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547B1 -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547B1
KR102104547B1 KR1020130114770A KR20130114770A KR102104547B1 KR 102104547 B1 KR102104547 B1 KR 102104547B1 KR 1020130114770 A KR1020130114770 A KR 1020130114770A KR 20130114770 A KR20130114770 A KR 20130114770A KR 102104547 B1 KR102104547 B1 KR 102104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requency band
handover
base station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4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4549A (ko
Inventor
박치영
이상민
김병철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4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4547B1/ko
Publication of KR20150034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4Reselecting a cell layer in multi-layered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A단말에 대해서는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를 위해서 통신서비스의 신호(예 :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를 수신하는 동작을 불필요하게 일시 중단해야 하는 일이 없도록 함으로써, CA단말 측에서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 시 통신서비스의 처리성능이 불필요하게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BASE 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A(Carrier Aggregation) 기능을 지원하는 CA단말에 대해서는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를 위해서 통신서비스의 신호(예 :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를 수신하는 동작을 불필요하게 일시 중단해야 하는 일이 없도록 함으로써, CA단말 측에서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 시 통신서비스의 처리성능(throughput)이 불필요하게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는, 최대 20 MHz대역을 이용하여 고속의 통신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통신서비스의 종류 및 전송 요구 속도 등이 다양해짐에 따라, 더 빠른 속도의 통신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기존의 20 MHz대역 보다 더 넓은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IMT-advanced 통신시스템이 새롭게 등장하였으며, IMT-advanced 통신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주파수대역이 공존하는 상황에서, 기존의 20 MHz대역 보다 더 넓은 대역을 지원하기 위해 주파수집합(Carrier Aggregation, CA)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CA 기술은, 다중 단위 주파수대역(Component Carrier, CC)의 통합을 통해 보다 넓은 주파수대역을 확보할 수 있고, 각 단위 주파수대역(CC)은 LTE 단말에게 LTE 주파수대역으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이전 통신시스템과의 호환성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CA 기능을 지원하는 CA단말은, 우선 다수의 단위 주파수대역(CC) 중 하나의 기본 주파수대역(Primary Cell, PCell)을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고 거의 같은 시점에 추가 접속 가능한 다른 주파수대역(Secondary Cell, SCell)에 대하여 접속준비상태(예 : SCell Add 상태)로 진입하여 유지한다. 이후 단말은, 필요한 경우 다른 주파수대역(SCell)에 대한 접속준비상태를 접속활성화상태(예 : SCell Activation 상태)로 전환함에 따라 추가로 다른 주파수대역(SCell)을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여, 여러 주파수대역 즉 PCell 및 SCell을 통합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일반적인 단말은,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통신서비스를 이용하던 중 제2주파수대역으로의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 시에, 접속 중인 제1주파수대역의 신호세기가 특정 시도임계값 미만이 되는 에이2(A2)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를 기지국에 보고하고, 이에 기지국은 에이3(A3)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데 기초할 핸드오버관련정책을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이후 A2이벤트를 보고한 단말은 핸드오버관련정책을 기초로 하여 제2주파수대역의 신호세기 측정 및 A3이벤트 트리거(Trigger)를 통해서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핸드오버관련정책에는, A3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할 정보 및 측정정책이 포함된다. 여기서 측정정책은, 접속 중인 제1주파수대역 대신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다른 주파수대역 즉 전술의 제2주파수대역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도록 하는 정책이다.
이에, 단말은, 측정정책에 따른 일정시간 동안은 일시적으로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신호(예 :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를 수신하는 동작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대신 제2주파수대역을 통한 신호를 수신하여 제2주파수대역의 신호세기를 측정하게 된다.
이로 인해, 단말 측에서는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 시 통신서비스의 처리성능(throughput)이 어느 정도 떨어지게 된다.
