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307B1 -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307B1
KR102132307B1 KR1020180166894A KR20180166894A KR102132307B1 KR 102132307 B1 KR102132307 B1 KR 102132307B1 KR 1020180166894 A KR1020180166894 A KR 1020180166894A KR 20180166894 A KR20180166894 A KR 20180166894A KR 102132307 B1 KR102132307 B1 KR 102132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se
electric vehicle
housing
reinforcement unit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우
손성만
박병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80166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7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H01M2/1083
    • H01M2/109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을 수용하기 위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차폭 방향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접합되며, 상호 대응하는 내면에 차폭 방향을 따라 각각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상측 및 하측 가이더, 상기 상측 및 하측 가이더 사이에 배치되고, 하부 일측에 공압제어밸브가 구성되며, 내부에는 에어가 충진되는 쿠션부재, 및 상기 쿠션부재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상기 상측 및 하측 가이더의 각 가이드 홈을 따라 안내되는 충격흡수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REINFORCEMENT UNIT OF BATTERY CASE FOR ELECTRIC VEHICLES}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돌 흡수 성능을 향상시키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는 전기모터를 구비하여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력으로 사용한다.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는 기존 자동차들에 비해 파손에 의한 화재에 취약하며, 이차적인 피해가 발생할 위험이 크다.
그러므로 이러한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배터리를 보호하는 장치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그만큼 효과적이여야 한다.
이러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한 배터리 케이스 또는 보강유닛은 전기자동차의 차폭방향의 양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측면 충돌 시 배터리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국내공개특허 제2012-0050234호에는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이 수납되는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 바닥면에 다수개의 스틸 재질로 이루어진 보강 브라켓이 설치되고, 외부 바닥면에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스틸 재질로 이루어진 사각빔이 설치되며, 그 단부에 마운팅 브라켓이 결합되어 설치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스틸 재질의 보강 브라켓과 사각빔은 배터리 케이스의 횡강성을 크게 증대시켜 외부 충격으로부터 배터리의 손상 및 파손을 예방할 목적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여기서 고정되는 보강 브라켓과 사각빔은 배터리 케이스의 상부뿐만 아니라 하부에도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들로서, 공정과정이 그만큼 늘어나 경제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으며, 전체적인 중량이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주행 가능 거리를 단축시키는 문제점을 초대한다.
그리고 국내공개특허 제2014-0034505호는 배터리가 수납되는 케이스 본체에 설치되는 보강재 어셈블리가 충돌 에너지 흡수를 위한 요청구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보호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중량 및 원가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다양한 차종에 대한 적용이 용이한 여러가지 이점들이 있다.
하지만, 전술된 효과들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사용되는 요철구조의 깊이나 폭 등이 전기차량별로 혹은, 상황별로 맞춰져 있다는 전제조건이 필요하다.
각 전기차량별 혹은 상황별로 보호장치의 요철구조의 모양과 크기가 결정되어 제작된다면, 비록 종래 기술의 전기자동차의 보호장치들보다 사용되는 재료의 양이 감소하여 원가 절감을 기대할 수 있더라도, 결과적으로 대량생산이 어렵기 때문에 오히려 단가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외부 충돌 에너지로부터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장치에 있어서, 종래 기술은 확실한 보호 효과를 위하여 추가되는 많은 구조 요소들로 인하여 전기자동차의 전체적인 중량이 늘어나가서, 더욱 간단한 구조를 갖더라도, 그 제작에 있어서 각 차량 또는 상황마다 맞춤 제작이 요구되어 결국 경제성이 떨어지는 여러가지 한계점들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보호장치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KR 2012-0050234 A KR 2014-0034505 A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팩이 수용되는 배터리 케이스의 양 측면에 에어가 충진된 쿠션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중량을 줄이면서도 충돌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을 수용하기 위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차폭 방향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접합되며, 상호 대응하는 내면에 차폭 방향을 따라 각각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상측 및 하측 가이더, 상기 상측 및 하측 가이더 사이에 배치되고, 하부 일측에 공압제어밸브가 구성되며, 내부에는 에어가 충진되는 쿠션부재, 및 상기 쿠션부재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상기 상측 및 하측 가이더의 각 가이드 홈을 따라 안내되는 충격흡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외측면의 각 장착 브라켓에 대응하여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각 장착단이 각 장착 브라켓에 끼워진 상태로 볼트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및 하측 가이더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심용접을 통해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부재는 내부에 에어가 충진되는 에어쿠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압제어밸브는 