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4031B1 - Train Operation System Using Non-Stop Scheduling - Google Patents

Train Operation System Using Non-Stop Schedul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4031B1
KR102134031B1 KR1020180134377A KR20180134377A KR102134031B1 KR 102134031 B1 KR102134031 B1 KR 102134031B1 KR 1020180134377 A KR1020180134377 A KR 1020180134377A KR 20180134377 A KR20180134377 A KR 20180134377A KR 102134031 B1 KR102134031 B1 KR 102134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station
stop
trains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3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51877A (en
Inventor
이병훈
오세찬
최현영
백종현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34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031B1/en
Publication of KR20200051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8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0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1L27/00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10Operations, e.g. scheduling or time tables
    • B61L27/12Preparing sche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vehicle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vehicle t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노선 상에 연속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역; 및 노선에서 연속하여 주행하는 복수의 열차를 포함하는 열차군(train group)을 포함하되, 열차군의 각 열차는, 역 내의 플랫폼 상에 적어도 둘 이상 열차가 정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역 중 기준 역으로부터 소정의 역의 개수로 반복되는 정차통과 패턴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열차군 내의 다른 열차와 상이한 정차통과 패턴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역을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열차군의 열차 중 L번째 열차가 복수의 역 중 Q번째 역에서 정차하는 패턴을 가질 경우, L번째 열차에 후행하는 L+1번째 열차는 Q번째 역의 다음 역인 Q+1번째 역에서 정차하는 패턴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L번째 열차가 Q번째 역을 통과하는 패턴을 가질 경우, L+1번째 열차는 Q+1번째 역을 통과하는 패턴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Disclosed is a train operating system using non-stop schedu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plurality of stations arranged continuously on a route; And a train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trains continuously running on the route, wherein each train of the train group is configured so that at least two or more trains can stop on a platform in the station and among the plurality of stations. It is configured to have a stop passing pattern repeated from a reference station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stations, to have a different stop passing pattern from other trains in the train group, and to pass at least one station within one cycle of the stop passing pattern. When the L-th train among trains of the train group has a pattern of stopping at the Q-th station among a plurality of stations, the L+1 train that follows the L-th train is from the Q+1st station, the next station of the Q-th station. When the L-th train has a pattern passing through the Q-th station, the L+1-th train is configured to have a pattern passing through the Q+1-th station. Provide a train operating system using.

Figure R1020180134377
Figure R1020180134377

Description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Train Operation System Using Non-Stop Scheduling}Train Operation System Using Non-Stop Scheduling}

본 개시는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train operating system using non-stop scheduling.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e present disclosure and does not constitute a prior art.

종래에는, 열차 편성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두 열차 편성 간에 물리적인 결합 또는 분리가 이루어져야 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change train organization, physical coupling or separation has to be performed between two train combinations.

이러한 종래의 물리적 결합/분리 방식은, 선행열차가 정차된 상태에서 후행열차가 접근함으로써 연결기간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행해진다. 이때, 후행열차의 속도가 5km/h을 초과하게 될 경우, 연결기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물리적 결합/분리 방식은, 엄격한 운영절차에 의거하여 운영자의 수신호 등의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었다.Such a conventional physical coupling/separation method is performed while contact of a connecting period is made by approaching a succeeding train while the preceding train is stopped. At this time, if the speed of the trailing train exceeds 5 km/h, the connector may be damaged. Accordingly, the conventional physical coupling/separation method has been performed through manual operations such as operator hand signals based on strict operation procedures.

또한, 종래의 물리적 결합/분리 방식은 두 열차의 결합 및 분리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고, 이에 따라, 열차 운영 중에 분리 내지 결합을 수행 할 경우, 운전 시격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hysical coupling/separation method took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o combine and separate the two trains, and accordingly, when performing separation or coupling during train opera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adversely affects the driving time.

한편, 열차의 경우 측선이 없으므로, 앞 열차를 추월해서 운행할 수 없으며, 충분한 제동거리를 확보해야 하므로, 노선 스케줄링에 유연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train, there is no siding, so it cannot run past the train in front, and a sufficient braking distance needs to be secured, so it is difficult to secure flexibility in route scheduling.

이에, 본 개시는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을 통해 노선 상에 운영 중인 열차의 스케줄링에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열차운영 시스템의 전체 수송량을 증대시키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disclosure can secure flexibility in scheduling of trains operating on a route through a train operating system using non-stop scheduling, and through this, has a primary purpose to increase the overall transport amount of the train operating system.

또한, 본 개시는 열차간 가상 결합을 이용함으로써, 이용자 수요에 따라 가변적인 열차 편성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해, 인프라의 효율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하고 운영효율을 높이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has a primary purpose to enable variable train organization according to user demand by using virtual coupling between trains, thereby enabling efficient operation of the infrastructure and increasing operational efficiency.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노선 상에 연속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역; 및 노선에서 연속하여 주행하는 복수의 열차를 포함하는 열차군(train group)을 포함하되, 열차군의 각 열차는, 역 내의 플랫폼 상에 적어도 둘 이상 열차가 정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역 중 기준 역으로부터 소정의 역의 개수로 반복되는 정차통과 패턴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열차군 내의 다른 열차와 상이한 정차통과 패턴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역을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열차군의 열차 중 L번째 열차가 복수의 역 중 Q번째 역에서 정차하는 패턴을 가질 경우, L번째 열차에 후행하는 L+1번째 열차는 Q번째 역의 다음 역인 Q+1번째 역에서 정차하는 패턴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L번째 열차가 Q번째 역을 통과하는 패턴을 가질 경우, L+1번째 열차는 Q+1번째 역을 통과하는 패턴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plurality of stations arranged continuously on a route; And a train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trains continuously running on the route, wherein each train of the train group is configured so that at least two or more trains can stop on a platform in the station and among the plurality of stations. It is configured to have a stop passing pattern repeated from a reference station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stations, to have a different stop passing pattern from other trains in the train group, and to pass at least one station within one cycle of the stop passing pattern. When the L-th train among trains of the train group has a pattern of stopping at the Q-th station among a plurality of stations, the L+1 train that follows the L-th train is from the Q+1st station, the next station of the Q-th station When the L-th train has a pattern passing through the Q-th station, the L+1-th train is configured to have a pattern passing through the Q+1-th station. Provide a train operating system usin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노선 스케줄링에 유연성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열차운영 시스템의 전체 수송량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secure flexibility in route scheduling, thereby increasing the overall transport amount of the train operating system.

또한, 이용자 수요에 따라 가변적인 열차 편성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해, 인프라의 효율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train according to user demand, and through this, there is an effect of enabling efficient operation of the infrastructure.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차 스케줄링의 일 예시도이다.
도 3은 도2의 무정차 스케줄링에 따른 열차운영을 경과시간에 따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차 스케줄링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 코칭(slip coaching)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팅(tailgating)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적 열차 탐색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차통과 정보 제공부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전환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생성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생성부가 지연 열차군을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rain operating system using non-stop schedu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of non-stop schedu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rain operation according to the non-stop scheduling of FIG. 2 according to elapsed time.
4 is another exemplary diagram of non-stop schedu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n exemplary view of slip coac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n exemplary view of tailg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optimal train sear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n exemplary view of a stop pass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attern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attern gene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a pattern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ms a delay train group.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disclosu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codes such as first, second, i), ii), a), and b) may be used. These symbol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essence or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is not limited by the symbols. When a part in the specification refers to'include' or'equipment' a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explicitly stated to the contrary. .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10)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rain operating system 10 using non-stop schedu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을 참조하면,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10)은 복수의 역(110) 및 열차군(1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train operating system 10 using non-stop scheduling includes a plurality of stations 110 and a train group 120.

복수의 역(110)은 노선(11) 상에 연속되어 배치된다. 각 역(110)에는 열차(121)가 정차하여 승객들을 승차 또는 하차시킬 수 있는 플랫폼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tations 110 are continuously arranged on the route 11. Each station 110 may include one or more platforms on which the train 121 stops to board or unload passengers.

본 명세서에서, 노선(11)은 단일 노선을 의미한다. 국내 서울 지하철을 예로 들면, 노선(11)은 1호선, 2호선, 3호선 등의 여러 지하철 호선 중 하나의 호선일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route 11 means a single route. Taking the domestic Seoul subway as an example, the line 11 may be one of several subway lines such as Line 1, Line 2, and Line 3.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각 열차(121)들은 노선(11)에 포함된 모든 역(110)을 환승없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each train 121 is configured to move all stations 110 included in the route 11 without transfer.

국내 서울 지하철을 예로 들면, 인천역 및 수원역은 같은 1호선으로 지칭되지만, 지하철을 통해 인천역에서 수원역으로 가기 위해서는 구로역에서 수원 방향으로 가는 1호선 지하철로 환승해야 한다. 따라서, 인천역 및 수원역을 포함하는 노선은 본 개시의 노선(11)에 해당하지 않는다.Taking the domestic Seoul subway as an example, Incheon Station and Suwon Station are referred to as the same Line 1, but in order to go from Incheon Station to Suwon Station through the subway, you need to transfer from Guro Station to Subway Line 1 in the direction of Suwon. Accordingly, routes including Incheon Station and Suwon Station do not correspond to route 11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복수의 역(110)은 노선(11) 상에 배치된 모든 역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노선(11) 상에 배치된 역들 중 연속되는 일부의 역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stations 110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ll stations arranged on the route 1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some consecutive stations among stations arranged on the route 11. It might be.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노선(11)이 서울 지하철 3호선이라면, 복수의 역(110)은 대화역부터 오금역까지의 3호선 상의 모든 역들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그 중에 일부인, 고속터미널역부터 수서역까지의 역들만 포함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f the line 11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he Seoul Subway Line 3, the plurality of stations 110 may include all stations on Line 3 from Daehwa Station to Ogeum Station, but some of them are Express Terminal Station to Suseo Station It may contain only the stations up to.

