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623B1 - 호접속제어장치 및 호접속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호접속제어장치 및 호접속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623B1
KR102166623B1 KR1020130108681A KR20130108681A KR102166623B1 KR 102166623 B1 KR102166623 B1 KR 102166623B1 KR 1020130108681 A KR1020130108681 A KR 1020130108681A KR 20130108681 A KR20130108681 A KR 20130108681A KR 102166623 B1 KR102166623 B1 KR 102166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sg
base station
call connection
small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8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9454A (ko
Inventor
김창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8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623B1/ko
Publication of KR20150029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의 호 접속 수용과 관련된 여러 운용모드를 갖는 소형기지국에 대하여, 단말의 호 접속 수용 시 단말의 유형 뿐 아니라 운용모드 및 통신서비스의 종류까지 고려하여 유동적으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원 운영의 효율을 높이고 운용모드가 갖는 효과까지 증대시킬 수 있는 호접속제어장치 및 호접속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호접속제어장치 및 호접속제어장치의 동작 방법{CALL ACCESS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호접속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의 호 접속 수용과 관련된 여러 운용모드를 갖는 소형기지국에 대하여, 단말의 호 접속 수용 시 단말의 유형 뿐 아니라 운용모드 및 통신서비스의 종류까지 고려하여 유동적으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도록 하는 호접속제어장치 및 호접속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LTE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Cell 크기를 가지는 기지국이 동일한 지역에 배치되는 네트워크 환경이 등장하였으며, 이러한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일반적인 매크로기지국 외, 더 작은 커버리지(셀)를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소형기지국들이 배치/공존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기지국들이 중첩된 영역에서 매크로셀 및 소형셀을 형성하며 사용자에게 무선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매크로기지국 및 소형기지국이 공존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소형셀이 매크로셀 내에 포함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단말이 이동함에 따라 매크로셀 및 소형셀 간의 핸드오버가 빈번하게 일어나게 되며, 이처럼 빈번한 핸드오버 문제 및 빈번한 핸드오버로 인해 매크로셀 및 소형셀 간 간섭 문제 등의 이유 때문에, 최근 3GPP R10부터 소형기지국에서는 호 접속 수용과 관련된 여러 운용모드를 갖는 추세이다.
이러한 여러 운용모드는, 대표적으로 3가지 운용모드를 갖는다.
기 설정된 단말(이하, CSG(Closed Subscriber Group)단말이라 함)에 대해서만 호 접속을 수용하는 폐쇄모드(Close Mode), 모든 단말에 대해서 즉 CSG단말 및 비 CSG단말 구분 없이 호 접속을 수용하는 오픈모드(Open Mode), 그리고 일정 수준 이상의 모든 단말에 대해서 호 접속을 수용하되, 특정 Threshold치부터는 CSG단말에 대한 호 접속 만을 수용하는 하이브리드모드(Hybrid Mode)이다.
헌데, 전술과 같은 여러 운영모드를 갖는 소형기지국에서 호 접속을 수용하는 기존 방식은, 단말의 유형에 따라 각 운용모드 별로 고정적(Static)으로 지정된 자원을 할당하고 있기 때문에, 자원 운영 측면이나 운용모드가 갖는 효과 측면에서 아쉬움이 있어 왔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여러 운용모드를 갖는 소형기지국에 대하여, 단말의 호 접속 수용 시 단말의 유형 즉 CSG단말/비 CSG단말 뿐 아니라 운용모드 및 통신서비스의 종류까지 고려하여 유동적(Dynamic)으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원 운영의 효율을 높이고 운용모드가 갖는 효과까지 증대시킬 수 있는, 호 접속 수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단말의 호 접속 수용과 관련된 여러 운용모드를 갖는 소형기지국에 대하여, 단말의 호 접속 수용 시 단말의 유형 뿐 아니라 운용모드 및 통신서비스의 종류까지 고려하여 유동적으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도록 하는 호 접속 수용 방안의 호접속제어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호접속제어장치는, 단말 및 소형기지국 간의 호접속요청과 관련하여, 상기 소형기지국의 운용모드를 확인하는 운용모드확인부; 상기 소형기지국의 운용모드가 하이브리드모드인 경우, 상기 단말이 CSG(Closed Subscriber Group)단말인지 또는 비 CSG단말인지 확인하는 단말확인부; 상기 단말이 CSG단말이면, 상기 소형기지국에서 할당 가능한 CSG용 자원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자원확인부; 및 할당 가능한 CSG용 자원이 없으면, 상기 소형기지국에서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 또는 상기 소형기지국에서 비 CSG단말에 기 할당한 비 CSG용 자원을 상기 단말로 할당하여, 상기 호접속요청에 따른 상기 단말의 호 접속이 수행되도록 하는 호접속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접속제어부는,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있는 경우 상기 비 CSG용 자원을 상기 단말로 할당하며,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없는 경우 상기 소형기지국에서 비 CSG단말에 기 할당한 비 CSG용 자원을 상기 단말로 할당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원확인부는, 상기 단말이 비 CSG단말이면, 상기 소형기지국에서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호접속제어부는,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없으면, 상기 단말이 특정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상기 소형기지국에서 비 CSG단말에 기 할당한 비 CSG용 자원을 상기 단말로 할당하여, 상기 단말의 호 접속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접속제어부는, 상기 소형기지국에 호 접속된 다수의 비 CSG단말 중에서 특정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 비 CSG단말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비 CSG단말에 기 할당한 비 CSG용 자원을 상기 단말로 할당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통신서비스는, 특정 수준 이상의 서비스품질 보장을 요구하는 통신서비스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접속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비 CSG단말 중에서 상기 특정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 비 CSG단말을 확인되지 않으면, 일정 시간 대기 후에 상기 자원확인부와 연동하여 상기 소형기지국에서 할당 가능한 CSG용 자원 또는 비 CSG용 자원이 있는지 여부를 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호접속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 및 