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978B1 - Ssc 해제시 기어단수 선정방법 및 선정장치 - Google Patents

Ssc 해제시 기어단수 선정방법 및 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978B1
KR102130978B1 KR1020140178179A KR20140178179A KR102130978B1 KR 102130978 B1 KR102130978 B1 KR 102130978B1 KR 1020140178179 A KR1020140178179 A KR 1020140178179A KR 20140178179 A KR20140178179 A KR 20140178179A KR 102130978 B1 KR102130978 B1 KR 102130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sc
pedal
selecting
ge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1012A (ko
Inventor
이형주
유재웅
전동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8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978B1/ko
Publication of KR20160071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2059/081Range selector apparatus using knops or discs for rotary range sel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SC 해제시 기어단수 선정방법 및 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SC 해제시 기어단수 선정방법은 SSC 해제 신호에 따라 주행중 차량의 시동을 켜는 SSC 해제 단계(S100); 상기 SSC 해제 단계(S100) 후, 엑셀페달 또는 브레이크페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페달작동여부 판단단계(S200); 및 상기 페달작동여부 판단단계(S200)후, 변속기에 입력할 기어의 단수를 선정하는 기어단수 선정단계(S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SSC 해제시 잦은 기어변속을 방지하여 운전성(Driva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엑셀 페달 입력은 운전자의 가속의지로 판단하여, SSC 해제시 기어단수를 저단 기어로 설정함으로써 가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 입력은 운전자의 정지 의지로 판단하여, SSC 해제시 기어단수를 고단 기어로 설정함으로써 연비 및 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SSC 해제시 기어단수 선정방법 및 선정장치{A SELECTION METHOD OF GEAR LEVEL WHEN SSC MODE OFF AND AN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SSC 해제시 기어단수 선정방법 및 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SSC 해제시 기존 기어 단수 맵과 운전자의 의지를 반영한 페달 정보를 고려하여 기어 단수를 선정하는 SSC 해제시 기어단수 선정방법 및 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공인된 인증 연비와 실제 도로 주행시 연비 간의 차이로 인하여, 소비자들의 불만이 가중되면서 실제 도로 주행시 연비 개선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고, 따라서 자동차 업계에서는 차량 시스템만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운전자의 운전조건, 주변 교통상황 및 도로 정보 등을 이용하여 실제 도로 주행시 연비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을 연구 및 개발하고 있다.
일 예로서, IT 및 교통정보를 활용하여 경제운전 경로를 탐색하고 안내하는 기술과, 도로의 경사정보 및 과거 주행패턴을 기억하여 효과적인 연비 운전을 안내하는 기술과, 도로 구배 및 교통 정보를 예측 및 판단하여 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 수준에 따라 충/방전을 제어하는 기술과, 맵(맵) 정보 DB를 이용하여 도착지까지의 경로와 교통정보를 기반으로 연료 소비가 최소화되도록 주행모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기술 등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연비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 중 하나로써, SSC(START/STOP COASTING)이 있다. 도 1은 SSC(START/STOP COASTING)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SSC는 타력주행(Coasting) 시 엔진에 연료공급을 차단하고(Fuel cut), 변속기의 동력전달을 차단(Clutch Off)하는 기술이다(도 1(a) 참조). 이에 따라 엔진 드래그 토크가 차단되므로 종래 차량에 비해 주행거리가 증가하게 된다(도 1(b) 참조).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SSC에서는 SSC 해제시 기존의 기어 단수 맵만을 사용하여 기어 단수를 선정하였으므로, 기어 단수 선정시 운전자의 요구조건을 반영하지 못하였고, 이에 따라 잦은 기어변속으로 인해 운전성(Drivability)이 감소하였다.
