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802B1 -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6802B1 KR102126802B1 KR1020130101853A KR20130101853A KR102126802B1 KR 102126802 B1 KR102126802 B1 KR 102126802B1 KR 1020130101853 A KR1020130101853 A KR 1020130101853A KR 20130101853 A KR20130101853 A KR 20130101853A KR 102126802 B1 KR102126802 B1 KR 1021268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equency band
- terminal
- base station
- frequency bands
- basic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68 resource allo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49 de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에 대해서는, 주파수대역의 부하 보다는 CA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실질적인 요인들을 기초로 하여 기본 주파수대역(PCell)에 대한 접속을 제어함으로써,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 이용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A(Carrier Aggregation)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에 대해서는, 주파수대역의 부하 보다는 CA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실질적인 요인들을 기초로 하여 주파수대역에 대한 접속을 제어함으로써,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 이용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는, 최대 20 MHz대역을 이용하여 고속의 통신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통신서비스의 종류 및 전송 요구 속도 등이 다양해짐에 따라, 더 빠른 속도의 통신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기존의 20 MHz대역 보다 더 넓은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IMT-advanced 통신시스템이 새롭게 등장하였으며, IMT-advanced 통신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주파수대역이 공존하는 상황에서, 기존의 20 MHz대역 보다 더 넓은 대역을 지원하기 위해 주파수집합(Carrier Aggregation, CA)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CA 기술은, 다중 단위 주파수대역(Component Carrier, CC)의 통합을 통해 보다 넓은 주파수대역을 확보할 수 있고, 각 단위 주파수대역(CC)은 LTE 단말에게 LTE 주파수대역으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이전 통신시스템과의 호환성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은, 우선 다수의 단위 주파수대역(CC) 중 하나의 기본 주파수대역(Primary Cell, PCell)을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고, 이후 필요에 따라 추가로 다른 주파수대역(Secondary Cell, SCell)을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여, 여러 주파수대역 즉 PCell 및 SCell을 통합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은, SCell에 접속 및 접속 해제하는 과정, SCell에 대한 상향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PCell의 도움을 받게 된다. 따라서, 단말 입장에서는,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 이용하는데 있어서 PCell의 접속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이다.
한편, 다수의 주파수대역이 공존하는 현 통신시스템에서, 기존에는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 및 미 지원하는 단말 구분 없이, 다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접속을 제어함에 있어서 주파수대역의 부하를 가장 주된 요인으로 하여 제어하고 있다.
여기서, 기존과 같이 단순히 주파수대역의 부하를 기초로 하여 주파수대역 접속을 제어하는 방식은, 주파수대역 별로 부하를 고르게 분산하는데 초점을 맞춘 방식이기 때문에,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에 대해서도 기존의 방식을 적용한다면 오히려 PCell의 접속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해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 이용 품질을 떨어뜨릴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에 대해서는, 주파수대역의 부하 보다는 CA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실질적인 요인들을 기초로 하여 주파수대역에 대한 접속을 제어함으로써,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 이용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에 대해서는, 주파수대역의 부하 보다는 CA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실질적인 요인들을 기초로 하여 주파수대역에 대한 접속을 제어함으로써,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 이용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을 통해 단말과 접속하는 접속부; 상기 단말에 대해,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 외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대역을 통해서도 추가 접속하는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말기능확인부; 및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단말에 대해서는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과 관련하여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커버리지 및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의 상향링크채널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접속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초기 접속하도록 상기 단말에 기 설정된 주파수대역이며, 상기 접속제어부는, 상기 단말에 대해서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커버리지를 기초로,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가장 넓은 커버리지의 주파수대역이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으로서 설정되도록 상기 접속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제어부는, 상기 단말과의 접속 해제 시,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각각에 대하여 넓은 커버리지의 주파수대역일수록 높은 우선순위가 지정된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단말에서 상기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에 따라서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가장 넓은 커버리지의 주파수대역이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으로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은, 상기 특정 기능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상향정보를 모두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의 상향링크채널을 통해서 전송하며, 상기 접속제어부는, 상기 단말에 대해서는,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의 상향링크채널 상태를 기초로,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으로서 접속한 특정 주파수대역이 핸드오버되도록 상기 접속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제어부는, 상기 상향링크채널의 상향링크간섭이 특정 간섭임계치 보다 크면, 상기 단말을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로서 접속한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대역 중 상향링크간섭이 가장 낮은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핸드오버시킬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을 통해 단말과 접속하는 접속단계; 상기 단말에 대해,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 외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대역을 통해서도 추가 접속하는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말기능확인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단말에 대해서는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과 관련하여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커버리지 및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의 상향링크채널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접속제어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초기 접속하도록 상기 단말에 기 설정된 주파수대역이며, 상기 접속제어단계는, 상기 단말에 대해서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커버리지를 기초로,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가장 넓은 커버리지의 주파수대역이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으로서 설정되도록 상기 접속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제어단계는, 상기 단말과의 접속 해제 시,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각각에 대하여 넓은 커버리지의 주파수대역일수록 높은 우선순위가 지정된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단말에서 상기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에 따라서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가장 넓은 커버리지의 주파수대역이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으로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은, 상기 특정 기능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상향정보를 모두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의 상향링크채널을 통해서 전송하며, 상기 접속제어단계는, 상기 단말에 대해서는,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의 상향링크채널 상태를 기초로,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으로서 접속한 특정 주파수대역이 핸드오버되도록 상기 접속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제어단계는, 상기 상향링크채널의 상향링크간섭이 특정 간섭임계치 보다 크면, 상기 단말을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로서 접속한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대역 중 상향링크간섭이 가장 낮은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핸드오버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에 대해서는, 주파수대역의 부하 보다는 CA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실질적인 요인들을 기초로 하여 기본 주파수대역(PCell)에 대한 접속을 제어함으로써,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 이용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에서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예를 보여주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에서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예를 보여주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가 포함되는 통신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가 포함된 통신시스템에서는, 동일 지역에 대해서 다수의 주파수대역이 공존하고 있다.
