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471B1 - 열분해 가스 재생자원을 위한 고효율 스크러버 - Google Patents

열분해 가스 재생자원을 위한 고효율 스크러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471B1
KR102133471B1 KR1020180101127A KR20180101127A KR102133471B1 KR 102133471 B1 KR102133471 B1 KR 102133471B1 KR 1020180101127 A KR1020180101127 A KR 1020180101127A KR 20180101127 A KR20180101127 A KR 20180101127A KR 102133471 B1 KR102133471 B1 KR 102133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il
pyrolysis gas
water level
branch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4445A (ko
Inventor
김태훈
우광재
강석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그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그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그린테크
Priority to KR1020180101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471B1/ko
Publication of KR20200024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5/00Recovery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gases, e.g. natural gas
    • C10G5/06Recovery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gases, e.g. natural gas by cooling or com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4Packed sc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분해 가스 재생자원을 위한 고효율 스크러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단부에는 일측면에서 내부로 관통되는 열분해 가스 유입관이 구비된 열분해 가스 유입부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각 부를 통해 세정되고 정화 후 외부로 배출되는 청정가스 배출구가 구비된 타워형 본체와; 상기 타워형 본체의 저부에 구비된 형태를 갖는 경질유 포집탱크와; 상기 열분해 가스 유입부의 상부에 구비된 타공판의 상면에서 각종 악취 및 매연 흡착용 흡착재들이 충진된 형태를 갖는 흡착재 충진부와; 상기 흡착재 충진부의 상면과 경질유 분사부 저부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흡착재 충진부를 통과한 고온의 열분해 가스를 냉각수에서 발산되는 냉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열분해 가스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경질유를 냉각 및 응축시켜 흡착재 충진부 측으로 낙하시켜 주는 셀 앤 튜브 열교환기와; 데미스터의 저부와 상기 흡착재 충진부 상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설치된 형태를 갖는 경질유 분사부와; 타워형 본체의 내부에서 흡착재 충진부와 셀 앤 튜브 열교환기 및 경질유 분사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정화된 열분해 가스 내에 잔류하는 미스트(Mist)를 포집하는 데미스터와;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 내에 포집되어 있는 경질유를 경질유 분사부 내에 구비되어 있는 분사노즐들 측으로 송유시켜 주는 순환펌프와; 상기 순환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열분해 가스의 저항을 높여 열분해 가스에 대한 냉각을 촉진할 수 있고, 또 가스 흡수를 위해 사용되는 순환수는 열분해 가스 내에서 응축되어 취출되는 재생유인 경질유를 사용하여 열분해 가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미세 물질은 물론 매연까지도 흡수를 촉진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분해 가스 재생자원을 위한 고효율 스크러버{Highly efficient scrubber for pyrolysis gas recycling resources}
본 발명은 열분해 가스 재생자원을 위한 고효율 스크러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유가 금속 및 폐기물 등 다양한 물질을 열분해 방식을 통한 가스화공정에서 발생하는 열분해 가스를 재생자원화할 수 있도록 발명한 열분해 가스 재생자원을 위한 고효율 스크러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량의 석유류와 같은 자원을 활용하고 난 후에는 폐기물과 폐바이오매스 등과 같은 대량의 각종 폐기물이 발생되며, 이러한 대량의 폐기물이 누적되면 다양한 사회적 문제가 야기됨은 물론, 자원고갈, 환경악화, 기후이변, 지구위기로 이어지는 범세계적인 문제가 발생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폐기물, 즉 폐자원을 재생 자원화시키는 개념보다는 공해성 저감화 처리 개념으로써 토양에 매립하거나 소각처리를 하는 기술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일시적 공해성 저감화 효과는 있으나 자원고갈의 문제는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토양오염이나 수질오염 등과 같은 환경악화나 기후 이변 등의 2차, 3차 공해를 발생시킴으로써 다양한 사회적 문제와 환경악화를 악순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에는 종래의 소각방식보다 배가스가 적고 재생자원화가 가능한 열분해가스화 시설이 많이 건설되고 있다.
그러나 열분해가스화 시설에서 발생되는 열분해 가스는 일부(응축유)를 제외한 대부분은 건식제진, 습식중화, 탈황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가스를 정제하여 대기에 방출된다.
