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337B1 -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337B1
KR102133337B1 KR1020180053025A KR20180053025A KR102133337B1 KR 102133337 B1 KR102133337 B1 KR 102133337B1 KR 1020180053025 A KR1020180053025 A KR 1020180053025A KR 20180053025 A KR20180053025 A KR 20180053025A KR 102133337 B1 KR102133337 B1 KR 102133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delay
delay time
light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6879A (ko
Inventor
마코토 기쿠치
Original Assignee
아즈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즈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즈빌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136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02B20/4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 내의 상황에 따른 효과적인 딜레이 제어를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점소등 제어를 지연시키는 딜레이 시간을 시간대마다 미리 기억부(13)에서 기억해 두고, 검출된 존부 상태에 기초하여, 유인 상태에서 무인 상태로의 제1 변화와 무인 상태에서 유인 상태로의 제2 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변화가 확인된 경우, 조명 제어부(15)가, 변화를 확인한 변화 확인 시각(Tc)에 따른 변화 확인 시간대의 딜레이 시간(Td)을 기억부(13)로부터 취득하고, 변화 확인 시각(Tc)에 딜레이 시간(Td)을 가산한 지연 제어 시각(Tw)의 도래에 따라, 조명 기기(Q)를 점소등 제어하는 딜레이 제어를 행한다.

Description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시설에 설치된 복수의 조명 기기의 점소등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초전도형 적외선 센서라고 불리는, 서모파일, 서미스터 또는 포로미터 타입 등의 적외선 검출 소자를 이용하여, 조명 기기의 조명 영역에서의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고, 그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조명 기기를 점소등하는 조명 제어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등 참조). 이 조명 제어 기술은, 조명 영역에 존재하는 사람이 움직였을 경우, 조도 변화나 열 이동이 일어난다고 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조도 변화나 열 이동에 의해 검지된 사람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조명 기기를 점소등 제어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3-093103호 공보
이러한 조명 제어 기술에서는, 사람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조명 기기를 단순히 점소등한 경우, 예컨대 조명 영역의 경계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는 케이스에서는, 사람의 미묘한 움직임의 영향으로 사람 검지 결과가 순차 변화되기 때문에, 조명 기기가 명멸(明滅)을 반복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명멸이 발생한 경우, 사람에게 불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조명 기기의 수명을 단축시켜 버리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종래, 조명 제어 기술에서는, 이러한 명멸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딜레이 제어라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딜레이 제어는, 사람의 존재를 검지한 후에, 그 존재를 검지할 수 없게 되었을 경우에는, 즉시 조명 기기를 소등하지 않고, 사람을 검지할 수 없게 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딜레이 시간분만큼 조명 기기의 소등을 지연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명 제어에 따르면, 예컨대 밤늦은 시간 등, 공간에 사람이 적은 상황에서 사람이 돌아다녔을 경우, 그때까지 소등되어 있던 이동 경로에 해당하는 각 조명 영역의 조명 기기가 점등된 후, 딜레이 제어에 의해 일정한 딜레이 시간만큼 소등이 지연되게 된다. 따라서, 사람이 조명 영역을 지나가도 조명 기기가 쓸데없이 계속해서 점등되어 버리기 때문에, 쓸데없는 전력소비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간 내의 상황에 따른 효과적인 딜레이 제어가 가능한 조명 제어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는, 제어 대상이 되는 공간으로부터 검출한 열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공간 내에 존재하는 사람을 검지하고, 얻어진 사람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공간 내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 기기를 점소등 제어하는 조명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점소등 제어를 지연시키는 딜레이 시간을 시간대마다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열화상에 기초하여 사람의 존부 상태를 검출하는 사람 검지부와, 검출된 상기 존부 상태에 기초하여, 유인(有人) 상태에서 무인(無人) 상태로의 제1 변화와 무인 상태에서 유인 상태로의 제2 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변화가 