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534B1 -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534B1
KR101616534B1 KR1020140128665A KR20140128665A KR101616534B1 KR 101616534 B1 KR101616534 B1 KR 101616534B1 KR 1020140128665 A KR1020140128665 A KR 1020140128665A KR 20140128665 A KR20140128665 A KR 20140128665A KR 101616534 B1 KR101616534 B1 KR 101616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terminal
base station
uplink
station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6415A (ko
Inventor
문정배
이상민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8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534B1/ko
Publication of KR20160036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A 단말에서 CA 기능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향링크 환경을 고려한 최적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 이용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BASE 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A(Carrier Aggregation) 단말에서 CA 기능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향링크 환경을 고려한 최적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 이용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는, 최대 20 MHz대역을 이용하여 고속의 통신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통신서비스의 종류 및 전송 요구 속도 등이 다양해짐에 따라, 더 빠른 속도의 통신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기존의 20 MHz대역 보다 더 넓은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IMT-advanced 통신시스템이 새롭게 등장하였으며, IMT-advanced 통신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주파수대역이 공존하는 상황에서, 기존의 20 MHz대역 보다 더 넓은 대역을 지원하기 위해 주파수집합(Carrier Aggregation, CA)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CA 기술은, 다중 단위 주파수대역(Component Carrier, CC)의 통합을 통해 보다 넓은 주파수대역을 확보할 수 있고, 각 단위 주파수대역(CC)은 LTE 단말에게 LTE 주파수대역으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이전 통신시스템과의 호환성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이하, CA 단말)은, 우선 다수의 단위 주파수대역(CC) 중 하나의 기본 주파수대역(Primary Cell, PCell)을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고, 이후 필요에 따라 추가 주파수대역(Secondary Cell, SCell)을 통해 기지국에 동시 접속하여, 여러 주파수대역 즉 PCell 및 SCell을 통합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현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의 경우 PCell의 하향링크 및 SCell의 하향링크를 모두 사용하는 CA가 구현되어 있으나, 상향링크의 경우 PCell의 상향링크 만을 고정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에, 하향링크의 경우, 기지국이 CA 단말에 할당한 PCell 및 SCell 각각의 하향링크채널을 통해 CA 단말로 하향정보(데이터, 시그널링 등)을 제공하지만, 상향링크의 경우, CA 단말은 PCell 및 SCell의 상향정보(데이터, 시그널링 등) 모두를 PCell의 상향링크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CA 단말 입장에서는, 상향링크 간섭이 심하거나 상향링크 사용자(부하량)이 많은 주파수대역을 PCell로 사용하게 되면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 이용 품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최적의 PCell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CA 단말에서 CA 기능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향링크 환경을 고려한 최적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 이용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CA 단말에서 CA 기능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향링크 환경을 고려한 최적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 이용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을 통해 단말과 접속하는 접속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별로 상향링크 환경을 측정하는 환경측정부; 상기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 보다 상향링크 환경이 우수한 특정 주파수대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대역확인부; 및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기본 주파수대역이 되도록 상기 단말을 핸드오버시키는 접속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경측정부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별로, 주파수대역의 상향링크 간섭 및 상향링크 부하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환경을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향링크 환경이 가장 우수한 주파수대역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 외 적어도 하나의 추가 주파수대역을 통해 상기 기지국장치에 동시 접속하는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제어부는,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을 통해 기 접속되어 있는 다른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해서도,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기본 주파수대역이 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핸드오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은,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을 통해 기 접속되어 있는 다른 단말 중에서, 상향링크 성능이 가장 낮은 단말부터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단말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을 통해 단말과 접속하는 접속단계;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별로 상향링크 환경을 측정하는 환경측정단계; 상기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 보다 상향링크 환경이 우수한 특정 주파수대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대역확인단계; 및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기본 주파수대역이 되도록 상기 단말을 핸드오버시키는 접속제어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 외 적어도 하나의 추가 주파수대역을 통해 상기 기지국장치에 동시 접속하는 특정 기능을 지원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기능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주파수대역에 대한 상향정보를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의 상향링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향링크 환경이 가장 우수한 주파수대역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CA 단말에서 CA 기능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향링크 환경을 고려한 최적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 이용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기존에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예를 보여주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가 포함되는 통신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가 포함된 통신시스템에서는, 동일 지역에 대해서 다수의 주파수대역이 공존하고 있다.