헌데, 전술의 CA단말은, CA 기능을 지원함에 따라서, 제1주파수대역을 통한 통신서비스 이용 시에도 다른 주파수대역 예컨대 전술의 제2주파수대역의 신호세기를 측정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 시 기지국으로부터 일반적인 단말과 동일한 핸드오버관련정책을 제공받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제1주파수대역을 통한 신호 수신을 중단하고 대신 제2주파수대역의 신호세기를 측정하게 되어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 시 통신서비스의 처리성능이 불필요하게 떨어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CA단말에 대해서는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 시 통신서비스의 처리성능이 불필요하게 떨어지는 일이 없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CA단말에 대해서는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를 위해서 통신서비스의 신호(예 :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를 수신하는 동작을 불필요하게 일시 중단해야 하는 일이 없도록 함으로써, CA단말 측에서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 시 통신서비스의 처리성능이 불필요하게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단말과 접속하는 접속부; 상기 단말에서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의 신호세기를 기초로 하는 핸드오버시도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이벤트확인부; 상기 핸드오버시도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이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 외에 다른 주파수대역을 통해서도 추가 접속하는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말확인부; 및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중단하지 않고도 상기 특정 기능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일정시간 동안 중단하고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핸드오버시도이벤트는,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의 신호세기가 특정 시도임계값 미만인 경우 발생하는 에이2(A2)이벤트이고, 상기 단말은,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의 신호세기 및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의 신호세기를 기초로 에이3(A3)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은, 상기 특정 기능에 따라서,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을 통해서도 추가 접속하기 위한 접속대기상태 또는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을 통해서도 추가 접속한 접속활성화상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기능은, CA(Carrier Aggregation) 기능이며, 상기 단말은, 상기 CA 기능을 지원하는 CA단말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단말과 접속하는 접속단계; 상기 단말에서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의 신호세기를 기초로 하는 핸드오버시도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이벤트확인단계; 상기 핸드오버시도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이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 외에 다른 주파수대역을 통해서도 추가 접속하는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말확인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중단하지 않고도 상기 특정 기능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일정시간 동안 중단하고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핸드오버시도이벤트는,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의 신호세기가 특정 시도임계값 미만인 경우 발생하는 에이2(A2)이벤트이고, 상기 단말은,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의 신호세기 및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의 신호세기를 기초로 에이3(A3)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은, 상기 특정 기능에 따라서,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을 통해서도 추가 접속하기 위한 접속대기상태 또는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을 통해서도 추가 접속한 접속활성화상태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CA단말에 대해서는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를 위해서 통신서비스의 신호(예 :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를 수신하는 동작을 불필요하게 일시 중단해야 하는 일이 없도록 함으로써, CA단말 측에서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 시 통신서비스의 처리성능이 불필요하게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가 포함되는 통신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가 포함된 통신시스템에서는, 동일 지역에 대해서 다수의 주파수대역이 공존하고 있다.
예컨대, 도 1을 언급하여 설명하면, 기지국장치(100)는, 다수의 주파수대역에 따른 다수의 셀 즉, 제1주파수대역에 따른 제1셀(C1), 제2주파수대역에 따른 제2셀(C1)을 형성할 수 있고, 이때 제2셀(C2)은 자신 보다 작은 커버리지의 제1셀(C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존의 20 MHz대역 보다 더 넓은 대역을 지원하기 위해 등장한 IMT-advanced 통신시스템에서 채택하고 있는 주파수집합(Carrier Aggregation, CA) 기술과 관련된 발명이다.
여기서, CA 기술은, 다중 단위 주파수대역(Component Carrier, CC)의 통합을 통해 보다 넓은 주파수대역을 확보할 수 있고, 각 단위 주파수대역(CC)은 LTE 단말에게 LTE 주파수대역으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이전 통신시스템과의 호환성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전술의 도 1과 같이, 다수의 셀(C1,C2) 중 어느 하나의 셀을 통해 접속되는 단말에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며, 특히 CA 기능으로 동작하는 CA단말에 대해서는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를 즉 2 이상의 셀 즉 PCell 및 SCell을 통합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CA지원기지국일 것이다.