일측이 상기 쿠션부재의 하부 일측에 체결되며, 내부에는 볼 시트가 일체로 형성되는 밸브 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볼 시트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체크볼, 상기 체크 볼과 상기 밸브 하우징의 일측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체크 볼이 상기 볼 시트에 접촉하여 안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밸브 하우징의 선단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체크 볼과 연결로드를 통하여 연결되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기 볼 시트 상에, 상기 체크 볼이 지지되는 반대측 둘레를 따라 노치가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 플레이트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내측으로 절곡되어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상측 및 하측 가이더의 각 가이드 홈에 대응하여 각 플랜지의 각 외면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 플레이트는 스틸 재질의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은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양 측면에 에어가 충진된 쿠션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중량을 줄이면서도 충돌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은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구성되는 충격흡수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배터리 팩을 충돌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의 장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에 적용되는 공압제어밸브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의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의 장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에 적용되는 공압제어밸브의 작동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의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의 설명에 앞서, 상기 보강유닛이 적용되는 전기자동차를 간단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은 친환경 자동차의 배터리 팩을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 케이스(1)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친환경 자동차는 저장된 전력을 이용하여 전적으로 동작하는 전기 차량뿐만 아니라, 연소와 저장된 전력을 모두 이용하여 동작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팩은 복수개의 단위 배터리 모듈로 이루어지고, 하나의 배터리 모듈은 복수개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터리 셀은 상기 배터리 팩에 사용되는 임의 종류의 각 배터리 요소를 지칭하기 위해 교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셀은 전기 차량에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으로 리튬계 배터리들을 포함하지만, 철인산염(iron phosphate), 메탈 옥사이드(metal oxide), 리튬 이온 폴리머(lithium-ion polymer), 니켈 메탈 하이브리드(nickel metal hydride), 니켈 카드뮴(nickel cadmium, 니켈 배터리(수소, 아연, 카드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화학 물질 구성 및 전기 차량과 호환 가능한 다른 배터리 종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셀은 원통형 전지, 각형 전지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배터리 팩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1)에 의해 수용되어 차량에 설치된다.
이러한 배터리 팩은 기존의 자동차들에 비하여 파손에 의한 화재에 취약하며, 이차적인 피해가 발생할 위험이 크기 때문에, 충돌에 대하여 상기 배터리 팩을 보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10)은,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20), 상측 가이더(30a), 하측 가이더(30b), 쿠션부재(40), 및 충격흡수 플레이트(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배터리 케이스(1)의 차폭 방향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20)은 사각의 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케이스(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 케이스(1)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장착단(3)이 형성되며, 각 장착단(3)에는 볼트홀이 가공된다.
상기 하우징(20)은 장착단(3)에 대응하여 내측면에 장착 브라켓(23)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장착 브라켓(23)은 상기 하우징(20)의 내측면 상부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브라켓(23)에는 상기 장착단(3)의 볼트홀(5)에 대응하여 장착홀(25)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장착단(3)이 상기 장착 브라켓(23)에 끼워진 상태로 볼트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 가이더(30a)와 하측 가이더(30b)는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접합된다.
상기 상측 가이더(30a)와 하측 가이더(30b)는 상기 하우징(20)의 상면 및 하면에 대응하여 평평한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측 가이더(30a)와 하측 가이더(30b)는 상호 대응하는 내면에 차폭 방향을 따라 각각 가이드 홈(31)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홈(31)은 상기 상측 가이더(30a)와 하측 가이더(30b)에 각각 대응하여 한 쌍씩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측 가이더(30a)와 하측 가이더(30b)는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심용접을 통해 접합될 수 있다.
상기한 상측 가이터(30a)와 하측 가이더(30b) 사이에는 쿠션부재(40)가 배치된다.
상기 쿠션부재(40)는 내부에 에어가 충진되는 에어쿠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쿠션의 압력은 1bar이상 4bar이하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쿠션은 공기가 통과하지 못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쿠션부재(40)는 하부 일측에 공압제어밸브(50)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공압제어밸브(50)는 일측이 상기 쿠션부재(40)의 하부 일측에 체결되는 밸브 하우징(51)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 하우징(51)은 상기 하우징(20)과 하측 가이더(30b)에 관통 체결된 상태로, 상기 쿠션부재(40)와 연결된다.
