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695B1 -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해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해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695B1
KR102132695B1 KR1020190032188A KR20190032188A KR102132695B1 KR 102132695 B1 KR102132695 B1 KR 102132695B1 KR 1020190032188 A KR1020190032188 A KR 1020190032188A KR 20190032188 A KR20190032188 A KR 20190032188A KR 102132695 B1 KR102132695 B1 KR 102132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foil
electrolytic copper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c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민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케이씨에프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씨에프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씨에프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2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25D1/04Wires; Strips; F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5Composites
    • H01M4/667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s, e.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38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48After-treatment of electroplated surfa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Abstract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해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해동박은 제1 면 및 그 반대편의 제2 면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면들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1, Rv_2)는 0.32 내지 1.67 ㎛이고, 상기 제1 면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1)와 상기 제2 면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2)의 차이는 0.85 ㎛ 이하이며, 상기 제1 및 제2 면들의 조도 프로파일 요소들의 평균 폭(RSm_1, RSm_2)은 27 내지 168 ㎛이다.

Description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해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Electrolytic Copper Foil Capable of Improving Capacity Retention Rate of Secondary Battery, Electrode Comprising The Sam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capacity retention rate)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maximum valley depth of roughness profile: Rv) 및 조도 프로파일 요소들의 평균 폭(mean width of roughness profile elements: RSm)이 최적화된 전해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전기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의 형태로 바꾸어 저장하였다가 전기가 필요할 때 상기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킴으로써 전기를 발생시키는 에너지 변환 기기의 일종으로서, 휴대폰, 노트북 등과 같은 휴대용 가전은 물론이고 전기자동차의 에너지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1회용의 일차전지에 비해 경제적으로 그리고 환경적으로 이점을 갖고 있는 이차전지로는 납 축전지, 니켈카드뮴 이차전지, 니켈수소 이차전지, 리튬 이차전지 등이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다른 이차전지들에 비해 크기 및 중량 대비 상대적으로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성 및 이동성이 중요한 정보통신기기 분야의 경우 리튬 이차전지가 선호되고 있으며,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의 에너지 저장 장치로도 그 응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충전과 방전을 하나의 주기로 하여 반복적으로 사용된다. 완전히 충전된 리튬 이차전지로 어떤 기기를 가동시킬 때, 상기 기기의 가동 시간을 늘리기 위해서는 상기 리튬 이온 이차전지가 높은 충전/방전 용량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리튬 이차전지의 충전/방전 용량에 대한 수요자의 나날이 높아지는 기대치(needs)를 만족시키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탄소 활물질에 Si 또는 Sn이 첨가된 복합 활물질을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시 전해동박 상에 도포되는 활물질로서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복합 활물질은 리튬 이차전지가 충방전될 때 발생하는 열로 인해 급격히 그리고 심하게 팽창하여 전해동박의 파단을 야기한다. 리튬 이차전지의 충방전이 반복됨에 따라 음극 활물질의 수축 및 팽창이 번갈아 발생하고, 이것은 상기 동박과 음극 활물질의 분리를 유발하여 리튬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을 저하시킨다. 특히, 동박과 음극 활물질 사이의 접착 강도가 약할수록 리튬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이 심각하게 저하된다.
충방전 사이클이 반복됨에 따라 이차전지의 용량이 급격히 감소한다면(즉, 용량 유지율이 낮다면 또는 수명이 짧다면), 소비자는 이차전지를 빈번하게 교체할 필요가 있을 것이고, 그로 인해 소비자 불편 및 자원 낭비가 초래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관련 기술의 제한 및 단점들에 기인한 문제점들을 방지할 수 있는 전해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은,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해동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높은 용량 유지율을 갖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해동박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관점들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설명되거나, 그러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제1 면과 그 반대편의 제2 면을 갖는 전해동박으로서, 상기 제1 면을 향하는 매트면(matte surface) 및 상기 제2 면을 향하는 샤이니면(shiny surface)을 갖는 구리층; 상기 매트면 상의 제1 보호층; 및 상기 샤이니면 상의 제2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면들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1, Rv_2)는 0.32 내지 1.67 ㎛이고, 상기 제1 면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1)와 상기 제2 면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2)의 차이는 0.85 ㎛ 이하이며, 상기 제1 및 제2 면들의 조도 프로파일 요소들의 평균 폭(RSm_1, RSm_2)은 27 내지 168 ㎛인, 전해동박이 제공된다.
상기 제1 및 제2 면들 각각의 (220)면 집합조직계수[TC(220)]는 0.49 내지 1.28일 수 있다.
상기 전해동박은 29 내지 65 kgf/mm2의 인장강도 및 3% 이상의 연신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해동박의 폭 방향 중량편차는 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전해동박은 4 내지 3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보호층들 각각은 0.5 내지 5.5 mg/m2의 크롬(Cr)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보호층들의 크롬(Cr) 함량 차이는 2.5 mg/m2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제1 면과 그 반대편의 제2 면을 갖는 전해동박; 및 상기 제1 면 상의 제1 활물질층을 포함하되, 상기 전해동박은, 상기 제1 면을 향하는 매트면 및 상기 제2 면을 향하는 샤이니면을 포함하는 구리층; 상기 매트면 상의 제1 보호층; 및 상기 샤이니면 상의 제2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면들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1, Rv_2)는 0.32 내지 1.67 ㎛이고, 상기 제1 면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1)와 상기 제2 면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2)의 차이는 0.85 ㎛ 이하이며, 상기 제1 및 제2 면들의 조도 프로파일 요소들의 평균 폭(RSm_1, RSm_2)은 27 내지 168 ㎛인, 이차전지용 전극이 제공된다.
상기 제1 및 제2 면들 각각의 (220)면 집합조직계수[TC(220)]는 0.49 내지 1.28일 수 있다.