열차군(train group, 120)은 노선(11)에서 연속하여 주행하는 복수의 열차(121)를 포함한다. 여기서, 열차가 연속하여 주행한다는 것은 열차군(120) 내에 포함된 두 열차 사이에 열차군(120) 내에 포함되지 않은 열차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The train group 120 includes a plurality of trains 121 running continuously on the route 11. Here, the continuous running of the train means that there is no train not included in the train group 120 between two trains included in the train group 120.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는 노선(11)에서 운행하는 서브 라인(sub-line)으로 해석될 수 있다.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may be interpreted as a sub-line operating on the route 11.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노선(11)이 서울 지하철 3호선이고 열차군(120) 내에 포함되는 열차(121)의 개수가 3이라고 가정하면,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는, 주행하는 순서대로, 3-1호선 열차, 3-2호선 열차, 3-3호선 열차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route 11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he Seoul Subway Line 3 and the number of trains 121 included in the train group 120 is 3, 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is, In the order of driving, it may be referred to as a 3-1 train, a 3-2 train, a 3-3 train, or the like.

후술되는 바와 같이,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는 상이한 정차통과 패턴을 가지므로, 3-1호선 열차, 3-2호선 열차, 3-3호선 열차 등은 서로 상이한 역에서 정차하고 상이한 역을 통과할 수 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since 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has a different stop pass pattern, trains 3-1, 3-2, 3-3, etc. stop at different stations. You can go through different stations.

한편, 본 명세서에서 열차(121)는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객차로 이루어진 한 편성의 열차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열차(121)의 개수는, 객차의 수가 아닌, 한 편성으로 운행되는 열차의 개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Meanwhi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rain 121 means a trai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arriages phys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for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number of trains 121 should be interpreted to mean the number of trains operated in one combination, not the number of passenger cars.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는 역(110) 내의 플랫폼 상에 적어도 둘 이상 열차가 정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정차 가능하다는 것은 플랫폼 상에서 승객들을 승차 및 하차시킬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is configured to stop at least two or more trains on a platform in the station 110. Here, being able to stop means a state in which passengers can get on and off on the platform.

예를 들어, 4번 열차(121D) 및 5번 열차(121E)는 역(110A) 내의 하나의 플랫폼 상에 정차할 수 있으며, 승객들은 1번 역(110A)의 플랫폼에서 각 열차(121D, 121E)에 승차하거나 하차할 수 있다.For example, trains 4D (121D) and train 5 (121E) may stop on one platform within the station (110A), and passengers may travel on each platform (121D, 121E) on the platform at station (110A). ).

그러나, 각 역(110)의 플랫폼에 반드시 둘 이상의 열차가 정차해야 되는 것은 아니며, 3번 열차(121C)와 같이, 2번 역(110B)의 플랫폼에 홀로 정차된 상태일 수도 있다. 이 경우, 3번 열차(121C)는 후행열차의 정차를 위해 2번 역(110B)의 플랫폼 상에서 앞 쪽 영역에 정차할 수 있다.However, two or more trains do not necessarily stop at the platform of each station 110, and may be in a state of being stopped alone on the platform of the second station 110B, such as the third train 121C. In this case, the train No. 3 121C may stop in the front area on the platform of the station No. 2 110B to stop the trailing train.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는 각 열차(121)에 선행하는 열차와 가상 결합(virtual coupling)하거나 가상 결합을 해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may b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virtual coupling or release of virtual coupling with a train preceding each train 121.

통상적으로, 열차는 선행열차를 추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선행열차의 후미 영역에 설정된 방호구간을 넘어서 주행하지 않도록 자열차의 이동권한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속도 프로파일을 설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In general, the train is designed to set the movement authority of the own train so as not to drive beyond the protection section set in the trailing area of the preceding train, and to set the speed profile accordingly, to prevent the preceding train from colliding.

본 명세서에서 가상 결합은, 열차가 선행열차의 후미 영역에 설정된 방호구간을 넘어 선행열차에 보다 근접한 상태로 주행하면서, 마치 한 편성의 열차인 것처럼, 선행열차와 함께 주행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virtual combination means a state in which a train can travel with a preceding train as if it is a train of one pair, while the train travels in a state closer to the preceding train beyond the protection section set in the trailing area of the preceding train.

예를 들어, 1번 열차(121A) 및 2번 열차(121B)는 가상 결합된 상태에서 2번 역(110B)과 3번 역(110C) 사이를 주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train 121A and the second train 121B may travel between the second station 110B and the third station 110C in a virtually coupled state.

두 열차 간의 가상 결합은 각 역(110)의 플랫폼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역과 역 사이에서 두 열차의 주행 중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virtual coupling between the two trains can be made on the platform of each station 110, but can also be made while the two trains are running between the station and the station.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는 복수의 역(110) 중 기준 역으로부터 소정의 역의 개수로 반복되는 정차통과 패턴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기준 역은 정차통과 패턴이 시점(start point)가 되는 역(110)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는 동일한 기준 역을 가진다.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is configured to have a stop passing pattern repeated from a reference station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stations among a plurality of stations 110. Here, the reference station means a station 110 at which a stop passing pattern is a start point, and 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has the same reference station.

또한,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는 열차군(120) 내의 다른 열차와 상이한 정차통과 패턴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one cycle)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역(110)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is configured to have a different stop passing pattern from other trains in the train group 120, and at least one station within one cycle of the stop passing pattern ( 110).

본 명세서에서 정차통과 패턴(stop-skip pattern)은 열차군(120)의 각 열차가(121)가 특정한 역에 정차하거나 특정한 역을 통과하는 것을 패턴으로 나타낸 것을 지칭한다.In this specification, a stop-skip pattern refers to a pattern in which 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stops at a specific station or passes through a specific station.

예를 들어, A열차가 "정차/정차/통과"의 패턴의 3개의 역을 주기로 하는 정차통과 패턴을 가지고 기준 역이 A역이라고 가정하면, A열차는 A역에서 정차하고, A역의 다음 역인 B역에서 정차하며, B역의 다음 역인 C역에서는 정차하지 않고 통과하게 된다. 정차통과 패턴의 주기는 3개 역이므로, 다시, C역의 다음 역인 D역부터 "정차/정차/통과"의 패턴을 반복하게 된다.For example, if train A has a stop-passing pattern with three stations of the pattern of "stop/stop/pass", and the reference station is station A, train A stops at station A and follows station A. It stops at station B, and passes at station C, which is the next station after station B. Since the period of the stop passing pattern is three stations, the pattern of "stop/stop/pass" is repeated from D station, the next station of C station.

본 개시에 따른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10)은 열차군(120) 내에 포함된 각 열차(121)가 서로 상이하면서 일 주기 내에 적어도 하나의 통과역을 포함하는 정차통과 패턴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전체 수송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정차통과 패턴은 다음의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The train operating system 10 using non-stop schedu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llows each train 121 included in the train group 120 to have a stop pass pattern including at least one pass station within one cycle while being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total transport. The stop passing pattern can be generated through the following algorithm.

우선, 열차군(120) 내에 포함되는 열차(121)의 개수(N)는 3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열차(121)의 개수는 한 편성으로 운행되는 열차의 개수를 의미한다.First, the number N of trains 121 included in the train group 120 may be set to 3 or more. Here, the number of trains 121 means the number of trains operated in one combination.

또한,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one cycle) 내에 포함되는 역의 개수는 열차군(120) 내에 포함되는 열차(121)의 개수(N)와 동일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stations included in one cycle of the stop pass pattern may be set to be the same as the number N of trains 121 included in the train group 120.

또한,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가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 내에서 정차하는 역의 개수(S)는 열차군(121) 내에 포함되는 열차(121)의 개수의 절반(N/2)보다 크도록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stations (S) that 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stops within one cycle of the stop pass pattern is half of the number of trains 121 included in the train group 121 (N/ It can be set to be larger than 2).

각 역(110)에는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가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 내에서 정차하는 역의 개수(S)와 동일한 개수의 열차(121)가 정차하고,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 내에서 서로 인접하여 주행하는 열차군(120) 내의 두 열차(121)가 만나게 되는 역의 개수는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가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 내에서 정차하는 역의 개수(S)의 두 배에서 열차군(120) 내에 포함되는 열차(121)의 개수(N)를 뺀 것(2S-N)과 동일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At each station 110, the train 121 having the same number of trains as the number of stations (S) at which 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stops within one cycle of the stopping pass pattern stops, and The number of stations in which two trains 121 in the train group 120 traveling adjacent to each other in one cycle meet is the station in which 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stops within one cycle of the pass-through pattern. It can be set to be the same as (2S-N) minus the number (N) of the train 121 included in the train group 120 from twice the number of (S).

이 경우, 역(110) 내의 플랫폼 상에 정차할 수 있는 열차(121)의 개수는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 내에서 서로 인접하여 주행하는 열차군(120) 내의 두 열차(121)가 만나게 되는 역의 개수에 1을 더한 값(2S-N+1)과 동일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number of trains 121 that can be stopped on the platform in the station 110 is the station where the two trains 121 in the train group 120 traveling adjacent to each other within one cycle of the stop-pass pattern meet. It may be equal to the value (2S-N+1) obtained by adding 1 to the number of.

