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855B1 -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 - Google Patents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855B1
KR102132855B1 KR1020200007143A KR20200007143A KR102132855B1 KR 102132855 B1 KR102132855 B1 KR 102132855B1 KR 1020200007143 A KR1020200007143 A KR 1020200007143A KR 20200007143 A KR20200007143 A KR 20200007143A KR 102132855 B1 KR102132855 B1 KR 102132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body portion
wing
bas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배선
Original Assignee
윤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배선 filed Critical 윤배선
Priority to KR1020200007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8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9/00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8Repairs of manhole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은,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베이스를 맨홀 내측에 설치하는 베이스 설치단계, 상기 나사산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를 상기 베이스에 설치하는 몸체부 설치단계,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베이스를 인상하는 인상단계 및 일단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날개부의 타단을 지면에 안착시키는 날개부 설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Manhole repair method using manhole housing lifting device}
본 발명은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 보수 공사 시에 맨홀 뚜껑이 안착되는 맨홀 하우징을 신속하게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승강 시킬 수 있는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나 인도의 지하에는 매우 많은 상수관, 하수관, 전력 케이블, 통신 케이블 등의 각종 시설물이 매설되고, 이러한 각종 시설물 등은 필요에 따라 정기적 또는 비 정기적인 보수가 요구된다.
이러한 시설물의 유지 보수를 위해 일정간격을 두고 맨홀이 시공되며, 통상적으로 도로는 빈번한 자동차의 통행으로 인해 표면이 노화되어 고르지 못하게 되거나 지반에 균열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통상 4~5년의 주기로 보수 공사가 시행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도로의 보수 공사를 수행하게 되는 경우, 도로의 표면이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맨홀의 표면보다 높아 지기 때문에 도로면과 맨홀 사이에는 높이차이가 발생되며, 이러한 높이차이는 차량의 주행을 방해함은 물론 사고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별도로 맨홀을 인상하여 도로의 표면과 일치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종래 맨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맨홀 보수 작업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대부분의 방법에 작업자의 노동력이 지나치게 많이 요구되며 맨홀의 하우징을 높이기 전 후의 단계에는 위와 같은 노동력이 필요하지 않아 전체적인 노동력 손실로 이어지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 10-131453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은,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베이스를 맨홀 내측에 설치하는 베이스 설치단계, 상기 나사산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를 상기 베이스에 설치하는 몸체부 설치단계,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베이스를 인상하는 인상단계 및 일단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날개부의 타단을 지면에 안착시키는 날개부 설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베이스 설치단계는, 중앙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판부재를 상기 맨홀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판부재 배치단계, 상기 판부재의 외측에 결합되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길이조절부재를 관통하는 고정부재를 제거하는 고정부재 제거단계, 상기 길이조절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 이동단계 및 상기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길이조절부재를 고정하는 길이조절부재 고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몸체부 설치단계는, 상기 맨홀 또는 상기 맨홀이 형성되는 지면과의 높이 차를 고려하여 상기 몸체부를 상기 베이스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는, 내부에 제1홀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의 일부로부터 상기 지면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2부재 및 상기 제1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에 결합하는 제1핀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 설치단계는, 상기 제1핀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길이를 통해 상기 날개부와 상기 지면 간의 높이 차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날개부 설치단계는, 상기 제1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지면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부재 회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 설치단계는, 상기 제1부재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기 제2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2부재 확장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부재 확장단계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1실린더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실린더를 관통하는 제2핀을 제거하는 제2핀 제거단계, 상기 제2실린더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2실린더 이동단계 및 상기 제2핀을 이용하여 상기 제2실린더를 고정하는 제2실린더 고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 설치단계는, 상기 제1핀을 상기 몸체부에 근접하도록 결합하는 날개부 상승단계 및 상기 제1핀을 상기 몸체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조절하는 날개부 하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날개부 설치단계는, 상기 몸체부 설치단계에서 상기 몸체부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높이 차를 고려하여 상기 날개부와 상기 지면 간의 높이 차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1차적으로 날개부 전체가 지면에 대한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여 신속하게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조절할 수 있다.
둘째, 2차적으로 복수개의 날개부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지면에 대한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여 미세 조정이 가능하다.