상기 전해동박은 29 내지 65 kgf/mm2의 인장강도 및 3% 이상의 연신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해동박의 폭 방향 중량편차는 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전해동박은 4 내지 3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보호층들 각각은 0.5 내지 5.5 mg/m2의 크롬(Cr)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보호층들의 크롬(Cr) 함량 차이는 2.5 mg/m2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2 면 상의 제2 활물질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활물질층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 Si, Ge, Sn, Li, Zn, Mg, Cd, Ce, Ni 또는 Fe의 금속; 상기 금속을 포함하는 합금; 상기 금속의 산화물; 및 상기 금속과 탄소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활물질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양극(cathode); 상기 이차전지용 전극으로 구성된 음극(anode);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리튬 이온이 이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전해질(electrolyte);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을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주는 분리막(separato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구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리층 상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구리층 형성 단계는, 50 내지 100 g/L의 구리 이온, 50 내지 150 g/L의 황산, 2 내지 10 mg/L의 비스-(3-설포프로필) 디설파이드[bis-(3-sulfopropyl) disulfide: SPS], 50ppm 이하의 염소, 1 내지 7 mg/L의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및 20 내지 250 mg/L의 스칸듐(Sc)을 포함하는 전해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전해액 내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전극판 및 회전 드럼 사이에 40 내지 80 A/dm2의 전류밀도를 가함으로써 전기도금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드럼의 표면은 #800 이상의 입도(Grit)를 갖는 연마 브러시로 연마된, 전해동박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은 2000 내지 4000 g/mol의 중량평균분자량(Mw)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기도금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전해액은 50 내지 65 ℃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 형성 단계는 0.5 내지 1.5 g/L의 Cr을 포함하는 방청액 내에 상기 구리층을 침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대한 일반적 서술은 본 발명을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충방전 사이클의 반복에도 불구하고 높은 충방전 용량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장수명의 이차전지가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의 빈번한 교체로 인한 전자제품 소비자의 불편 및 자원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하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의 단면도이고,
도 2는 JIS B 0601:2001 규격에 따른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maximum valley depth of roughness profile: Rv)"를 설명하기 위한 조도 프로파일을 예시하고,
도 3은 JIS B 0601:2001 규격에 따른 "조도 프로파일 요소들의 평균 폭(mean width of roughness profile elements: RSm)"을 설명하기 위한 조도 프로파일을 예시하고,
도 4는 전해동박의 XRD 그래프를 예시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드는 변경 및 변형을 모두 포함한다.
리튬 이온 이차전지는, 양극(cathode), 음극(anode),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리튬 이온이 이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전해질(electrolyte), 및 하나의 전극에서 발생된 전자가 이차전지 내부를 통해 다른 전극으로 이동함으로써 무익하게 소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양극과 음극을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주는 분리막(separator)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100)의 단면도이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100)은 제1 면(S1)과 그 반대편의 제2 면(S2)을 갖는 전해동박(110), 상기 제1 면(S1) 상의 제1 활물질층(120a), 및 상기 제2 면(S2) 상의 제2 활물질층(120b)을 포함한다. 도 1은 상기 전해동박(110)의 제1 및 제2 면들(S1, S2) 모두 위에 활물질층들(120a, 120b)이 각각 형성된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전극(100)은 활물질층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활물질층들(120a, 120b)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리튬 이차전지에 있어서, 양극 활물질과 결합되는 양극 집전체로서는 알루미늄 호일(foil)이 사용되고 음극 활물질과 결합되는 음극 집전체로서는 전해동박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차전지용 전극(100)은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으로 사용되고, 상기 전해동박(110)은 음극 집전체로서 기능하며, 상기 제1 및 제2 활물질층들(120a, 120b)은 음극 활물질을 포함한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해동박(110)은 매트면(matte surface)(MS) 및 샤이니면(shiny surface)(SS)을 포함하는 구리층(111), 상기 구리층(111)의 상기 매트면(MS) 상의 제1 보호층(112a), 및 상기 구리층(111)의 상기 샤이니면(SS) 상의 제2 보호층(112b)을 포함한다.
상기 매트면(MS)은 상기 전해동박(110)의 제1 면(S1)을 향하는 구리층(111)의 면이고, 상기 샤이니면(SS)은 상기 전해동박(110)의 제2 면(S2)을 향하는 구리층(111)의 면이다.
본 발명의 구리층(111)은 전기도금을 통해 회전 드럼 상에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샤이니면(SS)은 전기도금 과정에서 상기 회전 드럼과 접촉하였던 면을 지칭하고, 상기 매트면(MS)은 상기 샤이니면(SS)의 반대 편 면을 지칭한다.
샤이니면(SS)이 매트면(MS)에 비해 더 낮은 표면조도(Rz)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기는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샤이니면(SS)의 표면조도(Rz)가 매트면(MS)의 표면조도(Rz)와 동일하거나 더 높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해동박(110)의 제1 및 제2 면들(S1, S2)을 각각 형성하는 상기 제1 및 제2 보호층들(112a, 112b)은 상기 구리층(111)의 부식을 방지하고,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크롬(Cr)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해동박(110)은 상온(25±15 ℃)에서 29 내지 65 kgf/mm2의 인장강도 및 3% 이상의 연신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인장강도 및 연신율은 만능시험기(UTM)를 이용하여 측정하는데, 이때 샘플의 폭은 12.7 mm이고, Grip간 거리는 50 mm이며, 테스트 속도는 50 mm/min이다.
전해동박(110)의 인장강도가 29 kgf/mm2 미만이면, 전극(100) 제조 과정 및/또는 이차전지 제조 과정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전해동박(110)의 주름 및/또는 접힘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반면, 전해동박(110)의 인장강도가 65 kgf/mm2를 초과하면, 전해동박(110)이 제조 과정에서 힘(tension)을 받으면 찢어질 위험이 높아지고 이차전지 제조 공정의 작업성이 저하된다.