따라서, 현재 재생자원화하여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이용 가능한 열분해 가스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39782호(2001년 07월 12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699057호(2017년 01월 17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내부가 중공인 타워형 본체의 최하단에 구비된 열분해 가스 유입부의 하부에는 열분해 가스 내에서 응축되어 취출되는 재생 경질유를 포집하는 경질유 포집탱크를 설치하고 상기 열분해 가스 유입부의 상부로는 흡착재 충진부와 셀 앤 튜브 열교환기, 경질유 분사부 및 데미스터를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열분해 가스의 저항을 높여 열분해 가스에 대한 냉각을 촉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워 형상을 갖는 셀 앤 튜브 열교환기를 통해 열분해 가스를 급속 냉각하여 열분해 가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재생유인 경질유를 최대한으로 응축하여 경질유의 회수량을 대폭 증대할 수 있고, 또 가스 흡수를 위해 사용되는 순환수는 열분해 가스 내에서 응축되어 취출되는 재생유인 경질유를 사용하여 열분해 가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미세 물질은 물론 매연까지도 흡수를 촉진할 수 있는 열분해 가스 재생자원을 위한 고효율 스크러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질유 공급 파이프 상에는 여과기를 설치하여 열분해 가스 내에서 응축되어 취출된 재생유인 경질유 내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 이물질을 포함한 매연 등을 여과 및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고, 또한 경질유 포집탱크 내의 수위가 정해진 수위 이상일 경우 그 일부를 재생유 저장탱크 측으로 자동 송유시켜 재생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열분해 가스 재생자원을 위한 고효율 스크러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가 중공인 긴 원통 또는 사각통 형태를 갖고 하단부에는 일측면에서 내부로 관통되는 열분해 가스 유입관이 구비된 열분해 가스 유입부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각 부를 통해 세정되고 정화 후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청정가스 배출구가 구비된 타워형 본체와; 개구된 형태를 갖는 상기 타워형 본체의 저부에 구비된 형태를 갖고 열분해 가스가 흡착재 충진부와 셀 앤 튜브 열교환기, 경질유 분사부 및 데미스터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응축되어 취출된 후 열분해 가스 유입부를 통해 낙하되는 재생유인 경질유를 포함하여 각종 이물질 세정을 위해 경질유 분사부에서 분사된 후 셀 앤 튜브 열교환기와 흡착재 충진부 및 열분해 가스 유입부를 통해 회수되는 경질유를 다시 포집하여 세정유 및 재생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경질유 포집탱크와; 상기 열분해 가스 유입부의 상부에 구비된 타공판의 상면에서 각종 악취 및 매연 흡착용 흡착재들이 충진된 형태를 갖고, 상기 열분해 가스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열분해 가스가 내부를 통과할 때 열분해 가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일부 경질유를 응축시켜 열분해 가스 유입부 측으로 낙하시켜 줌과 동시에 열분해 가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비교적 큰 입자의 각종 이물질은 물론 각종 악취 및 매연을 흡착하여 포집하는 흡착재 충진부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호 관통되게 연결된 복수의 냉각관 내부를 냉각수가 통과하는 형태를 갖고, 상기 흡착재 충진부의 상면과 경질유 분사부 저부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흡착재 충진부를 통과한 고온의 열분해 가스를 냉각수에서 발산되는 냉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열분해 가스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경질유를 냉각 및 응축시켜 흡착재 충진부 측으로 낙하시켜 주는 타워 형상의 셀 앤 튜브 열교환기와; 데미스터의 저부와 상기 흡착재 충진부 상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복수의 분사노즐이 설치된 형태를 갖고, 순환펌프를 통해 압송되어 오는 경질유를 타워형 본체 내에서 하방부로 분무시켜 셀 앤 튜브 열교환기를 통과한 열분해 가스 내에 잔류하는 악취와 매연가스를 흡수 및 촉진하여 제거시켜 주며, 미세입자의 이물질을 셀 앤 튜브 열교환기 측으로 낙하시켜 줌은 물론 상기 셀 앤 튜브 열교환기 및 흡착재 충진부 내부를 세정해 줄 수 있도록 하는 경질유 분사부와; 철 수세미 형태를 갖고 상기 경질유 분사부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타공판의 상부에 설치된 형태를 갖고, 타워형 본체의 내부에서 흡착재 충진부와 셀 앤 튜브 열교환기 및 경질유 분사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정화된 열분해 가스 내에 잔류하는 미스트(Mist)를 포집하여 최종적으로 청정가스 배출구를 통해 청정가스가 배출되게 하는 데미스터와;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 내에 포집되어 있는 경질유를 경질유 공급 파이프를 통해 경질유 분사부 내에 구비되어 있는 분사노즐들 측으로 송유시켜 주는 순환펌프와; 상기 순환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경질유 공급 파이프의 중간부에 경질유 분기 단속밸브를 구비한 분기 파이프를 더 설치하고, 상기 분기 파이프의 단부에는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 내에 포집된 경질유의 일부를 저장하여 재생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경질유 저장탱크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 내에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만수위센서와 경질유 분기한계 수위센서를 더 설치하고, 상기 경질유 분기 단속밸브는 전자밸브로 설치하여,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만수위센서에서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 