예컨대, 도 1을 언급하여 설명하면, 기지국장치(100)는, 제1주파수대역에 따른 제1셀(C1), 제2주파수대역에 따른 제2셀(C2), 제3주파수대역에 따른 제3셀(C3)을 형성할 수 있고, 이때 제1셀(C1) 및 제2셀(C2)은 가장 넓은 커버리지의 제3셀(C3)에 포함되며, 더불어 제1셀(C1)은 자신 보다 큰 커버리지의 제2셀(C2)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존의 20 MHz대역 보다 더 넓은 대역을 지원하기 위해 등장한 IMT-advanced 통신시스템에서 채택하고 있는 주파수집합(Carrier Aggregation, CA) 기술과 관련된 발명이다.
여기서, CA 기술은, 다중 단위 주파수대역(Component Carrier, CC)의 통합을 통해 보다 넓은 주파수대역을 확보할 수 있고, 각 단위 주파수대역(CC)은 LTE 단말에게 LTE 주파수대역으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이전 통신시스템과의 호환성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전술의 도 1과 같이, 다수의 주파수대역(예 : 제1주파수대역, 제2주파수대역 및 제3주파수대역)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대역을 통해 접속되는 단말에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며, 특히 CA 기능으로 동작하는 단말에 대해서는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를 즉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을 통합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CA지원기지국일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기존에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예시를 간단하게 설정하도록 하겠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와는 구분된 참조번호 50을 참조하여 기지국장치를 언급한다.
우선, 단말(10)은,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단말(10)은, 기지국장치(50)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예컨대 제1주파수대역, 제2주파수대역 및 제3주파수대역을 모두 지원하는 단말로서, 이들 제1주파수대역, 제2주파수대역 및 제3주파수대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기지국장치(50)에 접속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단말(10)에서 지원 및 기지국장치(50)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주파수대역으로서, 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을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1주파수대역에 따른 제1셀(C1)의 참조번호 C1을 참조하여 제1주파수대역(C1)이라 하고, 제2주파수대역에 따른 제2셀(C2)의 참조번호 C2를 참조하여 제2주파수대역(C2)이라 하겠다.
단말(10)은, 전원 온(Power On) 되면(S10),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Primary Cell, PCell)으로서 우선 접속할 주파수대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50)에 접속하여, 위치등록 및 무선자원 할당 등 통신시스템에 대한 접속절차를 수행한다(S20).
예를 들면, 단말(10)은, 전원 온(Power On) 되면(S10), 내부에 기 설정된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를 기초로,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 중 우선순위가 높게 지정된 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50)에 접속하여, 전술의 통신시스템에 대한 접속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20).
이때, 단말(10)은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이기 때문에,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에서 우선순위가 높게 지정된 주파수대역, 즉 초기 접속하도록 지정된 주파수대역은, 기본 주파수대역(Primary Cell, PCell)이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 설정된 주파수대역이, 제2주파수대역(C2)인 것을 예로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이하의 설명에서 단말(10)이 기지국장치(50)에 초기 접속 시 이용한 기본 주파수대역(PCell)과 제2주파수대역(C2)은 동일할 것이다.
기지국장치(50)는, 제2주파수대역(C2)을 통해 단말(10)이 접속된 후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주파수대역(C2)을 통해 단말(10)에 대한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 후, 제2주파수대역(C2)과의 CA 기능 연동이 가능한 추가 주파수대역(Secondary Cell, SCell)에 대한 정보를 단말(10)로 제공한다(S30).
이때, 제공하는 정보에는, 추가 주파수대역(SCell)에 대한 SCell Index, PCI, 주파수대역 정보, SCell 신호세기 측정을 위한 측정파라미터(예 : 활성임계세기, 비활성임계세기), SCell 활성화 타이머, SCell 비활성화 타이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서 설정된 주파수대역이 제2주파수대역(C2)인 경우라면, 기지국장치(50)는, 추가 주파수대역(SCell)로서의 제1주파수대역(C1)에 대한 정보를 단말(10)로 제공할 것이다.
