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223B1 - 냉장고용 제빙기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223B1
KR102133223B1 KR1020130040983A KR20130040983A KR102133223B1 KR 102133223 B1 KR102133223 B1 KR 102133223B1 KR 1020130040983 A KR1020130040983 A KR 1020130040983A KR 20130040983 A KR20130040983 A KR 20130040983A KR 102133223 B1 KR102133223 B1 KR 102133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lever
tray
ice tray
eccentric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3754A (ko
Inventor
윤석대
조익제
김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Priority to KR1020130040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223B1/ko
Publication of KR20140123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0Producing ice by using rotating or otherwise moving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25C2305/0221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rotating ice mou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6Multiple ice moulds or tray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버 일측에 형성된 캠부가 선회하면서 아이스 트레이를 회전시켜 얼음을 추출하는 냉장고용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용 제빙기{ice maker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레버 일측에 형성된 캠부를 통해 아이스 트레이를 회전시켜 얼음을 추출하는 냉장고용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냉장고용 제빙기에 관한 장치로는 특허문헌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제빙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의 내외부로 인입출되는 트레이 수납부(120),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에 수납되는 아이스 트레이(130)와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의 인입시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를 상기 케이스(110)에 결합시키는 수납부 결합 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전면에는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가 인입출되는 개구(1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의 상단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가 수납된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는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인입되게 된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양 측면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회전돌기(134a,134b)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돌기(134a,134b)는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의 양 측면 상단에 구비된 수납 홈부(12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는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에 대해 유동이 방지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는 상기 회전돌기(134a,134b)를 축으로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또한,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길이방향으로 양 측면에는 상기 회전돌기(134a,134b)로부터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폭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회전 제한 돌기(136a,136b)가 더 구비된다. 상기 회전 제한 돌기(136a,136b)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가 한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회전각을 대략 180도로 제한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양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구비된 회전돌기(134a,134b)와 회전 제한 돌기(136a,136b)의 말단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축 결합부(138)에 의해 서로 연결되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축 결합부(138)에 회전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가 회전되게 되며, 상기 회전 제한 돌기(136a,136b)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가 전복된 위치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회전이 제한되게 된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에 비틀림력을 가하기 위해, 상기 축 결합부(138)와 연결된 회전 제한 돌기(136a,136b)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길이 방향으로 반대쪽 측면에서 돌출된 회전 제한 돌기(136a,136b)의 돌출 위치보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높이를 기준으로 아래의 위치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가 회전하면서, 상기 축 결합부(138)가 구비되지 않은 측면에 구비된 회전 제한 돌기(136a,136b)가 상기 축 결합부(138)가 구비된 측면의 회전 제한 돌기(136a,136b)보다 먼저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의 상단에 걸리게 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축 결합부(138)를 더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 변위가 발생 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가 비틀리게 된다. 그래서 아이스 트레이(130)로부터 각얼음이 분리된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양측 상기 회전 제한 돌기(136a,136b)의 높이 차이로 인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가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에 수납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유지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회전 제한 돌기(136a,136b)를 다수 회 절곡시켜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회전을 위해 트레이 회전 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회전 유닛은,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의 인입시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와 결합 되며, 일단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를 회전시키는 회전축(141), 상기 회전축(141)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레버(1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141)은, 상기 케이스(110)의 측면을 관통하여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11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 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에 위치되는 일단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 즉 상기 축 결합부(138)가 착탈 되는 트레이 결합부(14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외측에 위치되는 타단에는 상기 레버(147)가 결합 되는 레버 결합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레버(147) 구동시 상기 회전축(141)에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레버(147)가 이동될 수 있는 레버 이동 슬롯(144)을 상기 케이스(110) 전면에 형성하고, 상기 레버(147)가 상기 케이스(110)의 측면을 따라 구동하며 상기 회전축(141)에 회전력을 인가하여 아이스 트레이(130)로부터 각얼음을 분리할 수 있게 한다. 분리된 각얼음은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 하부에 위치하는 각얼음 저장 용기(150)에 수용된다.
