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284B1 -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추천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 Google Patents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추천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284B1
KR102300284B1 KR1020210014121A KR20210014121A KR102300284B1 KR 102300284 B1 KR102300284 B1 KR 102300284B1 KR 1020210014121 A KR1020210014121 A KR 1020210014121A KR 20210014121 A KR20210014121 A KR 20210014121A KR 102300284 B1 KR102300284 B1 KR 102300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fic
predetermined
data
users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0284B9 (ko
Inventor
윤상철
김지희
Original Assignee
(주)브이에이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이에이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브이에이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to KR1020210014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284B1/ko
Publication of KR10230028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284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추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추천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이미지 각각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의 감성을 나타내는 점수인 감성 데이터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개인 정보 및 경험을 나타내는 정보인 생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가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추천 서버가, 입력 장치로부터 특정 사용자의 특정 생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추천 서버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의 생활 데이터 중에서 상기 특정 생활 데이터와 대응하는 소정 생활 데이터 및 상기 소정 생활 데이터에 대한 소정 사용자들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추천 서버가, 상기 소정 사용자들의 소정 감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상기 소정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특정 이미지를 획득한 후,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추천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METHOD FOR RECOMMENDING IMAGE WITH ALGORITHM AND SERV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추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추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추천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이미지 각각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의 감성을 나타내는 점수인 감성 데이터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개인 정보 및 경험을 나타내는 정보인 생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가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추천 서버가, 입력 장치로부터 특정 사용자의 특정 생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추천 서버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의 생활 데이터 중에서 상기 특정 생활 데이터와 대응하는 소정 생활 데이터 및 상기 소정 생활 데이터에 대한 소정 사용자들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추천 서버가, 상기 소정 사용자들의 소정 감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상기 소정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특정 이미지를 획득한 후,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가상 전시에서는 일반 미술 작품을 전시하면서 QR 코드 등을 스캔하여 소리 또는 자막만을 제공하며 일방향인 도슨트 기능을 활용하였다. 즉, 미술 작품과 관람객 사이의 상호 작용이 없었다.
또한, 기존에 가상 전시에서 제공되는 미술 작품들은 관람객의 선호를 고려하지 않았고, 기설정된 미술 작품들이 단순하게 정해진대로 디스플레이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추천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관람객 개개인의 성향, 선호도를 고려하여 관람객에 적합한 미술 작품을 추천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VR/AR/MR 인터랙티브 도슨트 기술을 활용하여 미술 작품과 관람객 사이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며, VR/AR/MR 미디어 아트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추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추천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이미지 각각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의 감성을 나타내는 점수인 감성 데이터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개인 정보 및 경험을 나타내는 정보인 생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가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추천 서버가, 입력 장치로부터 특정 사용자의 특정 생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추천 서버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의 생활 데이터 중에서 상기 특정 생활 데이터와 대응하는 소정 생활 데이터 및 상기 소정 생활 데이터에 대한 소정 사용자들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추천 서버가, 상기 소정 사용자들의 소정 감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상기 소정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특정 이미지를 획득한 후,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추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추천하는 추천 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이미지 각각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의 감성을 나타내는 점수인 감성 데이터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개인 정보 및 경험을 나타내는 정보인 생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입력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특정 사용자의 특정 생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의 생활 데이터 중에서 상기 특정 생활 데이터와 대응하는 소정 생활 데이터 및 상기 소정 생활 데이터에 대한 소정 사용자들을 산출하며, 상기 소정 사용자들의 소정 감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상기 소정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특정 이미지를 획득한 후,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추천 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관람객 개개인의 성향, 선호도를 고려하여 관람객에 적합한 미술 작품을 추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VR/AR/MR 인터랙티브 도슨트 기술을 활용하여 미술 작품과 관람객 사이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며, VR/AR/MR 미디어 아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천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추천하는 