소형기지국 간의 호접속요청과 관련하여, 상기 소형기지국의 운용모드를 확인하는 운용모드확인단계; 상기 소형기지국의 운용모드가 하이브리드모드인 경우, 상기 단말이 CSG단말인지 또는 비 CSG단말인지 확인하는 단말확인단계; 상기 단말이 CSG단말이면, 상기 소형기지국에서 할당 가능한 CSG용 자원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CSG단말 자원확인단계; 및 할당 가능한 CSG용 자원이 없으면, 상기 소형기지국에서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 또는 상기 소형기지국에서 비 CSG단말에 기 할당한 비 CSG용 자원을 상기 단말로 할당하여, 상기 호접속요청에 따른 상기 단말의 호 접속이 수행되도록 하는 CSG단말 호접속제어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SG단말 호접속제어단계는,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있는 경우 상기 비 CSG용 자원을 상기 단말로 할당하며,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없는 경우 상기 소형기지국에서 비 CSG단말에 기 할당한 비 CSG용 자원을 상기 단말로 할당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이 비 CSG단말이면, 상기 소형기지국에서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비 CSG단말 자원확인단계;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없으면, 상기 단말이 특정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상기 소형기지국에서 비 CSG단말에 기 할당한 비 CSG용 자원을 상기 단말로 할당하여, 상기 단말의 호 접속이 수행되도록 하는 비 CSG단말 호접속제어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SG단말 호접속제어단계 및 상기 비 CSG단말 호접속제어단계는, 상기 소형기지국에 호 접속된 다수의 비 CSG단말 중에서 특정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 비 CSG단말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비 CSG단말에 기 할당한 비 CSG용 자원을 상기 단말로 할당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통신서비스는, 특정 수준 이상의 서비스품질 보장을 요구하는 통신서비스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호접속제어장치 및 호접속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단말의 호 접속 수용과 관련된 여러 운용모드를 갖는 소형기지국에 대하여, 단말의 호 접속 수용 시 단말의 유형 뿐 아니라 운용모드 및 통신서비스의 종류까지 고려하여 유동적으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원 운영의 효율을 높이고 운용모드가 갖는 효과까지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매크로셀 및 소형셀이 공존하는 환경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접속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접속제어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접속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매크로셀 및 소형셀이 공존하는 환경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최근 LTE 네트워크에서는 서로 다른 Cell 크기를 가지는 기지국이 동일한 지역에 배치되는 네트워크 환경이 등장하였으며, 이러한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일반적인 매크로기지국 외, 더 작은 커버리지(셀)를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소형기지국들이 배치/공존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기지국들이 중첩된 영역에서 매크로셀 및 소형셀을 형성하며 사용자에게 무선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1의 경우는, 매크로기지국(10)이 배치(설치)되고, 매크로기지국(10)이 형성하는 매크로셀(C10) 내에 소형기지국(100)이 배치(설치)되어 소형기지국(100)이 형성하는 소형셀(C100)이 매크로셀(C10)에 포함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각 매크로기지국 및 각 소형기지국은, 하나의 셀을 형성할 수도 있고 여러 개의 셀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매크로기지국 및 각 소형기지국은 하나의 셀을 형성하는 것을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소형기지국(100)에서는 호 접속 수용과 관련된 여러 운용모드를 갖는 것을 전제로 한다.
즉, 소형기지국(100)에서는, 여러 운영모드로서 3가지 운용모드, 즉 폐쇄모드(Close Mode), 오픈모드(Open Mode) 및 하이브리드모드(Hybrid Mode)를 갖는다.
여기서, 폐쇄모드(Close Mode)는, 기 설정된 단말(이하, CSG(Closed Subscriber Group )단말이라 함)에 대해서만 호 접속을 수용하는 모드이고, 오픈모드(Open Mode)는, 모든 단말에 대해서 즉 CSG단말 및 비 CSG단말 구분 없이 호 접속을 수용하는 모드이며, 하이브리드모드(Hybrid Mode)는, 일정 수준 이상의 모든 단말에 대해서 호 접속을 수용하되, 특정 Threshold치부터는 CSG단말에 대한 호 접속 만을 수용하는 모드이다.
본 발명에서는, 여러 운용모드를 갖는 소형기지국(100)에 대하여, 단말의 호 접속 수용 시 단말의 유형 뿐 아니라 운용모드 및 통신서비스의 종류까지 고려하여 유동적(Dynamic)으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도록 하는 호 접속 수용 방안의 호접속제어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접속제어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구체적으로 후술할 본 발명의 호접속제어장치는, 소형기지국 각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본 발명의 호접속제어장치가 소형기지국 각각인 경우로 설명하며, 특히 소형기지국(100)을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호접속제어장치(100)와 소형기지국(100)은 동일한 장치이며, 참조번호를 동일하게 사용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호접속제어장치(100) 즉 소형기지국(100)은, 단말 및 소형기지국(100) 간의 호접속요청과 관련하여, 소형기지국(100)의 운용모드를 확인하는 운용모드확인부(110)와, 소형기지국(100)의 운용모드가 하이브리드모드인 경우, 상기 단말이 CSG(Closed Subscriber Group)단말인지 또는 비 CSG단말인지 확인하는 단말확인부(120)와, 상기 단말이 CSG단말이면, 소형기지국(100)에서 할당 가능한 CSG용 자원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자원확인부(130)와, 할당 가능한 CSG용 자원이 없으면, 소형기지국(100)에서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 또는 소형기지국(100)에서 비 CSG단말에 기 할당한 비 CSG용 자원을 상기 단말로 할당하여, 상기 호접속요청에 따른 상기 단말의 호 접속이 수행되도록 하는 호접속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2를 비롯한 다수의 단말이 소형기지국(100)에 이미 호 접속이 수행 완료되어 기 할당된 자원을 통해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상태라고 가정하고, 단말3 및 소형기지국(100) 간의 호 접속이 새롭게 요청되는 경우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라면, 본 발명의 호접속제어장치(100) 즉 소형기지국(100)은, 단말3 및 소형기지국(100) 간의 호접속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단말3은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소형기지국(100)에 접속되는 단말일 것이며, 통신서비스는 다운로드 서비스, 스트리밍 서비스, SNS 서비스 및 포털 서비스 등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서비스(이하, 데이터서비스라 함)와, VoIP, VoLTE 등의 통신서비스(이하, VoLTE서비스라 함)를 의미한다.