한편 도 1 및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기지국장치(100)가 2개의 셀 예컨대 전술의 제1셀(C1) 및 제2셀(C2)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보다 더 많은 개수의 셀 예컨대 제1셀(C1), 제2셀(C2) 및 제3셀(C3) 등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1주파수대역에 대해서도 제1주파수대역에 따른 제1셀(C1)과 같이 C1을 참조번호로 언급하여 설명하고, 제2주파수대역에 대해서도 제2주파수대역에 따른 제2셀(C2)과 같이 C2를 참조번호로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도 1에 도시된 단말1은 CA 기능을 지원하는 CA단말이라고 가정한다. 이에, 도 1과 같이 제1셀(C1) 내에 위치하는 단말1은, 기지국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제1셀(C1) 및 제2셀(C2)의 주파수대역 예컨대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을 모두 지원하는 단말로서, 제1셀(C1) 및 제2셀(C2) 중 적어도 하나의 셀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간단히 설명하면, 전원 온 되거나 또는 아이들 모드에서 해제되는 단말1은, 제1주파수대역에 따른 제1셀(C1) 및 제2주파수대역에 따른 제2셀(C2) 중 기본셀(Primary Cell, PCell)로서 우선 접속할 셀을 선택하고, 선택한 셀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하여, 위치등록 및 호 세션 연결 등 통신시스템에 대한 접속절차를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셀(C1) 및 제2셀(C2) 중 기본셀(PCell)로서 선택한 셀이, 제1셀(C1)인 것을 예로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이하의 설명에서, 단말1이 기지국장치(100)에 초기 접속 시 이용한 기본셀(PCell)과 제1셀(C1)은 동일할 것이다.
이에, 단말1은, 다수의 주파수대역 즉 제1주파수대역(C1) 및 제2주파수대역(C2) 중 특정 주파수대역 즉 기본셀(PCell)로 선택한 제1주파수대역의 제1셀(C1)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장치(100)는,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1과 제1셀(C1)을 통해 접속하는 과정,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셀(C1)을 통해 단말1에 대한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과정에서, 제1셀(C1)과의 CA 기능 연동이 가능한 추가셀(Secondary Cell, SCell)에 대한 정보를 단말1로 제공한다.
이때, 제공하는 정보에는, 추가셀(SCell)에 대한 SCell Index, PCI, 주파수대역 정보, SCell 신호세기 측정을 위한 측정파라미터(예 : 활성임계세기, 비활성임계세기), SCell 활성화 타이머, SCell 비활성화 타이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셀(C1) 및 제2셀(C2) 중 기본셀(PCell)이 제1셀(C1)인 경우라면, 기지국장치(100)는, 추가셀(SCell)로서의 제2셀(C2)에 대한 정보를 단말1로 제공할 것이다. 즉, 이하의 설명에서 추가 접속하기 위한 추가셀(SCell)과 제2셀(C2)은 동일할 것이다.
이에,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1은, 기지국장치(100)로부터 추가셀(SCell)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이에 따라 추가셀(SCell) 즉 제2셀(C2)을 통해서도 기지국장치(100)에 추가 접속하기 위한 접속준비상태(예 : SCell Add 상태)로 진입한다.
이후 단말1은, 필요한 경우 예컨대 버퍼 크기를 체크하여 일정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 추가셀(SCell) 즉 제2셀(C2)에 대한 접속준비상태를 접속활성화상태(예 : SCell Activation 상태)로 전환함에 따라 추가로 제2셀(C2) 즉 제2주파수대역의 제2셀(C2)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하여, 여러 셀 즉 제1셀(C1) 및 제2셀(C2)을 통합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기본셀(PCell)로서의 제1주파수대역(C1)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와 접속하고 추가셀(SCell)로서의 제2주파수대역(C2) 즉 제2셀(C2)에 대해서는 접속준비상태이거나 접속활성화상태인 단말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셀(C1) 내에서 밖으로 나와 제2셀(C2)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1 측에서는 제1주파수대역(C1)의 신호세기가 작아지고 제2주파수대역(C2)의 신호세기가 커질 것이고, 결국 단말1에는 기본셀(PCell)에 대한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가 필요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단말에 대해서, 단말이 CA단말인지 CA단말이 아닌 지에 따라서 상이한 핸드오버관련정책을 내려줌으로써, CA단말에 대해서는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를 위해서 통신서비스의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불필요하게 일시 중단해야 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 CA단말 측에서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 시 통신서비스의 처리성능이 불필요하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단말과 접속하는 접속부(110)와, 상기 단말에서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의 신호세기를 기초로 하는 핸드오버시도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이벤트확인부(120)와, 상기 핸드오버시도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이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 외에 다른 주파수대역을 통해서도 추가 접속하는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말확인부(130)와,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중단하지 않고도 상기 특정 기능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다수의 주파수대역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주파수대역(C1), 제2주파수대역(C2) 2 개인 것을 예로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CA단말에 대해서는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를 즉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을 통합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CA지원기지국일 것이다.