전해동박(110)의 연신율이 3% 미만이면, 전극(100) 제조 과정 및/또는 이차전지 제조 과정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전해동박(110)이 늘어나지 못하고 찢어질 위험이 커지고 이차전지 제조 공정의 작업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전해동박(110)의 폭 방향 중량편차는 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폭 방향 중량편차는 다음과 같이 구해질 수 있다.
먼저, 전해동박(110)의 폭 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좌측 지점, 중앙 지점, 및 우측 지점으로부터 5cm×5cm 크기의 샘플을 각각 취한 후 이 3개의 샘플들의 중량을 각각 측정한다. 이어서, 상기 측정값들의 산술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고 아래의 식1에 의해 중량편차를 산출한다.
[식 1]
중량편차(%) = (표준편차/산술평균)×100
전해동박(110)의 중량편차가 5%를 초과하면, 전해동박(110)이 보빈에 감길 때 전해동박(110)이 국부적으로 늘어나 울음(bagginess)이 발생할 위험이 커진다.
본 발명의 전해동박(110)은 4 내지 3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활물질층들(120a, 120b)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 Si, Ge, Sn, Li, Zn, Mg, Cd, Ce, Ni 또는 Fe의 금속; 상기 금속을 포함하는 합금; 상기 금속의 산화물; 및 상기 금속과 탄소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활물질을 음극 활물질로서 포함할 수 있다.
이차전지의 충방전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활물질층들(120a, 120b)은 Si를 소정량 포함한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차전지의 충방전이 반복됨에 따라 활물질층(120a, 120b)의 수축 및 팽창이 번갈아 발생하고, 이것은 상기 활물질층(120a, 120b)과 상기 전해동박(110)의 분리를 유발하여 이차전지의 용량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이차전극이 일정 수준 이상의 용량 유지율 및 수명을 확보하기 위해서는(즉, 이차전지의 용량 감소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해동박(110)이 상기 활물질에 대하여 우수한 코팅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전해동박(110)과 활물질층(120a, 120b) 사이의 접착 강도가 높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전해동박(110)의 표면조도(Rz) 제어를 통해 전해동박(110)과 활물질층(120a, 120b) 사이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표면조도(Rz)는 JIS B 0601:2001 규격에 따라 Mahr社의 Mahrsurf M300 조도계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해동박(110)의 제1 및 제2 면들(S1, S2) 각각의 표면조도(Rz)는 2.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표면조도(Rz)가 0.2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해동박(110)의 제1 및 제2 면들(S1, S2)이 지나치게 불균일하여 음극 활물질의 코팅 균일성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전해동박(110)과 제1 및 제2 활물질층들(120a, 120b) 사이의 밀착력이 현저히 저하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표면조도(Rz)가 적절히 조정된(예를 들어, 2.5㎛ 이하로 조정된) 전해동박(110)이 스펙에서 요구되는 전해동박(110)과 활물질층(120a, 120b) 간의 접착력을 반드시 만족시키는 것은 아니다. 즉, 2.5㎛ 이하의 표면조도(Rz)를 갖는 전해동박(110)이 업계에서 요구되는 83% 이상의 이차전지 용량 유지율(500회 충방전 후)을 언제나 담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특히, 이차전지의 고용량화를 위하여 상기 활물질층(120a, 120b)이 Si를 포함할 경우 전해동박(110)의 표면조도(Rz)와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 사이의 연관성이 더욱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본 발명에 의하면, 83% 이상의 이차전지 용량 유지율을 담보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큰 전해동박(110)과 활물질층(120a, 120b) 사이의 접착력을 확보함에 있어서, 전해동박(110)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 및 "조도 프로파일 요소들의 평균 폭(RSm)"이 표면조도(Rz)보다 더 중요한 인자임이 발견되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전해동박(110)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 및 "조도 프로파일 요소들의 평균 폭(RSm)"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JIS B 0601:2001 규격에 정의된 상기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표면조도 프로파일(샘플링 길이: 4mm)에서 가장 깊은 밸리(deepest valley)의 평균선(mean line)으로부터의 깊이를 의미한다.
JIS B 0601:2001 규격에 정의된 상기 “조도 프로파일 요소들의 평균 폭(RSm)"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표면조도 프로파일(샘플링 길이: 4mm)에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피크와 밸리로 각각 구성되는 프로파일 요소들의 폭들(widths)의 평균값이다.
본 발명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 및 "조도 프로파일 요소들의 평균 폭(RSm)"은, 표면의 임의의 3개 지점들에서 Mitutoyo社의 SJ-310 조도계를 이용하여 JIS B 0601:2001 규격에 따라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 및 "조도 프로파일 요소들의 평균 폭(RSm)"을 각각 측정[샘플링 길이(sampling length): 4mm, 스타일러스 팁(stylus tip)의 반지름: 2㎛, 스타일러스 팁의 테이퍼각(taper angle): 60°, 측정력(measuring force): 0.75 mN]한 후 이들의 평균값을 산출함으로써 각각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면들(S1, S2)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1, Rv_2)는 0.32 내지 1.67 ㎛이고, 상기 제1 면(S1)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1)와 상기 제2 면(S2)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2)의 차이는 0.85 ㎛ 이하이다.
상기 제1 및 제2 면들(S1, S2)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1, Rv_2)가 0.32㎛ 미만이면, 음극 활물질과 접촉할 수 있는 전해동박(110)의 활성 면적이 너무 적어 전해동박(110)과 제1 및 제2 활물질층들(120a, 120b) 사이에 충분한 접착력이 확보될 수 없고, 결과적으로 상기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이 저하된다.
반면, 상기 제1 및 제2 면들(S1, S2)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1, Rv_2)가 1.67㎛를 초과하면, 음극 활물질이 가장 깊은 밸리 내로 끝까지 침투하지 못해 불균일한 코팅이 유발되고, 이로 인해 전해동박(110)과 제1 및 제2 활물질층들(120a, 120b) 사이의 접착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이 감소한다.
