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532B1 - 자율 주행 차량 공유 플랫폼을 활용한 브랜드 가치 및 경험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율 주행 차량 공유 플랫폼을 활용한 브랜드 가치 및 경험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532B1
KR102132532B1 KR1020180094817A KR20180094817A KR102132532B1 KR 102132532 B1 KR102132532 B1 KR 102132532B1 KR 1020180094817 A KR1020180094817 A KR 1020180094817A KR 20180094817 A KR20180094817 A KR 20180094817A KR 102132532 B1 KR102132532 B1 KR 102132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experience
user
output
compet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9801A (ko
Inventor
김태양
Original Assignee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4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532B1/ko
Publication of KR20200019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5Vehicular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K9/00597
    • G06K9/0062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 공유 플랫폼을 활용한 브랜드 가치 및 경험 제공 시스템은, 유저에게 광고주의 상품과 관련된 내용을 수록한 체험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공매체를 구비한 자율 주행 차량; 도로정보가 포함된 GI 라이브러리와, 유저로부터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받는 이동정보 입력모듈 및, 상기 GI 라이브러리를 매개로 상기 목적지를 향해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생성하고 이동 소요시간을 연산하는 경로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경로 파악 인터페이스; 복수 개의 상기 체험 컨텐츠가 저장된 컨텐츠 라이브러리와, 상기 이동경로 및 이동 소요시간에 따라 출력될 상기 체험 컨텐츠의 종류 및 출력 시점을 설정하는 컨텐츠 설정 모듈과, 상기 컨텐츠 설정 모듈에서 설정된 상기 체험 컨텐츠를 상기 출력 시점에 상기 제공매체로 출력 제어하는 컨텐츠 출력 모듈을 구비한 체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율 주행 차량 공유 플랫폼을 활용한 브랜드 가치 및 경험 제공 시스템{System To Provide Brand Value and Experience Using Autonomous Vehicle Sharing Platform}
본 발명은 자율 주행 차량 공유 플랫폼을 활용한 브랜드 가치 및 경험 제공 시스템으로서,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차량공유 서비스를 활용하여 공유될 차량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다양한 출력장치를 활용하는 것으로 유저에게 특정 브랜드의 가치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차공간의 부족현상이 심화되고, 젊은 층을 중심으로 개인 소유 차량보다는 언제 어디서든지 편리하게 빌릴 수 있는 차량공유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글로벌 기업들을 중심으로 하는 무인 주행 기술의 개발도 빠른 속도로 진전을 보이면서 이러한 차량공유 서비스의 한 축을 자율 주행 차량이 담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공유 서비스와 자율 주행 차량의 경우, 다양한 유저들이 차량을 공유할 수 있으며, 필요한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고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므로 차량공유 서비스는 전 세계적으로 그 시장규모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유명 자동차 기업에서도 그들의 브랜드 자동차(Branded mobility)를 차량공유 서비스 및 자율 주행 차량으로 제공하고 있다.
나아가 자율 주행 차량의 경우에는 유저가 숙련된 운전 실력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기본적인 주행을 차량이 스스로 수행하기 때문에 부담이 적고, 특히 장거리 운전이나 업무 후 피로한 상태에서의 차량 주행을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자율 주행 차량은 기존의 자동차 산업과 연관이 없던 다양한 기업들의 참여와 관련 투자가 매우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으며(대표적으로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엔비디아 등의 IT기업들을 들 수 있다.) 해외 전문 리서치업체에 따르면 2035년에는 자율 주행 차량의 시장규모는 743조원으로 성장하며, 자율 주행 차량의 보급 규모는 약 9,540만대로 연 평균 85%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차량공유 서비스의 경우, 2014년 4.9백만 명에 달한 회원수가 2020년에는 33.2백만 명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등록된 공유차량의 대수도 2014년 92.2천대에서 2020년에는 440.6천대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공유의 활성화는 자동차 산업을 일종의 이동 플랫폼 서비스로 거듭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준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차량공유와 자율 주행 차량 기술이 융합되면, 차량의 내부 공간은 운동이나 독서, 취침 등이 가능한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자율 주행 자동차 자체를 하나의 목적을 가진 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건물에 특정 브랜드가 입점하는 것처럼 자율 주행 차량에도 특정 브랜드가 입점함으로써 온라인에서 느낄 수 없었던 브랜드 아이덴티티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저는 차량 내부에서 특정 브랜드에 대한 새로운 경험을 제공받음으로써 브랜드의 가치를 마케팅할 수 있는 효과를 갖출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관련 선행기술로서 다음의 기술들이 공개되어 있다.