확인된 경우, 상기 변화를 확인한 변화 확인 시각에 따른 변화 확인 시간대의 딜레이 시간을 상기 기억부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변화 확인 시각으로부터 상기 딜레이 시간만큼 지연시켜 상기 조명 기기를 점등 또는 소등하는 딜레이 제어를 행하는 조명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명 제어 장치의 일 구성예는, 상기 기억부가, 상기 시간대마다, 상기 딜레이 시간으로서 오프 딜레이 시간과 온 딜레이 시간을 개별로 기억하고,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제1 변화가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변화 확인 시간대의 상기 오프 딜레이 시간을 상기 딜레이 시간으로서 상기 기억부로부터 취득하며, 상기 제2 변화가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변화 확인 시간대의 상기 온 딜레이 시간을 상기 딜레이 시간으로서 취득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명 제어 장치의 일 구성예는, 상기 기억부가, 상기 시간대마다, 상기 딜레이 제어에 관한 제어 유무를 기억하고,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딜레이 제어를 행할 때, 상기 기억부를 참조하여 현재 시각의 시간대에 관한 상기 제어 유무를 확인하며, 상기 제어 유무가 딜레이 제어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딜레이 제어를 행하고, 상기 제어 유무가 딜레이 제어 없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조명 기기를 소등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명 제어 장치의 일 구성예는, 상기 딜레이 시간이, 상기 공간이 무인 상태일 확률이 높은 시간대일수록 시간 길이가 짧은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명 제어 장치의 일 구성예는, 상기 딜레이 시간 중 점등시에 이용하는 온 딜레이 시간이, 옥외가 어두운 시간대일수록 시간 길이가 짧은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방법은, 제어 대상이 되는 공간으로부터 검출한 열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공간 내에 존재하는 사람을 검지하고, 얻어진 사람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공간 내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 기기를 점소등 제어하는 조명 제어 방법으로서, 기억부가, 상기 점소등 제어를 지연시키는 딜레이 시간을 시간대마다 기억하는 기억 단계와, 사람 검지부가, 상기 열화상에 기초하여 사람의 존부 상태를 검출하는 사람 검지 단계와, 조명 제어부가, 검출된 상기 존부 상태에 기초하여, 유인 상태에서 무인 상태로의 제1 변화와 무인 상태에서 유인 상태로의 제2 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변화가 확인된 경우, 상기 변화를 확인한 변화 확인 시각에 따른 변화 확인 시간대의 딜레이 시간을 상기 기억부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변화 확인 시각에서 상기 딜레이 시간만큼 지연시켜 상기 조명 기기를 점등 또는 소등하는 딜레이 제어를 행하는 조명 제어 단계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존부 상태의 변화를 확인한 변화 확인 시각의 변화 확인 시간대에 따라, 딜레이 제어에 이용하는 딜레이 시간, 즉, 점등 또는 소등을 지연시키는 시간 길이가 전환되게 된다. 이 때문에, 시간대에 의해 변화되는 공간의 상황에 따른 효과적인 딜레이 제어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밤늦은 시간대 등, 공간에 사람이 적은 상황이 되는 시간대에는 비교적 짧은 딜레이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컨대, 이러한 시간대에 사람이 돌아다녔을 경우, 그때까지 소등되어 있던 이동 경로에 해당하는 각 조명 영역의 조명 기기가 점등되어도, 짧은 딜레이 시간으로 즉시 소등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조명 기기의 쓸데없는 점등을 억제할 수 있어, 쓸데없는 전력소비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조명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딜레이 시간 정보의 구성예이다.
도 3은 조명 제어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조명 제어 장치]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조명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조명 제어 장치(10)는, 전체적으로 산업용 컨트롤러나 서버 장치 등의 정보 처리 장치로 이루어지고, 제어 대상이 되는 공간(R)에 설치되어 있는 적외선 센서(SP)로 검출한 열화상에 기초하여 R 내에 존재하는 사람(U)을 검지하고, 얻어진 사람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R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 기기(Q)를 점소등 제어하는 장치이다.
적외선 센서(SP)는, 공간(R)의 천장이나 벽에 배치된 서모파일 어레이 센서 등의 적외선 센서로서, 일정 시간마다 R의 바닥면의 열화상을 검출하고, 통신 회선(L1)을 통해 조명 제어 장치(10)에 송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조명 기기(Q)는, 공간(R)의 천장에 설치된 형광등 등의 조명 기기로서, 통신 회선(L1)을 통한 조명 제어 장치(10)로부터의 점등 제어에 따라, 점등/소등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SP는, 조명 기기(Q)마다 설치되는 조명 영역의 열화상을 검출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해 두면 되고, SP와 Q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 특별히 제한은 없다.