예컨대, 도 1을 언급하여 설명하면, 기지국장치(100)는, 제1주파수대역에 따른 제1셀(C1), 제2주파수대역에 따른 제2셀(C2), 제3주파수대역에 따른 제3셀(C3)을 형성할 수 있고, 이때 제1셀(C1) 및 제2셀(C2)은 가장 넓은 커버리지의 제3셀(C3)에 포함되며, 더불어 제1셀(C1)은 자신 보다 큰 커버리지의 제2셀(C2)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존의 20 MHz대역 보다 더 넓은 대역을 지원하기 위해 등장한 IMT-advanced 통신시스템에서 채택하고 있는 주파수집합(Carrier Aggregation, CA) 기술과 관련된 발명이다.
여기서, CA 기술은, 다중 단위 주파수대역(Component Carrier, CC)의 통합을 통해 보다 넓은 주파수대역을 확보할 수 있고, 각 단위 주파수대역(CC)은 LTE 단말에게 LTE 주파수대역으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이전 통신시스템과의 호환성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전술의 도 1과 같이, 다수의 주파수대역(예 : 제1주파수대역, 제2주파수대역 및 제3주파수대역)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대역을 통해 접속되는 단말에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며, 특히 CA 기능으로 동작하는 단말에 대해서는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를 즉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을 통합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CA지원기지국일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통신시스템에서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예시를 간단하게 설정하도록 하겠다.
우선, 단말(10)은,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단말(10)은, 기지국장치(100)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예컨대 제1주파수대역, 제2주파수대역 및 제3주파수대역을 모두 지원하는 단말로서, 이들 제1주파수대역, 제2주파수대역 및 제3주파수대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단말(10)에서 지원 및 기지국장치(100)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주파수대역으로서, 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을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1주파수대역에 따른 제1셀(C1)의 참조번호 C1을 참조하여 제1주파수대역(C1)이라 하고, 제2주파수대역에 따른 제2셀(C2)의 참조번호 C2를 참조하여 제2주파수대역(C2)이라 하겠다.
단말(10)은, 전원 온(Power On) 되면(S10),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Primary Cell, PCell)으로서 우선 접속할 주파수대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하여, 위치등록 및 무선자원 할당 등 통신시스템에 대한 접속절차를 수행한다(S20).
예를 들면, 단말(10)은, 전원 온(Power On) 되면(S10), 내부에 기 설정된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를 기초로,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 중 우선순위가 높게 지정된 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하여, 전술의 통신시스템에 대한 접속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20).
이때, 단말(10)은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이기 때문에,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에서 우선순위가 높게 지정된 주파수대역, 즉 초기 접속하도록 지정된 주파수대역은, 기본 주파수대역(Primary Cell, PCell)이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 설정된 주파수대역이, 제2주파수대역(C2)인 것을 예로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이하의 설명에서 단말(10)이 기지국장치(100)에 초기 접속 시 이용한 기본 주파수대역(PCell)과 제2주파수대역(C2)은 동일할 것이다.
기지국장치(100)는, 제2주파수대역(C2)을 통해 단말(10)이 접속된 후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주파수대역(C2)을 통해 단말(10)에 대한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 후, 제2주파수대역(C2)과의 CA 기능 연동이 가능한 다른 주파수대역(Secondary Cell, SCell)에 대한 정보를 단말(10)로 제공한다(S30).
이때, 제공하는 정보에는, 다른 주파수대역(SCell)에 대한 SCell Index, PCI, 주파수대역 정보, SCell 신호세기 측정을 위한 측정파라미터(예 : 활성임계세기, 비활성임계세기), SCell 활성화 타이머, SCell 비활성화 타이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서 설정된 주파수대역이 제2주파수대역(C2)인 경우라면, 기지국장치(100)는, 다른 주파수대역(SCell)로서의 제1주파수대역(C1)에 대한 정보를 단말(10)로 제공할 것이다.
한편, 단말(10)은, 제2주파수대역(C2)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하여, 할당되는 무선자원 즉 상향링크채널 및 하향링크채널을 통해서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것이다(S40).
