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241B1 - 빙상용 썰매 - Google Patents

빙상용 썰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241B1
KR102130241B1 KR1020190002553A KR20190002553A KR102130241B1 KR 102130241 B1 KR102130241 B1 KR 102130241B1 KR 1020190002553 A KR1020190002553 A KR 1020190002553A KR 20190002553 A KR20190002553 A KR 20190002553A KR 102130241 B1 KR102130241 B1 KR 102130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d
support
ice
seat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구
Original Assignee
강명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구 filed Critical 강명구
Priority to KR1020190002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2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3/00Sledges with runners
    • B62B13/02Sledges with runner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runners
    • B62B13/06Sledges with runner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runners arranged in two or more parallel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7/00Accessories or details of sledges
    • B62B17/06Superstructures; Attachments therefor
    • B62B17/063Seats or other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the user
    • B62B17/065Seats or other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the user the user being standing 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썰매를 탈 수 있어 사용상에 편리함을 도모함과 아울러 썰매의 하부와 빙상면의 접촉면을 최소화하여 썰매의 속도와 방향전환이 자유로워 초보자나 어린이 등에 운동효과 및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는 빙상용 썰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빙상용 썰매는 "∨" 자 형상을 가지며, 양측에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서 하부로 모여지게 형성된 날부와, 상기 고정편과 날부의 전방에 상방향으로 돌출된 절곡부와, 내측에 고정홈이 구비된 2개가 한조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설치되며, 내측에 신발 안착홈을 갖는 안착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빙상용 썰매{Sled for on the ice}
본 발명은 빙상용 썰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빙상에서 썰매를 탈 수 있는 빙상용 썰매에 관한 것이다.
선출원1 " 외발썰매 "는 두발을 얹어 놓을 수 있는 썰매본체의 저면 중앙에 전후 방향으로 보강후육부를 형성하고, 이 보강후육부의 전,후에 브래키트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브래키트에는 롤러나 지지대를 가진 스케이트쇠날을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것이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선출원2 "인라인 썰매 및 그를 이용한 인라인 썰매 장치는 인라인 썰매와 폴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며, 인라인 썰매는, 상면에 너비 방향으로 제 1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제 1 패널; 상기 제 1 패널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 1 슬라이드 홈과 너비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제 2 패널; 상기 제 1 패널의 저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되며, 수직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 홀이 복수 개 형성된 지지 프레임; 바퀴를 수용하고, 제 1 가이드 핀을 측벽에 대응되게 구비하며, 상기 제 1 가이드핀이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지지 프레임에 수용되며, 소정 각 좌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결합된 제 1 프레임; 복수 개의 바퀴를 수용하고, 제 2 가이드 핀들이 측벽에 대응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 2 가이드 핀들이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지지 프레임에 수용되며,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결합된 제 2 프레임; 및 상기 제 1 슬라이드 홈과 상기 제 2 슬라이드 홈에 끼워져서 상기 제 1 패널 및 상기 제 2 패널의 수평 상태를 지지하는 슬라이드 빔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선출원1,2 발명들은 썰매의 하부에 일방향으로 롤러가 구비된 것으로, 처음 출발과 정지시키는 과정이 어려워 초보자나 어린이 등이 손쉽게 썰매를 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썰매를 출발 또는 정지하거나, 썰매를 타는 과정에서 균형 감각이 요구되어 자칫 잘못하면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한 선출원2는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원가 상승됨과 아울러 제품의 조립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공고 제1994-0007188호 특허등록 제10-0633053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썰매를 탈 수 있어 사용상에 편리함을 도모함과 아울러 썰매의 하부와 빙상면의 접촉면을 최소화하여 썰매의 