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554B1 -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554B1
KR102212554B1 KR1020150083168A KR20150083168A KR102212554B1 KR 102212554 B1 KR102212554 B1 KR 102212554B1 KR 1020150083168 A KR1020150083168 A KR 1020150083168A KR 20150083168 A KR20150083168 A KR 20150083168A KR 102212554 B1 KR102212554 B1 KR 102212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sc
preset
speed
vehicle speed
determining wh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6212A (ko
Inventor
서유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3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554B1/ko
Publication of KR20160146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72Co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60W2030/1807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38Engine speed
    • B60W2510/0647Coasting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8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554/801Lateral 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5/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exterior condition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52/00, B60W2554/00
    • B60W2555/20Ambient conditions, e.g. wind or 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5/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exterior condition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52/00, B60W2554/00
    • B60W2555/40Altitu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710/0644Engine speed
    • B60W2710/0655Coasting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54/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754/1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754/30Longitudinal dis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4Data processing systems or methods, management, admin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은 경제운전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S100); 경제운전모드인 경우에는 외부환경조건을 측정하는 단계(S200); 측정된 외부환경조건이 기 설정된 SSC(START/STOP COASTING)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300); 측정된 외부환경조건이 기 설정된 SSC 진입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AUTO CRUISE/ SPEED LIMITER의 목표차속과 현재차속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1 기준값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S400); 및 AUTO CRUISE/ SPEED LIMITER의 목표차속과 현재차속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1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SSC에 진입하거나 SSC 진입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불필요한 타력주행(Coasting)의 해제 및 재진입을 방지하여, 연비 개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SSC CONTROL METHOD ACCORDING TO EXTERNAL ENVIRONMENT AND SSC CONTROL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불필요한 타력주행(Coasting)의 해제 및 재진입을 방지하여, 연비 개선 효과를 극대화하는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공인된 인증 연비와 실제 도로 주행시 연비 간의 차이로 인하여, 소비자들의 불만이 가중되면서 실제 도로 주행시 연비 개선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고, 따라서 자동차 업계에서는 차량 시스템만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운전자의 운전조건, 주변 교통상황 및 도로 정보 등을 이용하여 실제 도로 주행시 연비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을 연구 및 개발하고 있다.
일 예로서, IT 및 교통정보를 활용하여 경제운전 경로를 탐색하고 안내하는 기술과, 도로의 경사정보 및 과거 주행패턴을 기억하여 효과적인 연비 운전을 안내하는 기술과, 도로 구배 및 교통 정보를 예측 및 판단하여 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 수준에 따라 충/방전을 제어하는 기술과, 맵(Map) 정보 DB를 이용하여 도착지까지의 경로와 교통정보를 기반으로 연료 소비가 최소화되도록 주행모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기술 등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연비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 중 하나로써, SSC(START/STOP COASTING)이 있다. 도 1은 SSC(START/STOP COASTING)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SSC는 타력주행(Coasting) 시 엔진에 연료공급을 차단하고(Fuel cut), 변속기의 동력전달을 차단(Clutch Off)하는 기술이다(도 1(a) 참조). 이에 따라 엔진 드래그 토크가 차단되므로 종래 차량에 비해 주행거리가 증가하게 된다(도 1(b) 참조).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SSC 작동요건에서는 브레이크신호 또는 가속신호 발생 즉시 타력주행(Coasting)이 해제되었다. 따라서, 운전자의 실수 또는 조작미숙 등으로 인한 타력주행(Coasting) 해제에 따라 연비 개선 효과가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잦은 SSC 진입 및 해제에 따라 재시동소음으로 인한 감성 품질 저하 및 관련부품의 내구성능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131948호 (2013.05.