내의 수위가 만수위로 검출하면 상기 순환펌프를 작동을 지속시킴과 동시에 상기 경질유 분기 단속밸브를 자동으로 열어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 내에 포집된 경질유의 일부가 경질유 저장탱크 내로 자동 송유되게 하고, 경질유 저장탱크 내로 경질유를 송유하던 중 경질유 분기한계 수위센서에서 분기 한계수위를 검출하면 상기 경질유 분기 단속밸브를 자동으로 닫아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 내에 포집된 경질유의 분기이송을 자동 차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경질유 공급 파이프 상에 여과기를 더 설치하여 상기 경질유 저장탱크 내에 포집된 후 순환펌프를 통해 경질유 분사부 또는 경질유 저장탱크 측으로 송유되는 경질유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포함한 매연을 여과 및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여과기는 경질유 공급 파이프 상에 복 수개를 병렬로 설치하되, 각각의 여과기 입구에는 경질유 단속밸브들을 설치하여, 하나의 여과기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스크러버를 장기간 작동시키던 중 해당 여과기가 막혔을 때, 스크러버는 계속 작동시키며 해당 여과기에 연결된 경질유 단속밸브를 닫고, 인접한 다른 여과기들에 각각 연결된 경질유 단속밸브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한 상태에서 막힌 여과기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분해 가스 재생자원을 위한 고효율 스크러버에 의하면, 내부가 중공인 타워형 본체의 최하단에 구비된 열분해 가스 유입부의 하부에는 열분해 가스 내에서 응축되어 취출되는 재생 경질유를 포집하는 경질유 포집탱크를 설치하고 상기 열분해 가스 유입부의 상부로는 흡착재 충진부와 셀 앤 튜브 열교환기, 경질유 분사부 및 데미스터를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열분해 가스의 저항을 높여 열분해 가스에 대한 냉각을 촉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워 형상을 갖는 셀 앤 튜브 열교환기를 통해 열분해 가스를 급속 냉각하여 열분해 가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재생유인 경질유를 최대한으로 응축하여 경질유의 회수량을 대폭 증대할 수 있고, 또 가스 흡수를 위해 사용되는 순환수는 열분해 가스 내에서 응축되어 취출되는 재생유인 경질유를 사용하여 열분해 가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미세 물질은 물론 매연까지도 흡수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경질유 공급 파이프 상에는 여과기를 더 설치하여 줌으로써 열분해 가스 내에서 응축되어 취출된 재생유인 경질유 내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 이물질을 포함한 매연 등을 여과 및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고, 또한 경질유 포집탱크 내의 수위가 정해진 수위 이상일 경우 그 일부를 재생유 저장탱크 측으로 자동 송유시켜 재생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원재생에 따른 경제적인 효과는 물론 환경오염 유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공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열분해 가스 재생자원을 위한 고효율 스크러버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의 (a)(b)는 본 발명의 열분해 가스 재생자원을 위한 고효율 스크러버 중 셀 앤 튜브 열교환기의 정단면도 및 평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열분해 가스 재생자원을 위한 고효율 스크러버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의 (a)(b)는 본 발명의 열분해 가스 재생자원을 위한 고효율 스크러버 중 셀 앤 튜브 열교환기의 정단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가 중공인 긴 원통 또는 사각통 형태를 갖고 하단부에는 일측면에서 내부로 관통되는 열분해 가스 유입관(11)이 구비된 열분해 가스 유입부(12)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각 부를 통해 세정되고 정화 후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청정가스 배출구(13)가 구비된 타워형 본체(10)와;
개구된 형태를 갖는 상기 타워형 본체(10)의 저부에 구비된 형태를 갖고 열분해 가스가 흡착재 충진부(40)와 셀 앤 튜브 열교환기(50), 경질유 분사부(60) 및 데미스터(70)를 순차적으로 상방부를 행해 통과하는 과정에서 응축되어 취출된 후 열분해 가스 유입부(12)를 통해 낙하되는 재생유인 경질유를 포함하여 각종 이물질 세정을 위해 경질유 분사부(60)에서 분사된 후 셀 앤 튜브 열교환기(50)와 흡착재 충진부(40) 및 열분해 가스 유입부(12)를 통해 회수되는 경질유를 다시 포집하여 세정유 및 재생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경질유 포집탱크(20)와;
상기 열분해 가스 유입부(12)의 상부에 구비된 타공판(121)의 상면에서 각종 악취 및 매연 흡착용 흡착재들이 충진된 형태를 갖고, 상기 열분해 가스 유입부(12)를 통해 유입된 열분해 가스가 내부를 통과할 때 열분해 가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일부 경질유를 응축시켜 열분해 가스 유입부(12) 측으로 낙하시켜 줌과 동시에 열분해 가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비교적 큰 입자의 각종 이물질은 물론 각종 악취 및 매연을 흡착하여 포집하는 흡착재 충진부(40)와;
타공판 형상의 상,하 지지판(51)(52)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밀착되게 세워진 형태에서 상호 관통되게 연결된 복수의 냉각관(53) 내부를 냉각수가 통과하는 형태를 갖고, 상기 흡착재 충진부(40)의 상면과 경질유 분사부(60) 저부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흡착재 충진부(40)를 통과한 고온의 열분해 가스를 냉각수에서 발산되는 냉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열분해 가스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경질유를 최대한 냉각 및 응축시켜 흡착재 충진부(40) 측으로 낙하시켜 주는 타워 형상의 셀 앤 튜브 열교환기(50)와;
