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975B1 -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975B1
KR102131975B1 KR1020180099460A KR20180099460A KR102131975B1 KR 102131975 B1 KR102131975 B1 KR 102131975B1 KR 1020180099460 A KR1020180099460 A KR 1020180099460A KR 20180099460 A KR20180099460 A KR 20180099460A KR 102131975 B1 KR102131975 B1 KR 102131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due diligence
legal
input
at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3587A (ko
Inventor
조선호
박성재
정진숙
Original Assignee
아미쿠스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미쿠스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미쿠스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9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975B1/ko
Publication of KR20200023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다수의 요건사실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법률실사용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생성된 법률실사용 전자문서 및 사용자가 별도로 보유하고 있는 법률실사 문서를 사용자별로 수집하여 자동으로 법률실사를 수행하는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LEGAL DUE DILIGENCE SERVICE}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다수의 요건사실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법률실사용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생성된 법률실사용 전자문서 및 사용자가 별도로 보유하고 있는 법률실사 문서를 사용자별로 수집하여 자동으로 법률실사를 수행하는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법률실사(legal due diligence)는 회사의 현재 상황과 소유 관계 및 계약 사항 등을 법률적 측면에서 작성한 보고서에 해당하는 것으로, M&A 등과 관련하여 인수·합병의 기업이나 영업의 가치를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법률실사시 위와 같은 가치평가를 위해서 합병비율, 주식인수대금, 영업양수대금 및 지식재산권 가치 등을 결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항목의 법률실사용 문서 작성 및 제출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법률실사를 담당할 직원의 부재나 법률 지식의 부족 또는 법률실사 문서 작성 경험의 미비 등의 이유로 이를 대신 작성할 전문 대리인 선임 등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고 있다.
따라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면서도 정확한 법률실사요건 사실을 기재할 수 있는 법률실사문서 작성의 자동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아울러 작성된 법률실사문서를 기초로 실사나 평가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종래에는 한국공개특허 제2017-0007013호 등을 통해 사인간의 계약서와 같은 법률문서 작성 기술만을 제공할 뿐, 기업의 법률실사에 필요한 좀더 전문적인 법률실사 문서의 작성 및 자동 실사 장치는 제공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나아가, 법률실사문서 작성에 미숙한 사용자는 질의, 답변, 문서내용간 관계를 알 수 없으므로, 장치를 통해 작성 중 질의 의도나 답변의 결과를 알 수 있도록 하고 실시간 생성된 법률실사문서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00701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다수의 요건사실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법률실사용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장치 및 방법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성된 법률실사용 전자문서 및 사용자가 별도로 보유하고 있는 법률실사 문서를 사용자별로 수집하여 자동으로 법률실사를 수행하는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로 법률실사에 사용되는 문서 포멧에 따른 입력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입력 페이지에 법률실사 정보가 입력되면 법률실사 문서를 생성 및 제공하는 문서작성 엔진과; 상기 문서작성 엔진을 통해 생성된 문서를 사용자별로 수집하여 저장하는 회원 DB와; 법률실사 문서별 평가 기준값을 각각 저장하고 있는 평가기준 DB; 및 상기 평가기준 DB에 저장된 평가 기준값을 참조하여 상기 회원 DB에 저장된 법률실사 문서에 대해 법률실사 평가를 수행하는 법률실사 엔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문서작성 엔진은 문서양식 DB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법률실사 문서양식 리스트들을 네트워크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문서리스트 생성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법률실사 문서양식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적어도 2분할하여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지정하는 화면 분할부와; 템플릿 DB를 검색하여 상기 선택된 법률실사 문서양식에 기재될 항목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항목에 대한 입력란이 포함된 상기 입력 페이지를 상기 제1 영역에 제공하는 입력항목 생성부와; 상기 선택된 법률실사 문서양식에 해당하는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영역에 실시간 제공하는 문서 생성부와; 상기 제1 영역의 입력란을 통해 요건사실 정보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제2 영역의 전자문서에 상기 입력된 요건사실 정보를 포함하는 내용이 실시간 표시되도록 입력 페이지와 전자문서를 연동시키는 실시간 연동부; 및 상기 작성된 전자문서를 상기 회원 DB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커서 좌표값을 제공받아 판독하는 커서값 판독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서값 판독부는 상기 입력 페이지 상의 입력란 중 상기 커서가 위치한 입력란을 분석하여 상기 문서 생성부에 제공하고, 상기 문서 생성부는 상기 커서가 위치한 입력란에 대응하는 전자문서 상의 기재 내용 또는 기재 위치에 하이라이트 표시를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하였거나 또는 입력하고자 하는 항목의 법률실사용 전자문서상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력항목 생성부는 실사요건별로 상기 선택된 법률실사 문서양식에 기재될 항목을 추출하고, 상기 실사요건별 항목은 상기 입력 페이지 내에서 서로 구획된 구역에 각각 제공되고, 상기 입력 페이지의 각 구역에서 제공되는 항목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란이 제공되며, 상기 문서 생성부는 상기 실사요건별 항목에 해당하는 내용의 단락을 생성하고, 상기 실사요건별 항목의 입력란을 채울 때마다 상기 생성된 단락을 상기 전자문서에 실시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원 DB는 상기 문서작성 엔진을 통해 생성된 법률실사 문서 및 상기 사용자가 별도로 보유하고 있다가 업로드한 법률실사 문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별로 수집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문서작성 엔진을 통해 생성된 문서는 상기 법률실사 문서의 작성 중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선택 및 입력된 법률실사 문서의 종류와, 상기 법률실사 문서에 포함된 입력 항목 및 상기 항목별 입력 내용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별도로 보유하고 있다가 업로드한 법률실사 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법률실사 문서양식 리스트들 중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음을 선택함에 따라 확인된 법률실사 문서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가기준 DB는 법률실사 문서의 종류와, 상기 법률실사 문서에 포함된 입력 항목 및 상기 항목별 입력 내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 각각 평가 기준값을 저장하고, 상기 법률실사 엔진은 상기 법률실사 문서의 종류별 제출 여부와, 상기 법률실사 문서에 포함된 입력 항목별 입력 여부 및 상기 항목별 입력 내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점수를 부가하여 법률실사 평가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방법은 문서리스트 생성부에서 문서양식 DB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법률실사 문서양식 리스트들을 네트워크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문서양식 제공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법률실사 