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930B1 -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930B1
KR102027930B1 KR1020130032939A KR20130032939A KR102027930B1 KR 102027930 B1 KR102027930 B1 KR 102027930B1 KR 1020130032939 A KR1020130032939 A KR 1020130032939A KR 20130032939 A KR20130032939 A KR 20130032939A KR 102027930 B1 KR102027930 B1 KR 102027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station apparatus
terminal
specific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7952A (ko
Inventor
김창영
정연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2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930B1/ko
Publication of KR20140117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 용량이 적은 기지국장치 예컨대 LTE 소형기지국장치에서 한정된 개수의 단말에 대해서만 접속을 허용하는 하드웨어적 한계를 변경하지 않고도 VoLTE서비스를 호 단절 없이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BASE ST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 용량이 적은 LTE 소형기지국장치에서 VoLTE서비스를 호 단절 없이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 이동통신은 LTE(Long Term Evolution) 망의 성장으로 3G 서비스인 WCDMA에서 그 중심이 LTE 망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LTE 망에 접속하여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LTE 단말)의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LTE 망을 이용한 음성서비스를 지원하는 VoLTE서비스가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VoLTE서비스는, LTE 망을 이용한 VoIP서비스로서 기존 서킷(Circuit) 망을 이용하는 음성서비스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음질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VoLTE서비스는, 음성서비스이므로 실시간성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데이터서비스 보다 높은 수준의 서비스품질이 보장되어야 하는 서비스이다.
이에, LTE 망으로의 접속을 지원하는 LTE 기지국장치 특히 LTE 매크로기지국장치의 경우, 기지국장치의 자원(RB:Resource Block, CPU 용량, 메모리 등)을 하나의 풀(Pool)로 보고, 기지국장치에 접속된 각 단말에서 이용하는 통신서비스(예 : 데이터서비스, VoLTE서비스)에 대한 서비스전송속도(Service Data Rate)를 조절하고 VoLTE서비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있다.
그런데, 수용 용량이 적은 LTE 소형기지국장치의 경우는, 하드웨어적 한계로 인해, 전술한 LTE 매크로기지국장치와 같이 서비스전송속도를 조절하거나 VoLTE서비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기능을 실현하지 못하고, 수용 가능한 용량 즉 단말 수용개수(예 : 32개) 이상으로는 접속을 허용하지 않는 구성을 여전히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수용 용량이 적은 LTE 소형기지국장치의 셀에 위치한 단말의 경우, LTE 소형기지국장치에 이미 단말 수용개수(예 : 32개)의 단말들이 접속된 상태라면, LTE 소형기지국장치로의 접속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호 단절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호 단절은 단말 사용자에게 불만을 야기시키며 특히 VoLTE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한 경우라면 더욱 심각한 불만을 야기시킬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수용 용량이 적은 기지국장치 예컨대 LTE 소형기지국장치에서 하드웨어적 변경 없이도 VoLTE서비스를 호 단절 없이 원활하게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수용 용량이 적은 기지국장치(예 : LTE 소형기지국장치)에서 하드웨어적 변경 없이도 VoLTE서비스를 호 단절 없이 원활하게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접속 시도되는 특정 단말에 대하여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접속절차수행부; 상기 기지국장치의 부하가 기 설정된 특정 부하상태인 경우, 상기 특정 단말의 접속 시도 이전에 상기 기지국장치에 기 접속된 다수의 단말 중에서 특정 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을 확인하는 단말확인부; 및 상기 확인한 단말을 타 기지국장치로 접속 전환시키는 접속전환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전환제어부는, 상기 확인한 단말을, 상기 기지국장치와는 다른 주파수대역을 기반으로 하는 타 기지국장치, 또는 상기 기지국장치와는 다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타 기지국장치로 접속 전환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지국장치의 부하가 기 설정된 특정 부하상태인 경우는, 상기 특정 단말의 접속 시도 이전에 상기 기지국장치에 접속된 다수의 단말 개수가, 기 설정된 특정 개수 이상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 설정된 특정 개수는, 상기 기지국장치에서 수용 가능한 단말의 최대개수 보다 적어도 2 이상 작은 개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통신서비스는, 특정 수준 이상의 서비스품질 보장을 요구하지 않는 통신서비스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접속 시도되는 특정 단말에 대하여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접속절차수행단계; 상기 기지국장치의 부하가 기 설정된 특정 부하상태인 경우, 상기 특정 단말의 접속 시도 이전에 상기 기지국장치에 기 접속된 다수의 단말 중에서 특정 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을 확인하는 단말확인단계; 및 상기 확인한 단말을 타 기지국장치로 접속 전환시키는 접속전환제어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전환제어단계는, 상기 확인한 단말을, 상기 기지국장치와는 다른 주파수대역을 기반으로 하는 타 기지국장치, 또는 상기 기지국장치와는 다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타 기지국장치로 접속 전환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지국장치의 부하가 기 설정된 특정 부하상태인 경우는, 상기 특정 단말의 접속 시도 이전에 상기 기지국장치에 접속된 다수의 단말 개수가, 기 설정된 특정 개수 이상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 설정된 특정 개수는, 상기 기지국장치에서 수용 가능한 단말의 최대개수 보다 적어도 2 이상 작은 개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통신서비스는, 특정 수준 이상의 서비스품질 보장을 요구하지 않는 통신서비스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수용 용량이 적은 기지국장치 예컨대 LTE 소형기지국장치에서 하드웨어적 변경 없이도 VoLTE서비스를 호 단절 없이 원활하게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에서 기 접속된 단말을 타 기지국장치로 접속 전환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삭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은, 특정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상대방장치(미도시)와의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단말들(1,2,3...N)과, 단말들(1,2,3...N) 및 상대방장치(미도시) 간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단말들(1,2,3...N)에서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지국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네트워크는, 패킷(PS : Packet Switched)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로서, 예를 들면 LTE 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특정 네트워크 즉 LTE 망을 기반으로 통신서비스란, 다운로드 서비스, 스트리밍 서비스, SNS 서비스 및 포털 서비스 등과 같은 LTE 망을 이용한 일반적인 데이터서비스와, LTE 망을 이용한 음성서비스 즉 VoLTE서비스를 의미한다.
