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295B1 -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 Google Patents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295B1
KR102133295B1 KR1020180149187A KR20180149187A KR102133295B1 KR 102133295 B1 KR102133295 B1 KR 102133295B1 KR 1020180149187 A KR1020180149187 A KR 1020180149187A KR 20180149187 A KR20180149187 A KR 20180149187A KR 102133295 B1 KR102133295 B1 KR 102133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ing
vacuum pressure
vacuum
solenoid valv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1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63482A (en
Inventor
이나경
이재건
Original Assignee
이나경
이재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나경, 이재건 filed Critical 이나경
Priority to KR1020180149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295B1/en
Publication of KR20200063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4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2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JMANUFACTURE OF DAIRY PRODUCTS
    • A01J5/00Milking machines or devices
    • A01J5/04Milking machines or devices with pneumatic manipulation of teats
    • A01J5/047Vacuum generating means, e.g. by connecting to the air-inlet of a tractor engine
    • A01J5/048Vacuum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JMANUFACTURE OF DAIRY PRODUCTS
    • A01J5/00Milking machines or devices
    • A01J5/003Movable milking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가축용 착유기에 관한 것으로, 전원스위치 및 타이머가 설치되는 케이스부재;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 상기 진공펌프에서 발생된 진공압을 터트컵으로 전달하여 상기 진공펌프의 진공압으로 착유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터트컵으로 전달되는 진공압을 설정된 시간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진공압을 해제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호스로 연결되어 상기 진공펌프의 진공압에 의해 착유가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 착유컵부재;를 마련하여 젖소 또는 한우 등의 가축의 종류에 관계없이 우유를 착유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착유컵부재에 가해지는 진공압을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 진공을 차단시켜 줌으로써 착유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착유 도중에 가축에게 전해지는 진공압력을 낮추거나 높여줌으로써 원활한 착유가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가축에게 가해지는 진공압을 적절하게 조졀하여 줌으로써, 가축이 착유 도중에 스트레스 등을 받지 않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Relate to a milking machine for cattle, the case member is installed a power switch and a timer; A vacuum pump installed inside the case member and generating vacuum pressure by an applied power source; A solenoid valve that transfers the vacuum pressure generated by the vacuum pump to the turf cup so that milking is performed with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pump, and releases the vacuum pressure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a set time. ; It is connected to the solenoid valve and a hose and is provided with a milking cup member provided to be milked by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pump; so that milk can be milked regardless of the type of livestock such as cows or Korean cattle. By blocking the vacuum pressure applied to the cup member for a period of time set by the timer, milking is made more smoothly, and by lowering or increasing the vacuum pressure transmitted to the livestock during milking, the milking is not only smooth, but also to the livestock.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vacuum pressure applied, an effect is obtained that the livestock may not receive stress or the like during milking.

Figure R1020180149187
Figure R1020180149187

Description

가축용 착유기{Milking machine for livestock}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본 발명은 가축용 착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유를 짜는 젖소 또는 한우 등의 가축의 종류에 상관없이 착유가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착유가 이루어지는 젖소에 상관없이 진공압과 진공이 주기적으로 반복되어 착유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축용 착유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and more specifically, to ensure that milking is performed regardless of the type of cow, such as milking cows or Korean cattle, as well as vacuum pressure and vacuum periodically repeated regardless of the milking cow. It relates to a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so that milking is smoothly performed.

일반적으로 젖소로부터 우유를 짜내는 착유(搾乳) 작업은 대부분의 현장에서 착유기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착유기는 송아지가 입으로 젖을 빠는 동작과 같은 원리를 사용하며, 예컨대 젖소 유방의 유두에 티트컵(teat cup)을 끼우고 티트컵 내에 진공을 교호적으로 발생시켜 진공과 대기압의 작용하에 젖소의 유방으로부터 우유를 흡출해낸다.In general, milking work for milking milk from a cow is performed through a milking machine in most fields. The milking machine uses the same principle that the calf sucks into the mouth, for example, by placing a teat cup on the nipple of the cow's breast and alternately generating a vacuum in the teat cup to generate the breast of the cow under the action of vacuum and atmospheric pressure. The milk from it.

착유기로는 진공펌프와 통을 들고 다니면서 착유를 수행하는 버킷식 착유기와, 우사에 우유라인과 진공라인의 파이프라인을 설치하고 착유된 우유가 자동으로 우유라인으로 운반되도록 구성된 파이프라인식 착유기와, 별도의 착유실을 설치하고 각 착유실에 파이프라인을 배관하며 각 착유실내에서 착유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착유실 착유기가 있다.As a milking machine, a bucket-type milking machine that carries out milking while carrying a vacuum pump and a bucket, and a pipeline-type milking machine configured to install a milk line and a vacuum line pipeline to a cow and automatically transport the milked milk to the milk line, There is a milking room milking machine configured to install a separate milking room, pipe pipelines to each milking room, and milking in each milking room.

이들 중 파이프라인식 착유기는 버킷식 착유기와 같이 작업자가 직접 착유된 우유를 운반할 필요가 없으므로, 계류식 우사를 가진 소규모 전업농가에 적합하여 현재 널리 채용되고 있는 실정이다.Of these, the pipeline type milking machine does not need to transport milk directly by a worker, such as a bucket type milking machine, so it is suitable for a small-scale full-time farm with a mooring barn and is currently widely adopted.

일반적으로 젖소의 유방은 4개의 분방으로 구획되어 있고 각 분방마다 하나의 유두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뒤쪽 두 유방이 앞쪽 두 유방보다 커서 생성되는 우유의 양이 뒤쪽 유방에서 더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In general, the breast of a cow is divided into four divisions, and one nipple is formed for each division. It is also known that the rear two breasts are larger than the front two breasts, so the amount of milk produced is greater in the rear breast.

젖소의 유방의 유두에 끼워지는 티트컵도 유방의 개수에 맞추어 4개가 일조로 구비된다. 진공펌프 또는 진공라인으로부터 4개의 티트컵 내로 진공이 도입되며, 그 사이에 맥동기가 위치한다.There are also four teat cups fitted to the nipples of the breast of the cow,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breasts. Vacuum is introduced into the four teat cups from the vacuum pump or vacuum line, and a pulsator is positioned between them.