프로세스를 순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특정 생활 데이터를 입력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특정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가 움직이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와 이미지 사이의 상호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VR/AR/MR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천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천 서버(100)는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및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 1과는 달리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추천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1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추천 서버 (100)의 통신부(110)는 다양한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와이파이(WIFI),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 와이브로(WiBro), LTE(Long Term Evolution),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무선랜 기술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과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인터넷에서 정보전송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인 TCP/IP를 따를 수도 있고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후술하겠지만 본원 발명의 데이터베이스(130)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감성 데이터 및 생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프로세서(120)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자세히 알아보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추천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입력 장치(2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300) 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입력 장치(20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이동 전화기, 태블릿 PC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추면서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200) 및 디스플레이 장치(300)로서 채택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200)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므로 각각 상이한 기기일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입력 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동일한 기기에 해당할 수도 있다. 즉, 입력 기능과 디스플레이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장비(ex 휴대폰 단말 등)가 상기 기기에 해당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추천하는 프로세스를 순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추천 서버(100)가 특정 사용자와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전에, 데이터베이스(130)는 복수의 이미지 각각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의 감성을 나타내는 점수인 감성 데이터 및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개인 정보 및 경험을 나타내는 정보인 생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성 데이터는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
추천 서버(100)는 복수의 사용자들로 하여금 복수의 이미지 각각에 대해 명시성(눈에 잘 띄는 정도), 주목성(색의 자극이 눈에 잘 띄는 정도), 운동감(색에 의한 진출, 후퇴, 팽창), 온도감(색에 따라 느껴지는 차고 따뜻함), 중량감(경중감, 색에 따라 무겁거나 가볍게 느껴지는 것), 강약감(색에 따라 느껴지는 강약의 청도), 경연감(색에 따라 느껴지는 단단하거나 부드러운 느낌), 흥분/진정(색의 종류에 따라 심신의 흥분 또는 진정의 효과), 시간감(색에 따라 삼신의 흥분 또는 진정의 효과) 등 각각에 대해 1~5 중 적어도 하나의 점수를 기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를 확인한 상태에서, 추천 서버(100)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를 1~5 중 적어도 하나의 점수로서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점수(1~5)는 설정에 따라 범위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복수의 이미지 각각에 대해 복수의 사용자 각각이 입력한 '명시성, 주목성, 운동감, 온도감, 중량감, 강약감, 경연감, 흥분/진정, 시간감, 선호도 등이 상기 감성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130)에 미리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활 데이터는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
추천 서버(100)는 복수의 사용자들로 하여금 성별, 종교, 나이, 학력, 혼인여부, 자녀유무, 자녀가 있는 경우 자녀의 나이대, 월평균 가게수입, 현 스트레스 지수, 현 건강 상태, 날씨 또는 계절에 따라 보고싶은 그림이 달라지는지 여부,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우울할 때 힐링이 되는 그림이 있는지 여부, 그림에 어울리는 음악이 함께 나오면 더 좋을지 여부, 아이의 심리 상태(우울, ADHD 등 이유)가 불안할 때 심리를 안정시키는 그림이 있는지 여부, 아이 교육에 도움이 되거나 집중력이 향상에 도움이 되는 그림이 있는지 여부 등을 획득할 수 있고, 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미리 기록할 수 있다.
결국,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이 입력한 개인 정보 내지 경험 정보 등이 상기 생활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130)에 미리 기록될 수 있는 것이다.
감성 데이터 및 생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130)에 기록된 상태에서, 추천 서버(100)는 입력 장치(200)로부터 특정 사용자의 특정 생활 데이터를 획득(S210)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특정 생활 데이터를 입력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추천 서버(100)는 입력 장치(200)로부터 특정 사용자의 개인 정보 등에 해당하는 성별, 나이, 종교, 학력, 혼인여부, 자녀유무, 가게수입(월평균), 현 스트레스 지수, 현 건강상태 등의 정보를 특정 생활 데이터로서 입력받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에 미리 기록된 생활 데이터가 포함하는 정보의 종류(종교, 학력, 혼인여부, 자녀유무, 자녀가 있는 경우 자녀의 나이대?? 등) 중에서 적어도 일부 종류가 상기 특정 사용자의 특정 생활 데이터(종교, 학력, 혼인여부, 자녀유무?? 등)로서 입력받을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추천 서버(100)는 복수의 사용자들의 생활 데이터 중에서 상기 특정 생활 데이터와 대응하는 소정 생활 데이터 및 상기 소정 생활 데이터에 대한 소정 사용자들을 산출(S220)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천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기존에 데이터베이스(130)에 기록된 복수의 사용자들의 생활 데이터 중에서 상기 특정 생활 데이터의 정보 값과 일치(대응)하는 소정 생활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일치'는 실질적으로 정보 값이 동일한 경우에도 해당하지만, 정보 값이 일정 범위 내인 경우에도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의 편의상 입력된 특정 생활 데이터가 성별: 남, 나이: 30대, 종교: 천주교, 혼인여부: 기혼이라고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추천 서버(100)는 복수의 사용자(ex 500명)들의 생활 데이터 중에서 '나이는 30대, 종교는 천주교, 기혼인 남자'에 해당하는 소정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소정 사용자들(ex 50명)을 산출할 수 있다.