셋째, 몸체부에 대하여 날개부가 회동 가능하여 보관이 용이하다.
넷째, 사용자가 편리하게 맨홀 하우징의 인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베이스 설치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몸체부 설치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인상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날개부 설치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베이스의 구성 및 구동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날개부의 구성 및 구동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베이스 설치단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몸체부 설치단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인상단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날개부 설치단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베이스의 구성 및 구동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날개부의 구성 및 구동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은, 베이스 설치단계(S100), 몸체부 설치단계(S300), 인상단계(S500) 및 날개부 설치단계(S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설치단계(S100)는,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베이스(100)를 맨홀 내측에 설치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베이스(100)의 외측에는 후술할 몸체부(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0)는 상기 맨홀 내부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맨홀 하우징의 표면이 상기 지면(10)과 평형을 이루도록 상기 맨홀 하우징을 승강하여야 하기 위함이다. 다만, 상기 베이스(100)가 상기 맨홀 내부에 구비되는 방식 또는 상기 베이스(100)의 위치 등은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몸체부 설치단계(S300)는, 상기 베이스(100)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300)를 나사 결합하는 방식으로 베이스(100)에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몸체부(300)는, 내부가 상기 승강부(50)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100)에 결합하도록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300)에 형성되는 나사산은, 상기 베이스(100)의 나사산과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100)에 가까워지거나 상기 베이스(100)의 나사산과 풀리며 상기 베이스(100)에 멀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부(300)는, 상기 베이스(100)에 대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몸체부 설치단계(S300)는, 상기 맨홀 또는 상기 맨홀이 형성되는 지면(10)과의 높이 차를 고려하여 상기 몸체부(300)를 상기 베이스(100)에 설치할 수 있다. 즉,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맨홀 또는 상기 맨홀이 형성되는 지면(10)과의 환경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는 상기 베이스(100)와 상기 몸체부(300) 사이의 나사 결합에 의한 두 구성 사이의 거리 조절을 하며 상기 몸체부(300)를 상기 베이스(100)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인상단계(S500)는, 상기 몸체부(300) 또는 상기 베이스(100)를 인상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베이스(100)의 중앙부의 일부에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 또는 홈에 힘을 전달하는 승강부(5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50)는, 상기 베이스(100)를 통해 맨홀 하우징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포크레인 기타 동력이 구비된 장치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맨홀에 형성되는 단차에 상기 승강부(50)의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100)의 일부는 상기 맨홀 내부 벽면을 향하여 길게 뻗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50)를 통해 상기 몸체부(300) 또는 상기 베이스(100)를 인상할 때, 상기 맨홀 하우징도 함께 인상되어 결과적으로 지면(10)과의 평형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날개부 설치단계(S700)는, 일단은 상기 몸체부(300)에 결합되는 날개부(500)의 타단을 지면(10)에 안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날개부(500)는, 상기 몸체부(300)에 결합되므로 상기 몸체부(300)가 상기 베이스(100)에 대한 높이 조절됨에 따라 함께 지면(10)에 대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날개부(500)의 타단이 상기 맨홀이 형성되는 지면(10)에 안착되므로, 상기 맨홀 하우징의 상단면은 상기 지면(10)과 수평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500)는, 복수개가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지면(10)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1차적으로 상기 날개부(500)가 결합되는 상기 몸체부(300)의 승강에 의해 상기 날개부(500) 전체가 지면(10)에 대해 승강이 이루어져 신속하게 지면(10)과의 수평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2차적으로 복수개의 날개부(500) 중 작업 환경 등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지면(10)에 대해 각각 승강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날개부(500) 중 적어도 일부의 미세 조정을 통해 상기 복수개의 날개부(500)가 지면(10)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평형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은, 베이스 설치단계(S100), 인상단계(S500), 몸체부 설치단계(S300) 및 날개부 설치단계(S7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인상단계(S500)는, 상기 베이스 설치단계(S100)와 상기 몸체부 설치단계(S300) 후 또는 사이에 시계열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단계에 대한 구성은 상술한 내용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후술할 내용도 두가지 모두의 경우에 대해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 자명하다.