상기 제1 면(S1)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1)와 상기 제2 면(S2)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2)의 차이가 0.85㎛를 초과하면, 상기 제1 면(S1)과 제1 활물질층(120a)의 접착력 및 상기 제2 면(S2)과 제2 활물질층(120b)의 접착력 간의 차이가 지나치게 커지게 되는데, 이것 역시도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이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 제1 면(S1)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1)와 상기 제2 면(S2)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2)의 차이가 0.85㎛를 초과하면, 상기 제1 및 제2 면들(S1, S2)의 지나치게 큰 표면 프로파일 차이로 인해 롤투롤(Roll-To-Roll) 공정 중에 전해동박(110)의 접힘 및/또는 주름이 발생할 위험이 크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면들(S1, S2)의 조도 프로파일 요소들의 평균 폭(RSm_1, RSm_2)은 27 내지 168 ㎛이다.
상기 제1 및 제2 면들(S1, S2)의 조도 프로파일 요소들의 평균 폭(RSm_1, RSm_2)이 27㎛ 미만이면, 너무 많은 요철들로 인해 불균일한 코팅이 유발되고, 이로 인해 전해동박(110)과 제1 및 제2 활물질층들(120a, 120b) 사이의 접착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이 감소한다.
반면, 상기 제1 및 제2 면들(S1, S2)의 조도 프로파일 요소들의 평균 폭(RSm_1, RSm_2)이 168㎛를 초과하면, 음극 활물질과 물리적 결합을 할 수 있는 요철이 부족하여 전해동박(110)과 제1 및 제2 활물질층들(120a, 120b) 사이에 충분한 접착력이 확보될 수 없고, 결과적으로 상기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해동박(110)의 제1 및 제2 면들(S1, S2) 각각의 (220)면 집합조직계수[TC(220)]는 0.49 내지 1.28이다. 상기 (220)면 집합조직계수[TC(220)]는 다음과 같이 구해질 수 있다.
30° 내지 95°의 회절각(2θ) 범위에서 X선 회절법(XRD)[Target: Copper K alpha 1, 2θ interval: 0.01°, 2θ scan speed: 3°/min]을 실시함으로써, n개의 결정면들에 대응하는 피크들을 갖는 XRD 그래프[예를 들어,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111)면, (200)면, (220)면, 및 (311)면에 해당하는 피크들(n = 4)이 나타난 XRD 그래프]를 얻고, 이 그래프로부터 각 결정면(hkl)의 XRD 회절강도[I(hkl)]를 구한다. 또한, JCPDS(Joint Committee on Powder Diffraction Standards)에 의해 규정된 표준 구리 분말의 상기 n개의 결정면들 각각에 대한 XRD 회절강도[I0(hkl)]를 구한다. 이어서, 상기 n개의 결정면들의 I(hkl)/I0(hkl)의 산술평균값을 구한 후 상기 산술평균값으로 (220)면의 I(220)/I0(220)을 나눔으로써 (220)면 집합조직계수[TC(220)]를 산출한다. 즉, (220)면 집합조직계수[TC(220)]는 다음의 식 2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식 2]
Figure 112019028999641-pat00001
상기 (220)면 집합조직계수[TC(220)]가 높을수록 상기 전해동박(110)이 더 치밀한 결정구조를 가짐을 의미하기 때문에, 상기 제1 및 제2 면들(S1, S2) 각각의 (220)면 집합조직계수[TC(220)]는 0.49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20)면 집합조직계수[TC(220)]가 0.49 미만이면 성긴 결정구조로 인해 전해동박(110)이 제조 과정에서 찢겨질 위험이 크다.
반면, (220)면 집합조직계수[TC(220)]가 1.28을 초과하면 전해동박(110)의 결정구조가 지나치게 치밀하여 연신율이 3% 미만으로 떨어지게 되어 제조 과정에서 쉽게 찢겨진다. 또한, 음극 활물질이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활성 면적이 부족해 전해동박(110)과 음극 활물질 사이에 충분한 접착력이 확보될 수 없다. 따라서, 이차전지가 충방전될 때 전해동박(110)이 제1 및 제2 활물질층들(120a, 120b)과 함께 팽창 및 수축하지 않아 전해동박(110)으로부터 제1 및 제2 활물질층들(120a, 120b)이 분리될 위험이 높아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해동박(110)과 활물질층(120a, 120b) 사이의 접착력을 확보함에 있어서, 전해동박(110)의 제1 및 제2 면들(S1, S2)을 각각 형성하고 있는 제1 및 제2 보호층들(120a, 120b)의 크롬(Cr) 함량도 역시 중요한 인자임이 확인되었다. 상기 크롬(Cr) 함량은 원자흡수분광기(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AAS) 분석을 통해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해동박(110)의 제2 면(S2)을 테이프로 마스킹하고 절단함으로써 10cm×10cm의 샘플을 얻은 후, 상기 전해동박(110)에 구멍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상기 전해동박(110)의 제1 면(S1)을 질산 수용액(상용 질산과 물을 1:1로 혼합)으로 녹인다. 이렇게 생성된 용액을 물로 희석하여 50mL의 희석액을 얻은 후, 상기 희석액을 25℃에서 원자흡수분광기(AAS)로 분석하여 상기 전해동박(110)의 제1 면(S1)을 형성하는 제1 보호층(120a)의 크롬 함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상기 전해동박(110)의 제2 면(S2)을 형성하는 제2 보호층(120b)의 크롬 함량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보호층들(120a, 120b) 각각의 크롬(Cr) 함량은 0.5 내지 5.5 mg/m2이다. 크롬(Cr) 함량이 0.5 mg/m2 미만이면 산소가 활물질층(120a, 120b)을 통과하여 구리층(111) 표면의 산화를 유발하게 되고, 그 결과, 전해동박(110)과 음극 활물질 사이의 충분한 화학적 결합이 제공될 수 없다. 반면, 크롬(Cr) 함량이 5.5 mg/m2을 초과하면 전해동박(110) 표면의 소수성(hydrophobicity)이 증가하여 음극 활물질에 대한 화학적 친화도가 떨어지게 되고, 그 결과, 전해동박(110)과 음극 활물질 사이의 충분한 화학적 결합이 제공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작업성 저하를 야기할 수 있는 전해동박(110) 말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보호층들(120a, 120b)의 크롬(Cr) 함량 차이는 2.5 mg/m2 이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동박(110)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해동박(110) 제조방법은 구리층(111)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리층(111) 상에 보호층(112a, 112b)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50 내지 100 g/L의 구리 이온, 50 내지 150 g/L의 황산, 2 내지 10 mg/L의 비스-(3-설포프로필) 디설파이드[bis-(3-sulfopropyl) disulfide: SPS], 50ppm 이하의 염소, 1 내지 7 mg/L의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및 20 내지 250 mg/L의 스칸듐(Sc)을 포함하는 전해액을 준비한다. 