단말들(1,2,3...N)은, 기지국장치(100)를 통해 특정 네트워크(LTE 망)에 접속하여 상대방장치(미도시)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이다.
예컨대, 데이터서비스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단말들(1,2,3...N)은, 기지국장치(100)를 통해 특정 네트워크(LTE 망)에 접속하여 상대방장치 즉 데이터서비스(예 : 다운로드 서비스, 스트리밍 서비스, SNS 서비스 및 포털 서비스 등)를 제공하는 데이터서비스장치(미도시)와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VoLTE서비스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단말들(1,2,3...N)은, 기지국장치(100)를 통해 특정 네트워크(LTE 망)에 접속하여 상대방장치 즉 VoLTE서비스의 상대방단말(미도시)와 VoLTE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VoLTE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단말들(1,2,3...N)은, 기지국장치(100)를 통해 특정 네트워크(LTE 망)에 접속할 수 있고, 이에 특정 네트워크(LTE 망)를 기반으로 데이터서비스 또는 VoLTE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기지국장치(100)는, 특정 네트워크(LTE 망)로의 접속을 지원하는 LTE 기지국장치로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LTE 매크로기지국장치 보다 수용 용량이 적은 기지국장치 예컨대 LTE 소형기지국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기지국장치(100)는, 수용 가능한 용량 즉 단말 수용개수(예 : 32개) 이상으로는 단말의 접속을 허용하지 않는 하드웨어적인 구성을 채택하는 LTE 소형기지국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들(1,2,3...N) 중에서 단말(1,2,3...)을 포함하는 다수의 단말(10)이 기지국장치(100)에 기 접속된 상태로서, 다수의 단말(10)은, 기지국장치(100)를 통해 접속한 특정 네트워크(LTE 망)를 기반으로 데이터서비스 또는 VoLTE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러한 기지국장치(100)는, 특정 단말(예 : 단말N)과 관련된 접속 시도가 확인되면, 접속이 시도되는 특정 단말(예 : 단말N)에 대하여 접속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기지국장치(100)는, 기지국장치(100)의 부하가 기 설정된 특정 부하상태인 경우, 기지국장치(100)에 기 접속된 다수의 단말(10) 중에서 특정 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을 확인한다.
이때, 특정 통신서비스는, 특정 수준 이상의 서비스품질 보장을 요구하지 않는 통신서비스인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데이터서비스 및 VoLTE서비스 중 VoLTE서비스는 특정 수준 이상의 서비스품질 보장을 요구하는 서비스로 분류되고 데이터서비스는 특정 수준 이상의 서비스품질 보장을 요구하지 않는 서비스 즉 특정 통신서비스인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에, 기지국장치(100)는, 특정 단말(예 : 단말N)에 대하여 접속 절차를 수행함과 동시에, 기지국장치(100)의 부하가 기 설정된 특정 부하상태인 경우라면 특정 단말(예 : 단말N)의 접속 시도 이전에 기지국장치(100)에 이미 접속되어 있던 다수의 단말(10) 중에서 특정 통신서비스 즉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을 확인하는 것이다.
예컨대, 다수의 단말(10) 중에서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로서 단말1 및 단말3이 확인된 경우라면, 기지국장치(100)는, 확인한 단말1 및 단말3을 타 기지국장치(200)로 접속 전환시킬 수 있다.