조명 제어 장치(10)는, 주된 기능부로서, 통신 I/F부(11), 열화상 취득부(12), 기억부(13), 사람 검지부(14) 및 조명 제어부(15)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기능부 중, 열화상 취득부(12), 사람 검지부(14) 및 조명 제어부(15)는 중앙 처리 장치(CPU)와 프로그램이 협동함으로써 실현되고 있다.
통신 I/F부(11)는, 통신 회선(L1)을 통해 적외선 센서(SP) 및 조명 기기(Q)와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열화상 취득부(12)는, 통신 I/F부(11)에서 수신한 적외선 센서(SP)로부터의 열화상을 취득하고, 기억부(13)에 보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기억부(13)는, 하드디스크나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억 장치로 이루어지고, 조명 제어 장치(10)에서의 조명 제어 처리에 이용하는 각종 처리 정보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기억부(13)에서 기억하는 주된 처리 정보로서, 열화상 외에 딜레이 시간 정보가 있다.
도 2는 딜레이 시간 정보의 구성예이다. 여기서는, 시간대마다, 딜레이 제어의 제어 유무(Cont), 오프 딜레이 시간(Tdoff) 및 온 딜레이 시간(Tdon)이 조(組)로 등록되어 있다. 오프 딜레이 시간(Tdoff)은, 조명 기기(Q)의 소등을 지연시키는 시간을 나타내고 있고, 온 딜레이 시간(Tdon)은, 조명 기기(Q)의 점등을 지연시키는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Tdoff 및 Tdon에 대해서, 이들을 공통화하여 하나의 딜레이 시간(Td)으로 겸용하여도 좋다.
도 2에는, 공간(R)이 사무실의 거실인 경우의 설정예가 도시되어 있고, 예컨대, 시간대 「00:00-07:00」 및 「22:00-24:00」에 대해서는, Tdoff=5 sec, Tdon=0 sec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한밤중에 어두워 사람이 매우 적은 상황에 맞게 조명 영역으로의 진입에 맞춰 즉시 점등하고, 조명 영역으로부터의 이탈에 의해 조기에 소등할 수 있다.
또한, 시간대 「07:00-12:00」 및 「13:00-18:00」에 대해서는, Tdoff=60 sec, Tdon=60 sec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대낮에는 밝아 많은 사람이 존재하고 이동하는 상황에 맞게 어느 정도의 딜레이 시간을 가진 딜레이 제어가 행해지기 때문에, 빈번한 점소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시간대 「18:00-22:00」에 대해서는, Tdoff=30 sec, Tdon=10 sec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밖이 어두워져서 잔업 시간대에 사람도 적은 상황에 맞게, 조명 영역으로의 진입에 맞춰 조기에 점등하고, 조명 영역으로부터의 이탈에 의해 낮보다 짧은 시간으로 소등할 수 있다.
또한, 시간대 「12:00-13:00」에 대해서는, Cont=제어 없음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일을 하지 않는 점심시간이라는 상황에 맞게, 조명 제어 그 자체를 정지하고, 모든 조명 기기(Q)를 소등하여 전력소비를 삭감할 수 있다.