이에, 단말3은,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고, 상대방장치(미도시)와 통화하는 VoLTE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에, 단말3이 VoLTE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단말3이 상대방장치(미도시)로 시도한 VoLTE서비스의 착신을 상대방장치(미도시)가 수락하거나, 상대방장치(미도시)로부터 시도되는 VoLTE서비스의 착신을 단말3이 수락함에 따라, 단말3 및 소형기지국(100) 간의 호 접속이 수행되는 과정 중에는, 네트워크(예 : LTE 망)의 관련장비(예 : MME)가, 단말3에 대하여 VoLTE서비스의 VoLTE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호를 접속하도록 요청하는 호접속요청을 소형기지국(100)으로 제공한다.
또한, 단말3이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단말3이 데이터서비스 이용을 시도함에 따라, 단말3 및 소형기지국(100) 간의 호 접속이 수행되는 과정 중에는, 네트워크(예 : LTE 망)의 관련장비(예 : MME)가, 단말3에 대하여 데이터서비스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호를 접속하도록 요청하는 호접속요청을 소형기지국(100)으로 제공한다.
이에, 호접속제어장치(100) 즉 소형기지국(100)은, 단말3과 호 접속이 수행되는 과정 중에, 관련장비(예 : MME)로부터 단말3에 대한 호접속요청을 수신하게 되고, 이에 따른 자원이 단말3에 할당되어야만 단말3이 통신서비스(예 : VoLTE서비스 또는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관련장비(예 : MME)로부터 수신되는 단말3에 대한 호접속요청은, 예컨대 E-RAB Setup Request 메시지일 수 있다.
운용모드확인부(110)는, 전술과 같이 수신한 단말3 및 소형기지국(100) 간의 호접속요청과 관련하여, 소형기지국(100)의 운용모드를 확인한다.
즉, 운용모드확인부(110)는, 소형기지국(100)의 현재 운용모드가 전술한 폐쇄모드, 오픈모드 및 하이브리드모드 중 어떤 운영모드로 동작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단말확인부(120)는, 운용모드확인부(110)의 확인 결과 소형기지국(100)의 운용모드가 하이브리드모드인 경우, 단말3이 CSG단말인지 또는 비 CSG단말인지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호접속요청(예 : E-RAB Setup Request 메시지)에는, 단말3의 CSG ID가 포함된다.
더 나아가, 호접속요청(예 : E-RAB Setup Request 메시지)에는, 호접속요청에 따라서 어떤 종류의 호를 접속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로서 서비스품질구분자(QCI : QoS Class Indicator)가 지정되어 있다.
예컨대, VoLTE서비스의 호 접속을 요청하는 호접속요청에는 VoLTE서비스 이용에 적합한 서비스품질 보장을 위한 QCI #1 또는 QCI #2 가 지정되어 있을 것이고, 데이터서비스의 호 접속을 요청하는 호접속요청에는 데이터서비스 이용에 적합한 서비스품질 보장을 위한 QCI #5 또는 QCI #6 이 지정되어 있을 것이다.
여기서, VoLTE서비스는, 실시간 통화를 위해 특정 수준 이상의 서비스품질, 즉 고품질의 연속성 보장을 요구하는 통신서비스라 할 수 있다.
이에, 단말확인부(120)는, 운용모드확인부(110)의 확인 결과 소형기지국(100)의 운용모드가 하이브리드모드인 경우, 단말3과 관련된 호접속요청에서 단말3의 CSG ID를 확인하고, 소형기지국(100) 자체의 Closed Subscriber Group 정보에 해당 CSG ID가 있으면 단말3이 CSG단말인 것으로 확인하고, 해당 CSG ID가 없으면 단말3이 비 CSG단말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자원확인부(130)는, 단말확인부(120)의 확인 결과 단말3이 CSG단말이면, 소형기지국(100)에서 할당 가능한 CSG용 자원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호접속제어장치(100) 즉 소형기지국(100)은, 하이브리드모드에서 CSG단말에 할당할 CSG용 자원 및 비 CSG단말에 할당할 비 CSG용 자원을 기 지정해 둘 수 있다. 예로서, 소형기지국(100)의 전체 자원 중 CSG단말에 할당할 CSG용 자원으로서 70%, 비 CSG단말 할당할 비 CSG용 자원으로서 30%를 기 지정할 수 있다.
