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977B1 - 악취 누설 방지용 음식물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악취 누설 방지용 음식물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977B1
KR102133977B1 KR1020200018929A KR20200018929A KR102133977B1 KR 102133977 B1 KR102133977 B1 KR 102133977B1 KR 1020200018929 A KR1020200018929 A KR 1020200018929A KR 20200018929 A KR20200018929 A KR 20200018929A KR 102133977 B1 KR102133977 B1 KR 102133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heck valve
inlet
food waste
seal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송구
Original Assignee
이송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152680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13397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송구 filed Critical 이송구
Priority to KR1020200018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65F2001/1676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relating to means for sealing the lid or cover, e.g. against escaping od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7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1Ventilating means, e.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뚜껑 개폐에 따라 자동으로 본체 내부의 공기가 배기되거나 본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게 하여, 뚜껑 밀폐 시 본체 내부를 진공(또는 진공 유사) 상태로 만들어 악취의 발생 및 누설을 방지함과 동시에, 공기 유입을 통해 뚜껑의 개방을 쉽게 할 수 있는 악취 누설 방지용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악취 누설 방지용 음식물 쓰레기통은,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투입구를 밀폐하되, 일측 배기구와 타측 급기구, 상기 배기구의 상면을 덮는 제1 체크밸브와 상기 급기구의 하면을 덮는 제2 체크밸브를 구비한 뚜껑;을 포함하여, 상기 뚜껑을 닫을 때 상기 제1 체크밸브가 개방되면서 상기 제2 체크밸브가 밀폐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가 상기 배기구를 통해 뚜껑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뚜껑을 열 때 상기 제1 체크밸브가 밀폐되면서 상기 제2 체크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뚜껑 외부의 공기가 상기 급기구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악취 누설 방지용 음식물 쓰레기통{FOOD BIN}
본 발명은, 뚜껑 개폐에 따라 자동으로 본체 내부의 공기가 배기되거나 본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게 하여, 뚜껑 밀폐 시 본체 내부를 진공(또는 진공 유사) 상태로 만들어 악취의 발생 및 누설을 방지함과 동시에, 공기 유입을 통해 뚜껑의 개방을 쉽게 할 수 있는 악취 누설 방지용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조리 과정이나 식사 후에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되면 이를 일반 쓰레기와 별도로 저장하여 분리 배출하는데, 이때 각 지자체마다 음식물 쓰레기 배출에 따른 추가 비용을 부담하기 때문에 대부분 일정량 이상의 음식물 쓰레기가 쌓인 후에 배출하고 있다.
그런데 음식물 쓰레기를 장시간 보관하게 되면 쓰레기통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부패하여 악취가 발생되고, 이러한 악취가 쓰레기통 외부로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공개특허 제10-2017-0043394호 등과 같이 쓰레기통과 뚜껑 사이의 패킹으로 쓰레기통 내부를 기밀시켜 악취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음식물 쓰레기통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쓰레기통과 뚜껑의 구조 설계로 기밀성을 확보하더라도 음식물 부패에 따른 악취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부패 및 악취 발생에 따른 쓰레기통 내부의 압력 증가로 인해 악취가 쓰레기통 외부로 누설될 수밖에 없어, 상기 공개특허와 같은 기술로는 악취 문제를 완전하게 해결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에 악취의 누설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없는 것을 감안할 때,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를 최대한으로 늦춰서 악취의 발생 및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또 다른 대안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악취 발생 및 누설 방지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으로써, 등록특허 제10-1601138호가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뚜껑에 구비된 별도의 진공펌프의 작동으로 본체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 음식물 쓰레기를 장시간 보관하더라도 음식물 쓰레기가 쉽게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여, 악취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는 음식물 쓰레기를 넣을 때마다 본체의 진공을 위한 진공펌프를 반복 작동시켜야 하고, 뚜껑을 열 때마다 본체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뚜껑의 개폐 동작만으로 본체 내부 공기의 배기 및 본체 내부로의 급기가 자동으로 이루어져 편리하며, 이를 통해 본체 내에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를 최대한으로 늦춰서 악취의 발생 및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악취 누설 방지용 음식물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악취 누설 방지용 음식물 쓰레기통은,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투입구를 밀폐하되, 일측 배기구와 타측 급기구, 상기 배기구의 상면을 덮는 제1 체크밸브와 상기 급기구의 하면을 덮는 제2 체크밸브를 구비한 뚜껑;을 포함하여,