접속부(110)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즉 전술의 제1주파수대역(C1) 및 제2주파수대역(C2) 중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단말과 접속한다.
전술의 단말1을 언급하여 설명하면, 단말1은 전원 온 되거나 또는 아이들 모드에서 해제되는 단말1은, 제1셀(C1) 및 제2셀(C2) 중 기본셀(Primary Cell, PCell)로서 우선 접속할 셀을 선택하고, 선택한 셀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하여, 위치등록 및 호 세션 연결 등 통신시스템에 대한 접속절차를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셀(C1) 및 제2셀(C2) 중 기본셀(PCell)로서 선택한 셀이, 제1셀(C1)인 것을 예로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에, 접속부(110)는, 제1주파수대역(C1) 및 제2주파수대역(C2) 중에서 특정 주파수대역 즉 기본셀(PCell)로서의 제1주파수대역에 따른 제1셀(C1)을 통해 단말1과 접속한다.
이에, 단말1은 제1주파수대역(C1)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벤트확인부(120)는, 단말1에서 특정 주파수대역 즉 제1주파수대역(C1)의 신호세기를 기초로 하는 핸드오버시도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핸드오버시도이벤트는, 특정 주파수대역 즉 제1주파수대역(C1)의 신호세기가 특정 시도임계값 미만인 경우 발생하는 에이2(A2)이벤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말1은, 기본셀(PCell)로서 접속 중인 제1주파수대역(C1)의 신호세기가 특정 시도임계값 미만이 되는 A2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시하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이 제1셀(C1) 내에서 밖으로 나와 제2셀(C2)로 이동하게 된다면, A2이벤트가 발생할 것이다.
단말1은, A2이벤트가 발생하면 A2이벤트가 발생한 사실을 기지국장치(100)에 보고하게 된다.
이에, 이벤트확인부(120)는, 단말1에서 특정 주파수대역 즉 제1주파수대역(C1)의 신호세기를 기초로 하는 핸드오버시도이벤트, 다시 말해 단말1에서 A2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확인부(130)는, 이벤트확인부(120)의 확인 결과 단말1에서 핸드오버시도이벤트 즉 A2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1이 제1주파수대역(C1) 및 제2주파수대역(C2) 중 특정 주파수대역 즉 제1주파수대역(C1) 외에 다른 제2주파수대역(C2)을 통해서도 추가 접속하는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지국장치(100)는, 전술에서 단말1과 제1셀(C1)을 통해 접속하는 과정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셀(C1)을 통해 단말1에 대한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과정에서, 단말1이 CA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 결과 단말1이 CA단말이라면 전술과 같이 제1셀(C1)과의 CA 기능 연동이 가능한 추가셀(SCell)에 대한 정보를 단말1로 제공하게 된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셀(C1) 및 제2셀(C2) 중 기본셀(PCell)이 제1셀(C1)인 경우라면, 기지국장치(100)는, 추가셀(SCell)로서의 제2셀(C2)에 대한 정보를 단말1로 제공할 것이다.
이에,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1은, 기지국장치(100)로부터 추가셀(SCell)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이에 따라 추가셀(SCell) 즉 제2주파수대역에 따른 제2셀(C2)을 통해서도 기지국장치(100)에 추가 접속하기 위한 접속준비상태로 진입하여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할 것이고, 필요한 경우 추가셀(SCell) 즉 제2셀(C2)에 대한 접속준비상태를 접속활성화상태로 전환함에 따라 추가로 제2주파수대역(C2)을 통해도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하여, 여러 주파수대역 즉 PCell 및 SCell을 통합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것이다.
이에, 전술의 특정 기능이란, 전술한 CA 기능을 의미하며, 결국 단말1이 제1주파수대역(C1) 및 제2주파수대역(C2) 중 특정 주파수대역 즉 제1주파수대역(C1) 외에 다른 제2주파수대역(C2)을 통해서도 추가 접속하는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단말1이 CA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과 동일한 것이다.