먼저, 한국 공개특허 제 10-2015-0064760호 AR-HUD용 파노라마 영상정보 및 잔상정보 표출 시스템은, 차량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촬상부를 이용하여 차량 외부를 촬영하고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외부영상을 생성하는 제 1단계, 촬영한 하나 이상의 상기 외부영상을 제어부에서 잔상정보 모드별로 필터링 및 영상 가공하여 잔상정보를 생성하는 제 2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필터링 및 영상 가공된 상기 잔상정보를 맵매칭하여 영상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 3단계 및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잔상정보 선택신호에 포함된 잔상정보 모드에 해당하는 상기 잔상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출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운전 중 순간적으로 지나친 지역, 시설물, 풍경 등의 잔상정보를 추후 HUD 등을 통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AR-HUD용 파노라마 영상정보 및 잔상정보 표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은 운전자나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에게 운전 중 지나친 것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추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유용하나, 사용자의 입력 없이는 정보가 도출되지 않을뿐더러 HUD만을 활용하기 때문에 앞좌석에 앉은 유저 외에는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나아가, 한국 공개특허 제 10-2017-0010645호 자율 주행 차량 및 이를 구비하는 자율 주행 차량 시스템은, 복수의 카메라와, 레이더와, 통신부와, 디스플레이와, 오디오 출력부와, 자율 주행 운전 모드 시, 목적지를 향해, 복수의 루트 중 어느 한 루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루트로, 자율 주행 운전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선택된 루트로 주행 시, 외부로부터의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 또는 오디오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복수의 루트 별로, 수신되는 컨텐츠 정보가 가변한다. 이에 의해, 자율 주행 시 목적지까지의 루트 별로 서로 다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활용하여 단순한 문자나 그림을 통해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단순히 해당 정보들을 무시하는 것만으로도 컨텐츠의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어 활용에 주의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차량공유 서비스를 활용하여 공유될 차량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다양한 출력장치를 활용하는 것으로 유저에게 특정 브랜드의 가치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율 주행 차량의 차량공유 서비스를 활용하여 자율 주행 차량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다양한 출력장치를 통해 자율 주행 차량에 탑승한 유저에게 특정 브랜드의 가치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더하여, 다양한 체험 컨텐츠를 기 지정된 규칙에 따라 출력함으로써 유저에게 보다 효율적인 브랜드 가치 체험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나아가, 유저가 체험 컨텐츠에 집중할 수 있도록 유저의 동작을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 공유 플랫폼을 활용한 브랜드 가치 및 경험 제공 시스템은, 유저에게 광고주의 상품과 관련된 내용을 수록한 체험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공매체를 구비한 자율 주행 차량; 도로정보가 포함된 GI 라이브러리와, 유저로부터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받는 이동정보 입력모듈 및, 상기 GI 라이브러리를 매개로 상기 목적지를 향해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생성하고 이동 소요시간을 연산하는 경로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경로 파악 인터페이스; 복수 개의 상기 체험 컨텐츠가 저장된 컨텐츠 라이브러리와, 상기 이동경로 및 이동 소요시간에 따라 출력될 상기 체험 컨텐츠의 종류 및 출력 시점을 설정하는 컨텐츠 설정 모듈과, 상기 컨텐츠 설정 모듈에서 설정된 상기 체험 컨텐츠를 상기 출력 시점에 상기 제공매체로 출력 제어하는 컨텐츠 출력 모듈을 구비한 체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은,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자율 주행 차량에 구비된 창문에 영상을 출력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상기 체험 컨텐츠는, 경쟁사 제품과 상기 광고주 제품의 비교 광고를 수록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비교 컨텐츠와, 상기 경쟁사 제품과 상기 광고주 제품을 비교한 워드 및 문장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타겟 메시지를 포함하며, 상기 GI 라이브러리는, 경쟁사 위치정보와,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경쟁사 브랜드 정보가 저장된 경쟁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설정 모듈은, 상기 이동경로에서 상기 경쟁사 위치정보를 찾아 카운터 스팟으로 지정하는 경쟁사 지정부와, 상기 이동경로에서 상기 경쟁사 위치정보 도착 전 영역에 위치한 신호등 및 횡단보도 중 적어도 하나를 집중 스팟으로 지정하는 집중 지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컨텐츠 출력 모듈은, 상기 집중 스팟 도착 시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의 ECU와 연동하여 정차 여부를 판단하는 정차 판단부와, 상기 정차 판단부에서 정차 판단 시 상기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매개로 상기 창문에 상기 비교 컨텐츠를 출력하는 비교 컨텐츠 출력부 및, 상기 카운터 스팟 도착 시 건물의 간판에서 상기 경쟁사 브랜드 정보의 포함 여부를 인식하는 브랜드 인식부와, 상기 브랜드 인식부에서 경쟁사 브랜드 정보 인식 시 상기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창문에 증강현실 방식으로 상기 타겟 메시지를 출력하는 타겟 메시지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은, 상기 유저의 동공 위치 및 크기를 감지하는 동공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메시지 출력부는, 상기 동공 센서를 통해 동공 위치 변화 및 상기 동공 크기의 감소를 감지하여 상기 타겟 메시지를 페이드 인 처리하여 상기 유저의 초점 변화를 유도하는 페이드 인 처리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페이드 인 처리파트는,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타겟 메시지의 사이즈를 조절하여 페이드 인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18080283329-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8080283329-pat00002
는 상기 타겟 메시지 사이즈의 증가 비율,
Figure 112018080283329-pat00003
는 상기 타겟 메시지의 최초 출력 시 유저의 동공 위치로부터 현재 이동된 동공 위치의 간격(mm),
Figure 112018080283329-pat00004
는 상기 타겟 메시지의 최초 출력 시 유저의 동공 지름으로부터 현재 변화된 동공 지름의 크기 차(mm),
Figure 112018080283329-pat00005
는 상기 유저의 안구 지름(cm)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 공유 플랫폼을 활용한 브랜드 가치 및 경험 제공 시스템은,
1) 차량공유 서비스에 활용될 자율 주행 차량마다 입점사를 두어, 이 입점사가 자율 주행 차량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다양한 출력장치를 통해 차량에 탑승한 유저에게 브랜드 가치 체험이 가능한 체험 컨텐츠를 제공함에 따라 효율적으로 브랜드의 가치를 알 수 있으며,
2) 이동 경로나 주변 경쟁사 존재 여부에 따라 자율 주행 차량 내부에 다양한 체험 컨텐츠를 출력함으로써 유저에게 경쟁사 브랜드와의 가치 비교가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하여 유저가 선호하는 브랜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고,
3) 유저의 동공이나 땀 발생여부와 같은 생리 감지센서를 통해 유저가 체험 컨텐츠에 집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유저가 체험 컨텐츠에 집중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브랜드 가치의 홍보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제시한다.
도 1은 브랜드 가치 및 경험 제공 시스템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브랜드 가치 및 경험 제공 시스템이 구비된 자율 주행 차량 내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설정된 경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비교 컨텐츠의 출력과 관련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이어셋과 동공 센서를 활용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가상현실 컨텐츠의 출력과 관련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브랜드 가치 및 경험 제공 시스템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자율 주행 차량 공유 플랫폼을 활용한 브랜드 가치 및 경험 제공 시스템은, 유저(40)에게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율 주행 차량(30) 등을 활용할 때에 자율 주행 차량(30) 내부에서 유저(40)에게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는 광고나 샘플제공, 무료체험, 시식, 시연 등과 같은 다양한 체험 컨텐츠(50)를 제공함으로써 브랜드 가치 및 경험이 가능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여기서, 자율 주행 차량(30)에는 그 자체적으로 시스템 서버(10)가 구비되거나 혹은 무선 통신망과 연결된 시스템 서버(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 서버(10)는 컨텐츠 제공업체(20)(광고주(20))의 서버와 연결되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받아 자율 주행 차량(30)에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브랜드 가치 및 경험 제공 시스템이 구비된 자율 주행 차량(30) 내부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3은 설정된 경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러한 시스템의 구성을 위해 기본적으로 자율 주행 차량(30)에는 도로정보 및 건물정보가 포함된 GI 라이브러리와, 유저(40)로부터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받는 이동정보 입력 모듈 및, GI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정보들을 매개로 출발지로부터 목적지를 향해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생성하고 이동 소요시간을 연산하는 경로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경로 파악 인터페이스를 기본으로 포함한다.