한편, 단말(10)은, 제2주파수대역(C2)을 통해 기지국장치(50)에 접속하여, 할당되는 무선자원 즉 상향링크채널 및 하향링크채널을 통해서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것이다(S40).
이때, 단말(10)은, 전술과 같이 제공받아 저장하고 있는 추가 주파수대역(SCell)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현 상태가 CA 기능 활성화 필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0).
예를 들면, 단말(10)은, 추가 주파수대역(SCell)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대용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특정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 있고 추가 주파수대역(SCell) 즉 제1주파수대역(C1)의 신호세기가 측정파라미터에 따른 활성임계세기 보다 큰 상태로 SCell 활성화 타이머가 경과하도록 유지된다면, 현 상태가 CA 기능 활성화 필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50 Yes).
이 경우, 단말(10)은, CA 기능으로 동작하여, 추가 주파수대역(SCell)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추가 주파수대역(SCell) 즉 제1주파수대역(C1)를 통해서도 기지국장치(50)에 추가로 접속한다(S60).
이에, 단말(10)은, 기본 주파수대역(PCell) 외의 추가 주파수대역(SCell)인 제1주파수대역(C1)을 통해 기지국장치(50)에 동시 접속하여, 할당되는 무선자원 즉 추가 주파수대역(SCell)의 하향링크채널을 통해서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것이다(S70).
이때, 추가 주파수대역(SCell)에 대해서는 상향링크채널이 할당되지 않기 때문에, 단말(10)은, 추가 주파수대역(SCell)에 대한 상향정보 즉, 상향링크 데이터 및 시그널링(예 : CQI, RI, PMI) 등 기지국장치(50)로 전송하는 정보 역시,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의 상향링크채널을 통해서 기지국장치(50)로 전송하게 된다.
즉, 단말(10)은, CA 기능으로 동작 시, 기본 주파수대역(PCell) 및 추가 주파수대역(SCell)에 대한 상향정보를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의 상향링크채널을 통해 기지국장치(50)으로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단말(10)은,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인 제2주파수대역(C2) 및 추가 주파수대역(SCell)인 제1주파수대역(C1)을 통해 기지국장치(50)에 동시 접속하여,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를 즉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을 통합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10) 입장에서는, 상향링크 간섭이 심하거나 상향링크 사용자(부하량)이 많은 주파수대역을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 사용하게 되면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 이용 품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최적의 PCell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10)에서 CA 기능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향링크 환경을 고려한 최적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 이용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을 통해 단말(10)과 접속하면, 다수의 주파수대역 별로 상향링크 환경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단말(10)의 기본 주파수대역 보다 상향링크 환경이 우수한 특정 주파수대역이 있으면 특정 주파수대역이 단말(10)의 기본 주파수대역이 되도록 단말(10)을 핸드오버(Inter-frequency Handover)시킨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앞서 언급한 참조번호를 이용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을 통해 단말(10)과 접속하는 접속부(110)와, 단말(10)이 접속되면,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별로 상향링크 환경을 측정하는 환경측정부(120)와, 상기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 보다 상향링크 환경이 우수한 특정 주파수대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대역확인부(130)와,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기본 주파수대역이 되도록 상기 단말을 핸드오버시키는 접속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다수의 주파수대역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주파수대역(C1), 제2주파수대역(C2) 및 제3주파수대역(C3) 등일 수 있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주파수대역(C1) 및 제2주파수대역(C2) 2 개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CA 기능으로 동작하는 단말에 대해서는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를 즉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을 통합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CA지원기지국일 것이다.
접속부(110)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을 통해 단말(10)과 접속한다.
이때, 단말(10)은,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인 것으로 가정한다.
즉, 단말(10)은, 전술한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 외 적어도 하나의 추가 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동시 접속하는 특정 기능 즉 CA 기능을 지원한다.
따라서, 단말(10)은, 전원 온(Power On) 되면, 내부에 기 설정된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를 기초로,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 중 우선순위가 높게 지정된 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하여, 위치등록 및 무선자원 할당 등 통신시스템에 대한 접속절차를 수행할 것이다.