위에서는, 소정 사용자들을 산출하기 위한 생활 데이터로서 '성별, 나이, 종교, 혼인여부' 등만 고려하였으나, '성별, 나이, 종교, 혼인여부, 자녀유무, 가게수입, 현재 스트레스 지수, 현재 건강상태' 등(ex 8개 종류의 정보)을 모두 고려할 수도 있고, 이 중 일부만을 고려할 수도 있다. 즉, 설정에 따라서 다양한 조합의 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소정 사용자들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특정 사용자로부터 '날씨 또는 계절에 따라 보고싶은 그림이 달라지는지 여부,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우울할 때 힐링이 되는 그림이 있는지 여부, 그림에 어울리는 음악이 함께 나오면 더 좋을지 여부, 아이의 심리 상태(우울, ADHD 등 이유)가 불안할 때 심리를 안정시키는 그림이 있는지 여부, 아이 교육에 도움이 되거나 집중력이 향상에 도움이 되는 그림이 있는지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추천 서버(100)는 이를 고려하여 대응하는 소정 데이터 및 소정 사용자를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특정 사용자가 입력한 특정 생활 데이터(ex 성별, 나이, 종교 등)의 정보 값과 모두 일치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ex 성별, 나이 등은 일치, 종교는 상이)만이 상이한 생활 데이터에 해당하더라도 경우에 따라서는 소정 생활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고, 소정 사용자로서 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추천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소정 사용자들의 소정 감성 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이미지 중 소정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특정 이미지를 획득한 후,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또는 추천(S230)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감성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130)에 기록된 소정 사용자들의 이미지에 대한 정보(ex 명시성, 주목성, 운동감, 온도감, 중량감, 강약감, 경연감, 흥분/진정, 시간감, 선호도 등)를 의미할 수 있다. 결국, 프로세서(120)는 상기 소정 사용자들의 소정 감성 데이터, 특히 선호도를 기초로 복수의 이미지 중 특정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특정 이미지는 특정 사용자와 동일 성향을 가지는 사람(소정 사용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이미지에 해당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천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에서 날씨 정보, 계절 정보, 장소 정보(ex 미술관, 병원, 공원, 카페 등) 등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특정 이미지를 선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가 1차적으로 날씨/계절/장소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이미지 중에서 1차 특정 이미지를 선별할 수 있고, 2차적으로 상기 소정 사용자들의 소정 감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1차 특정 이미지 중에서 소정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2차 특정 이미지를 최종적으로 선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특정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이미지 추천 서비스를 구독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추천 서버(100)는 상기 조건(ex 날씨, 계절, 장소, 소정 감성 데이터 등)을 기초로 특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일정 시간마다 지속적으로 추천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특정 이미지가 복수 개(제1 특정 이미지, 제2 특정 이미지)이고, 일정 조건(ex 선호도 관련 점수)을 기초로 제1 특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우선 디스플레이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뒤 제2 특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특정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생활 데이터에는 복수 개의 항목(ex 성별, 나이, 종교, 학력, 혼인여부, 자녀유무, 자녀가 있는 경우 자녀의 나이대, 월평균 가게수입, 현 스트레스 지수, 현 건강 상태, 날씨 또는 계절에 따라 보고싶은 그림이 달라지는지 여부,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우울할 때 힐링이 되는 그림이 있는지 여부, 그림에 어울리는 음악이 함께 나오면 더 좋을지 여부, 아이의 심리 상태(우울, ADHD 등 이유)가 불안할 때 심리를 안정시키는 그림이 있는지 여부, 아이 교육에 도움이 되거나 집중력이 향상에 도움이 되는 그림이 있는지 여부)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추천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복수 개의 항목 중 일부 항목(ex 성별, 나이, 종교, 혼인여부, 자녀유무, 가게수입, 현재 스트레스 지수, 현재 건강상태 등)을 기초로 소정 생활 데이터 및 소정 사용자들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추천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소정 감성 데이터에 포함된 선호도 관련 점수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상기 소정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제1 특정 이미지 및 제2 특정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사용자와 동일 성향의 소정 사용자들이 존재하고, 복수의 이미지 중에서 상기 소정 사용자들이 부여한 점수들 중 평균치가 높은 이미지들을 제1 특정 이미지, 제2 특정 이미지라고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추천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특정 이미지, 제2 특정 이미지를 선호도 관련 점수의 가중치가 높은 순서대로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디스플레이 또는 추천할 수 있을 것이다. 특정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추천된 이미지들 중에서 일부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참고로, 2개의 이미지를 특정 이미지로 보고 서술하고 있지만, 상황에 따라서 특정 이미지에 포함된 이미지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20)는 획득한 제1 특정 이미지 및 제2 특정 이미지를 선호도 관련 점수의 가중치가 높은 순서대로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디스플레이 또는 추천하면서, 선호도 관련 점수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들의 평균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추천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특정 이미지(제1 또는 제2 특정 이미지) 자체, 특정 이미지 관련 정보(ex 작품명, 작가, 시대, 사이즈 등) 및 감성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로서 선호도 관련 점수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들의 평균치를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나머지 정보로는 명시성, 주목성, 운동감, 온도감, 중량감, 강약감, 경연감, 흥분/진정, 시간감, 선호도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각각의 정보들은 특정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 이미지에 대한 타인의 의견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프로세서(120)가 상기 나머지 정보 중 일부 정보만을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나머지 정보 중 