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724B1 -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724B1
KR102129724B1 KR1020130106336A KR20130106336A KR102129724B1 KR 102129724 B1 KR102129724 B1 KR 102129724B1 KR 1020130106336 A KR1020130106336 A KR 1020130106336A KR 20130106336 A KR20130106336 A KR 20130106336A KR 102129724 B1 KR102129724 B1 KR 102129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station
communication service
preparation state
frequenc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6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7647A (ko
Inventor
김병철
이상민
조성호
박치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6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724B1/ko
Publication of KR20150027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A 기능에 따른 접속준비상태(예 : SCell Add 상태)를 유지하는 단말에 대해, 단말이 이용하는 통신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단말의 접속준비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단말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BASE 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A(Carrier Aggregation) 기능에 따른 접속준비상태(예 : SCell Add 상태)를 유지하는 단말에 대해 이용하는 통신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단말의 접속준비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단말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는, 최대 20 MHz대역을 이용하여 고속의 통신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통신서비스의 종류 및 전송 요구 속도 등이 다양해짐에 따라, 더 빠른 속도의 통신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기존의 20 MHz대역 보다 더 넓은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IMT-advanced 통신시스템이 새롭게 등장하였으며, IMT-advanced 통신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주파수대역이 공존하는 상황에서, 기존의 20 MHz대역 보다 더 넓은 대역을 지원하기 위해 주파수집합(Carrier Aggregation, CA)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CA 기술은, 다중 단위 주파수대역(Component Carrier, CC)의 통합을 통해 보다 넓은 주파수대역을 확보할 수 있고, 각 단위 주파수대역(CC)은 LTE 단말에게 LTE 주파수대역으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이전 통신시스템과의 호환성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은, 우선 다수의 단위 주파수대역(CC) 중 하나의 기본 주파수대역(Primary Cell, PCell)을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고 거의 같은 시점에 추가 접속 가능한 다른 주파수대역(Secondary Cell, SCell)에 대하여 접속준비상태(예 : SCell Add 상태)로 진입하여 유지한다. 이후 단말은, 필요한 경우 다른 주파수대역(SCell)에 대한 접속준비상태를 활성화상태(예 : SCell Activation 상태)로 전환함에 따라 추가로 다른 주파수대역(SCell)을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여, 여러 주파수대역 즉 PCell 및 SCell을 통합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은, 언제든지 추가로 다른 주파수대역(SCell)을 통해 기지국에 빠르게 접속하기 위해 다른 주파수대역(SCell)에 대한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함에 따른 전력 소모가 지속된다.
이처럼,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함에 따른 전력 소모는, 단말 입장에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이고, 특히 이동성을 위해 배터리를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 입장에서는 배터리 운용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CA 기능에 따른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하는 단말에 대해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CA 기능에 따른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하는 단말에 대해 이용하는 통신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단말의 접속준비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단말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을 통해,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단말과 접속하는 접속부; 상기 단말에 대해서,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 이외의 다른 주파수대역을 통해서도 추가 접속하기 위한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하는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말확인부; 상기 단말이 상기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하는 단말인 경우, 상기 통신서비스의 종류를 확인하는 통신서비스확인부; 및 상기 통신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상기 단말에서 유지 중인 상기 접속준비상태를 해제시켜, 상기 단말에서 상기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함에 따른 전력 소모가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접속준비상태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준비상태제어부는, 상기 통신서비스의 종류가 기 지정된 특정 통신서비스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단말에서 유지 중인 상기 접속준비상태를 해제시키며, 상기 특정 통신서비스는, 특정 수준 이하의 소용량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서비스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서비스확인부는,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을 통해서 상기 단말과 접속하는 과정에서 확인되는 서비스품질구분자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서비스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준비상태제어부는, 상기 접속준비상태를 해제시킨 상기 단말에 대해 타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타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접속준비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준비상태제어부는, 특정 단말에 대해 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장치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특정 단말이 이용하는 통신서비스의 종류가 상기 특정 통신서비스이면 상기 특정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접속준비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을 통해,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단말과 접속하는 접속단계; 상기 단말에 대해서,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 이외의 다른 주파수대역을 통해서도 추가 접속하기 위한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하는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말확인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하는 단말인 경우, 상기 통신서비스의 종류를 확인하는 통신서비스확인단계; 및 상기 통신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상기 단말에서 유지 중인 상기 접속준비상태를 해제시켜, 상기 단말에서 상기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함에 따른 전력 소모가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접속준비상태제어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준비상태제어단계는, 상기 통신서비스의 종류가 기 지정된 특정 통신서비스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단말에서 유지 중인 상기 접속준비상태를 해제시키며, 상기 특정 통신서비스는, 특정 수준 이하의 소용량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서비스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서비스확인단계는,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을 통해서 상기 단말과 접속하는 과정에서 확인되는 서비스품질구분자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서비스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준비상태를 해제시킨 상기 단말에 대해 타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타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접속준비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특정 단말에 대해 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장치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특정 단말이 이용하는 통신서비스의 종류가 상기 특정 통신서비스이면 상기 특정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접속준비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CA 기능에 따른 접속준비상태(예 : SCell Add 상태)를 유지하는 단말에 대해, 단말이 이용하는 통신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단말의 접속준비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단말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가 포함되는 통신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기지국장치(100) 및 기지국장치(200) 모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지국장치(100)을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가 포함된 통신시스템에서는, 동일 지역에 대해서 다수의 주파수대역이 공존하고 있다.