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외부 주행 환경에 따라 타력주행(Coasting)의 진입 또는 해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은 경제운전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S100); 경제운전모드인 경우에는 외부환경조건을 측정하는 단계(S200); 측정된 외부환경조건이 기 설정된 SSC(START/STOP COASTING)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300); 측정된 외부환경조건이 기 설정된 SSC 진입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AUTO CRUISE/ SPEED LIMITER의 목표차속과 현재차속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1 기준값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S400); 및 AUTO CRUISE/ SPEED LIMITER의 목표차속과 현재차속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1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SSC에 진입하거나 SSC 진입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은 AUTO CRUISE/ SPEED LIMITER의 목표차속과 현재차속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1 기준값 미만이 아닌 경우에는 SSC 진입상태를 해제하거나, SSC 미진입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은 측정된 외부환경조건이 기 설정된 SSC 진입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AUTO CRUISE/ SPEED LIMITER의 목표차속과 현재차속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2 기준값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S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은 AUTO CRUISE/ SPEED LIMITER의 목표차속과 현재차속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2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SSC에 진입하거나 SSC 진입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50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은 AUTO CRUISE/ SPEED LIMITER의 목표차속과 현재차속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2 기준값 미만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SSC 진입상태를 해제하거나, SSC 미진입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60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기준값은 상기 제 2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환경조건을 측정하는 단계(S200)는 전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S210); 레인센서로 우천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220); 헤드램프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230); 고도를 측정하는 단계(S240); 차량 외부 기온을 측정하는 단계(S250); 차량의 평균속도를 측정하는 단계(S260); 차량의 속도변화량을 측정하는 단계(S270); 및 차량의 조향각도를 측정하는 단계(S28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정된 외부환경조건이 기 설정된 SSC(START/STOP COASTING)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300)는 측정된 전후방 차량과의 최소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거리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S310); 우천상황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단계(S320); 헤드램프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30); 측정된 고도가 기 설정된 기준고도 미만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단계(S340); 측정된 차량 외부 기온이 기 설정된 제 1 기준온도를 초과하고, 기 설정된 제 2 기준온도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S350); 측정된 차량의 평균속도가 기 설정된 제 1 기준속도를 초과하고, 기 설정된 제 2 기준속도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S360); 측정된 차량의 속도변화량이 기 설정된 기준속도변화량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S370); 또는 측정된 조향각도가 기 설정된 기준조향각도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S38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저장매체는 상기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이 저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장치는 상기 저장매체(100); 차량의 외부 환경 조건을 측정 및 감지하는 감지부(200); 및 상기 감지부(200)에서 측정 및 감지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매체(100)에 저장된 상기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에 따라, 피제어부(400)를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200)는 경제운전모드 감지부(210), 전후방 차량과의 거리측정부(220), 레인센서(230), 헤드램프 작동감지부(240), 고도 센서(250), 차량의 외부기온센서(260), 차량의 평균차속 측정부(270), 차량의 속도변화량 측정부(280) 또는 조향각도 측정부(29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제어부(400)는 내부에 연료가 분사되는 엔진(410); 및 상기 엔진(410)과 변속기(T)를 체결 또는 분리하는 클러치(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불필요한 타력주행(Coasting)의 해제 및 재진입을 방지하여, 연비 개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잦은 재시동을 방지하여, 재시동 소음저감을 통한 감성 품질 향상 및 관련부품의 내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SSC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
도 2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장치의 블록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은 경제운전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S100); 경제운전모드인 경우에는 외부환경조건을 측정하는 단계(S200); 측정된 외부환경조건이 기 설정된 SSC(START/STOP COASTING)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300); 측정된 외부환경조건이 기 설정된 SSC 진입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AUTO CRUISE/ SPEED LIMITER의 목표차속과 현재차속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1 기준값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S400); 및 AUTO CRUISE/ SPEED LIMITER의 목표차속과 현재차속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1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SSC에 진입하거나 SSC 진입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상기 경제운전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S100)에서는 운전자가 AUTO CRUISE/ SPEED LIMITER 