이때, 단말(10)이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이므로,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에서 우선순위가 높게 지정된 주파수대역, 즉 초기 접속하도록 지정된 주파수대역은, CA 기능에서 지정되는 기본 주파수대역(Primary Cell, PCell)이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 중 CA 기능에서 지정되는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 설정된 주파수대역이, 제2주파수대역(C2)인 것을 예로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이하의 설명에서 단말(10)이 기지국장치(100)에 초기 접속 시 이용한 기본 주파수대역(PCell)과 제2주파수대역(C2)은 동일할 것이다.
이와 같이, 단말(10)이 전원 온 시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초기 접속되는 것은, 기존과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환경측정부(120)는, 단말(10)이 접속되면, 다수의 주파수대역 별로 상향링크 환경을 측정한다.
다시 말해, 환경측정부(120)는, 전술과 같이 단말(10)이 기본 주파수대역(PCell) 예컨대 제2주파수대역(C2)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초기 접속되면, 이 시점에 다수의 주파수대역 예컨대 제1주파수대역(C1) 및 제2주파수대역(C2) 별로 상향링크 환경을 측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환경측정부(120)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예컨대 제1주파수대역(C1) 및 제2주파수대역(C2) 별로, 주파수대역의 상향링크 간섭 및 상향링크 부하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환경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환경측정부(120)는, 제1주파수대역(C1)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단말(예 : 제1주파수대역(C1)을 PCell로 사용하는 CA 단말, 제1주파수대역(C1)을 사용하는 미 CA 단말 등)이 보고(Reporting)하는 Uplink Reference Signal로부터 상향링크 SNR(Signal to Noise Ratio) 또는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을 측정함으로써, 제1주파수대역(C1)의 상향링크 간섭을 측정할 수 있다.
물론, 환경측정부(120)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2주파수대역(C2)의 상향링크 간섭 역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환경측정부(120)는, 제1주파수대역(C1)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단말(예 : 제1주파수대역(C1)을 PCell로 사용하는 CA 단말, 제1주파수대역(C1)을 사용하는 미 CA 단말 등)이 보고(Reporting)하는 Buffer State Report를 참고하여, 제1주파수대역(C1)의 상향링크 부하량을 측정(판단)할 수 있다.
물론, 환경측정부(120)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2주파수대역(C2)의 상향링크 부하량 역시 측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방식 외에도, 환경측정부(120)는, 상향링크 간섭 및 상향링크 부하량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채택하여, 제1주파수대역(C1) 및 제2주파수대역(C2) 별로 상향링크 간섭 및 상향링크 부하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에, 환경측정부(120)는, 전술과 같이 제1주파수대역(C1) 및 제2주파수대역(C2) 별로 측정한 상향링크 간섭 및 상향링크 부하량에 기초하여, 제1주파수대역(C1) 및 제2주파수대역(C2) 별로 상향링크 환경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환경측정부(120)는, 상향링크 간섭이 작게 측정된 주파수대역 일수록, 또한 상향링크 부하량이 적게 측정된 주파수대역일수록, 상향링크 환경을 우수하게 측정할 수 있다.
대역확인부(130)는, 환경측정부(120)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기본 주파수대역(PCell) 보다 상향링크 환경이 우수한 특정 주파수대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다시 말해, 대역확인부(130)는, 환경측정부(120)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다수의 주파수대역 예컨대 제1주파수대역(C1) 및 제2주파수대역(C2) 중에서 단말(10)이 기지국장치(100) 초기 접속 시 사용한 기본 주파수대역(PCell) 예컨대 제2주파수대역(C2) 보다 상향링크 환경이 우수한 특정 주파수대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때, 특정 주파수대역은,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향링크 환경이 가장 우수한 주파수대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역확인부(130)는, 환경측정부(120)의 측정 결과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제1주파수대역(C1)의 상향링크 환경이 가장 우수하게 측정된 경우라면, 제1주파수대역(C1)을 특정 주파수대역인 것으로 확인할 것이다.
한편, 대역확인부(130)는, 환경측정부(120)의 측정 결과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제2주파수대역(C2)의 상향링크 환경이 가장 우수하게 측정된 경우라면, 특정 주파수대역이 없는 것으로 확인할 것이다.