평균치가 높은 몇몇 항목(ex 주목성, 운동감, 온도감 등)만을 평균치와 함께 디스플레이하여 해당 이미지에 대한 일반 감성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반대로, 프로세서(120)는 평균치가 낮은 몇몇 항목(ex 시간감, 경연감 등)만을 평균치와 함께 디스플레이하여 해당 이미지에 대한 반대의 감성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가 움직이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 고려하는 이미지는 포함된 일부 요소가 움직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이미지에 특정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동작이 특정 사용자의 단말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플레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도 5(a)의 경우, 그네를 타는 여자 이미지가 나타나 있고, 그네를 타는 여자의 신발이 벗겨지는 모습이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상기 도 5(b)의 경우, 물을 따르는 여자 이미지가 나타나 있고, 물이 주전자로부터 나오는 모습이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 또는 추천되는 이미지는 단순한 그림, 사진, 명화 등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일부가 움직이는 동작 이미지, VR/AR/MR 등의 효과가 나타나는 이미지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VR/AR/MR 등의 효과와 관련 프로세스에 대해서 서술하도록 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와 이미지 사이의 상호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AR 글라스 또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고, 특정 사용자가 상기 AR 글라스를 착용(또는 사용자 단말을 보유)하고 있다고 상정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코드(ex QR 코드 등)가 존재하고, 이를 상기 AR 글라스(사용자 단말)가 스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려되는 실감형 콘텐츠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도 이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코드 등을 스캔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에 나타난 이미지 상에서 특정 사용자가 입력함으로써 상이한 효과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효과가 사용자 단말 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는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AR 글라스 등을 중심으로 서술하였으며, 별도로 사용자 단말을 기재하지는 않았으나 AR 글라스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 역시 아래에서 서술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AR 글라스를 착용한 특정 사용자가 이동하여 특정 위치에 도달하고 코드를 AR 글라스를 통해 스캔하는 경우, 상기 AR 글라스는 상기 코드를 추천 서버(100)에 전달하고, 추천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특정 이미지를 상기 AR 글라스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코드를 스캔하는 AR 글라스의 위치, 자세 또는 각도 등이 상이할 수 있고, 추천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이에 따라 상기 특정 이미지를 변형하고, 이를 AR 글라스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정 영역에 복수의 코드가 존재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코드 각각은 특정 이미지의 서로 다른 각도 내지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제1 코드는 좌측에서 바라본 특정 이미지의 모습, 제2 코드는 우측에서 바라본 특정 이미지의 모습과 대응될 수 있는 것이다. 프로세서(120)는 제1 코드를 전달받은 경우 AR 글라스를 통해 좌측에서 바라본 특정 이미지의 모습을 디스플레이하고, 제2 코드를 전달받은 경우 AR 글라스를 통해 우측에서 바라본 특정 이미지의 모습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코드 및 제2 코드 각각이 서로 다른 특정 이미지를 나타내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각 코드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코드뿐만 아니라 위치 트래커를 이용하여 AR 글라스의 이동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위치 트래커로부터 AR 글라스의 현위치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을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이미지의 모습을 AR 글라스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위치에 따라 좌측에서 바라본 제1 특정 이미지, 정면에서 바라본 제1 특정 이미지, 정면에서 바라본 제2 특정 이미지 등 다양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상기 특정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상기 AR 글라스를 통해 AR/VR/MR 효과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특정 이미지의 소정 위치에 대한 입력(터치 등)을 감지하는 경우, 추천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소정 위치에 대응하는 특정 이미지의 동작(ex AR/VR/MR 효과)을 디스플레이 장치(300) 또는 AR 글라스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추천 서버(100)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모션을 고려하여 인터랙티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추천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제1 영역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에 채색(ex 빨간색)할 수 있고, 제2 영역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2 영역에 채색(ex 노란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a)와 같이, 특정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터치를 감지하는 경우, 추천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터치된 영역과 관련된 설명을 자막 또는 음성으로 특정 사용자에게 전달(ex 디스플레이 장치, AR 글라스, 사용자 단말 등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6(b)와 같이, 특정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터치를 감지하는 경우, 추천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특정 이미지와 관련된 아티스트 탐색, 작품 리스트, 학파 등의 설명을 자막 또는 음성으로 특정 사용자에게 전달(ex 디스플레이 장치, AR 글라스, 사용자 단말 등 이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 또는 AR 글라스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특정 이미지의 효과(ex AR/VR/MR 등)가 달라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인식 센서가 특정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고, 특정 사용자의 모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 또는 AR 글라스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특정 이미지의 효과(ex AR/VR/MR 등)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특정 이미지가 적어도 제1 순간 이미지 및 제2 순간 이미지로 이루어져 있는 동작 이미지에 해당하고, 특정 사용자가 AR 글라스를 착용하여 이동중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때, 