이에, 단말확인부(130)는, 이벤트확인부(120)의 확인 결과 단말1에서 핸드오버시도이벤트 즉 A2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1이 CA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단말확인부(130)는, A2이벤트가 발생한 단말1에 대해서, 단말1과의 기본셀(PCell) 즉 제1셀(C1)을 통해 접속하는 과정에서 단말1이 CA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기초로, CA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제어부(140)는, 단말확인부(130)에서 단말1이 특정 기능 즉 CA 기능을 지원하는 것으로 확인한 경우, 다시 말해 단말1이 CA단말이면, 단말1이 특정 주파수대역 즉 제1주파수대역(C1)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중단하지 않고도 CA 기능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다른 주파수대역 즉 제2주파수대역(C2)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도록, 단말1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단말확인부(130)에서 단말1이 특정 기능 즉 CA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한 경우, 다시 말해 단말1이 CA단말이 아니면, 단말1이 특정 주파수대역 즉 제1주파수대역(C1)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일정시간 동안 중단하고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다른 주파수대역 즉 제2주파수대역(C2)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도록, 단말1을 제어한다.
결국, 제어부(140)는, A2이벤트 발생을 보고한 단말1 즉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단말1에 대해서, 단말1이 CA단말인지 CA단말이 아닌 지에 따라서 상이한 방식으로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다른 주파수대역 즉 제2주파수대역(C2)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40)는, 단말확인부(130)에서 단말1이 특정 기능 즉 CA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한 경우, 다시 말해 단말1이 CA단말이 아니면, A2이벤트 발생을 보고 받음에 따라 단말1로 기존과 같은 핸드오버관련정책을 제공한다.
여기서, 핸드오버관련정책이란, 에이3(A3)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데 기초로 하는 정책으로서, A3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할 정보 예컨대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다른 주파수대역 즉 제2주파수대역(C2)에 대한 식별정보(CellID), A3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기준인 트리거임계값 등의 정보와, 접속 중인 제1주파수대역(C1) 대신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다른 주파수대역 즉 제2주파수대역(C2)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도록 하는 측정정책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측정정책은, 예를 들면 주기적으로(예 : 1프레임 당) 기 설정된 측정시간(예 6ms) 동안 접속 중인 제1주파수대역(C1) 대신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제2주파수대역(C2)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도록 하는 정책(예 : measurement gap)이다.
이에, 전술한 핸드오버관련정책을 제공받은 단말1(이때의 단말1은 CA단말이 아님)은, 주기적으로(예 : 1프레임 당) 핸드오버관련정책 내 측정정책에 따른 일정시간(예 : 10ms = 설정된 측정시간 6ms + 측정시간으로 인한 ACK/NACK 부재에 따른 시간4ms) 동안은 일시적으로 제1주파수대역(C1)을 통해 신호(예 :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를 수신하는 동작을 중단하고 대신 제2주파수대역(C2)을 통한 신호를 수신하여 제2주파수대역(C2)의 신호세기를 측정하게 되고, 이로 인해 단말1 측에서는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 시 제1주파수대역(C1)을 통해 이용하는 통신서비스의 처리성능이 어느 정도는 떨어질 수 밖에 없다.
한편, CA단말 예를 들어, 기본셀(PCell)로서의 제1주파수대역(C1)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와 접속하고 추가셀(SCell)로서의 제2주파수대역(C2) 즉 제2셀(C2)에 대해서는 접속준비상태이거나 접속활성화상태인 단말1은, CA 기능을 이용하여 제2주파수대역(C2)의 신호세기를 언제든지 측정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40)는, 단말확인부(130)에서 단말1이 특정 기능 즉 CA 기능을 지원하는 것으로 확인한 경우, 다시 말해 단말1이 CA단말이면, A2이벤트 발생을 보고 받음에 따라 단말1로 핸드오버관련정책을 제공함에 있어서 전술의 기존 핸드오버관련정책에서 전술한 측정정책을 제외시켜 제공한다.
