신호의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8913A
KR20160038913A KR1020140130691A KR20140130691A KR20160038913A KR 20160038913 A KR20160038913 A KR 20160038913A KR 1020140130691 A KR1020140130691 A KR 1020140130691A KR 20140130691 A KR20140130691 A KR 20140130691A KR 20160038913 A KR20160038913 A KR 20160038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ess signal
air tube
generating
transceiver module
dist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3531B1 (ko
Inventor
종복 강
Original Assignee
종복 강
김경진
(주)엘케이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종복 강, 김경진, (주)엘케이시스템즈 filed Critical 종복 강
Priority to KR1020140130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531B1/ko
Publication of KR20160038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3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 G08B21/08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by monitoring a device worn by the person, e.g. a bracelet attached to the swimm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17Life-saving in water characterised by making use of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e.g.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해상 조난신호의 발생 장치는, 조난 대상의 선박 정보와 위성신호를 조난신호로서 발생하는 송수신기 모듈과, 상기 송수신기 모듈 상에 부착된 수평형 에어 튜브와, 상기 에어 튜브 상에 부착되며, 상기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송수신기 모듈로 전달하는 GPS 안테나와, 상기 에어 튜브 상에 부착되며, 상기 송수신기 모듈에서 발생된 조난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송신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상 조난신호의 발생 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DISTRESS SIGNAL AT SEA}
본 발명은 해상 구조를 위한 조난신호를 발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력 부재를 이용하여 개인용의 조난신호 발생기를 해상의 표면 위에 띄움으로써 구조 요청을 위한 위성신호 및 조난신호의 송수신 감도를 유지하는데 적합한 해상 조난신호의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등에 구비되는 개인용 조난 장비로는, 예컨대 GPS 위성으로부터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구분자(ID) 등과 함께 조난신호를 발생하는 구명조끼 착용형의 조난신호 발생기 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구명조끼에 착용하는 조난신호 발생기는 사람이 물(바다)에 빠지게 되면 수면 아래의 내려갈 수밖에 없는 구조인데, 이와 같이 조난신호 발생기가 어느 정도 깊이의 수면 아래로 잠기게 되면, 위성신호 및 조난신호의 송수신 감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유발된다.
따라서, 구명조끼에 착용한 조난신호 발생기가 수면 아래로 내려가지 않고 수면 위를 부유하도록 하는 기술적 수단이 필요한데, 현재로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어떠한 제안도 제시도 없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44088호(공개일: 2011. 04. 28)
본 발명은 송수신 안테나의 하단 부분에 부력 부재(에어 튜브)를 장착하여 송수신 안테나가 수면 아래로 내려가지 않고 수면 위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는 조난신호 발생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렉시블한 케이블을 연결 매개체로 하여 구명조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유동 자유롭게 연결될 수 있는 조난신호 발생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라, 조난 대상의 선박 정보와 위성신호를 조난신호로서 발생하는 송수신기 모듈과, 상기 송수신기 모듈 상에 부착된 수평형 에어 튜브와, 상기 에어 튜브 상에 부착되며, 상기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송수신기 모듈로 전달하는 GPS 안테나와, 상기 에어 튜브 상에 부착되며, 상기 송수신기 모듈에서 발생된 조난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송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해상 조난신호의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발생 장치는, 구명조끼의 전면부 일측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며, 사용자 탈거 조작을 통해 상기 