사람 검지부(14)는, 기억부(13)에 보존되어 있는 시계열의 열화상으로부터 얻어진 온도 분포에 대해서, 사람(U)의 표면 온도를 나타내는 사람 영역을 검색하는 기능과, 얻어진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조명 기기(Q)의 조명 영역마다, 사람(U)이 1명 이상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존부 상태를 검지하고, 검지 결과로서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조명 제어부(15)는, 사람 검지부(14)에서 얻어진 검지 결과가, 조명 기기(Q)의 조명 영역에서의 존부 상태가 변화된 경우, 기억부(13)의 딜레이 시간 정보로부터, 존부 상태의 변화가 확인된 변화 확인 시각(Tc)에 따른 변화 확인 시간대(Tp)의 딜레이 시간(Td)을 취득하는 기능과, 취득한 Td만큼 Tc에서 지연시켜 조명 기기(Q)를 점등 또는 소등하는 딜레이 제어를 행하는 기능과, 딜레이 제어를 행할 때, 기억부(13)의 딜레이 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시각의 시간대에 관한 제어 유무를 확인하며, 제어 유무가 딜레이 제어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딜레이 제어를 행하고, 제어 유무가 딜레이 제어 없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딜레이 제어를 행하지 않고 조명 기기(Q)를 소등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동작]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1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조명 제어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어떤 하나의 조명 기기(Q)를 조명 제어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열화상 취득부(12)는, 적외선 센서(SP)로부터 송신된 새로운 열화상을 취득하여, 기억부(13)에 보존하고(단계 100), 사람 검지부(14)는, 기억부(13)에 보존된 새로운 열화상으로부터, 조명 기기(Q)의 조명 영역에 관한 사람(U)의 존부 상태를 검지한다(단계 101).
다음에, 조명 제어부(15)는, 기억부(13)의 딜레이 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시각에 따른 현재 시간대에 관한 딜레이 제어의 제어 유무(Cont)를 확인한다(단계 102).
여기서, 현재 시간대에 관한 Cont가 제어 없음을 나타내는 경우(단계 102: NO), 조명 제어부(15)는, 사람 검지 결과에 기초하는 조명 제어 그 자체를 행하지 않고, 조명 기기(Q)를 소등하고(단계 103), 단계 100으로 이행한다.
또한, 현재 시간대에 관한 Cont가 제어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단계 102: YES), 조명 제어부(15)는, 조명 기기(Q)의 조명 영역에 관한 존부 상태가, 전회의 존부 상태로부터 변화되었는지 어떤지 확인하고(단계 104), 존부 상태에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단계 104: NO), 단계 100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존부 상태에 변화가 있었을 경우(단계 104: YES), 조명 제어부(15)는, 존부 상태의 변화가 유인 상태에서 무인 상태로 변화한 것을 나타내는 제1 변화인지 확인한다(단계 110).
이 존부 상태의 변화가 제1 변화인 경우(단계 110: YES), 조명 제어부(15)는, 변화 확인 시간대(Tp)에 관한 오프 딜레이 시간(Tdoff)을, 기억부(13)의 딜레이 시간 정보로부터 딜레이 시간(Td)으로서 취득한다(단계 111). 이 후, 조명 제어부(15)는, Tc에서 Tdoff만큼 지연시킨 소등 시각 Twoff=Tc+Tdoff를 계산하고(단계 112), Twoff의 도래에 따라 조명 기기(Q)를 소등한 후(단계 113), 단계 100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존부 상태의 변화가 무인 상태에서 유인 상태로 변화한 것을 나타내는 제2 변화인 경우(단계 110: NO), 조명 제어부(15)는, 변화 확인 시간대(Tp)에 관한 온 딜레이 시간(Tdon)을, 기억부(13)의 딜레이 시간 정보로부터 딜레이 시간(Td)으로서 취득한다(단계 114). 이 후, 조명 제어부(15)는, Tc로부터 Tdon만큼 지연시킨 점등 시각 Twon=Tc+Tdon을 계산하고(단계 115), Twon의 도래에 따라 조명 기기(Q)를 점등한 후(단계 116), 단계 100으로 되돌아간다.