맥동기는 티트컵 내에 진공을 인가하고 해제함으로써, 티트컵이 마치 송아지가 젖을 빠는 동작을 실현하게 한다.The pulsator applies and releases a vacuum in the teat cup, so that the teat cup realizes a calf sucking operation.

맥동기는 구동 방식에 따라 크게 에어식 맥동기와 전자식 맥동기로 구분된다. 에어식 맥동기는 도입된 진공을 기계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맥동비율이 일정하다.The pulsator is largely divided into an air pulsator and an electronic pulsator according to the driving method. The air pulsator is configured to mechanically regulate the introduced vacuum so that the pulsation ratio is constant.

전자식 맥동기는 맥동기 내부의 전자장치를 통해 각 티트컵에 맥동비율이 다르게 진공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electronic pulsator is configured to apply a vacuum to each teat cup with a different pulsation ratio through an electronic device inside the pulsator.

에어식 맥동기의 경우, 앞쪽 유방과 뒤쪽 유방에 생성된 우유의 양이 차이가 있으므로, 에어식 맥동기는 착유시 앞쪽 유방에 생성된 우유의 착유가 완료된 상태에서도 맥동기가 계속 구동하여 앞쪽 유방을 자극하게 된다.In the case of an air pulsator, since the amount of milk produced in the front breast and the rear breast is different, the air pulsator continues to drive the front breast even when milking of the milk produced in the front breast is completed. Will stimulate.

그러면 젖소는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유방염이 발생할 수도 있다. 전자식 맥동기의 경우, 각 티트컵에 다른 맥동비율로 진공을 인가하므로, 젖소에게 스트레스를 주거나 유방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 에어식 맥동기는 통상 파이프라인식 착유기에 채용되고, 전자식 맥동기는 착유실 착유기에 채용된다.The cow then becomes stressed and may develop mastitis. In the case of an electronic pulsator, vacuum is applied to each teat cup at a different pulsation ratio, so there is little possibility of stress or mastitis to the cow. Air pulsators are usually employed in pipeline type milking machines, and electronic pulsators are employed in milking room milking machines.

전자식 맥동기를 사용하는 착유실 착유기가 수율면에서나 젖소의 건강면에서도 유리하지만, 현재 파이프라인식 착유기를 채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소규모 전업 농가에서는 착유실 착유기로의 전환에 필요한 고비용 때문에 전자식 맥동기를 채용한 착유실 착유기를 쉽게 적용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Milking parlor milking machines using electronic pulsators are advantageous in terms of yield and health of cows, but most small-scale farmers currently employing pipeline milking machines have adopted electric pulsating machines because of the high cost required to convert to milking parlo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ilking room milking machine cannot be easily applied.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착유기'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below discloses a'milking machine'.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는 착유유닛과, 상기 착유유닛에 연결된 착유펌프 및 상기 착유유닛에 의해 착유된 우유를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착유유닛은 젖소의 젖꼭지에 고정되는 티트컵과, 상기 티트컵과 착유펌프를 연결하는 착유관을 포함하는 착유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유유닛은 지지케이스와, 상기 지지케이스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includes a milking unit, a milking pump connected to the milking unit, and a storage tank for storing milk milked by the milking unit, wherein the milking unit includes a teat cup fixed to a nipple of a cow, In the milking apparatus including a milking pipe connecting the teat cup and the milking pump, the milking unit includes a support case and an extension extending forward from the support case.

상기 티트컵은 상기 연장대에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착유관은 상기 지지케이스와 연장대를 통해 상기 티트컵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티트컵을 전방으로 당기면 상기 티트컵과 착유관이 상기 연장대의 전방으로 인출되어, 상기 티트컵을 당겨 젖소의 젖꼭지에 고정할 수 있고, 상기 지지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다.The teat cup is coupled to the extension to be pulled forward, and the milking pipe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teat cup through the support case and the extension, and when the teat cup is pulled forward, the teat cup is attached to the teat cup. The duct is drawn out to the front of the extension, and the teat cup can be pulled and fixed to the cow's nipple, and is provided inside the support case.

상기 지지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된 착유관의 중간부를 당겨 상기 연장대의 전방으로 인출된 착유관의 선단부와 티트컵이 상기 연장대 및 지지케이스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하는 수납장치와, 상기 수납장치를 작동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Operate the storage device and the storage device to pull the middle portion of the milking pipe located inside the support case and allow the tip portion and teat cup of the milking pipe drawn out to the front of the extension to be received inside the extension and support case. It includes a control unit to control.