이어서, 상기 전해액 내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전극판 및 회전 드럼을 40 내지 80 A/dm2의 전류밀도로 통전시켜 전기도금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구리층(111)을 상기 회전 드럼 상에 형성시킨다. 상기 전기도금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전해액은 50 내지 65 ℃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은 전해동박(110)의 제1 면(S1)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1)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전해액에 첨가되는 물질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전해액에 첨가되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은 2000 내지 4000 g/mol의 중량평균분자량(Mw)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이 2000 내지 4000 g/mol의 중량평균분자량(Mw)을 갖는 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전해액 내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의 농도가 높을수록 전해동박(110)의 제1 면(S1)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1)가 더 작아지고, 상기 전해액 내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의 농도가 낮을수록 전해동박(110)의 제1 면(S1)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1)가 더 커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전해액 내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의 농도는 1 내지 7 mg/L이다.
상기 전해액 내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의 농도가 1 mg/L 미만이면 상기 제1 면(S1)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1)가 1.6㎛를 초과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면(S1)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1)가 1.6㎛를 초과하면, 음극 활물질이 가장 깊은 밸리 내로 끝까지 침투하지 못해 불균일한 코팅이 유발되고, 이로 인해 전해동박(110)과 제1 활물질층(120a) 사이의 접착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이 감소한다.
반면,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의 농도가 7 mg/L를 초과하면 상기 제1 면(S1)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1)가 0.32㎛ 미만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면(S1)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1)가 0.32㎛ 미만이면, 음극 활물질과 접촉할 수 있는 활성 면적이 너무 적어 전해동박(110)과 제1 활물질층(120a) 사이에 충분한 접착력이 확보될 수 없고, 결과적으로 상기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이 저하된다.
스칸듐(Sc)은 전해동박(110)의 제1 면(S1)의 조도 프로파일 요소들의 평균 폭(RSm_1)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전해액에 첨가되는 물질이다.
상기 전해액 내 스칸듐(Sc)의 농도가 높을수록 제1 면(S1)의 조도 프로파일 요소들의 평균 폭(RSm_1)이 더 작아지고, 상기 전해액 내 스칸듐(Sc)의 농도가 낮을수록 전해동박(110)의 조도 프로파일 요소들의 평균 폭(RSm_1)이 더 커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전해액 내 스칸듐(Sc)의 농도는 20 내지 250 mg/L이다.
상기 전해액 내 스칸듐(Sc)의 농도가 20 mg/L 미만이면 회전 드럼의 표면 상에 구리 도금을 촉진시키기 위한 활성 자리(active sites)의 개수가 너무 적어 상기 제1 면(S1)의 조도 프로파일 요소들의 평균 폭(RSm_1)이 168㎛를 초과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면(S1)의 조도 프로파일 요소들의 평균 폭(RSm_1)이 168㎛를 초과하면, 음극 활물질과 물리적 결합을 할 수 있는 요철이 부족하여 전해동박(110)과 제1 제2 활물질층(120a) 사이에 충분한 접착력이 확보될 수 없고, 결과적으로 상기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이 저하된다.
반면, 상기 스칸듐(Sc)의 농도가 250 mg/L를 초과하면 회전 드럼의 표면 상에 구리 도금을 촉진시키기 위한 활성 자리의 개수가 너무 많아 상기 제1 면(S1)의 조도 프로파일 요소들의 평균 폭(RSm_1)이 27㎛ 미만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면(S1)의 조도 프로파일 요소들의 평균 폭(RSm_1)이 27㎛ 미만이면, 너무 많은 요철들로 인해 불균일한 코팅이 유발되고, 이로 인해 전해동박(110)과 제1 활물질층(120a) 사이의 접착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이 감소한다.
전해동박(110)의 제2 면(S2)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2) 및 조도 프로파일 요소들의 평균 폭(RSm_2)은 전기 도금을 통해 구리가 전착되는 회전 드럼의 표면 프로파일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상기 회전 드럼의 표면을 연마하는데 이용되는 브러시의 입도(Grit)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연마 브러시의 입도가 클수록 전해동박(110)의 제2 면(S2)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2) 및 조도 프로파일 요소들의 평균 폭(RSm_2)이 더 작아지고, 상기 연마 브러시의 입도가 작을수록 전해동박(110)의 제2 면(S2)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2) 및 조도 프로파일 요소들의 평균 폭(RSm_2)이 더 커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전해액 내의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의 농도 및 회전 드럼 표면 연마에 이용되는 브러시의 종류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 면(S1)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1)와 상기 제2 면(S2)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2)의 차이를 0.85 ㎛ 이하로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면(S1)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1)가 본 발명의 범위(즉, 0.32 내지 1.67 ㎛) 내에 드는 모든 경우에 대해서 상기 Rv_1와 상기 Rv_2의 차이가 0.85 ㎛ 이하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회전 드럼의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8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3000의 입도(Grit)를 갖는 연마 브러시로 연마된다.