문서양식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화면 분할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적어도 2분할하여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지정하는 영역 지정단계와; 입력항목 생성부에서 템플릿 DB를 검색하여 상기 선택된 법률실사 문서양식에 기재될 항목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항목에 대한 입력란이 포함된 입력 페이지를 상기 제1 영역에 제공하는 입력항목 제공단계와; 문서 생성부에서 상기 선택된 법률실사 문서양식에 해당하는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영역에 실시간 제공하는 문서 생성단계와; 실시간 연동부에 의해 상기 제1 영역의 입력란을 통해 요건사실 정보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제2 영역의 전자문서에 상기 입력된 요건사실 정보를 포함하는 내용이 실시간 표시되도록 입력 페이지와 전자문서를 연동시키는 문서 연동단계와; 제어부에 의해 상기 작성된 전자문서를 회원 DB에 사용자별로 저장하는 문서 저장단계; 및 법률실사 엔진에서 법률실사 문서별 평가 기준값을 각각 저장하고 있는 평가기준 DB를 참조하여 상기 회원 DB에 저장된 법률실사 문서에 대해 법률실사 평가를 수행하는 법률실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요건사실에 따라 자동으로 법률실사용 전자문서를 생성하므로, 작성에 미숙한 일반 사용자도 전자적인 기법으로 법률실사문서를 작성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제공되는 양식 리스트들 중 필요한 법률실사문서를 선택하므로 별도의 질의 없이 바로 문서작성이 가능하고, 템플릿에 요건사실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전자문서가 생성되면서 실시간으로 보여주므로 쉽고 정확한 작성을 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생성된 법률실사용 전자문서 및 사용자가 별도로 보유하고 있는 법률실사 문서를 사용자별로 수집하여 자동으로 법률실사를 수행하여 이를 실사 점수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법률문서 자동작성장치의 문서작성 엔진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상기 도 2의 문서리스트 생성부에서 제공되는 법률실사 문서양식 리스트를 나타낸 일 예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서의 문서리스트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분할된 화면상에 각각 제공되는 입력 페이지 및 생성된 전자문서를 나타낸 도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에 따른 주주명부 작성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에 의해 자동 생성된 주주명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법률문서 자동작성장치의 법률실사 엔진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장치(100)는 바람직한 예로써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한 서버(server)로 구현되고,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본 발명이 법률실사 서비스 서버로 구현되는 경우 웹 서버(WEB server), 왑 서버(WAP server) 및 이들을 통합한 통합 서버로 구축될 수 있으며, 엔드 유저 클라이언트인 사용자는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서버에 접속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PC, 노트북(랩탑), 스마트폰 및 태블릿 등과 같이 법률실사 서비스와 관련된 웹/모바일 사이트의 접속 또는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단말 장치를 의미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는 웹/모바일 사이트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 구성, 정보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법률실사문서에 기재하고자 하는 각종 정보(이하, '요건사실 정보'이라 함)를 입력하면, 서버에서는 입력된 요건사실 정보가 반영된 법률실사문서를 자동으로 작성하여 제공한다.
또한, 위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생성된 법률실사용 전자문서는 물론, 이와 별도로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다가 서버로 업로드(upload)_한 법률실사 문서를 사용자별로 수집하여 자동으로 법률실사를 수행하고 이를 점수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법률실사문서를 생성하는 문서작성 엔진(110), 데이터베이스부(120), 법률실사 엔진(130), 메모리(14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부(120)는 회원 DB(121), 문서양식 DB(122), 템플릿 DB(123) 및 평가기준 DB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문서작성 엔진(110)은 일 예로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장치의 플랫폼 상에서 구현되며, 법률실사 서비스를 이용하는 클라이언트(client)인 사용자 단말기를 대상으로 법률실사문서를 제공한다.
이러한 문서작성 엔진(110)은 서버 플랫폼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개의 시스템으로 구축된 후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법률실사문서를 관리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나아가 필요시에는 문서작성 엔진(110)의 일부의 구성 요소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문서작성 엔진(110)은 문서양식 DB(122)에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 제공 가능한 양식 리스트(form list)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제공된 양식 리스트들 중 어느 하나의 법률실사 문서양식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사용자가 리스트에서 제공되는 법률실사 문서양식 중 현재 작성하고자 하는 법률실사 문서양식을 선택하면, 템플릿 DB(123)를 참조하여 해당 법률실사 문서양식에 기재되어야 할 항목들이 포함된 템플릿 양식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에 제공된 템플릿 양식의 입력란에 인적사항, 주가(액면가) 및 보유 주식 수 등과 같은 요건사실들을 입력하면 법률실사문서가 자동으로 생성 및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은 요건사실을 입력시마다 실시간으로 법률실사문서에 기재가 추가되면서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므로, 입력한 내용이 반영되는 상태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쉽고 정확한 작성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문서작성 엔진(110)에 의해 작성 중인 법률실사 문서는 일정 시간마다 회원 DB(121)에 저장되거나 작성 완료 후 회원 DB(121)에 저장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서버로 업로드(upload)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동으로 법률실사가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법률실사 자료로는 사용자가 기 보유하고 있는 법률실사 문서를 업로드한 것도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20)는 회원 정보, 회원이 작성한 전자적 형식의 법률실사문서(이하, '전자문서'라 함), 서비스 제공 가능한 문서양식, 상기한 문서양식에 해당하는 템플릿 파일 및 법률실사시 필요한 전자문서별 평가 기준(또는 점수) 등을 저장 및 제공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부(120)는 크게 회원 DB(121), 문서양식 DB(122), 템플릿 DB(123) 및 평가기준 DB(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기명 날인이나 서명 등을 위해 전자문서에 결합되고 변조가 불가능하도록 암호화된 전자서명, 지문 인식 및 성문 인식 정보 등도 저장될 수 있다.
다만, 데이터베이스부(120)는 본 발명의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장치인 서버 컴퓨터에 일체로 구축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 구현 방식이나 환경 등에 따라 생략되거나 전체 또는 일부의 DB(DataBase)가 별개의 다른 시스템 상에 구축된 외부 DB로 존재하는 것 역시 가능할 것이다.
법률실사 엔진(130)은 역시 문서작성 엔진(110)과 마찬가지로 법률실사 서비스 장치의 플랫폼 상에서 구현되며, 평가기준 DB(124)에 저장된 평가 기준값을 참조하여 회원 DB(121)에 저장된 법률실사 문서에 대해 법률실사를 실행한다.
즉, 문서작성 엔진(110)에 의해 작성 중인 법률실사 문서가 일정 시간마다 회원 DB(121)에 저장되거나 작성 완료 후 회원 DB(121)에 저장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서버로 업로드되면 법률실사가 이루어지게 한다.
법률실사 문서로는 사용자가 기 보유하고 있던 것을 업로드한 것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서들만으로 법률실사가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한 문서작성 엔진(110)에 의해 작성된 법률실사 문서와 함께 실사 대상이 될 수도 있다.
법률실사는 사용자의 환경 설정에 따라 법률실사 문서의 작성 완료 후나 기 작성하여 보유하고 있는 법률실사 문서를 업로드 후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시작질 수 있다.