상술한 알고리즘 의해 생성된 정차통과 패턴을 열차운영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 열차의 전체 수송량이 증대될 수 있는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the stop passing pattern generated by the above-described algorithm is applied to the train operating system, the total transport amount of the train may be increased,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우선, 역에서 종래의 열차가 정차하는 시간간격을 T라고 종래 열차의 한 편성의 수송량을 C라고 놓는다.First, the time interval at which a conventional train stops at a station is set to T, and the amount of transportation of one train of the conventional train is set to C.

계산의 편의를 위해,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의 한 편성은 종래 열차의 한 편성의 절반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의 한 편성의 수송량은 C/2가 된다.For convenience of calculation, it is assumed that one combination of 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is half of one combination of the conventional train. In this case, the transport amount of one pair of trains 121 of the train group 120 is C/2.

또한, 열차군(120) 내의 각 열차(121) 사이의 운행간격은 종래 열차의 운행간격과 동일하다고 가정한다.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operation interval between each train 121 in the train group 120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nventional train.

상술한 알고리즘에 의하면, 열차군(120)의 모든 열차(121)가 임의의 한 역(110)을 모두 지나는 주기는 (N-S)*T가 된다. 이때, 열차군(120)의 모든 열차(121)의 단위시간당 수송량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algorithm, the cycle through which all trains 121 of the train group 120 pass through any one station 110 is (N-S)*T. At this time, the transport amount per unit time of all trains 121 of the train group 120 is calculated as follows.

<수학식 1><Equation 1>

한 편성당 수송량 * 열차군 내에 포함된 열차의 수 * 1/주기Transport per piece * Number of trains included in train group * 1/cycle

= C/2 * N * 1/{(N-S)*T}= C/2 * N * 1/{(N-S)*T}

= N/{2(N-S)} * C/T= N/{2(N-S)} * C/T

상술한 알고리즘에 의하면, N-S<N/2이므로, N/{2(N-S)}>1의 관계가 성립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N/{2(N-S)} * C/T > C/T의 관계가 성립하게 되므로,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10)은, 수송량 관점에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algorithm, since N-S<N/2, a relationship of N/{2(N-S)}>1 is established. As a result, since the relationship of N/{2(N-S)} * C/T> C/T is established, the train operating system 10 using non-stop scheduling has an advantage in terms of transportation amount.

또한, 단위시간당 수송량은 열차의 평균 이동속도와도 관계가 있으며, 플랫폼의 길이 변화 없이도 수송량이 증가 했으므로, 열차의 평균 이동속도가 종래의 열차와 비교하여 증가했다고 볼 수 있다.In addition, the amount of transport per unit time is also related to the average moving speed of the train, and since the amount of transportation increased without changing the length of the platform, it can be seen that the average moving speed of the train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rain.

상술한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된 정차통과 패턴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상세히 기술된다.The stop passing patterns genera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algorithm ar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차 스케줄링의 일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diagram of non-stop schedu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구체적으로 도 2는, 상술한 알고리즘 상에서 열차군(120) 내에 포함되는 열차(121)의 개수(N)가 3이고,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가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 내에서 정차하는 역의 개수(S)는 2인 경우의 스케줄링을 도시한 것이다.Specifically, in FIG. 2, the number (N) of trains 121 included in the train group 120 in the above-described algorithm is 3, and 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is within one cycle of a stop pass pattern. The number of stations stopping at (S) shows scheduling in the case of 2.

이 경우,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가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 내에서 정차하는 역의 개수(S)는 2이므로, 열차군(120) 내에 포함되는 열차(121)의 개수(N)가 3의 절반(N/2)인 1.5보다 크다.In this case, since the number (S) of stations that 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stops within one cycle of the stop pass pattern is 2, the number of trains 121 included in the train group 120 ( N) is greater than 1.5, which is half of 3 (N/2).

도 2를 참조하면, 열차군(120)에 포함된 열차(121)의 개수는 3이므로,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 내에 포함되는 역의 개수는 3이다.Referring to FIG. 2, since the number of trains 121 included in the train group 120 is 3, the number of stations included in one cycle of the stop passing pattern is 3.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는 첫 번째 편성인 1번 열차(121A), 두 번째 편성인 2번 열차(121B), 및 세 번째 편성인 3번 열차(121C)를 포함하며, 각 열차는 1번 열차부터 2번 열차, 3번 열차의 순서로 일정한 운행 간격으로 1번 역(110A)으로 투입된다. 이때, 열차군(120)의 각 열차의 정차통과 패턴의 기준 역은 1번 역(110A)이 된다.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includes the first train No. 1 121A, the second train No. 2 train 121B, and the third train No. 3 train 121C, each Trains are put into station 1A at regular intervals in the order of trains 1 to 2, and 3 trains. At this time, the reference station of the stop passage pattern of each train of the train group 120 is the first station 110A.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는 서로 상이한 정차통과 패턴을 가진다. 예를 들어, 1번 열차(110A)는 1번 역(110A)에서 3번 역(110C)까지 "정차/정차/통과"의 정차통과 패턴(A11-1)을 가지고, 2번 열차(121B)는 "통과/정차/정차"의 정차통과 패턴(B11-1)을 가지며, 3번 열차(121C)는 "정차/통과/정차"의 정차통과 패턴(C11-1)을 가진다. 즉, 1번 내지 3번 열차(121A, 121B, 121C)는 서로 상이한 정차통과 패턴을 가진다.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has a different stop passing pattern. For example, train #1 110A has a stop pattern (A11-1) of "stop/stop/pass" from station #110A to station #110C, train #2 121B Has a stop pass pattern (B11-1) of "pass/stop/stop", and train 3 (121C) has a stop pass pattern (C11-1) of "stop/pass/stop". That is, trains 1 to 3 (121A, 121B, 121C) have different stop passing patterns.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 내에 포함되는 역의 개수는 3이므로, 각 열차(121)는 4번 역(110D)에서 6번 역(110F)까지의 정차통과 패턴은 1번 역(110A)에서 3번 역(110C)까지의 정차통과 패턴과 동일하다.Since the number of stations included in one cycle of the stop-through pattern is 3, each train 121 has a stop-pass pattern from station 4 (110D) to station 6 (110F) 3 times at station 1 (110A). It is the same as the stop pass pattern to the station 110C.

예를 들어, 1번 열차(121A)의 4번 역(110D)에서 6번 역(110F)까지의 정차통과 패턴(A11-2)은 "정차/정차/통과"로서, 1번 열차(121A)의 1번 역(110A)에서 3번 역(110C)까지의 정차통과 패턴(A11-1)과 동일하다.For example, the stop passing pattern (A11-2) from station 4 (110D) to station 6 (110F) of train 1 (121A) is "stop/stop/pass", and train 1 (121A) It is the same as the stop pass pattern (A11-1) from the 1st station (110A) to the 3rd station (110C).

각 역(110)에는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가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 내에서 정차하는 역의 개수(S)와 동일한 개수의 열차(121)가 정차해야 하므로, 각 역(110)에 정차하는 열차의 개수는 2가 된다.At each station 110, 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must stop at the same number of trains 121 as the number (S) of stations that stop within one cycle of the stop-through pattern. The number of trains stopping at 110) is 2.

예를 들어, 1번 역(110A)에서는 1번 열차(121A) 및 3번 열차(121C)가 정차하고, 2번 역(110B)에서는 1번 열차(121A) 및 2번 열차(121B)가 정차하며, 3번 역(110C)에서는 2번 열차(121B) 및 3번 열차(121C)가 정차한다. 즉, 각 역(110A, 110B, 110C)에서는 두 개의 열차(121)가 정차하게 된다.For example, train #1 121A and train #121C stop at station #110A, train #1 121A and train #121B stops at station #110B. At station 3 (110C), train 2 (121B) and train 3 (121C) stop. That is, at each station 110A, 110B, 110C, two trains 121 stop.

도 3은 도2의 무정차 스케줄링에 따른 열차운영을 경과시간에 따라 나타낸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rain operation according to the non-stop scheduling of FIG. 2 according to elapsed time.

도 3의 표에서 경과시간의 단위 시간간격은,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가 순서대로 투입되는 시간, 즉, 운행 간격과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In the table of FIG. 3, the unit time interval of the elapsed time is assumed to be the same as the time at which 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is sequentially input, that is, the operating interval.

또한, 경과시간의 단위 시간간격은,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가 하나의 역에서 출발하여 다음 역에 도착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동일하고, 각 열차(121)가 특정 역에서 정차할 때 정차하는 시간과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In addition, the unit time interval of the elapsed time, the time it takes for 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to depart from one station and arrive at the next station is the same, and each train 121 will stop at a specific station. It is assumed that it is the same as the time to stop.

도 3을 참조하면, 경과시간 1에서, 1번 열차(121A)가 1번 역(110A)에 투입된다.Referring to FIG. 3, at the elapsed time 1, train No. 1 121A is put into station No. 1 110A.

경과시간 2에서, 2번 열차(121B)가 1번 역(110A)에 투입된다. 1번 열차(121A)는 1번 역(110A)에서 정차해야 하므로, 여전히 1번 역(110A) 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1번 열차(121A)는 정차를 마치고 2번 역(110B)으로 출발하기 시작한다.At elapsed time 2, train No. 2 121B is put into station No. 1 10A. Train #1 121A must stop at station #110A, so it is still located on station #110A. At this time, the first train 121A stops and starts to depart to the second station 110B.