상기 뚜껑을 닫을 때 상기 제1 체크밸브가 개방되면서 상기 제2 체크밸브가 밀폐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가 상기 배기구를 통해 뚜껑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뚜껑을 열 때 상기 제1 체크밸브가 밀폐되면서 상기 제2 체크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뚜껑 외부의 공기가 상기 급기구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악취 누설 방지용 음식물 쓰레기통에서,
상기 뚜껑은 테두리 측벽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투입구의 내측면에 접하는 밀폐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누설 방지용 음식물 쓰레기통에서,
상기 뚜껑은 상기 밀폐링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결합되어 상기 밀폐링을 고정시키는 하판과 상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취 누설 방지용 음식물 쓰레기통은,
상기 본체의 투입구 내측에 탈착 가능하며, 쓰레기봉투가 씌워지면서 쓰레기봉투용 고정홈을 구비한 거치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 누설 방지용 음식물 쓰레기통은,
뚜껑의 개폐와 연동하여 배기구와 급기구의 각 체크밸브가 자동으로 개폐되면서 본체 내부의 공기 배기 및 본체 내부로의 공기 급기가 이루어져 사용이 편리하며, 이에 따라 뚜껑이 밀폐된 진공(또는 진공 유사) 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를 최대한으로 늦춰 악취의 발생 및 누설을 방지하면서, 뚜껑의 개방이 쉽게 이루어지고,
밀폐링을 통해 본체와 뚜껑 사이의 기밀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뚜껑 밀폐 시 밀폐링으로 본체 내부의 공기를 배기구로 강제 배기시킬 수 있고,
뚜껑의 2단 결합 구조로 밀폐링을 고정시켜, 뚜껑 밀폐 시 밀폐링이 밀려서 본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별도의 음식물 쓰레기봉투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 본체의 투입구에 탈착 가능한 거치링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봉투를 보다 쉽게 거치 및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누설 방지용 음식물 쓰레기통의 1차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누설 방지용 음식물 쓰레기통의 요부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 누설 방지용 음식물 쓰레기통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누설 방지용 음식물 쓰레기통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악취 누설 방지용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투입구(11)를 개폐하며 본체(10) 내부의 공기 배기 및 본체(10) 내부로의 공기 급기가 이루어지는 뚜껑(20), 음식물 쓰레기봉투용 거치링(3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상측면이 개구된 투입구(11)를 갖는 일반적인 용기로써, 상기 투입구(11)의 내측면 하측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거치링(30)이 탈착되는 걸림단(12)이 구비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본체(10)는 쓰레기봉투 미사용 시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별도 보관하여 배출할 수 있는 오수 받이용 거름용기 또는 오수 배출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상기 본체(10)의 투입구(11)를 밀폐하되, 일측 배기구(21A)와 타측 급기구(21B), 상기 배기구(21A)의 상면을 덮는 제1 체크밸브(22A)와 상기 급기구(21B)의 하면을 덮는 제2 체크밸브(22B)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뚜껑(20)은 테두리 측벽부(27)에서 돌출되어, 상기 투입구(11)의 내측면에 접하는 밀폐링(20C)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20)은 상기 밀폐링(20C)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결합되어 상기 밀폐링(20C)을 고정시키는 하판(20A)과 상판(20B)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판(20A)에는 상기 배기구(21A)와 급기구(21B)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배기구(21A)와 급기구(21B)는 체크밸브들(22A)(22B)의 장착을 위해 하판(20A)의 상면으로 돌출된 돌설부(23) 상에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배기구(21A)와 급기구(21B)는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개로 구성되며, 각 배기구(21A)들과 급기구(21B)들 중앙에 각 체크밸브(22A)(22B)의 장착을 위한 끼움공(21a)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제2 체크밸브(22A)(22B)는 공기의 흐름을 일방향으로만, 즉 제1 체크밸브(22A)는 공기가 본체(10) 내부에서 뚜껑(20) 외부 방향으로만, 제2 체크밸브(22B)는 공기가 뚜껑(20) 외부에서 본체(10) 내부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끼움공(21a)에 끼워져 고정되는 결합돌기(22a)와, 상기 결합돌기(22a)를 중심으로 외측을 향해 돔 형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기구(21A)와 급기구(21B)를 덮어서 밀폐시키는 개폐막(22b)으로 구성된다.