이때, 단말(10)은, 전술과 같이 제공받아 저장하고 있는 다른 주파수대역(SCell)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현 상태가 CA 기능 활성화 필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0).
예를 들면, 단말(10)은, 다른 주파수대역(SCell)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대용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특정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 있고 다른 주파수대역(SCell) 즉 제1주파수대역(C1)의 신호세기가 측정파라미터에 따른 활성임계세기 보다 큰 상태로 SCell 활성화 타이머가 경과하도록 유지된다면, 현 상태가 CA 기능 활성화 필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50 Yes).
이 경우, 단말(10)은, CA 기능으로 동작하여, 다른 주파수대역(SCell)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다른 주파수대역(SCell) 즉 제1주파수대역(C1)를 통해서도 기지국장치(100)추가 접속한다(S60).
이에, 단말(10)은, 기본 주파수대역(PCell) 외의 다른 주파수대역인 제1주파수대역(C1)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하여, 할당되는 무선자원 즉 하향링크채널을 통해서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것이다(S70).
이때, 추가 접속하는 주파수대역(SCell)에 대해서는 상향링크채널이 할당되지 않기 때문에, 단말(10)은, 주파수대역(SCell)에 대한 상향정보 즉,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정보(예 : CQI, RI, PMI) 등 기지국장치(100)로 전송하는 정보 역시,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의 상향링크채널을 통해서 기지국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
결국, 단말(10)은, CA 기능 동작 시에는,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인 제2주파수대역(C2) 및 다른 주파수대역(SCell)인 제1주파수대역(C1)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하여,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를 즉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을 통합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처럼,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10)은, 추가 접속하는 주파수대역(SCell)에 접속 및 접속 해제하는 과정, 추가 접속하는 주파수대역(SCell)에 대한 상향정보를 기지국장치(100)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의 도움을 받게 된다.
따라서, 단말(10) 입장에서는,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 이용하는데 있어서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의 접속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10)에 대해서는, CA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실질적인 요인들을 기초로 하여 주파수대역 특히 기본 주파수대역(PCell)에 대한 접속을 제어함으로써,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 이용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을 통해 단말(10)과 접속하면, 단말(10)에 대해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 외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대역을 통해서도 추가 접속하는 특정 기능 즉 CA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기지국장치(100)는, 확인 결과 단말(10)이 CA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단말(10)에 대해서는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과 관련하여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부하와는 무관하게 접속제어를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앞서 언급한 참조번호를 이용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을 통해 단말(10)과 접속하는 접속부(110)와, 단말(10)에 대해,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 외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대역을 통해서도 추가 접속하는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말기능확인부(120)와, 단말(10)이 상기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단말(10)에 대해서는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과 관련하여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부하와는 무관하게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접속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다수의 주파수대역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주파수대역(C1), 제2주파수대역(C2) 및 제3주파수대역(C3) 등일 수 있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주파수대역(C1) 및 제2주파수대역(C2) 2 개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CA 기능으로 동작하는 단말에 대해서는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를 즉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을 통합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CA지원기지국일 것이다.
접속부(110)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을 통해 단말(10)과 접속한다.
단말(10)은,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이든 미지원하는 단말이든 관계없이, 다수의 주파수대역 즉 제1주파수대역(C1) 및 제2주파수대역(C2)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대역을 통해서 기지국장치(100)의 접속부(110)에 접속할 것이다.
예를 들면, 단말(10)은, 전원 온(Power On) 되면, 내부에 기 설정된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를 기초로,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 중 우선순위가 높게 지정된 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하여, 위치등록 및 무선자원 할당 등 통신시스템에 대한 접속절차를 수행할 것이다.
이때, 단말(10)이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이라면,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에서 우선순위가 높게 지정된 주파수대역, 즉 초기 접속하도록 지정된 주파수대역은, CA 기능에서 지정되는 기본 주파수대역(Primary Cell, PCell)이라 할 수 있다.
물론, 단말(10)이 CA 기능을 미지원하는 단말이라면,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에서 우선순위가 높게 지정된 주파수대역, 즉 초기 접속하도록 지정된 주파수대역은, CA 기능과는 무관하게 기본적으로 설정된 주파수대역이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 중 CA 기능에서 지정되는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 설정된 주파수대역이, 제2주파수대역(C2)인 것을 예로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이하의 설명에서 단말(10)이 기지국장치(100)에 초기 접속 시 이용한 기본 주파수대역(PCell)과 제2주파수대역(C2)은 동일할 것이다.
단말기능확인부(120)은, 접속된 단말(10)에 대해,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현재 접속한 기본 주파수대역 외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대역을 통해서도 추가 접속하는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특정 기능이란, 전술한 CA 기능을 의미한다.