예컨대, 도 1을 언급하여 설명하면, 기지국장치(100)는, 제1주파수대역에 따른 제1셀(C101), 제2주파수대역에 따른 제2셀(C102)를 형성할 수 있고, 이때 제 제2셀(C102)은 자신 보다 큰 커버리지의 제1셀(C101)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존의 20 MHz대역 보다 더 넓은 대역을 지원하기 위해 등장한 IMT-advanced 통신시스템에서 채택하고 있는 주파수집합(Carrier Aggregation, CA) 기술과 관련된 발명이다.
여기서, CA 기술은, 다중 단위 주파수대역(Component Carrier, CC)의 통합을 통해 보다 넓은 주파수대역을 확보할 수 있고, 각 단위 주파수대역(CC)은 LTE 단말에게 LTE 주파수대역으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이전 통신시스템과의 호환성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전술의 도 1과 같이, 다수의 주파수대역(예 : 제1주파수대역, 제2주파수대역)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대역을 통해 접속되는 단말에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며, 특히 CA 기능으로 동작하는 단말에 대해서는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를 즉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을 통합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CA지원기지국일 것이다. 물론, 기지국장치(100)는,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 외에 더 많은 주파수대역을 통해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 2개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장치(200) 역시 CA지원기지국일 것이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단말1은,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이라고 가정한다. 이에, 도 1과 같이 제2셀(C102) 내에 위치하는 단말1은, 기지국장치(100)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예컨대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을 모두 지원하는 단말로서, 이들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기지국장치(100)과 관련하여, 제1주파수대역에 따른 제1셀(C101)의 참조번호 C101을 참조하여 제1주파수대역(C101)이라 하고, 제2주파수대역에 따른 제2셀(C102)의 참조번호 C102를 참조하여 제2주파수대역(C102)이라 하겠다.
전원 온 되거나 또는 아이들 모드에서 해제되는 단말1은,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Primary Cell, PCell)으로서 우선 접속할 주파수대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하여, 위치등록 및 호 세션 연결 등 통신시스템에 대한 접속절차를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 설정된 주파수대역이, 제2주파수대역(C102)인 것을 예로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이하의 설명에서 단말1이 기지국장치(100)에 초기 접속 시 이용한 기본 주파수대역(PCell)과 제2주파수대역(C102)은 동일할 것이다.
이에, 단말1은, 제2주파수대역(C102)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장치(100)는,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1과 제2주파수대역(C102)을 통해 접속하는 과정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주파수대역(C102)을 통해 단말1에 대한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과정에서, 제2주파수대역(C102)과의 CA 기능 연동이 가능한 다른 주파수대역(Secondary Cell, SCell)에 대한 정보를 단말1로 제공한다.