접속제어부(140)는, 대역확인부(130)에서 특정 주파수대역이 확인되는 경우, 특정 주파수대역이 단말(10)의 기본 주파수대역이 되도록 단말(10)을 핸드오버 시킨다.
특정 주파수대역(예 : 제1주파수대역(C1))이 확인된 경우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현재 단말(10)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 예컨대 제2주파수대역(C2) 보다 상향링크 환경이 우수한 특정 주파수대역(예 : 제1주파수대역(C1))이 있는 상황임을 의미한다.
이에, 접속제어부(140)는, 특정 주파수대역이 확인된 경우 즉 현재 단말(10)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 예컨대 제2주파수대역(C2) 보다 상향링크 환경이 우수한 특정 주파수대역(예 : 제1주파수대역(C1))이 있는 경우, 특정 주파수대역 즉 제1주파수대역(C1)이 단말(10)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이 되도록 단말(10)을 핸드오버(Inter-frequency Handover)시킨다.
다시 말해, 접속제어부(140)는, 단말(10)을,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서 접속한 현재의 제2주파수대역(C2)으로부터 전술의 특정 주파수대역(예 : 제1주파수대역(C1))으로, 강제 핸드오버시킬 수 있다.
물론, 접속제어부(140)는, 대역확인부(130)에서 특정 주파수대역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즉 현재 단말(10)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 예컨대 제2주파수대역(C2)의 상향링크 환경이 가장 우수한 경우, 현재 단말(10)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단말(10)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을 핸드오버 시키거나 또는 유지하게 한 후, 단말(10)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과의 CA 기능 연동이 가능한 추가 주파수대역(SCell)에 대한 정보를 단말(10)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술의 도 2를 참조한 기존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 제공 예시에서, S30단계와 대응될 것이다.
그리고, 기지국장치(100)에서 단말(10)로 추가 주파수대역(SCell)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 후의 과정은, 전술의 도 2를 참조한 설명에서 S30단계 이후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환경에서, 단말(10)이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을 통해 접속되면, 접속 시점에 상향링크 환경이 가장 우수한 주파수대역이 단말(10)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이 되도록 핸드오버 시켜, 단말(10)에서 CA 기능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향링크 환경을 고려한 최적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자신에 초기 접속되는 CA 단말에 대하여, 접속 시점에 상향링크 환경이 가장 우수한 주파수대역이 CA 단말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이 될 수 있도록 기본 주파수대역(PCell)에 대한 접속을 제어함으로써, 상향링크 환경을 고려하여 CA 단말을 다수의 주파수대역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0)이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을 통해 접속되면, 접속 시점에 상향링크 환경이 가장 우수한 주파수대역이 단말(10)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이 되도록 핸드오버 시킴과 동시에, 동일한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을 통해 기 접속되어 있는 다른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핸드오버 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접속제어부(140)는, 전술과 같이 대역확인부(130)에서 특정 주파수대역이 확인되는 경우, 단말(10)을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서 접속한 현재의 제2주파수대역(C2)으로부터 특정 주파수대역(예 : 제1주파수대역(C1))으로 강제 핸드오버시킬 때, 제2주파수대역(C2)을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 하여 기 접속되어 있는 다른 단말(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은, 단말(10)과 같이 제2주파수대역(C2)을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 하여 기 접속되어 있는 다른 단말(미도시) 중에서, 상향링크 성능이 가장 낮은 단말부터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단말(예 : N개 단말, N=5)일 수 있다.