물론, 문서 작성 완료나 업로드 완료 후 법률실사가 이루어지는 방식 이외에 법률실사 문서를 작성 중 각각의 문서 양식에 포함된 항목을 기재하여 채울 때마다 실시간으로 법률실사를 추가하고, 그 평가 점수를 실시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법률실사 엔진(130)은 서버 플랫폼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개의 시스템으로 구축된 후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법률실사문서를 관리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일부의 구성 요소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법률실사 엔진(130)은 상술한 문서작성 엔진(110)과 함께 일체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후술할 메모리(140)에 기록된 서비스 제공 루틴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법률실사 엔진(130)은 평가기준 DB(124)에 기록된 다양한 카테고리의 평가 기준값을 참조하며, 일 예로 카테고리별, 문서 종류별, 항목별 및 입력 내용별로 평가 기준값을 추출한다.
이러한 법률실사 엔진(130)은 평가 기준값을 구분할 수 있도록 분류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일 예로 컨벌루션과 풀링 과정을 반복하여 단계별로 실사평가 항목들의 특성을 추출하는 합성곱 신경망(CNN: Convolutional Neutral Network) 딥러닝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 ROM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대용량 기록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법률실사문서 작성 및 실사 평가를 위한 운영체제와 서비스 제공 루틴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제공한다.
이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 미도시)을 이용하여 메모리(14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별도로 메모리(140)에 로딩될 수도 있으며, 이들은 데이터 버스를 통해 후술할 문서작성 엔진(110)의 구성요소들과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는 본 발명의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를 네트워크 연결하는 것으로,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카드, 이더넷 카드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또는 그 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른 타입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나아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의 다른 예로써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 4G, 5G 및 WiFi 등을 포함하는 무선기기일 수 있으며, 일부 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네트워크화된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2와 같이 문서작성 엔진(110)은 문서리스트 생성부(111), 화면 분할부(112), 입력항목 생성부(113), 문서 생성부(114), 실시간 연동부(115) 및 제어부(116)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 커서값 판독부(115a) 및 문서 편집기(114a)를 더 포함한다.
이들 구성은 데이터 버스(DATA BUS)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구성요소들간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버스는 고속 시리얼 버스, 병렬 버스, SAN(Storage Area Network) 및/또는 그외 다른 적절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이때, 문서리스트 생성부(111)는 문서양식 DB(DataBase)(122)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법률실사 문서양식 리스트들을 네트워크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제공한다.
화면 분할부(112)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문서양식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적어도 2분할하여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지정한다. 영역 지정은 바람직하게 가상으로 이루어진다.
입력항목 생성부(113)는 템플릿 DB(123)를 검색하여 이상과 같이 선택된 법률실사 문서양식에 기재될 항목(ATC)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항목(ATC)에 대한 입력란(ENT)이 포함된 입력 페이지(PAG)를 사용자 단말기 화면의 제1 영역에 제공한다.
문서 생성부(114)는 선택된 법률실사 문서양식에 해당하는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 화면의 제2 영역에 제공하며, 전자문서에는 제1 영역의 입력 페이지(PAG)를 통해 입력되는 요건사실 정보가 실시간 기재된다.
실시간 연동부(115)는 제1 영역의 입력란(ENT)을 통해 법률실사에 필요한 요건사실 정보가 입력될 때마다 제2 영역의 전자문서에 상기 입력된 요건사실 정보를 포함하는 내용이 실시간 표시되도록 입력 페이지(PAG)와 전자문서를 연동킨다.
제어부(116)는 문서리스트 생성부(111), 화면 분할부(112), 입력항목 생성부(113), 문서 생성부(114), 실시간 연동부(115)의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것으로, 일 예로 작성된 전자문서를 사용자별로 회원 DB(121)에 저장한다.
커서값 판독부(115a)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입력 페이지(PAG)의 입력란(ENT) 중 어느 것으로 커서(cursor)를 이동했는지 판독하여 전자문서에 하이라이트 표시되게 하고, 문서 편집기(114a)는 전자문서 자체에서의 문서 편집 등을 가능하게 한다.
도 3a 및 도 3b와 같이, 문서리스트 생성부(111)는 다양한 법률실사 문서양식 리스트를 생성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장치 화면에 제공한다. 법률실사 문서양식은 일 예로 상위 카테고리에서 하위 카테고리 순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여러 단계의 질의에 대한 답변 후 결정 및 분류된 문서양식을 제공받는 것이 아니라, 제공 가능한 다양한 법률실사 문서양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직관적면서도 쉽게 문서양식을 제공받는다.
도 3a와 같이 사용자가 로그인 후 화면 상단의 자동법률실사 탭을 선택하면 최상위 카테고리 분류인 필수 리스트와 선택 리스트 선택 화면이 나타난다. 필수 리스트와 선택 리스트는 일 예로 법률 실사시 필수 문서인지로 구분되며 그에 부여되는 가점도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수 리스트에는 기업조직, 노무, 경영정보보호 및 기업의사결정 카테고리를 포함한다. 이때 기업조직 카테고리에서는 정관, 주주명부 및 발기인총회 의사록 등의 법률실사 문서 양식을 제공한다.
노무 카테고리에서는 임원용 근로계약서, 연봉근로자용 근로계약서 및 일반근로자용 근로계약서를 제공하고, 경영정보보호 카테고리에서는 비밀유지등 서약서를 제공한다. 기업의사결정 카테고리에서는 주주총회 의사록, 이사회 의사록 및 위임장 등을 제공한다.
도 3b와 같이 상위 카테고리 중 선택 리스트를 선택하면 투자, 우발채무, 사업 진행, 사업 확장과 관련한 카테고리들이 제공된다. 이때, 투자 카테고리에서는 전환우선주 발행, 보통주 발생, 지분담보 제공 등과 관련한 문서 양식을 제공하고, 나머지 카테고리들에서도 각각 법률실사에 필요한 문서양식을 제공한다.
한편, 도 4a와 같이 법률실사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필수 리스트를 선택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기업조직, 노무, 경영정보보호 및 기업의사결정 카테고리 및 그 하위에 포함된 다양한 법률실사 문서 양식들이 제공된다.
이때, 법률실사 엔진(130)이나 문서리스트 생성부(111) 등에서는 각각의 법률실사 문서양식 중 현재 보유하고 있는 것과 보유하지 않은 것을 질의(query)하고, 그 질의에 대한 답변을 받을 수 있다.
도 4b와 같이 질의는 '√있음' 또는 '×없음' 등의 아이콘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의 법률실사 문서 리스트에 대해 '√있음' 또는 '×없음'을 선택하면, 법률실사 문서 리스트별로 상태가 변화한다.
따라서, 해당 법률실사 문서 양식 중 '√있음'을 선택하면 일 예로 파일 불러오기 팝업창이 생성되면서 보유중인 해당 파일(즉, 보유중인 법률실사 문서)을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불러와 회원 DB(121)의 사용자 폴더에 저장한다. 즉, 기 보유중인 법률실사 문서도 업로드 후 법률실사가 이루어지게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별도로 보유하고 있는 법률실사 문서는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법률실사 문서양식 리스트들 중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음을 선택함에 따라 확인된 법률실사 문서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법률실사 문서 종류는 법률실사 문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있음을 선택함으로써 파악되거나, 상기 불러오기를 하여 저장하는 과정에서 문서 헤더 파일에 문서 종류에 대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출 가능한 문서가 있으면 해당 문서에 대한 가점 적용이 가능해진다.