추천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트래커를 이용하여 AR 글라스(사용자 단말도 가능)의 위치를 트래킹하고, AR 글라스가 제1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제1 순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며, AR 글라스가 제2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제2 순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AR 글라스의 위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동작이 상이해질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강물이 흐르는 모습의 특정 이미지가 존재한다고 할 때, 추천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제1 지점에 특정 사용자(AR 글라스 등)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강물의 물줄기가 시작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제2 지점에 특정 사용자(AR 글라스 등)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강물의 물줄기가 끝나는 모습을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VR/AR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데이터베이스(130)에는 미리 복수의 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 각각에 대한 서로 다른 VR/AR/MR 효과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강현실 상에서 특정 이미지(ex 수많은 비누 방울이 날아다니는 모습)가 디스플레이되고, 특정 사용자의 터치에 기초하여 새로운 효과(ex 비누 방울이 터지는 모습)가 발생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효과와 대응되도록 특정 이미지가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될 수 있고,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130)는 일종의 콘텐츠 라이브러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추천 서버
110: 통신부
120: 프로세서
130: 데이터베이스
200: 입력 장치
300: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8)

  1. 추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추천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이미지 각각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의 감성을 나타내는 점수인 감성 데이터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개인 정보 및 경험을 나타내는 정보인 생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가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a) 추천 서버가, 입력 장치로부터 특정 사용자의 특정 생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추천 서버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의 생활 데이터 중에서 상기 특정 생활 데이터와 대응하는 소정 생활 데이터 및 상기 소정 생활 데이터에 대한 소정 사용자들을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추천 서버가, 상기 소정 사용자들의 소정 감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상기 소정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특정 이미지를 획득한 후,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생활 데이터에 복수 개의 항목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추천 서버는,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복수 개의 항목 중 일부 항목을 기초로 상기 소정 생활 데이터 및 상기 소정 사용자들을 산출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소정 감성 데이터에 포함된 선호도 관련 점수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상기 소정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제1 특정 이미지 및 제2 특정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들을 상기 선호도 관련 점수의 가중치가 높은 순서대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추천 서버는, 획득한 상기 제1 특정 이미지 및 상기 제2 특정 이미지를 상기 선호도 관련 점수의 가중치가 높은 순서대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추천하면서, 상기 선호도 관련 점수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들의 평균치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AR 글라스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사용자가 상기 AR 글라스를 착용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상기 추천 서버는,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을 채색하고,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2 영역을 채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AR 글라스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사용자가 상기 AR 글라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코드를 스캔한 상기 AR 글라스로부터 상기 코드를 전달받은 경우, 상기 추천 서버는 상기 특정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특정 이미지를 상기 AR 글라스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특정 이미지의 소정 위치에 대한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추천 서버는, 상기 소정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이미지의 동작을 상기 AR 글라스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이미지가 적어도 제1 순간 이미지 및 제2 순간 이미지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AR 글라스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사용자가 상기 AR 글라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추천 서버는, 트래커를 이용하여 상기 AR 글라스의 위치를 트래킹하고, 상기 AR 글라스가 제1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순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AR 글라스가 제2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순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특정 이미지에 특정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동작이 상기 특정 사용자의 단말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추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추천하는 추천 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이미지 각각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의 감성을 나타내는 점수인 감성 데이터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개인 정보 및 경험을 나타내는 정보인 생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입력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특정 사용자의 특정 생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의 생활 데이터 중에서 상기 특정 생활 데이터와 대응하는 소정 생활 데이터 및 상기 소정 생활 데이터에 대한 소정 사용자들을 산출하며, 상기 소정 사용자들의 소정 감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상기 소정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특정 이미지를 획득한 후,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생활 데이터에 복수 개의 항목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 개의 항목 중 일부 항목을 기초로 상기 소정 생활 데이터 및 상기 소정 사용자들을 산출하고,
