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605B1 - 인쇄층이 형성된 건축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쇄층이 형성된 건축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605B1
KR102131605B1 KR1020190041372A KR20190041372A KR102131605B1 KR 102131605 B1 KR102131605 B1 KR 102131605B1 KR 1020190041372 A KR1020190041372 A KR 1020190041372A KR 20190041372 A KR20190041372 A KR 20190041372A KR 102131605 B1 KR102131605 B1 KR 102131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ating layer
layer
forming
interior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철수
박진수
Original Assignee
최철수
박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철수, 박진수 filed Critical 최철수
Priority to KR1020190041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6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층이 형성된 건축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석고보드의 일측면에 다양한 문양 또는 색상을 나타낼 수 있는 인쇄층을 형성시킴으로서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내장재 본체를 이루는 석고보드(10)의 일면에 평탄성 향상 및 내구성 강화를 위한 1차코팅층(11)을 형성하는 1차코팅단계와;(ST 1) 상기 1차코팅층(11)에 다양한 문양 또는 색상이 나타내어지는 인쇄층(20)을 형성하는 인쇄층 형성단계와;(ST 2) 상기 인쇄층(20)의 보호를 위한 2차코팅층(21)을 UV코팅 형성하는 2차코팅단계;(ST 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쇄층이 형성된 건축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BOARD FOR CONSTRUCTION HAVING PRINT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건축용 내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실내 마감 재료로 사용되는 건축 내장재에 문양을 인쇄하여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건축용 내장재 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량칸막이나 경량철골 아미텍스 등과 같은 건축물의 시공에 있어서 방음과 단열을 위하여 벽체에 석고로 만들어진 석고보드를 부착 시공하고 있다.
이러한 석고보드는 자체 특성상 가루가 많이 발생하고 때가 많이 타기 때문에, 석고보드 자체가 마감재로서 사용되지는 못한다.
그러므로 석고보드는 일반적으로 건축용 내장재료로서 합판 및 면지 등에 접합하여 사용하고 있고 모양 및 색을 표현하는 마감재를 추가로 석고보드 위에 접합하는 시공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석고보드 내장재는 벽체 시공 후 외관 향상을 위해 벽지 등을 부착시키는 등의 추가적인 작업을 별도로 실시해야 함으로 시공시간 및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1)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19442호(1999.06.15.등록) 2)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423786호(2006.08.04.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석고보드 재질의 건축용 내장재의 일측면에 다양한 문양을 인쇄하여 제조되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품의 외관을 향상시킴과 함께 내구성이 강화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용 내장재는, 내장재 본체를 이루는 석고보드의 일면에는 평탄성 향상 및 내구성 강화를 위한 1차코팅층이 코팅 형성되고, 상기 1차코팅층에는 다양한 문양 또는 색상이 나타내어지는 인쇄층이 형성되며, 상기 인쇄층의 보호를 위한 2차코팅층이 코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용 내장재 제조방법은, 내장재 본체를 이루는 석고보드의 일면에 1차코팅층을 형성하는 1차코팅단계와; 상기 1차코팅층에 다양한 문양 또는 색상이 나타내어지는 인쇄층을 형성하는 인쇄층 형성단계와; 상기 인쇄층의 보호를 위한 2차코팅층을 UV코팅 형성하는 2차코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건축용 내장재는, 석고보드의 일측면에 다양한 문양 또는 색상을 나타낼 수 있는 인쇄층을 형성시킴으로서 외관을 향상시킴과 함께 시공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별도의 코팅층을 형성시킴으로서 내장재의 내구성을 강화시키고, 인쇄층을 보호하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내장재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건축용 내장재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건축용 내장재 제조과정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쇄층이 형성된 건축용 내장재의 구조를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의 건축용 내장재는, 사각형상을 이루는 석고보드(10)가 내장재 본체를 이루고 있으며, 석고보드(10)의 일면에는 1차코팅층(11)이 코팅 형성되고, 상기 1차코팅층(11)에는 다양한 문양 또는 색상이 나타내어지는 인쇄층(20)이 형성되며, 상기 인쇄층(20)의 보호를 위한 UV코팅 처리를 통한 2차코팅층(21)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인쇄층(20)은 디지털인쇄 또는 그라비아인쇄 등과 같은 방식으로 특정 문양이 인쇄되어짐으로서 석고보드(10)의 외관 디자인을 미려하게 나타낼 수 있게 된다.
특히, 1차코팅층(11)은 석고보드(10) 표면의 평탄성 향상 및 내구성 강화를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에폭시 수지 55~75중량%에 석분 또는 황토분말이 25~45중량%의 비율로 혼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2차코팅층(21)은 자외선으로 인한 인쇄층(20)의 변색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외선차단제를 도막처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 건축용 내장제의 제조과정을 도 5의 순서도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석고보드(10)의 일측면에 내구성 강화 및 평탄도 향상을 위하여 석분 또는 황토분말이 혼합된 코팅제를 박막으로 코팅 형성하여 1차코팅층(11)을 형성시키는 1차코팅단계(ST 1)를 실시한다.