상기 수납장치는 상기 연장대에 구비되어 상기 티트컵이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인출감지수단과, 상기 지지케이스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측 둘레면에 상기 착유관의 중간부가 걸쳐지는 승강롤과, 상기 승강롤에 연결되어 승강롤을 승강시키는 승강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The storage device is provided in the extension unit and withdrawal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at the teat cup is withdrawn forward, and is provided to be able to elevate inside the support case, and an elevating roll that intersects the middle portion of the milking pipe on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t is connected to the lifting roll includes a lifting actuator for elevating the lifting roll.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착유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2 below discloses a'milking device'.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착유 장치는 우유라인과 진공라인으로 이루어진 파이프라인과, 상기 우유라인과 연통 가능한 우유흡출구와 상기 진공라인과 연통 가능한 진공도입구를 가지며 상기 우유라인과 진공라인에 걸치도록 형성된 탭과, 상기 우유흡출구와 정합하는 우유라인 연결관과 상기 진공도입구에 접속하는 진공라인 연결관을 가지며 상기 탭에 고정 가능한 호스 행거와, 상기 진공라인 연결관과 연결되고 착유에 필요한 진공을 맥동시키기 위한 전자식 맥동기와, 일측에 상기 전자식 맥동기가 고정되고 상기 파이프라인 중 하나에 걸쳐지도록 만곡된 걸이부를 일단에 가지는 맥동기 행거와, 상기 우유라인 연결관에 연결된 밀크크로우와 젖소의 유두에 끼워지며 일측에서 상기 전자식 맥동기와 연결되고 타측에서 상기 밀크크로우와 연결되는 티트컵을 가지는 착유 유닛을 포함한다.The milking apparatus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2 below has a pipeline made of a milk line and a vacuum line, a milk outlet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milk line, and a vacuum inlet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vacuum line, and is formed to span the milk line and the vacuum line. A hose hanger having a tab, a milk line connector matching the milk outlet and a vacuum line connector connecting to the vacuum inlet, and a hose hanger fixed to the tab and connected to the vacuum line connector and pulsating the vacuum required for milking An electronic pulsator for prescribing, a pulsator hanger having one end of the electronic pulsator fixed at one side and curved to span one of the pipelines, and a milk crow connected to the milk line connector and a nipple of a cow It includes a milking unit having a teat cup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ulsator on one side and the milk crow on the other side.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394529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394529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17422호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17422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93846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93846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착유기는 젖소에 적합하게 이루어져 진공압의 맥동에 의해 착유가 이루어지나 한우 등과 같이 다른 종류의 소의 경우 젖소의 젖꼭지와 한우의 젖꼭지의 생김새가 달라 착유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맥동에 의해 진공이 작용하게 됨에 따라 착유가 원활하게 이루어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milk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suitable for a cow, and milking is performed by pulsation under vacuum pressure, but in the case of other types of cows, such as Korean beef, milking is not smoothly performed due to different appearances of the cow's nipple and the cow's nipp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milking is not smoothly performed as the vacuum is applied by the puls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젖소, 육우, 한우 등의 가축의 종류에 관계없이 착유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축용 착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milking is made regardless of the type of livestock, such as cows, beef cattle, Korean catt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이 해제되는 시간을 설정하여 진공압이 가해지는 시간 및 진공이 해제되는 시간을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줌으로써 원활한 착유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축용 착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that enables smooth milking by continuously setting the time at which the vacuum is released and continuously applying the vacuum pressure and the time at which the vacuum is releas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타이머와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진공이 가해지는 시간 및 진공이 해제되는 시간을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는 가축용 착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that can freely set a time for which a vacuum is applied and a time for which the vacuum is released by a timer and a solenoid valv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착유기는 전원스위치 및 타이머가 설치되는 케이스부재;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 상기 진공펌프에서 발생된 진공압을 터트컵으로 전달하여 상기 진공펌프의 진공압으로 착유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터트컵으로 전달되는 진공압을 설정된 시간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진공압을 해제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호스로 연결되어 상기 진공펌프의 진공압에 의해 착유가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 착유컵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member in which a power switch and a timer are installed; A vacuum pump installed inside the case member and generating vacuum pressure by an applied power source; A solenoid valve that transfers the vacuum pressure generated by the vacuum pump to the turf cup so that milking is performed with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pump, and releases the vacuum pressure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a set time. ; And a milking cup member connected to the solenoid valve and a hose and provided to be milked by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pump.

상기 케이스부재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전면판, 상기 전면판으로부터 연장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연장되는 배면판으로 이루어지는 전면케이스; 상기 전면케이스의 양 측면을 커버하는 한 쌍의 측면판,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면판으로 이루어지는 측면케이스; 상기 진공펌프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도록 상기 전면판에 설치되는 전원스위치;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구동 시간을 설정하도록 상기 전면판에 설치되는 타이머; 상기 상면판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se member includes a front case formed of a front plate formed of a predetermined size, a bottom plate extending from the front plate, and a back plate extending from the bottom plate; A side case made of a pair of side plates cover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front case, and a top plate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pair of side plates; A power switch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to turn on/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vacuum pump; A timer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to set a driving time of the solenoid valve; And a handle provided rotatably on the top plate.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상기 진공펌프에서 발생된 진공압이 전달되도록 형성되는 제1 연결구; 상기 제1 연결구에 전달된 진공압이 상기 착유컵부재에 전달되는 진공압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 연결구; 상기 제2 연결구로 전달되는 진공압을 설정된 시간동안 진공을 해제시키도록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개폐구; 상기 타이머에 의해 상기 개폐구를 개폐시키도록 구비되는 솔레노이드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olenoid valve may include a first connector configured to transmit vacuum pressure generated by the vacuum pump; A second connector configured to connect the vacuum pressure delivered to the first connector to a pressure regulating valve that regulates the vacuum pressure delivered to the milking cup member; An opening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vacuum pressure delivered to the second connection opening to release the vacuum for a predetermined tim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olenoid body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by the timer.

상기 타이머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상기 착유컵부재로 전달되는 진공압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구의 개폐 시간을 1~30초 내에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im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time of the opening and closing is set within 1 to 30 seconds so that the vacuum pressure delivered to the milking cup member through the solenoid valve is released.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상기 전면판의 배면에 설치되는 3방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공펌프의 진공압이 상기 착유컵부재로 전달되는 진공압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압력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olenoid valve further includes a three-way valv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late, and a pressure regulating valve installed to adjust the vacuum pressure at which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pump is transmitted to the milking cup member. It is characterized b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착유기에 의하면, 젖소 또는 한우 등의 가축의 종류에 관계없이 우유를 착유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착유컵부재에 가해지는 진공압을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 진공을 차단시켜 줌으로써 착유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착유 도중에 가축에게 전해지는 진공압력을 낮추거나 높여줌으로써 원활한 착유가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가축에게 가해지는 진공압을 적절하게 조졀하여 줌으로써, 가축이 착유 도중에 스트레스 등을 받지 않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ilk can be milked irrespective of the type of livestock such as cows or Korean cattle, as well as the vacuum pressure applied to the milking cup member for a time set by a timer By blocking the vacuum, milking is performed more smoothly, and by lowering or increasing the vacuum pressure applied to the livestock during milking, smooth milking is achieved, and by properly adjusting the vacuum pressure applied to the livestock, the milking is performed by the livestock. The effect of being able to avoid stress and the like on the way is obtained.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착유기에 의하면, 전원콘솔박스 내에 어댑터 및 배터리 등을 내장하여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착유기의 구성이 간단하여 착유기의 고장 및 파손의 우려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dapter and a battery and the like can be built in the power console box to be used as a portable devic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milking machine is simple, so that the milking machine can be used without fear of breakdown or damag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착유기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착유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착유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착유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착유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착유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착유기를 도시한 입체도.
1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착유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착유기는 전원스위치(15) 및 타이머(16)가 설치되는 케이스부재(10), 상기 케이스부재(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30), 상기 진공펌프(30)에서 발생된 진공압을 터트컵(61)으로 전달하여 상기 진공펌프(30)의 진공압으로 착유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터트컵(61)으로 전달되는 진공압을 설정된 시간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진공압을 해제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40),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0)와 호스로 연결되어 상기 진공펌프(30)의 진공압에 의해 착유가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 착유컵부재(60)를 포함한다.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member 10, the case member 10 in which the power switch 15 and the timer 16 are installed, and vacuum pressure is applied by the applied power. The vacuum pump 30 to generate the vacuum pressure generated by the vacuum pump 30 is transmitted to the turf cup 61 so that milking is performed with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pump 30, and the turf cup 61 ) Is connected to the solenoid valve 40, the solenoid valve 40 and a hose that releases the vacuum pressure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set time, the milking is performed by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pump 30 It includes a milking cup member 60 provided to b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착유기는 젖소 또는 한우 등의 가축의 종류에 관계없이 우유를 착유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착유컵부재(60)에 가해지는 진공압을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 진공을 차단시켜 줌으로써 착유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milking regardless of the type of livestock such as cow or Korean cow, as well as vacuuming the vacuum pressure applied to the milking cup member 60 for a time set by a timer By blocking the, milking is made more smoothly.