스위치를 작동시켰는지 여부 등에 따라, 운전자의 SSC 진입 의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종래기술에서는 SSC 진입조건으로서 엑셀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이 없고, 일정 차속이상일 것을 요구하였으나, 본원발명에서는 상기 조건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운전자의 SSC 진입 의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외부환경조건을 측정하는 단계(S200)는 전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S210); 레인센서로 우천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220); 헤드램프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230); 고도를 측정하는 단계(S240); 차량 외부 기온을 측정하는 단계(S250); 차량의 평균속도를 측정하는 단계(S260); 차량의 속도변화량을 측정하는 단계(S270); 및 차량의 조향각도를 측정하는 단계(S28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종래기술에서는 SSC 진입조건으로서 엑셀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이 없고, 일정 차속이상일 것을 요구하였으나, 본원발명에서는 상기 조건을 요구하지 않고 외부환경조건에 따라 SSC 진입 여부를 판단하므로, 판단에 요구되는 외부환경조건을 측정하는 것이다. 상기 S210 내지 S280 단계는 각각 수행될 수도 있고, 복수의 단계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측정된 외부환경조건이 기 설정된 SSC(START/STOP COASTING)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300)는 측정된 전후방 차량과의 최소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거리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S310); 우천상황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단계(S320); 헤드램프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30); 측정된 고도가 기 설정된 기준고도 미만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단계(S340); 측정된 차량 외부 기온이 기 설정된 제 1 기준온도를 초과하고, 기 설정된 제 2 기준온도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S350); 측정된 차량의 평균속도가 기 설정된 제 1 기준속도를 초과하고, 기 설정된 제 2 기준속도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S360); 측정된 차량의 속도변화량이 기 설정된 기준속도변화량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S370); 또는 측정된 조향각도가 기 설정된 기준조향각도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S38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정된 전후방 차량과의 최소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거리 이하인 경우에는 차량의 즉각적인 제어가 요구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SSC를 해제하여 엔진을 재시동시킴으로써 이를 대비하는 것이다. 상기 기 설정된 기준거리는 차량의 종류, 엔진배기량 또는 브레이크성능 등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우천상황에서는 브레이크의 성능이 저하되므로, SSC를 해제하여 엔진을 재시동시킴으로써 비상상황에 대비한다. 야간주행 또는 안개구간 주행시에는 운전자의 장애물 인지능력이 저하되므로, SSC를 해제하여 엔진을 재시동시킴으로써 비상상황에 대비한다. 야간주행여부 등은 헤드램프의 작동여부에 의해 판단된다.
또한, 일정고도 이상에서는 기압이 낮아 브레이크의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SSC를 해제하여 엔진을 재시동시킴으로써 비상상황에 대비한다. 상기 기 설정된 기준고도는 차량의 종류, 엔진배기량 또는 브레이크성능 등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차량 외부 기온이 고온 조건에서는 브레이크의 성능이 저하되고, 브레이크의 파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저온 조건에서는 빙판이 생성되므로 브레이크의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고온조건 또는 저온조건에서는 SSC를 해제하여 엔진을 재시동시킴으로써 비상상황에 대비한다. 상기 기 설정된 제 1 기준온도 및 기 설정된 제 2 기준온도는 차량의 종류, 엔진배기량 또는 브레이크성능 등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정속유지시간(차량의 평균속도, 속도 변화량 또는 조향각도 등으로부터 도출)에 따라 도로 상황(시내/국도/고속도로)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속도 변화량 및 조향각도는 고속도로가 가장 적고, 국도, 시내 순으로 증가한다. 또한, 평균차속은 시내에서 가장 적고, 국도 고속도로 순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정속유지시간이 짧은 시내에서는 SSC를 해제하여 엔진을 재시동시킴으로써 차량의 속도변화 또는 조향각도 변화 등에 대비한다. 상기 기 설정된 제 1 기준속도, 기 설정된 제 2 기준속도, 기 설정된 기준속도변화량 및 기 설정된 기준조향각도는 차량의 종류, 엔진배기량 또는 브레이크성능 등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S310 내지 S380 단계는 각각 수행될 수도 있고, 복수의 단계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S310 내지 S380 단계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S400 단계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UTO CRUISE/ SPEED LIMITER의 목표차속과 현재차속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1 기준값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S400)에서는 운전자의 SSC 유지 의지를 판단한다. 이때, AUTO CRUISE/ SPEED LIMITER의 목표차속과 현재차속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1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SSC에 진입하거나 SSC 진입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500)를 수행하고, AUTO CRUISE/ SPEED LIMITER의 목표차속과 현재차속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1 기준값 미만이 아닌 경우에는 SSC 진입상태를 해제하거나, SSC 미진입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600)를 수행한다.
즉, 운전자가 설정해놓은 AUTO CRUISE/ SPEED LIMITER의 목표차속과 현재차속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1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목표차속과 현재차속의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SSC에 진입하거나 SSC 진입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운전자가 설정해놓은 AUTO CRUISE/ SPEED LIMITER의 목표차속과 현재차속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1 기준값 미만이 아닌 경우에는 목표차속과 현재차속의 차이가 크므로, SSC 진입상태를 해제하거나, SSC 미진입상태를 유지하여 운전자의 가속에 대비하는 것이다.