예컨대, 단말(10)이 CA 기능에서 지정되는 기본 주파수대역(PCell) 또는 CA 기능과는 무관하게 기본적으로 설정된 기본 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하여 통신시스템에 대한 접속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단말(10)이 통신시스템으로 올리는 메시지(예 : ueCapabilityInformation메시지)에는 단말(10)이 이용 가능한 주파수대역 종류 및 단말(10)이 지원하는 기능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에, 단말기능확인부(120)은, 단말(10)의 메시지(예 : ueCapabilityInformation메시지)를 토대로, 단말(10)에 대해서 특정 기능 즉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접속제어부(130)는, 단말(10)이 특정 기능 즉 CA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단말(10)에 대해서는 기본 주파수대역(PCell)과 관련하여 다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부하와는 무관하게 접속제어를 수행한다.
한편, 접속제어부(130)는, 단말(10)이 CA 기능을 미지원하는 경우, 단말(10)에 대해서는 기본 주파수대역(PCell)과 관련하여 기존과 같이 다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부하를 기초로 접속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접속제어부(130)는, 단말기능확인부(120)의 확인 결과 단말(10)이 CA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단말(10)에 대해서는, 다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부하와는 무관하게 다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커버리지를 기초로,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가장 넓은 커버리지의 주파수대역이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서 설정되도록 접속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접속제어부(130)는,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10)에 대해서는, 주파수대역에 대한 부하를 기초로 한 아이들 모드 로드 밸런싱(Idle Mode Load Balancing) 대신, 주파수대역에 대한 커버리지를 기초로 한 아이들 모드 로드 밸런싱을 적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접속제어부(130)는, 단말(10)과의 접속 해제 시, 다수의 주파수대역 각각 즉 제1주파수대역(C1) 및 제2주파수대역(C2)에 대하여, 넓은 커버리지의 주파수대역일수록 높은 우선순위가 지정된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를 단말(10)로 제공하여, 단말(10)에서 상기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에 따라서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가장 넓은 커버리지의 주파수대역이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속제어부(130)는, 단말(10)과의 접속 해제 시, 다수의 주파수대역 각각 즉 제1주파수대역(C1) 및 제2주파수대역(C2)에 대하여, 넓은 커버리지의 주파수대역일수록 높은 우선순위가 지정된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를 단말(10)로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 내에서는, 제2주파수대역(C2)의 커버리지가 1주파수대역(C1)의 커버리지 보다 넓기 때문에, 제2주파수대역(C2)의 우선순위가 제1주파수대역(C1)의 우선순위 보다 높을 것이다.
이때, 단말(10)과의 접속 해제의 경우는, 단말(10)의 전원이 꺼져 아이들 모드로 진입되는 경우, 단말(10)에 대한 데이터 트래픽이 일정 시간 이상 발생되지 않아 단말(10)이 아이들 모드로 진입되는 경우, 등이 해당될 것이다.
이에, 단말(10)은 기지국장치(100)와의 접속해제절차 수행 과정에서 제공받은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 즉 넓은 커버리지의 주파수대역일수록 높은 우선순위가 지정된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이후, 단말(10)은, 아이들 모드로 진입한 후, 전술의 저장한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에 따라서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우선순위가 높게 지정된 주파수대역 즉 가장 넓은 커버리지의 제2주파수대역(C2)이 초기 접속하도록 지정된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서 설정될 것이다.
이에, 단말(10)은 제2주파수대역(C2)에서 접속 대기하고 있다가, 전원 온 되거나 통신서비스 이용이 개시되는 등 아이들 모드에서 해제되면,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서 지정된 가장 넓은 커버리지의 제2주파수대역(C2)을 통해서 기지국에 접속할 것이다.
한편, 접속제어부(130)는, 단말기능확인부(120)의 확인 결과 단말(10)이 CA 기능을 미지원하는 경우, 단말(10)에 대해서, 기존과 같이 다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부하를 기초로 기본 주파수대역에 대한 접속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접속제어부(130)는, CA 기능을 미지원하는 단말(10)에 대해서는, 주파수대역에 대한 부하를 기초로 한 기존의 아이들 모드 로드 밸런싱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에, 단말(10)은 기지국장치(100)와의 접속해제절차 수행 과정에서 제공받은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 즉 부하가 적은 주파수대역일수록 높은 우선순위가 지정된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이후, 단말(10)은, 아이들 모드로 진입한 후, 전술의 저장한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에 따라서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우선순위가 높게 지정된 주파수대역 즉 부하가 적은 주파수대역 예컨대 제1주파수대역(C1)이 초기 접속하도록 지정된 기본 주파수대역으로서 설정될 것이다.