또한 착유 도중에 가축에게 전해지는 진공압력을 낮추거나 높여줌으로써 원활한 착유가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가축에게 가해지는 진공압을 적절하게 조졀하여 줌으로써, 가축이 착유 도중에 스트레스 등을 받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by lowering or increasing the vacuum pressure applied to the livestock during milking, smooth milking is performed as well as by properly adjusting the vacuum pressure applied to the livestock, so that the livestock is not subjected to stress or the like during milkin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착유기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착유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착유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착유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1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4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착유기는 전원스위치(15) 및 타이머(16) 등이 설치되는 케이스부재(10)와 상기 케이스부재(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30), 상기 진공펌프(30)의 진공압을 착유컵부재(60)로 전달되게 함은 물론 일정 시간 동안 개방되어 진공압을 해제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40),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0)의 진공압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압력조절밸브(50) 및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0)에서 공급된 진공압에 의해 착유가 이루어지는 착유컵부재(60)로 이루어진다.1 to 4, the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ower switch 15 and a timer 16, the case member 10 and the inside of the case member 10 are installed Installed in the vacuum pump 30 to generate a vacuum pressure,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pump 30 is transmitted to the milking cup member 60, as well as open for a period of time to release the vacuum pressure solenoid valve 40 ), a pressure regulating valve 50 installed to adjust the vacuum pressure of the solenoid valve 40 and a milking cup member 60 milked by the vacuum pressure supplied from the solenoid valve 40.

상기 케이스부재(1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전면판(12), 상기 전면판(12)으로부터 연장되는 바닥판(13), 상기 바닥판(13)으로부터 연장되는 배면판(14)으로 이루어지는 전면케이스(11), 상기 전면케이스(11)의 양 측면을 커버하는 한 쌍의 측면판(22), 상기 한 쌍의 측면판(22)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면판(23)으로 이루어지는 측면케이스(21), 상기 진공펌프(30)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도록 상기 전면판(12)에 설치되는 전원스위치(15),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0)의 구동 시간을 설정하도록 상기 전면판(12)에 설치되는 타이머(16), 상기 상면판(2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잡이(25)를 포함한다.The case member 10 is formed of a front plate 12 formed of a predetermined size, a bottom plate 13 extending from the front plate 12, and a back plate 14 extending from the bottom plate 13 Side case consisting of front case 11, a pair of side plates 22 cover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front case 11, and a top plate 23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ir of side plates 22 (21), the front panel to set the driving time of the power switch 15 and the solenoid valve 40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12 to turn on/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vacuum pump 30. It includes a timer (16) installed on (12), a handle (25) provided rotatably on the top plate (23).

상기 케이스(10)는 전원스위치(15), 타이머(16) 등이 설치되는 전면케이스(11)와 상기 전면케이스(11)에 결합되는 측면케이스(21)로 이루어진다.The case 10 includes a power switch 15, a front case 11 on which a timer 16, etc. are installed, and a side case 21 coupled to the front case 11.

상기 전면케이스(11)는 대략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전면케이스(11)의 전면에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전면판(12)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전면판(12)의 하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바닥판(13)이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바닥판(13)의 타측에는 배면판(14)이 수직으로 설치된다.The front case 1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U' shape, a front plate 12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ase 11, and a lower portion of the front plate 12 is formed. The bottom plate 13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horizontally installed, and the rear plate 14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plate 13.

아울러 전면판(12)에는 진공펌프(30)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스위치(15)가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0)의 개방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16)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front panel 12 is provided with a power switch 15 for turning on/off the power applied to the vacuum pump 30, and a timer 16 for setting the opening time of the solenoid valve 40 is installed.

또 전면판(12)에는 진공펌프(30)에서 발생된 진공압이 솔레노이드밸브(40)를 거쳐 착유컵부재(60)로 전달되도록 전면판호스연결구(17)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front plate hose connector 17 is installed on the front plate 12 so that the vacuum pressure generated by the vacuum pump 30 is transmitted to the milking cup member 60 via the solenoid valve 40.

이러한 전면판호스연결구(17)는 착유컵부재(60)와 연결호스(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진공펌프(30)의 진공압이 착유컵부재(60)로 전달되게 한다.The front plate hose connector 17 is connected by a milking cup member 60 and a connecting hose (not shown) so that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pump 30 is transferred to the milking cup member 60.

아울러 측면케이스(21)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전면케이스(11)의 양 측면에 대응되게 수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판(22)과 상기 한 쌍의 측면판(22)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면판(23)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ide case 2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대략'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a pair of side plates 22 and the pair formed vertically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front case 11 It consists of a top plate (23)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ide plate (22).

상기 상면판(23)에는 가축용 착유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25)가 구비된다. 즉, 상면판(23)에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24)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브래킷(24)에는 회전 가능하게 손잡이(25)가 설치된다.The upper plate 23 is provided with a handle 25 to move the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That is, a pair of fixing brackets 24 is fixed to the top plate 23, and a handle 25 is rotatably installed to the fixing brackets 24.