공개특허공보 제2006-0082176호 (2008.03.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SSC 해제시 기존 기어 단수 맵과 운전자의 의지에 따른 페달 정보를 고려하여 기어 단수를 선정할 수 있는 SSC 해제시 기어단수 선정방법 및 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SC 해제시 기어단수 선정방법은 SSC 해제 신호에 따라 주행중 차량의 시동을 켜는 SSC 해제 단계(S100); 상기 SSC 해제 단계(S100) 후, 엑셀페달 또는 브레이크페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페달작동여부 판단단계(S200); 및 상기 페달작동여부 판단단계(S200)후, 변속기에 입력할 기어의 단수를 선정하는 기어단수 선정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 SSC 해제시 기어단수 선정방법은 상기 기어단수 선정단계(S300)에서 선정된 기어 단수를 변속기에 입력하는 기어단수 입력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페달작동여부 판단단계(S200)는 엑셀페달이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엑셀페달 작동여부 판단단계(S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어단수 선정단계(S300)는 상기 엑셀페달 작동여부 판단단계(S210)에서 엑셀페달이 작동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기 저장된 기본 기어단수 맵에 의해 기어 단수를 선정한 후, 기 저장된 엑셀 페달 개도에 따른 기어 단수 보정 맵에 의해 기어 단수를 보정하는 제 1 기어단수 선정단계(S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페달작동여부 판단단계(S200)는 상기 엑셀페달 작동여부 판단단계(S210)에서 엑셀페달이 작동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브레이크페달이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브레이크페달 작동여부 판단단계(S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어단수 선정단계(S300)는 상기 브레이크페달 작동여부 판단단계(S220)에서 브레이크페달이 작동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기 저장된 SSC 시동기어단수 맵에 의해 변속기에 입력할 기어 단수를 선정하는 제 2 기어단수 선정단계(S3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어단수 선정단계(S300)는 상기 브레이크페달 작동여부 판단단계(S220)에서 브레이크페달이 작동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기 저장된 기본 기어단수 맵에 의해 변속기에 입력할 기어 단수를 선정하는 제 3 기어단수 선정단계(S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SSC 해제시 기어단수 선정장치는 차량 시동여부 감지부(110), 엑셀페달 작동여부 감지부(120), 브레이크페달 작동여부 감지부(130) 또는 엑셀페달 개도 감지부(14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감지부(100); 기본 기어단수 맵, SSC 시동기어단수 맵 또는 엑셀 페달 개도에 따른 기어 단수 보정 맵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메모리부(200); 상기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정보 및 상기 메모리부(20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변속기에 입력할 기어의 단수를 선정하는 ECU(300); 및 상기 ECU(300)에서 선정된 기어 단수가 입력되는 변속기(40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SSC 해제시 잦은 기어변속을 방지하여 운전성(Driva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엑셀 페달 입력은 운전자의 가속의지로 판단하여, SSC 해제시 기어단수를 저단 기어로 설정함으로써 가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 입력은 운전자의 정지 의지로 판단하여, SSC 해제시 기어단수를 고단 기어로 설정함으로써 연비 및 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SSC(START/STOP COASTING)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SC 해제시 기어단수 선정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SSC 해제시 기어단수 선정장치의 블록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SC 해제시 기어단수 선정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SC 해제시 기어단수 선정방법은 SSC 해제 단계(S100), 페달작동여부 판단단계(S200), 기어단수 선정단계(S300) 및 기어단수 입력단계(S400)를 포함한다.
SSC 해제 단계(S100)는 SSC 해제 신호에 따라 주행중 차량의 시동을 켜는 단계이다. 즉, SSC에 진입 및 해제하기 위해 기 설정된 조건이 존재하며, 그 중 SSC 진입조건을 만족하면, 엔진에 연료공급을 차단하고(Fuel cut), 차량 엔진의 시동을 끄게 된다. 또한, SSC 해제조건을 만족하면 엔진에 연료공급을 재개하고, 차량 엔진의 시동을 켜게 되는 것이다.
페달작동여부 판단단계(S200)는 상기 SSC 해제 단계(S100) 후, 엑셀페달 또는 브레이크페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종래기술과 달리 운전자의 의지를 고려하여 기어 단수를 선정하기 위함이다. 상기 페달작동여부 판단단계(S200)는 엑셀페달이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엑셀페달 작동여부 판단단계(S210) 및 상기 엑셀페달 작동여부 판단단계(S210)에서 엑셀페달이 작동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브레이크페달이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브레이크페달 작동여부 판단단계(S220)를 포함한다.
기어단수 선정단계(S300)는 상기 페달작동여부 판단단계(S200)후, 변속기에 입력할 기어의 단수를 선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기어단수 선정단계(S300)는 제 1 기어단수 선정단계(S310), 제 2 기어단수 선정단계(S3200) 및 제 3 기어단수 선정단계(S330)를 포함한다.
제 1 기어단수 선정단계(S310)는 상기 엑셀페달 작동여부 판단단계(S210)에서 엑셀페달이 작동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변속기에 입력할 기어의 단수를 선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 1 기어단수 선정단계(S310)는 기 저장된 기본 기어단수 맵에 의해 기어 단수를 선정한 후, 기 저장된 엑셀 페달 개도에 따른 기어 단수 보정 맵에 의해 기어 단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기본 기어단수 맵에 의해 기어 단수를 선정하고, 엑셀페달 작동여부 및 엑셀 페달 개도에 따른 운전자의 요구조건(가속의지)을 반영하여 선정된 기어 단수를 보정함으로서, 최종적으로 운전자의 요구조건(가속의지)을 반영한 기어 단수를 도출하는 것이다.