즉, 상기 하우징(20)과 하측 가이더(30b)에는 나사산이 가공된 설치홀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홀을 통해 상기 밸브 하우징(51)이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밸브 하우징(51)은 중앙부가 절곡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상기 하우징(20)과 하측 가이더(30b)의 설치홀을 통해 체결된다.
또한, 상기 밸브 하우징(51)의 내부에는 볼 시트(5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볼 시트(53)는 상기 밸브 하우징(51)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중앙에 관통홀(H)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 하우징(51)의 내부에는 상기 볼 시트(53)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체크 볼(55)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체크 볼(55)은 상기 볼 시트(53)가 접촉되는 관통홀(H)의 일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안착부(57)를 통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볼 시트(53)의 타측면, 즉, 상기 체크 볼(55)이 지지되는 반대측 둘레를 따라 노치(59)가 가공된다.
그리고 상기 체크 볼(55)과 상기 밸브 하우징(51)의 일측 사이에는 스프링(60)이 개재된다.
상기 스프링(60)은 체크 볼(55)이 상기 볼 시트(53)에 접촉하여 안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스프링(60)은 상기 밸브 하우징(51)에 장착된 스프링 시트(61)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 하우징(51)의 타측 선단부에는 덮개(70)가 끼워져 상기 밸브 하우징을 폐쇄한다.
상기 덮개(70)는 상기 체크 볼(55)과 연결로드(71)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로드(71)는 상기 볼 시트(53)의 관통홀(H)을 통과하여 상기 덮개(70)와 연결된다.
이러한 덮개(70)는 상기 밸브 하우징(51)에 이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덮개(7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격흡수 플레이트(80)는 상기 상측 가이더(30a)와 하측 가이더(30b)의 사이에서 상기 쿠션부재(4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충격흡수 플레이트(80)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부 플랜지(81a) 및 하부 플랜지(81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플랜지(81a) 및 하부 플랜지(81b)의 각 외면에는 상기 상측 가이더(30a) 및 하측 가이더(30b)의 각 가이드 홈(31)에 대응하여 가이드 돌기(8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돌기(83)는 가이드 홈(31)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개 형성된다.
이러한 충격흡수 플레이트(80)는 스틸 재질의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10)은 측면 충돌 시, 상기 충격흡수 플레이트(80)가 차량 측으로 밀려들어가면서 상기 쿠션부재(40)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10)은 측면의 어느 부분에 충돌이 발생하여도 길이방향을 따라 판재형상으로 형성된 충격흡수 플레이트(80)에 의해 쿠션부재(40)에 고르게 충돌 에너지가 흡수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어서 상기 쿠션부재(40)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쿠션부재(40)에 연결된 공압제어밸브(5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쿠션부재(40)의 내부에 충진된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즉, 상기 공압제어밸브(50)는 상기 쿠션부재(4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쿠션부재(40) 내부의 에어가 상기 밸브 하우징(5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고, 상기 볼 시트(53)가 노치(59)를 기준으로 파단되면서 상기 덮개(70)가 상기 체크 볼(55)과 함께, 상기 밸브 하우징(51)으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이때, 상기 체크 볼(55)은 상기 스프링(60)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10)은 상기 배터리 케이스(1)의 양 측면에 에어가 충진된 쿠션부재(40)를 적용함으로써, 중량을 줄이면서도 충돌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10)은 상기 배터리 케이스(1)의 사이즈에 따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10)은 상기 배터리 케이스(1)의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구성되는 충격흡수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배터리 케이스(1) 내부에 수용되는 배터리 팩을 충돌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배터리 케이스 3: 장착단
5: 볼트홀 10: 보강 유닛
20: 하우징 23: 장착 브라켓
25: 장착홀 30a: 상측 가이더
30b: 하측 가이더 31: 가이드 홈
40: 쿠션부재 50: 공압제어밸브
51: 밸브 하우징 53: 볼 시트
55: 체크 볼 57: 안착부
59: 노치 60: 스프링
61: 스프링 시트 70: 덮개
71: 연결로드 80: 충격흡수 플레이트
81a: 상부 플랜지 81b: 하부 플랜지
83: 가이드 돌기 H: 관통홀

Claims (8)

  1.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을 수용하기 위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차폭 방향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접합되며, 상호 대응하는 내면에 차폭 방향을 따라 각각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상측 및 하측 가이더;
    상기 상측 및 하측 가이더 사이에 배치되고, 하부 일측에 공압제어밸브가 구성되며, 내부에는 에어가 충진되는 에어쿠션으로 이루어지는 쿠션부재; 및
    상기 쿠션부재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상기 상측 및 하측 가이더의 각 가이드 홈을 따라 안내되는 충격흡수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공압제어밸브는