[본 실시형태의 효과]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점소등 제어를 지연시키는 딜레이 시간(Td)을 시간대마다 미리 기억부(13)에서 기억해 두고, 검출된 존부 상태에 기초하여, 유인 상태에서 무인 상태로의 제1 변화와 무인 상태에서 유인 상태로의 제2 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변화가 확인된 경우, 조명 제어부(15)가, 변화를 확인한 변화 확인 시각(Tc)에 따른 변화 확인 시간대(Tp)의 딜레이 시간(Td)을 기억부(13)로부터 취득하고, Tc에서 Td만큼 지연시켜 조명 기기(Q)를 점등 또는 소등하는 딜레이 제어를 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존부 상태의 변화를 확인한 변화 확인 시각(Tc)의 변화 확인 시간대(Tp)에 따라, 딜레이 제어에 이용하는 딜레이 시간(Td), 즉, 점등 또는 소등을 지연시키는 시간 길이가 전환되게 된다. 이 때문에, 시간대에 의해 변화되는 공간(R)의 상황에 따른 효과적인 딜레이 제어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밤늦은 시간대 등, 공간(R)에 사람(U)이 적은 상황이 되는 시간대에는 비교적 짧은 딜레이 시간(Td)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컨대, 이러한 시간대에 사람이 돌아다녔을 경우, 그때까지 소등되어 있던 이동 경로에 해당하는 각 조명 영역의 조명 기기(Q)가 점등되어도, 짧은 시간으로 즉시 소등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조명 기기(Q)의 쓸데없는 점등을 억제할 수 있어, 쓸데없는 전력소비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억부(13)에서, 시간대마다, 딜레이 시간(Td)으로서 오프 딜레이 시간(Tdoff)과 온 딜레이 시간(Tdon)을 개별로 기억하고, 조명 제어부(15)가, 제1 변화가 확인된 경우에는, 변화 확인 시간대(Tp)의 Tdoff를 Td로서 기억부(13)로부터 취득하며, 제2 변화가 확인된 경우에는, Tp의 Tdon을 Td로서 기억부(13)로부터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제1 변화와 제2 변화에서 상이한 Td를 설정할 수 있어, 유연한 딜레이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억부(13)에서, 시간대마다, 딜레이 제어의 유무를 나타내는 제어 유무를 기억하고, 조명 제어부(15)가, 지연 제어 시각(Tw)에 기초한 점소등 제어를 행할 때, 변화 확인 시간대(Tp)의 제어 유무를 확인하며, 제어 유무가 딜레이 제어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지연 제어 시각(Tw)에 기초한 점소등 제어를 행하고, 제어 유무가 딜레이 제어 없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조명 기기(Q)를 소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임의의 시간대에서의 딜레이 제어를 용이하게 정지할 수 있어, 소비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간(R)이 무인 상태일 확률이 높은 시간대일수록 딜레이 시간(Td)의 시간 길이를 짧게 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공간(R)의 상황에 따른 매우 효과적인 딜레이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옥외가 어두운 시간대일수록, 딜레이 시간(Td) 중 점등시에 이용하는 온 딜레이 시간(Tdon)의 시간 길이를 짧게 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옥외가 어두워도 사람의 이동에 따라 즉시 조명 기기(Q)를 점등할 수 있어, 어둠으로부터 받는 불안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실시형태의 확장]
이상,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성이나 상세에는, 본 발명의 스코프 내에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변경을 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명 기기(Q)로서 조광 가능한 기기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점등 상태가 휘도 100%일 필요는 없고 중간 휘도를 점등 상태에 할당하여도 좋다. 또한, 기억부(13)의 딜레이 시간 정보에 있어서, 시간대마다 휘도를 미리 설정해 두고, 조명 기기(Q)를 점등 제어하는 경우에는, 조명 제어부(15)가, 그 시간대에 따른 휘도를 딜레이 시간 정보로부터 취득하여, 조명 기기(Q)를 점등 제어하도록 하여도 좋다.