이후, 코팅면에 다양한 문양 또는 색상이 나타내어질 수 있도록 인쇄층(20)을 형성시키는 인쇄층 형성단계(ST 2)를 실시하게 된다. 이때에는 디지털인쇄 또는 그라비아인쇄 등과 같은 직접 인쇄방식이 이루어지거나 인쇄지를 부착시키는 접착방식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인쇄층 형성이 완료되면 인쇄층(20)의 보호를 위한 자외선 차단용 UV코팅작업을 통해 2차코팅층(21)을 형성시키는 2차코팅단계(ST 3)를 실시하게 된다.
즉, 이때에는 자외선 코팅제를 박막으로 코팅시켜서 2차코팅층(21)이 형성되어지게 되면, 매끄러운 표면이 형성됨으로서 자외선 차단 및 탈색 방지의 고급스러운 외관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작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건축용 내장재는, 건축물의 실내 벽체 등에 부착하여 시공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다양한 문양 또는 색상을 나타낼 수 있는 인쇄층(20)이 형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킴과 함께 추가적인 마감작업이 필요없게 됨으로 시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별도의 코팅층(11,21)을 형성시킴으로서 내장재의 내구성을 강화시키고, 인쇄층을 보호하는 이점을 나타내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건축용 내장재의 기능성 향상을 위한 다른 실시 예로는, 1차코팅층(11)에 내구성 강화 및 인쇄층(20)과의 결합력 증대를 위한 카본 마이크로화이바 및 고점도 실리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올레핀, 요소수지, 이산화티탄이 추가로 첨가될 수 있게 된다.
즉, 이때의 실시 예로는 에폭시 수지 55~75중량%에 석분 또는 황토분말이 15~30중량%, 카본 마이크로화이바 1~10중량%, 고점도 실리콘, 1~5중량%,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5중량%, 올레핀 1~5중량%, 요소수지 1~3중량%, 이산화티탄 1~3중량%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성을 이루는 1차코팅층(11)이 코팅 형성되어지게 되면, 카본 마이크로화이바 성분으로 인해 코팅층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되며, 고점도 실리콘은 석분 또는 황토분말 입자 상호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고온에서의 코팅층 열화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올레핀은 석분 또는 황토분말 입자가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게 되고, 요소수지는 산화에 따른 변색을 방지하고, 이산화티탄은 고점도 실리콘과의 반응에 따른 활성화에 기여하여 코팅층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2차코팅층(21)에는 투광도 향상을 위한 메틸셀룰로오스, 코팅층 안정화를 위한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및 표면 오염방지를 위한 카올린이 추가로 첨가될 수 있게 된다.
즉, 이때에는 자외선차단제 40~60중량%, 투광도 향상용 메틸셀룰로오스 10~30중량%, 폴리아크릴산나트륨 10~20중량%, 카올린 10~20중량%의 비율로 혼합 조성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성을 이루는 2차코팅층(21)이 코팅 형성되어지게 되면, 메틸셀룰로오스의 작용으로 인해 코팅층의 광택성 및 투광도가 더욱 개선되어지게 되며,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은 코팅층의 인쇄층 결합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특히, 카올린은 이물질의 표면 점착을 방지하여 건축용 내장재의 시공 설치 후 오염 및 변색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건축용 내장재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건축용 내장재가 사각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이러한 내장재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삼각이나 원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석고보드 11 : 1차코팅층
20 : 인쇄층 21 : 2차코팅층

Claims (6)

  1. 내장재 본체를 이루는 석고보드(10)의 일면에 평탄성 향상 및 내구성 강화를 위한 1차코팅층(11)이 코팅 형성되고,
    상기 1차코팅층(11)에는 다양한 문양 또는 색상이 나타내어지는 인쇄층(20)이 형성되며,
    상기 인쇄층(20)의 보호를 위한 UV코팅 처리를 통한 2차코팅층(21)이 형성되고,
    상기 1차코팅층(11)은 에폭시 수지 55~75중량%에 석분 또는 황토분말이 15~30중량%, 카본 마이크로화이바 1~10중량%, 고점도 실리콘 1~5중량%,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5중량%, 올레핀 1~5중량%, 요소수지 1~3중량%, 이산화티탄 1~3중량%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층이 형성된 건축용 내장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차코팅층(21)은 자외선차단제 40~60중량%, 투광도 향상용 메틸셀룰로오스 10~30중량%, 폴리아크릴산나트륨 10~20중량%, 카올린 10~20중량%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층이 형성된 건축용 내장재.