반면, 해당 법률실사 문서 양식 중 '×없음'을 선택하면 해당 문서 양식을 작성하기 위한 법률문서작성 바로가기가 활성화되고, 문서작성 엔진(110)에 의해 해당 문서를 작성 후 위에서 생성된 회원 DB(121)의 사용자 폴더에 함께 저장한다.
문서작성 엔진(110)에 법률실사 문서가 새로이 생성되는 경우에는 직접 입력값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선택 및 입력된 법률실사 문서의 종류, 법률실사 문서에 포함된 입력 항목(ATC) 및 상기 항목(ATC)별 입력 내용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갖게 된다.
이로써 법률실사에 필요한 법률실사 문서를 사용자별로 자신의 폴더에 저장하게 된다. 사용자별로 문서를 수집 및 저장함으로써 법률실사 엔진(130)은 해당 폴더 내의 모든 문서들을 분석하여 법률실사를 한다.
다만, 사용자기 해당 법률실사 문서 중 이미 작성하여 보유하고 있는 문서가 있는 경우라도 본 발명에서는 '×없음'을 선택하거나 그 외 다른 루트로 접근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정확하게 다시 법률실사 문서를 작성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필수 리스트 중 기업조직 카테고리에 포함된 주주명부 문서를 보유하고 있지 않아서 이를 작성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서 주주명부 문서 양식을 선택한다.
그러면 도 5와 같이 화면 분할부(112)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적어도 2분할하고, 분할된 영역들 중에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지정한다. 지정된 제1 영역에는 입력 페이지(PAG)를 제공하고, 제2 영역에는 전자문서(E-DOC)를 제공한다.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가상적으로 구획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화면상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별개의 창(window)을 생성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창에 2개의 영역을 지정한다.
또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법률실사문서 작성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화면 정보(예: 스케일러 정보)를 통해 모바일 웹 또는 왑 브라우징이나 PC 풀브라우징 모드에서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가 PC인 경우 해당 PC에 풀브라우징 모드로 화면을 제공하고, 좌측의 제1 영역에는 입력 페이지(PAG)를 생성하여 제공하고, 우측의 제2 영역에는 선택된 법률실사 문서양식의 전자문서(E-DOC)가 생성된다. 즉, '주주명부'라는 문서가 생성된다.
제2 영역에 최초 생성된 전자문서(E-DOC)는 사용자가 제1 영역의 각 입력 항목(ATC)에서 제공되는 입력란(ENT)에 요건사실 정보를 입력하기 이전이므로 상단에 문서 이름만 나타나 있으며, 이때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아래로 스크롤하여 노출되는 입력 항목(ATC)들이 나타날수록 '주주명부' 문서의 크기도 커지게 된다.
입력항목 생성부(113)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문서양식에 기재될 항목(ATC)을 템플릿 DB(123)를 검색하여 추출하고, 그 추출된 항목(ATC)들이 포함된 입력 페이지(PAG)를 제1 영역에 제공한다.
입력 페이지(PAG)에는 다수의 입력 항목(ATC)이 포함된다. 입력 항목(ATC)은 선택된 법률실사문서에 포함되는 기재 내용을 주제, 당사자 또는 실사요건 등으로 분류한 것으로 입력 항목(ATC)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란(ENT)이 포함된다.
입력란(ENT)은 선택 입력, 직접 입력 및 검색 입력 등을 비롯한 다양한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일 예로 HTML이나 SGML과 같은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로 작성된 템플릿 입력 페이지(PAG) 내에 각각 위치한다.
일 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주주명부' 문서양식이 선택되면, 화면 좌측의 제1 영역에는 그 상측에서부터 하측을 따라 다수의 입력 항목(ATC)들이 나열된다.
입력 항목(ATC)은 일 예로 입력 페이지(PAG) 내에서 시트(sheet) 형상으로 구획된 영역에 각각 제공되며, 스크롤을 상하로 움직여 특정의 입력 항목(ATC)을 확인 후 그에 포함된 입력란(ENT)에 요건사실 정보를 입력한다.
주주명부 작성시 기업정보 항목(ATC)과 함께 주주명부에 대한 항목(ATC)이 제공된다. 주주명부 항목(ATC)은 1인을 기본으로하여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으며, 주주명부-1, 주주명부-2, 주주명부-3 등으로 순번이 제공된다.
이때, 사용자는 위와 같은 입력 항목(ATC) 중 필요한 것만 선택하여 요건사실 입력란(ENT)을 채울 수 있으며, 입력란(ENT)이 채워진 항목(ATC)만 전자문서(E-DOC)에 실시간 반영(편집)된다.
다만, 법률실사 문서에 입력된 항목(ATC) 및 그 내용에 따라 실사 평가가 달라지는 것을 고려하면 모든 입력 항목(ATC)을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최소한 필수 항목(ATC)은 반드시 입력해야 할 것이다.
문서 생성부(114)는 선택된 법률실사 문서양식에 해당하는 전자문서(E-DOC)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 화면의 제2 영역에 실시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제1 영역에 입력 페이지(PAG)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입력 페이지(PAG)에 동기화된 주주명부(E-DOC)를 제2 영역에 제공한다.
주주명부(E-DOC)는 제1 영역의 입력 페이지(PAG)를 통해 각각의 입력 항목(ATC)에 요건사실 정보를 입력시마다 연동부(115)에 의해 실시간으로 기재내용이 추가되어 사용자에게 보여지며, 나아가 입력 페이지(PAG)에서의 수정이나 삭제 역시 실시간으로 반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법률실사문서 작성에 미숙한 사용자라도 질의, 답변, 문서 내용간 관계를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작성 중 질의 의도나 답변의 결과를 그 즉시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쉽고 정확하게 법률실사문서의 작성을 가능하게 한다.
다만, 전자문서(E-DOC)에 게재된 기재의 수정이나 삭제 등의 편집은 전자문서(E-DOC) 자체에 커서를 위치시킨 후 전자문서(E-DOC) 자체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일 예로 문서 생성부(114)는 문서 편집기(114a)를 통해 문서 기재 내용을 편집한다.
실시간 연동부(115)는 제1 영역의 입력 페이지(PAG)와 제2 영역의 전자문서(E-DOC)를 연동시킨다. 따라서, 제1 영역의 입력란(ENT)을 통해 요건사실 정보가 입력될 때마다 제2 영역의 전자문서(E-DOC) 즉, 주주명부에 그 입력된 요건사실을 포함하는 내용이 실시간 기재되게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1 영역의 입력 페이지(PAG)에 요건사실 정보가 처음 입력되는 경우는 물론, 기 입력한 요건사실 정보를 수정하거나 삭제하는 경우에도 이를 반영하여 전자문서(E-DOC)가 편집되게 한다.