10 : 조명 제어 장치 11 : 통신 I/F부
12 : 열화상 취득부 13 : 기억부
14 : 사람 검지부 15 : 조명 제어부
SP : 적외선 센서 Q : 조명 기기
R : 공간 U : 사람
L1 : 통신 회선 Td : 딜레이 시간
Tdoff : 오프 딜레이 시간 Tdon : 온 딜레이 시간
Tc : 변화 확인 시각 Tp : 변화 확인 시간대
Tw : 지연 제어 시각 Twoff : 소등 시각
Twon : 점등 시각 Cont : 제어 유무

Claims (6)

  1. 제어 대상이 되는 공간으로부터 검출한 열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공간 내에 존재하는 사람을 검지하고, 얻어진 사람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공간 내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 기기를 점소등 제어하는 조명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점소등 제어를 지연시키는 딜레이 시간을 시간대마다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열화상에 기초하여 사람의 존부 상태를 검출하는 사람 검지부와,
    검출된 상기 존부 상태에 기초하여, 유인(有人) 상태에서 무인(無人) 상태로의 제1 변화와 무인 상태에서 유인 상태로의 제2 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변화가 확인된 경우, 상기 변화를 확인한 변화 확인 시각에 따른 변화 확인 시간대의 딜레이 시간을 상기 기억부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변화 확인 시각으로부터 상기 딜레이 시간만큼 지연시켜 상기 조명 기기를 점등 또는 소등하는 딜레이 제어를 행하는 조명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기억부는, 상기 시간대마다, 상기 딜레이 시간으로서 오프 딜레이 시간과 온 딜레이 시간을 개별로 기억하고,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제1 변화가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변화 확인 시간대의 상기 오프 딜레이 시간을 상기 딜레이 시간으로서 상기 기억부로부터 취득하며, 상기 제2 변화가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변화 확인 시간대의 상기 온 딜레이 시간을 상기 딜레이 시간으로서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시간대마다, 상기 딜레이 제어에 관한 제어 유무를 기억하고,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딜레이 제어를 행할 때, 상기 기억부를 참조하여 현재 시각의 시간대에 관한 상기 제어 유무를 확인하며, 상기 제어 유무가 딜레이 제어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딜레이 제어를 행하고, 상기 제어 유무가 딜레이 제어 없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조명 기기를 소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딜레이 시간은, 상기 공간이 무인 상태일 확률이 높은 시간대일수록 시간 길이가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딜레이 시간 중 점등시에 이용하는 온 딜레이 시간은, 옥외가 어두운 시간대일수록 시간 길이가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장치.
  6. 제어 대상이 되는 공간으로부터 검출한 열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공간 내에 존재하는 사람을 검지하고, 얻어진 사람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공간 내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 기기를 점소등 제어하는 조명 제어 방법으로서,
    기억부가, 상기 점소등 제어를 지연시키는 딜레이 시간을 시간대마다 기억하는 기억 단계와,
    사람 검지부가, 상기 열화상에 기초하여 사람의 존부 상태를 검출하는 사람 검지 단계와,
    조명 제어부가, 검출된 상기 존부 상태에 기초하여, 유인 상태에서 무인 상태로의 제1 변화와 무인 상태에서 유인 상태로의 제2 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변화가 확인된 경우, 상기 변화를 확인한 변화 확인 시각에 따른 변화 확인 시간대의 딜레이 시간을 상기 기억부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변화 확인 시각으로부터 상기 딜레이 시간만큼 지연시켜 상기 조명 기기를 점등 또는 소등하는 딜레이 제어를 행하는 조명 제어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기억부는, 상기 시간대마다, 상기 딜레이 시간으로서 오프 딜레이 시간과 온 딜레이 시간을 개별로 기억하고,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제1 변화가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변화 확인 시간대의 상기 오프 딜레이 시간을 상기 딜레이 시간으로서 상기 기억부로부터 취득하며, 상기 제2 변화가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변화 확인 시간대의 상기 온 딜레이 시간을 상기 딜레이 시간으로서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방법.