2번 열차(121B)는 1번 역(110A)을 통과해야 하므로, 1번 역(110A)에서 정차하지 않는다. 이때, 2번 열차(121B)는 2번 역(110B)으로 출발하는 1번 열차(121A)와 가상 결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러한 경우를 테일게이팅(tailgating)이라 지칭한다. 테일게이팅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과 관련하여 기술된다.Train No. 2 121B must pass through Station No. 110A, so it does not stop at Station No. 110A. At this time, the second train 121B may be virtually combined with the first train 121A departing from the second station 110B. In this specification, this case is referred to as tailgat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tail gating i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FIG. 6.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경과시간 3에서, 3번 열차(121C)가 1번 역(110A)에 투입된다. 1번 열차(121A) 및 2번 열차(121B)는 가상 결합된 상태에서, 함께 주행하여, 2번 역(110B)에 도착하게 된다.Referring again to FIG. 3, at the elapsed time 3, train No. 3 121C is put into station No. 1 110A. The first train 121A and the second train 121B travel together in a virtually coupled state and arrive at the second station 110B.

경과시간 4에서, 3번 열차(121C)는 1번 역(110A)에서 정차해야 하므로, 여전히 1번 역(110A) 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3번 열차(121C)는 정차를 마치고 2번 역(110B)으로 출발하기 시작한다.At elapsed time 4, train 3C 121C must stop at station 1110A, so it is still located on station 1110A. At this time, train 3C 121C stops and starts to depart to station 2B 110B.

1번 열차(121A) 및 2번 열차(121B)는 2번 역(110B)에서 정차해야 하므로, 여전히 2번 역(110B) 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1번 열차(121A) 및 2번 열차(121B)는 정차를 마치고 3번 역(110C)으로 출발하기 시작한다.Since trains 121A and 121B have to stop at station 2110B, they are still located on station 2110B. At this time, the first train 121A and the second train 121B stop at the stop and start to depart from the third station 110C.

경과시간 5에서, 3번 열차(121C)는 2번 역(110B)을 통과해야 하므로, 2번 역(110B)에서 정차하지 않는다.At elapsed time 5, train 3C 121C must pass through station 2110B, so it does not stop at station 2110B.

1번 열차(121A) 및 2번 열차(121B)는 가상 결합된 상태에서, 함께 주행하여, 3번 역(110C)에 도착하게 된다. 1번 열차(121A)는 3번 역(110C)을 통과하고 2번 열차(121B)는 3번 역(110C)에서 정차해야 하므로, 1번 열차(121A)와 2번 열차(121C)는 가상 결합을 해제한다.The first train 121A and the second train 121B travel together in a virtually coupled state and arrive at the third station 110C. Since train 1(121A) passes through station 3(110C) and train 2(121B) must stop at station 3(110C), train 1(121A) and train 2(121C) are virtually combined Release it.

경과시간 6에서, 3번 열차(121C)는 2번 역(110B)을 통과하여 3번 역(110C)에 도착한다.At elapsed time 6, train No. 3 (121C) passes through station No. 2 (110B) and arrives at station No. 3 (110C).

2번 열차(121B)는 1번 열차(121A)와 가상 결합을 해제하여 그대로 3번 역(110C)에 정차하고, 1번 열차(121A)는 감속 없이 그대로 3번 역(110C)을 통과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러한 경우를 슬립 코칭(slip coaching)이라 지칭한다. 슬립 코칭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와 관련하여 기술된다.The second train 121B stops the virtual coupling with the first train 121A and stops at the third station 110C, and the first train 121A passes the third station 110C without deceleration. In this specification, this case is referred to as slip coach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slip coaching i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FIG. 5.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경과시간 6에서, 1번 열차(121A)는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인 3개의 역을 지나 다시 4번 역(110D)에 진입하게 된다. 이에 따라, 경과시간 6부터는 다시 경과시간 1과 동일한 패턴의 열차운영이 반복된다.Referring back to FIG. 3, at the elapsed time 6, train 1A 121A passes through three stations that are one cycle of a stop-passing pattern and enters station 4D 110D again. Accordingly, from the elapsed time 6, the train operation of the same pattern as the elapsed time 1 is repeated.

상술한 정차통과 패턴 생성 알고리즘에 따르면,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 내에서 서로 인접하여 주행하는 열차군(120) 내의 두 열차(121)가 만나게 되는 역의 개수는,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가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 내에서 정차하는 역의 개수(S)의 두 배에서 열차군(120) 내에 포함되는 열차(121)의 개수(N)를 뺀 값, 즉, 1이어야 한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stop passing pattern generation algorithm, the number of stations where two trains 121 in the train group 120 traveling adjacent to each other within one cycle of the stop passing pattern meet is the number of trains in the train group 120 It should be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number (N) of trains 121 included in the train group 120 from twice the number of stations (S) at which 121 stops within one cycle of the stop pass pattern, that is, 1 .

예를 들어,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인 1번 역(110A)에서 3번 역(110C)까지를 살펴보면, 1번 열차(121A)와 2번 열차(121B)는 경과시간 2에서 1번 역(110A)에서 만나며, 2번 열차(121B)와 3번 열차(121C)는 경과시간 6에서 3번 역(110C)에서 만난다.For example, if you look at stations 1A (110A) to station 3 (110C), which is one cycle of the stop pass pattern, trains 1A and 121A are trains 2 to 1 Meet at 110A), and train 2 (121B) and train 3 (121C) meet at station 3 (110C) in the elapsed time 6.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차 스케줄링의 다른 예시도이다.4 is another exemplary diagram of non-stop schedu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구체적으로 도 4는, 상술한 알고리즘 상에서 열차군(120) 내에 포함되는 열차(121)의 개수(N)가 5이고,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가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 내에서 정차하는 역의 개수(S)는 3인 경우의 스케줄링을 도시한 것이다.Specifically, in FIG. 4, the number (N) of trains 121 included in the train group 120 in the above-described algorithm is 5, and 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is within one cycle of a stop pass pattern. The number of stations stopping at (S) shows scheduling in the case of 3.

이 경우,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가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 내에서 정차하는 역의 개수(S)는 3이므로, 열차군(120) 내에 포함되는 열차(121)의 개수(N)가 3의 절반(N/2)인 2.5보다 크다.In this case, the number (S) of stations that 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stops within one cycle of the stop pass pattern is 3, so the number of trains 121 included in the train group 120 ( N) is greater than 2.5, which is half of 3 (N/2).

도 4를 참조하면, 열차군(120)에 포함된 열차(121)의 개수는 5이므로,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 내에 포함되는 역의 개수는 5이다.Referring to FIG. 4, since the number of trains 121 included in the train group 120 is 5, the number of stations included in one cycle of the pass passing pattern is 5.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는 1번 열차(121A), 2번 열차(121B), 3번 열차(121C), 4번 열차(121D), 및 5번 열차(121E)를 포함하며, 각 열차는 1번 열차부터 2, 3, 4 및 5번 열차의 순서로 일정한 운행 간격으로 1번 역(110A)으로 투입된다. 이때, 열차군(120)의 각 열차의 정차통과 패턴의 기준 역은 1번 역(110A)이 된다.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includes the first train 121A, the second train 121B, the third train 121C, the fourth train 121D, and the fifth train 121E, , Each train is put into station 1 (A) at regular intervals from train 1 to trains 2, 3, 4 and 5. At this time, the reference station of the stop passage pattern of each train of the train group 120 is the first station 110A.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는 서로 상이한 정차통과 패턴을 가진다. 예를 들어, 1번 열차(110A)는 1번 역(110A)에서 3번 역(110C)까지 "정차/통과/정차/통과/정차"의 정차통과 패턴(A12-1)을 가지고, 2번 열차(121B)는 "정차/정차/통과/정차/통과"의 정차통과 패턴(B13-1)을 가지며, 3번 열차(121C)는 "통과/정차/정차/통과/정차"의 정차통과 패턴(C12-1)을 가진다. 또한, 4번 열차(121D)는 "정차/통과/정차/정차/통과"의 정차통과 패턴(D12-1)을 가지고, 5번 열차(121E)는 "통과/정차/통과/정차/정차"의 정차통과 패턴(E12-1)을 가진다. 즉, 1번 내지 5번 열차(121A, 121B, 121C, 121D, 121E)는 서로 상이한 정차통과 패턴을 가진다.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has a different stop passing pattern. For example, train 1A 110A has a stop pass pattern (A12-1) of "stop/pass/stop/pass/stop" from station 1 (110A) to station 3 (110C), number 2 The train 121B has a stop passing pattern (B13-1) of "stop/stop/pass/stop/pass", and train No. 3 121C has a stop pass pattern of "pass/stop/stop/stop/pass/stop" (C12-1). In addition, train No. 4 (121D) has a stop pass pattern (D12-1) of "stop / pass / stop / stop / pass", train 5 (121E) "pass / stop / pass / stop / stop" It has a stop pass pattern of (E12-1). That is, trains 1 to 5 (121A, 121B, 121C, 121D, 121E) have different stop passing patterns.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 내에 포함되는 역의 개수는 5이므로, 각 열차(121)는 6번 역(110F)에서 10번 역(110J)까지의 정차통과 패턴은 1번 역(110A)에서 5번 역(110E)까지의 정차통과 패턴과 동일하다.Since the number of stations included in one cycle of the stop-pass pattern is 5, each train 121 has stop stop patterns from station 6 (110F) to station 10 (110J) 5 times at station 1 (110A). It is the same as the stop pass pattern to the station 110E.

예를 들어, 1번 열차(121A)의 6번 역(110F)에서 10번 역(110J)까지의 정차통과 패턴(A12-2)은 "정차/통과/정차/통과/정차"로서, 1번 열차(121A)의 1번 역(110A)에서 5번 역(110E)까지의 정차통과 패턴(A12-1)과 동일하다.For example, the stop passing pattern (A12-2) from the 6th station (110F) to the 10th station (110J) of the 1st train 121A is "stop/pass/stop/stop/pass/stop", It is the same as the stop pass pattern (A12-1) from the station No. 1 (110A) to the station No. 5 (110E) of the train 121A.