그러나, 레버(147) 구동으로 아이스 트레이(130)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 제한 돌기(136a,136b), 상기 축 결합부(138), 상기 회전축(141), 상기 트레이 결합부(143), 상기 레버 결합부(미도시) 등이 필요하여 구조와 제작공정이 복잡하고 부품이 많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에 비틀림력을 주고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 양측 회전 제한 돌기(136a,136b)에 높이 차이를 내고 다수 회 절곡시키는 공정이 추가로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1828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레버의 선회로 아이스 트레이를 회전시키고 비트는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공정을 용이하게 하고 부품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냉장고용 제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냉장고용 제빙기는, 회전 중심의 양측에 지축이 형성된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지축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전달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전달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지축에 대해 편심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편심축과, 상기 레버의 선회에 의해 상기 편심축을 선회시키는 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냉장고용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회전을 개시하는 제1반원구간과, 상기 제1반원구간에서 경사진 곡선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회전을 진행시키는 제2곡선구간과, 상기 제2곡선구간 끝단에서 상기 제1반원구간에 대응되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이 완료된 후 비틀게 하는 제3반원구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냉장고용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선회 중심축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지축에 대해 상하로 평행하고 상기 편심축에 대해 좌우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냉장고용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타측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회전을 정지시켜 비틀게 하는 트레이 스토퍼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레버 일측에 형성된 캠부와 아이스 트레이의 편심축 사이에 별도의 부품 없이 직접 연결되어 아이스 트레이를 회전시키고 비틀기 때문에, 구조가 단순하여 부품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제작공정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아이스 트레이의 회전을 정지시켜 비틀림 운동을 구현하는 트레이 스토퍼가 아이스 트레이 하부에 형성되어 있어, 돌출된 형상이 가려지는 미적 효과를 얻고, 아이스 트레이가 수평 상태일 때 하부 일측을 지지할 수 있어 아이스 트레이의 수평 유지에도 기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제빙 트레이가 개방된 사시도.
도 5는 제빙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d는 도 5에서 아이스 트레이의 회전 동작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지지 프레임에 아이스 트레이가 지지된 사시도.
도 9는 도 8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종래의 냉장고용 제빙기에서 트레이 회전 유닛을 케이스 내부에서 본 사시도.
도 12는 종래의 트레이 수납부와 아이스 트레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따른 냉장고용 제빙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제빙 트레이가 개방된 사시도이고, 도 5는 제빙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이고, 도 7a 내지 도 7d는 도 5에서 아이스 트레이의 회전 동작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지지 프레임에 아이스 트레이가 지지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종래의 냉장고용 제빙기에서 트레이 회전 유닛을 케이스 내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2는 종래의 트레이 수납부와 아이스 트레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기(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얼음을 생성하여 추출하는 제빙부(200)와, 제빙부(200) 하부에 위치하여 제빙부(200)에서 추출된 얼음이 저장되는 저장부(400)로 이루어진다.
제빙부(2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제빙부(200)의 외형을 이루며 냉장고 도어에 장착되는 제빙 프레임(290)과, 제빙 프레임(290)의 전방에 배치되어 서랍식으로 인출되며 얼음을 생성하고 추출하는 제빙 트레이(210)로 이루어진다.
제빙 트레이(21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중심의 양측에 지축(223)이 형성된 아이스 트레이(220)와, 아이스 트레이(220)의 지축(22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230)과, 지지 프레임(230)에 대해 아이스 트레이(2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전달부재(250)와, 회전전달부재(250)를 지지 프레임(230)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전전달부재(25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251)와, 아이스 트레이(220)의 지축(223)에 대해 편심되어 돌출된 편심축(262)이 형성되는 편심축부(260)과, 레버(251)의 선회에 의해 편심축(262)을 선회시키는 캠부(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합부재(24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230) 일측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전달부재(250)가 선회 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축(241)과, 고정축(241) 외측면에 배치되어 회전전달부재(25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245)과, 이탈방지판(245)을 고정축(241)에 지지시키는 볼트(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저장부(4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빙부(200) 하부에 배치되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저장부(400)는 제빙 트레이(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빙 트레이(210)로부터 추출된 얼음을 저장 보관하는 저장 케이스(410)와, 저장 케이스(410)의 후방에 배치되고 저장 케이스(410)가 서랍식으로 인출되며 냉장고 도어에 설치되는 저장 프레임(420)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는 제빙부(200)에 대해 상술하도록 한다.
제빙부(200) 내부에 서랍식으로 인출되는 제빙 트레이(210)에 대해 먼저 상술한 후, 외부의 제빙 프레임(290)에 대해 상술하도록 한다.