이때, 제공하는 정보에는, 다른 주파수대역(SCell)에 대한 SCell Index, PCI, 주파수대역 정보, SCell 신호세기 측정을 위한 측정파라미터(예 : 활성임계세기, 비활성임계세기), SCell 활성화 타이머, SCell 비활성화 타이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서 설정된 주파수대역이 제2주파수대역(C102)인 경우라면, 기지국장치(100)는, 다른 주파수대역(SCell)로서의 제1주파수대역(C101)에 대한 정보를 단말1로 제공할 것이다. 즉, 이하의 설명에서 추가 접속하기 위한 다른 주파수대역(SCell)과 제1주파수대역(C101)은 동일할 것이다.
이에,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1은, 기지국장치(100)로부터 SCell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이에 따라 SCell 즉 제1주파수대역(C101)을 통해서도 기지국장치(100)에 추가 접속하기 위한 접속준비상태(예 : SCell Add 상태)로 진입하여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단말1은, 필요한 경우 예컨대 버퍼 크기를 체크하여 일정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 SCell 즉 제1주파수대역(C101)에 대한 접속준비상태를 활성화상태(예 : SCell Activation 상태)로 전환함에 따라 추가로 제1주파수대역(C101)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하여, 여러 주파수대역 즉 PCell 및 SCell을 통합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전속준비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추가 접속하기 위한 SCell 예컨대 전술의 제1주파수대역(C101)과 관련된 단말1 내 제1주파수대역용 RF모듈(미도시)의 전원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단말1은, 기본 주파수대역인 제2주파수대역(C102)을 통해서만 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에도(이때, 제2주파수대역용 RF모듈(미도시)의 전원 온), 언제든지 제1주파수대역(C101)을 통해 추가 접속하기 위해 제1주파수대역용 RF모듈(미도시) 역시 전원 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단말1은,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함에 따른 전력 소모가 지속된다.
그런데, CA 기술은 기본적으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송수신하기 위한 기술로서, 만약 단말1이 VoLTE 서비스와 같이 소용량의 데이터 만을 송수신하는 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라면 SCell을 활성화시킬 필요성이 없는 경우라고 간주할 수 있기 때문에, 전술과 같이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불필요한 전력 소모일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CA 기능에 따른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하는 단말1에 대해 이용하는 통신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단말1의 접속준비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함에 따른 단말1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절감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을 통해,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단말과 접속하는 접속부(110)와, 상기 단말에 대해서,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 이외의 다른 주파수대역을 통해서도 추가 접속하기 위한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하는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말확인부(120)와, 상기 단말이 상기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하는 단말인 경우, 상기 통신서비스의 종류를 확인하는 통신서비스확인부(130)와, 상기 통신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상기 단말에서 유지 중인 상기 접속준비상태를 해제시켜, 상기 단말에서 상기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함에 따른 전력 소모가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접속준비상태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다수의 주파수대역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주파수대역(C101), 제2주파수대역(C102) 2 개인 것을 예로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CA 기능으로 동작하는 단말에 대해서는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를 즉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을 통합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CA지원기지국일 것이다.
접속부(110)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을 통해,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단말1과 접속한다.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1은, 전원 온 되거나 또는 아이들 모드에서 해제되는 경우,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서 우선 접속할 주파수대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주파수대역(PCell)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하여, 위치등록 및 호 세션 연결 등 통신시스템에 대한 접속절차를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 설정된 주파수대역이, 제2주파수대역(C102)인 것을 예로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에, 접속부(110)는, 제1주파수대역(C101) 및 제2주파수대역(C102) 중 기본 주파수대역(PCell) 즉 제2주파수대역(C102)을 통해, 단말1과 접속한다.
이에, 단말1은 제2주파수대역(C102)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단말확인부(120)는, 단말1에 대해서, 다수의 주파수대역 즉 제1주파수대역(C101) 및 제2주파수대역(C102) 중에서 기본 주파수대역(C102) 이외의 다른 주파수대역을 통해서도 추가 접속하기 위한 접속준비상태(예 : SCell Add 상태)를 유지하는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이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이라면, 단말1과 제2주파수대역(C102)을 통해 접속하는 과정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주파수대역(C102)을 통해 단말1에 대한 RRC 접속과정에서, 제2주파수대역(C102)과의 CA 기능 연동이 가능한 다른 주파수대역(SCell)에 대한 정보를 단말1로 제공한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서 설정된 주파수대역이 제2주파수대역(C102)인 경우라면, 기지국장치(100)는, 다른 주파수대역(SCell)로서의 제1주파수대역(C101)에 대한 정보를 단말1로 제공할 것이다.