구명조끼에 부착된 고정부재로부터 이탈함으로써, 플렉시블한 케이블을 연결 매개체로 하여 상기 구명조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유동 자유롭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GPS 안테나와 송신 안테나는, 상기 수평형 에어 튜브 상에 수직하게 부착된 수직형 에어 튜브의 일면에 도포된 각 안테나 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각 안테나 라인은, 페라이트 전도성 페인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수평형 에어 튜브와 수직형 에어 튜브는, 사용자 조작을 통한 충전 가스 팽창에 의해 동시에 자동 팽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난 대상의 선박 정보는, 선박의 일단에 부착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발생 장치는, 상기 송수신기 모듈에 전원을 선택 공급하는 배터리와, 물의 접촉이 감지될 때 상기 송수신기 모듈로의 전원 공급을 개시시키는 물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수평형 에어 튜브는, 상기 물의 접촉 감지에 반응한 충전 가스 팽창에 의해 자동 팽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발생 장치는, 구명조끼의 전면부 일측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며, 상기 물의 접촉 감지에 반응하여 상기 구명조끼에 부착된 고정부재로부터 자동 이탈함으로써, 플렉시블한 케이블을 연결 매개체로 하여 상기 구명조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유동 자유롭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송수신 안테나의 하단 부분에 부력 부재를 장착하여 송수신 안테나가 수면 아래로 내려가지 않고 수면 위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개인용 조난신호 발생기의 수면 아래 유입에 기인하는 송수신 감도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렉시블한 케이블을 연결 매개체로 하여 구명조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유동 자유롭게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조난신호 발생기가 수면 아래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난신호 발생 장치에 적용하는데 적합한 전기적 회로 블록의 일례를 보여주는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난신호 발생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난신호 발생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난신호 발생 장치를 말린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난신호 발생 장치를 구명조끼에 착용한 일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난신호 발생 장치에 적용하는데 적합한 전기적 표현 장치의 일례를 보여주는 블록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난신호 발생 장치의 구현을 위한 전기적 표현 장치는 물 센서 모듈(102), 제어부(104), 배터리(106), 송수신기 모듈(108), GPS 안테나(110), 송신 안테나(112), 수평형 에어 튜브(114) 및 수직형 에어 튜브(1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물 센서 모듈(102)은 물이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부(104)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물 센서 모듈(102)은 제품의 적용용도나 혹은 상업적 이유(예컨대, 저가형의 보급형 제품 등) 등에 따라 조난신호 발생 장치에 장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음에, 제어부(104)는, 예컨대 조난신호 발생 장치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물 센서 모듈(102)로부터 물 감지신호가 전달될 때 배터리(106)로부터의 전원을 송수신기 모듈(108), 수평형 에어 튜브(114) 및 수직형 에어 튜브(116) 등으로 공급 제어하고, 도시 생략된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조난 대상의 선박 정보를 인출하여 송수신기 모듈(108)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조난 대상의 선박 정보는, 예컨대 선박의 일단에 부착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로부터 획득된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기 모듈(108)은, 일례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형 에어 튜브(114)의 하단 부분에 장착될 수 있는 모듈로서, GPS 안테나(110)로부터 수신되는 위성신호(GPS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이 복조된 위성신호와 제어부(104)로부터 전달된 조난 선박의 선박 정보를 조합하여 조난신호(구조 요청신호)를 생성하며, 이와 같이 생성된 조난신호(구조 요청신호)를 무선 송출 가능한 신호로 변조하여 송신 안테나(112)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조난신호는 기 설정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생성되어 무선 송출될 수 있다.