상기 연마 브러시의 입도가 #800보다 작으면 상기 제2 면(S2)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2)가 1.17㎛를 초과하게 되어 상기 Rv_1와 상기 Rv_2의 차이가 0.85 ㎛를 초과하는 경우가 야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Rv_1와 상기 Rv_2의 차이가 0.85 ㎛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제1 면(S1)과 제1 활물질층(120a)의 접착력 및 상기 제2 면(S2)과 제2 활물질층(120b)의 접착력 간의 차이가 지나치게 커져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및 제2 면들(S1, S2)의 지나치게 큰 표면 프로파일 차이로 인해 롤투롤(Roll-To-Roll) 공정 중에 전해동박(110)의 접힘 및/또는 주름이 발생할 위험이 커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기도금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전해액 내의 전체 탄소량(Total Carbon: TC)이 0.25 g/L 이하로 유지되도록 상기 전해액이 관리될 수 있다. 전체 탄소량(TC)은 전체 유기 탄소(Total Organic Carbon: TOC) 및 전체 무기 탄소(Total Inorganic Carbon: TIC)로 구성되며, TC 측정 설비를 통해 분석될 수 있다.
전해액의 전체 탄소량(TC)을 0.25 g/L 이하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고순도의 구리 와이어를 600 내지 900℃에서 30 내지 60 분 동안 열처리하여 유기물을 태우고, 상기 열처리된 구리 와이어를 산세하며, 상기 산세된 구리 와이어를 황산에 투입함으로써 불순물이 전혀 또는 거의 없는 전해액을 준비한다.
전해액의 전체 탄소량(TC)을 0.25 g/L 이하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오존 처리를 통해 전해액 내 유기물을 분해함으로써 상기 전체 탄소량(TC)를 낮출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기 도금이 수행되는 동안 과산화수소 및 공기를 상기 전해액에 투입함으로써 상기 전해액의 청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기 도금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전해액으로부터 고형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연속(또는 순환) 여과를 31 내지 45 m3/hr의 유량으로 수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조된 구리층(111)을 0.5 내지 1.5 g/L의 Cr을 포함하는 방청액 내에 침지(예를 들어, 상온에 2 내지 20 초 동안)시킨 후 건조시킴으로써 상기 구리층(111) 상에 제1 및 제2 보호층들(112a, 112b)을 각각 형성시킨다.
상기 방청액은 실란 화합물과 질소 화합물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청액은 0.5 내지 1.5 g/L의 Cr 및 0.5 내지 1.5 g/L의 실란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전해동박(110) 상에 음극 활물질을 코팅함으로써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전극(즉, 음극)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은, 탄소; Si, Ge, Sn, Li, Zn, Mg, Cd, Ce, Ni 또는 Fe의 금속; 상기 금속을 포함하는 합금; 상기 금속의 산화물; 및 상기 금속과 탄소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00 중량부의 음극 활물질용 탄소에 1 내지 3 중량부의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및 1 내지 3 중량부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MC)를 혼합한 후 증류수를 용제로 사용하여 슬러리를 조제한다. 이어서, 닥터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전해동박(110) 상에 20 내지 100㎛ 두께로 상기 슬러리를 도포하고, 110 내지 130℃에서 0.5 내지 1.5 ton/cm2의 압력으로 프레스한다.
이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전극(음극)과 함께 통상의 양극, 전해질, 및 분리막을 이용하여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5
전해액 내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전극판 및 회전 드럼을 50 A/dm2의 전류밀도로 통전시킴으로써 구리층을 형성시켰다. 상기 전해액은 75 g/L의 구리 이온, 100 g/L의 황산, 8 mg/L의 비스-(3-설포프로필) 디설파이드(SPS), 20 ppm의 염소, 폴리에틸렌글리콜(PEG)(Mw = 3000 g/mol) 및 스칸듐(Sc)을 포함하였으며, 55℃로 유지되었다. 전기 도금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전해액으로부터 고형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연속 여과가 37 m3/hr의 유량으로 수행되었다. 상기 전해액 내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및 스칸듐(Sc)의 농도, 그리고 상기 회전 드럼 표면 연마에 사용된 연마 브러시의 입도는 아래의 표 1과 같았다. 상기 전기 도금을 통해 형성된 구리층을 방청액에 침지시킨 후 건조시킴으로써 전해동박을 완성하였다.
PET (mg/L) Sc (mg/L) 브러시 입도 (#)
실시예1 7.0 150 800
실시예2 3.0 150 3000
실시예3 1.0 150 1000
실시예4 1.0 250 1000
실시예5 1.0 20 1000
비교예1 7.1 150 800
비교예2 7.0 150 500
비교예3 0.5 150 1000
비교예4 3.0 260 1000
비교예5 3.0 10 1000
위와 같이 제조된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 각각의 전해동박의 제1 면(구리층의 매트면이 향하고 있는 전해동박의 면) 및 그 반대편의 제2 면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1, Rv_2)" 및 "조도 프로파일 요소들의 평균 폭(RSm_1, RSm_2)"을 아래와 같이 구하였다. 또한,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 각각의 전해동박으로 제조된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을 아래와 같이 구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들을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 Rv _1, Rv _2)" 및 "조도 프로파일 요소들의 평균 폭(RSm_1, RSm_2)"
전해동박의 제1 및 제2 면들마다 임의의 3개 지점들에서 Mitutoyo社의 SJ-310 조도계를 이용하여 JIS B 0601:2001 규격에 따라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 및 "조도 프로파일 요소들의 평균 폭(RSm)"을 각각 측정한 후 이들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샘플링 길이(sampling length)는 4mm이었고, 스타일러스 팁(stylus tip)의 반지름 및 테이퍼각(taper angle)은 각각 2㎛ 및 60°이었으며, 측정력(measuring force)은 0.75 mN이었다.