  4. 삭제
  5. 삭제
  6. 내장재 본체를 이루는 석고보드(10)의 일면에 1차코팅층(11)을 형성하는 1차코팅단계와;(ST 1)
    상기 1차코팅층(11)에 다양한 문양 또는 색상이 나타내어지는 인쇄층(20)을 형성하는 인쇄층 형성단계와;(ST 2)
    상기 인쇄층(20)의 보호를 위한 2차코팅층(21)을 UV코팅 형성하는 2차코팅단계;(ST 3)를 포함하며,
    상기 1차코팅층(11)은 에폭시 수지 55~75중량%에 석분 또는 황토분말이 15~30중량%, 카본 마이크로화이바 1~10중량%, 고점도 실리콘 1~5중량%,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5중량%, 올레핀 1~5중량%, 요소수지 1~3중량%, 이산화티탄 1~3중량%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층이 형성된 건축용 내장재 제조방법.
KR1020190041372A 2019-04-09 2019-04-09 인쇄층이 형성된 건축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31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372A KR102131605B1 (ko) 2019-04-09 2019-04-09 인쇄층이 형성된 건축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372A KR102131605B1 (ko) 2019-04-09 2019-04-09 인쇄층이 형성된 건축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605B1 true KR102131605B1 (ko) 2020-07-14

Family

ID=71526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372A KR102131605B1 (ko) 2019-04-09 2019-04-09 인쇄층이 형성된 건축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6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819B1 (ko) * 2022-01-06 2023-07-10 주식회사 국가대표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9442B1 (ko) 1997-02-17 1999-09-01 박정식 건축용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0423786Y1 (ko) 2006-05-29 2006-08-10 주식회사 한얼 건축내장재용 보드
KR100982670B1 (ko) * 2010-04-26 2010-09-16 주식회사 월자인 대 기공 촉매코팅 카본을 이용한 건축용 또는 인테리어용 마감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4196401A (ja) * 2013-03-29 2014-10-16 関西ペイント株式会社 遮熱性艶消し水性塗料組成物及び遮熱性艶消し塗膜形成方法
KR20170000677A (ko) * 2015-06-24 2017-01-03 (주)정원가디언 무기질 보드에 직접 인테리어 패턴을 인쇄한 불연 보드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인테리어 패턴 불연 보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9442B1 (ko) 1997-02-17 1999-09-01 박정식 건축용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0423786Y1 (ko) 2006-05-29 2006-08-10 주식회사 한얼 건축내장재용 보드
KR100982670B1 (ko) * 2010-04-26 2010-09-16 주식회사 월자인 대 기공 촉매코팅 카본을 이용한 건축용 또는 인테리어용 마감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4196401A (ja) * 2013-03-29 2014-10-16 関西ペイント株式会社 遮熱性艶消し水性塗料組成物及び遮熱性艶消し塗膜形成方法
KR20170000677A (ko) * 2015-06-24 2017-01-03 (주)정원가디언 무기질 보드에 직접 인테리어 패턴을 인쇄한 불연 보드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인테리어 패턴 불연 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819B1 (ko) * 2022-01-06 2023-07-10 주식회사 국가대표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1605B1 (ko) 인쇄층이 형성된 건축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JP2012192743A (ja) 化粧シート
JP2010082918A (ja) 化粧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化粧板
UA127688C2 (uk) Поверхня для фарбування
ITPI20090097A1 (it) Substrato patinato per la stampa e relativo metodo di produzione
JP5232734B2 (ja) 模様面の形成方法
JP2000135471A (ja) 装飾材の形成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塗材
JP2000343649A (ja) 化粧シート
EP1650179A3 (en) Method of decorating a ceramic or glass article
JP6867007B2 (ja) 床用化粧材
JP2003286768A (ja) 溝加工化粧材
JP5573986B2 (ja) 化粧シート
JP3243837U (ja) 突板による石垣模様を呈している化粧壁材。
JP3023186U (ja) 離型性シート付き建築物表面仕上用装飾材
JPS58107328A (ja) 石膏ボ−ド用化粧紙の製造法
JPH09323473A (ja) 化粧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42927Y1 (ko) 대리석전용 줄눈막음 전사지
KR100258897B1 (ko) 칼라무늬 석고 보드.
KR200361070Y1 (ko) 표면에 페트필름층을 갖는 목재패널
KR200359963Y1 (ko) 표면보호층을 갖는 장식지
JP2024050900A (ja) 面材の製造方法
CN205330065U (zh) 一种抛光砖装饰板材
JP4491465B2 (ja) 化粧シートの施工方法
JP2001348286A (ja) 建材の化粧方法
KR20020064754A (ko) 그림 또는 도안이 표현된 타일 및 타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