제빙 트레이(21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중심의 양측에 지축(223)이 형성되고 물이 담겨 얼음을 생성하는 아이스 트레이(220)와, 아이스 트레이(220)의 지축(22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230)과, 지지 프레임(230)에 대해 아이스 트레이(220)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비틀어 얼음을 추출하는 회전전달부재(250)와, 회전전달부재(250)를 지지 프레임(230)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이스 트레이(220)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빙 트레이(210) 상부, 즉 지지 프레임(230) 상부에 배치된다. 아이스 트레이(220)는 사각 형상의 트레이 몸체(221)와, 트레이 몸체(221) 내측에 다수개의 홈으로 형성되어 얼음이 생성되는 제빙 셀(222)과, 트레이 몸체(221)의 회전 중심 양측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된 지축(2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트레이 몸체(221)는 사각 형상을 가지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트레이 몸체(221)는 제빙 트레이(210) 상측, 즉 지지 프레임(230) 상측에 지지되어 회전 가능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빙 셀(222)은 트레이 몸체(221) 내측에 다수개의 홈으로 형성되어 물이 담기고 얼음이 생성된다. 제빙 셀(222)의 상측은 사각 형상이고 하측으로 내려 갈수록 둘레가 좁아지는 홈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제빙 셀(222)로부터 얼음의 추출이 용이하게 된다.
지축(223)은 트레이 몸체(221)의 회전 중심, 즉 길이 방향 양측 중심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지축(223)은 원통 형상을 가지고 지지 프레임(230) 상측의 위치한 지지홈a 및 b(231,232)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그래서 레버(251) 선회에 따라 지축(223)을 중심으로 아이스 트레이(220)가 회전하게 된다.
아이스 트레이(220)의 지축(223)에 대해 편심되어 일측에 돌출된 편심축(262)이 형성되는 편심축부(260)에 대해서는 회전전달부재(250)에서 상술하도록 한다.
지지 프레임(230)은 도 5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스 트레이(2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 프레임(23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스 트레이(220)의 지축(223)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홈a 및 b(231,232)와, 지지홈a(231)의 후방에 사각 홈으로 형성되어 편심축(262)이 배치되는 편심축 홈(233)과, 편심축 홈(233)에 대응되는 지지 프레임(230) 내측면에 배치되어 아이스 트레이(220)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비틀게 하는 트레이 스토퍼(234)와, 지지홈a(231)의 전방 일측면에 수직으로 절곡된 ㄱ형상으로 형성되어 레버(251)의 선회를 제한하는 레버 스토퍼(235)와, 지지 프레임(230) 양측 하단에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 프레임(230)이 제빙 프레임(290)에 서랍식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바a(237)와, 지지 프레임(230) 전면에 형성된 개폐 손잡이(2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지홈a(231) 하부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축(241)과 원판 형상의 이탈방지판(245)은 결합부재(240)에서 상술하도록 한다.
지지홈a 및 b(231,232)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230) 양측 중앙 상단에 삼각 봉우리 형상으로 돌출되고 중심에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홈a(231)는 원통 형상의 홈에서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지고, 지지홈b(232)는 원통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지지홈b(232)에는 지축(223)이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어 지지되고, 지지홈a(231)에는 지축(223)이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부에서 하부로 방향으로 삽입된다.
편심축 홈(233)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홈a(231)의 후방에 사각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스 트레이(220)가 지지홈a 및 b(231,232)에 수평하게 지지될 때, 편심축(262)이 수용된다. 편심축(262)은 편심축 홈(233)에 수용되어 지지 프레임(230) 외측으로 돌출되고, 도 5 및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부(270) 내부에 배치된다.
트레이 스토퍼(234)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심축 홈(233)에 대응되는 지지 프레임(230)의 내측면, 즉 지지홈b(232)의 후방 하부 내측면에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도 7c 및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스 트레이(220)가 얼음을 추출하기 위해 레버(251) 선회에 따라 회전하다가, 하부 일측이 트레이 스토퍼(234)에 걸려서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편심축(262)이 형성된 타측은 레버(251)에 의해 더 회전하면서 아이스 트레이(220)를 비틀어 얼음을 추출하게 된다. 얼음추출과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상술하도록 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 스토퍼(234)는 아이스 트레이(220)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돌출된 형상이 가려지는 미적 효과를 얻고 상해의 위험도 적다. 그리고 아이스 트레이(220)가 수평 상태일 때 하부 일측에 배치되어 아이스 트레이(220)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스 트레이(220)의 수평 유지에도 기여한다.
레버 스토퍼(235)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홈a(231)의 전방 일측면 수직으로 절곡된 ㄱ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지지 프레임(230)의 선단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사각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장되다가, 지지 프레임(230) 선단 중앙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래서 레버(251)의 레버바(255) 하단이 레버 스토퍼(235)에 부딪혀서 레버(251)의 선회가 제한된다. 아이스 트레이(220)에서 트레이 스토퍼(234)에 걸려 정지되는 측에 비해, 편심축(262)이 형성된 측을 너무 과도하게 회전하여 비틀게 되면 아이스 트레이(220)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레버 스토퍼(235)에 의해 레버(251)의 선회를 제한한다. 또한, 레버 스토퍼(235)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빙 트레이(210)가 제빙 프레임(290)에 수납되었을 때,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전달부재(250) 및 결합부재(240)가 보이지 않도록 가려주는 미적 효과도 얻는다.