이에,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1은, 기지국장치(100)로부터 SCell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이에 따라 SCell 즉 제1주파수대역(C101)을 통해서도 기지국장치(100)에 추가 접속하기 위한 접속준비상태로 진입하여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단말1에 대해서 기본 주파수대역(C102) 이외의 다른 주파수대역(SCell) 즉 제1주파수대역(C101)을 통해서도 추가 접속하기 위한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하는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단말1이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과 동일한 것이다.
이에, 단말확인부(120)는, 단말1에 대해서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하는 단말인지 여부, 즉 단말1이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통신서비스확인부(130)는, 단말1이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하는 단말인 경우 즉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인 경우, 단말1이 이용하는 통신서비스의 종류를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서비스확인부(130)는,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을 통해서 단말1과 접속하는 과정에서 확인되는 서비스품질구분자에 기초하여, 단말1이 이용하는 통신서비스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신서비스는, 다운로드 서비스, 스트리밍 서비스, SNS 서비스 및 포털 서비스 등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서비스(이하, 데이터서비스라 함)와, VoIP, VoLTE 등의 통신서비스(이하, VoLTE서비스라 함)를 의미한다.
이에, 단말1은,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고, 상대방장치(미도시)와 통화하는 VoLTE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에, 단말1이 VoLTE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단말1이 상대방장치(미도시)로 시도한 VoLTE서비스의 착신을 상대방장치(미도시)가 수락하거나, 상대방장치(미도시)로부터 시도되는 VoLTE서비스의 착신을 단말1이 수락함에 따라, 단말1과 기지국장치(100)가 PCell 즉 제2주파수대역(C102)을 통해 접속하는 과정 중에는, 특정 네트워크(LTE 망)의 관련장비(예 : MME)가, 단말1에 대하여 VoLTE서비스의 VoLTE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호 세션을 연결하도록 요청하는 호연결요청을 단말1이 접속된 기지국장치(100)로 제공한다.
또한, 단말1이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단말1이 데이터서비스 이용을 시도함에 따라, 단말1과 기지국장치(100)가 PCell 즉 제2주파수대역(C102)을 통해 접속하는 과정 중에는, 특정 네트워크(LTE 망)의 관련장비(예 : MME)는, 단말1에 대하여 데이터서비스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호 세션을 연결하도록 요청하는 호연결요청을 단말1이 접속된 기지국장치(100)로 제공한다.
이에, 기지국장치(100)는, PCell 즉 제2주파수대역(C102)을 통해 단말1과 접속하는 과정 중에, 관련장비(예 : MME)로부터 단말1에 대한 호연결요청을 수신하면 호연결요청에 따른 호 세션을 PCell 즉 제2주파수대역(C102)을 통해 단말1과 연결한다.
여기서, 관련장비(예 : MME)로부터 제공되는 단말1에 대한 호연결요청(예 : E-RAB Setup Request)에는, 어떤 종류의 호 세션을 연결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로서 서비스품질구분자(QCI : QoS Class Indicator)가 지정되어 있다.
예컨대, VoLTE서비스의 호 세션 연결을 요청하는 호연결요청에는 VoLTE서비스 이용에 적합한 서비스품질 보장을 위한 QCI #1 또는 QCI #2 가 지정되어 있을 것이고, 데이터서비스의 호 세션 연결을 요청하는 호연결요청에는 데이터서비스 이용에 적합한 서비스품질 보장을 위한 QCI #5 또는 QCI #6 이 지정되어 있을 것이다.