이에, 기지국장치(100)를 통해 접속한 특정 네트워크(LTE 망)를 기반으로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1 및 단말3은, 기지국장치(100)에서 타 기지국장치(200)로 접속 전환되고 접속 전환된 타 기지국장치(200)를 통해 데이터서비스를 이어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접속이 시도되는 특정 단말(예 : 단말N)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통신서비스가 데이터서비스인지 VoLTE서비스인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접속이 시도되는 특정 단말(예 : 단말N)에 대해서는 현재 기지국장치(100)의 부하와 관계 없이 접속 절차를 우선 수행하고, 대신 현재 기지국장치(100)의 부하가 특정 부하상태인 경우에 한해서 기지국장치(100)에 기 접속되어 있던 다수의 단말(10) 중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을 타 기지국장치(200)로 접속 전환시킴으로써 할당 가능한 무선자원 확보할 수 있고, 접속 절차를 수행한 특정 단말(예 : 단말N)에 대해서는 우선적으로 통신서비스(데이터서비스 또는 VoLTE서비스인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 언급한 참조번호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접속 시도되는 특정 단말에 대하여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접속절차수행부(110)와, 기지국장치(100)의 부하가 기 설정된 특정 부하상태인 경우, 상기 특정 단말의 접속 시도 이전에 기지국장치(100)에 접속된 다수의 단말 중에서 특정 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을 확인하는 단말확인부(120)와, 상기 확인한 단말을 타 기지국장치(200)로 접속 전환시키는 접속전환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들(1,2,3...N) 중에서 단말(1,2,3...)을 포함하는 다수의 단말(10)이 기지국장치(100)에 기 접속된 상태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접속절차수행부(110)는, 다수의 단말(10) 각각에 대하여 접속 절차를 수행하여 다수의 단말(10) 각각에 대한 호 세션(예 : EPS Bearer)을 생성하고, 무선자원을 할당함으로써, 다수의 단말(10) 각각이 기지국장치(100)를 통해 접속한 특정 네트워크(LTE 망)를 기반으로 데이터서비스 또는 VoLTE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접속절차수행부(110)는, 특정 단말(예 : 단말N)과 관련된 접속 시도가 확인되면, 접속이 시도되는 특정 단말(예 : 단말N)에 대하여 접속 절차를 수행한다.
예컨대, 접속절차수행부(110)는, 특정 단말(예 : 단말N)과 관련된 E-RAB Setup Request Message를 수신하면, 이를 특정 단말(예 : 단말N)과 관련된 접속 시도가 확인되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처럼 접속절차수행부(110)는, 특정 단말(예 : 단말N)과 관련된 접속 시도가 확인되면, 이에 따른 기존의 접속 절차 예컨대 특정 네트워크(LTE 망)에 구비된 망장비(예 : S-GW, P-GW 등)와의 연동을 통해 특정 단말(예 : 단말N) 및 특정 네트워크(LTE 망) 간의 호 세션(예 : EPS Bearer)을 생성하는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E-RAB Setup Request Message 만으로는, 접속 시도되는 특정 단말(예 : 단말N)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통신서비스가 데이터서비스인지 VoLTE서비스인지를 알 수 없다.
이에, 전술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접속절차수행부(110)는, 접속 시도되는 특정 단말(예 : 단말N)에 대해서는 현재 기지국장치(100)의 부하와 관계 없이 접속 절차를 우선 수행하는 것이다.
단말확인부(120)는, 기지국장치(100)의 부하가 기 설정된 특정 부하상태인 경우, 특정 단말(예 : 단말N)의 접속 시도 이전에 기지국장치(100)에 기 접속된 다수의 단말(10) 중에서 특정 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을 확인한다.
다시 말해, 단말확인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절차수행부(110)에서 특정 단말(예 : 단말N)에 대한 접속 절차를 수행하게 되면, 기지국장치(100)의 부하가 기 설정된 특정 부하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기지국장치(100)의 부하가 기 설정된 특정 부하상태인 경우는, 특정 단말(예 : 단말N)의 접속 시도 이전에 기지국장치(100)에 기 접속되어 있던 다수의 단말(10) 개수가, 기 설정된 특정 개수 이상인 경우이다.
그리고, 기 설정된 특정 개수는, 기지국장치(100)에서 수용 가능한 단말의 최대개수 보다 적어도 2 이상 작은 개수일 수 있다.
전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LTE 매크로기지국장치 보다 수용 용량이 적은 기지국장치, 예컨대 LTE 소형기지국장치이다.
즉, 기지국장치(100)는, 하드웨어적인 한계로 인해 수용 가능한 용량 즉 수용 가능한 단말의 최대개수(예 : 32개)가 한정되기 때문에, 단말의 최대개수(예 : 32개) 이상으로는 단말의 접속을 허용하지 않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장치(100)의 이러한 하드웨어적인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도 VoLTE서비스를 호 단절 없이 원활하게 서비스하기 위해, 기지국장치(100)의 수용 가능한 단말 최대개수(예 : 32개)를 증가시키는 대신 한정된 단말 최대개수(예 : 32개)를 그대로 채택하면서도 VoLTE서비스를 호 단절 없이 원활하게 서비스하고자 한다.
이에, 단말확인부(120)를 설명하면, 단말확인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절차수행부(110)에서 특정 단말(예 : 단말N)에 대한 접속 절차를 수행하게 되면, 특정 단말(예 : 단말N)의 접속 시도가 확인되기 이전에 기지국장치(100)에 이미 접속되어 있던 다수의 단말(10) 개수가, 기 설정된 특정 개수 즉 기지국장치(100)의 수용 가능한 단말 최대개수(예 : 32개) 보다 적어도 2 이상 작은 개수(예 : 30개)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기지국장치(100)의 부하가 기 설정된 특정 부하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단말확인부(120)는, 기지국장치(100)에 기 접속된 다수의 단말(10) 개수가, 기 설정된 특정 개수(예 : 30개) 이상이면 기지국장치(100)의 부하가 기 설정된 특정 부하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기 설정된 특정 개수(예 : 30개) 미만이면 기지국장치(100)의 부하가 기 설정된 특정 부하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말확인부(120)는, 기지국장치(100)의 부하가 기 설정된 특정 부하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특정 단말(예 : 단말N)의 접속 시도 이전에 기지국장치(100)에 기 접속되어 있던 다수의 단말(10) 중에서 특정 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을 확인한다.