즉, 경로 파악 인터페이스는 유저(40)가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이동하기를 원할 때, 도로정보 및 건물정보가 저장된 GI 라이브러리를 통해 해당하는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도출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이러한 GI 라이브러리는 외부 교통정보 서비스 시스템과도 연계될 수 있어 도로의 교통상황이나 사고, 보수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결론적으로 이 경로 파악 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저(40)가 원하는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는 경로가 자동적으로 생성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나아가, 이동경로 및 이동 소요시간에 따라 복수 개의 체험 컨텐츠(50)가 저장된 컨텐츠 라이브러리로부터 출력될 컨텐츠의 종류 및 출력될 시간을 지정하는 체험 인터페이스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컨텐츠는 바로 특정 브랜드의 가치 및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하나의 좋은 수단으로서, 가장 쉬운 예로는 광고를 들 수 있다. 특히 이 컨텐츠 라이브러리는 해당 자율 주행 차량(30)에 입점된 광고주(20)를 통해 제공된 다양한 컨텐츠들이 저장되는 것으로서, 여기서 컨텐츠의 길이나 컨텐츠의 종류 등은 자율 주행 차량(30) 내부에서 사용 혹은 출력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이 없다.
컨텐츠의 더욱 상세한 예를 들면 가장 기본적으로는 실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이미지나 문구로 된 광고로부터 1분 내외의 영상광고, 1분 이상의 장편 영상광고, 로고송, 음성광고 등의 광고나 샘플을 제공하거나 유저(40)가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체험영역을 통해 샘플 제품을 구동해보는 시간을 마련하는 등 다양한 장르의 컨텐츠들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여기서 컨텐츠를 출력한다는 것은 광고의 출력 이외에도 샘플의 제공이나 샘플의 구동 혹은 체험을 의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 컨텐츠 설정 모듈에서는 경로 파악 인터페이스에서 연산된 이동경로와 이동 소요시간에 따라 자율 주행 차량(30)이 특정 위치에 도달하거나 혹은 자율 주행 차량(30)을 이용한 시점으로부터 특정 시간이 지난 시점에 특정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광고주(20)의 입장에서는 자율 주행 차량(30)을 사용 중인 유저(40)에게 자율 주행 차량(30)에 탑승한 시간 내내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브랜드에 대한 홍보에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겠으나, 실질적으로는 수 분이 지나면 오히려 유저(40)에게 지겨움이나 과도한 반복으로 인한 피로감만 상승시킬 수 있어 오히려 컨텐츠를 제공하는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컨텐츠를 제공함에 있어 적절한 시점에 적절한 길이나 텀을 두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컨텐츠 제공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필요하며, 또한 자연스럽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저(40)로 하여금 해당 컨텐츠에 대한 피로감을 저감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체험 인터페이스에는 컨텐츠 설정 모듈에서 지정된 체험 컨텐츠(50)를 자율 주행 차량(30)에 구비되어 컨텐츠가 출력될 수 있는 제공매체를 통해 유저(40)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출력 모듈이 구비된다.
여기서 자율 주행 차량(30)에는 상술한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공매체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 제공매체의 예로서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터치스크린, 혹은 특정 제품이나 상품의 샘플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모든 제공매체가 자율 주행 차량(30) 내부에 전부 구비될 필요는 없고, 이에 따라 컨텐츠 라이브러리에도 해당 자율 주행 차량(30)에 구비된 제공매체의 종류에 따라 저장된 컨텐츠의 종류를 조절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제공매체를 통해 자율 주행 차량(30)에 탑승한 유저(40)에게 지정된 상황에 맞는 체험 컨텐츠(50)를 출력함으로써 유저(40)는 이 컨텐츠들을 통해 광고주(20)가 속한 특정 기업에 대한 인식을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컨텐츠 설정 모듈의 역할은 광고주(20)의 입장에서 가장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라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컨텐츠 설정 모듈은 다양한 광고의 기법들을 적용하여 표시될 컨텐츠를 선택하고, 컨텐츠가 표시되는 시간이나 텀을 지정하는 등 자율 주행 차량(30)에 탑승한 유저(40)에게 효율적이면서 효과적으로 브랜드의 가치와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장 먼저 유저(40)가 자율 주행 차량(30)에 탑승 시 무조건적으로 기본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컨텐츠는 컨텐츠 라이브러리에서 제공되는 체험 컨텐츠(50)의 일종으로서 예를 들어 유저(40)가 자율 주행 차량(30)에 탑승했을 때 특정한 로고송이 울려 퍼지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자율 주행 차량(30)에는 이 메인 컨텐츠의 제공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으로서 유저(40)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는 탑승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야 할 것인데, 이 탑승 감지 센서는 차량에 기본적으로 구비된 ECU나 블랙박스 등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실시예를 들면 ECU를 통해 자율 주행 차량(30)의 문이 열렸다 닫히는 것을 센싱하거나 혹은 좌석의 일 측에 구비되어 압력 변화를 통해(예를 들면 유저(40)가 좌석에 앉거나 일어선 것을) 센싱하는 방법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유저(40)의 탑승을 센싱한 이후에는 출력 제어 모듈에서 지정된 메인 컨텐츠를 차량에 구비된 제공매체를 통해 유저(40)에게 제공하도록 메인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어 이러한 구성을 통해 메인 컨텐츠의 제공이 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메인 컨텐츠는 어떠한 유저(40)든지 자율 주행 차량(30)에 탑승 시 무조건 경험하게 되는 컨텐츠가 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컨텐츠를 지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른 예를 들어 자율 주행 차량(30)에 커피 전문점이 입점했다고 가정하면, 커피 전문점의 경우 유저(40)의 탑승 시 커피 신제품을 소량 샘플로서 제공할 수도 있고, 혹은 커피 전문점의 최근 광고를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나아가 해당 커피 전문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폰이나 관련 전단 등을 메인 컨텐츠로서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특수한 상황에 제공되는 체험 컨텐츠(5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체험 컨텐츠(5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많이 노출될수록 광고주(20)에게는 이익이 되겠지만, 실제 유저(40)는 과도한 체험 컨텐츠(50)의 노출이 오히려 피로감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적정선에서 자연스럽게 유저(40)에게 체험 컨텐츠(50)가 제공되도록 하면서 그만큼 효율적으로 체험 컨텐츠(50)의 내용을 각인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자율 주행 차량(30)에 특정 업체가 입점하였을 때, 기본적으로 자율 주행 차량(30)을 대여하는 대여 측에서는 미리 유저(40)의 관심사를 파악해 두거나 혹은 유저(40)의 목적지를 통해 유추되는 관심사를 활용하여 유저(40)에게 제공될 자율 주행 차량(30)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관심사에 따라 입점된 업체를 골라 유저(40)에게 보내는 것으로 보다 효율적인 브랜드 가치 경험 제공이 가능함은 물론이지만, 이러한 선택과 관련된 사항들은 일반적으로 유저(40) 관심사에 따른 정보 제공과 같이 다양한 광고나 컨텐츠 제공분야에서 이미 수많은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선택과 제공과 관련된 방법은 이미 알려진 공지의 방법을 얼마든지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제공된 자율 주행 차량(30)은 되도록 유저(40)의 관심사에 상응하는 광고주(20)가 입점된 차량이 제공될 것인 바, 따라서, 주행 중에 광고주(20) 자사의 매장을 지날 때보다 경쟁사를 지나칠 때에 이에 대한 카운터 광고나 카운터 컨텐츠를 제공하여 유저(40)의 관심을 광고주(20) 자사의 컨텐츠에 집중하도록 유도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자율 주행 차량(30)은 도로, 주변 차량 및 주변 건물을 포함하는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자율 주행 차량(30)에 구비된 창문(32)에 이미지를 출력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3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체험 컨텐츠(50)에는 경쟁사의 컨텐츠인 경쟁사 컨텐츠와 광고주(20)의 컨텐츠인 컨텐츠 제공업체(20)의 컨텐츠를 서로 비교할 수 있도록 제작된 비교 컨텐츠(71)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할 내용에서 좀 더 자세하게 다루도록 한다.