제어부(116)는 위와 같이 작성된 전자문서(E-DOC)를 작성된 전자문서(E-DOC)를 회원 DB(121)에 사용자별로 저장하거나 또는 동일한 사용자라도 법률실사 사건별로 저장하며, 그 외 작성 중 임시저장된 문서나 작성 완료된 문서의 불러오기 등 다양한 관리를 담당한다.
한편,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커서값 판독부(115a)를 더 포함한다. 커서값 판독부(115a)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단말기 화면의 커서 좌표값을 제공받아 판독한다. 구체적으로 입력 페이지(PAG) 상의 입력란(ENT) 중 커서가 위치한 입력란(ENT)을 분석하여 문서 생성부(114)에 제공한다.
따라서, 문서 생성부(114)는 커서 위치에 대응하는 전자문서(E-DOC) 상의 기재 내용 또는 기재 위치에 하이라이트(HightLight) 표시를 한다.
후술하는 도 6a 및 도 6f와 같이, 하이라이트는 전자문서(E-DOC) 상에 이미 기재된 내용이 있는 경우에는 그 글자 자체의 색을 변경하거나 글자가 표시된 라인(영역)에 표시된다. 아직 기재 전이라면 해당 공란에 하이라이트 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하였거나 또는 입력하고자 하는 항목(ATC)의 법률실사용 전자문서(E-DOC)상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선택된 입력란(ENT)과 전자문서(E-DOC)의 기재 부분을 매칭시켜 보여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한 입력항목 생성부(113)는 선택된 법률실사 문서양식에 기재될 항목(ATC)을 템플릿 DB(123)에서 추출하여 템플릿 타입의 입력 항목(ATC)을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성된 입력 항목(ATC)은 일 예로 실사 요건별로 구분되며, 각각의 입력 항목(ATC)은 입력 페이지(PAG) 내에서 서로 구획된 구역에 각각 제공된다. 일 예로 입력 항목(ATC)은 입력 페이지(PAG)의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순차로 나열된다.
동시에 문서 생성부(114)는 실사요건별 항목(ATC)에 해당하는 내용의 단락을 전자문서에 생성하고, 입력란(ENT)에 요건사실을 입력할 때마다 생성된 단락의 공란에 그 요건사실이 게재되게 한다.
이때, 입력항목 생성부(113)는 다수의 실사요건별 항목(ATC)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 페이지(PAG) 내에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항목(ATC) 시트로 생성하여 입력 페이지(PAG)에 포함시킨다. GUI 항목(ATC) 시트는 일 예로 드래그&드롭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문서 생성부(114)는 이동 가능한 GUI 항목(ATC) 시트를 움직여 결정된 실사요건별 항목(ATC)의 순서에 동기하여 단락을 재정렬하여 전자문서(E-DOC)에 실시간 표시한다.
즉, 전형적 또는 관용적으로 고정된 일부 항목(ATC)을 제외하고, 사용자가 입력 항목(ATC)들 중 이동 가능한 제1 영역의 GUI 항목(ATC) 시트를 움직이면, 그 입력 항목(ATC)의 제1 영역상 상하 순서가 바뀌고, 그와 동시에 전자문서(E-DOC) 상의 기재 위치 역시 마음대로 수정(도 6f 참조)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장치를 이용한 법률실사문서 작성 순서를 살펴본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PC를 통해 법률실사문서 작성 서버에 접속하여 '주주명부'를 작성하는 것을 예로 든다.
도 6a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에서 기업조직 카테고리 중 주주명부 양식을 선택하면, 화면 좌측의 제1 영역에는 입력 페이지(PAG)가 생성되고, 화면 우측의 제2 영역에는 전자적 형태의 '주주명부' 문서(E-DOC)가 생성된다.
이때, 입력 페이지(PAG) 중 첫 번째 입력 항목(ATC)은 '기업정보'이고, 기업정보 입력 항목(ATC)에는 법률실사를 받는 기업의 1주 금액(액면가), 회사명 및 대표이사 등과 같은 입력란(ENT)이 제공된다.
이들 입력란(ENT)은 모두 직접 입력 방식에 해당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문서 종류 및 입력 사항에 따라 선택 입력란(ENT)(예: 날짜 등)이나 검색 입력란(ENT)(예: 주소 등)을 비롯한 각종 방식의 입력란(ENT)도 적용 가능하다.
이때, '기업정보' 입력 항목(ATC)에 포함된 다수의 입력란(ENT) 중 그 시작에 해당하는 1주 금액(액면가)에 정보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주주명부(전자문서)(E-DOC)에 회사의 기본 정보를 표시하는 기재가 '단위 단락'으로 제공된다.
상기한 '단위 단락'은 전자문서(E-DOC)에 단계별로 생성되는 기재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항목(ATC) 추가시 및/또는 항목(ATC) 내의 입력란(ENT) 중 어느 하나(보통은 첫 번째 입력란)를 채울 때 생성된다. 통상은 '단위 단락' 별로 실사요건적 의미를 갖는다.
다음, 도 6b와 같이 '기업정보' 입력 항목(ATC)에 포함된 다수의 입력란(ENT)을 각각 채워 넣으면 주주명부에 생성된 단위 단락의 공란들이 그에 동기하여 실시간 채워지며 기재가 이루어진다. 또한 필요한 관용 문구(예: 작성 내용이 진실함을 선언하는 문구 등)도 자동으로 기재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1 영역의 여러 입력란(ENT) 중 특정한 입력란(ENT)에 커서를 이동시켜 선택하면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영역의 주주명부 중 해당 내용에 하이라이트(HighLight)가 표시된다.
예컨대, 제1 영역에서 대표이사의 성명란에 커서를 위치시키면 제2 영역의 주주명부 중 대표이사의 서명란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다. 이는 성명을 입력 전/후 어느 경우에나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은 각각의 입력된 사실이 법률실사문서에 어떻게 표시되는지 보여준다. 또한, 성명을 잘못 기재한 경우 대표이사 성명란에서 입력한 내용을 수정하면 주주명부의 기재 역시 자동으로 정정된다.
다음, 도 6c와 같이 제1 영역의 '주주명부-1' 입력 항목(ATC)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입력란(ENT)에 입력을 시작하면 제2 영역의 주주명부 문서에 새로운 단위 단락이 생성된다. 이때, 새로운 단위 단락은 표(table)가 될 수도 있다.
그 후 도 6d와 같이 '주주명부-1' 입력 항목(ATC)에서 기업/개인 선택, 주주명, 주민등록번호, 소유주식의 종류 및 소유주식의 수 등을 각각 입력하면, 주주명부 문서의 표에 해당 내용이 채워진다.
해당 항목에 내용을 채운 후에는 '주주명부-1' 입력 항목(ATC)의 우측 상단에 구비된 '+추가' 및 '-삭제' 선택 아이콘 중 '+추가' 아이콘을 누르면, 도 6e와 같이 입력항목 생성부(113)는 그 추가된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제1 영역에 '주주명부-2' 입력 항목(ATC)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이때, 실시간 연동부(115)의 중계하에 문서 생성부(114)는 상기 표를 실시간 편집한다. 즉, 기 생성된 표에 추가된 주주의 인원수에 맞추어 표의 줄 수를 추가하는 편집을 한다.