여기서, 제2주파수대역(C2)을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 하여 기지국장치(100)에 기 접속되어 있는 단말은, 기지국장치(100)로부터 제2주파수대역(C2)의 상향링크채널을 할당 받게 되며, 이를 통해 전술에 언급한 바와 같이 Uplink Reference Signal, Buffer State Report 등을 기지국장치(100)로 보고(Reporting)할 수 있기 때문에, 기지국장치(100)에서는, 이를 근거로 단말의 상향링크 성능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접속제어부(140)는, 제2주파수대역(C2)을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 하여 기 접속되어 있는 다른 단말(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예 : N개 단말, N=5)을 선택하면,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예 : N개 단말, N=5)도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서 접속한 현재의 제2주파수대역(C2)으로부터 특정 주파수대역(예 : 제1주파수대역(C1))으로 강제 핸드오버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기지국장치(100)는, 자신에 초기 접속되는 CA 단말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에 대한 접속을 제어할 때, 이미 접속되어 있는 CA 단말 중 필요한 일부 CA 단말에 대해서도 상향링크 환경이 가장 우수한 주파수대역이 CA 단말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이 될 수 있도록 기본 주파수대역(PCell)에 대한 접속을 제어함으로써, 상향링크 환경을 고려하여 CA 단말을 다수의 주파수대역으로 분산시키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는, CA 단말에서 CA 기능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향링크 환경을 고려한 최적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 이용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의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10)은, 전원 온(Power On) 되면, 내부에 기 설정된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를 기초로, 다수의 주파수대역 예컨대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 중 우선순위가 높게 지정된 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하여, 위치등록 및 무선자원 할당 등 통신시스템에 대한 접속절차를 수행할 것이다(S20).
이때, 단말(10)이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이므로,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에서 우선순위가 높게 지정된 주파수대역, 즉 초기 접속하도록 지정된 주파수대역은, CA 기능에서 지정되는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이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 설정된 주파수대역이, 제2주파수대역(C2)인 것을 예로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0)이 접속되면, 다수의 주파수대역 별로 별로 상향링크 환경을 측정한다(S80).
다시 말해, 기지국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단말(10)이 기본 주파수대역(PCell) 예컨대 제2주파수대역(C2)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초기 접속되면, 이 시점에 다수의 주파수대역 예컨대 제1주파수대역(C1) 및 제2주파수대역(C2) 별로 상향링크 환경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후, 기지국장치(100)는, S80단계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단말(10)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 보다 상향링크 환경이 우수한 특정 주파수대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90).
다시 말해, 기지국장치(100)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예컨대 제1주파수대역(C1) 및 제2주파수대역(C2) 중에서, 단말(10)이 기지국장치(100) 초기 접속 시 사용한 기본 주파수대역(PCell) 예컨대 제2주파수대역(C2) 보다 상향링크 환경이 우수한 특정 주파수대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에, 기지국장치(100)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제1주파수대역(C1)의 상향링크 환경이 가장 우수하게 측정된 경우라면(S90 Yes), 제1주파수대역(C1)을 특정 주파수대역인 것으로 확인할 것이다.
이 경우,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0)을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서 접속한 현재의 제2주파수대역(C2)으로부터 전술의 특정 주파수대역(예 : 제1주파수대역(C1))으로, 강제 핸드오버시킬 수 있다(S100).
이에, 단말(10)은, 기본 주파수대역(PCell)로서 접속한 제2주파수대역(C2)에서 제1주파수대역(C1)으로 핸드오버 접속할 수 있다(S110).
이후, 기지국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단말(10)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을 핸드오버 시킨 후, 단말(10)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 즉 제1주파수대역(C1)과의 CA 기능 연동이 가능한 추가 주파수대역(SCell)에 대한 정보를 단말(10)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20). 이는, 전술의 도 2를 참조한 기존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 제공 예시에서, S30단계와 대응될 것이다.
한편, 기지국장치(100)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제2주파수대역(C2)의 상향링크 환경이 가장 우수하게 측정된 경우라면(S90 No), 특정 주파수대역이 없으므로 현재 단말(10)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 즉 제2주파수대역(C2)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이후, 기지국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단말(10)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을 유지하게 한 후, 단말(10)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 즉 제2주파수대역(C2)과의 CA 기능 연동이 가능한 추가 주파수대역(SCell)에 대한 정보를 단말(10)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30). 이는, 전술의 도 2를 참조한 기존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 제공 예시에서, S30단계와 대응될 것이다.
그리고, 기지국장치(100)에서 단말(10)로 추가 주파수대역(SCell)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S120단계 또는 S130단계 후의 과정은, 전술의 도 2를 참조한 설명에서 S30단계 이후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이하에서 역시, 다수의 주파수대역은, 제1주파수대역(C1), 제2주파수대역(C2) 및 제3주파수대역(C3) 등일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주파수대역(C1) 및 제2주파수대역(C2) 2 개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우선, 단말(10)은, 다수의 주파수대역 즉 제1주파수대역(C1) 및 제2주파수대역(C2)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대역을 통해서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할 것이다(S200).