자원확인부(130)는, 단말확인부(120)의 확인 결과 단말3이 CSG단말이면, 소형기지국(100)에서 기 지정한 CSG용 자원 즉 전체 자원의 70% 중에서 아직 할당하지 않은 자원, 즉 할당 가능한 CSG용 자원이 남아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한편, 자원확인부(130)는, 단말확인부(120)의 확인 결과 단말3이 비 CSG단말이면, 소형기지국(100)에서 기 지정한 비 CSG용 자원 즉 전체 자원의 30% 중에서 아직 할당하지 않은 자원, 즉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남아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단말3이 CSG단말인 경우를 설명하면, 호접속제어부(140)는, 자원확인부(130)의 확인 결과 할당 가능한 CSG용 자원이 남아있다면, 남아있는 CSG용 자원 중 정책에 따라 결정된 CSG용 자원을 단말3에 할당하여 상기 호접속요청에 따른 단말3의 호 접속이 수행되도록 하고, 이에 호 접속 수행이 완료되면 단말3이 전술과 같이 할당된 자원을 통해 통신서비스(예 : VoLTE서비스 또는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호접속제어부(140)는, 자원확인부(130)의 확인 결과 할당 가능한 CSG용 자원이 남아있지 않으면, 소형기지국(100)에서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 또는 소형기지국(100)에서 비 CSG단말에 기 할당한 비 CSG용 자원을 단말3으로 할당하여, 상기 호접속요청에 따른 단말3의 호 접속이 수행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호접속제어부(140)는, 자원확인부(130)의 확인 결과 할당 가능한 CSG용 자원이 남아있지 않으면,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있는 경우 상기 비 CSG용 자원을 단말3으로 할당하며,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없는 경우 소형기지국(100)에서 비 CSG단말에 기 할당한 비 CSG용 자원을 단말3으로 할당할 수 있다.
즉, 호접속제어부(140)는, 자원확인부(130)의 확인 결과 할당 가능한 CSG용 자원이 남아있지 않으면, 자원확인부(130)와 연동하여 소형기지국(100)에서 기 지정한 비 CSG용 자원 즉 전체 자원의 30% 중에서 아직 할당하지 않은 자원, 즉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남아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에, 호접속제어부(140)는,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남아있는 경우, 남아있는 비 CSG용 자원 중 정책에 따라 결정된 비 CSG용 자원을 단말3에 할당하여 상기 호접속요청에 따른 단말3의 호 접속이 수행되도록 하고, 이에 호 접속 수행이 완료되면 단말3이 전술과 같이 할당된 자원을 통해 통신서비스(예 : VoLTE서비스 또는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호접속제어부(140)는,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남아있지 않은 경우, 소형기지국(100)에서 비 CSG단말에 기 할당한 비 CSG용 자원을 단말3으로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호접속제어부(140)는, 소형기지국(100)에 호 접속된 다수의 비 CSG단말 중에서 특정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 비 CSG단말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비 CSG단말에 기 할당한 비 CSG용 자원을 단말3으로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통신서비스란, 전술에서 언급한 VoLTE서비스 즉, 특정 수준 이상의 서비스품질 즉 고품질의 연속성 보장을 요구하는 통신서비스일 것이다.
이에, 전술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2를 비롯한 다수의 단말이 소형기지국(100)에 이미 호 접속이 수행 완료되어 기 할당된 자원을 통해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상태라고 가정하고, 여기서, 단말1,2가 비 CSG단말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라면, 호접속제어부(140)는, 소형기지국(100)에 호 접속된 다수의 비 CSG단말 즉 단말1,2 중에서 특정 통신서비스 즉 VoLTE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 비 CSG단말을 확인한다.
예컨대, 호접속제어부(140)는, 단말1,2 각각과 관련하여 소형기지국(100)에 이미 접속한 호로부터 서비스품질구분자(QCI)를 확인함으로써, 단말1,2 중에서 QCI #1 또는 QCI #2가 확인된 단말을 VoLTE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비 CSG단말인 것으로, 그리고 이 외의 서비스품질구분자(QCI) 예컨대 QCI #5 또는 QCI #6이 확인된 단말(예 : 단말1,2)을 VoLTE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 비 CSG단말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호접속제어부(140)는, 소형기지국(100)에 호 접속된 다수의 비 CSG단말 중에서 VoLTE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 비 CSG단말(예 : 단말1,2)을 확인할 수 있다.
이 후, 호접속제어부(140)는, VoLTE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확인한 비 CSG단말 예를 들면 전술의 단말1,2 중에서 하나의 단말 예컨대, 정책에 따라 선택된 단말(예 : 단말2) 또는 임의 선택된 단말(예 : 단말2)에 기 할당한 비 CSG용 자원을 단말3으로 할당할 수 있다.
즉, 호접속제어부(140)는, 단말2로 리다이렉션 명령을 내림으로써, 단말2가 다른 기지국 예를 들면 소형기지국(100)과 인접한 다른 매크로기지국(10)으로 리다이렉션되도록 하고, 단말2에 기 할당했던 비 CSG용 자원을 단말3으로 할당하여 상기 호접속요청에 따른 단말3의 호 접속이 수행되도록 하고, 이에 호 접속 수행이 완료되면 단말3이 전술과 같이 할당된 자원을 통해 통신서비스(예 : VoLTE서비스 또는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소형기지국(100)에 호 접속된 다수의 비 CSG단말(예 : 단말1,2) 중에서 VoLTE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 비 CSG단말이 확인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는, 소형기지국(100)에 호 접속된 다수의 비 CSG단말(예 : 단말1,2) 모두가 VoLTE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일 것이다.