데미스터(70)의 저부와 상기 흡착재 충진부(40) 상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복수의 분사노즐(61)이 설치된 형태를 갖고, 순환펌프(80)를 통해 압송되어 오는 경질유를 타워형 본체(10) 내에서 하방부로 분무시켜 셀 앤 튜브 열교환기(50)를 통과한 열분해 가스 내에 잔류하는 악취와 매연가스를 흡수 및 촉진하여 제거시켜 주며, 미세입자의 이물질을 셀 앤 튜브 열교환기(50) 측으로 낙하시켜 줌은 물론 상기 셀 앤 튜브 열교환기(50) 및 흡착재 충진부(40) 내부를 세정해 줄 수 있도록 하는 경질유 분사부(60)와;
철 수세미 형태를 갖고 상기 경질유 분사부(60)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타공판(62)의 상부에 설치된 형태를 갖고, 타워형 본체(10)의 내부에서 흡착재 충진부(40)와 셀 앤 튜브 열교환기(50) 및 경질유 분사부(6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정화된 열분해 가스 내에 잔류하는 미스트(Mist)를 포집하여 최종적으로 청정가스 배출구(13)를 통해 청정가스가 배출되게 하는 데미스터(70)와;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20) 내에 포집되어 있는 경질유를 경질유 공급 파이프(81)를 통해 경질유 분사부(60) 내에 구비되어 있는 분사노즐(61)들 측으로 송유시켜 주는 순환펌프(80)와;
상기 순환펌프(8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9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경질유 공급 파이프(81)의 중간부에 경질유 분기 단속밸브(100)를 구비한 분기 파이프(82)를 더 설치하고, 상기 분기 파이프(82)의 단부에는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20) 내에 포집된 경질유의 일부를 저장하여 재생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경질유 저장탱크(110)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20) 내에는 상기 제어부(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만수위센서(120a)와 경질유 분기한계 수위센서(120b)를 더 설치하고, 상기 경질유 분기 단속밸브(100)는 전자밸브로 설치하여,
상기 제어부(90)로 하여금 만수위센서(120a)에서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20) 내의 수위가 만수위로 검출하면 상기 순환펌프(80)를 작동을 지속시킴과 동시에 상기 경질유 분기 단속밸브(100)를 자동으로 열어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20) 내에 포집된 경질유의 일부가 경질유 저장탱크(110) 내로 자동 송유되게 하고,
경질유 저장탱크(110) 내로 경질유를 송유하던 중 경질유 분기한계 수위센서(120b)에서 분기 한계수위를 검출하면 상기 경질유 분기 단속밸브(100)를 자동으로 닫아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20) 내에 포집된 경질유의 분기이송을 자동 차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경질유 공급 파이프(81) 상에 여과기(130)를 더 설치하여, 상기 경질유 저장탱크(110) 내에 포집된 후 순환펌프(80)를 통해 경질유 분사부(60) 또는 경질유 저장탱크(110) 측으로 송유되는 경질유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포함한 매연을 여과 및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여과기(130)는 경질유 공급 파이프(81) 상에 복 수개를 병렬로 설치하되, 각각의 여과기(130) 입구에는 경질유 단속밸브(131)들을 설치하여,
하나의 여과기(13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스크러버를 장기간 작동시키던 중 해당 여과기가 막혔을 때, 스크러버는 계속 작동시키며 해당 여과기(130)에 연결된 경질유 단속밸브(131)를 닫고, 인접한 다른 여과기(130)들에 각각 연결된 경질유 단속밸브(131)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한 상태에서 막힌 여과기(130)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열분해 가스 재생자원을 위한 고효율 스크러버에 대한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열분해 가스 재생자원을 위한 고효율 스크러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타워형 본체(10)와 경질유 포집탱크(20), 흡착재 충진부(40), 셀 앤 튜브 열교환기(50), 경질유 분사부(60), 데미스터(70), 순환펌프(80) 및 제어부(90)로 형성하여, 열분해 가스의 저항을 높여 열분해 가스에 대한 냉각을 촉진할 수 있고, 또 가스 흡수를 위해 사용되는 순환수는 열분해 가스 내에서 응축되어 취출되는 재생유인 경질유를 사용하여 열분해 가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미세 물질은 물론 매연까지도 흡수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타워형 본체(10)는 내부가 중공인 긴 원통 또는 사각통 형태로 성형한 것으로, 하단부에는 일측면에서 내부로 관통되는 열분해 가스 유입관(11)이 구비된 열분해 가스 유입부(12)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각 부를 통해 세정되고 정화 후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청정가스 배출구(13)가 구비된 형태를 갖는다.
또,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20)는 정해진 용적을 갖고 상기 타워형 본체(10)의 개구된 저부에 설치된 형태를 갖는 것으로, 열분해 가스가 흡착재 충진부(40)와 셀 앤 튜브 열교환기(50), 경질유 분사부(60) 및 데미스터(7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응축되어 취출된 후, 상기 열분해 가스 유입부(12)를 통해 낙하되는 재생유인 경질유를 포함하여 각종 이물질 세정을 위해 경질유 분사부(60)에서 분사된 후 셀 앤 튜브 열교환기(50)와 흡착재 충진부(40) 및 열분해 가스 유입부(12)를 통해 회수되는 경질유를 다시 포집하여 세정유 및 재생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경질유(輕質油)라 함은 API 비중 34도 이상의 원유, 즉 비중이 가벼운 원유를 지칭하는 것으로, 가솔린·나프타·등유 등 이용가치가 높은 성분을 함유한 원유일수록 비중이 가벼운데, API 비중이 34도인 아라비안 라이트는 경질유의 대표적인 원유로 기준원유이다.