속도와 방향전환이 자유로워 초보자나 어린이 등에 운동효과 및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는 빙상용 썰매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빙상용 썰매는 "∨" 자 형상을 가지며, 양측에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서 하부로 모여지게 형성된 날부와, 상기 고정편과 날부의 전방에 상방향으로 돌출된 절곡부와, 내측에 고정홈이 구비된 2개가 한조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설치되며, 내측에 신발 안착홈을 갖는 안착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빙상용 썰매는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썰매를 탈 수 있어 사용상에 편리함을 도모함과 아울러 썰매의 하부와 빙상면의 접촉면을 최소화하여 썰매의 속도와 방향전환이 자유로워 초보자나 어린이 등에 운동효과 및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빙상용 썰매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빙상용 썰매의 착용상태를 보인 일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빙상용 썰매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빙상용 썰매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빙상용 썰매는 빙상에 접촉되는 날부(12)가 구비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받침부(20)와, 상기 받침부(20)에 설치되는 안착부(30)와, 상기 안착부(30)에 설치되며 신발을 고정하는 고정띠(4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양측에 지지편(21)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편(21)에서 하부로 모여지는 날부(12)가 형성되며, 전방에 상방향으로 절곡부(13)가 돌출되며, 내측에 고정홈(14)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편(21)과 날부(12)는 대략 단면이 'V'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날부(12)는 빙상의 표면에 접촉되는 부분이 뽀족하거나 약간 곡면지게 형성되어 빙상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속도감을 줄길 수 있고, 특히 썰매의 방향 전환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20)는 몸체(10)의 내측면에 안착되는 지지편(2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에 설치되는 받침판(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판(22)에는 적소에 복수의 결합공(23)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편(21)은 몸체(10)의 고정홈(14) 내측에 안착되어, 상기 몸체(10)와 받침부(20)의 체결상태가 한층 더 견고하게 유지된다.
상기 안착부(30)는 신발 형상으로 가지며, 내측에 안착홈(33)이 형성되며, 전,후방부재(32)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홈(33)은 신발 형상으로 구비되고, 신발의 바닥면이 안착고정한다.
상기 전방부재(31)는 받침판(22)의 상부에 고정되고, 전방 상부면에 지지턱(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부재(32)는 전방부재(31)의 후단부에서 상기 받침판(22)의 상부면을 따라 일정각격 전,후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안착홈(33)의 공간을 확보하여 신발의 싸이즈를 선택적으로 맞출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띠(40)는 천, 가죽 등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상응하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띠(40)는 소정의 신축성이 부여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띠(40)와 안착부(30)에는 분리가능하게 벨크로화스너(50)가 구비된다.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빙상용 썰매는 몸체(10)에 상기 받침부(20)를 안착시키면 상기 몸체(10)의 고정홈(14)에 상기 받침부(20)의 지지편(21)이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몸체(10)의 양측 고정편(11)에 상기 받침판(22)의 저면이 지지된다. 이어서 상기 몸체(10)의 고정공(15)에 고정수단(60)을 체결하여 상기 받침부(20)의 지지편(21)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몸체(10)의 양측 고정편(11)과 받침판(22)의 저면을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 받침부(20)의 상부에 안착부(30)를 안착시킨 후, 상기 받침판(22)의 결합공(23)에 고정수단(60)을 체결하여 상기 안착부(30)의 저면에 체결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한쪽 상기 안착부(30)의 안착홈(33)에 신발을 안착시킨 후, 상기 고정띠(40)측 벨크로화스너(50)를 잡아당기여 상기 안착부(30)측 벨크로화스너(50)에 고정한다. 이어서 스틱이나 볼 등을 이용하여 중심을 잡은 후, 다른쪽 상기 안착부(30)의 안착홈(33)에 신발을 안착기킨 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신발을 고정한다. 이어 상기 스틱이나 볼 등을 이용하여 후방으로 밀면 상기 몸체(10)의 날부(12)가 빙상면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이동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썰매를 탈 수 있어 사용상에 편리함을 도모함과 아울러 썰매의 하부와 빙상면의 접촉면을 최소화하여 썰매의 속도와 방향 전환이 자유로워 초보자나 어린이 등에 운동효과 및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빙상용 썰매는 상기에서 중복된 설명은 하지 않으며, 상기 받침부(20)의 받침판(22) 상부에 부츠(70)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는 신발을 벗고 부츠(70)를 착용한 상태에서 썰매를 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몸체 20: 받침부
30: 안착부 40: 고정띠
50: 벨크로화스너