이때 뚜껑(20)의 개폐에 따른 공기의 흐름 방향을 감안하여, 상기 제1 체크밸브(22A)는 상기 돌설부(23)의 상면에 배치되어 개폐막(22b)이 배기구(21A)의 상단부를 덮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체크밸브(22B)는 상기 돌설부(23)의 하면에 배치되어 개폐막(22b)이 급기구(21B)의 하단부를 덮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제1, 제2 체크밸브(22A)(22B)(특히 개폐막(22b))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연질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하판(20A)을 기준으로 상, 하측 공간의 압력 변화에 의해, 개폐막(22b)이 들리면서 배기구(21A) 및 급기구(21B)를 개방하거나 또는 개폐막(22b)이 원상 복귀하면서 돌설부(23)에 밀착되어 배기구(21A) 및 급기구(21B)를 폐쇄한다.
아울러 상기 하판(20A)은 상면 테두리를 따라 돌출된 끼움단(25)이 구비되어, 링 형상의 상기 밀폐링(20C)이 상기 끼움단(25)의 외측으로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밀폐링(20C)은 고무나 실리콘 등의 연질 소재로써 뚜껑(20)의 테두리 측벽부(27)에서 돌출되면서 상기 투입구(11)의 내경보가 큰 외경을 갖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뚜껑(20)이 투입구(11)에 개폐될 때 밀폐링(20C)의 외측 끝단부가 투입구(11)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본체(10) 내부를 기밀시킨다.
또한 상기 밀폐링(20C)은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된 끼움홀(20c)을 구비하고, 상기 하판(20A)은 상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끼움홀(20c)에 끼워지는 고정돌기(20a)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돌기(20a)는 후술하는 내측벽부(27a)에 연결되어 상기 밀폐링(20C)이 내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상판(20B)은 상기 배기구(21A)의 직상부에 형성된 배출구(26A)와 상기 급기구(21B)의 직상부에 형성된 유입구(26B)를 구비하는 것으로,
테두리를 따라 하측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연결된 테두리 측벽부(27)를 구비하여, 상기 하판(20A)의 상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테두리 측벽부(27)의 하측단이 상기 밀폐링(20C)의 상면을 눌러서 고정시켜, 뚜껑(20) 개폐 시 투입구(11)의 내측면과의 마찰로 인해 밀폐링(20C)의 일부가 들리거나 눌려서 본체(10) 내부의 기밀성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상판(20B)은 상기 테두리 측벽부(27)의 내측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하측으로 돌출된 내측벽부(27a)를 더 구비하여, 상기 내측벽부(27a)가 상기 테두리 측벽부(27)와 함께 상기 밀폐링(20C)을 2중으로 가압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내측벽부(27a)는 상기 고정돌기(20a)에 대응하여 하측단이 원주방향으로 높이 차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최하측단이 밀폐링(20C)을 직접 가압하면서, 최하측단을 제외한 나머지 하측단이 상기 고정돌기(20a)에 지지된다.
아울러 상기 상판(20B)은 상기 배출구(26A)와 유입구(26B)의 외측부를 둘러싸도록, 상판(20B)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돌설부(23)에 지지되는 격벽부(26a)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격벽부(26a)는 상기 배기구(21A)와 배출구(26A) 사이 및 상기 급기구(21B)와 유입구(26B) 사이에 공기 흐름 통로인 일종의 유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돌설부(23)의 상면에는 상기 배기구(21A)와 급기구(21B)의 외측부를 둘러싸게 결합되어, 격벽부(26a)로 형성되는 유로를 기밀시키는 패킹(26b)이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패킹(26b)은 상기 격벽부(26a)에 의해 눌려서 패킹(26b)의 고정 및 기밀성이 강화된다.