이 밖에도 API 비중 31~33도를 중질유(中質油)라 하고, 30도 이하를 중질유(重質油)라 한다.
또한, 상기 흡착재 충진부(40)는 상기 열분해 가스 유입부(12)의 상부에 구비된 타공판(121)의 상부에 예를 들어 활성탄 등과 같은 각종 악취 및 매연 흡착용 흡착재들이 충진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흡착재 충진부(40)는 상기 열분해 가스 유입부(12)를 통해 유입된 열분해 가스가 내부를 통과할 때, 열분해 가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일부 경질유를 응축시켜 열분해 가스 유입부(12) 측으로 낙하시켜 줌과 동시에 열분해 가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 중 비교적 큰 입자 형태를 갖는 각종 이물질을 각종 악취 및 매연 흡착용 흡착재가 흡착 포집함은 물론 각종 악취 및 매연을 상기 각종 악취 및 매연 흡착용 흡착재들이 흡착하여 포집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셀 앤 튜브 열교환기(50)는 도 2의 (a)(b)와 같이, 타공판 형상의 상,하 지지판(51)(52)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밀착되게 세워진 형태에서 상호 관통되게 연결된 복수의 냉각관(53) 내부를 냉각수가 통과하는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셀 앤 튜브 열교환기(50)는 상기 흡착재 충진부(40)의 상면과 경질유 분사부(60) 저부 사이에 타워 형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흡착재 충진부(40)를 통과한 고온의 열분해 가스를 냉각수에서 발산되는 냉기와의 열교환(즉, 냉각수에 의해 냉기가 발산중인 냉각관(53)의 외면과 고온의 열분해 가스가 접촉되며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형태를 가지며, 고온의 열분해 가스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경질유를 최대한 냉각 및 응축시켜 재생자원의 포집 효율을 대폭 증대시켜 줌은 물론 이렇게 냉각 응축시킨 경질유는 흡착재 충진부(40)와 열분해 가스 유입부(12)를 통해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20) 측으로 낙하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상기 셀 앤 튜브 열교환기(50)의 냉각관(53) 표면에 의해 부착된 각종 이물질 등의 일부를 포함하여 상기 흡착재 충진부(40) 내에 포집된 각종 이물질과 악취 및 매연물질 등의 일부는, 후술하는 경질유 분사부(60)에서 분사되는 경질유(즉, 세정액)에 의해 각각 세정된 다음, 세정액으로 사용된 경질유와 함께 경질유 포집탱크(20) 측으로 흘러내린 후, 후술하는 순환펌프(80)에 의해 경질유 분사부(60)로 다시 순환 공급되거나, 후술하는 경질유 저장탱크(110) 측으로 송유되는 과정에서 후술하는 여과기(130)에 의해 재차 여과 및 포집된 다음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여과기(130)를 교체할 때 해당 여과기와 함께 처리된다.
또한, 상기 경질유 분사부(60)는 상기 타워형 본체(10) 내에서 상기 셀 앤 튜브 열교환기(50)의 상부와 데미스터(70)의 하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구비된 것으로, 상부에 복수의 분사노즐(61)이 설치된 형태를 갖고, 순환펌프(80)에서 경질유 공급 파이프(81)을 통해 압송시켜 오는 경질유를 타워형 본체(10) 내에서 하방부를 향해 분무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 경질유 분사부(60) 내의 분사노즐(61)들을 통해 경질유를 분사시켜 주면, 상기 흡착재 충진부(40)와 셀 앤 튜브 열교환기(50)를 통과한 열분해 가스 내에 잔류하는 악취와 매연가스를 흡수 및 촉진하여 제거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입자의 이물질을 상기 셀 앤 튜브 열교환기(50) 측으로 낙하시켜 줄 수 있고, 특히 상기 셀 앤 튜브 열교환기(50) 및 흡착재 충진부(40) 내부에 흡착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은 물론 악취 및 매연가스 등을 세정하여 열분해 가스 유입부(12)를 통해 경질유 포집탱크(20) 측으로 원활히 흘려 내려 보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데미스터(70)는 철 수세미 형태를 갖고 상기 경질유 분사부(60)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타공판(62)의 상부에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데미스터(70)는 타워형 본체(10)의 내부에서 흡착재 충진부(40)와 셀 앤 튜브 열교환기(50) 및 경질유 분사부(6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순차적으로 정화된 후에도 열분해 가스 내에 잔류하는 미스트들을 최종적으로 포집하여, 상기 타워형 본체(10)의 상방부에 형성되어 있는 청정가스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는 공기 질에 지장을 주지 않는 청정가스 형태(즉, 환경오염을 주지 않을 정도의 공기 형태)가 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순환펌프(80)는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20)의 저부와 경질유 분사부(60) 내의 분사노즐(61)들과 연결되는 경질유 공급 파이프(81) 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90)의 제어를 받아 작동되며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20) 내에 포집되어 있는 경질유를 경질유 공급 파이프(81)를 통해 경질유 분사부(60) 내에 구비되어 있는 분사노즐(61)들 측으로 송유시켜 주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한다.