*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 % )
먼저, 전해동박으로 음극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음극 활물질용으로 시판되는 카본 100 중량부에 SBR(스티렌부타디엔 고무) 2 중량부 및 CMC(카로복시메틸 셀룰로오스) 2 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이어서, 이 혼합물에 용제인 증류수를 첨가함으로써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닥터 블레이드를 이용해 상기 슬러리를 약 60㎛ 두께로 전해동박(폭: 10cm) 표면 상에 도포하고 120℃에서 건조시킨 후 롤프레싱 공정(압력: 1 ton/cm2)을 수행함으로써 음극을 제조하였다.
리튬망간산화물(Li1 . 1Mn1 . 85Al0 . 05O4)과 orthorhombic 결정구조의 리튬망간산화물(o-LiMnO2)을 90: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상기 양극 활물질, 카본블랙,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를 85:10:5의 중량비로 유기용매인 NMP와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슬러리를 두께 20㎛의 알루미늄 호일의 양면에 도포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양극을 제조하였다.
또한, 에틸렌카보네이트(EC) 및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를 1:2의 중량비로 혼합한 비수성 유기용매에 용질로서 LiPF6를 1M 용해시킨 것을 기본 전해액으로 하고, 이 기본 전해액 99.5 중량%와 숙신산 무수물(succinic anhydride) 0.5 중량%를 혼합하여 이차전지용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음극, 양극, 및 전해액으로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와 같이 제조된 이차전지에 대하여, 50℃에서 500회의 충방전 실험(C-rate: 0.2 C)을 수행하기 직전 및 직후에 4.3V의 충전작동전압 및 3.4V의 방전작동전압으로 이차전지 용량을 각각 측정하였고,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을 아래의 식 3에 따라 산출하였다. 업계에서 요구되는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500회 충방전 후)은 83% 이상이다.
[식 3]
용량 유지율(%) = (500회차의 방전용량/1회차의 방전용량)×100
각 전해동박마다 5개의 샘플을 취하였고, 상기 5개의 샘플들로 5개의 이차전지들을 전술한 방법으로 각각 제조하였으며, 상기 5개의 이차전지들의 용량 유지율을 전술한 방법으로 각각 측정하였고, 이 측정값들을 산술평균함으로써 각 전해동박에 해당하는 용량 유지율을 구하였다.
PET
(mg/L)
Sc
(mg/L)
브러시 입도
(#)
Rv_1
(㎛)
Rv_2
(㎛)
|Rv_1-Rv_2|
(㎛)
RSm_1
(㎛)
RSm_2
(㎛)
용량 유지율
(%)
실시예1 7.0 150 800 0.32 1.17 0.85 93 27 85
실시예2 3.0 150 3000 0.98 0.67 0.31 92 167 88
실시예3 1.0 150 1000 1.67 0.95 0.72 95 55 87
실시예4 1.0 250 1000 0.98 0.95 0.03 27 58 83
실시예5 1.0 20 1000 0.98 0.95 0.03 168 58 85
비교예1 7.1 150 800 0.31 1.12 0.81 93 52 78
비교예2 7.0 150 500 0.33 1.21 0.88 95 25 77
비교예3 0.5 150 1000 1.69 0.95 0.74 95 59 77
비교예4 3.0 260 1000 0.98 0.95 0.03 25 55 78
비교예5 3.0 10 1000 0.98 0.95 0.03 171 61 76
위 표 2로부터, Rv_1가 0.32㎛ 미만인 경우(비교예 1), Rv가 1.67㎛를 초과하는 경우(비교예 3), 제1 면과 제2 면의 Rv 차이(|Rv_1 - Rv_2|)가 0.85㎛를 초과하는 경우(비교예 2), RSm_1이 27㎛ 미만인 경우(비교예 4), 및 RSm_1이 168㎛를 초과하는 경우(비교예 5),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500회 충방전 후)이 업계에서 요구되는 값(83%)보다 현저히 낮음을 알 수 있다.
100: 이차전지 전극 110: 전해동박
111: 구리층 112a: 제1 보호층
112b: 제2 보호층 120a: 제1 활물질층
120b: 제2 활물질층

Claims (20)

  1. 제1 면과 그 반대편의 제2 면을 갖는 전해동박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을 향하는 매트면(matte surface) 및 상기 제2 면을 향하는 샤이니면(shiny surface)을 갖는 구리층;
    상기 매트면 상의 제1 보호층; 및
    상기 샤이니면 상의 제2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면들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1, Rv_2)는 0.32 내지 1.67 ㎛이고,
    상기 제1 면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1)와 상기 제2 면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2)의 차이는 0.85 ㎛ 이하이며,
    상기 제1 및 제2 면들의 조도 프로파일 요소들의 평균 폭(RSm_1, RSm_2)은 27 내지 168 ㎛인,
    전해동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면들 각각의 (220)면 집합조직계수[TC(220)]는 0.49 내지 1.28인,
    전해동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동박은 29 내지 65 kgf/mm2의 인장강도 및 3% 이상의 연신율을 갖는,
    전해동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동박의 폭 방향 중량편차는 5% 이하인,
    전해동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동박은 4 내지 30 ㎛의 두께를 갖는,
    전해동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호층들 각각은 0.5 내지 5.5 mg/m2의 크롬(Cr)을 포함하는,
    전해동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호층들의 크롬(Cr) 함량 차이는 2.5 mg/m2 이하인,
    전해동박.