각 역(110)에는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가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 내에서 정차하는 역의 개수(S)와 동일한 개수의 열차(121)가 정차해야 하므로, 각 역(110)에 정차하는 열차의 개수는 3가 된다.At each station 110, 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must stop at the same number of trains 121 as the number (S) of stations that stop within one cycle of the stop-through pattern. The number of trains that stop at 110) is 3.

예를 들어, 1번 역(110A)에서는 1번 열차(121A), 2번 열차(121B) 및 4번 열차(121C)가 정차하고, 2번 역(110B)에서는 2번 열차(121B), 3번 열차(121C) 및 5번 열차(121E)가 정차한다.For example, at station 110A, trains 1, 121A, 2, 121B, and 4, 121C stop, and at station 2, 110B, train 2, 121B, 3 Trains 121C and 5E 121E stop.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정차통과 패턴 생성 알고리즘에 따르면, 열차군(120)의 열차(121) 중 L번째 열차가 복수의 역(110) 중 Q번째 역에서 정차하는 패턴을 가질 경우, L번째 열차에 후행하는 L+1번째 열차는 Q번째 역의 다음 역인 Q+1번째 역에서 정차하는 패턴을 가지고, L번째 열차가 Q번째 역을 통과하는 패턴을 가질 경우, L+1번째 열차는 Q+1번째 역을 통과하는 패턴을 가지는 규칙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2 and 4,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op passing pattern generation algorithm, the L-th train among the trains 121 of the train group 120 has a pattern of stopping at the Q-th station among the plurality of stations 110. In the case of the L+1 train following the L train, the train stops at the Q+1 station, the next station of the Q station, and the L+1 train has a pattern passing through the Q st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train has regularity with a pattern passing through the Q+1 station.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예로 들면, 1번 열차(121A)가 1번 역(110A)에서 정차하게 되면, 2번 열차(121B)는 2번 역(110B)에서 정차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2번 열차(121B)가 2번 역(110B)에서 정차하게 되므로, 3번 열차(121C)는 3번 역(110C)에서 정차하게 되고, 4번 열차(121D) 및 5번 열차(121E)는 4번 역(110D) 및 5번 역(110E)에서 각각 정차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stops at the first train 121A at the first station 110A, the second train 121B stops at the second station 110B. Likewise, since train No. 2 121B stops at station No. 2 110B, train No. 3 121C stops at station No. 3 110C, train No. 4 121D, and train No. 5 121E ) Will stop at station 4 (110D) and station 5 (110E), respectively.

반대로, 1번 열차(121A)가 2번 역(110A)을 통과하게 되면, 2번 열차(121B)는 3번 역(110C)을 통과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2번 열차(121B)가 3번 역(110C)을 통과하게 되므로, 3번 열차(121C)는 4번 역(110D)을 통과하게 되고, 4번 열차(121D) 및 5번 열차(121E)는 5번 역(110D) 및 6번 역(110E)을 각각 통과하게 된다.Conversely, when the first train 121A passes the second station 110A, the second train 121B passes the third station 110C. Likewise, since train No. 2 121B passes through station No. 3 110C, train No. 3 121C passes through station No. 4 110D, train No. 4 121D, and train No. 5 121E ) Will pass through station 5 (110D) and station 6 (110E), respectively.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 코칭(slip coaching)의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of slip coac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명세서에서, 슬립 코칭(slip coaching)이란, 가상 결합하여 주행 중인 두 열차가 특정 역에 진입할 때, 후행열차는 특정 역에서 정차하는 패턴을 가지고 선행열차는 특정 역을 통과하는 패턴을 가지는 경우, 가상 결합을 해제하고 후행열차는 특정 역에 정차하고 선행열차는 정차 또는 감속 없이 특정 역을 통과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slip coaching is a case where two trains running in virtual combination enter a specific station, and the trailing train has a pattern of stopping at a specific station and the preceding train has a pattern of passing through a specific station. It means that the virtual train is released, the trailing train stops at a specific station, and the preceding train passes through a specific station without stopping or decelerating.

도 5을 참조하면, 복수의 역(110)은 제1역(112)을 포함할 수 있고, 열차군(120)은 제1열차(123) 및 제1열차(123)에 선행하는 제2열차(12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 plurality of stations 110 may include a first station 112, and the train group 120 is a second train preceding the first train 123 and the first train 123. It may include (124).

도 5(a)를 참조하면, 가상 결합된 제1열차(123) 및 제2열차(124)는 제1역(112)에 진입할 수 있다.5(a), the virtually coupled first train 123 and the second train 124 may enter the first station 112.

도 5(b)를 참조하면, 제1열차(123) 및 제2열차(124)는 제1열차(123)와 제2열차(124) 사이의 가상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가상 결합의 해제는, 두 열차(123, 124)가 제1역(112)에 진입하기 이전에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제1역(112)을 진입한 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5( b), the first train 123 and the second train 124 may release the virtual coupling between the first train 123 and the second train 124. The release of the virtual combination may be performed before the two trains 123 and 124 enter the first station 112, but may also be made after entering the first station 112.

도 5(c)를 참조하면, 제1열차(123)는 제1역(112)에 정차하고 제2열차(124)는 제1역(112)을 통과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c), the first train 123 may stop at the first station 112 and the second train 124 may pass through the first station 112.

본 개시에 따른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10)은, 열차군(120) 내의 두 열차(123, 124)가 가상 결합하여 역에 진입할 때, 가상 결합을 해제하도록 하는 슬립 코칭을 도입함으로써 자연스러운 정차 내지 통과를 가능하게 하고, 이로써, 열차운영에 있어서 전체 수송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train operating system 10 using non-stop schedu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ntroduces slip coaching to release virtual coupling when two trains 123 and 124 in the train group 120 enter the station by virtual combination. It is possible to naturally stop or pass, and thereby,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total transport amount in train operation.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팅(tailgating)의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view of tailg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명세서에서, 테일게이팅(tailgating)이란, 후행열차가 특정 역에 진입하고 선행열차가 특정 역에 위치할 때, 후행열차는 특정 역을 통과하는 패턴을 가지고 선행열차는 특정 역에 정차하는 패턴을 가지는 경우, 선행열차는 특정 역 내에서 서행 추진하고 후행열차는 선행열차와 가상 결합하여, 선행열차와 함께, 정차 또는 감속 없이 특정 역을 통과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tailgating means that when a trailing train enters a specific station and the preceding train is located at a specific station, the trailing train has a pattern passing through a specific station and the preceding train stops at a specific station. In the case of having, the preceding train is pushed forward in a specific station, and the succeeding train is virtually combined with the preceding train to mean passing through the specific station together with the preceding train without stopping or decelerating.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역(110)은 제2역(114)을 포함할 수 있고, 열차군(120)은 제3열차(125) 및 제3열차(125)에 선행하는 제4열차(126)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 plurality of stations 110 may include a second station 114, and the train group 120 is a fourth train preceding the third train 125 and the third train 125. (126).

도 6(a)를 참조하면, 제3열차(125)는 제2역(114)에 진입하고 제4열차(126)는 제2역(114) 내에 위치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6(a), the third train 125 enters the second station 114 and the fourth train 126 is located within the second station 114.

도 6(b)를 참조하면, 제4열차(126)는 제2역(114) 내에서 서행 추진할 수 있다. 제3열차(124)는 제2역(114) 내에서 정차하거나 감속 없이 그대로 주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b), the fourth train 126 may be propelled slowly within the second station 114. The third train 124 may stop within the second station 114 or travel as it is without deceleration.

도 6(c)를 참조하면, 제3열차(125)는 제2역(114) 내에서 서행 추진하는 제4열차(126)와 가상 결합하고 제4열차(126)와 가상 결합된 상태에서 제2역(114)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6(c), the third train 125 is virtually coupled to the fourth train 126 propelling slowly within the second station 114 and is virtually coupled to the fourth train 126. It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wo stations 114.

본 개시에 따른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10)은, 열차군(120) 내의 두 열차(125, 126), 구체적으로, 특정 역을 통과하는 열차(125)와 특정 역 내에서 정차 후 서행 추진하는 열차(126) 사이에 가상 결합 후 주행하는 테일게이팅을 도입함으로써 자연스러운 주행을 가능하게 하고, 이로써, 열차운영에 있어서 전체 수송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train operating system 10 using the non-stop schedu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two trains 125 and 126 in the train group 120, specifically, a train 125 passing through a specific station and a stop within a specific station, and then slowing down By introducing a tail gating that runs after virtual coupling between the propulsive trains 126, natural driving is possible, and thus,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total transport amount in train operation.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적 열차 탐색부(710)를 나타낸 구성도이다.7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optimal train search unit 7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7을 참조하면,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10)은 최적 열차 탐색부(710) 및 사용자 단말(72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train operating system 10 using non-stop scheduling may include an optimal train search unit 710 and a user terminal 720.

최적 열차 탐색부(710)는 복수의 역(110) 중 출발 역 및 도착 역의 정보를 제공받도록 구성된다.The optimal train search unit 710 is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of a departure station and an arrival station among a plurality of stations 110.

최적 열차 탐색부(710)는 출발 역 및 도착 역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열차군(120) 내에 포함된 열차(121) 중 출발 역으로부터 도착 역까지 최단 시간으로 도달할 수 있는 열차를 계산하도록 구성된다.The optimum train search unit 710 is configured to calculate a train that can reach the shortest time from the departure station to the arrival station among trains 121 included in the train group 120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departure station and the arrival station do.

사용자 단말(720)에는 열차 탐색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열차 탐색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720)에 출발 역 및 정차 역을 입력할 수 있다.A train search application may b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720. The user may input a departure station and a stop station to the user terminal 720 through the train search application.