이때, 특정 통신서비스는, 특정 수준 이상의 서비스품질 보장을 요구하지 않는 서비스, 즉 전술한 VoLTE서비스를 제외한 나머지 일반적이 데이터서비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단말확인부(120)는, 접속절차수행부(110)에서 특정 단말(예 : 단말N)에 대하여 접속 절차를 수행함과 동시에, 기지국장치(100)의 부하가 기 설정된 특정 부하상태인 경우라면 특정 단말(예 : 단말N)의 접속 시도가 확인되기 이전에 기지국장치(100)에 기 접속되어 있던 다수의 단말(10) 중에서 특정 통신서비스 즉 일반적인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을 확인한다.
여기서, 기지국장치(100)에 기 접속된 다수의 단말(10) 중에서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을 확인하는 방법은, 기지국장치(100)에 기 접속된 다수의 단말(10) 각각에 대하여 통신서비스(예 : 데이터서비스 또는 VoLTE서비스) 이용을 위해 생성한 호 세션(예 : EPS Bearer)에 지정된 QCI를 확인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즉, LTE 망을 기반으로 하는 기지국장치(100)에 기 접속되어 통신서비스(예 : 데이터서비스 또는 VoLTE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단말이라면, 통신서비스 이용을 위해 생성한 호 세션 별로 해당 통신서비스에 적합한 서비스품질 보장을 위한 QCI(QoS Class Indicator)이 지정되어 있다.
예컨대, 데이터서비스 이용을 위해 생성한 호 세션에는 데이터서비스 이용에 적합한 서비스품질 보장을 위한 QCI #5 또는 QCI #6 이 지정될 것이고, VoLTE서비스 이용을 위해 생성한 호 세션에는 VoLTE서비스 이용에 적합한 서비스품질 보장을 위한 QCI #1 또는 QCI #2 가 지정될 것이다.
이에, 단말확인부(120)는, 기지국장치(100)에 기 접속되어 있던 다수의 단말(10) 각각에 대하여 생성한 호 세션의 QCI를 확인함으로써, QCI #5 또는 QCI #6 이 지정된 호 세션을 갖는 단말(예 : 단말1,3)을, 일반적인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접속전환제어부(130)는, 단말확인부(120)에서 확인한 단말을 타 기지국장치(200)로 접속 전환시킨다.
예컨대, 기지국장치(100)에 기 접속된 다수의 단말(10) 중에서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로서 단말1 및 단말3이 확인된 경우라면, 접속전환제어부(130)는, 확인한 단말1 및 단말3을 타 기지국장치(200)로 접속 전환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접속전환제어부(130)는, 단말확인부(120)에서 확인한 단말 예컨대 단말1 및 단말3을, 기지국장치(100)와는 다른 주파수대역을 기반으로 하는 타 기지국장치(200), 또는 기지국장치(100)와는 다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타 기지국장치(200)로 접속 전환시킬 수 있다.
즉, 접속전환제어부(130)는, 단말확인부(120)에서 확인한 단말 예컨대 단말1 및 단말3을, 기지국장치(100)에서 기반으로 하는 제1주파수대역(예 : 800MHz)와는 다른 제2주파수대역(예 : 1.8GHz)를 기반으로 하는 타 기지국장치(200)로 접속 전환시킴으로써, 단말1 및 단말3이 이용 기지국장치(100)를 통해 이용 중이던 데이터서비스를 주파수대역 간 접속 전환(예 :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를 거쳐 타 기지국장치(200)를 통해 이어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접속전환제어부(130)는, 단말확인부(120)에서 확인한 단말 예컨대 단말1 및 단말3을, 기지국장치(100)에서 기반으로 하는 특정 네트워크(예 : LTE 망)와는 다른 네트워크(예 : WCDMA 망)를 기반으로 하는 타 기지국장치(200)로 접속 전환시킴으로써, 단말1 및 단말3이 이용 기지국장치(100)를 통해 이용 중이던 데이터서비스를 네트워크 간 접속 전환(예 : 네트워크 간 핸드오버)를 거쳐 타 기지국장치(200)를 통해 이어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접속전환제어부(130)는, 기지국장치(100)와 인접한 다수의 타 기지국장치와의 직접 연동을 통해 확인되는 다수의 타 기지국장치별 부하상태(예 : 접속 단말 개수, 무선자원 할당 가능량 등), 다수의 타 기지국장치의 부하상태를 관리하는 기지국관리장치(미도시)와의 연동을 통해 확인되는 다수의 타 기지국장치별 부하상태를 기초로, 전술의 주파수대역 간 접속 전환 및 네트워크 간 접속 전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접속 전환시킬 타 기지국장치(200)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기지국장치(100)를 통해 접속한 특정 네트워크(LTE 망)를 기반으로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1 및 단말3은, 기지국장치(100)에서 타 기지국장치(200)로 접속 전환되고, 접속 전환된 타 기지국장치(200)를 통해 데이터서비스를 이어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에서 기 접속된 단말을 타 기지국장치(200)로 접속 전환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기지국장치(100)에 30개의 단말이 기 접속되어 데이터서비스 또는 VoLTE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31번째의 단말과 관련된 접속이 시도되면, 기지국장치(100)는 31번째의 단말에 대하여 접속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기지국장치(100)는, 31번째의 단말에 대하여 접속 절차를 수행함과 동시에, 기지국장치(100)에 기 접속된 단말의 개수가 30개로서 기 설정된 특정 개수(예 : 30개) 이상이기 때문에 기 접속된 30개의 단말 중에서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단말(단말1, 단말3)을 확인하고, 이들 단말1 및 단말3을 타 기지국장치(200)로 접속 전환시킨다.