이에, 통신서비스확인부(130)는, 관련장비(예 : MME)로부터 기지국장치(100)로 단말1에 대한 호연결요청이 수신되면 호연결요청에 지정된 서비스품질구분자(QCI)를 확인하고, 서비스품질구분자(QCI)를 기초로 통신서비스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서비스확인부(130)는, 단말1에 대한 호연결요청에서 QCI #1 또는 QCI #2가 확인되면 통신서비스의 종류가 VoLTE서비스인 것으로 확인하고, QCI #5 또는 QCI #6이 확인되면 통신서비스의 종류가 데이터서비스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접속준비상태제어부(140)는, 통신서비스확인부(130)에서 확인한 통신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단말1에서 유지 중인 접속준비상태를 해제시켜, 단말1에서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함에 따른 전력 소모가 절감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접속준비상태제어부(140)는, 통신서비스의 종류가 기 지정된 특정 통신서비스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만, 단말1에서 유지 중인 접속준비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여기서 특정 통신서비스는, 특정 수준 이하의 소용량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서비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특정 수준 즉 CA 기능에서 SCell을 활성화시킬 필요성이 없는 수준D이하의 소용량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특정 통신서비스는, 전술한 VoLTE서비스일 수 잇다.
이에, 접속준비상태제어부(140)는, 통신서비스확인부(130)에서 단말1이 이용하는 통신서비스의 종류가 VoLTE서비스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단말1로 접속준비상태 해제 명령을 내려 단말1에서 유지 중인 접속준비상태를 해제(Release)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말1은, 기지국장치(100)로부터의 접속준비상태 해제 명령에 따라 접속준비상태를 해제(Release)하여 제1주파수대역용 RF모듈(미도시)의 전원을 오프시킬 것이고, 이에 단말1에서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함에 따른 전력 소모가 절감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접속준비상태제어부(140)는, 접속준비상태를 해제시킨 단말1에 대해 타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타 기지국이 단말1에 대하여 접속준비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이 타 기지국 즉 기지국장치(200)에서 형성한 제1주파수대역의 제1셀(C201) 또는 제2주파수대역의 제2셀(C202)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라면, 소스셀 측 기지국장치(100)과 타겟셀 측 기지국장치(200) 간에는, 단말1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1이 이용하는 통신서비스가 VoLTE서비스임에 따라 기지국장치(100)에서 단말1의 접속준비상태를 해제시킨 경우라면, 단말1이 기지국장치(200)로 핸드오버 접속된 이후에도 접속준비상태에 진입하지 않도록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에, 접속준비상태제어부(140)는, 접속준비상태를 해제시킨 단말1에 대해 타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장치(200)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기지국장치(200)이 단말1에 대하여 접속준비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속준비상태제어부(140)는, 단말1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기지국장치(200)로 제공하는 단말1의 관련정보에 접속준비상태 진입을 차단하도록 하는 차단식별정보를 포함시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기지국장치(200)는, 기지국장치(100)로부터 제공된 단말1의 관련정보에서 전술의 차단식별정보를 인지하면, 단말1로 접속준비상태 진입 차단 명령을 내려주거나 또는 핸드오버 접속 시 SCell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등의 방식을 통해서, 단말1에서 접속준비상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장치(200)에 의해 접속준비상태가 해제된 특정 단말(예 : 단말3)이 기지국장치(200)로부터 기지국장치(100)로 핸드오버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술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장치(200)는, 단말3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차단식별정보를 제공할 것이고, 이에 기지국장치(100) 특히 접속준비상태제어부(140)는, 차단식별정보를 인지하면, 단말3으로 접속준비상태 진입 차단 명령을 내려주거나 또는 핸드오버 접속 시 SCell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등의 방식을 통해서, 단말3에서 접속준비상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준비상태제어부(140)는, 특정 단말(예 : 단말2)에 대해 타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장치(200)로부터 기지국장치(100)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단말2가 이용하는 통신서비스의 종류가 특정 통신서비스 즉 VoLTE서비스이면 단말2에 대하여 접속준비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예를 들면, 단말2가 타 기지국 즉 기지국장치(200)로부터 기지국장치(100)로 핸드오버 될 수도 있다. 이때, 단말2는, 기지국장치(200)에 의해 접속준비상태가 해제된 상태일 수도 있고, 기지국장치(200)가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가 아니라면 접속준비상태가 유지되고 있을 수 있다.