이에, 단말(10)은 제1주파수대역(C1)에서 접속 대기하고 있다가, 아이들 모드에서 해제되면, 기본 주파수대역으로서 지정된 부하가 가장 적은 제1주파수대역(C1)을 통해서 기지국에 접속할 것이다.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의 경우, 초기 접속하는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의 접속을 유지하면서,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파수대역(SCell)을 통해 접속/해제하기 때문에 추가 접속하는 주파수대역(SCell)의 접속 상태가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의 품질 저하를 발생시키지는 않지만, 기본 주파수대역(PCell)에 대한 핸드오버 발생 시에는 인터럽션 구간(Interruption Time)에 의해서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의 품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헌데,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에 대해서도 기존과 같이 주파수대역에 대한 부하를 기초로 한 아이들 모드 로드 밸런싱을 적용하여 부하가 적은 주파수대역을 초기 접속 주파수대역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경우, 기본 주파수대역(PCell)에 대한 핸드오버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에 대해서는, 기존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부하 대신, 주파수대역에 대한 커버리지를 기초로 한 아이들 모드 로드 밸런싱을 적용함으로써, 커버리지가 가장 넓은 주파수대역을 초기 접속하는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 설정하도록 하여, 기본 주파수대역(PCell)에 대한 핸드오버가 발생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어, 결국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의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접속제어부(130)는, 단말기능확인부(120)의 확인 결과 단말(10)이 CA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단말(10)에 대해서는, 다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부하와는 무관하게 상기 상향링크채널의 상태를 기초로,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서 접속한 특정 주파수대역이 핸드오버되도록 접속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접속제어부(130)는,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10)에 대해서는, 주파수대역에 대한 부하 특히 주파수대역의 할당된 하향링크채널의 부하를 기초로 한 액티브 모드 로드 밸런싱(Active Mode Load Balancing) 대신, 상향링크채널의 상태를 기초로 한 액티브 모드 로드 밸런싱을 적용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10)은, CA 기능으로 동작하는 경우,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인 제2주파수대역(C2)에 대해서는 상향링크채널 및 하향링크채널을 할당 받지만, 추가 접속한 통해서 다른 주파수대역(SCell)인 제1주파수대역(C1)에 대해서는 하향링크채널만 할당 받게 되고, 제2주파수대역(C2)에 대한 상향정보 및 제1주파수대역(C1)에 대한 상향정보를 모두 제2주파수대역(C2)의 상향링크채널을 통해서 기지국장치(100)로 전송한다.
따라서,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인 제2주파수대역(C2)의 상향링크채널 상태가 악화된다면,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의 이용 품질이 저하될 것이다.
이에, 접속제어부(130)는,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인 제2주파수대역(C2)의 상향링크채널에 대한 상향링크간섭이 특정 간섭임계치 보다 크면, 단말(10)을 기본 주파수대역(PCell)로서 접속한 특정 주파수대역 즉 제2주파수대역(C2)으로부터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핸드오버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속제어부(130)는,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인 제2주파수대역(C2)의 상향링크채널의 상향링크간섭이 특정 간섭임계치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접속제어부(130)는, 상향링크간섭이 특정 간섭임계치 보다 크면, 단말(10)을 기본 주파수대역(PCell)로서 접속한 제2주파수대역(C2)으로부터 다수의 주파수대역에서 제2주파수대역(C2)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대역 중 어느 하나의 다른 주파수대역, 예컨대 상향링크간섭이 가장 낮은 다른 주파수대역(예 : 제1주파수대역(C1))으로 핸드오버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에 대해서는, 기존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부하 즉 하향링크채널의 부하 대신,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의 상향링크간섭을 기초로 한 액티브 모드 로드 밸런싱을 적용함으로써, 상향링크채널의 상태가 좋은 주파수대역으로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을 핸드오버 시켜, 기본 주파수대역(PCell)에 대한 상향링크채널을 통한 상향정보 전송 성공률을 높이고 결국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의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에 대해서는, 주파수대역의 부하 보다는 CA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실질적인 요인들을 기초로 하여 기본 주파수대역(PCell)에 대한 접속을 제어함으로써,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 이용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의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10)은, 전원 온(Power On) 되면, 내부에 기 설정된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를 기초로, 다수의 주파수대역 예컨대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 중 우선순위가 높게 지정된 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하여, 위치등록 및 무선자원 할당 등 통신시스템에 대한 접속절차를 수행할 것이다(S20).
이때, 단말(10)이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이라면,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에서 우선순위가 높게 지정된 주파수대역, 즉 초기 접속하도록 지정된 주파수대역은, CA 기능에서 지정되는 기본 주파수대역(Primary Cell, PCell)이라 할 수 있다.
물론, 단말(10)이 CA 기능을 미지원하는 단말이라면,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에서 우선순위가 높게 지정된 주파수대역, 즉 초기 접속하도록 지정된 주파수대역은, CA 기능과는 무관하게 기본적으로 설정된 주파수대역이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 중 CA 기능에서 지정되는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 설정된 주파수대역이, 제2주파수대역(C2)인 것을 예로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이하의 설명에서 단말(10)이 기지국장치(100)에 초기 접속 시 이용한 기본 주파수대역(PCell)과 제2주파수대역(C2)은 동일할 것이다.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0)이 접속되면, 단말(10)에 대해서 특정 기능 즉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80). 이하에서는, 단말(10)이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를 설명하겠다.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0)이 특정 기능 즉 CA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단말(10)에 대해서는 기본 주파수대역(PCell)과 관련하여 다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부하와는 무관하게 접속제어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0)의 전원이 꺼져 아이들 모드로 진입되는 경우, 단말(10)에 대한 데이터 트래픽이 일정 시간 이상 발생되지 않아 단말(10)이 아이들 모드로 진입되는 경우 등과 같이, 단말(10)과의 접속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면(S90 Yes), 단말(10)과의 접속해제절차를 수행하며, 이때 다수의 주파수대역 각각 즉 제1주파수대역(C1) 및 제2주파수대역(C2)에 대하여 넓은 커버리지의 주파수대역일수록 높은 우선순위가 지정된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를 단말(10)로 제공한다(S100).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 내에서는, 제2주파수대역(C2)의 커버리지가 1주파수대역(C1)의 커버리지 보다 넓기 때문에, 제2주파수대역(C2)의 우선순위가 제1주파수대역(C1)의 우선순위 보다 높을 것이다.