물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경질유 저장탱크(110)가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20) 내에 포집되어 있는 경질유를 경질유 저장탱크(110) 측으로도 숭유시켜 주는 기능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순환펌프(80)의 구동 제어는 물론 본 발명이 적용된 스크러버 내 구비된 또 다른 전장품들에 대한 전반적인 구동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경질유 공급 파이프(81)의 중간부에 경질유 분기 단속밸브(100)를 구비한 분기 파이프(82)를 더 설치하고, 상기 분기 파이프(82)의 단부에는 경질유 저장탱크(110)를 더 설치하여 주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된 스크러버가 장기간 작동됨으로 인해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20) 내에 포집되는 경질유가 정해진 수위 이상으로 많이 포집될 경우, 상기 순환펌프(80)를 작동시켜 줌은 물론 상기 분기 파이프(82)에 구비된 경질유 분기 단속밸브(100)를 열어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20) 내에 포집되어 있는 경질유의 일부를 상기 경질유 저장탱크(110) 측으로 송유시켜 저장해 두었다가 재생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20) 내에 포집되는 경질유의 포집량에 따라 상기 경질유 저장탱크(110) 내로 그 일부를 자동으로 송유하여 저장해 두기 위하여,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20) 내에는 상기 제어부(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만수위센서(120a)와 경질유 분기한계 수위센서(120b)를 더 설치하고, 상기 경질유 분기 단속밸브(100)는 제어부(90)의 출력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작동이 이루어지는 전자밸브로 설치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90)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된 스크러버의 작동시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20) 내에 설치되어 있는 만수위센서(120a) 및 경질유 분기한계 수위센서(120b)의 검출신호를 지속적으로 입력받고 있다가, 상기 만수위센서(120a)에서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20) 내의 수위가 만수위인 것을 검출한 신호를 발생시키면 이를 인식하고, 상기 순환펌프(80)는 작동을 지속시킴과 동시에 상기 경질유 분기 단속밸브(100)를 자동으로 열어 줄 수 있게 되므로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20) 내에 포집된 경질유의 일부가 경질유 저장탱크(110) 내로 송유하여 자동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제어부(90)에서 순환펌프(80) 구동을 통해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20) 내의 경질유를 경질유 저장탱크(110) 내로 자동 송유하던 중 상기 경질유 분기한계 수위센서(120b)에서 분기 한계수위(셀 앤 튜브 열교환기(50) 및 흡착재 충진부(40) 등을 지속적으로 세정하는데 필요한 경질유에 대한 경질유 포집탱크(20) 내 잔류수위로, 예를 들어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20) 내 정해진 만수위 대비 1/2 또는 1/3 또는 1/4 등)에 대한 검출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90)에서는 경질유 분기 단속밸브(100)를 자동으로 닫아 주게 되므로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20) 내에 포집된 경질유의 분기이송이 자동으로 차단된다.
물론, 이와 같은 경질유의 자동 이송 및 차단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스크러버가 작동되는 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경질유 저장탱크(110) 내로 저장된 경질유가 만수위가 될 경우, 새로운 경질유 저장탱크(110)로 교환하여 설치하고, 만수위가 된 해당 경질유 저장탱크(110)의 입구는 막아, 원하는 장소로 옮겨 보관하다가 필요한 장치에 넣어 사용하면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경질유 공급 파이프(81) 상에 여과기(130)를 더 설치하였다.
따라서. 상기 경질유 저장탱크(110) 내에 포집된 후 순환펌프(80)를 통해 경질유 분사부(60) 또는 경질유 저장탱크(110) 측으로 송유시킬 때, 경질유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포함한 매연을 여과기(130)를 통해 여과 및 포집하여 제거한 다음 깨끗한 경질유만 경질유 분사부(60) 또는 경질유 저장탱크(110) 측으로 송유시켜 줄 수 있다.
이때, 상기 여과기(130)를 경질유 공급 파이프(81) 상에 설치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만 설치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경질유 공급 파이프(81) 상에 복 수개를 병렬로 설치함은 물론 각각의 여과기(130) 입구에 경질유 단속밸브(131)들을 더 설치하여 주었다.