이때 역시 기지국장치(100)로 핸드오버 접속된 단말2가 이용하는 통신서비스가 VoLTE서비스라면, 단말2가 접속준비상태에 진입하지 않도록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에, 접속준비상태제어부(140)는, 단말2에 대해 기지국장치(200)로부터 기지국장치(100)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단말2가 이용하는 통신서비스의 종류가 VoLTE서비스이면 단말2에 대하여 접속준비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서비스확인부(S130)에서는, 단말2에 대해 기지국장치(200)로부터 기지국장치(100)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역시 서비스품질구분자(QCI)를 확인하여 통신서비스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고, 접속준비상태제어부(140)는, 통신서비스확인부(S130)의 확인 결과 핸드오버 접속된 단말2가 이용하는 통신서비스의 종류가 VoLTE서비스라면, 단말2로 접속준비상태 진입 차단 명령을 내려주거나 또는 핸드오버 접속 시 SCell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등의 방식을 통해서, 단말2에서 접속준비상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CA 기능에 따른 접속준비상태(예 : SCell Add 상태)를 유지하는 단말에 대해, 단말이 이용하는 통신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단말의 접속준비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단말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2의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 온 되거나 또는 아이들 모드에서 해제되는 단말1은,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Primary Cell, PCell)으로서 우선 접속할 주파수대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하여, 위치등록 및 호 세션 연결 등 통신시스템에 대한 접속절차를 수행한다(S1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은 제2주파수대역인 것으로, 추가 접속 가능한 다른 주파수대역(SCell)은 제1주파수대역인 것으로 설명하겠다.
이에, 단말1은, 제2주파수대역(C102)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이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이면(S20 Yes), 단말1과 제2주파수대역(C102)을 통해 접속하는 과정에서, 제2주파수대역(C102)과의 CA 기능 연동이 가능한 다른 주파수대역(SCell)에 대한 정보를 단말1로 제공한다(S30).
이에,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1은, 기지국장치(100)로부터 SCell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이에 따라 SCell 즉 제1주파수대역(C101)을 통해서도 기지국장치(100)에 추가 접속하기 위한 접속준비상태(예 : SCell Add 상태)로 진입하여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40).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에 대해서, 다수의 주파수대역 예컨대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PCell) 이외의 다른 주파수대역(SCell)을 통해서도 추가 접속하기 위한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하는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는, 전술한 S20단계에서 단말1이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에,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이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하는 단말인 경우 즉 단말1이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인 경우, 단말1에서 이용하는 통신서비스의 종류를 확인한다(S50).
이에, 기지국장치(100)는, S50단계에서 확인한 통신서비스의 종류에 따라서, 단말1이 이용하는 통신서비스가 VoLTE서비스인 경우(S60 Yes), 단말1에서 유지 중인 접속준비상태를 해제시킨다.
즉,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이 이용하는 통신서비스가 VoLTE서비스인 경우(S60 Yes), 단말1로 접속준비상태 해제 명령을 내려(S70) 단말1에서 유지 중인 접속준비상태를 해제(Release)시킬 수 있다(S80).
따라서, 단말1은, 기지국장치(100)로부터의 접속준비상태 해제 명령에 따라 접속준비상태를 해제(Release)하여 제1주파수대역용 RF모듈(미도시)의 전원을 오프시킬 것이고, 이에 단말1에서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함에 따른 전력 소모가 절감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을 통해,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단말1과 접속한다(S100).
여기서, 다수의 주파수대역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주파수대역(C101), 제2주파수대역(C102) 2 개인 것을 예로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 설정된 주파수대역이, 제2주파수대역(C102)인 것을 예로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제1주파수대역(C101) 및 제2주파수대역(C102) 중 기본 주파수대역(PCell) 즉 제2주파수대역(C102)을 통해, 단말1과 접속한다.
이에, 단말1은 제2주파수대역(C102)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이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이면(S110 Yes), 단말1과 제2주파수대역(C102)을 통해 접속하는 과정에서, 제2주파수대역(C102)과의 CA 기능 연동이 가능한 다른 주파수대역(SCell)에 대한 정보를 단말1로 제공한다(S120).