이에, 단말(10)은 기지국장치(100)와의 접속해제절차 수행 과정에서 제공받은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 즉 넓은 커버리지의 주파수대역일수록 높은 우선순위가 지정된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이후, 단말(10)은, 아이들 모드로 진입한 후, 전술의 저장한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에 따라서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우선순위가 높게 지정된 주파수대역 즉 가장 넓은 커버리지의 제2주파수대역(C2)이 초기 접속하도록 지정된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서 설정되고, 제2주파수대역(C2)에서 접속 대기할 것이다(S110).
이에, 단말(10)은 제2주파수대역(C2)에서 접속 대기하고 있다가, 전원 온 되거나 통신서비스 이용이 개시되는 등 아이들 모드에서 해제되면,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서 지정된 가장 넓은 커버리지의 제2주파수대역(C2)을 통해서 기지국에 접속할 것이다.
또한, 기지국장치(100)는,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인 제2주파수대역(C2)의 상향링크채널에 대한 상향링크간섭이 특정 간섭임계치 보다 크면(S120 Yes), 단말(10)을 기본 주파수대역(PCell)로서 접속한 특정 주파수대역 즉 제2주파수대역(C2)으로부터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핸드오버시킬 수 있다.
즉, 기지국장치(100)는, 제2주파수대역(C2)의 상향링크채널에 대한 상향링크간섭이 특정 간섭임계치 보다 크면, 단말(10)을 기본 주파수대역(PCell)로서 접속한 제2주파수대역(C2)으로부터 다수의 주파수대역에서 제2주파수대역(C2)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대역 중 어느 하나의 다른 주파수대역, 예컨대 상향링크간섭이 가장 낮은 다른 주파수대역(예 : 제1주파수대역(C1))으로 핸드오버시킬 수 있다(S130).
이에, 단말(10)은, 기본 주파수대역(PCell)로서 접속한 제2주파수대역(C2)에서 제1주파수대역(C1)으로 핸드오버 접속할 수 있다(S140).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우선, 단말(10)은,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이든 미지원하는 단말이든 관계없이, 다수의 주파수대역 즉 제1주파수대역(C1) 및 제2주파수대역(C2)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대역을 통해서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할 것이다(S200).
예를 들어, 단말(10)이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이라면,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에서 우선순위가 높게 지정된 주파수대역, 즉 초기 접속하도록 지정된 주파수대역은, CA 기능에서 지정되는 기본 주파수대역(Primary Cell, PCell)이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 중 CA 기능에서 지정되는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 설정된 주파수대역이, 제2주파수대역(C2)인 것을 예로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이하의 설명에서 단말(10)이 기지국장치(100)에 초기 접속 시 이용한 기본 주파수대역(PCell)과 제2주파수대역(C2)은 동일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접속된 단말(10)에 대해, 특정 기능 즉 CA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10).
예컨대, 단말(10)이 CA 기능에서 지정되는 기본 주파수대역(PCell) 또는 CA 기능과는 무관하게 기본적으로 설정된 기본 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하여 통신시스템에 대한 접속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단말(10)이 통신시스템으로 올리는 메시지(예 : ueCapabilityInformation메시지)에는 단말(10)이 이용 가능한 주파수대역 종류 및 단말(10)이 지원하는 기능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0)의 메시지(예 : ueCapabilityInformation메시지)를 토대로, 단말(10)에 대해서 특정 기능 즉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0)이 특정 기능 즉 CA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단말(10)에 대해서는 기본 주파수대역(PCell)과 관련하여 다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부하와는 무관하게 접속제어를 수행한다(S220~S26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0)이 CA 기능을 미지원하는 경우, 단말(10)에 대해서는 기본 주파수대역(PCell)과 관련하여 기존과 같이 다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부하를 기초로 접속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215).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210단계의 확인 결과 단말(10)이 CA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단말(10)에 대해서는, 다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부하와는 무관하게 다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커버리지를 기초로,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가장 넓은 커버리지의 주파수대역이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서 설정되도록 접속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10)에 대해서는, 주파수대역에 대한 부하를 기초로 한 아이들 모드 로드 밸런싱 대신, 주파수대역에 대한 커버리지를 기초로 한 아이들 모드 로드 밸런싱을 적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0)의 전원이 꺼져 아이들 모드로 진입되는 경우, 단말(10)에 대한 데이터 트래픽이 일정 시간 이상 발생되지 않아 단말(10)이 아이들 모드로 진입되는 경우 등과 같이, 단말(10)과의 접속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면(S220 Yes), 단말(10)과의 접속해제절차를 수행하며, 이때 다수의 주파수대역 각각 즉 제1주파수대역(C1) 및 제2주파수대역(C2)에 대하여 넓은 커버리지의 주파수대역일수록 높은 우선순위가 지정된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를 단말(10)로 제공한다(S230).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0)과의 접속 해제 시, 다수의 주파수대역 각각 즉 제1주파수대역(C1) 및 제2주파수대역(C2)에 대하여, 넓은 커버리지의 주파수대역일수록 높은 우선순위가 지정된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를 단말(10)로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 내에서는, 제2주파수대역(C2)의 커버리지가 1주파수대역(C1)의 커버리지 보다 넓기 때문에, 제2주파수대역(C2)의 우선순위가 제1주파수대역(C1)의 우선순위 보다 높을 것이다.