상기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은 측정된 외부환경조건이 기 설정된 SSC 진입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AUTO CRUISE/ SPEED LIMITER의 목표차속과 현재차속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2 기준값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S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은 AUTO CRUISE/ SPEED LIMITER의 목표차속과 현재차속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2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SSC에 진입하거나 SSC 진입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50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은 AUTO CRUISE/ SPEED LIMITER의 목표차속과 현재차속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2 기준값 미만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SSC 진입상태를 해제하거나, SSC 미진입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60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측정된 외부환경조건이 기 설정된 SSC 진입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도 운전자의 SSC 유지 의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운전자가 설정해놓은 AUTO CRUISE/ SPEED LIMITER의 목표차속과 현재차속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2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목표차속과 현재차속의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SSC에 진입하거나 SSC 진입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운전자가 설정해놓은 AUTO CRUISE/ SPEED LIMITER의 목표차속과 현재차속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2 기준값 미만이 아닌 경우에는 목표차속과 현재차속의 차이가 크므로, SSC 진입상태를 해제하거나, SSC 미진입상태를 유지하여 운전자의 가속에 대비한다.
상기 제 1 기준값은 상기 제 2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기준값 및 상기 제 2 기준값은 수치가 클수록 타력주행(COASTING)에 따른 연비 성능 향상 효과가 크지만 안정성이 저하되므로, 상기 제 1 기준값 및 상기 제 2 기준값은 차량의 종류, 엔진배기량 또는 브레이크성능 등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2 및 도 13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장치는 상기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이 저장된 저장매체(100); 차량의 외부 환경 조건을 측정 및 감지하는 감지부(200); 및 상기 감지부(200)에서 측정 및 감지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매체(100)에 저장된 상기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에 따라, 피제어부(400)를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200)는 경제운전모드 감지부(210), 전후방 차량과의 거리측정부(220), 레인센서(230), 헤드램프 작동감지부(240), 고도 센서(250), 차량의 외부기온센서(260), 차량의 평균차속 측정부(270), 차량의 속도변화량 측정부(280) 또는 조향각도 측정부(29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제어부(400)는 내부에 연료가 분사되는 엔진(410); 및 상기 엔진(410)과 변속기(T)를 체결 또는 분리하는 클러치(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서 살펴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0 저장매체
200 감지부
210 경제운전모드 감지부
220 전후방 차량과의 거리측정부
230 레인센서
240 헤드램프 작동감지부
250 고도 센서
260 차량의 외부기온센서
270 차량의 평균차속 측정부
280 차량의 속도변화량 측정부
290 조향각도 측정부
300 제어부
400 피제어부
410 엔진
420 클러치

Claims (12)

  1. 경제운전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S100);
    경제운전모드인 경우에는 외부환경조건을 측정하는 단계(S200);
    측정된 외부환경조건이 기 설정된 SSC(START/STOP COASTING)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300);
    측정된 외부환경조건이 기 설정된 SSC 진입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AUTO CRUISE/ SPEED LIMITER의 목표차속과 현재차속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1 기준값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S400);
    AUTO CRUISE/ SPEED LIMITER의 목표차속과 현재차속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1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SSC에 진입하거나 SSC 진입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500);
    AUTO CRUISE/ SPEED LIMITER의 목표차속과 현재차속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1 기준값 미만이 아닌 경우에는 SSC 진입상태를 해제하거나, SSC 미진입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600); 및
    측정된 외부환경조건이 기 설정된 SSC 진입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AUTO CRUISE/ SPEED LIMITER의 목표차속과 현재차속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2 기준값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S700);를 포함하고,
    AUTO CRUISE/ SPEED LIMITER의 목표차속과 현재차속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2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SSC에 진입하거나 SSC 진입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50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AUTO CRUISE/ SPEED LIMITER의 목표차속과 현재차속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2 기준값 미만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SSC 진입상태를 해제하거나, SSC 미진입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60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값은 상기 제 2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환경조건을 측정하는 단계(S200)는
    전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S210);
    레인센서로 우천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220);
    헤드램프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230);
    고도를 측정하는 단계(S240);
    차량 외부 기온을 측정하는 단계(S250);
    차량의 평균속도를 측정하는 단계(S260);
    차량의 속도변화량을 측정하는 단계(S270); 및
    차량의 조향각도를 측정하는 단계(S28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외부환경조건이 기 설정된 SSC(START/STOP COASTING)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300)는
    측정된 전후방 차량과의 최소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거리 이하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단계(S310);
    우천상황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단계(S320);
    헤드램프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30);
    측정된 고도가 기 설정된 기준고도 미만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단계(S340);
    측정된 차량 외부 기온이 기 설정된 제 1 기준온도를 초과하고, 기 설정된 제 2 기준온도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S350);
    측정된 차량의 평균속도가 기 설정된 제 1 기준속도를 초과하고, 기 설정된 제 2 기준속도 미만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단계(S360);
    측정된 차량의 속도변화량이 기 설정된 기준속도변화량 미만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단계(S370); 또는
    측정된 조향각도가 기 설정된 기준조향각도 미만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단계(S38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
  9. 제 1항, 제5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이 저장된 저장매체.