상기 케이스부재(10)의 내부에는 착유가 이루어지도록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30)가 설치되며, 상기 진공펌프(30)의 일측에는 진공펌프(30)에서 발생된 진공압을 전달하도록 연결호스(미도시)와 연결되는 펌프호스연결구(31)가 설치된다.The inside of the case member 10 is provided with a vacuum pump 30 that generates a vacuum pressure so that milking is performed, and connected to transfer vacuum pressure generated by the vacuum pump 30 to one side of the vacuum pump 30. A pump hose connector 31 that is connected to a hose (not shown) is installed.

이러한 진공펌프(30)는 케이스부재(10)의 전면에 설치된 전원스위치(15)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케이스부재(10)의 내부에는 솔레노이드밸브(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콘솔박스(35)가 설치된다.The vacuum pump 30 is driven by a power switch 15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case member 10, and inside the case member 10, a power console box 35 for supplying power to the solenoid valve 40 ) Is installed.

상기 전원콘솔박스(35)는 전원스위치(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원스위치(15)에서 인가된 전원이 솔레노이드밸브(40)가 구동되도록 전압을 조정하는 어댑터(미도시)가 설치된다.The power console box 3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witch 15, and an adapter (not shown) that adjusts the voltage so that the power applied from the power switch 15 drives the solenoid valve 40 is installed. .

상기 어댑터는 진공펌프(30)에 인가되는 220V 전압을 5V로 낮추어 솔레노이드밸브(40)에 공급하게 된다.The adapter lowers the 220V voltage applied to the vacuum pump 30 to 5V and supplies it to the solenoid valve 40.

한편 상기 전원콘솔박스(35) 내부에는 어댑터뿐만 아니라 휴대 시 진공펌프(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터리(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a battery (not shown) may be built in the power console box 35 so as to supply power to the vacuum pump 30 when carrying the adapter as well as an adapter.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착유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착유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5 is an exploded stereoscopic view showing a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xploded stereoscopic view showing a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0)는 상기 진공펌프(30)에서 발생된 진공압이 전달되도록 형성되는 제1 연결구(41), 상기 제1 연결구(41)에 전달된 진공압이 상기 착유컵부재(60)에 전달되는 진공압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50)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 연결구(42), 상기 제2 연결구(42)로 전달되는 진공압을 설정된 시간동안 진공을 해제시키도록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개폐구(43), 상기 타이머(16)에 의해 상기 개폐구(43)를 개폐시키도록 구비되는 솔레노이드본체(44)를 포함한다.1 to 6, the solenoid valve 40 is delivered to the first connector 41 and the first connector 41 formed to transfer the vacuum pressure generated in the vacuum pump 30. The vacuum pressure delivered to the second connector 42 and the second connector 42 is formed such that the vacuum pressure is connected to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50 for controlling the vacuum pressure delivered to the milking cup member 60. And a solenoid body 44 that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opening 43 by the timer 16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pening 43 which is formed to open and close to release the vacuum for a set time.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0)는 진공펌프(30)에서 발생된 진공압을 착유컵부재(60)로 전달함과 함께 착유컵부재(60)에 전달되는 진공압을 설정된 시간동안 해제시켜 착유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solenoid valve 40 transmits the vacuum pressure generated by the vacuum pump 30 to the milking cup member 60 and releases the vacuum pressure transmitted to the milking cup member 60 for a set time to make milking more smoothly. To make it happen.

즉,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0)는 착유컵부재(60)에 전달되는 진공압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킴으로써 착유컵부재(60)에 가해지는 진공압을 일시적으로 차단시키며, 젖소 또는 한우 등의 젖꼭지에 지속적으로 가해지지 않고 일시적으로 진공압을 해제시켜 착유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solenoid valve 40 temporarily stops the vacuum pressure applied to the milking cup member 60 by temporarily stopping the vacuum pressure transmitted to the milking cup member 60, and is continuously applied to a nipple such as cow or Korean cattle. Temporarily release the vacuum pressure without being applied to make milking more smoothly.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0)에는 진공펌프(30)의 펌프호스연결구(31)와 연결되도록 제1 연결구(4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구(41)에 전달된 진공압이 전면판호스연결구(17)로 전달되도록 제2 연결구(42)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구(41) 및 제2 연결구(42)와 연통되는 개폐구(43)가 일체로 형성된다.In the solenoid valve 40, a first connector 41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pump hose connector 31 of the vacuum pump 30, and the vacuum pressure delivered to the first connector 41 is connected to the front panel hose connector ( 17) the second connector 42 is formed so as to be transmitted, the first connector 41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 43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connector 42 are integrally formed.

아울러 상기 개폐구(43)를 일시적으로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본체(44)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solenoid body 44 for temporarily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43 is provided.

상기 전면판(12)에는 압력게이지(49)가 설치되며, 상기 압력게이지(49)에는 3방밸브(45)가 연결 설치된다.A pressure gauge 49 is installed on the front plate 12, and a three-way valve 45 is connected to the pressure gauge 49.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0)는 상기 전면판(12)의 배면에 설치되는 3방밸브(4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공펌프(30)의 진공압이 상기 착유컵부재(60)로 전달되는 진공압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압력조절밸브(50)를 포함한다.The solenoid valve 40 further includes a three-way valve 45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late 12, and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pump 30 is transferred to the milking cup member 60. It includes a pressure control valve 50 is installed to adjust the vacuum pressure.

상기 3방밸브(45)는 대략 'T'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3방밸브(45)는 펌프호스연결구(31)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3 연결구(46), 상기 제3 연결구(46)로부터 일직선상으로 연장되어 3방밸브(45)와 제1 연결구(41)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4 연결구(47) 및 상기 제3 연결구(46) 및 제4 연결구(47)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압력게이지(49)와 연결되는 제5 연결구(48)로 이루어진다.The three-way valve 45 is formed in a substantially'T' shape, the three-way valve 45 is a third connector 46, the third connector 46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pump hose connector 31 )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from the three-way valve 45 and the first connector 41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ourth connector 47 and the third connector 46 and the fourth connector 47 crossing direction It is formed of and consists of a fifth connector (48) connected to the pressure gauge (49).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0)와 전면판호스연결구(17) 사이에는 착유컵부재(60)에 전달되는 진공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압력조절밸브(50)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pressure control valve 50 is installed between the solenoid valve 40 and the front plate hose connector 17 to control the vacuum pressure transmitted to the milking cup member 60.