이와 같이 상기 경질유 공급 파이프(81) 상에 복 수개(예를 들어 2~3개)의 여과기(130)를 병렬로 설치하되, 물론 각각의 여과기(130) 입구에 경질유 단속밸브(131)들을 더 설치하게 되면, 통상시 상호 병렬 연결된 형태를 갖는 여과기(130)들 중 하나의 여과기(13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본 발명이 적용된 스크러버를 장기간 작동시키던 중 해당 여과기가 경질유 내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에 의해 막혔을 때, 스크러버는 계속 작동시키며 현재 막힌 상태를 갖는 해당 여과기(130)에 연결된 경질유 단속밸브(131)를 닫고, 인접한 다른 여과기(130)들에 각각 연결된 경질유 단속밸브(131)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한 상태에서 막힌 여과기(130)를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된 스크러버의 유지보수에 따른 시간과 비용 등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여과기들의 잦은 교체를 통해 항상 깨끗한 경질유(즉, 열분해 가스에서 취출한 경질유)를 경질유 저장탱크에 저장했다가 재생자원으로 원활히 사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타워형 본체
11 : 열분해 가스 유입관 12 : 가스 유입부
121 : 타공판 13 : 청정가스 배출구
20 : 경질유 포집탱크
40 : 흡착재 충진부
50 : 셀 앤 튜브 열교환기
51, 52 : 상,하 지지판 53 : 냉각관
60 : 경질유 분사부
61 : 분사노즐 62 : 타공판
70 : 데미스터
80 : 순환펌프
81 : 경질유 공급 파이프 82 : 분기 파이프
90 : 제어부
100 : 경질유 분기 단속밸브
110 : 경질유 저장탱크
120a : 만수위센서 120b : 경질유 분기한계 수위센서
130 : 여과기 131 : 경질유 단속밸브

Claims (5)

  1. 하단부에는 일측면에서 내부로 관통되는 열분해 가스 유입관이 구비된 열분해 가스 유입부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각 부를 통해 세정되고 정화 후 외부로 배출되는 청정가스 배출구가 구비된 타워형 본체와;
    상기 타워형 본체의 저부에 구비된 형태를 갖고 열분해 가스에서 응축되어 취출되는 재생유인 경질유를 포함하여 각종 이물질 세정을 위해 경질유 분사부에서 분사된 후 회수되는 경질유를 다시 포집하는 경질유 포집탱크와;
    상기 열분해 가스 유입부의 상부에 구비된 타공판의 상면에서 각종 악취 및 매연 흡착용 흡착재들이 충진된 형태를 갖고, 상기 열분해 가스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열분해 가스가 내부를 통과할 때, 열분해 가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일부 경질유를 응축시켜 낙하시켜 줌과 동시에 열분해 가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비교적 큰 입자의 각종 이물질과 각종 악취 및 매연을 흡착하여 포집하는 흡착재 충진부와;
    상기 흡착재 충진부의 상면과 경질유 분사부 저부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흡착재 충진부를 통과한 고온의 열분해 가스를 냉각수에서 발산되는 냉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열분해 가스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경질유를 냉각 및 응축시켜 흡착재 충진부 측으로 낙하시켜 주는 타워 형상의 셀 앤 튜브 열교환기와;
    데미스터의 저부와 상기 흡착재 충진부 상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복수의 분사노즐이 설치된 형태를 갖고, 순환펌프를 통해 압송되어 오는 경질유를 타워형 본체 내에서 하방부로 분무시켜 셀 앤 튜브 열교환기를 통과한 열분해 가스 내에 잔류하는 악취와 매연가스를 흡수 및 촉진하여 제거시켜 주며, 미세입자의 이물질을 셀 앤 튜브 열교환기 측으로 낙하시켜 줌은 물론 상기 셀 앤 튜브 열교환기 및 흡착재 충진부 내부를 세정해 줄 수 있도록 하는 경질유 분사부와;
    상기 경질유 분사부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타공판의 상부에 설치된 형태를 갖고, 타워형 본체의 내부에서 흡착재 충진부와 셀 앤 튜브 열교환기 및 경질유 분사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정화된 열분해 가스 내에 잔류하는 미스트(Mist)를 포집하여 청정가스가 청정가스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하는 데미스터와;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 내에 포집되어 있는 경질유를 경질유 공급 파이프를 통해 경질유 분사부 내에 구비되어 있는 분사노즐들 측으로 송유시켜 주는 순환펌프와;
    상기 순환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경질유 공급 파이프의 중간부에 연결되는 전자밸브인 경질유 분기 단속밸브를 구비한 분기 파이프와;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 내에 포집된 경질유의 일부를 저장하여 재생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상기 분기 파이프의 단부에 연결되는 하는 경질유 저장탱크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 내에 설치되는 만수위센서와 경질유 분기한계 수위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만수위센서에서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 내의 수위가 만수위로 검출하면 상기 순환펌프를 작동을 지속시킴과 동시에 상기 경질유 분기 단속밸브를 자동으로 열어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 내에 포집된 경질유의 일부가 경질유 공급 파이프와 경질유 분기 단속밸브 및 분기 파이프를 통해 경질유 저장탱크 내로 자동 송유되게 하고,
    경질유 저장탱크 내로 경질유를 송유하던 중 경질유 분기한계 수위센서에서 분기 한계수위를 검출하면 상기 경질유 분기 단속밸브를 자동으로 닫아 상기 경질유 포집탱크 내에 포집된 경질유의 분기이송을 자동 차단하도록 하며,