결합바a(237)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빙 트레이(210), 즉 지지 프레임(230)의 양측면 하단에 폭이 좁고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결합바a(237)의 후방끝단은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방 하부에는 삼각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결합레인a(291)에 삽입되고, 전방끝단에는 하부로 돌출된 걸림돌기(238)가 형성된다. 걸림돌기(238)는 레인홈(292)에 스냅식으로 수용 결합된다. 그래서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바a(237)는 제빙 프레임(290)의 결합레인a(291)에 삽입되고, 걸림돌기(238)가 레인홈(292)에 스냅식으로 수용되어 제빙 트레이(210)를 제빙 프레임(290)에 결합시킨다.
개폐 손잡이(236)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230)의 전면 상단에는 하측으로 오목한 U 형상으로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되고, 지지 프레임(230)의 전면 하단에는 상측으로 오목한 U 형상으로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된다. 그래서 지지 프레임(230)의 전면은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H형상을 가진다. 그래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230), 즉 제빙 트레이(210)가 제빙 프레임(290)에 수납되었을 때, 상단 및 하단의 개폐 손잡이(236)에 손을 삽입하여 제빙 트레이(210)를 서랍식으로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또한, 하단에 형성된 개폐 손잡이(236)는 하부의 저장 케이스(410)를 개방하는데도 용이하게 사용된다.
이하에는 결합부재(240)에 대해 상술한다.
결합부재(240)는 도 5, 도 6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홈a(231) 하부에 형성되어 회전전달부재(250)인 레버(251)가 끼워져 결합된다. 결합부재(240)는 지지 프레임(230) 일측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전달부재(250)의 레버(251)가 선회 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축(241)과, 고정축(241) 외측에 배치되어 회전전달부재(25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245)과, 이탈방지판(245)을 고정축(241)에 지지시키는 볼트(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축(241)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홈a(231) 하부 외측면에서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축(223)에 대해 상하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편심축(262) 좌측에 위치하여 편심축(262)에 대해 좌우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래서 레버(251)의 결합부(252)가 선회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축(241)의 중심에는 원통 형상의 고정구(242)가 형성되고, 고정축(241)의 전면, 즉 고정축(241)의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홈(243)이 형성된다. 고정구(24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볼트(미도시) 체결이 가능하게 하고, 홈(243)에는 이탈방지판(245)의 돌기(246)가 수용되어 결합된다. 그래서 고정축(241)에 레버(251)의 결합부(252)가 끼워진 후, 고정축(241)의 전면에 이탈방지판(245)이 설치되어 홈(243)에 이탈방지판(245)의 돌기(246)가 삽입된다. 그 후 볼트(미도시)가 이탈방지판(245)의 홀(247)을 관통해 고정구(242)에 체결되어, 레버(251)의 결합부(252)가 고정축(241)을 이탈하지 않게 한다.
이탈방지판(245)은 도 6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축(241)의 전면에 설치된다. 이탈방지판(245)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에는 원형으로 관통 형성되어 볼트(미도시)가 삽입되는 홀(247)과, 이탈방지판(245)의 배면에 형성되어 홈(243)에 수용 결합되는 복수개의 돌기(246)와, 이탈방지판(245)의 전면에 형성되어 볼트(미도시) 헤드부가 배치되는 볼트홈(24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홀(247)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탈방지판(245) 중심에 원형으로 관통 형성된다. 홀(247)의 직경은 고정구(242)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볼트(미도시)의 축이 삽입 관통된다.
돌기(246)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247)의 반경 방향 외측을 둘러서, 이탈방지판(245)의 배면에 돌출 형성된다. 그래서 고정축(241)의 홈(243)에 수용되어 결합된다.
볼트홈(248)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탈방지판(245)의 전면에 형성되어 홀(247)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볼트홈(248)에는 볼트(미도시)가 고정구(242)에 결합될 때, 볼트(미도시)의 헤드부가 배치된다.
볼트(미도시)는 이탈방지판(245)의 홀(247)을 관통하고 고정구(242)에 체결되어 이탈방지판(245)을 고정축(241)에 지지시킨다.