즉, 제어부(140)는, 단말1이 CA단말이면, 전술한 측정정책을 제외시키고 A3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할 정보 예컨대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다른 주파수대역 즉 제2주파수대역(C2)에 대한 식별정보(CellID), A3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기준인 트리거임계값 등의 정보만을 포함한 핸드오버관련정책을 단말1(이때의 단말1은 CA단말임)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전술한 측정정책가 제외된 핸드오버관련정책을 제공받은 단말1은, 측정정책에 따른 전술의 방식으로 제2주파수대역(C2)의 신호세기를 측정하지 않게 되어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를 위해서 통신서비스의 신호(예 :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를 수신하는 동작을 불필요하게 일시 중단해야 하는 일이 없어지며, 대신 CA 기능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제2주파수대역(C2)의 신호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40)는, A2이벤트 발생을 보고한 단말1 즉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단말1에 대해서, 단말이 CA단말인지 CA단말이 아닌 지에 따라서 상이한 핸드오버관련정책을 내려줌으로써, CA단말에 대해서는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를 위해서 통신서비스의 신호(예 :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를 수신하는 동작을 불필요하게 일시 중단해야 하는 일이 없도록 하면서도 CA 기능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제2주파수대역(C2)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전술한 A3이벤트는,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제2주파수대역(C2)의 신호세기가 제1주파수대역(C1)의 신호세기 보다 트리거임계값 만큼 더 큰 경우 발생하는 이벤트이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에서는, A3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할 정보를 포함한 핸드오버관련정책을 채택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에서는 A5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할 정보가 포함된 핸드오버관련정책을 채택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CA 기능을 지원하는 CA단말에 대해서는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를 위해서 통신서비스의 신호(예 :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를 수신하는 동작을 불필요하게 일시 중단해야 하는 일이 없도록 함으로써, CA단말 측에서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 시 통신서비스의 처리성능이 불필요하게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2의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이 제1셀(C1) 내에 위치하는 단말1은, 전원 온 되거나 또는 아이들 모드에서 해제되면 제1주파수대역에 따른 제1셀(C1) 및 제2주파수대역에 따른 제2셀(C2) 중 기본셀(Primary Cell, PCell)로서 우선 접속할 셀을 선택하고, 선택한 셀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한다(S1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셀(C1) 및 제2셀(C2) 중 기본셀(PCell)로서 선택한 셀이, 제1셀(C1)인 것을 예로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단말1은, 다수의 주파수대역 즉 제1주파수대역(C1) 및 제2주파수대역(C2) 중 특정 주파수대역 즉 기본셀(PCell)로 선택한 제1주파수대역의 제1셀(C1)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장치(100)는, 전술에서 단말1과 제1셀(C1)을 통해 접속하는 과정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셀(C1)을 통해 단말1에 대한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과정에서, 단말1이 CA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 결과 단말1이 CA단말이라면 전술과 같이 제1셀(C1)과의 CA 기능 연동이 가능한 추가셀(SCell)에 대한 정보를 단말1로 제공하게 된다.
이에, 단말1은, 기지국장치(100)로부터 추가셀(SCell)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이에 따라 추가셀(SCell) 즉 제2셀(C2)을 통해서도 기지국장치(100)에 추가 접속하기 위한 접속준비상태를 유지하거나(S20), 또는 필요한 경우 추가셀(SCell) 즉 제2셀(C2)에 대한 접속준비상태를 접속활성화상태로 전환함에 따라 추가로 제2셀(C2) 즉 제2주파수대역의 제2셀(C2)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하여, 여러 셀 즉 제1셀(C1) 및 제2셀(C2)을 통합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S20).
이러한 단말1은 기본셀(PCell)로서 접속 중인 제1주파수대역(C1)의 신호세기가 특정 시도임계값 미만이 되는 A2이벤트가 발생하면(S30), A2이벤트가 발생한 사실을 기지국장치(100)에 보고하게 된다(S40).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에서 A2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확인하면, 단말1이 특정 기능 즉 CA 기능을 지원하는 CA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50).
즉,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에서 A2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확인하면, 전술과 같이 단말1과의 기본셀(PCell) 즉 제1셀(C1)을 통해 접속하는 과정에서 단말1이 CA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기초로, CA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결국, 기지국장치(100)는, S10단계에서 이미 단말1이 CA단말인지 여부를 인지(확인)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이 CA단말이 아닌 경우(S50 No), A2이벤트 발생을 보고 받음에 따라 단말1로 기존의 핸드오버관련정책 즉, A3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할 정보 및 측정정책을 포함한 기존의 핸드오버관련정책을 단말1로 제공한다(S60).