상기 베이스 설치단계(S100)는, 판부재 배치단계(S110), 고정부재 제거단계(S130), 길이조절부재 이동단계(S150) 및 길이조절부재 고정단계(S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부재 배치단계(S110)는, 중앙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판부재(110)를 상기 맨홀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판부재(110)는, 중앙부에 상기 몸체부(300)가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 제거단계(S130)는, 상기 판부재(110)의 외측에 결합되는 프레임부재(120)와 상기 프레임부재(12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길이조절부재(150)를 관통하는 고정부재(160)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프레임부재(120)는, 상기 판부재(110)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맨홀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재(150)는, 상기 프레임부재(120)의 내부에 상기 맨홀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판부재(110)와 상기 길이조절부재(150)를 탄성력 또는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부재(130)가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160)를 제거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130)에 의해 상기 길이조절부재(150)는 상기 맨홀 내측 방향으로 확장,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길이조절부재 이동단계(S150)는, 상기 길이조절부재(150)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로, 상기 고정부재(160)를 제거하는 즉시 상기 탄성부재(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길이조절부재 고정단계(S170)는, 상기 고정부재(160)를 이용하여 상기 길이조절부재(150)를 고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고정부재(160)를 상기 프레임부재(120)와 상기 길이조절부재(150)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프레임부재(120)와 상기 길이조절부재(15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날개부 설치단계(S700)는, 상기 날개부(500)의 일부가 상기 몸체부(300)에 결합되는 길이를 통해 상기 날개부(500)와 상기 지면(10) 간의 높이 차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날개부(500)는, 제1부재(520), 제2부재 및 제1핀(5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재(520)는, 내부에 제1홀(510)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30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1부의 일부로부터 상기 지면(10)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핀(540)은 상기 제1부재(520)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300)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핀(540)이 상기 몸체부(300)에 결합되는 길이를 통해 상기 날개부(500)와 상기 지면(10) 간의 높이 차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작업 환경에 따라 상기 몸체부 설치단계(S300)에서 상기 몸체부(300)가 상기 베이스(100)에 결합되는 높이 차를 고려하여 상기 날개부(500)와 상기 지면(10) 간의 높이 차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부 설치단계(S300)와 상기 날개부 설치단계(S700)와의 연동을 통해 맨홀 보수 공법을 시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날개부 설치단계(S700)는, 상기 제1부재(52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지면(10)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부재 회전단계(S71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를 보관할 시에는, 상기 제2부재를 상기 몸체부(300) 방향으로 회동하여 보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날개부 설치단계(S700)는, 상기 제1부재(520)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기 제2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2부재 확장단계(S7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 확장단계(S730)는, 제2핀(535) 제거단계, 제2실린더(533) 이동단계 및 제2실린더(533) 고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핀(535) 제거단계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1실린더(530)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실린더(533)를 관통하는 제2핀(535)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제2실린더(533) 이동단계는, 상기 제2실린더(533)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제2실린더(533) 고정단계는, 상기 제2핀(535)을 이용하여 상기 제2실린더(533)를 고정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부재는, 제1실린더(530), 제2실린더(533) 및 제2핀(535)을 포함하여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린더(530)는, 원통형의 내부가 빈 공간의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실린더(533)는 상기 제1실린더(530)에 형성되는 수용공간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며 길이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2핀(535)은 상기 제1실린더(530) 또는 상기 제2실린더(533)를 관통하여 상기 제2실린더(533)를 상기 제1실린더(530)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맨홀 주변에 커팅되는 절단된 지면(10)의 직경에 따라 상기 제2실린더(533)를 상기 제1실린더(530)로부터 돌출시킨 후 상기 제2핀(535)을 이용하여 상기 제2실린더(533)와 상기 제1실린더(530)를 동시에 관통시킴으로써 상기 제2실린더(533)를 상기 제1실린더(530)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날개부 설치단계(S700)는, 상기 제1핀(540)을 상기 몸체부(300)에 근접하도록 결합하는 날개부 상승단계(S750) 및 상기 제1핀(540)을 상기 몸체부(300)로부터 멀어지도록 조절하는 날개부 