상기 압력조절밸브(50)는 대략 'T'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구(42)와 연결되도록 제1 연결구(5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구(51)와 일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구(52)가 형성된다.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5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T' shape, a first connector 51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42, and it extends in a straight line with the first connector 51 The second connector 52 is formed.

상기 제1 연결구(51)와 제2 연결구(52)와 교차되는 방향에는 제1 연결구(51)와 제2 연결구(52)를 통과하는 진공압을 조절하는 조절노브(53)가 설치된다.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connector 51 and the second connector 52, an adjustment knob 53 for adjusting the vacuum pressure passing through the first connector 51 and the second connector 52 is installed.

상기 착유컵부재(60)는 가축의 유두 부위에 밀착시키는 티트컵(61)과 상기 티트컵(61)에 결합되는 착유탱크(63)로 이루어지며, 상기 티트컵(61)에는 진공압이 전달되도록 연결구(62)가 돌출 형성된다.The milking cup member 60 is composed of a teat cup 61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a nipple portion of a livestock and a milking tank 63 coupled to the teat cup 61, and vacuum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teat cup 61. The connector 62 is formed so as to protrude.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착유기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Next, a coupling relationship of a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착유기를 도시한 입체도이다.7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부재(10)의 전면판(12)에는 진공펌프(3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스위치(15), 솔레노이드밸브(40)의 개방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16), 솔레노이드밸브(40)를 통과한 진공압이 착유컵부재(60)로 전달되도록 전면판호스연결부(17)를 설치한다.1 to 7, the opening time of the power switch 15 and the solenoid valve 40 for applying power to the vacuum pump 30 is set on the front plate 12 of the case member 10. A timer 16 and a front plate hose connecting portion 17 are installed so that the vacuum pressure passing through the solenoid valve 40 is transmitted to the milking cup member 60.

상기 케이스부재(10)의 내부에는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30)를 설치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콘솔박스(35)를 설치한다.A vacuum pump 30 for generating vacuum pressure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member 10, and a power console box 35 is installed to supply power required to drive the solenoid valve 40.

아울러 상기 케이스부재(10)의 내부에는 진공펌프(30)의 진공압을 전달함은 물론 타이머(16)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 진공압을 일시적으로 해제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40)를 설치한다.In addition, a solenoid valve 40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member 10 to transmit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pump 30 and temporarily release the vacuum pressure for a time set by the timer 16.

또한 상기 케이스부재(10)의 전면에는 진공펌프(30)에서 솔레노이드밸브(40)로 전달되는 진공압을 표시하는 압력게이지(49)를 설치하며, 상기 압력게이지(49) 및 솔레노이드밸브(40)를 진공압을 전달하는 3방밸브(45)를 설치한다.In addition, a pressure gauge 49 for displaying the vacuum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vacuum pump 30 to the solenoid valve 40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member 10, and the pressure gauge 49 and the solenoid valve 40 are provided. To install a three-way valve 45 to deliver the vacuum pressure.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0)와 전면판호스연결구(17) 사이에는 착유컵부재(60)에 전달되는 진공압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50)를 설치한다.Between the solenoid valve 40 and the front plate hose connector 17, a pressure regulating valve 50 for adjusting the vacuum pressure transmitted to the milking cup member 60 is install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펌프(30)의 펌프호스연결구(31)와 3방밸브(45)의 제3 연결구(46)는 연결호스(미도시)로 연결하고, 상기 3방밸브(45)의 제4 연결구(47)와 솔레노이드밸브(40)의 제1 연결구(41)와 연결호스(미도시)로 연결한다.As shown in FIG. 7, the pump hose connection port 31 of the vacuum pump 30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 46 of the three-way valve 45 are connected by a connection hose (not shown), and the three-way valve The fourth connector 47 of 45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41 of the solenoid valve 40 and a connecting hose (not shown).

아울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0)의 제2 연결구(42)와 압력조절밸브(50)의 제1 연결구(51)와 연결호스로 연결하며, 상기 압력조절밸브(50)의 제2 연결구(52)와 전면판호스연결구(17)를 연결호스로 연결한다.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port 42 of the solenoid valve 40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 51 of the pressure control valve 50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hose,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 52 of the pressure control valve 50 Connect the front panel hose connector (17) with a connecting hose.

또 상기 전면판호스연결구(17)와 착유컵부재(60)의 연결구(62)를 연결호스로 연결한다.In addition, connect the front plate hose connector 17 and the connector 62 of the milking cup member 60 with a connecting hose.

상기 진공펌프(30)는 전원스위치(15)에 의해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되어 진공압을 발생시키며, 상기 진공펌프(30)에서 발생된 진공압은 펌프호스연결구(31)를 통해 3방밸브(45)의 제3 연결구(46)로 전달된다.The vacuum pump 30 is driven by the power applied by the power switch 15 to generate a vacuum pressure, the vacuum pressure generated in the vacuum pump 30 is a three-way valve through the pump hose connector (31) ( 45) of the third connector 46.

상기 제3 연결구(46)로 전달된 진공압은 제4 연결구(47)을 통해 솔레노이드밸브(40)의 제1 연결구(41)로 전달되며, 상기 제1 연결구(41)로 전달된 진공압은 제2 연결구(42)를 통과하여 압력조절밸브(50)의 제1 연결구(51)로 전달된다.The vacuum pressure delivered to the third connector 46 is transmitted to the first connector 41 of the solenoid valve 40 through the fourth connector 47, and the vacuum pressure delivered to the first connector 41 is It passes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42 and is transmitted to the first connector 51 of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50.

상기 압력조절밸브(50)의 제1 연결구(51)로 전달된 진공압은 제2 연결구(52)를 통해 전면판호스연결구(17)로 전달되며, 상기 전면판호스연결구(17)에 전달된 진공압은 착유컵부재(60)의 연결구(62)로 전달된다.The vacuum pressure delivered to the first connector 51 of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50 is transmitted to the front panel hose connector 17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52 and transmitted to the front panel hose connector 17 The vacuum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or 62 of the milking cup member 60.