KR1020180053025A 2017-06-15 2018-05-09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133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17439 2017-06-15
JP2017117439A JP6917797B2 (ja) 2017-06-15 2017-06-15 照明制御装置およ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879A KR20180136879A (ko) 2018-12-26
KR102133337B1 true KR102133337B1 (ko) 2020-07-13

Family

ID=64801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025A KR102133337B1 (ko) 2017-06-15 2018-05-09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17797B2 (ko)
KR (1) KR102133337B1 (ko)
CN (1) CN109152161B (ko)
SG (1) SG10201805005S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25573B2 (ja) * 2019-10-02 2024-01-31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3876A (ja) * 1999-11-18 2001-05-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装置
JP2008174172A (ja) * 2007-01-22 2008-07-31 Suzuki Chizuko オートライト装置
JP2009048807A (ja) 2007-08-15 2009-03-05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JP2010211995A (ja) 2009-03-09 2010-09-24 Mitsubishi Electric Corp 人感センサシステム
JP2012074151A (ja) 2010-09-27 2012-04-12 Panasonic Corp 照明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2199A (en) * 1990-11-29 1992-08-25 Novitas, Inc. Energy efficient infrared light switch and method of making same
JPH0837091A (ja) * 1994-07-26 1996-02-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熱線検知式照明負荷制御システム
JP4374473B2 (ja) * 2003-12-24 2009-12-02 学校法人同志社 制御システムおよび照明用制御システム
US20050258954A1 (en) * 2004-03-11 2005-11-24 Ruskin Thomas R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otion actuated light
CN201355016Y (zh) * 2009-01-15 2009-12-02 上海半导体照明工程技术研究中心 红外控制led照明灯
US9510428B2 (en) * 2009-08-13 2016-11-29 The Watt Stopper, Inc. Zero power light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KR101949998B1 (ko) * 2010-11-18 2019-04-22 구글 엘엘씨 컴퓨팅 객체의 콘텍스트 히스토리
JP2013093103A (ja) 2011-10-24 2013-05-16 Panasonic Corp 照明装置
CN103391348A (zh) * 2012-05-09 2013-11-13 北京千橡网景科技发展有限公司 防止骚扰电话方法及防止骚扰电话设备
KR20140029623A (ko) * 2012-08-29 2014-03-11 허민호 디밍 제어 엘이디 조명등 장치
CN104704923A (zh) * 2012-10-17 2015-06-10 皇家飞利浦有限公司 占用性检测方法和系统
KR20140053623A (ko) * 2012-10-26 2014-05-08 주식회사 차후 조명 및 전력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EP3213604A1 (en) * 2014-10-28 2017-09-06 Philips Lighting Holding B.V.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lighting system
CN105987363B (zh) * 2015-03-05 2019-03-12 西门子(中国)有限公司 开关
CN204392669U (zh) * 2015-03-09 2015-06-10 四川圣典节能服务有限公司 室内智能控制节电系统
JP6508464B2 (ja) * 2015-04-08 2019-05-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CN104837277A (zh) * 2015-05-22 2015-08-12 无锡硅动力微电子股份有限公司 带有社交功能的智能台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3876A (ja) * 1999-11-18 2001-05-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装置
JP2008174172A (ja) * 2007-01-22 2008-07-31 Suzuki Chizuko オートライト装置
JP2009048807A (ja) 2007-08-15 2009-03-05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JP2010211995A (ja) 2009-03-09 2010-09-24 Mitsubishi Electric Corp 人感センサシステム
JP2012074151A (ja) 2010-09-27 2012-04-12 Panasonic Corp 照明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152161B (zh) 2020-08-07
KR20180136879A (ko) 2018-12-26
JP2019003825A (ja) 2019-01-10
CN109152161A (zh) 2019-01-04
SG10201805005SA (en) 2019-01-30
JP6917797B2 (ja) 202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2848B2 (en) Ligh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system
US20150168931A1 (en) System for controlling lighting and security by using switch device having built-in bluetooth module
CN106605447B (zh) 基于用户简档的来自屏幕的预测照明的方法、系统和介质
CN104918356B (zh) 学习照明器和照明器的学习控制设备
US20180228003A1 (en) Multiple input touch dimmer lighting control
JP2017123319A (ja) 照明システム及びコントローラ
JP6562339B2 (ja) 照明システムおよび照明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5403786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2004178129A (ja) 売場計画支援システム
CN103124454A (zh) 照明控制装置
CN101400201A (zh) 光源控制装置和方法
KR101665559B1 (ko) Led 조명등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9716869A (zh) 照明控制
KR101534388B1 (ko) 조명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
KR102133337B1 (ko)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EP2536258B1 (e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WO2018193855A1 (ja) 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表示システム
JP2013004312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6179312B2 (ja) 照明システムおよび照明システムの制御方法
WO2019030114A1 (en) ANCHORABLE LIGHTING CONTROL DEVICES
JP6288843B2 (ja) 制御システム
KR101846495B1 (ko) 에너지 절감을 위한 무선네트워크 기반 led 조명 제어 및 운영 방법
JP6958160B2 (ja) センサユニット、及び制御システム
JP2020155231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TW201843563A (zh) 顯示方法、程式、及顯示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