이에, 기지국장치(100)는,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1 및 단말3을 타 기지국장치(200)로 접속 전환시킴으로써 할당 가능한 무선자원 확보할 수 있고, 접속 절차를 수행한 31번째 단말에 대해서는 우선적으로 통신서비스(데이터서비스 또는 VoLTE서비스인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기지국장치(100)의 수용 가능한 단말의 최대개수가 32개인 경우를 가정할 때, 기지국장치(100)의 부하가 특정 부하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전술의 기 설정된 특정 개수를 단말의 최대개수 32개 보다 2 이상 작은 개수로 한정하여 적어도 2개의 무선자원을 낭비하는 이유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 및 단말3을 타 기지국장치(200)로 접속 전환시키는 과정 중에 32번째의 새로운 단말과 관련된 접속 시도가 발생할 수 있음에 기인한 예방책일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접속이 시도되는 특정 단말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통신서비스가 데이터서비스인지 VoLTE서비스인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접속이 시도되는 특정 단말에 대해서는 현재 기지국장치(100)의 부하와 관계 없이 접속 절차를 우선 수행하고, 대신 현재 기지국장치(100)의 부하가 특정 부하상태인 경우에 한해서 기지국장치(100)에 기 접속되어 있는 다수의 단말 중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을 타 기지국장치(200)로 접속 전환시킴으로써 할당 가능한 무선자원 확보할 수 있고, 접속 절차를 수행한 특정 단말에 대해서는 우선적으로 통신서비스(데이터서비스 또는 VoLTE서비스인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 즉 수용 용량이 적은 LTE 소형기지국장치에서, 한정된 개수의 단말에 대해서만 접속을 허용하는 하드웨어적 한계를 변경하지 않고도 VoLTE서비스를 호 단절 없이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들(1,2,3...N) 중에서 단말(1,2,3...)을 포함하는 다수의 단말(10)이 기지국장치(100)에 기 접속된 상태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가 포함된 통신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장치(100)는 다수의 단말(10) 각각에 대하여 접속 절차를 수행하여 다수의 단말(10) 각각에 대한 호 세션(예 : EPS Bearer)을 생성하고, 무선자원을 할당함으로써, 다수의 단말(10) 각각이 기지국장치(100)를 통해 접속한 특정 네트워크(LTE 망)를 기반으로 데이터서비스 또는 VoLTE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S10,S20,S30...).
이러한 기지국장치(100)는, 특정 단말(예 : 단말N)과 관련된 접속 시도가 확인되면(S40), 접속이 시도되는 특정 단말(예 : 단말N)에 대하여 접속 절차를 수행한다(S50).
이때, 기지국장치(100)는, 기지국장치(100)의 부하가 기 설정된 특정 부하상태인 경우(S60 Yes), 기지국장치(100)에 기 접속된 다수의 단말(10) 중에서 특정 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을 확인한다(S70).
이때, 특정 통신서비스는, 특정 수준 이상의 서비스품질 보장을 요구하지 않는 통신서비스인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데이터서비스 및 VoLTE서비스 중 VoLTE서비스는 특정 수준 이상의 서비스품질 보장을 요구하는 서비스로 분류되고 데이터서비스는 특정 수준 이상의 서비스품질 보장을 요구하지 않는 서비스 즉 특정 통신서비스인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에, 기지국장치(100)는, 특정 단말(예 : 단말N)에 대하여 접속 절차를 수행함과 동시에, 기지국장치(100)의 부하가 기 설정된 특정 부하상태인 경우라면 특정 단말(예 : 단말N)의 접속 시도 이전에 기지국장치(100)에 이미 접속되어 있던 다수의 단말(10) 중에서 특정 통신서비스 즉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을 확인하는 것이다.
예컨대, 다수의 단말(10) 중에서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로서 단말1 및 단말3이 확인된 경우라면, 기지국장치(100)는, 확인한 단말1 및 단말3을 타 기지국장치(200)로 접속 전환시킬 수 있다.