더하여, GI 라이브러리에는 이러한 비교 컨텐츠(71)가 제공되기 위해 지도에서 경쟁사의 위치를 저장해 둘 필요가 있으므로, 이 경쟁사의 위치정보가 기본으로 저장되며, 나아가 경쟁사의 로고 등을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텍스트나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경쟁사 브랜드가 저장된 경쟁사 데이터베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을 활용하여 컨텐츠 설정 모듈에서는 지정된 이동경로에서 경쟁사 위치정보를 매개로 이동경로에 포함된 경쟁사를 카운터 스팟(62)으로 지정하는 경쟁사 지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이동경로에서 경쟁사 위치정보에 도달하기 이전에 위치하는 신호등 및 횡단보도 중 적어도 하나를 집중 스팟(61)으로 지정하는 집중 지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이동경로가 지정되었을 때, 저장된 경쟁사 위치정보를 통해 각각의 경쟁사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영역을 카운터 스팟(62)으로 지정하고, 나아가, 이 카운터 스팟(62)에 도달하기 이전에 위치한 횡단보도나 신호등 등의 자율 주행 차량(30)이 멈출 수 있는 영역을 집중 스팟(61)으로 지정토록 하는 것이다.
도 4는 비교 컨텐츠(71)의 출력과 관련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렇게 지정된 카운터 스팟(62)과 집중 스팟(61)을 활용하는 것으로서, 컨텐츠 출력 모듈은, 집중 스팟(61) 도착 시 자율 주행 차량(30)의 ECU와 연동하여 정차 여부를 판단하는 정차 판단부와, 정차 판단부에서 정차 판단 시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매개로 창문(32)에 비교 컨텐츠(71)를 출력하는 비교 컨텐츠 출력부 및, 카운터 스팟(62) 도착 시 건물의 간판에서 경쟁사 브랜드 정보의 포함 여부를 인식하는 브랜드 인식부와, 브랜드 인식부에서 경쟁사 브랜드 정보 인식 시 경쟁사 제품과 컨텐츠 제공업체(20)의 제품을 비교하는 워드나 문장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 음성인 타겟 메시지(72)를 출력하는 타겟 메시지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집중 스팟(61)에 도달했을 때 유저(40)에게 비교 컨텐츠(71)를 제공하기 시작하여 경쟁사와 컨텐츠 제공업체(20)의 컨텐츠를 비교하면서 컨텐츠 제공업체(20)의 컨텐츠가 더 우수한 점을 계속해서 부각하다가 카운터 스팟(62) 도달 시 유저(40)는 창 밖에 위치한 경쟁사의 매장을 보더라도 앞서 출력된 비교 컨텐츠(71)의 영향으로 인해 경쟁사 컨텐츠보다 컨텐츠 제공업체(20)의 컨텐츠에 대해 호감을 갖게 만드는 것이다. 여기서 집중 스팟(61)에 도달 한 경우, ECU를 통해 집중 스팟(61)에서 자율 주행 차량(30)이 정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정지한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비교 컨텐츠(71)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정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정한 속도로 계속해서 이 집중 스팟(61)을 지나기 때문에 멈춘 경우보다 유저(40)의 관심을 끌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서 있는 시간만큼의 비교 컨텐츠(71)를 출력할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별도로 비교 컨텐츠(71)를 압축한 추가 비교 컨텐츠(71)가 구비되거나 혹은 비교 컨텐츠(71)를 동일하게 출력하되 추가적으로 유저(40)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별도의 수단(예를 들어 헤드 업 디스플레이(31)를 통해 AR방식으로 창문(32)에 유저(40)가 집중할 수 있는 별도의 그림이나 문자 등을 출력한다던지, 비프 음을 출력하는 등의 방식으로)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카운터 스팟(62)에 도착 시 자율 주행 차량(30)에 구비된 별도의 카메라를 통해 주변 건물에서 간판들을 스캔하여 이 간판 중 경쟁사 브랜드 정보의 포함 여부를 인식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좌표 정보만으로 경쟁사가 어디 있는지를 대략적으로 판단 가능하지만, 실제로 대형 빌딩의 경우에는 경쟁사뿐만 아니라 다양한 업체들이 입점하여 있으므로, 목표로 하는 경쟁사가 정확히 어느 위치에 있는지 구분하기 위해서는 경쟁사 브랜드 정보가 포함된 창문(32)이나 간판 등을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인식 과정은 경쟁사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이렇게 정확한 위치가 파악되면 비교 컨텐츠(71)와는 또 다른 타겟 메시지(72)를 출력하여 유저(40)에게 다시 한 번 경쟁사 컨텐츠와 컨텐츠 제공업체(20)의 컨텐츠를 비교한 것을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도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업체(20)의 컨텐츠는 스타벅스 커피의 프리미엄 브랜드인 리저브 커피이고, 경쟁사는 커피빈이라고 할 때, 비교 컨텐츠(71)를 통해 커피빈의 커피 로스팅, 맛, 서비스 등을 스타벅스 리저브 커피의 로스팅, 맛, 서비스와 계속해서 비교하고 리저브 커피의 장점을 주장하도록 하면서 카운터 스팟(62)에 도착하였을 때, 경쟁사 브랜드가 인식 된 경우(보통 카메라는 30m 이내에 위치한 문자나 그림의 식별이 가능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시야와 유사한 수준이다.)‘커피빈보다 향긋한 하루를 위해, 스타벅스 리저브를 선택하십시오.’