하강단계(S77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핀(540)은, 상기 제1부재(520)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300)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부재(520), 상기 제2부재 및 상기 제1핀(540)의 연동관계에 의해, 상기 제1부재(520)는, 상기 제1핀(540)이 상기 몸체부(300)에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슬라이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부(300)와 상기 제1부재(520)가 접하는 면은 테이퍼 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520)가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300)의 일부가 오목하게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홈으로 상기 제1부재(520)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짐에 따라 상기 베이스(100)에 고정된 상기 몸체부(300)에 대하여 상기 제1부재(520)는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핀(540)을 상기 몸체부(300)에 결합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1핀(540)의 단부는 상기 제1부재(520)와 맞닿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핀(540)이 계속 상기 몸체부(300)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부재(520)에 힘이 가해져 슬라이딩 하며 지면(10)에 대하여 상기 제2부재는 높아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핀(540)이 상기 몸체부(300)로부터 멀어지게 되면, 상기 제1부재(520) 또는 상기 제2부재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2부재는 지면(10)에 가까워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날개부(500)는, 상기 날개부 상승단계(S750)를 통해 상기 제1핀(540)이 상기 몸체부(300)에 근접하여 구비되어 있다가, 상기 지면(10)에 안착될 때 상기 날개부 하강단계(S770)를 통해 복수개의 날개부(500)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지면(10)에 수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는 시공상의 편의를 위함이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날개부(500)에는, 상기 날개부(500)의 지면(10)에 대한 수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수평부재(5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재(55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사용자는 상기 지면(10)에 대한 상기 맨홀 하우징의 수평을 맞추며 승강 여부를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수평부재(550)를 통해 상기 날개부(500)의 미세 조정을 더욱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은 HML 공법으로 명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지면 50: 승강부
100: 베이스 110: 판부재
120: 프레임부재 130: 탄성부재
140: 관통홀 150: 길이조절부재
160: 고정부재 300: 몸체부
500: 날개부 510: 제1홀
520: 제1부재 530: 제1실린더
533: 제2실린더 535: 제2핀
540: 제1핀 550: 수평부재
S100: 베이스 설치단계 S300: 몸체부 설치단계
S500: 인상단계 S700: 날개부 설치단계

Claims (10)

  1.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베이스를 맨홀 내측에 설치하는 베이스 설치단계;
    상기 나사산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를 상기 베이스에 설치하는 몸체부 설치단계;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베이스를 인상하는 인상단계; 및
    일단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날개부의 타단을 지면에 안착시키는 날개부 설치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내부에 제1홀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의 일부로부터 상기 지면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2부재 및 상기 제1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에 결합하는 제1핀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 설치단계는,
    상기 제1핀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길이를 통해 상기 날개부와 상기 지면 간의 높이 차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
  2.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베이스를 맨홀 내측에 설치하는 베이스 설치단계;
    상기 베이스를 인상하는 인상단계;
    상기 나사산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를 상기 베이스에 설치하는 몸체부 설치단계; 및
    일단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날개부의 타단을 지면에 안착시키는 날개부 설치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내부에 제1홀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의 일부로부터 상기 지면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2부재 및 상기 제1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에 결합하는 제1핀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 설치단계는,
    상기 제1핀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길이를 통해 상기 날개부와 상기 지면 간의 높이 차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설치단계는,
    중앙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판부재를 상기 맨홀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판부재 배치단계;
    상기 판부재의 외측에 결합되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길이조절부재를 관통하는 고정부재를 제거하는 고정부재 제거단계;
    상기 길이조절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 이동단계; 및
    상기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길이조절부재를 고정하는 길이조절부재 고정단계;