제 2 기어단수 선정단계(S320)는 상기 브레이크페달 작동여부 판단단계(S220)에서 브레이크페달이 작동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기 저장된 SSC 시동기어단수 맵에 의해 변속기에 입력할 기어 단수를 선정하는 단계이다. 즉, SSC 시동기어단수 맵에 의해 기어 단수를 선정하므로서, 운전자의 요구조건(정지 의지)을 반영한 기어 단수를 도출하는 것이다.
제 3 기어단수 선정단계(S330)는 상기 브레이크페달 작동여부 판단단계(S220)에서 브레이크페달이 작동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기 저장된 기본 기어단수 맵에 의해 변속기에 입력할 기어 단수를 선정하는 단계이다. 운전자가 엑셀페달 및 브레이크페달을 작동하지 않았으므로, 종래기술과 같이 현재의 주행상태를 반영한 기본 기어단수 맵에 의해 변속기에 입력할 기어 단수를 선정하면 족하기 때문이다.
종래기술에서는 기 저장된 기존 기어 단수 맵에 의해 변속기에 입력할 기어의 단수를 선정하였으므로, 운전자의 요구조건을 반영할 수 없었다. 따라서, SSC 해제 후 잦은 기어변속에 따라 운전성(Drivability)이 저하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SC 해제시 기어단수 선정방법에서는 기어단수 선정단계(S300)에서 기존 기어 단수 맵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의지에 따른 페달 정보를 고려하여 기어 단수를 선정할 수 있으므로, SC 해제시 잦은 기어변속을 방지하여 운전성(Driva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엑셀 페달 입력은 운전자의 가속의지로 판단하여, SSC 해제시 기어단수를 저단 기어로 설정함으로써 가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 입력은 운전자의 정지 의지로 판단하여, SSC 해제시 기어단수를 고단 기어로 설정함으로써 연비 및 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어단수 입력단계(S400)는 상기 기어단수 선정단계(S300)에서 선정된 기어 단수를 변속기에 입력하는 단계이다. 즉, SSC 해제에 따라 엔진 구동력에 의해 주행을 재시작하기 위해 선정된 기어 단수를 변속기에 입력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SSC 해제시 기어단수 선정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SSC 해제시 기어단수 선정장치는 감지부(100), 메모리부(200), ECU(300) 및 변속기(400)를 포함한다.
감지부(100)는 차량 시동여부 감지부(110), 엑셀페달 작동여부 감지부(120), 브레이크페달 작동여부 감지부(130) 또는 엑셀페달 개도 감지부(14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차량 시동여부 감지부(110)는 SSC 해제여부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고, 엑셀페달 작동여부 감지부(120) 및 엑셀페달 개도 감지부(140)는 운전자의 가속 의지 및 그 정도를 감지하며, 브레이크페달 작동여부 감지부(130)는 운전자의 정지 의지를 감지한다.
메모리부(200)는 기본 기어단수 맵, SSC 시동기어단수 맵 또는 엑셀 페달 개도에 따른 기어 단수 보정 맵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한다. 기본 기어단수 맵, SSC 시동기어단수 맵 또는 엑셀 페달 개도에 따른 기어 단수 보정 맵은 시험에 따른 데이터를 매핑(맵PING)하여 도출될 수 있다.