즉,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에 대하여 타 기지국장치(200)로 접속 전환되도록 제어하고(S80), 이에, 기지국장치(100)를 통해 접속한 특정 네트워크(LTE 망)를 기반으로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1은, 기지국장치(100)에서 타 기지국장치(200)로 접속 전환되고 접속 전환된 타 기지국장치(200)를 통해 통신서비스 즉 데이터서비스를 이어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S90).
또한, 기지국장치(100)는, 단말3에 대하여 타 기지국장치(200)로 접속 전환되도록 제어하고(S85), 이에, 기지국장치(100)를 통해 접속한 특정 네트워크(LTE 망)를 기반으로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5은, 기지국장치(100)에서 타 기지국장치(200)로 접속 전환되고 접속 전환된 타 기지국장치(200)를 통해 통신서비스 즉 데이터서비스를 이어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S95).
물론, 기지국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단말1 및 단말3에 대하여 타 기지국장치(200)로 접속 전환시킴과 동시에, 특정 단말(예 : 단말N)에 대하여 접속 절차를 수행하여 특정 단말(예 : 단말N)에 대한 호 세션(예 : EPS Bearer)을 생성하고, 무선자원을 할당함으로써, 특정 단말(예 : 단말N)이 기지국장치(100)를 통해 접속한 특정 네트워크(LTE 망)를 기반으로 통신서비스(예 : 데이터서비스 또는 VoLTE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S65).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장치(100)에 기 접속된 다수의 단말(10) 각각에 대하여, 상대방장치(미도시)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다수의 단말(10) 각각에서 통신서비스(예 : 데이터서비스 또는 VoLTE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S100).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단말(예 : 단말N)과 관련된 접속 시도가 확인되면(S110), 접속이 시도되는 특정 단말(예 : 단말N)에 대하여 접속 절차를 수행한다(S120).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단말(예 : 단말N)과 관련된 E-RAB Setup Request Message를 수신하면, 이를 특정 단말(예 : 단말N)과 관련된 접속 시도가 확인되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단말(예 : 단말N)과 관련된 접속 시도가 확인되면, 이에 따른 기존의 접속 절차 예컨대 특정 네트워크(LTE 망)에 구비된 망장비(예 : S-GW, P-GW 등)와의 연동을 통해 특정 단말(예 : 단말N) 및 특정 네트워크(LTE 망) 간의 호 세션(예 : EPS Bearer)을 생성하는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S120단계에서 특정 단말(예 : 단말N)에 대한 접속 절차를 수행하게 되면, 기지국장치(100)의 부하가 기 설정된 특정 부하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여기서, 기지국장치(100)의 부하가 기 설정된 특정 부하상태인 경우는, 특정 단말(예 : 단말N)의 접속 시도 이전에 기지국장치(100)에 기 접속되어 있던 다수의 단말(10) 개수가, 기 설정된 특정 개수 이상인 경우이다.
그리고, 기 설정된 특정 개수는, 기지국장치(100)에서 수용 가능한 단말의 최대개수 보다 적어도 2 이상 작은 개수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S120단계에서 특정 단말(예 : 단말N)에 대한 접속 절차를 수행하게 되면, 특정 단말(예 : 단말N)의 접속 시도가 확인되기 이전에 기지국장치(100)에 이미 접속되어 있던 다수의 단말(10) 개수가, 기 설정된 특정 개수 즉 기지국장치(100)의 수용 가능한 단말 최대개수(예 : 32개) 보다 적어도 2 이상 작은 개수(예 : 30개)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기지국장치(100)의 부하가 기 설정된 특정 부하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장치(100)에 기 접속된 다수의 단말(10) 개수가, 기 설정된 특정 개수(예 : 30개) 이상이면 기지국장치(100)의 부하가 기 설정된 특정 부하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기 설정된 특정 개수(예 : 30개) 미만이면 기지국장치(100)의 부하가 기 설정된 특정 부하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장치(100)의 부하가 기 설정된 특정 부하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S130 No), S120단계에서 특정 단말(예 : 단말N)에 대하여 접속 절차를 수행함에 따라 특정 단말(예 : 단말N)에 대한 호 세션(예 : EPS Bearer)을 생성하고, 무선자원을 할당함으로써, 특정 단말(예 : 단말N)에서 기지국장치(100)를 통해 접속한 특정 네트워크(LTE 망)를 기반으로 통신서비스(예 : 데이터서비스 또는 VoLTE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S17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장치(100)의 부하가 기 설정된 특정 부하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S130 Yes), 특정 단말(예 : 단말N)의 접속 시도가 확인되기 이전에 기지국장치(100)에 기 접속되어 있던 다수의 단말(10) 중에서 특정 통신서비스 즉 일반적인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을 확인한다(S14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40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일반적인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예 : 단말1, 단말3)이 존재하면(S150 Yes), 확인한 단말(예 : 단말1, 단말3)을 타 기지국장치(200)로 접속 전환시킨다(S160).