와 같은 문구가 경쟁사 브랜드가 인식된 주변에 타겟 메시지(72)로서 출력되도록 하거나 혹은 음성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유저(40)가 앞서 계속해서 노출된 비교 컨텐츠(71)를 통해 타겟 메시지(72)의 출력 시 해당 내용을 수긍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광고의 효과도 높이고 유저(40)로 하여금 컨텐츠 제공업체(20)의 컨텐츠를 더 활용하고 싶도록 하는 유도 역할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이어셋과 동공 센서를 활용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나아가 자율 주행 차량(30)에는 유저(40)의 눈 변화(예를 들어 동공의 위치 변화나 크기 변화 등)를 감지하는 동공 센서(8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동공 센서(81)는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CCTV나 블랙박스 등을 활용할 수 있지만, 되도록 안구에서 동공의 크기나 움직임 정도는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그 위치는 유저(30)의 눈을 바라볼 수 있는 차량의 정면이나 창문 주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동공 센서(81)를 통해 유저(40)의 시야가 타겟 메시지(72)가 출력된 광고를 향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여기서, 타겟 메시지(72)가 문자나 이미지인 경우에는 이러한 설명이 정확하지만, 타겟 메시지(72)가 사운드와 같이 창문(32)에 출력되는 것이 아닐 수도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출력되는 사운드의 크기를 변경하는 등 다른 기준이 추가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타겟 메시지(72)를 페이드 인 처리하여 타겟 메시지(72)가 점점 더 선명하게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유저(40)로 하여금 이 타겟 메시지(72)를 보게끔 유도하여, 자연스럽게 유저(40)의 초점 변화를 유도하는 페이드 인 처리파트를 포함하여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페이드 인 처리파트는 다음의 수학식 1을 사용하여 타겟 메시지(72)의 사이즈를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8080283329-pat00006
여기서,
Figure 112018080283329-pat00007
는 상기 타겟 메시지(72) 사이즈의 증가 비율,
Figure 112018080283329-pat00008
는 상기 타겟 메시지(72)의 최초 출력 시 유저(40)의 동공 위치로부터 이동된 동공 위치의 간격(mm),
Figure 112018080283329-pat00009
는 상기 타겟 메시지(72)의 최초 출력 시 유저(40)의 동공 지름으로부터 변화된 동공 지름의 크기 차(mm),
Figure 112018080283329-pat00010
는 상기 유저(40)의 안구 지름(cm)을 의미한다.
유저(40)의 집중 여부를 외부에서 판단할 수 있는 쉬운 센서는 바로 동공의 이동과 크기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다. 특히 뇌의 반응에 의해 사람이 느끼는 감정은 자율신경계의 활성화를 통해 동공의 변화로도 표출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물론 조명과 같은 빛의 변화에 의해 동공의 크기 변화가 발생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이지만, 그 변화의 지속시간이나 정도, 속도, 위치 등과 같은 변수는 단순한 생리적 적응에 의한 변화가 아닌 유저(40)의 판단에 의해 변화하는 값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 중 유저(40)의 동공 위치 변화와 동공 지름의 크기 변화를 통해 유저(40)의 집중을 판단한다. 이를 위해 먼저 타겟 메시지(72)가 최초로 출력될 때를 기준으로 하게 되는데, 즉 타겟 메시지(72)의 최초 출력 시점의 유저(40)의 동공 위치와 동공 지름을 기준으로 하여, 특정(현재) 시점에서 변화된 유저(40)의 동공 위치와 동공 지름을 활용한다.
특히 유저(40)는 비교 컨텐츠(71)가 출력되다가 갑자기 타겟 메시지(72)가 더 출력되는 경우 순간적으로 타겟 메시지(72)를 바라볼 수밖에 없으며, 이를 활용하면, 최초 출력 시 동공의 위치는 타겟 메시지(72)를 바라보는 위치라고 가정할 수 있고, 이 때 동공 지름을 기준으로 집중이 풀림에 따라 동공 지름이 커지거나 혹은 집중이 유지되어 동공 지름이 변하지 않는 것을 활용한다.
동공의 위치 이동이 많아지거나 동공 지름이 커지게 되면, 그만큼 유저(40)가 비교 컨텐츠(71)에 집중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여 원래 타겟 메시지(72)의 출력될 크기를 1이라고 하였을 때, 추가적으로 타겟 메시지(72)를 확대할 비율을 더 더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유저(40)의 안구 크기가 3.50cm, 이동된 동공의 위치가 3mm, 증가된 동공 지름이 0.5mm라고 가정할 때, 타겟 메시지(72) 사이즈의 증가 비율은 1+(3*0.5)/3.5 =1+1.5/3.5 = 1+0.43=1.43배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원래 타겟 메시지(72) 사이즈보다 1.43배 확대된 타겟 메시지(72)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유저(40)의 집중을 유도하게 된다.
더 나아가, 컨텐츠 라이브러리에는 컨텐츠 제공업체(20)의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 이미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자극 프레임이 저장된 자극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될 수 있으며, 나아가 컨텐츠 출력부는, 유저(40)의 동공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유저(40)가 비교 컨텐츠(71)를 바라보는 경우, 이 비교 컨텐츠(71)를 시간 순서에 따라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분할한 후 일정 시간 간격마다 위치하는 프레임을 자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극 프레임으로 교체하여 합성함으로써, 프레임이 교체된 비교 컨텐츠(71)가 출력되도록 하는 프레임 합성파트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 합성파트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비교 컨텐츠(71)가 출력되고 있을 때, 현재 시점에 남은 비교 컨텐츠(71)가 포함하는 프레임의 개수를 확인하고, 나아가 유저의 동공 위치 변화를 동공 센서(81)를 통해 수신한다. 이 두 가지를 기반으로 하여 비교 컨텐츠(71)의 잔여 프레임 개수 대비 자극 프레임이 합성된 개수인 프레임 합성비를 도출하여 이 프레임 합성비에 따라 잔여 프레임에서 자극 프레임이 합성될 비율을 결정하게 된다.