이에,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1은, 기지국장치(100)로부터 SCell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이에 따라 SCell 즉 제1주파수대역(C101)을 통해서도 기지국장치(100)에 추가 접속하기 위한 접속준비상태(예 : SCell Add 상태)로 진입하여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에 대해서, 다수의 주파수대역 즉 제1주파수대역(C101) 및 제2주파수대역(C102) 중에서 기본 주파수대역(C102) 이외의 다른 주파수대역을 통해서도 추가 접속하기 위한 접속준비상태(예 : SCell Add 상태)를 유지하는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는, 전술한 S110단계에서 단말1이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이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하는 단말인 경우 즉 단말1이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인 경우, 단말1에서 이용하는 통신서비스의 종류를 확인한다(S130).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을 통해서 단말1과 접속하는 과정에서, 관련장비(예 : MME)로부터 기지국장치(100)로 단말1에 대한 호연결요청이 수신되면 호연결요청에 지정된 서비스품질구분자(QCI)를 확인하고, 서비스품질구분자(QCI)를 기초로 통신서비스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에 대한 호연결요청에서 QCI #1 또는 QCI #2가 확인되면 통신서비스의 종류가 VoLTE서비스인 것으로 확인하고, QCI #5 또는 QCI #6이 확인되면 통신서비스의 종류가 데이터서비스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30단계에서 확인한 통신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단말1에서 유지 중인 접속준비상태를 해제시켜, 단말1에서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함에 따른 전력 소모가 절감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이 이용하는 통신서비스의 종류가 VoLTE서비스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만(S140 Yes), 단말1로 접속준비상태 해제 명령을 내려 단말1에서 유지 중인 접속준비상태를 해제(Release)시킬 수 있다(S150).
따라서, 단말1은, 기지국장치(100)로부터의 접속준비상태 해제 명령에 따라 접속준비상태를 해제(Release)하여 제1주파수대역용 RF모듈(미도시)의 전원을 오프시킬 것이고, 이에 단말1에서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함에 따른 전력 소모가 절감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에 대해 타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장치(200)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S160 Yes),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기지국장치(200)이 단말1에 대하여 접속준비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S170).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기지국장치(200)로 제공하는 단말1의 관련정보에 접속준비상태 진입을 차단하도록 하는 차단식별정보를 포함시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기지국장치(200)는, 기지국장치(100)로부터 제공된 단말1의 관련정보에서 전술의 차단식별정보를 인지하면, 단말1로 접속준비상태 진입 차단 명령을 내려주거나 또는 핸드오버 접속 시 SCell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등의 방식을 통해서, 단말1에서 접속준비상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장치(200)에 의해 접속준비상태가 해제된 특정 단말(예 : 단말3)이 기지국장치(200)로부터 기지국장치(100)로 핸드오버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술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장치(200)는, 단말3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차단식별정보를 제공할 것이고,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차단식별정보를 인지하면, 단말3으로 접속준비상태 진입 차단 명령을 내려주거나 또는 핸드오버 접속 시 SCell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등의 방식을 통해서, 단말3에서 접속준비상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2가 타 기지국 즉 기지국장치(200)로부터 기지국장치(100)로 핸드오버 될 수도 있다. 이때, 단말2는, 기지국장치(200)에 의해 접속준비상태가 해제된 상태일 수도 있고, 기지국장치(200)가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가 아니라면 접속준비상태가 유지되고 있을 수 있다.
이처럼, 단말2가 타 기지국 즉 기지국장치(200)로부터 기지국장치(100)로 핸드오버 되는 경우(S180 Yes),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단말2가 이용하는 통신서비스의 종류가 VoLTE서비스이면 단말2에 대하여 접속준비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S190).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역시 서비스품질구분자(QCI)를 확인하여 통신서비스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 결과 핸드오버 접속된 단말2가 이용하는 통신서비스의 종류가 VoLTE서비스라면, 단말2로 접속준비상태 진입 차단 명령을 내려주거나 또는 핸드오버 접속 시 SCell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등의 방식을 통해서, 단말2에서 접속준비상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CA 기능에 따른 접속준비상태(예 : SCell Add 상태)를 유지하는 단말에 대해, 단말이 이용하는 통신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단말의 접속준비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단말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CA 기능에 따른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하는 단말에 대해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기지국장치
110 : 접속부 120 : 단말확인부
130 : 통신서비스확인부 140 : 접속준비상태제어부

Claims (10)

  1.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을 통해,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단말과 접속하는 접속부;
    상기 단말에 대해서,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 이외의 다른 주파수대역을 통해서도 추가 접속하기 위한 접속준비상태로 진입하여 상기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하는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말확인부;
    상기 단말이 상기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하는 단말인 경우, 상기 통신서비스의 종류를 확인하는 통신서비스확인부; 및
    상기 통신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상기 단말에서 유지 중인 상기 접속준비상태를 해제시켜, 상기 단말에서 상기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함에 따른 전력 소모가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접속준비상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준비상태제어부는,
    상기 통신서비스의 종류가 기 지정된 특정 통신서비스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단말에서 유지 중인 상기 접속준비상태를 해제시키며,
    상기 특정 통신서비스는,
    특정 수준 이하의 소용량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서비스확인부는,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을 통해서 상기 단말과 접속하는 과정에서 확인되는 서비스품질구분자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서비스의 종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준비상태제어부는,