예를 들어, 사용자는, 열차 탐색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사용자 단말(720)에 표시된 버튼(722, 724)을 터치할 수 있다. 버튼(722, 724)을 터치하면 복수의 역(110)을 포함하는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리스트에서 목표로 하는 출발 역 및 정차 역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출발 역 및 정차 역의 정보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최적 열차 탐색부(710)에 전달될 수 있다.For example, after executing the train search application, the user may touch buttons 722 and 724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720. When the buttons 722 and 724 are touched, a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stations 110 may be displayed, and a user may select a target departure station and a stop station from the list. The information of the departure station and the stop station selected by the user may be transmitted to the optimal train search unit 710 through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사용자 단말(720)은 스마트 폰, 컴퓨터, 태블릿 PC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user terminal 720 may be a smart phone, a computer, or a tablet PC, but is not limited thereto.

사용자 단말(720)에는 위치정보 수신부가 구비될 수 있다. 위치정보 수신부는 GPS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user terminal 720 may be provided with a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will generally include a GPS module,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위치정보 수신부는 와이파이(wi-fi) 모듈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위치정보 수신부는, 역(110) 내에 구비된 서버와 통신하거나 역(110) 인근에 배치된 비콘의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72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may include a Wi-Fi module or a Bluetooth module. In this case,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may acquire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720 by communicating with a server provided in the station 110 or receiving a location signal of a beacon disposed near the station 110.

사용자는 열차 탐색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위치정보 획득 버튼(726)을 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720)은 위치정보 수신부를 이용하여 획득한 사용자 단말(720)의 위치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위치하거나 사용자에 가장 근접한 역을 출발 역으로서 최적 열차 탐색부(710)에 전달할 수 있다.The user may touch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button 726 after running the train search application.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720 transmits to the optimal train search unit 710 the station where the user is located or closest to the user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720 obtaine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as the departure station. Can.

최적 열차 탐색부(710)는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의 위치정보 및 정차통과 패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출발 역으로부터 도착 역까지 최단 시간으로 도달할 수 있는 열차들을 계산하고, 계산된 결과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720)에 전달할 수 있다.The optimal train search unit 710 calculates and calculates trains that can reach the shortest time from the departure station to the arrival statio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top pass pattern information of 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The result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720 through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최적 열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사용자 단말(720)은 최적 열차 탐색부(71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사용자 단말(72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720)의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는 열차(121)가 도착 역에 도착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및 열차(121)가 도착 역에서 출발 역까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720 on which the optimum train application is executed may displa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ptimum train search unit 710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720.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720 may include the time it takes for the train 121 to arrive at the arrival station and the time the train 121 is expected to take from the arrival station to the departure station. .

본 개시에 따른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는 서로 상이한 정차통과 패턴을 가지므로, 열차군(120)의 특정 열차는 사용자가 목표로 하는 도착 역에 정차하지 않을 수 있다.Since 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has a different stop pass pattern, a specific train of the train group 120 may not stop at the arrival station targeted by the user.

본 개시에 따른 최적 열차 탐색부(710)는 사용자가 목적으로 하는 출발 역 및 도착 역 모두에 정차하는 열차(121)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optimal train search unit 71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has an effect of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train 121 that stops at both the departure station and the arrival station of the user's purpose.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가 가지는 정차통과 패턴은, 후술되는 패턴 전환부(도 9의 910)에 의해, 다른 정차통과 패턴으로 변경될 수 있다. 최적 열차 탐색부(710)는 변경된 정차통과 패턴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정차통과 패턴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변경된 정차통과 패턴을 적용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p passing pattern of 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changed to another stop passing pattern by a pattern switching unit (910 in FIG. 9) described below. The optimal train search unit 71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on the changed stop pass pattern, update information on the stop pass pattern, and transmit information to which the changed stop pass pattern is applied to the user.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차통과 정보 제공부(810)의 예시도이다.8 is an exemplary view of a stop pass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8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역(110)은 제3역을 포함하고,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10)은 제3역 내에 배치된 정차통과 정보 제공부(81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 plurality of stations 110 includes a third station, and the train operating system 10 using non-stop scheduling may include a stop pass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810 disposed in the third station. .

정차통과 정보 제공부(810)는 열차군(120) 내에 포함된 열차(121) 중 제3역으로 진입하는 하나 이상의 열차(121)의 정차역 및 통과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The stop pass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810 is configured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stops and passing stations of one or more trains 121 entering the third station among the trains 121 included in the train group 120.

예를 들어, 정차통과 정보 제공부(810)는, 일반적으로 역 내에 설치되는 행선 안내 게시기(train destination indicator)와 같이, 제3역 내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제3역으로 진입하는 열차(121)의 정차역 및 통과역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top pass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810 is a train 121 that is installed in a third station and enters a user at the third station, such as a train destination indicator installed in the station. It can be configured to visuall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stop and pass stations.

정차통과 정보 제공부(810)는 현재 제3역으로 진입하고 있는 열차 중 제3역에 가장 근접해 있는 열차에 대한 정보(811, 812)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top pass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81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information 811 and 812 about the train closest to the third station among trains currently entering the third station.

정차통과 정보 제공부(810)는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의 정차역 및 통과역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열차(121)의 정차역은 점등(814)하고 통과역은 소등(813)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The stop pass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81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stop and pass stations of 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In this case, the stops of each train 121 are configured to light 814 and the passing stations are turned off 813,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그러나, 본 개시의 정차통과 정보 제공부(810)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역으로 진입하는 열차(121)의 정차역 및 통과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면, 정차통과 정보 제공부(810)는 그러한 실시예를 가질 수도 있다.However, the stop pass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810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8, and can provide information on stops and passing stations of the train 121 entering the third station , The stop pass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810 may have such an embodiment.

본 개시에 따른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는 서로 상이한 정차통과 패턴을 가지므로, 열차군(120)의 특정 열차는 사용자가 목표로 하는 도착 역에 정차하지 않을 수 있다.Since 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has a different stop pass pattern, a specific train of the train group 120 may not stop at the arrival station targeted by the user.

본 개시에 따른 정차통과 정보 제공부(810)는 열차군(120) 내의 각 열차(121)의 정차역 및 통과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top pass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81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has an effect of providing convenience to a user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stops and passing stations of each train 121 in the train group 120.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가 가지는 정차통과 패턴은, 후술되는 패턴 전환부(도 9의 910)에 의해, 다른 정차통과 패턴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정차통과 정보 제공부(810)는 변경된 정차통과 패턴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정차통과 패턴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변경된 정차통과 패턴을 적용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p passing pattern of 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changed to another stop passing pattern by a pattern switching unit (910 in FIG. 9) described below. The stop pass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81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changed stop passing pattern, update information about the stop passing pattern, and transmit information to which the changed stop passing pattern is applied to the user.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전환부(91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attern switching unit 9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9를 참조하면,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10)은 패턴 전환부(910) 및 관제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train operating system 10 using non-stop scheduling may include a pattern switching unit 910 and a control unit 920.

패턴 전환부(910)는 열차군(120) 내에 포함되는 열차(121)의 수를 변경하거나 열차군(120) 내의 각 열차(121)의 정차통과 패턴을 다른 정차통과 패턴으로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pattern switching unit 910 is configured to change the number of trains 121 included in the train group 120 or to change the stop pass pattern of each train 121 in the train group 120 to another stop pass pattern. .

예를 들어, 패턴 전환부(910)는 도 2에 도시된 스케줄링(N = 3, S = 2)에서 도 4에 도시된 스케줄링(N = 5, S = 3)으로 정차통과 패턴을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열차군(120)에 포함된 열차(121)의 개수는 3에서 5로 변경된다.For example, the pattern switching unit 910 may change the stop passing pattern from the scheduling shown in FIG. 2 (N = 3, S = 2) to the scheduling shown in FIG. 4 (N = 5, S = 3). . In this case, the number of trains 121 included in one train group 120 is changed from 3 to 5.

관제부(920)는 노선(11) 상에 운영 중인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 및 복수의 역(110)의 상태를 감시하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920 is configured to monitor the states of each train 121 and the plurality of stations 110 of the train group 120 operating on the route 11.

관제부(920)는, 각 열차(121) 및 역(110)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하여, 패턴 전환부(910)에 열차군(120) 내에 포함되는 열차(121)의 수를 변경하거나 열차군(120) 내의 각 열차(121)의 정차통과 패턴을 다른 정차통과 패턴으로 변경할 것을 명령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920 changes the number of trains 121 included in the train group 120 in the pattern switching unit 910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f each train 121 and the station 110 or trains It is possible to command to change the stop pass pattern of each train 121 in the group 120 to another stop pass pattern.

본 개시에 따른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10)은, 패턴 전환부(910)를 통해,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의 정차통과 패턴을 다른 정차통과 패턴으로 변경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열차운영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스케줄링을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train operating system 10 using the non-stop schedu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change the stop passing pattern of 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to another stop passing pattern through the pattern switching unit 910,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flexibly change the scheduling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train.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생성부(101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attern generator 10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0을 참조하면,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10)은 패턴 생성부(101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train operating system 10 using non-stop scheduling may include a pattern generator 1010.

패턴 생성부(1010)는 노선(11) 상에서 주행 중인 복수의 일반주행 열차(1020)에 대해 열차군(121)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열차군(120) 내에 포함된 각 열차(121)에 대해 정차통과 패턴을 부여하도록 구성된다.The pattern generator 1010 may set a train group 121 for a plurality of general running trains 1020 running on the route 11, and for each train 121 included in the set train group 120 It is configured to give a stop passing pattern.