이 경우라면, 호접속제어부(140)는, 일정 시간 대기 후에 자원확인부(130)와 연동하여 소형기지국(100)에서 할당 가능한 CSG용 자원 또는 비 CSG용 자원이 있는지 여부를 재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호접속제어부(140)는, 단말3의 금번 호접속요청과 관련하여 자원을 재확인한 횟수가 특정 횟수(예 : 2회) 미만인 경우에 한해서만, 일정 시간을 대기하고 이 후 자원확인부(130)와 연동하여 소형기지국(100)에서 할당 가능한 CSG용 자원 또는 비 CSG용 자원이 있는지 여부를 재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단말3이 비 CSG단말인 경우를 설명하면, 호접속제어부(140)는, 자원확인부(130)의 확인 결과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없으면, 단말3이 특정 통신서비스 즉 VoLTE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소형기지국(100)에서 비 CSG단말에 기 할당한 비 CSG용 자원을 단말3으로 할당하여, 단말3의 호 접속이 수행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호접속제어부(140)는, 자원확인부(130)의 확인 결과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남아있는 경우, 남아있는 비 CSG용 자원 중 정책에 따라 결정된 비 CSG용 자원을 단말3에 할당하여 상기 호접속요청에 따른 단말3의 호 접속이 수행되도록 하고, 이에 호 접속 수행이 완료되면 단말3이 전술과 같이 할당된 자원을 통해 통신서비스(예 : VoLTE서비스 또는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호접속제어부(140)는, 자원확인부(130)의 확인 결과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남아있지 않은 경우, 단말3이 특정 통신서비스 즉 VoLTE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컨대, 호접속제어부(140)는, 단말3과 관련된 금번 호접속요청에서 서비스품질식별자(QCI)가 QCI #1 또는 QCI #2로 확인되면, 단말3이 VoLTE서비스를 이용하고 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호접속제어부(140)는, 단말3이 VoLTE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만, 소형기지국(100)에서 비 CSG단말에 기 할당한 비 CSG용 자원을 단말3으로 할당하여, 단말3의 호 접속이 수행되도록 한다.
즉, 호접속제어부(140)는, 전술과 같이 소형기지국(100)에 호 접속된 다수의 비 CSG단말(예 : 단말1,2) 중에서 VoLTE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 비 CSG단말 예컨대 단말1,2를 확인하고, 단말1,2 중에서 정책에 따라 선택된 단말(예 : 단말2) 또는 임의 선택된 단말(예 : 단말2)로 리다이렉션 명령을 내림으로써, 단말2가 다른 기지국 예를 들면 매크로기지국(10)으로 리다이렉션되도록 하고, 단말2에 기 할당했던 비 CSG용 자원을 단말3으로 할당하여 상기 호접속요청에 따른 단말3의 호 접속이 수행되도록 하고, 이에 호 접속 수행이 완료되면 단말3이 전술과 같이 할당된 자원을 통해 통신서비스 즉 VoLTE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접속제어장치 즉 소형기지국은, 여러 운용모드를 갖는 소형기지국에 대하여, 단말의 호 접속 수용 시 단말의 유형 뿐 아니라 운용모드 및 통신서비스의 종류까지 고려하여 유동적으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원 운영의 효율을 높이고 운용모드가 갖는 효과까지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호접속제어장치 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이하의 도 3 및 도 4를 참조한 설명에서는, 호접속제어장치(100)와 소형기지국(100)은 동일한 장치인 것으로 설명하고, 따라서 양 장치의 참조번호를 동일하게 사용하도록 하겠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호접속제어장치(100)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비 CSG단말인 단말1이 소형기지국(100)에 이미 호 접속이 수행 완료되어 기 할당된 자원을 통해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 있고(S10), 비 CSG단말인 단말2가 소형기지국(100)에 이미 호 접속이 수행 완료되어 기 할당된 자원을 통해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상태를 가정한다(S20),
이 경우, 단말3 및 소형기지국(100) 간의 호 접속이 새롭게 요청되면(S30), 호접속제어장치(100) 즉 소형기지국(100)은, 전술과 같이 수신한 단말3 및 소형기지국(100) 간의 호접속요청과 관련하여, 소형기지국(100)의 운용모드를 확인한다(S40).
S40단계의 확인 결과 소형기지국(100)의 운용모드가 하이브리드모드인 경우, 호접속제어장치(100) 즉 소형기지국(100)은, 단말3이 CSG단말인지 또는 비 CSG단말인지 확인한다(S50).
호접속제어장치(100) 즉 소형기지국(100)은, S50단계의 확인 결과 단말3이 CSG단말이면, 소형기지국(100)에서 할당 가능한 CSG용 자원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60).
호접속제어장치(100) 즉 소형기지국(100)은, 할당 가능한 CSG용 자원이 남아있다면, 남아있는 CSG용 자원 중 정책에 따라 결정된 CSG용 자원을 단말3에 할당하여 상기 호접속요청에 따른 단말3의 호 접속이 수행되도록 하고(S70), 이에 호 접속 수행이 완료되면 단말3이 전술과 같이 할당된 자원을 통해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S120).
하지만, 호접속제어장치(100) 즉 소형기지국(100)은, 할당 가능한 CSG용 자원이 남아있지 않으면,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남아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80).
이에, 호접속제어장치(100) 즉 소형기지국(100)은,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남아있는 경우, 남아있는 비 CSG용 자원 중 정책에 따라 결정된 비 CSG용 자원을 단말3에 할당하여 상기 호접속요청에 따른 단말3의 호 접속이 수행되도록 하고(S90), 이에 호 접속 수행이 완료되면 단말3이 전술과 같이 할당된 자원을 통해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S120).