물론, 기본적으로는 프레임 합성비에 따라 비교 컨텐츠(71)에 자극 프레임이 한 번 등장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자극 프레임이 2회 이상 연속으로 혹은 일정한 텀을 두고 발생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프레임 합성파트의 역할은 영상이나 음성 등의 출력 시 사람이 인지하기 어려운 매우 빠른 속도로 특정한 영상이나 음성을 섞어 출력하게 되면, 무의식적으로 사람은 이를 기억하게 되는데(이것을 서브리미널 효과라고 한다.), 이러한 서브리미널 효과를 활용하여 유저의 무의식에 영향을 끼치는 것이다. 즉, 비교 컨텐츠(71)에 영상이나 음성과 같은 자극 프레임을 합성하여 매우 짧은 시간동안(대체로 시각적 이미지의 경우,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프레임이 60프레임 혹은 30프레임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이 중 하나의 프레임을 자극 프레임에 할당하거나 혹은 그보다 더 짧은 시간동안의 프레임에 자극 프레임을 지정하도록 하는 것이다.)출력하게 됨으로써 유저(40)가 이 자극 프레임을 기억하게끔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서브리미널 효과에 의해 유저(40)는 일정 시간 간격마다 자극 프레임에 노출되어 광고주(20) 자사의 컨텐츠를 떠올리게 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컨텐츠 제공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프레임 합성파트는 비교 컨텐츠(71)를 구성하는 프레임들 중 자극 프레임이 합성될 비율인 프레임 합성비를 도출하는 것으로서, 다음의 수학식 2를 통해 프레임 합성비를 차등 제어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8080283329-pat00011
여기서,
Figure 112018080283329-pat00012
는 프레임 합성비,
Figure 112018080283329-pat00013
는 비교 컨텐츠(71)의 잔여 프레임 개수,
Figure 112018080283329-pat00014
는 상기 타겟 메시지(72)의 최초 출력 시 유저(40)의 동공 위치로부터 현재 이동된 동공 위치의 간격(mm),
Figure 112018080283329-pat00015
는 상기 유저(40)의 안구 크기(cm)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비교 컨텐츠(71)의 잔여 프레임이 120, 동공 위치의 간격은 앞서 예시를 든 것을 그대로 활용하여 3mm, 유저(40)의 안구 크기도 3.5cm라고 가정하고, 프레임 합성비를 산출하면 다음과 같다.
(10*3)/(120*3.5) = 30/420 = 0.071
따라서 비교 컨텐츠(71)의 남은 프레임 중 약 7.1%를 자극 프레임으로 합성하여 출력토록 함으로써 유저(40)가 비교 컨텐츠(71)에 집중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여기서 유저(40)가 아예 눈을 감거나 바라보지 않는 경우 혹은 완벽하게 집중하는 경우에는, 0이 도출되어 유저(40)가 관심이 없다고 판단하여 자극 프레임을 합성하지 않은 채 지나갈 수 있으며, 짧은 시간 동안이라도 유저(40)가 비교 컨텐츠(71)를 바라본 경우에는 자극 프레임을 자주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저(40)가 해당 영역을 잠깐이라도 보았을 때, 자극 프레임이 유저(40)의 기억에 남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극 프레임이 일정 프레임 간격마다 반복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으로 서브리미널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어 컨텐츠 제공을 통해 브랜드 가치 경험을 상승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자율 주행 차량(30)에는 유저(4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입력수단(86)과, 유저(40)의 귀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체험 컨텐츠(50)에 포함된 사운드가 출력되는 이어피스(83)와, 이어피스(83)의 일 측에서 귓등에 걸쳐진 상태로 목 부위로 연장되어 귀에 고정되는 고리부(84) 및, 고리부(84)의 끝 단에서 유저(40)의 목에 접촉되는 것으로서, 목에서 땀 발생을 측정하는 땀 센서(85)를 구비한 이어셋(8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장치들은 유저(40)가 쉽게 볼 수 있는 장소에 위치시켜 유저(40)가 이 장치들을 착용하거나 손에 쥐고 있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나아가 컨텐츠 출력 모듈에는 체험 컨텐츠(50)가 출력되는 동안 땀 센서(85)에서 땀 발생량의 증가 여부를 판단하는 땀 발생 판단파트를 통해 유저(40)가 체험 컨텐츠(50)에 집중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땀 발생 판단파트에서 땀 발생량의 증가 감지 시 체험 컨텐츠(50)의 출력 이후 유저(40)에게 추가적인 체험 컨텐츠(50) 출력을 선택적으로 on/off할 수 있도록 입력수단(86)을 통한 추가 입력을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창문(32)에 출력하는 출력 지정파트를 구비한 추가 재생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땀 센서(85)에서 땀이 발생하는 것을 판단하는 것은, 유저(40)가 체험 컨텐츠(50)에 집중하면서 긴장된 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결론적으로 유저(40)가 체험 컨텐츠(50)를 체험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후 유저(40)에게 추가적인 체험 컨텐츠(50)의 출력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on/off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더 이상의 체험 컨텐츠(50) 출력을 원하지 않는 유저(40)에게는 체험 컨텐츠(50)의 제공을 종료할 수 있고, 추가적인 체험 컨텐츠(50) 출력을 원하는 유저(40)에게는 더 다양한 체험 컨텐츠(50)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더 이상 컨텐츠의 출력을 바라지 않는 유저(40)를 위해, 해당 컨텐츠의 재생 이후 다음 재생될 컨텐츠들의 출력 여부를 유저(40)가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도한 컨텐츠 출력으로 인한 역효과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며, 나아가 유저(40)는 더 이상의 컨텐츠 출력을 바라지 않는 경우, 이 오브젝트가 나타났을 때까지 컨텐츠에 집중해야 하므로, 해당 컨텐츠까지는 모든 유저(40)가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이 부분에서 별도로 리워드 기능을 포함시켜 유저(40)가 추가적인 체험 컨텐츠(50)의 출력을 계속해서 요청하도록 유도하는 방법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가상현실 컨텐츠(73)의 출력과 관련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나아가, 유저(40)가 추가적인 체험 컨텐츠(50)의 출력을 허용한 경우, 유저(40)에게 보다 새로운 방식의 체험 컨텐츠(50)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계속해서 동일한 방식의 광고만 재생하였을 때, 유저(40)의 관심도나 집중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는 것으로서, 특히 밀폐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자율 주행 차량(30)에 어울리는 광고 방식인 VR방식을 활용한다.