결합부재(240)를 통해 회전결합부재(240)인 레버(251)가 지지 프레임(230)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지지 프레임(230) 일측에 형성된 고정축(241)에 레버(251)의 결합부(252)를 끼운 후, 홈(243)에 돌기(246)를 수용하여 고정축(241) 전면에 이탈방지판(245)을 설치한다. 그리고 볼트(미도시)를 홀(247)에 삽입하고 고정구(242)에 체결하여, 이탈방지판(245)을 고정축(241)에 지지 결합시킨다. 이탈방지판(245)의 직경은 고정축(241)이 끼워지는 결합부(252)의 결합홀(253)의 직경보다 더 크기 때문에, 결합부(252)는 이탈방지판(245)의 외측 둘레에 걸려서 고정축(24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그래서 레버(251)의 결합부(252)는 고정축(241)을 선회 중심축으로 해서 선회되어 캠부(270)를 선회시키고, 아이스 트레이(220)를 회전시킨다.
이하에는 회전전달부재(250)에 대해 상술한다.
회전전달부재(250)는 도 2,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230) 일측에 배치되어 결합부재(240)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 프레임(230)의 지지 프레임(230) 일측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251)와, 아이스 트레이(220)의 지축(223)에 대해 편심되어 돌출된 편심축(262)이 형성되는 편심축부(260)와, 내부가 장공으로 형성되어 레버(251)의 선회에 의해 편심축(262)을 선회시키는 캠부(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레버(251)는 도 6, 도 7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재(240)에 의해 지지 프레임(23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레버(251)는 결합부재(240)의 고정축(241)에 선회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결합부(252)와, 결합부(252) 상부 일측에 연결되어 절곡된 막대 형상의 레버바(255)와, 레버바(255) 상부 좌측 끝단에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레버손잡이(25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합부(252)는 도 7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에 원형 결합홀(253)이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결합홀(253)에 고정축(241)이 끼워져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고 결합된다. 그래서 레버(251)는 결합부(252)의 중심, 즉 결합부(252)가 끼워지는 고정축(241)이 선회 중심축이 된다. 레버(251)의 선회 중심축인 고정축(241)은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아이스 트레이(220)의 지축(223)에 대해 상하로 평행하고 편심축(262)에 대해 좌우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결합부(252) 상부 우측에는 레버바(255)가 연결 형성되고, 우측에는 캠부(270)가 형성된다.
레버바(255)는 도 7a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252) 상부 우측과 캠부(270) 상부에 연결되어 절곡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결합부(252) 상부 및 캠부(270) 상부에서 상부 좌측 대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대각레버바(255a)와, 대각레버바(255a) 끝단에서 좌측으로 절곡되어 수평하게 연장 형성된 수평레버바(255b)로 이루어진다. 수평레버바(255b) 좌측 끝단에는 사각 형상의 레버손잡이(258)가 형성된다. 대각레버바(255a) 및 수평레버바(255b)는, 레버손잡이(258)와 결합부(252) 및 캠부(270)사이에 위치하여 양단을 연결한다. 그래서 레버손잡이(258)를 당김에 따라 레버바(255)를 통해 회전력이 전달되어 고정축(241)을 중심으로 캠부(270)가 선회된다. 레버(251)는 대각레버바(255a) 하단이 레버 스토퍼(235)에 부딪힐 때까지 선회 가능하다.
레버손잡이(258)는 도 7a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레버바(255b) 좌측 끝단에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레버손잡이(258)의 상부에는 아래로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손으로 잡고 조작하기 용이하게 해준다. 레버손잡이(258)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빙 트레이(210)가 제빙 프레임(290)에 수납되었을 때, 제빙 프레임(290)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즉, 제빙 프레임(290) 상부 우측에 형성된 노출홈(295)에 배치된다. 그래서 제빙 트레이(210)가 제빙 프레임(290)에 수납된 상태에서 레버손잡이(258)를 전방으로 선회시키면, 레버(251)가 선회되고 아이스 트레이(220)에서 얼음을 추출할 수 있다.
편심축부(26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축(223)에 대해 편심되어 아이스 트레이(220)의 일측에 형성된다. 편심축부(260)는 지축(223)에 대해 편심되어 아이스 트레이(220)의 일측에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대(261)와, 고정대(261) 하단에서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편심축(262)과, 편심축(262) 상부에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 리브(2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대(261)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축(223)에 대해 편심되어 아이스 트레이(220), 즉 트레이 몸체(221)의 일측에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트레이 몸체(221)의 하부로 연장 형성된다. 고정태 하단에는 편심축(262)이 돌출 형성된다.