한편, 호접속제어장치(100) 즉 소형기지국(100)은,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남아있지 않은 경우, 소형기지국(100)에 호 접속된 다수의 비 CSG단말 즉 단말1,2 중에서 특정 통신서비스 즉 VoLTE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 비 CSG단말(예 : 단말1,2)을 확인하고, 이들 단말1,2 중에서 하나의 단말 예컨대, 정책에 따라 선택된 단말(예 : 단말2) 또는 임의 선택된 단말(예 : 단말2)에 리다이렉션 명령을 내려준다(S100).
이러한 리다이렉션 명령에 따라 단말2가 다른 기지국 예를 들면 소형기지국(100)과 인접한 다른 매크로기지국(10)으로 리다이렉션되며, 호접속제어장치(100) 즉 소형기지국(100)은, 단말2에 기 할당했던 비 CSG용 자원을 단말3으로 할당하여 상기 호접속요청에 따른 단말3의 호 접속이 수행되도록 하고(S110), 이에 호 접속 수행이 완료되면 단말3이 전술과 같이 할당된 자원을 통해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S120).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접속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호접속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소형기지국(100)의 동작 방법으로서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소형기지국(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3 및 소형기지국(100) 간의 호접속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200).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소형기지국(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단말3과 호 접속이 수행되는 과정 중에, 관련장비(예 : MME)로부터 단말3에 대한 호접속요청을 수신하게 된다.
본 발명의 소형기지국(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수신한 단말3 및 소형기지국(100) 간의 호접속요청과 관련하여, 소형기지국(100)의 운용모드가 하이브리드모드인지를 확인한다(S21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소형기지국(100)의 동작 방법은, 소형기지국(100)의 운용모드가 하이브리드모드가 아니면(S210 No), 소형기지국(100)의 운용모드가 폐쇄모드인지 판단한다(S220).
본 발명에 따른 소형기지국(100)의 동작 방법은, 소형기지국(100)의 운용모드가 폐쇄모드인 경우(S220 Yes), 단말3이 CSG단말인지 또는 비 CSG단말인지 확인하여(S230), 단말3이 CSG단말인 경우에만 소형기지국(100)의 자원 중 할당 가능한 자원이 있으면(S240 Yes), 정책에 따라 결정된 자원을 단말3에 할당하여 상기 호접속요청에 따른 단말3의 호 접속이 수행되도록 하고(S340), 이에 호 접속 수행이 완료되면 단말3이 전술과 같이 할당된 자원을 통해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소형기지국(100)의 동작 방법은, S230단계의 확인 결과 단말3이 비 CSG단말인 경우, 또는 소형기지국(100)의 할당 가능한 자원이 남아있지 않은 경우(S240 No), 단말3에 자원을 할당하지 않아 상기 호접속요청에 따른 단말3의 호 접속이 미수행될 것이다(S33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소형기지국(100)의 동작 방법은, S220의 확인 결과 소형기지국(100)의 운용모드가 폐쇄모드가 아니면 오픈모드인 경우이므로, 단말3이 CSG단말인지 또는 비 CSG단말인지 상관없이 소형기지국(100)의 자원 중 할당 가능한 자원이 있으면(S240 Yes), 정책에 따라 결정된 자원을 단말3에 할당하여 상기 호접속요청에 따른 단말3의 호 접속이 수행되도록 하고(S340), 이에 호 접속 수행이 완료되면 단말3이 전술과 같이 할당된 자원을 통해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소형기지국(100)의 동작 방법은, 소형기지국(100)의 운용모드가 하이브리드모드인 경우(S210 Yes), 단말3이 CSG단말인지 또는 비 CSG단말인지 확인한다(S25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소형기지국(100)의 동작 방법은, S250단계의 확인 결과 단말3이 CSG단말이면, 소형기지국(100)에서 할당 가능한 CSG용 자원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60).
본 발명에 따른 소형기지국(100)의 동작 방법은, S260단계의 확인 결과 할당 가능한 CSG용 자원이 남아있다면, 남아있는 CSG용 자원 중 정책에 따라 결정된 CSG용 자원을 단말3에 할당하여 상기 호접속요청에 따른 단말3의 호 접속이 수행되도록 하고(S340), 이에 호 접속 수행이 완료되면 단말3이 전술과 같이 할당된 자원을 통해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소형기지국(100)의 동작 방법은, S260단계의 확인 결과 할당 가능한 CSG용 자원이 남아있지 않으면, 소형기지국(100)에서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 또는 소형기지국(100)에서 비 CSG단말에 기 할당한 비 CSG용 자원을 단말3으로 할당하여, 상기 호접속요청에 따른 단말3의 호 접속이 수행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형기지국(100)의 동작 방법은, S260단계의 확인 결과 할당 가능한 CSG용 자원이 남아있지 않으면, 소형기지국(100)에서 기 지정한 비 CSG용 자원 즉 전체 자원의 30% 중에서 아직 할당하지 않은 자원, 즉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남아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7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소형기지국(100)의 동작 방법은,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남아있는 경우, 남아있는 비 CSG용 자원 중 정책에 따라 결정된 비 CSG용 자원을 단말3에 할당하여 상기 호접속요청에 따른 단말3의 호 접속이 수행되도록 하고(S340), 이에 호 접속 수행이 완료되면 단말3이 전술과 같이 할당된 자원을 통해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소형기지국(100)의 동작 방법은, S270단계의 확인 결과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남아있지 않은 경우, 소형기지국(100)에 호 접속된 다수의 비 CSG단말 예컨대 단말1,2 중에서 특정 통신서비스 즉 VoLTE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 비 CSG단말이 있는지 확인한다(S290).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소형기지국(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2 각각과 관련하여 소형기지국(100)에 이미 접속한 호로부터 서비스품질구분자(QCI)를 확인함으로써, 단말1,2 중에서 QCI #1 또는 QCI #2가 확인된 단말을 VoLTE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비 CSG단말인 것으로, 그리고 이 외의 서비스품질구분자(QCI) 예컨대 QCI #5 또는 QCI #6이 확인된 단말(예 : 단말1,2)을 VoLTE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 비 CSG단말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소형기지국(100)의 동작 방법은, 소형기지국(100)에 호 접속된 다수의 비 CSG단말 중에서 VoLTE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 비 CSG단말(예 : 단말1,2)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후, 본 발명에 따른 소형기지국(100)의 동작 방법은, VoLTE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확인한 비 CSG단말 예를 들면 전술의 단말1,2 중에서 하나의 단말 예컨대, 정책에 따라 선택된 단말(예 : 단말2) 또는 임의 선택된 단말(예 : 단말2)을 다른 기지국 예를 들면 소형기지국(100)과 인접한 다른 매크로기지국(10)으로 리다이렉션시키고(S300), 단말2에 기 할당했던 비 CSG용 자원을 단말3으로 할당하여 상기 호접속요청에 따른 단말3의 호 접속이 수행되도록 하고(S340), 이에 호 접속 수행이 완료되면 단말3이 전술과 같이 할당된 자원을 통해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S290단계에서 소형기지국(100)에 호 접속된 다수의 비 CSG단말(예 : 단말1,2) 중에서 VoLTE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 비 CSG단말이 확인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는, 소형기지국(100)에 호 접속된 다수의 비 CSG단말(예 : 단말1,2) 모두가 VoLTE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일 것이다.