ECU(300)는 상기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정보 및 상기 메모리부(20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변속기에 입력할 기어의 단수를 선정하고, 이에 따라 변속기(40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변속기(400)는 상기 ECU(300)에서 선정된 기어 단수가 입력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감지부(100)에서 감지되어, 상기 ECU(300)에서 판단된 운전자의 의지에 따라 저단 기어 또는 고단 기어가 입력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0 감지부
110 차량 시동여부 감지부
120 엑셀페달 작동여부 감지부
130 브레이크페달 작동여부 감지부
140 엑셀페달 개도 감지부
200 메모리부
300 ECU
400 변속기

Claims (8)

  1. SSC 해제 신호에 따라 주행중 차량의 시동을 켜는 SSC 해제 단계(S100);
    상기 SSC 해제 단계(S100) 후, 엑셀페달 또는 브레이크페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페달작동여부 판단단계(S200); 및
    상기 페달작동여부 판단단계(S200)후, 변속기에 입력할 기어의 단수를 선정하는 기어단수 선정단계(S300); 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단수 선정단계(S300)는 상기 페달작동여부 판단단계(S200) 중 엑셀페달이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엑셀페달 작동여부 판단단계(S210)에서엑셀페달이 작동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기 저장된 기본 기어단수 맵에 의해 기어 단수를 선정한 후, 상기 기어 단수를 선정된 기어 단수로 하여 기 저장된 엑셀 페달 개도에 따른 기어 단수 보정 맵에 의해 기어 단수 보정이 이루어지는 제 1 기어단수 선정단계(S310)
    를 포함하는 SSC 해제시 기어단수 선정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단수 선정단계(S300)에서 선정된 기어 단수를 변속기에 입력하는 기어단수 입력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SC 해제시 기어단수 선정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작동여부 판단단계(S200)는 상기 엑셀페달 작동여부 판단단계(S210)에서 엑셀페달이 작동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브레이크페달이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브레이크페달 작동여부 판단단계(S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SC 해제시 기어단수 선정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단수 선정단계(S300)는 상기 브레이크페달 작동여부 판단단계(S220)에서 브레이크페달이 작동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기 저장된 SSC 시동기어단수 맵에 의해 변속기에 입력할 기어 단수를 선정하는 제 2 기어단수 선정단계(S3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SC 해제시 기어단수 선정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단수 선정단계(S300)는 상기 브레이크페달 작동여부 판단단계(S220)에서 브레이크페달이 작동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기 저장된 기본 기어단수 맵에 의해 변속기에 입력할 기어 단수를 선정하는 제 3 기어단수 선정단계(S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SC 해제시 기어단수 선정방법.



  8. 삭제
KR1020140178179A 2014-12-11 2014-12-11 Ssc 해제시 기어단수 선정방법 및 선정장치 KR102130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179A KR102130978B1 (ko) 2014-12-11 2014-12-11 Ssc 해제시 기어단수 선정방법 및 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179A KR102130978B1 (ko) 2014-12-11 2014-12-11 Ssc 해제시 기어단수 선정방법 및 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012A KR20160071012A (ko) 2016-06-21
KR102130978B1 true KR102130978B1 (ko) 2020-07-07

Family

ID=56353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179A KR102130978B1 (ko) 2014-12-11 2014-12-11 Ssc 해제시 기어단수 선정방법 및 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97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1592A (ja) * 2010-10-25 2012-05-17 Toyota Motor Corp 車両用駆動システム
JP2012112461A (ja) * 2010-11-25 2012-06-14 Jatco Ltd コーストストップ車両及びコーストストップ車両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2176A (ko) 2005-01-11 2006-07-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1592A (ja) * 2010-10-25 2012-05-17 Toyota Motor Corp 車両用駆動システム
JP2012112461A (ja) * 2010-11-25 2012-06-14 Jatco Ltd コーストストップ車両及びコーストストップ車両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012A (ko) 201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3759B2 (en) Method and system of controlling shift for vehicle
US8204665B2 (en) Vehicle controller,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4044574B (zh) 当接近受控的交叉路口时控制自动起停车辆
JP2008296798A (ja) 車両の制御装置
US9121721B2 (en) Navigation method and navigation device
US9376120B2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tarting of vehicle
US8676483B2 (en) Guidance control device, guidance control method, and guidance control program
US10400888B2 (en) Control of a multi-speed vehicle transmission
US11681290B2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EP3530538B1 (en) 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control method
JP6481535B2 (ja) 惰性走行制御方法及び惰性走行制御装置
JP5874822B2 (ja) 車両用走行支援装置
KR101704196B1 (ko) 도로경사변화율에 따른 ssc 진입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JP2009129230A (ja) 車両用走行支援装置
JP2010053867A (ja) 内燃機関を自動投入/遮断するためのエンジン起動/停止ユニット
US20210088131A1 (en) Vehicle control device
JP2009030571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JP2015113075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KR101673765B1 (ko) Ssc 해제시 기어단수 선정방법 및 선정장치
KR102130978B1 (ko) Ssc 해제시 기어단수 선정방법 및 선정장치
KR20160131649A (ko) Ssc 해제시 재시동방법 및 장치
KR101673766B1 (ko) Ssc 진입 또는 해제 지연방법 및 장치
KR102212554B1 (ko)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JP2010181364A (ja) ナビゲーション連携車両制御システム
KR20170119412A (ko) 차량 제동시 ssc 해제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