편심축(262)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대(261) 하단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래서 편심축(262)은 트레이 몸체(221)보다 하부에 위치되어 도 7a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251)의 선회 중심축인 고정축(241)과 좌우로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편심축(262)은 도 7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스 트레이(220)가 지지 프레임(230)에 수평하게 지지될 때, 편심축 홈(233)에 수용되고 지지 프레임(230) 외측으로 돌출되어 캠부(270) 내부에 배치된다. 캠부(270) 내부에 배치된 편심축(262)은 레버(251)의 선회에 의해 캠부(270)의 내부 형상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아이스 트레이(220)를 회전시키게 된다.
리브(263)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심축(262) 상부와 고정대(261) 외측면에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편심축(262)에는 아이스 트레이(220)를 회전시키고 비틀기 위해 편심축(262) 상측으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심축(262) 상부에 2개의 리브(263)를 형성하여 편심축(262)을 보강하게 된다.
이하에는 캠부(270)와 얼음추출과정에 대해 상술한다.
캠부(270)는 도 7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252) 우측에 형성되고 내부가 장공으로 형성된다. 캠부(270)는 좌측 하부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아이스 트레이(220)의 회전을 개시하는 제1반원구간(271)과, 제1반원구간(271)에서 우측 방향으로 경사진 곡선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아이스 트레이(220)의 회전을 진행시키는 제2곡선구간(273)과, 제2곡선구간(273)의 우측 상부 끝단에 제1반원구간(271)에 대응되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이 완료된 후 비틀게 하는 제3반원구간(27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반원구간(271)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부(270) 좌측 하부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스 트레이(220)가 수평하게 지지 프레임(230)에 지지될 때, 편심축(262)이 삽입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레버(251)가 고정축(241)을 선회 중심으로 선회함에 따라 제1반원구간(271)이 편심축(262)을 들어올리면서 선회를 개시시킨다. 그래서 아이스 트레이(220)가 지축(223)을 중심으로 회전이 개시된다.
제2곡선구간(273)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반원구간(271)의 일측에서 제2곡선구간(273)의 상부면은 우측 방향으로 경사진 직선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곡선구간(273)의 하부면은 우측 방향으로 경사진 곡선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곡선구간(273)의 하부면은 곡선으로 형성되어 레버(251)의 선회에 따라 편심축(262)이 제2곡선구간(273)의 하부면을 타고 올라가면서 선회된다. 그래서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251) 선회에 의해 편심축(262)이 제2곡선구간(273)의 하부면을 통과하면서, 아이스 트레이(220)의 회전이 진행된다.
제3반원구간(275)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곡선구간(273)의 우측 상부 끝단에 형성되어 제1반원구간(271)에 대응되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곡선구간(273)을 통과한 편심축(262)이 배치되고, 그에 따라 아이스 트레이(220)는 90도 이상 회전되어 아이스 트레이(220)의 하단 일측이 트레이 스토퍼(234)에 부딪혀 정지된다.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스 트레이(220)의 하단이 트레이 스토퍼(234)에 부딪혀 정지된 후 레버(251)를 더 선회시키면 트레이 스토퍼(234)에 부딪힌 아이스 트레이(220)의 일측은 정지한 반면, 편심축(262)이 형성된 아이스 트레이(220)의 타측은 더 회전하면서 비틀리게 된다(굵은 점선 도시). 그래서 아이스 트레이(220)의 제빙 셀(222)에 생성된 얼음이 추출되어 저장 케이스(410)로 낙하된다. 아이스 트레이(220)에서 편심축(262)이 형성된 측은 최대 135도까지 회전이 가능하다.
이상에 상술한 바와 같이, 레버(251) 일측에 캠부(270)가 형성되고 아이스 트레이(220)의 편심축(262)과 직접 연결되어 아이스 트레이(220)를 회전시키고 비틀기 때문에, 별도의 부품이 더 필요없다. 그래서 구조가 단순하여 부품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제작공정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이하에는 제빙 프레임(290)에 대해 상술한다.