따라서, '주주명부-2' 입력 항목(ATC)에도 기업/개인 선택, 주주명, 주민등록번호, 소유주식의 종류 및 소유주식의 수 입력란(ENT)을 각각 채우면 주주명부 문서의 표 중 추가된 줄에 해당 내용이 채워진다.
다음, 도 6f와 같이 '주주명부-2' 입력 항목(ATC)의 우측 상단에 구비된 '+추가' 아이콘을 눌러 '주주명부-3' 입력 항목(ATC)을 생성하고, 그에 따라 표에는 줄이 추가로 생성되어 세번째 주주를 입력할 수 있게 한다.
이때, 화면 스크롤(scroll)을 내려 제1 영역 중 '주주명부-3' 입력 항목(ATC)에 입력하기 쉽도록 한 상태에서 각각의 입력란(ENT)을 각각 채워 주주명부 문서도 동기하여 그에 대한 기재가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문서 생성부(114)에서 제공되는 입력 항목(ATC)은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GUI 항목(ATC) 시트(즉, 독립 템플릿 시트)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영역의 실사요건별 항목(ATC)의 순서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고, 그에 동기하는 전자문서(E-DOC)에 게제되는 단위 단락들 역시 단락을 재정렬된다.
예컨대, 전형적 또는 관용적으로 고정된 일부 항목(ATC)을 제외하고, 사용자가 입력 항목(ATC)들 중 이동 가능한 제1 영역의 GUI 항목(ATC) 시트를 움직이면, 그 입력 항목(ATC)의 제1 영역상 상하 순서가 바뀌고, 그와 동시에 전자문서(E-DOC) 상의 기재 위치 역시 마음대로 수정할 수 있게 한다.
도 6f에서는 제1 영역에서 2번째 항목(ATC)으로 제공되는 '주주명부-1' 항목(ATC)과 세번째 항목(ATC)으로 제공되는 '주주명부-2' 항목(ATC)의 순서를 서로 바꾸면 제2 영역의 주주명부상에서도 단위 단락이 서로 바뀐다.
즉, '주주명부-1' 항목(ATC) 및 '주주명부-2' 항목(ATC)은 주주명부 문서에서 표 형식으로 생성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해당 표에서의 줄이 서로 뒤바뀌게 된다.
위와 같이 작성되는 주주명부는 각각 입력란(ENT)을 채우는 도중에도 자동(시간별/항목(ATC)별)으로 임시 저장되며, 제1 영역의 하단에 구비된 완료 버튼을 눌러 설정에 의해 저장할 수도 있다.
도 7과 같이 사용자가 작성한 법률실사문서는 웹 페이지의 홈(home)에서 제공하는 'MY 서비스'를 이용하여 임시 저장된 문서나 입력 완료된 문서를 불러와서 확인 및 편집을 할 수 있다.
이때, 불러오기는 문서양식의 명칭 이외에 사용자가 부여한 문서명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불러온 문서가 포함된 페이지의 하단에는 출력, 수정 및 변호사 첨삭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법률실사를 받고자 하는 내용의 하나 이상의 법률실사 문서를 작성하면 회원 DB(121)에 사용자별로 함께 저장되고, 저장된 법률실사 문서는 법률실사 엔진(130)의 실사 자료로 이용된다.
이러한 법률실사 엔진(130)은 평가기준 DB(124)에 기록된 다양한 카테고리의 평가 기준값을 참조하며, 일 예로 카테고리별, 문서 종류별, 항목(ATC)별 및 입력 내용별로 평가 기준값을 추출한다.
또한, 법률실사 엔진(130)은 평가 기준값을 구분할 수 있도록 머신 러닝과 같은 분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회원 DB(121)에 저장된 법률실사 문서에 대해 법률실사 평가를 수행한다.
예컨대, 법률실사 엔진(130)은 컨벌루션과 풀링 과정을 반복하여 단계별로 실사평가 항목(ATC)들의 특성을 추출하는 합성곱 신경망 딥러닝(CNN) 알고리즘 등의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평가기준 DB(124)는 법률실사 문서의 종류 및 상기 법률실사 문서에 포함된 입력 항목(ATC)에 대한 평가 기준값을 각각 저장하고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목(ATC)별 입력 내용에 대한 평가 기준값도 저장한다.
이때, 법률실사 엔진(130)은 법률실사 문서의 종류별 제출 여부 및 해당 법률실사 문서에 포함된 입력 항목(ATC)별 입력 여부를 반영하여 법률실사 평가를 수행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항목(ATC)별 입력 내용 역시 분석하여 법률실사 평가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도 8과 같이 법률실사 엔진(130)은 법률실사 문서 종류를 분석하는 문서 인식부(131)와, 상기 법률실사 문서별로 제공하는 입력 항목(ATC)의 기재 여부를 분석하는 항목 인식부(132)를 포함한다. 나아가, 그 입력란(ENT)에 기재된 내용을 분석하는 내용 분석부(132a)를 포함한다.
또한, 가산부(133) 및 출력부(135)를 더 포함하는데, 문서 인식부(131)와, 항목 인식부(132) 및 내용 분석부(132a)를 통해 확인된 실사 정보는 가산부(133)로 제공된다.
따라서, 가산부(133)는 각각의 요소에 점수를 부가 및 합산하여 실사를 평가한다. 이때, 서류 제출(업로드) 미비 시나 일복 항목(ATC) 미기재시에는 차감부(134)에 의해 점수가 차감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주주명부를 작성하여 회원 DB(121)에 저장하면 이를 제출로 가정하여 해당 문서의 제출에 대한 점수를 부여하고, 그 문서에 포함된 기업정보 항목(ATC) 및 주주명부 항목(ATC)을 기재하였는지에 대해서도 각각 점수를 부여한다.
나아가, 필요에 따라서는 각 항목(ATC)에서 제공하는 입력란(ENT)에 입력한 내용을 분석하여, 1주의 금액(액면가)가 얼마인지, 주주별로 보유하고 있는 주식의 종류는 무엇인지 및 그 주식의 수는 몇개 인지를 분석하여 각각 점수를 부여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정밀 분석은 본 발명의 장치를 통해 작성되는 경우에만 적용될 수 있고, 사용자가 다른 문서작성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작성하거나 수기 작성 후 스캔 등을 한 경우에는 문서 종류만을 파악할 수 있는 단점이 존재한다.