    상기 접속준비상태를 해제시킨 상기 단말에 대해 타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타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접속준비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준비상태제어부는,
    특정 단말에 대해 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장치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특정 단말이 이용하는 통신서비스의 종류가 특정 통신서비스이면 상기 특정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접속준비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을 통해,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단말과 접속하는 접속단계;
    상기 단말에 대해서,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 이외의 다른 주파수대역을 통해서도 추가 접속하기 위한 접속준비상태로 진입하여 상기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하는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말확인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하는 단말인 경우, 상기 통신서비스의 종류를 확인하는 통신서비스확인단계; 및
    상기 통신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상기 단말에서 유지 중인 상기 접속준비상태를 해제시켜, 상기 단말에서 상기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함에 따른 전력 소모가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접속준비상태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준비상태제어단계는,
    상기 통신서비스의 종류가 기 지정된 특정 통신서비스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단말에서 유지 중인 상기 접속준비상태를 해제시키며,
    상기 특정 통신서비스는,
    특정 수준 이하의 소용량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서비스확인단계는,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을 통해서 상기 단말과 접속하는 과정에서 확인되는 서비스품질구분자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서비스의 종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준비상태를 해제시킨 상기 단말에 대해 타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타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접속준비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 항에 있어서,
    특정 단말에 대해 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장치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특정 단말이 이용하는 통신서비스의 종류가 특정 통신서비스이면 상기 특정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접속준비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30106336A 2013-09-04 2013-09-04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2129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336A KR102129724B1 (ko) 2013-09-04 2013-09-04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336A KR102129724B1 (ko) 2013-09-04 2013-09-04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647A KR20150027647A (ko) 2015-03-12
KR102129724B1 true KR102129724B1 (ko) 2020-07-03

Family

ID=53022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6336A KR102129724B1 (ko) 2013-09-04 2013-09-04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7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931B1 (ko) * 2018-04-11 2020-04-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KR102101928B1 (ko) * 2018-04-18 2020-04-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KR102082494B1 (ko) * 2018-05-10 2020-02-2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0412A (ja) * 2009-11-18 2011-06-30 Sony Corp 端末装置、基地局、通信制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uawei, R2-103941, Additional Information for the Scell Decision in the target eNB, 3GPP TSG-RAN WG2 Meeting #70bis, 2010년 6월 28일*
Klaus Ingemann Pdersen 외 5명, Carrier Aggregation for LTE-Advanced: Functionality and Performance Aspects,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2011년 6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647A (ko)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1464B2 (en)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SIM cards to share RF processor
KR102253866B1 (ko) 비인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22550176A (ja) マルチコネクティビティを有する条件付きモビリティ
KR101464505B1 (ko) 핸드오버를 위한 최적화된 캐리어 집성
KR20190115466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US20190380067A1 (en) Communication system
CN105744626A (zh) 处理与多个基站间通信的失败的方法及其装置
WO2017131965A1 (en) Voice and/or video call continuity
US11218929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US11223991B2 (en) Connection establishment in inter-RAT communication system
KR20160105075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의 동적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29724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US10104669B2 (en) User equipment o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and resource selection method thereof
KR102126802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20140117952A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US9432884B2 (en) Method for processing in-device coexistence configuration information, apparatus and system
KR20210010877A (ko) 페이징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컴퓨터 저장매체
CN113348712B (zh) Mimo层数自适应调整方法及相关产品
KR102345904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무선모듈 간 핸드오버 방법
KR101569408B1 (ko) 랜덤 엑세스 프리엠블의 전송전력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57533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2104547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1439289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1915114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1616534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