이와 같이 티트컵(61)에 전달된 진공압에 의해 젖소, 한우 등으로부터 착유가 이루어지게 되며, 착유된 우유는 착유탱크(63)에 저장된다.As described above, milking is performed from cows, Korean cattle, and the like by the vacuum pressure delivered to the teat cup 61, and the milked milk is stored in the milking tank 63.

한편 진공펌프(30)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지속적으로 진공압을 발생시키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0)는 타이머(16)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 솔레노이드밸브(40)의 개폐구(43)를 개방시키게 된다.Meanwhile, the vacuum pump 30 continuously generates vacuum pressure by the applied power, and the solenoid valve 40 opens the opening 43 of the solenoid valve 40 for a time set by the timer 16. .

상기 타이머(16)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0)를 통해 상기 착유컵부재(60)로 전달되는 진공압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구(43)의 개폐 시간을 1~30초 내에서 설정하게 된다.The timer 16 sets the opening/closing time of the opening/closing opening 43 within 1 to 30 seconds so that the vacuum pressure delivered to the milking cup member 60 through the solenoid valve 40 is released.

즉, 타이머(16)는 개폐구(43)의 개방 시간을 설정하게 되는데, 상기 타이머(16)의 설정 시간이 3초인 경우, 진공압이 착유컵부재(60)에 3초 동안 가해지게 되고, 이후 솔레노이드밸브(40)의 개폐구(43)를 3초 동안 개방시키게 된다.That is, the timer 16 sets the opening time of the opening/closing opening 43, and when the setting time of the timer 16 is 3 seconds, vacuum pressure is applied to the milking cup member 60 for 3 seconds. The opening/closing opening 43 of the solenoid valve 40 is opened for 3 seconds.

이에 따라 착유컵부재(60)에는 진공압이 3초 동안 가해진 다음 솔레노이드밸브(40)의 개폐구(43)의 개방에 따라 진공압이 가해지지 않게 된다.Accordingly, vacuum pressure is applied to the milking cup member 60 for 3 seconds, and then vacuum pressure is not applied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opening 43 of the solenoid valve 40.

이렇게 3초 동안의 진공압에 의해 착유가 이루어지고, 3초 동안 진공압의 해제로 인하여 착유를 3초 동안 정지시킨 다음 다시 진공압이 3초 동안 가해진 후 3초 동안 정지된다.As described above, milking is performed by the vacuum pressure for 3 seconds, and the milking is stopped for 3 seconds due to the release of the vacuum pressure for 3 seconds, and then the vacuum pressure is applied for 3 seconds and then stopped for 3 seconds.

이러한 진공압이 가해지는 시간 및 진공압의 해제 시간은 타이머(16)에 의해 1초에서 30초 이내에서 자유롭게 설정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time at which the vacuum pressure is applied and the release time of the vacuum pressure are freely set within 1 to 30 seconds by the timer 16.

이와 같이 진공압에 의한 착유 및 진공압이 가해지지 않는 대기압 상태가 동일한 시간동안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착유 및 미착유를 설정된 시간동안 반복하면서 착유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milking by vacuum pressure and atmospheric pressure without vacuum pressure are repeatedly performed for the same time, and milking is smoothly performed while milking and unmilking are repe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한편 관리자는 진공펌프(30)에서 발생된 진공압을 압력게이지(49)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진공압이 높은 경우 압력조절밸브(50)의 조절노브(53)를 이용하여 낮추거나 진공압이 낮은 경우 압력조절밸브(50)의 조절노브(53)를 이용하여 진공압을 높이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administrator can visually check the vacuum pressure generated in the vacuum pump 30 through the pressure gauge 49, and when the vacuum pressure is high, decrease or increase the pressure using the adjustment knob 53 of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50. When the pneumatic pressure is low, the vacuum pressure is increased by using the adjustment knob 53 of the pressure control valve 50.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s has been described above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thereof.

10: 케이스부재 11: 전면케이스
12: 전면판 13: 바닥판
14: 배면판 15: 전원스위치
16: 타이머 17: 전면판호스연결구
21: 측면케이스 22: 측면판
23: 상면판 24: 고정브래킷
25: 손잡이
30: 진공펌프 31: 펌프호스연결구
35: 전원콘솔박스
40: 솔레노이드밸브 41: 제1 연결구
42: 제2 연결구 43: 개폐구
44: 솔레노이드본체 45: 3방밸브
46: 제3 연결구 47: 제4 연결구
48: 제5 연결구 49: 압력게이지
50: 압력조절밸브 51: 제1 연결구
52: 제2 연결구 53: 조절노브
60: 착유컵부재 61: 티트컵
62: 연결구 63: 착유탱크
10: case member 11: front case
12: Front panel 13: Bottom panel
14: rear panel 15: power switch
16: Timer 17: Front panel hose connector
21: side case 22: side panel
23: top plate 24: fixing bracket
25: handle
30: vacuum pump 31: pump hose connection
35: Power console box
40: solenoid valve 41: first connector
42: second connector 43: opening and closing
44: solenoid body 45: 3-way valve
46: third connector 47: fourth connector
48: fifth connector 49: pressure gauge
50: pressure regulating valve 51: first connector
52: second end connection 53: adjustment knob
60: milking cup member 61: teat cup
62: connector 63: milking tank