문서 종류는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서 해당 문서를 불러들여 저장하는 과정에서 헤더 파일이나 저장 경로 등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제출된 법률실사 문서의 종류만을 평가 후 점수를 부여할 수 밖에 없으므로, 가급적 본 발명의 장치를 통해 새로이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출력부(135)는 문서작성 엔진(110)에 의해 작성 중인 법률실사 문서가 일정 시간마다 회원 DB(121)에 저장되거나 작성 완료 후 회원 DB(121)에 저장되는 방식으로 서버로 업로드되면 법률실사를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한다. 법률실사 결과는 대표적으로 점수로 환산하여 제공된다.
이때 법률실사 문서로는 사용자가 기 보유하고 있던 것을 업로드한 것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서들만으로 법률실사가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한 문서작성 엔진(110)에 의해 작성된 법률실사 문서와 함께 실사 대상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법률실사의 결과는 사용자의 환경 설정에 따라 법률실사 문서의 작성 완료 후나 기 작성하여 보유하고 있는 법률실사 문서를 업로드 후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물론, 문서 작성 완료나 업로드 완료 후 법률실사가 이루어지는 방식 이외에 법률실사 문서를 작성 중 각각의 문서 양식에 포함된 항목을 기재하여 채울 때마다 실시간으로 법률실사를 추가하고, 그 평가 점수를 실시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문서 작성 중 상술한 제2 영역의 문서 상단부에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가급적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법률실사문서 자동작성방법은 문서양식 제공단계(S110), 영역 지정단계(S120), 입력항목 제공단계(S130), 문서 생성단계(S140), 문서 연동단계(S150), 문서 저장단계(S160) 및 법률실사 단계(S1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문서양식 제공단계(S110)에서는 문서리스트 생성부(111)에서 문서양식 DB(122)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법률실사 문서양식 리스트들을 네트워크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한다.
다음, 영역 지정단계(S12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법률실사 문서양식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S110a)되면, 화면 분할부(112)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적어도 2분할하여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지정한다.
영역 지정은 화면 좌측의 입력 페이지(PAG)와 화면 우측의 전자문서(E-DOC)를 한 화면에서 동시에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분할을 통해 제1 영역에는 입력 페이지(PAG)를 제공하고, 제2 영역에는 전자문서(E-DOC)를 제공한다.
다음, 입력항목 제공단계(S130)에서는 입력항목 생성부(113)에서 템플릿 DB(123)를 검색하여 위에서 선택된 법률실사 문서양식에 기재될 항목(ATC)을 추출하고, 각 항목(ATC)에 입력란(ENT)이 포함된 입력 페이지(PAG)를 제1 영역에 제공한다.
다음, 문서 생성단계(S140)에서는 문서 생성부(114)에서 선택된 법률실사 문서양식에 해당하는 전자문서(E-DOC)를 생성하여 제2 영역에 실시간 제공한다. 이러한 문서 생성단계(S140)는 입력항목 제공단계(S130)와 동시에 진행된다.
다음, 문서 연동단계(S150)에서는 실시간 연동부(115)에 의해 입력란(ENT)을 통해 요건사실 정보가 입력될 때마다 제2 영역의 전자문서(E-DOC)에 입력된 요건사실 정보를 포함하는 내용이 실시간 표시되도록 입력 페이지(PAG)와 전자문서(E-DOC)를 연동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입력 페이지(PAG)의 입력란(ENT)을 채울 때마다 그 채워진 요건사실들이 전자문서(E-DOC)에 게재되어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법률실사문서 작성에 미숙한 사용자라도 질의, 답변, 문서내용간 관계를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작성 중 질의 의도나 답변의 결과를 그 즉시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정하고 정확한 법률실사문서의 작성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문서 작성이 완료(S160a)되면 제어부(116)에 의해 작성된 전자문서(E-DOC)를 회원 DB(121)에 저장(S160)하고, 저장 후에는 'MY 서비스'를 이용하여 임시 저장된 문서나 입력 완료된 문서를 불러와서 확인 및 편집을 할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은 커서로 특정의 입력란(ENT)을 선택시 전자 법률실사문서에 즉시 하이라이트가 표시되고, 작성 중 또는 작성 완료된 문서를 편집(S130b, S140b)할 수 있으며, 제1 영역의 항목(ATC) 시트를 이동하면 제2 영역의 기재 내용도 변경된다.
다음, 법률실사 단계(S170)에서는 법률실사문서의 작성 및 저장이 완료되면 법률실사 엔진(130)에 의해 법률실사 문서의 종류별 제출 여부 및 해당 법률실사 문서에 포함된 입력 항목(ATC)별 입력 여부를 반영하여 법률실사를 수행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항목(ATC)별 입력 내용 역시 분석하여 법률실사를 수행한다.
그리고, 수행된 법률실사 결과는 문서작성 엔진(110)에 의해 작성 중인 법률실사 문서가 일정 시간마다 회원 DB(121)에 저장되거나 작성 완료 후 회원 DB(121)에 저장되는 방식으로 서버로 업로드되면 법률실사를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한다. 법률실사 결과는 대표적으로 점수로 환산하여 제공된다.
또한, 법률실사의 결과는 사용자의 환경 설정에 따라 법률실사 문서의 작성 완료 후나 기 작성하여 보유하고 있는 법률실사 문서를 업로드 후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공될 수도 있다.