이때, 단말(10)이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이므로, 주파수대역별 우선순위정보에서 우선순위가 높게 지정된 주파수대역, 즉 초기 접속하도록 지정된 주파수대역은, CA 기능에서 지정되는 기본 주파수대역(Primary Cell, PCell)이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 중 CA 기능에서 지정되는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 설정된 주파수대역이, 제2주파수대역(C2)인 것을 예로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0)이 접속되면, 다수의 주파수대역 별로 별로 상향링크 환경을 측정한다(S210).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단말(10)이 기본 주파수대역(PCell) 예컨대 제2주파수대역(C2)을 통해 기지국장치(100)에 초기 접속되면, 이 시점에 다수의 주파수대역 예컨대 제1주파수대역(C1) 및 제2주파수대역(C2) 별로 상향링크 환경을 측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제1주파수대역(C1) 및 제2주파수대역(C2) 별로, 주파수대역의 상향링크 간섭 및 상향링크 부하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환경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상향링크 간섭이 작게 측정된 주파수대역 일수록, 또한 상향링크 부하량이 적게 측정된 주파수대역일수록, 상향링크 환경을 우수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210단계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단말(10)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 보다 상향링크 환경이 우수한 특정 주파수대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9220).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주파수대역 예컨대 제1주파수대역(C1) 및 제2주파수대역(C2) 중에서, 단말(10)이 기지국장치(100) 초기 접속 시 사용한 기본 주파수대역(PCell) 예컨대 제2주파수대역(C2) 보다 상향링크 환경이 우수한 특정 주파수대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때, 특정 주파수대역은,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향링크 환경이 가장 우수한 주파수대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210단계의 측정 결과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제1주파수대역(C1)의 상향링크 환경이 가장 우수하게 측정된 경우라면, 제1주파수대역(C1)을 특정 주파수대역인 것으로 확인할 것이다(S220 Ye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210단계의 측정 결과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제2주파수대역(C2)의 상향링크 환경이 가장 우수하게 측정된 경우라면, 특정 주파수대역이 없는 것으로 확인할 것이다(S220 No).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220단계에서 특정 주파수대역이 확인되는 경우(S220 Yes), 특정 주파수대역이 단말(10)의 기본 주파수대역이 되도록 단말(10)을 핸드오버 시킨다(S230).
특정 주파수대역(예 : 제1주파수대역(C1))이 확인된 경우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현재 단말(10)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 예컨대 제2주파수대역(C2) 보다 상향링크 환경이 우수한 특정 주파수대역(예 : 제1주파수대역(C1))이 있는 상황임을 의미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주파수대역이 확인된 경우 즉 현재 단말(10)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 예컨대 제2주파수대역(C2) 보다 상향링크 환경이 우수한 특정 주파수대역(예 : 제1주파수대역(C1))이 있는 경우, 특정 주파수대역 즉 제1주파수대역(C1)이 단말(10)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이 되도록 단말(10)을 핸드오버(Inter-frequency Handover)시킨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0)을,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서 접속한 현재의 제2주파수대역(C2)으로부터 전술의 특정 주파수대역(예 : 제1주파수대역(C1))으로, 강제 핸드오버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제2주파수대역(C2)을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 하여 기 접속되어 있는 다른 단말(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해서도,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서 접속한 현재의 제2주파수대역(C2)으로부터 특정 주파수대역(예 : 제1주파수대역(C1))으로 강제 핸드오버시킬 수 있다(S240).