예컨대, 기지국장치(100)에 기 접속된 다수의 단말(10) 중에서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로서 단말1 및 단말3이 확인된 경우라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확인한 단말1 및 단말3을 타 기지국장치(200)로 접속 전환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 및 단말3을 기지국장치(100)와는 다른 주파수대역을 기반으로 하는 타 기지국장치(200), 또는 기지국장치(100)와는 다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타 기지국장치(200)로 접속 전환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40단계에서 확인한 단말 예컨대 단말1 및 단말3을, 기지국장치(100)에서 기반으로 하는 제1주파수대역(예 : 800MHz)와는 다른 제2주파수대역(예 : 1.8GHz)를 기반으로 하는 타 기지국장치(200)로 접속 전환시킴으로써, 단말1 및 단말3이 이용 기지국장치(100)를 통해 이용 중이던 데이터서비스를 주파수대역 간 접속 전환(예 :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를 거쳐 타 기지국장치(200)를 통해 이어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40단계에서 확인한 단말 예컨대 단말1 및 단말3을, 기지국장치(100)에서 기반으로 하는 특정 네트워크(예 : LTE 망)와는 다른 네트워크(예 : WCDMA 망)를 기반으로 하는 타 기지국장치(200)로 접속 전환시킴으로써, 단말1 및 단말3이 이용 기지국장치(100)를 통해 이용 중이던 데이터서비스를 네트워크 간 접속 전환(예 : 네트워크 간 핸드오버)를 거쳐 타 기지국장치(200)를 통해 이어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기지국장치(100)를 통해 접속한 특정 네트워크(LTE 망)를 기반으로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1 및 단말3은, 기지국장치(100)에서 타 기지국장치(200)로 접속 전환되고, 접속 전환된 타 기지국장치(200)를 통해 데이터서비스를 이어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단말1 및 단말3에 대하여 타 기지국장치(200)로 접속 전환시킴과 동시에, S120단계에서 특정 단말(예 : 단말N)에 대하여 접속 절차를 수행함에 따라 특정 단말(예 : 단말N)에 대한 호 세션을 생성하고, 무선자원을 할당함으로써, 특정 단말(예 : 단말N)에서 기지국장치(100)를 통해 접속한 특정 네트워크(LTE 망)를 기반으로 통신서비스(예 : 데이터서비스 또는 VoLTE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S17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40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일반적인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이 존재하지 않으면(S150 No), 기지국장치(100)에 기 접속된 다수의 단말(10) 모두가 VoLTE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일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40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일반적인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이 존재하지 않으면(S150 No), 기지국장치(100)에 기 접속된 다수의 단말(10)의 총 개수가 기지국장치(100)에서 수용 가능한 단말의 최대개수(예 : 32개)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8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장치(100)에 기 접속된 다수의 단말(10)의 총 개수가 수용 가능한 단말의 최대개수(예 : 32개) 이상이면(S180 Yes), 금번 접속 시도된 특정 단말(예 : 단말N)에 대하여 접속 절차를 수행하여 호 세션을 생성하였으나 할당할 수 있는 무선자원이 없는 상태이므로 특정 단말(예 : 단말N)에 대하여 접속을 거절할 수 있다(S19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단말(예 : 단말N)로 접속 거절할 때, 특정 단말(예 : 단말N)로 하여금 접속을 시도할 특정 타 기지국장치를 지정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기지국장치(100)로부터 접속 거절된 특정 단말(예 : 단말N)는, 접속 거절을 통해 확인되는 지정된 특정 타 기지국장치로 접속을 시도함으로써, 불필요하게 기지국장치(100)로 접속 시도를 반복하게 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장치(100)에 기 접속된 다수의 단말(10)의 총 개수가 수용 가능한 단말의 최대개수(예 : 32개) 이상이 아니면(S180 No), S120단계에서 특정 단말(예 : 단말N)에 대하여 접속 절차를 수행함에 따라 특정 단말(예 : 단말N)에 대한 호 세션을 생성하고, 무선자원을 할당함으로써, 특정 단말(예 : 단말N)에서 기지국장치(100)를 통해 접속한 특정 네트워크(LTE 망)를 기반으로 통신서비스(예 : 데이터서비스 또는 VoLTE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S17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접속이 시도되는 특정 단말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통신서비스가 데이터서비스인지 VoLTE서비스인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접속이 시도되는 특정 단말에 대해서는 현재 기지국장치(100)의 부하와 관계 없이 접속 절차를 우선 수행하고, 대신 현재 기지국장치(100)의 부하가 특정 부하상태인 경우에 한해서 기지국장치(100)에 기 접속되어 있는 다수의 단말 중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을 타 기지국장치(200)로 접속 전환시킴으로써 할당 가능한 무선자원 확보할 수 있고, 접속 절차를 수행한 특정 단말에 대해서는 우선적으로 통신서비스(데이터서비스 또는 VoLTE서비스인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 즉 수용 용량이 적은 LTE 소형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한정된 개수의 단말에 대해서만 접속을 허용하는 하드웨어적 한계를 변경하지 않고도 VoLTE서비스를 호 단절 없이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수용 용량이 적은 기지국장치 예컨대 LTE 소형기지국장치에서 한정된 개수의 단말에 대해서만 접속을 허용하는 하드웨어적 한계를 변경하지 않고도 VoLTE서비스를 호 단절 없이 서비스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 : 다수의 단말 100 : 기지국장치
200 : 타 기지국장치

Claims (10)

  1.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접속 시도되는 특정 단말에 대하여, 상기 기지국장치의 부하와 관계 없이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접속절차수행부;
    상기 기지국장치의 부하가 상기 기지국장치에서 수용 가능한 단말의 최대개수 보다 작게 기 설정된 특정 부하상태인 경우, 상기 특정 단말의 접속 시도 이전에 상기 기지국장치에 기 접속된 다수의 단말 중에서 특정 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을 확인하는 단말확인부; 및
    상기 확인한 단말을 타 기지국장치로 접속 전환시켜, 상기 특정 단말에 할당 가능한 무선자원을 확보하는 접속전환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전환제어부는,
    상기 확인한 단말을, 상기 기지국장치와는 다른 주파수대역을 기반으로 하는 타 기지국장치, 또는 상기 기지국장치와는 다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타 기지국장치로 접속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장치의 부하가 기 설정된 특정 부하상태인 경우는,