물론, 문서 작성 완료나 업로드 완료 후 법률실사가 이루어지는 방식 이외에 법률실사 문서를 작성 중 각각의 문서 양식에 포함된 항목을 기재하여 채울 때마다 실시간으로 법률실사를 추가하고, 그 평가 점수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10: 문서작성 엔진 111: 문서리스트 생성부
112: 화면 분할부 113: 입력항목 생성부
114: 문서 생성부 114a: 문서 편집기
115: 실시간 연동부 115a: 커서값 판독부
116: 제어부 120: 데이터베이스부
121: 회원 DB 122: 문서양식 DB
123: 템플릿 DB 124: 평가기준 DB
130: 법률실사 엔진 131: 문서 인식부
132: 항목 인식부 132a: 내용 분석부
133: 가산부 134: 차감부
140: 메모리 14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Claims (9)

  1.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법률실사 문서를 생성하여 제공하고 법률실사 평가를 수행하는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 법률실사에 사용되는 문서 포멧에 따른 입력 페이지(PAG)를 제공하고, 상기 입력 페이지(PAG)에 법률실사 정보가 입력되면 법률실사 문서를 생성 및 제공하는 문서작성 엔진(110)과;
    상기 문서작성 엔진(110)을 통해 생성된 문서를 사용자별로 수집하여 저장하는 회원 DB(121)와;
    법률실사 문서별 평가 기준값을 각각 저장하고 있는 평가기준 DB(124);
    상기 평가기준 DB(124)에 저장된 평가 기준값을 참조하여 상기 회원 DB(121)에 저장된 법률실사 문서에 대해 법률실사 평가를 수행하는 법률실사 엔진(130);
    법률실사문서 작성 및 실사 평가를 위한 운영체제와 서비스 제공 루틴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제공하는 메모리(140); 및
    4G, 5G 및 WiFi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기기로 구성되어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를 포함하되,
    상기 회원 DB(121)는,
    상기 문서작성 엔진(110)을 통해 생성된 법률실사 문서 및 상기 사용자가 별도로 보유하고 있다가 업로드한 법률실사 문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별로 수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문서작성 엔진(110)을 통해 생성된 문서는,
    상기 법률실사 문서의 작성 중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선택 및 입력된 법률실사 문서의 종류와, 상기 법률실사 문서에 포함된 입력 항목(ATC) 및 상기 항목(ATC)별 입력 내용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법률실사 엔진(130)은,
    컨벌루션과 풀링 과정을 반복하여 단계별로 실사평가 항목들의 특성을 추출하는 합성곱 신경망(CNN: Convolutional Neutral Network) 딥러닝을 이용하여 평가 기준값을 구분하되,
    법률실사 문서 종류를 분석하는 문서 인식부(131)와, 상기 법률실사 문서별로 제공하는 입력 항목(ATC)의 기재 여부를 분석하는 항목 인식부(132)와, 입력 항목(ATC)의 입력란(ENT)에 기재된 내용을 분석하는 내용 분석부(132a)와, 확인된 실사 정보 각각의 요소에 점수를 부가 및 합산하여 실사를 평가하는 가산부(133), 및 서류 제출(업로드) 미비 시나 입력 항목(ATC) 미기재시에 점수를 차감시키는 차감부(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작성 엔진(110)은,
    문서양식 DB(122)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법률실사 문서양식 리스트들을 네트워크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문서리스트 생성부(111)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법률실사 문서양식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적어도 2분할하여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지정하는 화면 분할부(112)와;
    템플릿 DB(123)를 검색하여 상기 선택된 법률실사 문서양식에 기재될 항목(ATC)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항목(ATC)에 대한 입력란(ENT)이 포함된 상기 입력 페이지(PAG)를 상기 제1 영역에 제공하는 입력항목 생성부(113)와;
    상기 선택된 법률실사 문서양식에 해당하는 전자문서(E-DOC)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영역에 실시간 제공하는 문서 생성부(114)와;
    상기 제1 영역의 입력란(ENT)을 통해 요건사실 정보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제2 영역의 전자문서(E-DOC)에 상기 입력된 요건사실 정보를 포함하는 내용이 실시간 표시되도록 입력 페이지(PAG)와 전자문서(E-DOC)를 연동시키는 실시간 연동부(115); 및
    상기 전자문서(E-DOC)를 상기 회원 DB(121)에 저장하는 제어부(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커서(cursor) 좌표값을 제공받아 판독하는 커서값 판독부(115a)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서값 판독부(115a)는 상기 입력 페이지(PAG) 상의 입력란(ENT) 중 상기 커서가 위치한 입력란(ENT)을 분석하여 상기 문서 생성부(114)에 제공하고,
    상기 문서 생성부(114)는 상기 커서가 위치한 입력란(ENT)에 대응하는 전자문서(E-DOC) 상의 기재 내용 또는 기재 위치에 하이라이트(High-Light) 표시를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하였거나 또는 입력하고자 하는 항목(ATC)의 법률실사용 전자문서(E-DOC)상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항목 생성부(113)는,
    실사요건별로 상기 선택된 법률실사 문서양식에 기재될 항목(ATC)을 추출하고, 상기 실사요건별 항목(ATC)은 상기 입력 페이지(PAG) 내에서 서로 구획된 구역에 각각 제공되고, 상기 입력 페이지(PAG)의 각 구역에서 제공되는 항목(ATC)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란(ENT)이 제공되며,
    상기 문서 생성부(114)는,
    상기 실사요건별 항목(ATC)에 해당하는 내용의 단락을 생성하고, 상기 실사요건별 항목(ATC)의 입력란(ENT)을 채울 때마다 상기 생성된 단락을 상기 전자문서(E-DOC)에 실시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별도로 보유하고 있다가 업로드한 법률실사 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법률실사 문서양식 리스트들 중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음을 선택함에 따라 확인된 법률실사 문서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기준 DB(124)는,
    법률실사 문서의 종류와, 상기 법률실사 문서에 포함된 입력 항목(ATC) 및 상기 항목(ATC)별 입력 내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 각각 평가 기준값을 저장하고,
    상기 법률실사 엔진(130)은,
    상기 법률실사 문서의 종류별 제출 여부와, 상기 법률실사 문서에 포함된 입력 항목(ATC)별 입력 여부 및 상기 항목(ATC)별 입력 내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점수를 부가하여 법률실사 평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장치.
  9. 삭제
KR1020180099460A 2018-08-24 2018-08-24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2131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460A KR102131975B1 (ko) 2018-08-24 2018-08-24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460A KR102131975B1 (ko) 2018-08-24 2018-08-24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587A KR20200023587A (ko) 2020-03-05
KR102131975B1 true KR102131975B1 (ko) 2020-07-08

Family

ID=69803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460A KR102131975B1 (ko) 2018-08-24 2018-08-24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97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552B1 (ko) * 2005-07-11 2012-04-23 주식회사 신한은행 부동산 거래서식 전자문서와, 부동산 거래용 전자문서운용방법 및 시스템, 부동산 거래용 전자문서 운용장치,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1118057B1 (ko) * 2009-12-15 2012-02-24 한국발명진흥회 특허 자동 평가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평가 요소 정보 처리 방법
KR20150076920A (ko) * 2013-12-27 2015-07-07 (주)로앤텍스 문서 작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7013A (ko) 2015-07-10 2017-01-18 주식회사 로앤컴퍼니 온라인에서의 법률문서의 작성을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587A (ko)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98051B (zh) 搜索引擎优化助理
JP2021061034A (ja) アンケート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05348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editing and publishing cross-platform interactive electronic works
US79210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timeline associated with a project schedule
US9058307B2 (en) Presentation generation using scorecard elements
US8712812B2 (en) Strategic planning management
US20050193333A1 (en) Survey generation system
US20050027386A1 (en) Decentralized project management system
US20130031208A1 (en) Management and Provision of Interactive Content
CN105824786A (zh) 一种电子文档生成方法及装置
US2010024161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eserving and accessing information related to decision-making
CA27138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financial planning
Elbehri et al. Implementing bilateral tariff rate quotas in GTAP using GEMPACK
CN112989448B (zh) 一种协同设计系统
KR102142471B1 (ko) 법률문서 자동작성장치 및 방법
JP5352225B2 (ja) データ再利用方法、データ再利用システム、データ再利用装置およびデータ再利用プログラム
KR102131975B1 (ko) 자동 법률실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N106688002B (zh) 模拟系统、模拟方法及模拟程序
US20130238396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esigning assessment report
JP7337315B1 (ja) 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11587190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tracking and management of skills
Leonard Analyzing wildlife telemetry data in R
US10013667B2 (en) Dashboard collaborator
JP2007026220A (ja) 情報登録検索システムおよび情報登録方法並びに情報検索方法
KR102320662B1 (ko) Ve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