제빙 프레임(29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과 하면이 개방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내부에 제빙 트레이(210)가 서랍방식으로 인출된다. 제빙 프레임(290)은 내측면 양측에 형성되어 결합바a(237)가 결합되는 결합레인a(291)와, 제빙 프레임(290)의 전면 우측 상부에 형성되어 레버손잡이(258)가 배치되는 노출홈(295)과, 제빙 프레임(290) 외측면 양측에 형성되어 제빙 프레임(290)을 냉장고 도어에 설치시키는 설치돌기a(29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합레인a(29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빙 프레임(290)의 내측면 양측에 형성된다. 각각의 결합레인a(291)는 수평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 결합레인a(293)와 하부 결합레인a(294)가 평행하게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상부 결합레인a(293)는 전방 끝단이 상측으로 완만하게 경사져 연장된다. 하부 결합레인a(294)는 전방측에 아래로 오목한 레인홈(292)이 형성되고, 레인홈(292) 전방 끝단은 하측으로 절곡되어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그래서 상부 결합레인a(293)와 하부 결합레인a(294) 사이로 결합바a(237)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결합바a(237)의 걸림돌기(238)가 레인홈(292)에 스냅식으로 수용되어 제빙 트레이(210)가 제빙 프레임(290)에 결합되게 한다.
노출홈(295)은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빙 프레임(290)의 전면 우측 상부에 형성된다. 노출홈(295)은 ㄴ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절곡면은 완만한 곡선면으로 형성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빙 트레이(210)가 제빙 프레임(290)에 수납되면, 회전전달부재(250)인 레버(251)의 레버손잡이(258)는 제빙 프레임(290)의 외부에 노출되어 노출홈(295)에 배치된다. 그래서 제빙 트레이(210)가 제빙 프레임(290)에 수납된 상태에서 노출홈(295)에 배치된 레버손잡이(258)를 전방으로 선회시켜 아이스 트레이(220)를 회전시키고 얼음을 추출할 수 있다. 노출홈(295)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251)의 레버손잡이(258)가 제빙 프레임(290) 외측에 돌출되지 않으면서 외부에 노출되도록 해주기 때문에 상해의 위험을 줄이는 효과를 얻는다.
설치돌기a(296)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빙 프레임(290)의 양측 외측면에 ㄱ형상으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래서 설치돌기a(296)를 냉장고 도어에 끼워 제빙 프레임(290)이 냉장고 도어에 설치되게 한다.
이하에는 저장부(400)에 대해 상술한다.
저장부(4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빙부(200) 하부에 배치되어 냉장고 도어에 설치된다. 저장부(400)는 제빙부(200)에서 추출된 얼음이 저장되는 저장 케이스(410)와, 저장 케이스(410)가 서랍식으로 인출되며 냉장고 도어에 설치되는 저장 프레임(420)으로 이루어진다.
저장 케이스(4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빙 트레이(210) 하부에 배치되어 아이스 트레이(220)로부터 추출되어 낙하 되는 얼음을 받아서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저장 케이스(410)의 양측 외측면에는 결합바b(411)가 형성된다. 결합바b(411)는 저장 케이스(410)의 양측 외측면에 막대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다. 결합바b(411)는 결합레인b(421)에 결합되어 저장 케이스(410)를 저장 프레임(420)에 서랍방식으로 밀어넣어 결합시킨다.
저장 프레임(42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 케이스(410) 후방 즉, 제빙 프레임(290) 하부에 배치되고 전면과 상면이 개방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저장 프레임(420) 내부에는 저장 케이스(410)가 인출되며 수납된다.
저장 프레임(420)의 양측 내측면에는 결합레인b(421)가 형성된다. 결합레인b(421)는 수평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 결합레인b(422)와, 상부 결합레인b(422)의 전방측 하부에 형성된 하부 결합레인b(423)로 이루어진다. 상부 결합레인b(422)는 수평한 막대 형상을 이루고 전방 끝단이 절곡되어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하부 결합레인b(423)는 상부 결합레인b(422)의 전방측 하부에 배치된다. 하부 결합레인b(423)는 상부 결합레인b(422)보다 길이가 ?E고, 후방 끝단이 절곡되어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결합레인b(421)에는 결합바b(411)가 결합되어 저장 케이스(410)가 저장 프레임(420)에 서랍식으로 인출되며 결합되게 한다.