Claims (5)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전면판(12), 상기 전면판(12)으로부터 연장되는 바닥판(13), 상기 바닥판(13)으로부터 연장되는 배면판(14)으로 이루어지는 전면케이스(11); 상기 전면케이스(11)의 양 측면을 커버하는 한 쌍의 측면판(22), 상기 한 쌍의 측면판(22)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면판(23)으로 이루어지는 측면케이스(21); 하기 진공펌프(30)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도록 상기 전면판(12)에 설치되는 전원스위치(15); 하기 솔레노이드밸브(40)의 구동 시간을 설정하도록 상기 전면판(12)에 설치되는 타이머(16); 상기 상면판(23)에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24),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잡이(25);를 포함하는 케이스부재(10);
상기 케이스부재(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30);
상기 진공펌프(30)에서 발생된 진공압을 터트컵(61)으로 전달하여 상기 진공펌프(30)의 진공압으로 착유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터트컵(61)으로 전달되는 진공압을 설정된 시간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진공압을 해제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40);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0)와 호스로 연결되어 상기 진공펌프(30)의 진공압에 의해 착유가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 착유컵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착유기.
A front case 11 made of a front plate 12 formed of a predetermined size, a bottom plate 13 extending from the front plate 12, and a back plate 14 extending from the bottom plate 13; A side case (21) comprising a pair of side plates (22) covering both sides of the front case (11), and a top plate (23) fixed to the top surface of the pair of side plates (22); A power switch 15 installed on the front plate 12 to turn on/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vacuum pump 30 below; A timer 16 installed on the front plate 12 to set the driving time of the solenoid valve 40 below; A case member 10 including; a pair of fixed brackets 24 provided on the top plate 23 and a handle 25 rotatably provided on the pair of fixed brackets;
A vacuum pump 30 installed inside the case member 10 and generating vacuum pressure by an applied power source;
The vacuum pressure generated by the vacuum pump 30 is transferred to the turf cup 61 so that milking is performed with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pump 30, and the vacuum pressure delivered to the turf cup 61 is set for a predetermined time. Solenoid valve 40 to release the vacuum pressure for a period of time according to;
It is connected to the solenoid valve 40 and a hose milking cup member 60 is provided to be milked by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pump 30;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0)는 상기 진공펌프(30)에서 발생된 진공압이 전달되도록 형성되는 제1 연결구(41);
상기 제1 연결구(41)에 전달된 진공압이 상기 착유컵부재(60)에 전달되는 진공압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50)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 연결구(42);
상기 제2 연결구(42)로 전달되는 진공압을 설정된 시간동안 진공을 해제시키도록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개폐구(43);
상기 타이머(16)에 의해 상기 개폐구(43)를 개폐시키도록 구비되는 솔레노이드본체(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착유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olenoid valve 40 includes a first connector 41 formed to transfer the vacuum pressure generated by the vacuum pump 30;
A second connector 42 formed so that the vacuum pressure delivered to the first connector 41 is connected to a pressure control valve 50 for controlling the vacuum pressure delivered to the milking cup member 60;
An opening 43 formed to open and close the vacuum pressure delivered to the second connection 42 to release the vacuum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a solenoid body (44)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43) by the timer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16)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0)를 통해 상기 착유컵부재(60)로 전달되는 진공압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구(43)의 개폐 시간을 1~30초 내에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착유기.
According to claim 3,
The timer 16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time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ning 43 is set within 1 to 30 seconds so that the vacuum pressure delivered to the milking cup member 60 through the solenoid valve 40 is released.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0)는 상기 전면판(12)의 배면에 설치되는 3방밸브(4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공펌프(30)의 진공압이 상기 착유컵부재(60)로 전달되는 진공압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압력조절밸브(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착유기.
According to claim 3,
The solenoid valve 40 further includes a three-way valve 45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late 12,
And a pressure control valve (50) installed to control the vacuum pressure at which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pump (30) is transferred to the milking cup member (60).
KR1020180149187A 2018-11-28 2018-11-28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KR1021332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187A KR102133295B1 (en) 2018-11-28 2018-11-28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187A KR102133295B1 (en) 2018-11-28 2018-11-28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482A KR20200063482A (en) 2020-06-05
KR102133295B1 true KR102133295B1 (en) 2020-07-13

Family

ID=71088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187A KR102133295B1 (en) 2018-11-28 2018-11-28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29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7261A (en) 2021-09-09 2023-03-16 주식회사 다운 Automated milk feeder for sampl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5029A (en) * 2006-01-31 2009-07-09 デラヴァール ホルディング アクチボラゲット Milking system and vacuum adjustment method
US20110036296A1 (en) * 2008-04-24 2011-02-17 Moshe Uziel Portable apparatus for milking animal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64596A0 (en) * 1980-12-29 1982-03-31 Unihold Trading Int Milking machine
KR100432368B1 (en) * 2002-01-21 2004-06-07 김종선 Apparatus extracting mother's milk
KR200417422Y1 (en) 2006-03-09 2006-05-26 (주)바리오 Apparatus for milking
KR20100103152A (en) * 2009-03-13 2010-09-27 김연준 Breast milker
KR101209394B1 (en) * 2010-06-12 2012-12-07 이성훈 Electrical Breast Pumping System
KR101394529B1 (en) 2014-01-17 2014-05-14 소병현 Milking units
KR101793846B1 (en) 2016-11-28 2017-11-03 성 빈 강 oil press ma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5029A (en) * 2006-01-31 2009-07-09 デラヴァール ホルディング アクチボラゲット Milking system and vacuum adjustment method
US20110036296A1 (en) * 2008-04-24 2011-02-17 Moshe Uziel Portable apparatus for milking animals
US8408159B2 (en) 2008-04-24 2013-04-02 Trm Tiram Import Agencies Ltd. Portable apparatus for milking anima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7261A (en) 2021-09-09 2023-03-16 주식회사 다운 Automated milk feeder for samp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482A (en)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737292T3 (en) Holding device for the teat cups and the actuator for generating a movement of a set of teat cups
EP1754411A3 (en) A method of automatically milking animals and an implement for applying same
JPS6070021A (en) Milking device
SE503527C2 (en) Automatic milking machine
US7162970B2 (en) Automatic milking device with a controllable stimulation device and stimulation system
KR102133295B1 (en) Milking machine for livestock
US9918449B2 (en) Device for stimulating an udder during milking
CA2529582A1 (en) A milking device and a method of handling a milking device
NZ566631A (en) A robotic milking system and a method of attaching milking cups
EP2302999B1 (en) Portable apparatus for milking animals
KR200417422Y1 (en) Apparatus for milking
US2775955A (en) Air injection milking machine device
EP1369034A3 (en) A device for automatically milking animals
RU110596U1 (en) MILKING MACHINE
CN105850768A (en) Piglet feeding robot
RU2654245C1 (en) Milking unit
RU2257707C1 (en) Double-mode milking apparatus
CN214206723U (en) Pulsation milking device based on same working frequency
RU2493696C1 (en) Milking machine
US20070137581A1 (en) Teat cup for laboratory animals
ATE271767T1 (en) DEVICE FOR MILKING ANIMALS
CN208549548U (en) A kind of milker
US2727491A (en) Milk transfer unit for automatic milking machine
CN212414200U (en) Milking system for dairy animals
CN214902893U (en) Milk buffalo equipment of mil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