또한, GPS 안테나(110)는 도시 생략된 GPS 위성으로부터 위성신호(GPS 신호)를 수신하여 송수신기 모듈(108)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송신 안테나(112)는 송수신기 모듈(108)로부터 전달되는 조난신호(GPS 신호와 조난 선박의 선박 정보를 포함하는 구조 요청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송출되는 조난신호는 400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GPS 안테나(110)와 송신 안테나(112)는, 일례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기 모듈(108) 위에 형성된 수평형 에어 튜브(114) 상에 수직하게 부착된 수직형 에어 튜브(116)의 일면에 도포된 각 안테나 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GPS 안테나(110)와 송신 안테나(112)는, 예컨대 페라이트 전도성 페인트의 도포(스크린 프린팅)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송수신기 모듈(108) 위에 형성된 수평형 에어 튜브(114)가 해수면 위로 뜨는 부력을 제공하고, 수평형 에어 튜브(114) 상에 수직하게 부착된 수직형 에어 튜브(116)가 GPS 안테나(110)와 송신 안테나(112)를 해수면 위로 노출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난신호 발생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난신호 발생 장치를 말린 상태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수평형 에어 튜브(114)와 수직형 에어 튜브(116)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물 센서 모듈(102)에 의한 물의 접촉 감지에 반응한 제어부(104)로부터의 전원 공급 제어에 의거하는 충전 가스 팽창에 의해 자동 팽창되는 방식으로 공기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는 달리, 본 발명은 항공기 등에서 사용하는 개인용 에어 튜브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줄을 당김(사용자 조작)으로써, 수평형 에어 튜브(114)와 수직형 에어 튜브(116)에 공기가 자동 주입되도록 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조난신호 발생 장치(520)는, 일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명조끼(510)의 전면부 일측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탈거 조작(예컨대, 줄 당김, 안전핀 제거 등)을 통해 구명조끼(510)에 부착된 고정부재(도시 생략)로부터 이탈함으로써, 플렉시블한 케이블(도시 생략)을 연결 매개체로 하여 구명조끼(510)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유동 자유롭게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조난신호 발생 장치(520)는, 사용자의 탈거 조작을 통해 구명조끼(510)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유동 자유롭게 연결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 센서 모듈에 의한 물의 접촉 감지에 반응하여 구명조끼(510)에 부착된 고정부재로부터 자동 이탈함으로써 플렉시블한 케이블을 연결 매개체로 하여 구명조끼(510)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유동 자유롭게 연결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조난신호 발생 장치(520)를 구명조끼(510)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유동 자유롭게 연결하는 이유는 바닷물에 빠진 사람이 착용한 구명조끼의 대부분이 바닷물에 잠수하더라고 GPS 안테나(110)와 송신 안테나(112)가 확실하게 해수 면 위로 부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8 : 송수신기 모듈 110 : GPS 안테나
112 : 송신 안테나 114 : 수평형 에어 튜브
116 : 수직형 에어 튜브

Claims (9)

  1. 조난 대상의 선박 정보와 위성신호를 조난신호로서 발생하는 송수신기 모듈과,
    상기 송수신기 모듈 상에 부착된 수평형 에어 튜브와,
    상기 에어 튜브 상에 부착되며, 상기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송수신기 모듈로 전달하는 GPS 안테나와,
    상기 에어 튜브 상에 부착되며, 상기 송수신기 모듈에서 발생된 조난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송신 안테나
    를 포함하는 해상 조난신호의 발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 장치는,
    구명조끼의 전면부 일측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며,
    사용자 탈거 조작을 통해 상기 구명조끼에 부착된 고정부재로부터 이탈함으로써, 플렉시블한 케이블을 연결 매개체로 하여 상기 구명조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유동 자유롭게 연결되는
    해상 조난신호의 발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GPS 안테나와 송신 안테나는,
    상기 수평형 에어 튜브 상에 수직하게 부착된 수직형 에어 튜브의 일면에 도포된 각 안테나 라인으로 구성되는
    해상 조난신호의 발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안테나 라인은,
    페라이트 전도성 페인트인
    해상 조난신호의 발생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형 에어 튜브와 수직형 에어 튜브는,
    사용자 조작을 통한 충전 가스 팽창에 의해 동시에 자동 팽창되는
    해상 조난신호의 발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난 대상의 선박 정보는,
    선박의 일단에 부착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로부터 획득되는
    해상 조난신호의 발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 장치는,
    상기 송수신기 모듈에 전원을 선택 공급하는 배터리와,
    물의 접촉이 감지될 때 상기 송수신기 모듈로의 전원 공급을 개시시키는 물 센서 모듈
    을 더 포함하는 해상 조난신호 발생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형 에어 튜브는,
    상기 물의 접촉 감지에 반응한 충전 가스 팽창에 의해 자동 팽창되는
    해상 조난신호의 발생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 장치는,
    구명조끼의 전면부 일측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며,
    상기 물의 접촉 감지에 반응하여 상기 구명조끼에 부착된 고정부재로부터 자동 이탈함으로써, 플렉시블한 케이블을 연결 매개체로 하여 상기 구명조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유동 자유롭게 연결되는
    해상 조난신호의 발생 장치.