한편,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이 CA단말인 경우(S50 Yes), A2이벤트 발생을 보고 받음에 따라 단말1로 제공하는 기존의 핸드오버관련정책 즉, A3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할 정보 및 측정정책을 포함한 기존의 핸드오버관련정책에서 측정정책을 제외시켜 제공한다(S65).
이에, 전술한 측정정책가 제외된 핸드오버관련정책을 제공받은 단말1은, 측정정책에 따른 전술의 방식으로 제2주파수대역(C2)의 신호세기를 측정하지 않게 되어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를 위해서 신서비스의 신호(예 :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를 수신하는 동작을 불필요하게 일시 중단해야 하는 일이 없어지며, 대신 CA 기능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제2주파수대역(C2)의 신호세기를 측정할 수 있고, 따라서 기존과 같이 제1주파수대역(C1)의 신호세기 및 제2주파수대역(C2)의 신호세기에 기초하여 A3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0).
이에, 단말1은, A3이벤트가 발생한다고 판단되면(S80), A3이벤트 발생 사실을 기지국장치(100)에 보고하고(S90), 이에 기지국장치(100)는, 기존과 같이 A3이벤트 트리거(Trigger)를 통해서 단말1에 대한 기본셀(PCell)을 제1주파수대역(C1)에서 제2주파수대역(C2)으로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된다(S100).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주파수대역 즉 전술의 제1주파수대역(C1) 및 제2주파수대역(C2) 중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단말과 접속한다(S200).
전술의 단말1을 언급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주파수대역 즉 제1주파수대역(C1) 및 제2주파수대역(C2) 중 특정 주파수대역 즉 기본셀(PCell)로 선택한 제1주파수대역의 제1셀(C1)을 통해 단말1과 접속하여, 단말1에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200).
이 후,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1에서 제1주파수대역(C1)의 신호세기를 기초로 하는 핸드오버시도이벤트 즉 A2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1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S210단계의 확인 결과 단말1에서 핸드오버시도이벤트 즉 A2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1이 제1주파수대역(C1) 및 제2주파수대역(C2) 중 제1주파수대역(C1) 외에 다른 제2주파수대역(C2)을 통해서도 추가 접속하는 특정 기능 즉 CA 기능을 지원하는 CA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22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에서 단말1과 제1셀(C1)을 통해 접속하는 과정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셀(C1)을 통해 단말1에 대한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과정에서, 제1셀(C1)과의 CA 기능 연동이 가능한 추가셀(SCell)에 대한 정보를 단말1로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이미 단말1이 CA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S200단계에서 이미 단말1이 CA단말인지 여부를 인지(확인)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S220단계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1에서 A2이벤트가 발생하면, 전술과 같이 S200단계에서 단말1이 CA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기초로, 단말1이 CA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S220단계의 확인 결과 단말1이 CA단말이 아닌 경우, 기존의 핸드오버관련정책 즉 A3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할 정보 및 측정정책을 포함한 기존의 핸드오버관련정책을 단말1에 제공한다(S225).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S220단계의 확인 결과 단말1이 CA단말인 경우, A2이벤트 발생을 보고 받음에 따라 단말1로 제공하는 기존의 핸드오버관련정책 즉, A3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할 정보 및 측정정책을 포함한 기존의 핸드오버관련정책에서 측정정책을 제외시켜 제공한다(S230).