이때,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은, 단말(10)과 같이 제2주파수대역(C2)을 기본 주파수대역(PCell)으로 하여 기 접속되어 있는 다른 단말(미도시) 중에서, 상향링크 성능이 가장 낮은 단말부터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단말(예 : N개 단말, N=5)일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을 핸드오버 시킨 단말(예 : 단말(10) 및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기본 주파수대역(PCell) 즉 제1주파수대역(C1)과의 CA 기능 연동이 가능한 추가 주파수대역(SCell)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25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제2주파수대역(C2)의 상향링크 환경이 가장 우수하게 측정된 경우라면(S220 No), 특정 주파수대역이 없으므로 현재 단말(10)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 즉 제2주파수대역(C2)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0)로, 기본 주파수대역(PCell) 즉 제2주파수대역(C2)과의 CA 기능 연동이 가능한 추가 주파수대역(SCell)에 대한 정보를 단말(10)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25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CA 단말에서 CA 기능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향링크 환경을 고려한 최적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 이용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CA 단말에서 CA 기능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향링크 환경을 고려한 최적의 기본 주파수대역(PCell)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 이용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 : 단말
100 : 기지국장치
110 : 접속부 120 : 환경측정부
130 : 대역확인부 140 : 접속제어부

Claims (9)

  1.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을 통해,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 외 적어도 하나의 추가 주파수대역을 통해 상기 기지국장치에 동시 접속하는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과 접속하는 접속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별로 상향링크 환경을 측정하는 환경측정부;
    상기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 보다 상향링크 환경이 우수한 특정 주파수대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대역확인부; 및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상기 단말의 기본 주파수대역이 되도록 상기 단말을 핸드오버시키는 접속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측정부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별로, 주파수대역의 상향링크 간섭 및 상향링크 부하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환경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향링크 환경이 가장 우수한 주파수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제어부는,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을 통해 기 접속되어 있는 다른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해서도,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기본 주파수대역이 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핸드오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은,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을 통해 기 접속되어 있는 다른 단말 중에서, 상향링크 성능이 가장 낮은 단말부터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7.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기본 주파수대역을 통해,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 외 적어도 하나의 추가 주파수대역을 통해 상기 기지국장치에 동시 접속하는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과 접속하는 접속단계;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별로 상향링크 환경을 측정하는 환경측정단계;
    상기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 보다 상향링크 환경이 우수한 특정 주파수대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대역확인단계; 및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상기 단말의 기본 주파수대역이 되도록 상기 단말을 핸드오버시키는 접속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기능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주파수대역에 대한 상향정보를 상기 기본 주파수대역의 상향링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향링크 환경이 가장 우수한 주파수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40128665A 2014-09-25 2014-09-25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1616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665A KR101616534B1 (ko) 2014-09-25 2014-09-25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665A KR101616534B1 (ko) 2014-09-25 2014-09-25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415A KR20160036415A (ko) 2016-04-04
KR101616534B1 true KR101616534B1 (ko) 2016-04-28

Family

ID=55799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665A KR101616534B1 (ko) 2014-09-25 2014-09-25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53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3821A (ko) * 2012-09-10 2014-03-1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과,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KR101387151B1 (ko) * 2012-09-12 2014-04-2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와 그 장치들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415A (ko) 2016-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4886B2 (e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for implementing carrier aggregation
US10993277B2 (en) Enhanced PDCP duplication handling and RLC failure handling
KR102175177B1 (ko)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자원 적용 방법 및 장치
US9420484B2 (en) Method and device for updating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set
KR101389492B1 (ko) 추가 측정 결과의 보고 방법 및 시스템
KR102209738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적응적 플로우 제어 방법 및 장치
US96867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l measurement configuration in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environment
US9204356B2 (en) Reducing call drops in uplink power limited scenarios
JP6055500B2 (ja) キャリアアグリゲーションのアクティブ化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968674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frequency selection in carrier aggregation enabled networks
KR101502262B1 (ko) 모바일 장치에서의 전력 제어
US20220007363A1 (en) Dynamic Carrier Subband Operation for Active Coordination Sets
JP2022511237A (ja) 欠落参照信号の場合に測定を実行するユーザ機器
KR10248740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4527377A (ja) 移動中継を実現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933182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WO2020029981A1 (zh) 一种小区切换的方法、装置及系统
KR20160105075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의 동적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7054128A1 (zh) 一种载波聚合技术中载波选择方法和设备
US9585149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duplex mode of second RF carrier based on performance on first RF carrier
KR101915108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CN109842962B (zh) 双连接中测量需求的确定方法及装置、存储介质、用户终端
CN112399503B (zh) 链路失败报告传输的方法和装置
US9699699B1 (en) Consideration of carrier characteristics when providing carrier aggregation service
US10856175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gestion in inter-band carrier aggreg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