이에, 단말(10)은 기지국장치(100)와의 접속해제절차 수행 과정에서 제공받은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 즉 넓은 커버리지의 주파수대역일수록 높은 우선순위가 지정된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이후, 단말(10)은, 아이들 모드로 진입한 후, 전술의 저장한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에 따라서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우선순위가 높게 지정된 주파수대역 즉 가장 넓은 커버리지의 제2주파수대역(C2)이 초기 접속하도록 지정된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서 설정되고, 제2주파수대역(C2)에서 접속 대기하게 된다(S240).
이에, 단말(10)은, 전원 온 되거나 통신서비스 이용이 개시되는 등 아이들 모드에서 해제되면,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서 지정된 가장 넓은 커버리지의 제2주파수대역(C2)을 통해서 기지국에 접속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210단계의 확인 결과 단말(10)이 CA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단말(10)에 대해서는, 다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부하와는 무관하게 상기 상향링크채널의 상태를 기초로,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서 접속한 특정 주파수대역이 핸드오버되도록 접속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10)에 대해서는, 주파수대역에 대한 부하 특히 주파수대역의 할당된 하향링크채널의 부하를 기초로 한 액티브 모드 로드 밸런싱(Active Mode Load Balancing) 대신, 상향링크채널의 상태를 기초로 한 액티브 모드 로드 밸런싱을 적용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10)은, CA 기능으로 동작하는 경우,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인 제2주파수대역(C2)에 대해서는 상향링크채널 및 하향링크채널을 할당 받지만, 추가 접속한 통해서 다른 주파수대역(SCell)인 제1주파수대역(C1)에 대해서는 하향링크채널만 할당 받게 되고, 제2주파수대역(C2)에 대한 상향정보 및 제1주파수대역(C1)에 대한 상향정보를 모두 제2주파수대역(C2)의 상향링크채널을 통해서 기지국장치(100)로 전송한다.
따라서,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인 제2주파수대역(C2)의 상향링크채널 상태가 악화된다면,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의 이용 품질이 저하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인 제2주파수대역(C2)의 상향링크채널에 대한 상향링크간섭이 특정 간섭임계치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25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상향링크간섭이 특정 간섭임계치 보다 크면, 단말(10)을 기본 주파수대역(PCell)로서 접속한 제2주파수대역(C2)으로부터 다수의 주파수대역에서 제2주파수대역(C2)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대역 중 어느 하나의 다른 주파수대역, 예컨대 상향링크간섭이 가장 낮은 다른 주파수대역(예 : 제1주파수대역(C1))으로 핸드오버시킬 수 있다(S26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에 대해서는, 주파수대역의 부하 보다는 CA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실질적인 요인들을 기초로 하여 기본 주파수대역(PCell)에 대한 접속을 제어함으로써,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 이용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에 대해서는, 주파수대역의 부하 보다는 CA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실질적인 요인들을 기초로 하여 기본 주파수대역(PCell)에 대한 접속을 제어함으로써,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 이용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 : 단말
100 : 기지국장치
110 : 접속부 120 : 단말기능확인부
130 : 접속제어부
100 : 기지국장치
110 : 접속부 120 : 단말기능확인부
130 : 접속제어부
Claims (10)
-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을 통해 단말과 접속하는 접속부;
상기 단말에 대해,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 외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대역을 통해서도 추가 접속하는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말기능확인부; 및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단말에 대해서는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과 관련하여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부하와는 무관하게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커버리지 및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의 상향링크채널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접속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부하를 기초로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접속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초기 접속하도록 상기 단말에 기 설정된 주파수대역이며,
상기 접속제어부는,
상기 단말에 대해서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커버리지를 기초로,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가장 넓은 커버리지의 주파수대역이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으로서 설정되도록 상기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제어부는,
상기 단말과의 접속 해제 시,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각각에 대하여 넓은 커버리지의 주파수대역일수록 높은 우선순위가 지정된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단말에서 상기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에 따라서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가장 넓은 커버리지의 주파수대역이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으로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특정 기능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상향정보를 모두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의 상향링크채널을 통해서 전송하며,
상기 접속제어부는,
상기 단말에 대해서는,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의 상향링크채널 상태를 기초로,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으로서 접속한 특정 주파수대역이 핸드오버되도록 상기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제어부는,
상기 상향링크채널의 상향링크간섭이 특정 간섭임계치 보다 크면, 상기 단말을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로서 접속한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대역 중 상향링크간섭이 가장 낮은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핸드오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을 통해 단말과 접속하는 접속단계;
상기 단말에 대해,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 외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대역을 통해서도 추가 접속하는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말기능확인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단말에 대해서는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과 관련하여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부하와는 무관하게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커버리지 및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의 상향링크채널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접속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부하를 기초로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접속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초기 접속하도록 상기 단말에 기 설정된 주파수대역이며,