    를 포함하는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설치단계는,
    상기 맨홀 또는 상기 맨홀이 형성되는 지면과의 높이 차를 고려하여 상기 몸체부를 상기 베이스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
  5. 삭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 설치단계는,
    상기 제1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지면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부재 회전단계;
    를 포함하는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 설치단계는,
    상기 제1부재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기 제2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2부재 확장단계;
    를 포함하는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 확장단계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1실린더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실린더를 관통하는 제2핀을 제거하는 제2핀 제거단계;
    상기 제2실린더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2실린더 이동단계; 및
    상기 제2핀을 이용하여 상기 제2실린더를 고정하는 제2실린더 고정단계;
    를 포함하는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 설치단계는,
    상기 제1핀을 상기 몸체부에 근접하도록 결합하는 날개부 상승단계; 및
    상기 제1핀을 상기 몸체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조절하는 날개부 하강단계;
    를 포함하는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 설치단계는,
    상기 몸체부 설치단계에서 상기 몸체부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높이 차를 고려하여 상기 날개부와 상기 지면 간의 높이 차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
KR1020200007143A 2020-01-20 2020-01-20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 KR102132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143A KR102132855B1 (ko) 2020-01-20 2020-01-20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143A KR102132855B1 (ko) 2020-01-20 2020-01-20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2855B1 true KR102132855B1 (ko) 2020-07-10

Family

ID=71603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143A KR102132855B1 (ko) 2020-01-20 2020-01-20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85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534B1 (ko) * 2010-05-20 2011-03-03 김화식 수동식 맨홀 프레임 인상장치
KR101067003B1 (ko) * 2011-04-20 2011-09-22 태평림건설 주식회사 맨홀의 보수장치
KR101314537B1 (ko) 2012-01-11 2013-10-04 태평림건설 주식회사 맨홀보수를 위한 맨홀하우징지지장치
KR20160046396A (ko) * 2014-10-20 2016-04-29 삼서건설 주식회사 맨홀 보수용 노면 원형 파쇄 절단기
KR101937684B1 (ko) * 2018-09-28 2019-01-14 정석훈 맨홀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보수방법
KR102016042B1 (ko) * 2019-02-15 2019-08-29 정봉훈 맨홀틀 철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보수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534B1 (ko) * 2010-05-20 2011-03-03 김화식 수동식 맨홀 프레임 인상장치
KR101067003B1 (ko) * 2011-04-20 2011-09-22 태평림건설 주식회사 맨홀의 보수장치
KR101314537B1 (ko) 2012-01-11 2013-10-04 태평림건설 주식회사 맨홀보수를 위한 맨홀하우징지지장치
KR20160046396A (ko) * 2014-10-20 2016-04-29 삼서건설 주식회사 맨홀 보수용 노면 원형 파쇄 절단기
KR101937684B1 (ko) * 2018-09-28 2019-01-14 정석훈 맨홀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보수방법
KR102016042B1 (ko) * 2019-02-15 2019-08-29 정봉훈 맨홀틀 철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보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1125B2 (en) Collapsible substructure for a mobile drilling rig
US8573883B2 (en) Integrated frame and cover system
KR100661049B1 (ko) 맨홀 높이조절장치 및 높이조절방법을 사용한 맨홀보수공법
US10125935B2 (en) Lighting systems for drilling rig
KR101673286B1 (ko) 절단 장치 가이드용 가이드 프레임
US7325559B2 (en) Method for connecting a branch pipe to a main pipeline and underground network for distributing fluid
KR101254657B1 (ko) 맨홀하우징지지장치를 사용한 맨홀보수방법
RU2010134363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урения вспомогательных шурфов
KR102132855B1 (ko)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
KR101877962B1 (ko) 콘크리트 커팅장치
KR102017751B1 (ko) 협소공간 앵커홀 천공장치
KR101018534B1 (ko) 수동식 맨홀 프레임 인상장치
KR102257274B1 (ko) 맨홀보수용 맨홀틀 인상장치
KR102132849B1 (ko) 맨홀 하우징 인상 장치
KR101397537B1 (ko) 맨홀 보수용 노면 원형 파쇄 절단기
KR101077127B1 (ko) 맨홀하우징 설치를 위한 맨홀하우징지지장치
KR20160046396A (ko) 맨홀 보수용 노면 원형 파쇄 절단기
CN206477790U (zh) 一种带可调操作平台的两用型水平定向钻机
KR102155593B1 (ko) 노면 절단 및 파쇄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
KR101309212B1 (ko) 맨홀 수평 조절장치
US2557192A (en) Folding portable gin pole
JP2019007222A (ja) 高さ調整可能な地下構造物
KR200409985Y1 (ko) 터널용 스틸 리브 지지장치
KR102207133B1 (ko) 맨홀 보수용 도로 컷팅장치
KR20170020230A (ko) 무게중심 유지가 가능한 맨홀뚜껑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