즉, 체험 컨텐츠(50)의 일종으로서, 가상의 체험공간을 매개로 복수 개의 체험 컨텐츠(50)의 순차적인 체험이 가능한 가상현실 컨텐츠(7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상현실 컨텐츠(73)를 재생하기 위해 자율 주행 차량(30)에 창문(32)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것으로서 유저(40)의 착석 위치 주변에 구비되어 구동부(93)의 구동을 통해 창문(32)의 일부를 가리거나 개방할 수 있는 막이패널(91)과, 막이패널(91)을 향해 가상현실 컨텐츠(73)를 출력하는 프로젝터(92)가 구비될 수 있다.
이것은 가상현실 컨텐츠(73)의 재생이 필요한 경우에만 막이패널(91)을 활용해 창문(32)의 일부를 가릴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구동부(93)는 쉽게 말해 차량 측부에 위치한 문에 구비되는 창문(32)의 승강방식 및 구조를 그대로 활용하거나 혹은 힌지로 연결된 암을 활용하여 암의 회동을 통해 막이패널(91)로 창문(32)을 가리거나 혹은 창문(32)으로부터 막이패널(91)을 이격시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컨텐츠 출력모듈에도 출력 지정파트에서 추가적인 체험 컨텐츠(50)를 출력하는 것으로 선택된 경우, 베이스 컨텐츠의 출력 이후에 자율 주행 차량(30)의 정차 여부를 판단하는 서브 정차 판단부와, 자율 주행 차량(30)이 정차한 것으로 판단될 시 유저(40) 주변에 위치한 막이패널(91)을 통해 유저(40) 주변에 위치한 창문(32)의 일부를 가리는 패널 구동부(93), 목적지까지 남은 이동 소요시간에 따라 프로젝터(92)를 매개로 출력될 가상현실 컨텐츠(73)를 지정하는 가상현실 컨텐츠(73) 지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젝터(92)는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루프나 창문(32) 주변에 구비되어 영상이 다른 요소들에 영향을 받지 않고 창문(32)을 통해 막이패널(91)에 비추어져 출력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특히 목적지까지 남은 시간을 연산해두어 이 시간을 벗어나는 가상현실 컨텐츠(73)가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효율적인 컨텐츠의 제공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 공유 플랫폼을 활용한 브랜드 가치 및 경험 제공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시스템 서버 20: 컨텐츠 제공업체(광고주)
30: 자율 주행 차량 31: 헤드 업 디스플레이
32: 창문 40: 유저
50: 체험 컨텐츠 61: 집중 스팟
62: 카운터 스팟 71: 비교 컨텐츠
72: 타겟 메시지 73: 가상현실 컨텐츠
81: 동공 센서 82: 이어셋
83: 이어피스 84: 고리부
85: 땀 센서 86: 입력수단
91: 막이패널 92: 프로젝터
93: 구동부

Claims (8)

  1. 자율 주행 차량 공유 플랫폼을 활용한 브랜드 가치 및 경험 제공 시스템으로서,
    유저에게 광고주의 상품과 관련된 내용을 수록한 체험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공매체를 구비한 자율 주행 차량;
    도로정보가 포함된 GI 라이브러리와, 유저로부터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받는 이동정보 입력모듈 및, 상기 GI 라이브러리를 매개로 상기 목적지를 향해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생성하고 이동 소요시간을 연산하는 경로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경로 파악 인터페이스;
    복수 개의 상기 체험 컨텐츠가 저장된 컨텐츠 라이브러리와, 상기 이동경로 및 이동 소요시간에 따라 출력될 상기 체험 컨텐츠의 종류 및 출력 시점을 설정하는 컨텐츠 설정 모듈과, 상기 컨텐츠 설정 모듈에서 설정된 상기 체험 컨텐츠를 상기 출력 시점에 상기 제공매체로 출력 제어하는 컨텐츠 출력 모듈을 구비한 체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은,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자율 주행 차량에 구비된 창문에 영상을 출력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상기 체험 컨텐츠는,
    경쟁사 제품과 광고주 제품의 비교 광고를 수록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비교 컨텐츠와, 상기 경쟁사 제품과 상기 광고주 제품을 비교한 워드 및 문장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타겟 메시지를 포함하며,
    상기 GI 라이브러리는,
    경쟁사 위치정보와,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경쟁사 브랜드 정보가 저장된 경쟁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설정 모듈은,
    상기 이동경로에서 상기 경쟁사 위치정보를 찾아 카운터 스팟으로 지정하는 경쟁사 지정부와, 상기 이동경로에서 상기 경쟁사 위치정보 도착 전 영역에 위치한 신호등 및 횡단보도 중 적어도 하나를 집중 스팟으로 지정하는 집중 지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컨텐츠 출력 모듈은,
    상기 집중 스팟 도착 시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의 ECU와 연동하여 정차 여부를 판단하는 정차 판단부와, 상기 정차 판단부에서 정차 판단 시 상기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매개로 상기 창문에 상기 비교 컨텐츠를 출력하는 비교 컨텐츠 출력부 및, 상기 카운터 스팟 도착 시 건물의 간판에서 상기 경쟁사 브랜드 정보의 포함 여부를 인식하는 브랜드 인식부와, 상기 브랜드 인식부에서 경쟁사 브랜드 정보 인식 시 상기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창문에 증강현실 방식으로 상기 타겟 메시지를 출력하는 타겟 메시지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랜드 가치 및 경험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은,
    상기 유저의 동공 위치 및 크기를 감지하는 동공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메시지 출력부는,
    상기 동공 센서를 통해 동공 위치 변화 및 상기 동공 크기의 감소를 감지하여 상기 타겟 메시지를 페이드 인 처리하여 상기 유저의 초점 변화를 유도하는 페이드 인 처리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랜드 가치 및 경험 제공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드 인 처리파트는,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타겟 메시지의 사이즈를 조절하여 페이드 인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랜드 가치 및 경험 제공 시스템.
    수학식 1.