이러한 상판(20B)은 외측에서 상면 중앙의 손잡이부(28)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손잡이부(28)를 잡고 뚜껑(20)을 눌러서 밀폐할 때, 뚜껑(20)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기 테두리 측벽부(27) 및 내측벽부(27a)에 더 강하게 작용하게 하여, 상기 투입구(11)의 내측면과의 마찰로 인해 상기 밀폐링(20C)의 외측단이 상측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먼저 상기 뚜껑(20)으로 상기 투입구(11)를 닫아서 밀폐시킬 때, 상기 밀폐링(20C)이 투입구(11)의 내측면에 접촉하면서 본체(10) 내부를 기밀 상태로 만들고, 이 상태에서 뚜껑(20)이 투입구(11) 내부로 하강하면, 본체(10) 내부의 체적 감소에 따른 압력 증가로 인해, 상기 제1 체크밸브(22A)의 개폐막(22b)이 상측으로 들리면서 배기구(21A)를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체크밸브(22B)의 개폐막(22b)이 돌설부(23)에 밀착되면서 급기구(21B)를 밀폐하여, 본체(10) 내부의 공기가 상기 배기구(21A)를 통과하여 상기 배출구(26A)를 통해 뚜껑(20) 외부로 배출되어, 본체(10) 내부가 일종의 진공(또는 진공 유사) 상태가 되면서, 보관중인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를 최대한으로 늦춰서 악취의 발생 및 누설을 방지한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 또는 추가 투입을 위해 상기 뚜껑(20)을 열면, 상기 밀폐링(20C)의 기밀 상태로 인해 체적의 증가에 따른 본체(10) 내부의 압력이 감소하면서, 상기 제1 체크밸브(22A)의 개폐막(22b)이 돌설부(23)에 밀착되면서 배기구(21A)를 밀페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체크밸브(22B)의 개폐막(22b)이 하측으로 들리면서 급기구(21B)를 개방하여, 뚜껑(20) 외부의 공기가 상기 유입구(26B)를 통과하여 상기 급기구(21B)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주입되어, 본체(10) 내부의 진공이 해제되면서 뚜껑(20)을 쉽게 개방할 수 있다.
이때 뚜껑(20)의 개폐가 완료되면 각 체크밸브(22A)(22B)의 개폐막(22b)은 자체의 탄성 복원력으로 배기구(21A) 및 급기구(21B)를 밀폐시킨다.
한편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본체(10)에 대하여 완전 분리형인 뚜껑(20)이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힌지 개폐형 뚜껑(20)의 도입도 가능하며, 이러한 힌지 개폐형 뚜껑(20)이 도입될 경우 회동 개폐되는 뚜껑(20)이 본체(10)의 투입구(11) 내에서 상하로 승강되는 구조를 추가로 채택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의 투입구(11) 내측에 탈착 가능하며, 쓰레기봉투가 씌워지면서 쓰레기봉투용 고정홈(35)을 구비한 거치링(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거치링(30)은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의 봉투에 담아서 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걸림단(12)에 걸려서 거치되는 외측벽(32)과, 상기 외측벽(32)의 내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는 내측벽(33)과, 상기 외측벽(32)과 내측벽(33)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34)로 구성된다.
이러한 거치링(30)은 내측벽(33)으로 형성된 끼움구(31)로 쓰레기봉투를 끼운 후 쓰레기봉투의 상단부를 상기 내측벽(33)에 씌워서 쓰레기봉투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고정홈(35)은 상기 외측벽(32)(및 연결부(34))의 일부가 상하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내측벽(33)에 쓰레기봉투의 상단을 씌울 때, 쓰레기봉투에 구비된 손잡이 또는 묶음용 띠를 상기 고정홈(35)으로 끼워서 고정시켜,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 및 하중에 의해 쓰레기봉투가 거치링(30)에서 분리되어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고정홈(35)은 거치링(30)의 원주 방향으로 2개 또는 4개가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부(34)는 상기 외측벽(32) 및 내측벽(33)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어, 연결부(34)들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쓰레기봉투와 본체(10) 사이의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되게 하여, 뚜껑(20)의 개폐 시 본체(10) 내부의 공기가 연결부(34)들 사이의 개구부로 통과되면서 배기 또는 급기가 이루어지게 한다.