  10. 제 9항의 저장매체(100);
    차량의 외부 환경 조건을 측정 및 감지하는 감지부(200); 및
    상기 감지부(200)에서 측정 및 감지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매체(100)에 저장된 상기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에 따라, 피제어부(400)를 제어하는 제어부(300);
    를 포함하는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200)는 경제운전모드 감지부(210), 전후방 차량과의 거리측정부(220), 레인센서(230), 헤드램프 작동감지부(240), 고도 센서(250), 차량의 외부기온센서(260), 차량의 평균차속 측정부(270), 차량의 속도변화량 측정부(280) 또는 조향각도 측정부(29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부(400)는 내부에 연료가 분사되는 엔진(410); 및
    상기 엔진(410)과 변속기(T)를 체결 또는 분리하는 클러치(4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장치.
KR1020150083168A 2015-06-12 2015-06-12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KR102212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168A KR102212554B1 (ko) 2015-06-12 2015-06-12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168A KR102212554B1 (ko) 2015-06-12 2015-06-12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212A KR20160146212A (ko) 2016-12-21
KR102212554B1 true KR102212554B1 (ko) 2021-02-05

Family

ID=57734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168A KR102212554B1 (ko) 2015-06-12 2015-06-12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5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98841A (zh) * 2019-12-27 2020-05-05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停机滑行控制方法、存储介质及车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9538A (ja) * 2009-01-23 2010-08-05 Masahiro Watanabe 通信型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2131292A (ja) * 2010-12-20 2012-07-12 Daimler Ag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の制御装置
JP2012219986A (ja) * 2011-04-13 2012-11-12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車両の走行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850B1 (ko) 2012-05-25 2014-01-24 주식회사 만도 전자제어 브레이크 시스템
KR101509700B1 (ko) * 2013-07-08 2015-04-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운전자 지원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9538A (ja) * 2009-01-23 2010-08-05 Masahiro Watanabe 通信型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2131292A (ja) * 2010-12-20 2012-07-12 Daimler Ag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の制御装置
JP2012219986A (ja) * 2011-04-13 2012-11-12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車両の走行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212A (ko)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1997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for switching from a manual drive mode to self-drive mode
US9886852B2 (en) Automatic driving device
US96319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route for efficient energy consumption
US20100315217A1 (en) Driving support device and program
JP6802222B2 (ja) ピーク効率の勧告および共有
US9014954B2 (en) Traffic control system, vehicle control system, and traffic control method
US9121721B2 (en) Navigation method and navigation device
KR20170131375A (ko) 변하는 도로 상태들에 따라 차량들을 보조하는 기술들
JP7180126B2 (ja) 走行制御装置
WO1999058359A1 (fr) Vehicule, dispositif et procede de commande du roulage de ce dernier
US20120179357A1 (en) Roadway information use for engine start/stop system
US20190220008A1 (en) Vehicle travel control apparatus
CN110949375B (zh) 信息处理系统以及服务器
US20150241228A1 (en) Travel support device, travel support method, and drive support system
CN110072751B (zh) 汽车的行驶控制装置和汽车的行驶控制系统
CN102862571A (zh) 自动控制两个车辆之间的距离的系统和方法
JP4978439B2 (ja) 車両用走行支援装置
JP3412553B2 (ja) 自動走行制御装置
KR101704196B1 (ko) 도로경사변화율에 따른 ssc 진입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JP2013233832A (ja)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GB2516690A (en) Vehicle emission control
KR102212554B1 (ko) 외부환경에 따른 ssc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US10392001B2 (en) Efficient acceleration semi-autonomous feature
US11279360B2 (en) Autonomous driving system
CN110869989A (zh) 产生超车概率集的方法、操作机动车辆的控制装置的方法、超车概率收集装置和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