    상기 소정 감성 데이터에 포함된 선호도 관련 점수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상기 소정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제1 특정 이미지 및 제2 특정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들을 상기 선호도 관련 점수의 가중치가 높은 순서대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획득한 상기 제1 특정 이미지 및 상기 제2 특정 이미지를 상기 선호도 관련 점수의 가중치가 높은 순서대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추천하면서, 상기 선호도 관련 점수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들의 평균치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AR 글라스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사용자가 상기 AR 글라스를 착용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을 채색하고,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2 영역을 채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 서버.
KR1020210014121A 2021-02-01 2021-02-01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추천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KR102300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121A KR102300284B1 (ko) 2021-02-01 2021-02-01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추천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121A KR102300284B1 (ko) 2021-02-01 2021-02-01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추천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284B1 true KR102300284B1 (ko) 2021-09-10
KR102300284B9 KR102300284B9 (ko) 2022-04-11

Family

ID=77777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121A KR102300284B1 (ko) 2021-02-01 2021-02-01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추천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28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439B1 (ko) * 2016-06-07 2017-01-03 주식회사 미래엔 보유 도서 기반 중고 거래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70016615A (ko) * 2015-08-04 2017-02-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편집형 영상 객체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180070431A (ko) * 2016-12-16 2018-06-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 현실 구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01620A (ko) * 2018-02-23 2019-09-02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무빙 트릭아트 구현 방법
KR20200030252A (ko) * 2018-09-12 2020-03-20 (주)버즈아트 예술 작품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6615A (ko) * 2015-08-04 2017-02-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편집형 영상 객체 추천 장치 및 방법
KR101692439B1 (ko) * 2016-06-07 2017-01-03 주식회사 미래엔 보유 도서 기반 중고 거래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80070431A (ko) * 2016-12-16 2018-06-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 현실 구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01620A (ko) * 2018-02-23 2019-09-02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무빙 트릭아트 구현 방법
KR20200030252A (ko) * 2018-09-12 2020-03-20 (주)버즈아트 예술 작품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284B9 (ko) 202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410608A1 (en) Device for implementing body fluid analysis and social networking event planning
US20200279339A1 (en) Method of and device for implementing contagious illness analysis and tracking
US11491393B2 (en) Generating collectible item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US9870633B2 (en) Automated highlighting of identified text
Özkul et al.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in tourism
CN106562792A (zh) 信息提示装置的控制方法和信息提示装置
US2022027886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16203731A (zh) 内容到空间3d环境的匹配
CN107076563B (zh) 信息处理设备、控制方法和程序
US20160337506A1 (en) Contextually intelligent communications systems and processes
US20150248651A1 (en) Social networking event planning
US20150262208A1 (en) Contextually intelligent communication systems and processes
Marr Extended reality in practice: 100+ amazing ways virtual, augmented and mixed reality are changing business and society
EP2954447A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social graph based recommendation
Gan et al. Short video marketing and travel intentions: The interplay between visual perspective, visual content, and narration appeal
US20200293563A1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20109709A (ja) 制御方法、個人認証装置、及び、記録媒体
KR102300284B1 (ko)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추천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Yavuz et al. Video gaming, but not reliance on GPS, is associated with spatial navigation performance
Josephson et al. Augmented reality through the lens of eye tracking
CN110807147A (zh) 旅游信息生成方法、生成装置、存储介质和处理器
Monden Boys at the barre: Boys, men and the ballet in Japan
Cass Influence: how to raise your profile, manage your reputation and get noticed
Parker Reimagining m-commerce app design: The development of seductive marketing through UX
Smith Egocentric sp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