이는 뚜껑(20) 개폐에 따른 본체(10) 내부의 압력 변화로, 쓰레기봉투가 찌그러져 부피가 축소되거나, 반대로 쓰레기봉투가 팽창하여 터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쓰레기봉투의 사용 여부에 상관없이 본체(10) 내부를 일정 압력 이하의 진공 상태로 만들어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 속도를 최대한 늦춤으로써 악취의 발생 및 누설을 방지함은 물론, 별도의 추가 조작 없이 뚜껑(20)의 개폐만으로 본체(10) 내의 진공 및 진공 해제가 이루어져 사용이 편리하며, 필요 시 거치링(30)을 통해 쓰레기봉투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지자체별로 다른 배출 방법에 맞춰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악취 누설 방지용 음식물 쓰레기통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11 : 투입구
12 : 걸림단 20 : 뚜껑
20A : 하판 20B : 상판
20C : 밀폐링 21A : 배기구
21B : 급기구 22A : 제1 체크밸브
22B : 제2 체크밸브 23 : 돌설부
24 : 패킹 25 : 끼움단
26A : 배출구 26B : 유입구
27 : 테두리 측벽부 28 : 손잡이부
30 : 거치링 31 : 끼움구
32 : 외측벽 33 : 내측벽
34 : 연결부 35 : 고정홈

Claims (4)

  1.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되는 본체(10); 및
    상기 본체(10)의 투입구(11)로 내삽되게 끼워져 상기 본체(10) 내부를 밀폐하되, 일측 배기구(21A)와 타측 급기구(21B), 상기 배기구(21A)의 상면을 덮는 제1 체크밸브(22A)와 상기 급기구(21B)의 하면을 덮는 제2 체크밸브(22B), 테두리 측벽부(27)에서 돌출되어 상기 투입구(11)의 내측면에 접하는 밀폐링(20C)를 구비한 뚜껑(20);
    상기 뚜껑(20)으로 상기 투입구(11)를 닫아서 밀폐시킬 때, 상기 밀폐링(20C)이 상기 투입구(11)의 내측면에 접촉하면서 본체(10) 내부를 기밀 상태로 만든 상태로 상기 뚜껑(20)이 상기 투입구(11) 내부로 하강하여, 상기 본체(10) 내부의 체적 감소에 따른 압력 증가로 인해, 상기 제1 체크밸브(22A)가 개방되면서 상기 제2 체크밸브(22B)가 밀폐되어, 상기 본체(10) 내부의 공기가 상기 배기구(21A)를 통해 뚜껑(20)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뚜껑(20)을 상기 투입구(11)를 열 때, 상기 뚜껑(20)이 상기 투입구(11) 외부로 상승하면서, 상기 밀폐링(20C)의 기밀 상태로 인해 체적의 증가에 따른 본체(10) 내부의 압력 감소로 인해, 상기 제1 체크밸브(22A)가 밀폐되면서 상기 제2 체크밸브(22B)가 개방되어, 상기 뚜껑(20) 외부의 공기가 상기 급기구(21B)를 통해 상기 본체(10) 내부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누설 방지용 음식물 쓰레기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은 상기 밀폐링(20C)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결합되어 상기 밀폐링(20C)을 고정시키는 하판(20A)과 상판(20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누설 방지용 음식물 쓰레기통.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20A)은 상면 테두리를 따라 돌출된 끼움단(25)이 구비되어, 상기 밀폐링(20C)이 상기 끼움단(25)의 외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되,
    상기 밀폐링(20C)은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된 끼움홀(20c)을 구비하고,
    상기 하판(20A)은 상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끼움홀(20c)에 끼워지는 고정돌기(20a)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20B)은 테두리를 따라 하측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연결된 테두리 측벽부(27)를 구비하여, 상기 하판(20A)의 상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테두리 측벽부(27)의 하측단이 상기 밀폐링(20C)의 상면을 눌러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누설 방지용 음식물 쓰레기통.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투입구(11) 내측에 탈착 가능하며, 쓰레기봉투가 씌워지면서 쓰레기봉투용 고정홈(35)을 구비한 거치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거치링은 상기 본체(10)의 걸림단에 걸려서 거치되는 외측벽(32)과, 상기 외측벽(32)의 내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는 내측벽(33)과, 상기 외측벽(32)과 내측벽(33)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34)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홈(35)은 상기 외측벽(32)의 일부가 상하로 절개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누설 방지용 음식물 쓰레기통.