반대로, 패턴 생성부(1010)는 열차군(120) 내에 포함된 복수의 열차(121)에 대해 정차통과 패턴을 해제하고 열차군(120) 내에 포함된 복수의 열차(121)를 일반 주행 열차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Conversely, the pattern generation unit 1010 releases a stop-passing pattern for a plurality of trains 121 included in the train group 120 and converts the plurality of trains 121 included in the train group 120 into a general driving train. It is configured to switch.

본 명세서에서, 일반주행 열차(1020)는 열차군(120)에 포함되지 않은 열차를 의미한다. 따라서, 일반주행 열차(1020)는 정차통과 패턴을 가지지 않으며, 노선(11) 상의 모든 역에 정차하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general running train 1020 means a train that is not included in the train group 120. Therefore, the general running train 1020 does not have a stop pass pattern, and is configured to stop at all stations on the route 11.

관제부(920)는 노선(11) 상에 운영 중인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또는 일반주행 열차) 및 복수의 역(110)의 상태를 감시하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920 is configured to monitor the state of each train 121 (or a regular running train) and a plurality of stations 110 of the train group 120 operating on the route 11.

관제부(920)는,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또는 일반주행 열차) 및 역(110)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하여, 패턴 생성부(1010)에 주행 중인 복수의 일반주행 열차(1020)에 대해 열차군(121)을 설정하거나 열차군(120) 내에 포함된 복수의 열차(121)에 대해 정차통과 패턴을 해제할 것을 명령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920 is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of each train 121 (or general running train) and the station 110 of the train group 120, and a plurality of general driving running in the pattern generating unit 1010 It is possible to set the train group 121 for the train 1020 or to release the stop passing pattern for the plurality of trains 121 included in the train group 120.

본 개시에 따른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10)은, 패턴 생성부(1010)를 통해, 열차군(120)의 각 열차(121)를 일반주행 열차(1020)로 전환하거나 일반주행 열차를 열차군(120) 내에 포함되는 열차(121)로 전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열차운영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스케줄링을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train operating system 10 using non-stop schedu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converts each train 121 of the train group 120 into a regular running train 1020 or converts a regular running train through the pattern generation unit 1010. It is possible to switch to the train 121 included in the train group 120,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flexibly change the scheduling according to the train operating situation.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생성부(1010)가 지연 열차군(1120)을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노선(11) 상에 배치된 복수의 역(110)을 생략하였다.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pattern generation unit 10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ms a delay train group 1120. In FIG. 11,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plurality of stations 110 arranged on the route 11 is omitted.

패턴 생성부(1010)는, 노선(11) 상에서 열차간 지연이 발생된 경우, 지연이 발생된 열차 중 최전방에 위치한 적어도 둘 이상의 열차에 대해 지연 열차군(1120)을 설정할 수 있다.The pattern generator 1010 may set a delay train group 1120 for at least two or more trains located in the foremost of the trains where the delay is generated when a delay between trains occurs on the route 11.

이 경우, 패턴 생성부(1010)는 지연 열차군(1120) 내에 포함된 각 열차(1121)에 대해 정차통과 패턴을 부여하여 지연 열차군(1120)과 지연 열차군(1120)의 전방에 위치한 열차 사이에서 발생된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is case, the pattern generating unit 1010 gives a stop passing pattern to each train 1121 included in the delayed train group 1120, so that the train located in front of the delayed train group 1120 and the delayed train group 1120 The delay generated in between can be reduced. The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1 as follows.

도 11(a)를 참조하면, 노선(11)의 특정 영역(E)에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여 열차간에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문제가 발생한 영역(E)을 전후로, 1번 열차(1121A)와 2번 열차(1121B) 사이에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a), a problem may occur in a specific area E of the route 11, and a delay may occur between trains. Specifically, a delay may occur between the first train 1121A and the second train 1121B before and after the problem zone E.

2번 열차(1121B)가 정차 내지 서행 운행함으로써 2번 열차(1121C)에 후행하는 열차(1121C, 1121D, 1121E)들 간에도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A delay occurs between trains 1121C, 1121D, and 1121E following train 2, 1121C, because train 2112B stops or slows.

도 11(b)를 참조하면, 관제부(920)는 노선(11) 상에 열차간 지연이 발생된 것을 파악한 후, 패턴 생성부(1010)에 지연 열차군(1120)을 생성할 것을 명령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b), the control unit 920 determines that a delay between trains has occurred on the route 11, and then instructs the pattern generation unit 1010 to generate the delay train group 1120. Can.

패턴 생성부(1010)는 지연이 발생된 열차 중 최전방에 위치한 3개의 열차, 즉, 2번 열차(1121B), 3번 열차(1121C), 및 4번 열차(1121D)에 대해 지연 열차군(1120)을 설정할 수 있다.The pattern generating unit 1010 is a group of delayed trains 1120 for three trains located at the foremost of the trains where the delay has occurred, that is, trains 2112B, 3 1112C, and 4 1112D. ) Can be set.

이 경우, 패턴 생성부(1010)는 지연 열차군(1120) 내에 포함된 각 열차(1121)에 대해 정차통과 패턴을 부여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pattern generation unit 1010 provides a stop passing pattern for each train 1121 included in the delay train group 1120.

도 11(c)를 참조하면, 지연 열차군(1120) 내에 포함된 각 열차(1121)들은 각 열차(1121)가 가지는 정차통과 패턴을 이용하여 주행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11(c), each train 1121 included in the delayed train group 1120 is driven using a stop passing pattern of each train 1121.

정차통과 패턴 적용할 경우, 열차군(1120) 내에 포함된 열차(1121)들의 수송량이 증가하면서 평균 이동속도 또한 증가하게 되므로, 1번 열차(1121A)와 2번 열차(1121B) 간격은 줄어들게 된다. 즉, 열차 사이에서 발생된 지연이 감소될 수 있다.When the stop pass pattern is applied, since the average moving speed increases as the transport amount of the trains 1121 included in the train group 1120 increases,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train 1121A and the second train 1121B decreases. That is, the delay generated between trains can be reduced.

관제부(920)는 노선(11) 상에 열차간 지연이 완화된 것을 파악한 후, 패턴 생성부(1010)에 지연 열차군(1120)을 해제할 것을 명령할 수 있다.After determining that the delay between trains has been alleviated on the route 11, the control unit 920 may instruct the pattern generation unit 1010 to release the delayed train group 1120.

패턴 생성부(1010)는 2번 열차(1121B), 3번 열차(1121C), 및 4번 열차(1121D)에 적용된 지연 열차군(1120)을 해제하고, 지연 열차군(1120)의 각 열차(1121B, 1121C, 1121D)를 일반주행 열차로 전환할 수 있다.The pattern generator 1010 releases the delay train group 1120 applied to the train 2112B, train 3112C, and train 1121D, and each train of the train 1120 delayed ( 1121B, 1121C, 1121D) can be converted into a regular train.

본 개시에 따른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10)은, 패턴 생성부(1010)를 통해, 지연 열차군(1120)을 설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열차간 지연이 발생한 경우에도, 유연하게 스케줄링을 변경하여 열차간 지연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train operating system 10 using the non-stop schedu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can set the delay train group 1120 through the pattern generation unit 1010, thereby flexibly scheduling even when a delay between trains occurs.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delay between trains by changing.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may be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spirit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110: 역 120: 열차군 121: 열차
710: 최적 열차 탐색부 810: 정차통과 정보 제공부 910: 패턴 전환부
1010: 패턴 생성부
110: station 120: train group 121: train
710: optimum train search unit 810: stop pass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910: pattern switching unit
1010: pattern generation unit

Claims (14)