  8. 제1 면과 그 반대편의 제2 면을 갖는 전해동박; 및
    상기 제1 면 상의 제1 활물질층을 포함하되,
    상기 전해동박은,
    상기 제1 면을 향하는 매트면 및 상기 제2 면을 향하는 샤이니면을 포함하는 구리층;
    상기 매트면 상의 제1 보호층; 및
    상기 샤이니면 상의 제2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면들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1, Rv_2)는 0.32 내지 1.67 ㎛이고,
    상기 제1 면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1)와 상기 제2 면의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밸리 깊이(Rv_2)의 차이는 0.85 ㎛ 이하이며,
    상기 제1 및 제2 면들의 조도 프로파일 요소들의 평균 폭(RSm_1, RSm_2)은 27 내지 168 ㎛인,
    이차전지용 전극.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면들 각각의 (220)면 집합조직계수[TC(220)]는 0.49 내지 1.28인,
    이차전지용 전극.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동박은 29 내지 65 kgf/mm2의 인장강도 및 3% 이상의 연신율을 갖는,
    이차전지용 전극.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동박의 폭 방향 중량편차는 5% 이하인,
    이차전지용 전극.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동박은 4 내지 30 ㎛의 두께를 갖는,
    이차전지용 전극.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호층들 각각은 0.5 내지 5.5 mg/m2의 크롬(Cr)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호층들의 크롬(Cr) 함량 차이는 2.5 mg/m2 이하인,
    이차전지용 전극.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 상의 제2 활물질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활물질층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 Si, Ge, Sn, Li, Zn, Mg, Cd, Ce, Ni 또는 Fe의 금속; 상기 금속을 포함하는 합금; 상기 금속의 산화물; 및 상기 금속과 탄소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활물질을 각각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16. 양극(cathode);
    상기 제8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이차전지용 전극으로 구성된 음극(anode);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리튬 이온이 이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전해질(electrolyte);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을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주는 분리막(separato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7. 구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리층 상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구리층 형성 단계는,
    50 내지 100 g/L의 구리 이온, 50 내지 150 g/L의 황산, 2 내지 10 mg/L의 비스-(3-설포프로필) 디설파이드[bis-(3-sulfopropyl) disulfide: SPS], 50ppm 이하의 염소, 1 내지 7 mg/L의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및 20 내지 250 mg/L의 스칸듐(Sc)을 포함하는 전해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전해액 내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전극판 및 회전 드럼 사이에 40 내지 80 A/dm2의 전류밀도를 가함으로써 전기도금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드럼의 표면은 #800 이상의 입도(Grit)를 갖는 연마 브러시로 연마된,
    전해동박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은 2000 내지 4000 g/mol의 중량평균분자량(Mw)을 갖는,
    전해동박 제조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도금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전해액은 50 내지 65 ℃로 유지되는,
    전해동박 제조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 형성 단계는 0.5 내지 1.5 g/L의 Cr을 포함하는 방청액 내에 상기 구리층을 침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해동박 제조방법.
KR1020190032188A 2019-03-21 2019-03-21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해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02132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188A KR102132695B1 (ko) 2019-03-21 2019-03-21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해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188A KR102132695B1 (ko) 2019-03-21 2019-03-21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해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2695B1 true KR102132695B1 (ko) 2020-07-10

Family

ID=71604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188A KR102132695B1 (ko) 2019-03-21 2019-03-21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해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6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606B1 (ko) * 2021-12-15 2022-08-23 장 춘 페트로케미컬 컴퍼니 리미티드 전해 동박,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리튬-이온 전지
CN115198319A (zh) * 2021-12-15 2022-10-18 长春石油化学股份有限公司 电解铜箔及包含所述电解铜箔的电极与锂离子电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37514A (ja) * 2013-11-08 2016-12-01 イルジン マテリアル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Iljin Materials Co., Ltd. 電解銅箔、並びにこれを含む電気部品及び電池
JP6040791B2 (ja) * 2013-02-04 2016-12-07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の集電体及びこの集電体を備えた電極並びに該電極の形成方法
KR20180080512A (ko) * 2017-01-04 2018-07-12 케이씨에프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최적화된 피크 조도를 갖는 전해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20180137853A (ko) * 2017-06-20 2018-12-28 케이씨에프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울음과 찢김이 최소화된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40791B2 (ja) * 2013-02-04 2016-12-07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の集電体及びこの集電体を備えた電極並びに該電極の形成方法
JP2016537514A (ja) * 2013-11-08 2016-12-01 イルジン マテリアル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Iljin Materials Co., Ltd. 電解銅箔、並びにこれを含む電気部品及び電池
KR20180080512A (ko) * 2017-01-04 2018-07-12 케이씨에프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최적화된 피크 조도를 갖는 전해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20180137853A (ko) * 2017-06-20 2018-12-28 케이씨에프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울음과 찢김이 최소화된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606B1 (ko) * 2021-12-15 2022-08-23 장 춘 페트로케미컬 컴퍼니 리미티드 전해 동박,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리튬-이온 전지
CN115198319A (zh) * 2021-12-15 2022-10-18 长春石油化学股份有限公司 电解铜箔及包含所述电解铜箔的电极与锂离子电池
CN115198319B (zh) * 2021-12-15 2023-11-17 长春石油化学股份有限公司 电解铜箔及包含所述电解铜箔的电极与锂离子电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7081B2 (en) Electrolytic copper foil capable of improving capacity retention rate of secondary battery, electrode including the sam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58241B1 (ko) 전해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집전체,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JP6527219B2 (ja) 最適化したピーク粗さを有する電解銅箔、それを含む電極、それを含む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1527760A (ja) 電着銅箔および電極ならびにそれを含む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EP4243145A2 (en) Electrolytic copper foil capable of preventing tearing or wrinkle defects, electrode containing same,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3288102A1 (en) Electrolytic copper foil, electrode comprising the sam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32695B1 (ko)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해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02136794B1 (ko) 우수한 밀착력을 갖는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EP3588640A2 (en) Copper foil having excellent adhesive strength, electrode comprising sam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6822629B2 (ja) 銅箔、その製造方法、それを含む電極、及びそれを含む二次電池
EP3919655A1 (en) Electrolytic copper foil proof against tear or wrinkle defects, electrode comprising sam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4299795A1 (en) Electrolytic copper foil and electrode and lithium-ion cell comprising the same
CN113490770B (zh) 能够防止撕裂或褶皱不良的电解铜箔、包括该电解铜箔的电极、包括该电极的二次电池及该电解铜箔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