KR1020200018929A 2020-02-17 2020-02-17 악취 누설 방지용 음식물 쓰레기통 KR102133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929A KR102133977B1 (ko) 2020-02-17 2020-02-17 악취 누설 방지용 음식물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929A KR102133977B1 (ko) 2020-02-17 2020-02-17 악취 누설 방지용 음식물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977B1 true KR102133977B1 (ko) 2020-07-14

Family

ID=71526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929A KR102133977B1 (ko) 2020-02-17 2020-02-17 악취 누설 방지용 음식물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9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719B1 (ko) * 2021-05-25 2021-09-23 엠지엠씨(주) 산화방지 진공 용기
KR20220019379A (ko) 2020-08-10 2022-02-17 민경종 냄새 제거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통
KR20220152021A (ko) * 2021-05-07 2022-11-15 손영식 진공 저장용기
KR20230096242A (ko) 2021-12-23 2023-06-30 임동기 관상형 진공 음식물 쓰레기통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080A (ko) * 2001-08-20 2003-02-26 박윤식 진공화 장치 및 그를 위한 진공상태해제 겸용진공상태표시기구
KR101601138B1 (ko) * 2015-11-19 2016-03-08 이정철 진공 음식물쓰레기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080A (ko) * 2001-08-20 2003-02-26 박윤식 진공화 장치 및 그를 위한 진공상태해제 겸용진공상태표시기구
KR101601138B1 (ko) * 2015-11-19 2016-03-08 이정철 진공 음식물쓰레기통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379A (ko) 2020-08-10 2022-02-17 민경종 냄새 제거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통
KR20220152021A (ko) * 2021-05-07 2022-11-15 손영식 진공 저장용기
KR102473228B1 (ko) 2021-05-07 2022-11-30 손영식 진공 저장용기
KR102303719B1 (ko) * 2021-05-25 2021-09-23 엠지엠씨(주) 산화방지 진공 용기
KR20230096242A (ko) 2021-12-23 2023-06-30 임동기 관상형 진공 음식물 쓰레기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3977B1 (ko) 악취 누설 방지용 음식물 쓰레기통
AU2003230991B2 (en) Hose direct canister lid
US4909014A (en) Vacuum storage device
US7048136B2 (en) Canister lid with improved evacuation and vent assembly
KR100759487B1 (ko) 밀폐의 편리성을 증진시킨 친환경적 다목적용 밀폐뚜껑
JP2010532734A (ja) 密封蓋
KR100780813B1 (ko) 잠금날개 결착식 진공 밀폐용기
KR101372306B1 (ko) 진공 포장용기용 진공밸브장치
KR101742611B1 (ko) 진공용기용 체크밸브
KR101114434B1 (ko) 진공 패킹이 설치된 진공 용기
US20210206549A1 (en) Sealing packing coupled to container lid
KR101401957B1 (ko) 식품 보관용 밀폐 용기
KR200406683Y1 (ko) 체적 가변형 밀폐 용기
TWI702356B (zh) 真空容器閥
KR100778520B1 (ko) 진공부가 구비된 진공포장기
WO2008131583A1 (fr) Récipient étanche à pompage sous vide
KR102303719B1 (ko) 산화방지 진공 용기
US20080199335A1 (en) Vacuum storage container with integrated pump
KR102473228B1 (ko) 진공 저장용기
KR200403804Y1 (ko) 공기 배출수단을 구비하는 밀폐 용기
KR100717155B1 (ko) 공기 배출수단을 구비하는 밀폐 용기
JP3044652B2 (ja) 複段重ね密封容器
KR20240020928A (ko) 식품보관용기의 누름식 뚜껑
JPS5920837Y2 (ja) ポンプ注液式液体容器
JP3038410U (ja) 密閉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2598;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10827

Effective date: 2021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