    Figure 112018080283329-pat00016

    (여기서,
    Figure 112018080283329-pat00017
    는 상기 타겟 메시지 사이즈의 증가 비율,
    Figure 112018080283329-pat00018
    는 상기 타겟 메시지의 최초 출력 시 유저의 동공 위치로부터 이동된 동공 위치의 간격(mm),
    Figure 112018080283329-pat00019
    는 상기 타겟 메시지의 최초 출력 시 유저의 동공 지름으로부터 변화된 동공 지름의 크기 차(mm),
    Figure 112018080283329-pat00020
    는 상기 유저의 안구 지름(cm)을 의미한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은,
    상기 유저의 동공 위치를 감지하는 동공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라이브러리는,
    상기 광고주의 제품과 관련된 텍스트, 이미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자극 프레임이 저장된 자극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컨텐츠 출력부는,
    상기 비교 컨텐츠의 잔여 프레임 개수 및 상기 유저의 동공 위치 변화를 기반으로 상기 비교 컨텐츠의 잔여 프레임 개수 대비 상기 자극 프레임이 합성될 개수의 비율인 프레임 합성비를 차등 제어하는 프레임 합성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랜드 가치 및 경험 제공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합성파트는,
    다음의 수학식 2를 통해 상기 프레임 합성비를 차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랜드 가치 및 경험 제공 시스템.
    수학식 2.
    Figure 112018080283329-pat00021

    (여기서,
    Figure 112018080283329-pat00022
    는 프레임 합성비,
    Figure 112018080283329-pat00023
    는 비교 컨텐츠의 잔여 프레임 개수,
    Figure 112018080283329-pat00024
    는 상기 타겟 메시지의 최초 출력 시 유저의 동공 위치로부터 이동된 동공 위치의 간격(mm),
    Figure 112018080283329-pat00025
    는 상기 유저의 안구 크기(cm)를 의미한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은,
    상기 유저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입력수단과,
    상기 유저의 귀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체험 컨텐츠에 포함된 사운드가 출력되는 이어피스와, 상기 이어피스의 일 측에서 귓등에 걸쳐진 상태로 목 부위로 연장되는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의 끝 단에서 상기 유저의 목에 접촉하여 땀 발생을 측정하는 땀 센서를 구비한 이어셋을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출력 모듈은,
    상기 체험 컨텐츠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땀 센서에서 땀 발생량의 증가 여부를 판단하는 땀 발생 판단파트와, 상기 땀 발생 판단파트에서 땀 발생량의 증가 감지 시 상기 체험 컨텐츠의 출력 이후 상기 유저에게 추가적인 체험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입력수단을 통한 추가 체험 컨텐츠의 제공 요청을 입력하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창문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지정파트를 구비한 추가 재생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랜드 가치 및 경험 제공 시스템.
  8. 삭제
KR1020180094817A 2018-08-14 2018-08-14 자율 주행 차량 공유 플랫폼을 활용한 브랜드 가치 및 경험 제공 시스템 KR102132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817A KR102132532B1 (ko) 2018-08-14 2018-08-14 자율 주행 차량 공유 플랫폼을 활용한 브랜드 가치 및 경험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817A KR102132532B1 (ko) 2018-08-14 2018-08-14 자율 주행 차량 공유 플랫폼을 활용한 브랜드 가치 및 경험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801A KR20200019801A (ko) 2020-02-25
KR102132532B1 true KR102132532B1 (ko) 2020-07-10

Family

ID=69647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817A KR102132532B1 (ko) 2018-08-14 2018-08-14 자율 주행 차량 공유 플랫폼을 활용한 브랜드 가치 및 경험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5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787B1 (ko) * 2020-07-01 2022-08-23 (주)케이시크 자율주행자동차 연결 관광서비스 제공방법
KR102538391B1 (ko) * 2020-12-14 2023-05-31 (주)케이시크 연속 콘텐츠 서비스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8384A (ja) * 2005-03-10 2006-09-21 Clarion Co Ltd 車両周囲監視装置
JP2014507729A (ja) * 2011-03-21 2014-03-27 アマゾン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広告サービス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682B1 (ko) * 2010-03-03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76147A (ko) * 2010-12-29 2012-07-09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KR101453813B1 (ko) * 2012-12-11 2014-10-23 박수조 감성광고 기반의 타임머신 광고 제공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KR20170010645A (ko) * 2015-07-20 2017-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 주행 차량 및 이를 구비하는 자율 주행 차량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8384A (ja) * 2005-03-10 2006-09-21 Clarion Co Ltd 車両周囲監視装置
JP2014507729A (ja) * 2011-03-21 2014-03-27 アマゾン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広告サービ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801A (ko) 202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5431B2 (en)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S2917977T3 (es) Sistemas y métodos para la superposición de texto en un entorno de parque de atracciones
JP7126709B2 (ja) 折りたたみ式仮想現実装置
US10613699B2 (en) Multi-view display cueing, prompting, and previewing
US20180357981A1 (en) Coordinated multi-view display experiences
US20160337506A1 (en) Contextually intelligent communications systems and processes
Haverkamp Synesthetic design: Handbook for a multi-sensory approach
US20150262208A1 (en) Contextually intelligent communication systems and processes
JP7178626B2 (ja) 情報提示サーバ、情報提示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示方法
Mitschke et al. Exploring everyday encounters with street art using a multimethod design.
KR102132532B1 (ko) 자율 주행 차량 공유 플랫폼을 활용한 브랜드 가치 및 경험 제공 시스템
WO20181907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targeted advertising based on personal physical characteristics
CN112514404B (zh) 用于生成目标媒体内容的系统和方法
US10261575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tell a story that depends on user attributes
KR102039402B1 (ko) 가상현실 광고 제공방법
CN110780786B (zh) 一种对电子地图标识进行个性化智能应用的方法
Page Images with messages: A semiotic approach to identifying and decoding strategic visual communication
Liu et al. The effects of layout types and spatial information display types on presence and spatial identification for the elderly in the 3D virtual art gallery
US11308520B2 (en) Vehicle advertisement display system
Rozman Cafuta Framing the tourist spatial identity of a city as a tourist product
KR102300284B1 (ko)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추천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JP7157188B2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240013256A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McEvoy ‘I Hate This Job’: Guiding Ripper Tours in the East End
Koch et al. Designing Smart Urban Objects–Adaptation, Multi-user Usage, Walk-up-and-use and Joy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