저장 프레임(420) 양측 외측면에는 수직하게 절곡되어 ㄱ형상을 이루는 설치돌기b(425)가 형성된다. 그래서 설치돌기b(425)를 냉장고 도어에 끼워 저장 프레임(420)이 냉장고 도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1 : 냉장고용 제빙기 200 : 제빙부
210 : 제빙 트레이 220 : 아이스 트레이
221 : 트레이 몸체 222 : 제빙 셀
223 : 지축 230 : 지지 프레임
231 : 지지홈a 232 : 지지홈b
233 : 편심축 홈 234 : 트레이 스토퍼
235 : 레버 스토퍼 236 : 개폐 손잡이
237 : 결합바a 238 : 걸림돌기
240 : 결합부재 241 : 고정축
242 : 고정구 243 : 홈
245 : 이탈방지판 246 : 돌기
247 : 홀 248 : 볼트홈
250 : 회전전달부재 251 : 레버
252 : 결합부 253 : 결합홀
255 : 레버바 255a : 대각레버바
255b : 수평레버바 258 : 레버손잡이
260 : 편심축부 261 : 고정대
262 : 편심축 263 : 리브
270 : 캠부 271 : 제1반원구간
273 : 제2곡선구간 275 : 제3반원구간
290 : 제빙 프레임 291 : 결합레인a
292 : 레인홈 293 : 상부 결합레인a
294 : 하부 결합레인a 295 : 노출홈
296 : 설치돌기a 400 : 저장부
410 : 저장 케이스 411 : 결합바b
420 : 저장 프레임 421 : 결합레인b
422 : 상부 결합레인b 423 : 하부 결합레인b
425 : 설치돌기b

Claims (4)

  1. 회전 중심의 양측에 지축이 형성된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지축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전달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전달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지축에 대해 편심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편심축과, 상기 레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선회에 의해 상기 편심축을 선회시키는 캠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축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되는 지지홈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편심축은 상기 레버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캠부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레버를 당기면 상기 캠부가 선회하여 상기 편심축이 상기 캠부의 내부 형상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아이스트레이가 상기 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회전을 개시하는 제1반원구간과, 상기 제1반원구간에서 경사진 곡선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회전을 진행시키는 제2곡선구간과, 상기 제2곡선구간 끝단에서 상기 제1반원구간에 대응되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이 완료된 후 비틀게 하는 제3반원구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냉장고용 제빙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지축과 상기 레버의 선회 중심축은 상하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레버의 선회 중심축과 상기 편심축은 좌우 병렬로 배치되는 냉장고용 제빙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타측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타측에 대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일측을 비트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냉장고용 제빙기.
KR1020130040983A 2013-04-15 2013-04-15 냉장고용 제빙기 KR102133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983A KR102133223B1 (ko) 2013-04-15 2013-04-15 냉장고용 제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983A KR102133223B1 (ko) 2013-04-15 2013-04-15 냉장고용 제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754A KR20140123754A (ko) 2014-10-23
KR102133223B1 true KR102133223B1 (ko) 2020-07-13

Family

ID=51994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983A KR102133223B1 (ko) 2013-04-15 2013-04-15 냉장고용 제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2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8110A (ja) * 2010-01-29 2011-08-18 Nidec Sankyo Corp 製氷方法および製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0130B2 (ja) * 1992-06-24 2001-01-31 松下冷機株式会社 自動製氷装置
KR100868347B1 (ko) * 2007-02-12 2008-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장치
KR20080103350A (ko) * 2007-05-23 2008-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아이스트레이와 제빙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제빙장치
WO2010114186A1 (en) 2009-04-01 2010-10-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ice mak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8110A (ja) * 2010-01-29 2011-08-18 Nidec Sankyo Corp 製氷方法および製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754A (ko)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954B1 (ko) 냉장고용 제빙 트레이
US20100163707A1 (en) Ice mak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CN104428042B (zh) 陀螺及利用陀螺的陀螺游戏装置
ES2728067T3 (es) Trompo
RU2642341C1 (ru) Гироскопическая игрушка, имеющая гироскопическое кольцо, выполненное с возможностью сборки с обеих сторон
US20080163639A1 (en) Ice making apparatus of refrigerator
US20100251740A1 (en) Ice dispenser with an ice comminuting device
KR102133223B1 (ko) 냉장고용 제빙기
CN102252478B (zh) 制冰机及具有该制冰机的冰箱
US9557088B2 (en) Ice dispensing arrangement
CN204176846U (zh) 除湿机及其储水箱组件
CN203083229U (zh) 制冰机
KR100968595B1 (ko) 분말 세제 배출 장치
CN103017431A (zh) 制冰机
CN205849216U (zh) 食品处理机及其排渣装置
CN216080502U (zh) 一种制冰机
KR200415358Y1 (ko) 컵 추출장치
CN203516940U (zh) 一种进水阀止水杯高度调节装置
KR200443478Y1 (ko) 이중컵
JP2009201855A (ja) パチンコ機
CN208660333U (zh) 蛋形玩具陀螺
CN209202743U (zh) 螺杆收纳盒以及原汁机组合
CN201775949U (zh) 一种陀螺玩具
CN207152495U (zh) 煎烤机
KR20080078447A (ko) 냉장고용 물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