    상기 경질유 공급 파이프 상에 여과기를 더 설치하여,
    상기 경질유 저장탱크 내에 포집된 후 순환펌프를 통해 경질유 분사부 또는 경질유 저장탱크 측으로 송유되는 경질유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포함한 매연을 여과 및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여과기는,
    경질유 공급 파이프 상에 복 수개를 병렬로 설치하되, 각각의 여과기 입구에는 경질유 단속밸브들을 설치하여,
    하나의 여과기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스크러버를 장기간 작동시키던 중 해당 여과기가 막혔을 때, 스크러버는 계속 작동시키며 해당 여과기에 연결된 경질유 단속밸브를 닫고, 인접한 다른 여과기들에 각각 연결된 경질유 단속밸브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한 상태에서 막힌 여과기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가스 재생자원을 위한 고효율 스크러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01127A 2018-08-28 2018-08-28 열분해 가스 재생자원을 위한 고효율 스크러버 KR102133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127A KR102133471B1 (ko) 2018-08-28 2018-08-28 열분해 가스 재생자원을 위한 고효율 스크러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127A KR102133471B1 (ko) 2018-08-28 2018-08-28 열분해 가스 재생자원을 위한 고효율 스크러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445A KR20200024445A (ko) 2020-03-09
KR102133471B1 true KR102133471B1 (ko) 2020-07-13

Family

ID=69801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127A KR102133471B1 (ko) 2018-08-28 2018-08-28 열분해 가스 재생자원을 위한 고효율 스크러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4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8743A (zh) * 2020-11-19 2021-02-26 浙江鸿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污泥烘干废气处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408B1 (ko) 2002-10-07 2005-01-15 에틴시스템 주식회사 각종 폐기물의 전량 무공해 자원화 처리공정 및 그 장치
KR101175094B1 (ko) 2009-09-30 2012-08-21 한국기계연구원 응축 장치
KR101599361B1 (ko) 2015-01-23 2016-03-03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바이오 오일 회수용 응축기 및 그 응축 방법
KR101699057B1 (ko) * 2016-05-03 2017-01-24 김태훈 폐자원 전량 유용 에너지 전환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782Y1 (ko) 2001-05-08 2001-10-15 김상곤 가연성 폐기물 소각시스템을 이용한 발생가스 재활용장치
KR100918363B1 (ko) * 2008-01-22 2009-09-22 배신호 바이오디젤 제조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546227B1 (ko) * 2013-12-31 2015-08-21 이광희 다단 원통형 구조물을 구비하는 스크러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408B1 (ko) 2002-10-07 2005-01-15 에틴시스템 주식회사 각종 폐기물의 전량 무공해 자원화 처리공정 및 그 장치
KR101175094B1 (ko) 2009-09-30 2012-08-21 한국기계연구원 응축 장치
KR101599361B1 (ko) 2015-01-23 2016-03-03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바이오 오일 회수용 응축기 및 그 응축 방법
KR101699057B1 (ko) * 2016-05-03 2017-01-24 김태훈 폐자원 전량 유용 에너지 전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445A (ko) 202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37223A (zh) 用溶剂收集co2的系统、方法和装置
CN109045925A (zh) 一种VOCs废气回收处理装置和方法
CN102302894A (zh) 一种可再生烟气脱硫工艺
CN105126515A (zh) 一种沥青烟气综合环保处理系统及其应用
CN102350147B (zh) 一种一体化的吸附除尘装置
TW201904885A (zh) 用於污泥處理的尾氣淨化和熱回收系統及方法
KR102133471B1 (ko) 열분해 가스 재생자원을 위한 고효율 스크러버
CN109224754A (zh) 基于大孔树脂的挥发性有机物冷凝回收装置及其回收方法
CN105327604A (zh) 一种烟尘处理系统及方法
CN102807902B (zh) 焦炉煤气的二次净化方法
CN205832665U (zh) 小型生活垃圾低温热解炉烟气净化系统
CN205084566U (zh) 一种沥青烟气综合环保处理系统
CN102302883B (zh) 一种处理化工排放物的方法及移动装置
CN110257090A (zh) 分裂解垃圾碳化处理系统
CN113368652A (zh) 一种磷化工行业含硫有机废气的处理方法
CN106075949A (zh) 一种小型生活垃圾低温热解炉烟气净化装置
CN109045926A (zh) 一种含有VOCs的废气处理装置和方法
CN210021654U (zh) 一种废橡胶脱硫废气回收处理装置
CN205109291U (zh) 一种有机气体的处理装置
CN102218442B (zh) 城市垃圾焚烧飞灰处理方法及设备
KR100759529B1 (ko) 질소가스를 이용한 배기가스 내의 휘발성유기화합물회수장치
CN209076354U (zh) 基于大孔树脂的挥发性有机物冷凝回收装置
CN208018289U (zh) 一种垃圾焚烧废气多重处理装置
CN107281868A (zh) 沥青烟气处理方法及设备
CN207805359U (zh) 一种工业废气处理用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