노선 상에 연속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역; 및
상기 노선에서 연속하여 주행하는 복수의 열차를 포함하는 열차군(train group)을 포함하되,
상기 열차군의 각 열차는,
상기 역 내의 플랫폼 상에 적어도 둘 이상 열차가 정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역 중 기준 역으로부터 소정의 역의 개수로 반복되는 정차통과 패턴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열차군 내의 다른 열차와 상이한 정차통과 패턴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one cycle)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역을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열차군의 열차 중 L번째 열차가 상기 복수의 역 중 Q번째 역에서 정차하는 패턴을 가질 경우, 상기 L번째 열차에 후행하는 L+1번째 열차는 상기 Q번째 역의 다음 역인 Q+1번째 역에서 정차하는 패턴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L번째 열차가 상기 Q번째 역을 통과하는 패턴을 가질 경우, 상기 L+1번째 열차는 상기 Q+1번째 역을 통과하는 패턴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
A plurality of stations arranged consecutively on a route; And
It includes a train group (train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trains running continuously on the route,
Each train of the above train group,
It is configured to stop at least two or more trains on a platform in the station and has a stop passing pattern repeated from a reference station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stations among the plurality of stations, and different stops from other trains in the train group It is configured to have a passage pattern and is configured to pass at least one station within one cycle of the stop passing pattern,
When the Lth train among the trains of the train group has a pattern of stopping at the Qth station among the plurality of stations, the L+1th train following the Lth train is Q+1th, the next station of the Qth station. It is configured to have a pattern that stops at the station,
When the L-th train has a pattern passing through the Q-th station, the L+1-th train is configured to have a pattern passing through the Q+1-th station
Train operating system using a non-stop scheduling, characterized b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군 내에 포함되는 열차의 개수는 3 이상이고,
상기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 내에 포함되는 역의 개수는 상기 열차군 내에 포함되는 열차의 개수와 동일하고,
상기 열차군의 각 열차가 상기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 내에서 정차하는 역의 개수는 상기 열차군 내에 포함되는 열차의 개수의 절반보다 크고,
각 역에는 상기 열차군의 각 열차가 상기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 내에서 정차하는 역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열차가 정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 내에서 서로 인접하여 주행하는 상기 열차군 내의 두 열차가 만나게 되는 역의 개수는 상기 열차군의 각 열차가 상기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 내에서 정차하는 역의 개수의 두 배에서 상기 열차군 내에 포함되는 열차의 개수를 뺀 것과 동일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number of trains included in the train group is 3 or more,
The number of stations included in one cycle of the stop passing pattern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trains included in the train group,
The number of stations each train of the train group stops within one cycle of the stop passing pattern is greater than half of the number of trains included in the train group,
Each station is configured to stop the same number of trains as the number of stations where each train of the train group stops within one cycle of the stop passing pattern,
The number of stations in which two trains in the train group traveling adjacent to each other within one cycle of the stop-pass pattern meet is two of the number of stations in which each train of the train group stops within one cycle of the stop-pass pattern. The same as the ship minus the number of trains included in the train group
Train operating system using a non-stop scheduling, characterized b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군의 각 열차는 각 열차에 선행하는 열차와 가상 결합(virtual coupling)하거나 가상 결합을 해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Each train of the train group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virtual coupling or release of virtual coupling with a train preceding each train
Train operating system using a non-stop scheduling, characterized b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역은 제1역을 포함하고,
상기 열차군은 제1열차 및 상기 제1열차에 선행하는 제2열차를 포함하되,
가상 결합된 상기 제1열차 및 상기 제2열차는 상기 제1역에 진입할 때, 상기 제1열차와 상기 제2열차 사이의 가상 결합을 해제하고 상기 제1열차는 상기 제1역에 정차하고 상기 제2열차는 상기 제1역을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plurality of stations includes a first station,
The train group includes a first train and a second train preceding the first train,
When the first train and the second train virtually coupled enter the first station, release the virtual coupling between the first train and the second train, and the first train stops at the first station. The second train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first station
Train operating system using a non-stop scheduling, characterized b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역은 제2역을 포함하고,
상기 열차군은 제3열차 및 상기 제3열차에 선행하는 제4열차를 포함하되,
상기 제3열차는 상기 제2역에 진입하고 상기 제4열차는 상기 제2역 내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제3열차는 상기 제2역 내에서 서행 추진하는 상기 제4열차와 가상 결합하고 상기 제4열차와 가상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역을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plurality of stations includes a second station,
The train group includes a third train and a fourth train preceding the third train,
When the third train enters the second station and the fourth train is located within the second station, the third train is virtually coupled to the fourth train propelling slowly within the second station and the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station in a virtually coupled state with a four train
Train operating system using a non-stop scheduling, characterized b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 내의 플랫폼 상에 정차할 수 있는 열차의 개수는,
상기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 내에서 서로 인접하여 주행하는 상기 열차군 내의 두 열차가 만나게 되는 역의 개수에 1을 더한 값과 동일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number of trains that can be stopped on the platform in the station,
The same value as 1 plus the number of stations where two trains in the train group meet adjacent to each other within one cycle of the stop pass pattern.
Train operating system using a non-stop scheduling, characterized b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군 내에 포함되는 열차의 개수는 5이고,
상기 열차군의 각 열차가 상기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 내에서 정차하는 역의 개수는 3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number of trains included in the train group is 5,
The number of stations in which each train of the train group stops within one cycle of the stopping pass pattern is 3
Train operating system using a non-stop scheduling, characterized b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군 내에 포함되는 열차의 개수는 3이고,
상기 열차군의 각 열차가 상기 정차통과 패턴의 일 주기 내에서 정차하는 역의 개수는 2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number of trains included in the train group is 3,
The number of stations in which each train of the train group stops within one cycle of the stopping pass pattern is 2
Train operating system using a non-stop scheduling, characterized b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역 중 출발 역 및 도착 역의 정보를 제공받도록 구성된 최적 열차 탐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최적 열차 탐색부는 상기 출발 역 및 상기 도착 역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열차군 내에 포함된 열차 중 상기 출발 역으로부터 상기 도착 역까지 최단 시간으로 도달할 수 있는 열차를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n optimum train search unit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of a departure station and an arrival station among the plurality of stations is further included,
The optimum train search unit is configured to calculate a train that can reach the shortest time from the departure station to the arrival station among trains included in the train group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departure station and the arrival station
Train operating system using a non-stop scheduling, characterized by.
제9항에 있어서,
위치정보 수신부 가 구비된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최적 열차 탐색부는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에서 생성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출발 역의 정보를 제공받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user terminal equipped with a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The optimal train search unit is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of the departure statio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generat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Train operating system using a non-stop scheduling, characterized b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역은 제3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3역 내에 배치된 정차통과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정차통과 정보 제공부는,
상기 열차군 내에 포함된 열차 중 상기 제3역으로 진입하는 하나 이상의 열차의 정차역 및 통과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stations includes a third station,
Further comprising a stop passing information provided in the third station,
The stop pass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It is configured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stops and passing stations of one or more trains entering the third station among trains included in the train group
Train operating system using a non-stop scheduling, characterized b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군 내에 포함되는 열차의 수를 변경하거나 상기 열차군 내의 각 열차의 정차통과 패턴을 다른 정차통과 패턴으로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된 패턴 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attern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change the number of trains included in the train group or to change the stop pass pattern of each train in the train group to another stop pass pattern
Train operating system using a non-stop scheduling, characterized b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선 상에서 주행 중인 복수의 일반주행 열차에 대해 상기 열차군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열차군 내에 포함된 각 열차에 대해 정차통과 패턴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패턴 생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패턴 생성부는 상기 열차군 내에 포함된 복수의 열차에 대해 정차통과 패턴을 해제하고 상기 열차군 내에 포함된 복수의 열차를 일반주행 열차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attern generating unit configured to set the train group for a plurality of general running trains running on the route and to give a stop pass pattern for each train included in the set train group,
The pattern generating unit is configured to release a stop passing pattern for a plurality of trains included in the train group and convert the plurality of trains included in the train group into a regular running train.
Train operating system using a non-stop scheduling, characterized by.
제13항에 있어,
상기 패턴 생성부는,
상기 노선 상에서 열차간 지연이 발생된 경우, 상기 지연이 발생된 열차 중 최전방에 위치한 적어도 둘 이상의 열차에 대해 지연 열차군을 설정하고 상기 지연 열차군 내에 포함된 각 열차에 대해 정차통과 패턴을 부여하여 상기 지연 열차군과 상기 지연 열차군의 전방에 위치한 열차 사이에서 발생된 지연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차 스케줄링을 이용한 열차운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3,
The pattern generation unit,
When a delay between trains occurs on the route, a delayed train group is set for at least two or more trains located in the foremost of the trains where the delay has occurred, and a stop pass pattern is given to each train included in the delayed train group. Configured to reduce the delay generated between the delayed train group and a train located in front of the delayed train group
Train operating system using a non-stop scheduling, characterized by.
KR1020180134377A 2018-11-05 2018-11-05 Train Operation System Using Non-Stop Scheduling KR1021340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377A KR102134031B1 (en) 2018-11-05 2018-11-05 Train Operation System Using Non-Stop Schedul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377A KR102134031B1 (en) 2018-11-05 2018-11-05 Train Operation System Using Non-Stop Schedul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877A KR20200051877A (en) 2020-05-14
KR102134031B1 true KR102134031B1 (en) 2020-07-15

Family

ID=70737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377A KR102134031B1 (en) 2018-11-05 2018-11-05 Train Operation System Using Non-Stop Schedul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03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97757B2 (en) 2011-10-19 2015-04-08 三菱電機株式会社 Travel plan creation device and automatic train oper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251B1 (en) * 2014-05-07 2016-04-0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Method of intelligent train scheduling
KR101618434B1 (en) * 2014-05-19 2016-05-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A System for non-stop operating of tram at the intersection and Method thereof
WO2016147212A1 (en) * 2015-03-13 2016-09-22 株式会社 東芝 Train operation diagram correction device and train operation diagram correction progra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97757B2 (en) 2011-10-19 2015-04-08 三菱電機株式会社 Travel plan creation device and automatic train oper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877A (en)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26962B (en) Train control system
US8977414B2 (en) Train control system
CN110070707A (en) A method of realizing that cooperating type adaptive learning algorithms fleet forms a team and separates
CN110281986A (en) Train rail section locking time calculation method based on quasi-moving block
JP201104236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eed in automatic train operation
CN205706664U (en) A kind of means of transportation
CN103764478A (en) Stopping-time calculation module
US93761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vehicle consist
KR102134031B1 (en) Train Operation System Using Non-Stop Scheduling
CN115762229A (en) Multi-vehicle type vehicle station-entering guiding method, system, equipment and medium for dynamic berth allocation
WO2019091066A1 (en) Signa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sending messages of large-number turnouts by using an existing active transponder
CN109774745A (en) A kind of Splitting Control of train, device and medium
US10030336B2 (en) Conveyor system for transporting articles
RU2693357C1 (en) Method for interval control of train movement and system for its implementation
JP2010136561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ain operation
CN109436013A (en) Bullet train does not slow down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assenger&#39;s transportation by lighter technology in way station
KR101370399B1 (en) Station control system for personal rapid transit
RU2450946C1 (en) Automatic system to uncouple cars on hump yard
JP3663303B2 (en) Vehicl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vehicle operation support device
US11590990B2 (en) Cable transportation system comprising a st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cable transportation system
KR101502565B1 (en) Personal Rapid Transit Vehicle Vertical Transfer Using Propulsion Device
CN205010229U (en) Railway conveyor system
CN108263390A (en) A kind of railway enters the station the system of waiting
CN1092580C (en) Transporting equipment pulled by cable
JP2009009440A (en) Unmanned carri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