    상기 특정 단말의 접속 시도 이전에 상기 기지국장치에 접속된 다수의 단말 개수가, 기 설정된 특정 개수 이상인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특정 개수는,
    상기 기지국장치에서 수용 가능한 단말의 최대개수 보다 적어도 2 이상 작은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통신서비스는,
    특정 수준 이상의 서비스품질 보장을 요구하지 않는 통신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6.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접속 시도되는 특정 단말에 대하여, 상기 기지국장치의 부하와 관계 없이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접속절차수행단계;
    상기 기지국장치의 부하가 상기 기지국장치에서 수용 가능한 단말의 최대개수 보다 작게 기 설정된 특정 부하상태인 경우, 상기 특정 단말의 접속 시도 이전에 상기 기지국장치에 기 접속된 다수의 단말 중에서 특정 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을 확인하는 단말확인단계; 및
    상기 확인한 단말을 타 기지국장치로 접속 전환시켜, 상기 특정 단말에 할당 가능한 무선자원을 확보하는접속전환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전환제어단계는,
    상기 확인한 단말을, 상기 기지국장치와는 다른 주파수대역을 기반으로 하는 타 기지국장치, 또는 상기 기지국장치와는 다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타 기지국장치로 접속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장치의 부하가 기 설정된 특정 부하상태인 경우는,
    상기 특정 단말의 접속 시도 이전에 상기 기지국장치에 접속된 다수의 단말 개수가, 기 설정된 특정 개수 이상인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특정 개수는,
    상기 기지국장치에서 수용 가능한 단말의 최대개수 보다 적어도 2 이상 작은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통신서비스는,
    특정 수준 이상의 서비스품질 보장을 요구하지 않는 통신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30032939A 2013-03-27 2013-03-27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7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939A KR102027930B1 (ko) 2013-03-27 2013-03-27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939A KR102027930B1 (ko) 2013-03-27 2013-03-27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952A KR20140117952A (ko) 2014-10-08
KR102027930B1 true KR102027930B1 (ko) 2019-10-02

Family

ID=51990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939A KR102027930B1 (ko) 2013-03-27 2013-03-27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9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96901B (zh) * 2017-04-05 2023-12-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负荷管理方法及装置
KR102031189B1 (ko) * 2017-10-27 2019-10-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558207B1 (ko) * 2018-12-28 2023-07-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호 수락 제어 기반 부하균형 방법 및 장치
KR102351935B1 (ko) * 2020-05-14 2022-01-1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무선 통신 네트워크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592B1 (ko) * 2008-09-24 2010-11-04 주식회사 케이티 펨토 셀에서의 이동 단말의 접속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기지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952A (ko)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7484B2 (en) Content-aware inter-RAT RAB steering
US11146996B2 (en) Communications system, infrastructure equipment,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s
US9344933B1 (en)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system and method to disable voice over LTE (VoLTE) service of a long term evolution (LTE) base station
KR10199227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과부하 제어를 위한 rrc 연결 방법
CN112637939B (zh) 一种降低ue功耗的方法和装置
JP6249305B2 (ja) 無線ベアラ制御方法、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EP3190828A1 (en) Method of indication of available radio resources
KR102027930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JP5883544B2 (ja) 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合法的傍受を可能にする方法、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合法的傍受を可能にするユーザ機器、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合法的傍受を可能にする基地送受信局、及びプログラム
JP6763456B2 (ja) Ue、基地局、及び方法
KR102129724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1507888B1 (ko) 이동통신 기지국 장치의 무선수락제어 실패 조건에서의 호 처리방법 및 그 기지국 장치
KR102126802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JP5953171B2 (ja) 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EP3541130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KR20140089128A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1533889B1 (ko) 네트워크에서 전력 피크 타임 동안 전력 감소 및 피크 스무딩을 위한 네트워크 제어 방법
WO2016152096A1 (ja) ネットワーク装置、基地局、通信方法、無線リソース制御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102057533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2176301B1 (ko) 호 접속 제어장치 및 호 접속 제어방법
KR102166623B1 (ko) 호접속제어장치 및 호접속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KR20150133052A (ko) 주파수 대역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1439289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CN114567905A (zh) 触发边链路中继系统缓存状态报告方法及用户设备、介质
JP2013066122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アクセス装置、無線リソース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