    일측이 상기 쿠션부재의 하부 일측에 체결되며, 내부에는 볼 시트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볼 시트 상의 일측 둘레를 따라 노치가 가공되는 밸브 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볼 시트 상에 가공된 노치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상기 볼 시트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체크 볼;
    상기 체크 볼과 상기 밸브 하우징의 일측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체크 볼이 상기 볼 시트에 접촉하여 안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밸브 하우징의 선단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체크 볼과 연결로드를 통하여 연결되는 덮개;
    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외측면의 각 장착 브라켓에 대응하여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각 장착단이 각 장착 브라켓에 끼워진 상태로 볼트 체결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및 하측 가이더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심용접을 통해 접합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 플레이트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내측으로 절곡되어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상측 및 하측 가이더의 각 가이드 홈에 대응하여 각 플랜지의 각 외면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 플레이트는
    스틸 재질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
KR1020180166894A 2018-12-21 2018-12-21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 KR102132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894A KR102132307B1 (ko) 2018-12-21 2018-12-21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894A KR102132307B1 (ko) 2018-12-21 2018-12-21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2307B1 true KR102132307B1 (ko) 2020-07-13

Family

ID=71570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894A KR102132307B1 (ko) 2018-12-21 2018-12-21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3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6672A (zh) * 2020-12-23 2021-04-06 陈春兰 一种新能源汽车的热交换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8208A (ja) * 1995-03-28 1996-10-15 Automot Technol Internatl Inc 側面衝突用一括搭載型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と、その車両への取付方法と、そのガスを発生させる方法と、その電力供給及びその診断方法
KR20120050234A (ko) 2010-11-10 2012-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배터리의 차량 설치구조
KR20140034505A (ko) 2012-09-12 2014-03-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배터리 스택
JP2017193287A (ja) * 2016-04-21 2017-10-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バッテリ搭載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8208A (ja) * 1995-03-28 1996-10-15 Automot Technol Internatl Inc 側面衝突用一括搭載型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と、その車両への取付方法と、そのガスを発生させる方法と、その電力供給及びその診断方法
KR20120050234A (ko) 2010-11-10 2012-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배터리의 차량 설치구조
KR20140034505A (ko) 2012-09-12 2014-03-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배터리 스택
JP2017193287A (ja) * 2016-04-21 2017-10-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バッテリ搭載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6672A (zh) * 2020-12-23 2021-04-06 陈春兰 一种新能源汽车的热交换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6653B1 (ko) 연료 전지의 탑재 구조
US10836441B2 (en) Fuel cell vehicle cylinder support structure
WO2012073439A1 (ja) 電池ブロック、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池パック配置構造
US8573647B2 (en) Vehicle with traction battery capable of absorbing crash energy
JP5257718B2 (ja) 車両
US10272761B2 (en) Battery pack
KR102132307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보강유닛
JP2022521869A (ja) 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それを含む自動車
KR20140034505A (ko) 자동차용 배터리 스택
KR101381098B1 (ko) 저속 충격 하중에 대한 손상성 및 수리성을 향상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US10543872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US9911952B2 (en) Battery module for a motor vehicle
CN209880686U (zh) 电池箱及电池箱箱体
JP6098205B2 (ja) 電池パック
JP2020053273A (ja) 車載用バッテリ
CN110154955B (zh) 电池组
CN219246820U (zh) 一种电动汽车动力电池防撞装置
CN220535386U (zh) 一种电池包、车身结构及车辆
KR101797689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CN117673602A (zh) 电池包组件及车辆
JP7307113B2 (ja) 車両用電池パック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る車両
CN219779081U (zh) 一种电池箱体及电池包
CN221126110U (zh) 一种电池包及用电装置
CN111900280A (zh) 一种电池箱及电池箱箱体
CN219321504U (zh) 电池箱组件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