이 경우라면, 본 발명에 따른 소형기지국(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3의 금번 호접속요청과 관련하여 자원을 재확인한 횟수가 특정 횟수(예 : 2회) 미만인 경우에 한해서만(S310 Yes), 일정 시간을 대기하고(S320) 이 후 S250단계로 진입하여 소형기지국(100)에서 할당 가능한 CSG용 자원 또는 비 CSG용 자원이 있는지 여부를 재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소형기지국(100)의 운용모드가 하이브리드모드인 경우(S210 Yes), S250단계에서 단말3이 CSG단말인지 또는 비 CSG단말인지 확인한 결과, 단말3이 비 CSG단말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소형기지국(100)의 동작 방법은, 소형기지국(100)에서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남아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7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소형기지국(100)의 동작 방법은, S270단계의 확인 결과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남아있는 경우, 남아있는 비 CSG용 자원 중 정책에 따라 결정된 비 CSG용 자원을 단말3에 할당하여 상기 호접속요청에 따른 단말3의 호 접속이 수행되도록 하고(S340), 이에 호 접속 수행이 완료되면 단말3이 전술과 같이 할당된 자원을 통해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소형기지국(100)의 동작 방법은, S270단계의 확인 결과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남아있지 않은 경우, 단말3이 특정 통신서비스 즉 VoLTE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80).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소형기지국(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3과 관련된 금번 호접속요청에서 서비스품질식별자(QCI)가 QCI #1 또는 QCI #2로 확인되면, 단말3이 VoLTE서비스를 이용하고 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소형기지국(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3이 VoLTE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만(S280 Yes), 소형기지국(100)에서 비 CSG단말에 기 할당한 비 CSG용 자원을 단말3으로 할당하여, 단말3의 호 접속이 수행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소형기지국(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소형기지국(100)에 호 접속된 다수의 비 CSG단말(예 : 단말1,2) 중에서 VoLTE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 비 CSG단말 예컨대 단말1,2를 확인하고(S290), 단말1,2 중에서 정책에 따라 선택된 단말(예 : 단말2) 또는 임의 선택된 단말(예 : 단말2)을 다른 매크로기지국(10)으로 리다이렉션시키고(S300), 단말2에 기 할당했던 비 CSG용 자원을 단말3으로 할당하여 상기 호접속요청에 따른 단말3의 호 접속이 수행되도록 하고(S340), 이에 호 접속 수행이 완료되면 단말3이 전술과 같이 할당된 자원을 통해 통신서비스 즉 VoLTE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접속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즉 소형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단말의 호 접속 수용과 관련된 여러 운용모드를 갖는 소형기지국에 대하여, 단말의 호 접속 수용 시 단말의 유형 뿐 아니라 운용모드 및 통신서비스의 종류까지 고려하여 유동적으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원 운영의 효율을 높이고 운용모드가 갖는 효과까지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접속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호접속제어장치 및 호접속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여러 운용모드를 갖는 소형기지국에 대하여, 단말의 호 접속 수용 시 단말의 유형 뿐 아니라 운용모드 및 통신서비스의 종류까지 고려하여 유동적으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호접속제어장치
110 : 운용모드확인부 120 : 단말확인부
130 : 자원확인부 140 : 호접속제어부

Claims (11)

  1. 단말 및 소형기지국 간의 호접속요청과 관련하여, 상기 소형기지국의 운용모드를 확인하는 운용모드확인부;
    상기 소형기지국의 운용모드가 하이브리드모드인 경우, 상기 단말이 CSG(Closed Subscriber Group)단말인지 또는 비 CSG단말인지 확인하는 단말확인부;
    상기 단말이 비 CSG단말이면, 상기 소형기지국에서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자원확인부; 및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없으면, 상기 단말이 특정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소형기지국에서 비 CSG단말에 기 할당한 비 CSG용 자원을 상기 단말로 할당하여, 상기 호접속요청에 따른 상기 단말의 호 접속이 수행되도록 하는 호접속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접속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접속제어부는,
    상기 소형기지국에 호 접속된 다수의 비 CSG단말 중에서 특정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 비 CSG단말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비 CSG단말에 기 할당한 비 CSG용 자원을 상기 단말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접속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통신서비스는,
    특정 수준 이상의 서비스품질 보장을 요구하는 통신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접속제어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접속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비 CSG단말 중에서 상기 특정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 비 CSG단말을 확인되지 않으면, 일정 시간 대기 후에 상기 자원확인부와 연동하여 상기 소형기지국에서 할당 가능한 CSG용 자원 또는 비 CSG용 자원이 있는지 여부를 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접속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확인부는, 상기 단말이 CSG단말이면, 상기 소형기지국에서 할당 가능한 CSG용 자원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호접속제어부는,
    할당 가능한 CSG용 자원이 없고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있는 경우 상기 비 CSG용 자원을 상기 단말로 할당하며, 할당 가능한 CSG용 자원 및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모두 없는 경우 상기 소형기지국에서 비 CSG단말에 기 할당한 비 CSG용 자원을 상기 단말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접속제어장치.