이에, 전술한 측정정책가 제외된 핸드오버관련정책을 제공받은 단말1은, 측정정책에 따른 전술의 방식으로 제2주파수대역(C2)의 신호세기를 측정하지 않게 되어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를 위해서 통신서비스의 신호(예 :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를 수신하는 동작을 불필요하게 일시 중단해야 하는 일이 없어지며, 대신 CA 기능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제2주파수대역(C2)의 신호세기를 측정할 수 있고, 따라서 기존과 같이 제1주파수대역(C1)의 신호세기 및 제2주파수대역(C2)의 신호세기에 기초하여 A3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1에서 A3이벤트의 발생이 확인되면(S240 Yes), 기존과 같이 A3이벤트 트리거(Trigger)를 통해서 단말1에 대한 기본셀(PCell)을 제1주파수대역(C1)에서 제2주파수대역(C2)으로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된다(S25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CA 기능을 지원하는 CA단말에 대해서는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를 위해서 통신서비스의 신호(예 :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를 수신하는 동작을 불필요하게 일시 중단해야 하는 일이 없도록 함으로써, CA단말 측에서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 시 통신서비스의 처리성능이 불필요하게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CA단말에 대해서는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를 위해서 통신서비스의 신호(예 :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를 수신하는 동작을 불필요하게 일시 중단해야 하는 일이 없도록 함으로써, CA단말 측에서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 시 통신서비스의 처리성능이 불필요하게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기지국장치
110 : 접속부 120 : 이벤트확인부
130 : 단말확인부 140 : 제어부

Claims (5)

  1.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단말과 접속하는 접속부;
    상기 단말에서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의 신호세기를 기초로 하는 핸드오버시도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이벤트확인부;
    상기 핸드오버시도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이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 외에 다른 주파수대역을 통해서도 추가 접속하는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말확인부; 및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중단하지 않고도 상기 특정 기능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도록 하는 측정정책을 포함하는 핸드오버관련정책을 상기 단말로 제공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핸드오버관련정책에서 상기 측정정책을 제외시켜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일정시간 동안 중단하고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시도이벤트는,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의 신호세기가 특정 시도임계값 미만인 경우 발생하는 에이2(A2)이벤트이고,
    상기 단말은,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의 신호세기 및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의 신호세기를 기초로 에이3(A3)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은, CA(Carrier Aggregation) 기능이며,
    상기 단말은, 상기 CA 기능을 지원하는 CA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5.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단말과 접속하는 접속단계;
    상기 단말에서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의 신호세기를 기초로 하는 핸드오버시도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이벤트확인단계;
    상기 핸드오버시도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이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 외에 다른 주파수대역을 통해서도 추가 접속하는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말확인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중단하지 않고도 상기 특정 기능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도록 하는 측정정책을 포함하는 핸드오버관련정책을 상기 단말로 제공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핸드오버관련정책에서 상기 측정정책을 제외시켜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30114770A 2013-09-26 2013-09-26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2104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770A KR102104547B1 (ko) 2013-09-26 2013-09-26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770A KR102104547B1 (ko) 2013-09-26 2013-09-26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549A KR20150034549A (ko) 2015-04-03
KR102104547B1 true KR102104547B1 (ko) 2020-04-24

Family

ID=53031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4770A KR102104547B1 (ko) 2013-09-26 2013-09-26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45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2795A (ja) * 2008-09-22 2012-09-20 Sharp Corp 移動局装置、測定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13536644A (ja) * 2010-08-20 2013-09-19 ゼットティーイー コーポレーション 圧縮モードの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32045B (zh) * 2009-06-24 2014-11-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载波聚合中测量结果的上报方法及用户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2795A (ja) * 2008-09-22 2012-09-20 Sharp Corp 移動局装置、測定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13536644A (ja) * 2010-08-20 2013-09-19 ゼットティーイー コーポレーション 圧縮モードの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549A (ko) 2015-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76248B (zh) 具多連線性移動性
US11463923B2 (en) Supplementary uplink in wireless systems
US11219082B2 (en) Base station, user equipment, and related method
KR102253866B1 (ko) 비인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888414B2 (en) Reducing call drops in uplink power limited scenarios
KR102015038B1 (ko) Laa/lte 무선 리소스 할당 시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동적 링크 모니터링
CN108882318B (zh) 用于蜂窝连接的高功率模式的设备、系统和方法
KR20130108294A (ko) 장치 내 간섭 완화
US20220417804A1 (en) Supplementary uplink in wireless systems
KR102301836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의 동적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29724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2126802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2104547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US20230138554A1 (en)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user equipment
KR101439289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2665360B1 (ko) 무선 시스템에서의 보충 업링크
TW202415131A (zh) 具多連線性移動性
CN115696640A (zh) 执行用户设备辅助信息发送过程的方法及用户设备
KR101616534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CN117320086A (zh) 由用户设备执行的方法以及用户设备
KR20240070702A (ko) 무선 시스템에서의 보충 업링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