상기 접속제어단계는,
상기 단말에 대해서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커버리지를 기초로,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가장 넓은 커버리지의 주파수대역이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으로서 설정되도록 상기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제어단계는,
상기 단말과의 접속 해제 시,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각각에 대하여 넓은 커버리지의 주파수대역일수록 높은 우선순위가 지정된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단말에서 상기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에 따라서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가장 넓은 커버리지의 주파수대역이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으로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특정 기능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상향정보를 모두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의 상향링크채널을 통해서 전송하며,
상기 접속제어단계는,
상기 단말에 대해서는,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의 상향링크채널 상태를 기초로,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으로서 접속한 특정 주파수대역이 핸드오버되도록 상기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제어단계는,
상기 상향링크채널의 상향링크간섭이 특정 간섭임계치 보다 크면, 상기 단말을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로서 접속한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대역 중 상향링크간섭이 가장 낮은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핸드오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1853A KR102126802B1 (ko) | 2013-08-27 | 2013-08-27 |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1853A KR102126802B1 (ko) | 2013-08-27 | 2013-08-27 |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4659A KR20150024659A (ko) | 2015-03-09 |
KR102126802B1 true KR102126802B1 (ko) | 2020-06-25 |
Family
ID=53021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01853A KR102126802B1 (ko) | 2013-08-27 | 2013-08-27 |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680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5889B1 (ko) * | 2016-07-18 | 2021-12-30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
KR101955642B1 (ko) * | 2016-12-09 | 2019-03-07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기지국에서의 캐리어 집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KR102230422B1 (ko) * | 2019-06-14 | 2021-03-19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부하 분산을 위한 기지국, 단말, 기지국 및 단말의 동작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88174A (ko) * | 2009-03-12 | 2013-08-07 |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 무선 링크 실패에 대한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CN101932045B (zh) * | 2009-06-24 | 2014-11-05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载波聚合中测量结果的上报方法及用户设备 |
CN102056296B (zh) * | 2009-10-30 | 2016-03-30 | 索尼株式会社 | 通信网络中的资源分配方法和装置 |
CN102238552B (zh) * | 2010-04-30 | 2015-08-05 | 索尼公司 | 选择成份载波的方法、基站、终端和通信系统 |
CN102378370B (zh) * | 2010-08-13 | 2014-10-29 | 电信科学技术研究院 | 一种载波聚合能力的处理方法和设备 |
-
2013
- 2013-08-27 KR KR1020130101853A patent/KR102126802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4659A (ko) | 2015-03-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212089A1 (en) | Resource selection method for v2x operation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method | |
RU2558747C2 (ru) | Способ прерывистого приёма, станция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и беспроводная система связи | |
US20160007213A1 (en) | Data transmission methods, devices and system | |
US10085286B2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random access on small cell under dual connectivity | |
US20200344670A1 (en) | Changing access control parameters in a wireless network | |
KR101467965B1 (ko) | 반송파 집성을 갖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용된 핸드오버 방법 및 그의 장치 | |
KR20120071229A (ko) |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 |
US10798708B2 (en) |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network, apparatus, and system | |
KR102301836B1 (ko)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의 동적 제어 방법 및 장치 | |
US11602001B2 (en) | Method and device for resuming data radio bearer,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 |
KR20200118154A (ko) | Rrc 상태 전환 방법, 단말기, cu, du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 |
US9655162B2 (en) |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switching between a packet-switched network and a circuit-switched network | |
CN111294802A (zh) | 小区切换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基站 | |
KR101877853B1 (ko) |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 |
KR102126802B1 (ko) |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 |
JP2022543228A (ja) | ランダムアクセス手順の実行に関与するユーザ機器 | |
KR102027930B1 (ko) |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 |
KR102129724B1 (ko) |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 |
KR101492542B1 (ko) | 반송파 집합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 |
EP3624536B1 (en) | Uplink access request process according to an access category self-determined by an access stratum entity of a user equipment | |
WO2022261893A1 (zh) | 数据传输处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 |
WO202302899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mall data transmission | |
US20230138554A1 (en) |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user equipment | |
WO2016198011A1 (zh) | 一种实现负荷分担的方法和装置 | |
KR101616534B1 (ko) |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