  6. 삭제
  7. 단말 및 소형기지국 간의 호접속요청과 관련하여, 상기 소형기지국의 운용모드를 확인하는 운용모드확인단계;
    상기 소형기지국의 운용모드가 하이브리드모드인 경우, 상기 단말이 CSG단말인지 또는 비 CSG단말인지 확인하는 단말확인단계;
    상기 단말이 비 CSG단말이면, 상기 소형기지국에서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비 CSG단말 자원확인단계; 및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없으면, 상기 단말이 특정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소형기지국에서 비 CSG단말에 기 할당한 비 CSG용 자원을 상기 단말로 할당하여, 상기 단말의 호 접속이 수행되도록 하는 비 CSG단말 호접속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접속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 CSG단말 호접속제어단계는,
    상기 소형기지국에 호 접속된 다수의 비 CSG단말 중에서 상기 특정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 비 CSG단말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비 CSG단말에 기 할당한 비 CSG용 자원을 상기 단말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접속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CSG단말이면, 상기 소형기지국에서 할당 가능한 CSG용 자원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CSG단말 자원확인단계; 및
    할당 가능한 CSG용 자원이 없고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있는 경우 상기 비 CSG용 자원을 상기 단말로 할당하며, 할당 가능한 CSG용 자원 및 할당 가능한 비 CSG용 자원이 모두 없는 경우 상기 소형기지국에서 비 CSG단말에 기 할당한 비 CSG용 자원을 상기 단말로 할당하는 CSG단말 호접속제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접속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CSG단말 호접속제어단계는,
    상기 소형기지국에 호 접속된 다수의 비 CSG단말 중에서 상기 특정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 비 CSG단말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비 CSG단말에 기 할당한 비 CSG용 자원을 상기 단말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접속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통신서비스는,
    특정 수준 이상의 서비스품질 보장을 요구하는 통신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접속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30108681A 2013-09-10 2013-09-10 호접속제어장치 및 호접속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KR102166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681A KR102166623B1 (ko) 2013-09-10 2013-09-10 호접속제어장치 및 호접속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681A KR102166623B1 (ko) 2013-09-10 2013-09-10 호접속제어장치 및 호접속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454A KR20150029454A (ko) 2015-03-18
KR102166623B1 true KR102166623B1 (ko) 2020-10-16

Family

ID=53023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681A KR102166623B1 (ko) 2013-09-10 2013-09-10 호접속제어장치 및 호접속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623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9701B2 (en) * 2009-04-16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devices to enable management of wireless network resources
GB2471988A (en) * 2009-04-27 2011-01-26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Home Base Station and associated Closed Subscriber Group
US8942746B2 (en) * 2009-10-29 2015-01-27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management and admission control for non-members of a closed subscriber group in home radio access networks
KR101282612B1 (ko) * 2009-12-15 2013-07-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펨토셀 기지국의 운영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30068240A (ko) * 2011-12-15 2013-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자원 할당 방법
KR101444435B1 (ko) * 2011-12-26 2014-09-25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폐쇄 가입자 그룹을 지원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454A (ko)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2206B2 (en) Managing resources in CBRS networks
US98670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choring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31409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a macro base station and a femto base station
US92412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andover to prevent femtocell interference
US11297542B2 (en) Base station handover method, system,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20100222062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nterference avoidance in a femtocell network
CN109743779B (zh) 一种共享基站的资源分配方法及装置
CN112203336B (zh) 无线接入控制方法、装置及系统
JP6652636B2 (ja) 通信を制御する方法、ユーザ機器、及び基地局
US20190380067A1 (en) Communication system
KR102080828B1 (ko) 선택적인 출발지 아이피 주소 설정 방법 및 장치
US20140162667A1 (en) Radio resource distribution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radio resource distribution device
KR20120024796A (ko) 기지국 사이에서 핸드오버의 방법 및 장치
JP2015515200A (ja) 負荷バランシング
CN106465387B (zh) 多跳能力的发现和每链路基础上的路由
WO2018192705A1 (en) Automatic management of pre-configuration levels for autonomous ue mobility
EP2848024B1 (en) Coordination of co-spectrum users with wireless broadband networks
KR102027930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WO2013160980A1 (ja) 制御装置、基地局、移動局、コアネットワークノード、これらに実装される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102166623B1 (ko) 호접속제어장치 및 호접속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JP2017055196A (ja) コントローラ及び基地局
KR20140089128A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EP33406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device-to-device (d2d) authorization information
US11477637B2 (en) Communication system
WO2016152096A1 (ja) ネットワーク装置、基地局、通信方法、無線リソース制御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