KR1020140130691A 2014-09-30 2014-09-30 해상 조난신호의 발생 장치 KR101623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691A KR101623531B1 (ko) 2014-09-30 2014-09-30 해상 조난신호의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691A KR101623531B1 (ko) 2014-09-30 2014-09-30 해상 조난신호의 발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913A true KR20160038913A (ko) 2016-04-08
KR101623531B1 KR101623531B1 (ko) 2016-05-24

Family

ID=55907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691A KR101623531B1 (ko) 2014-09-30 2014-09-30 해상 조난신호의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5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732B1 (ko) * 2018-12-10 2019-05-23 블락스톤(주) 해상 조난신호 발신장치 및 발신방법
KR102134099B1 (ko) * 2019-06-10 2020-07-14 김민주 구난 무선 송신수단의 수상 부양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452B1 (ko) * 2012-03-12 2014-05-13 종합전자통신주식회사 부유식 구명동의 위치추적장치
KR101356022B1 (ko) * 2012-07-19 2014-01-29 에이피위성통신주식회사 위성 통신을 이용한 조난 위치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732B1 (ko) * 2018-12-10 2019-05-23 블락스톤(주) 해상 조난신호 발신장치 및 발신방법
WO2020122458A1 (ko) * 2018-12-10 2020-06-18 블락스톤 주식회사 해상 조난신호 발신장치 및 발신방법
AU2019397828B2 (en) * 2018-12-10 2022-09-29 Blakstone Co.,Ltd.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aritime distress signal
KR102134099B1 (ko) * 2019-06-10 2020-07-14 김민주 구난 무선 송신수단의 수상 부양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3531B1 (ko) 201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704B1 (ko) 해상 조난신호 송출기 및 이를 구비한 구명조끼
JP2008531984A (ja) 海の中の個人のための信号伝達/位置検出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CN102956089B (zh) 一种搜救终端和基于该搜救终端的水上搜救方法
KR101633347B1 (ko) 위치식별 비콘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자동 조난 신고 시스템
US20050012663A1 (en) System for locating a person having fallen overboard
CN104890836A (zh) 一种水上快速救生装置以及救生系统
US20170144737A1 (en) Underwater positioning system for scuba divers
US20190331754A1 (en) Location system for maritime beacon and associated methods
KR20180032848A (ko) V-pass 기반 개인휴대 위치발신장치를 활용한 해양수색구조 시스템 및 그 탐색 제어방법
US20130222142A1 (en) Emergency devices
US20230375652A1 (en) Emergency radio beacon remote activation system
JP3860430B2 (ja) 救難信号発信装置
KR101389452B1 (ko) 부유식 구명동의 위치추적장치
WO2020045798A1 (ko) 해상조난구조용 신호장치 및 해상조난구조용 감시장치
KR20160146390A (ko) 해난 구조용 스마트 밴드
KR101042045B1 (ko) 지피에스를 이용한 해상 인명 구조용 위치추적 시스템
KR101623531B1 (ko) 해상 조난신호의 발생 장치
JP2017095079A5 (ko)
KR20160054350A (ko) 조난신호 발생장치
KR20160049552A (ko) 신재생에너지 부표
KR102003240B1 (ko) 다중 해양 통신을 이용한 해양 인명 및 선박 조난사고 위치발견 및 구조 시스템
CN203149773U (zh) 应急示位装置
KR20160104498A (ko) Gps장착 구명조끼 및 스마트폰을 이용한 해난방지 안전 시스템
SG152107A1 (en) A uav for search and rescue
KR200399150Y1 (ko) 위치추적장치가 구비된 구명튜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