Claims (5)

  1. "∨" 자 형상을 가지며, 양측에 고정편(11)과, 상기 고정편(11)에서 하부로 모여지게 형성된 날부(12)와, 상기 고정편(11)과 날부(12)의 전방에 상방향으로 돌출된 절곡부(13)와, 내측에 고정홈(14)이 구비된 2개가 한조로 이루어진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설치되는 받침부(20)와;
    상기 받침부(20)에 설치되며, 내측에 신발 안착홈(33)을 갖는 안착부(30)와;
    상기 안착부(30)의 전면 상부에는 신발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턱(34)과;
    상기 안착부(30)는 전방부재(31)와 후방부재(3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부재(31)에서 후방부재(32)가 일정간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안착홈(33)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부(20)는 몸체(10)의 고정홈(14)에 안착되는 지지편(21)과, 상기 몸체(10)의 고정편(11)에 고정되는 받침판(2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용 썰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30)의 일측면에는 복수의 고정띠(4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띠(40)와 안착부(30)의 타측면에는 벨크로화스너(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용 썰매.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02553A 2019-01-09 2019-01-09 빙상용 썰매 KR102130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553A KR102130241B1 (ko) 2019-01-09 2019-01-09 빙상용 썰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553A KR102130241B1 (ko) 2019-01-09 2019-01-09 빙상용 썰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241B1 true KR102130241B1 (ko) 2020-07-03

Family

ID=71571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553A KR102130241B1 (ko) 2019-01-09 2019-01-09 빙상용 썰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2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606Y1 (ko) * 1980-08-20 1983-08-26 이세끼 노오끼 가부시끼 가이샤 보행형 이앙기의 차륜 상하 이동장치
KR940007188A (ko) 1992-09-10 1994-04-26 고사이 아끼오 비오틴의 제조방법
KR950006206U (ko) * 1993-08-17 1995-03-20 신덕성 발썰매
JPH10309340A (ja) * 1997-05-12 1998-11-24 Masato Kobayashi スノーボード
KR100633053B1 (ko) 2004-10-28 2006-10-17 권오인 인라인 썰매 및 그를 이용한 인라인 썰매 장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606Y1 (ko) * 1980-08-20 1983-08-26 이세끼 노오끼 가부시끼 가이샤 보행형 이앙기의 차륜 상하 이동장치
KR940007188A (ko) 1992-09-10 1994-04-26 고사이 아끼오 비오틴의 제조방법
KR950006206U (ko) * 1993-08-17 1995-03-20 신덕성 발썰매
JPH10309340A (ja) * 1997-05-12 1998-11-24 Masato Kobayashi スノーボード
KR100633053B1 (ko) 2004-10-28 2006-10-17 권오인 인라인 썰매 및 그를 이용한 인라인 썰매 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87852A (en) Detachable and removable roller skates
JP2011005286A (ja) 人体移動装置
US5224718A (en) Foot transport device
CA2904991C (en) Slackline balance board
US20100314844A1 (en) Double bladed ice skate
KR102130241B1 (ko) 빙상용 썰매
KR100967653B1 (ko)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US3415528A (en) Ice skate
KR101833742B1 (ko) 스케이트로 사용 가능한 스케이트보드
KR101777056B1 (ko) 롤러스케이트로 변환가능한 스케이트보드
KR100844620B1 (ko) 썰매형 롤러보드
US5954366A (en) Platform attachment for an in-line skate
US20040021282A1 (en) Miniature skateboard/skate
KR101535794B1 (ko) 스노우 슬라이딩 장치
KR101837426B1 (ko) 투 인 원 롤러보드
CN214232641U (zh) 一种轻便弹跳鞋
KR101837432B1 (ko)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
CN219904617U (zh) 一种无动力地面冰面两用平衡滑行车
KR102004616B1 (ko) 운동화 착탈 2열 인라인 스케이트
CN212214561U (zh) 一种儿童双模可调溜冰鞋
KR101837429B1 (ko) 트랜스포머블 스케이팅 레저스포츠 용품
CN211097298U (zh) 一种特殊儿童双手协调度训练器具
US20030214109A1 (en) Miniature skateboard
KR20110010335U (ko) 분리가 용이한 자전거용 안장
KR20110000554U (ko) 점핑용 신발 밑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